KR20220103465A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465A
KR20220103465A KR1020210006091A KR20210006091A KR20220103465A KR 20220103465 A KR20220103465 A KR 20220103465A KR 1020210006091 A KR1020210006091 A KR 1020210006091A KR 20210006091 A KR20210006091 A KR 20210006091A KR 20220103465 A KR20220103465 A KR 20220103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xing tape
electrode assembly
break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근
김기웅
김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0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465A/ko
Publication of KR2022010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순서로 적층된 모노셀이 두 개 이상 적층된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측 둘레를 감아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적층 구조를 지지하는 고정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구체적으로는 전지 내부에서의 가스에 의한 전극 조립체의 변형을 감소시켜서 내부 단락을 개선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파우치, 캔 등)에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 때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전극 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 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단위 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이 중 라미네이션 앤 스택킹(Lmination& Stacking)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경우, 양극, 분리막, 음극 각각의 사이들이 열과 압력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접착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양극과 양극사이(이웃하는 음극과 음극 사이)를 절단하여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순서로 적층된 하나의 모노셀이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노셀들이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 적층되어 전극 적층체로 제조되고, 적층이 완료되면 적층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전극 적층체의 둘레를 고정 테이프로 고정한다.
도 1은 종래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온 노출시 고정 테이프 대응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한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1)는, 전극 적층체(1)와 전극 적층체(1)의 둘레를 감싸면서 적층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테이프(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1)에 대해 안전성 테스트 등을 위하여 고온 환경 노출 실험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전극 적층체(1)를 이루는 모노셀 내부의 변형으로 인하여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고정 테이프(2)가 부착된 부분(화살표 표시부)에서 간섭이 발생하여 셀 내부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내부 단락이 발생함에 따라 발화되는 문제가 있다. 고정 테이프(2)가 부착된 부분에서는 부착 인장력이 발생하여 모노셀의 팽창 등의 변형시 해당 부분에서는 고정 테이프(2)에 의한 간섭에 의해 모노셀이 다른 부분과 다르게 변형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전극 적층체(1)의 변형이 촉진되는바, 단락에 의한 발화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 적층체를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부 단락 및 발화 가능성을 낮춘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순서로 적층된 모노셀이 두 개 이상 적층된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측 둘레를 감아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적층 구조를 지지하는 고정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포함한다.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를 관통하는 미세 홀이 복수개 나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복수의 선 및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선이 서로 교차하는 메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복수의 선이 반복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선이 반복되는 사선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적층체는, 상기 모노셀의 적층면과 평행한 상부면 및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 사이의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측면 중 2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고정 테이프, 및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측면 중 하나의 측면만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테이프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2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테이프는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상술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가 고온의 환경에 노출될 경우가스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전극 조립체의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전극 조립체의 변형이 생기기 이전에 파단용 절취선에 의해 고정 테이프가 끊어지기 때문에, 전극 적층체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모노셀 내부에서의 변형에 의한 내부 단락 및 발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온 노출시 고정 테이프 대응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한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전극 적층체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전극 적층체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적층체(120)는, 라미네이션 앤 스택킹 방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양극(10), 분리막(30), 음극(20), 분리막(30)이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권출되어 공급되되, 상기 분리막(30)에서 일정한 크기로 양극(10)과 음극(20)이 절단되어 이동되고, 라미네이팅 장치를 지나게 된다. 상기 양극(10)과 음극(20)은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양면 각각에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상태이다.
라미네이팅 장치를 지나는 동안, 양극(10), 분리막(30), 음극(20) 각각의 사이들은 열과 압력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접착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양극(10)과 양극(10) 사이(이웃하는 음극(20)과 음극(20) 사이)를 절단하여 위에서부터 양극(10), 분리막(30), 음극(20), 분리막(30) 순서로 적층된 하나의 모노셀(40)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모노셀들(40)은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 적층되어 전극 적층체(120)를 형성하고, 이러한 전극 적층체(120)의 적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극 적층체(120)의 외측을 감싸는 고정 테이프(130)가 부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에서, 전극 적층체(120)의 적층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130)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133)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 적층체(120)는, 양극(10), 분리막(30), 음극(20), 및 분리막(30)이 순서대로 적층된 모노셀(40)이 2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양극(10) 및 음극(20) 각각은 양극탭 및 음극탭(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양극탭들과 연결되는 양극 리드(111) 및 음극탭들과 연결되는 음극 리드(11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극 적층체(120)의 외측 둘레를 감도록 고정 테이프(130)가 부착된다. 여기서 고정 테이프(130)는 상술한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와 간섭하지 않도록 부착될 수 있다. 고정 테이프(130)는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가 결합되지 않는 전극 적층체(120)의 양 변을 포함하여 전극 적층체(120)의 상부면(123) 및 하부면(121)의 가로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가로지르면서 전극 적층체(120)를 감싸는 제1 고정 테이프(131), 및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와 이웃하여 부착된 제2 고정테이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테이프(131)는, 모노셀(40)의 적층면과 평행한 전극 적층체(120)의 상부면(123), 하부면(121) 및 상부면(123)과 하부면(121) 사이의 2개의 측면(122)들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즉, 전극 적층체(120)를 사이에 두고 제1 고정 테이프가 사각형을 갖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제1 고정 테이프(131)는, 전극 적층체(120)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고정 테이프(131)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가 증가할 경우 3개 이상의 제1 고정 테이프(1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고정 테이프(132)는, 상부면(123), 하부면(121)과 하나의 측면(122)만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즉, 전극 적층체(120)를 사이에 두고 제2 고정 테이프가 디귿자 형태를 갖도록 부착된다. 제2 고정 테이프(132)의 개수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 적층체(120)의 폭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여 3개 이상의 제2 고정 테이프(132)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위치 역시 전극 리드(111, 112)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 테이프(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133)이 형성된다. 파단용 절취선(133)은, 고정 테이프(130)를 관통하는 복수의 미세 홀이, 점선을 형성하도록 나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용 절취선(133)은 예를 들면 고정 테이프(1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선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선이 복수개 형성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파단용 절취선(133)은, 고정 테이프(130)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극 적층체(120)의 어떠한 부분에서 먼저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고정 테이프(130)가 끊어질 수 있다. 특히, 단지 전극 적층체(120)의 측면(122) 부분뿐만 아니라, 상부면(123) 및 하부면(121)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모두 파단용 절취선(1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 전극 적층체(120)의 팽창이 시작되더라도 고정 테이프(130)가 신속하게 절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단용 절취선(133)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전극 조립체(100)가 고온의 환경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전극 적층체(1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발생된 가스에 의해 전극 적층체(120)가 부풀어 오를 경우 고정 테이프(130)가 부착된 부분은 팽창이 억제되어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팽창이 발생할 경우, 변형이 생기기 이전에 파단용 절취선(133) 부분에 의해 고정 테이프(130)가 끊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극 적층체(12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모노셀 내부에서의 변형에 의한 내부 단락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단락에 의한 발화도 방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단용 절취선(133)의 형상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용 절취선(133)은 스트라이프 형상 외에 다른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130)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선이 반복되는 사선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단용 절취선(133)이 서로 교차하여, 메쉬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테이프(130)에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어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절취선이라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상술의 전극 조립체(100), 및 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는, 예를 들면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탭들과 연결되는 양극리드(111) 및 음극탭들과 연결되는 음극리드(112)가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밀봉성과 절연성을 위해 양극리드(111)와 음극리드(112)는 각각 리드 필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실링부(300S)에 위치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30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열 융착을 위한 수지층과 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300)는,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 각각에 전극 조립체(10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300ST)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300ST)의 바깥둘레를 따라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 각각 실링부(300S1, 300S2)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01)의 실링부(300S1)와 하부 케이스(320)의 실링부(300S2)가 서로 열 융착되어, 실링부(300S)를 형성하며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300)가 밀봉될 수 있다. 즉, 실링부(300S1)에서의 수지층과 실링부(300S2)에서의 수지층이 서로 열 융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얻어진 이차전지(1000)의 경우에도, 고온에 노출될 경우 이차전지(1000) 내부에서 팽창이 일어나면서 전극 조립체(100)의 변형에 의한 내부 단락 및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는, 전극 조립체(100)에서 고정 테이프(130)가 파단용 절취선(133)을 포함하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기 이전에 고정 테이프(130)가 절취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변형에 의한 내부 단락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극 조립체
120: 전극 적층체
130: 고정 테이프
131: 제1 고정 테이프
132: 제2 고정 테이프
133: 파단용 절취선

