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323A -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323A
KR20220103323A KR1020210005775A KR20210005775A KR20220103323A KR 20220103323 A KR20220103323 A KR 20220103323A KR 1020210005775 A KR1020210005775 A KR 1020210005775A KR 20210005775 A KR20210005775 A KR 20210005775A KR 20220103323 A KR20220103323 A KR 2022010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ube
light
irradiation devi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764B1 (ko
Inventor
김동탁
김용준
김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to KR102021000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7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61M25/10182Inject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14Expandable means emitting energy, e.g. by elements carried thereon
    • A61B2018/002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73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 A61B2018/00279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deployable
    • A61B2018/00285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0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with beam delivery through an interstitially insertable device, e.g.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1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using probes penetrating tissue; interstitial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메인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튜브본체와 벌룬이 포함된 멀티루멘튜브와;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와; 튜브본체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튜브형 홀더, 홀더에 결합하는 니들가이더가 구비된 가이드튜브와; 홀더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도입튜브와; 도입튜브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한 핸들과; 핸들의 내부에 물려 고정되는 니들과; 니들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켜 선단부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섬유를 갖는 광유도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는, 병소를 덮고 있는 주변장기를 리프팅 하여, 병소를 향하는 광조사장치가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호한 광역학적 치료 효과를 얻게 한다. 또한, 병소에 대한 니들과 광섬유의 삽입 깊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니들 단부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광통로가 마련되므로, 니들의 측방향 주변에 위치한 암조직 세포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Light irradiation device for photodynamic cancer treatment}
본 발명은 각종 암에 대한 광역학적 암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소가 체내 장기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더라도, 병소에 대한 접근성이 양호하여 뛰어난 치료 효과를 구현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안된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빛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광감작제를 암조직 부위에 주입하고, 암조직에 빛을 가하여 암세포를 괴사시키는 치료법이다.
주입된 광감작제는, 주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축적 되고, 이 상태에서 광감작제에 맞는 특정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감작제가 빛과 산소에 의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며, 활성산소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이러한 원리를 갖는 광역학 치료는, 외과적 수술이나 화학이나 방사선 치료에 비해 부담이 적고, 또한 주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광역학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암세포에 레이저광을 정확하게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환자를 고정한 상태로, 광감작제가 축적된 암조직 부위에, 레이저광을 장시간 동안 흔들리지 않도록 조사해야 하는 것이다. 레이저광이 암조직 부위에 정확하게 조사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그런데 치료할 암조직 부위가 체내 깊숙이 위치한 경우에는, 암조직 부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췌장의 경우에는 다른 장기에 덮여 있어, 췌장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주변 장기를 리프팅 해서 통로를 확보해야 하는데, 공간적 제약이 많은 복강경 수술 시, 장기를 들어 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광역학 치료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4280호 (초음파 광역학 치료용 내시경 프로브)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내시경 프로브는, 내부에는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중공을 형성한 내시경 프로브; 내시경 프로브의 선단부 외주에 일체로 구비되어, 환부를 향해 초음파를 방출하는 제1초음파부재; 내시경 프로브의 중공 중 어느 한 중공을 따라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으로 내시경 프로브의 선단으로 출현하면서 끝단이 환부에 침투하여, 환부에 과민제를 주입하는 약제주입니들; 내시경 프로브의 중공 중 어느 한 중공을 따라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해당 파장의 광을 환부로 조사하는 광프로브; 내시경 프로브의 중공 중 어느 한 중공을 따라 구비되고, 광프로브의 주변에 배치되며, 선단에 구비된 제2초음파부재가 환부로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프로브 및 내시경 프로브의 선단에 구비되어, 초음파에 의해 표출되도록 표면에 딤플링을 형성한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표시부를 포함하고, 광프로브는 내시경 프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부에서 수신된 빛을 선단부로 전송하는 내측코어와; 내측코어의 외부에서 내측코어를 둘러싼 형태로 피복하는 외측코어와; 내측코어 후단부에 구비되어, 내측코어를 통해 환부로 조사될 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며, 발광수단은 레이저, 적외선, 자외선 중 해당 특정 대역 광을 발광하는 광원부와; 광원부에서 발광하는 광선 상에 위치하여 빛의 일부를 타측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분할부와;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빛을 수신받아 발광되는 빛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는 소스를 제공하는 검출부로 구성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4280호 (초음파 광역학 치료용 내시경 프로브)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56103호 (광역학 테라피 레이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01798호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병소를 향하는 광조사장치가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호한 광역학적 치료 효과를 얻게 하고, 광섬유의 삽입 깊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니들의 측방향 주변에 위치한 암조직 세포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 부재로서, 트로카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일정 직경의 메인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단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이 포함된 멀티루멘튜브와;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여 벌룬을 팽창시키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튜브본체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튜브형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며 메인통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단부가 튜브본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광섬유통로를 제공하는 니들가이더가 구비된 가이드튜브와; 상기 홀더에 결합하며 광섬유통로와 일직선을 이루는 도입통로를 갖는 도입튜브와; 상기 도입튜브를 커버하며 도입튜브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내부에 물려 고정되고 일부가 핸들 후방으로 돌출된 중공형 니들홀더, 상기 니들홀더에 고정되며 니들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통해 전방으로 연장되며 핸들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니들가이더의 외측으로 진출하는 중공형 니들본체를 구비한 니들과; 상기 니들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켜 선단부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니들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어뎁터를 갖는 광유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에는, 유체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통로가 더 형성되며, 튜브본체에는, 상기 유체통로내의 유체가 벌룬으로 넘어가는 통로인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통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체를 통과시키는 주입튜브와, 상기 주입튜브의 단부에 결합하고 공급할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갖는 주사기와, 상기 주입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주사기의 피스톤이 전진할 때 닫히고 후퇴할 때 열리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주사기를 기준으로 제1체크밸브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주사기의 피스톤이 전진할 때 열리고 후퇴할 때 닫히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의 내측에는 핸들의 이동경로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입튜브에는 주행가이드홈에 삽입되며 핸들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입튜브에는; 상기 핸들의 전방으로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니들 선