Claims (10)

  1.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순서로 적층된 모노셀이 두 개 이상 적층된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전극 적층체의 외측 둘레를 감아서 상기 전극 적층체의 적층 구조를 지지하는 고정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용 절취선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를 관통하는 미세 홀이 복수개 나열되어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3. 제1항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복수의 선이 반복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4. 제1항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복수의 선 및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선이 서로 교차하는 메쉬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5. 제1항에서,
    상기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선이 반복되는 사선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6. 제1항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고정 테이프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7. 제1항에서,
    상기 전극 적층체는, 상기 모노셀의 적층면과 평행한 상부면 및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 사이의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측면 중 2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고정 테이프, 및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측면 중 하나의 측면만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고정 테이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8. 제7항에서,
    상기 제1 고정 테이프에서 상기 파단용 절취선은,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및 상기 2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9. 제7항에서,
    상기 제1 고정 테이프는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10. 제1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210006091A 2021-01-15 2021-01-15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20103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91A KR20220103465A (ko) 2021-01-15 2021-01-15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91A KR20220103465A (ko) 2021-01-15 2021-01-15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65A true KR20220103465A (ko) 2022-07-22

Family

ID=8260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091A KR20220103465A (ko) 2021-01-15 2021-01-15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33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KR101636371B1 (ko) 계단 구조의 전지셀
US9203058B2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402657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KR101799570B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124944A (ko) 전극조립체
JP7387966B2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101539829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2차 전지
KR101090684B1 (ko)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3465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10020662A (ko) 원통형 전지
KR101614319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10165086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20170025772A (ko) 외주변이 절곡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220074498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82150A (ko) 지그재그 형상으로 폴딩된 전극조립체
KR10184999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20220109030A (ko) 이차전지용 테이프의 부착 방법
KR20220050643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00063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8923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430745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20014153A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029636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066844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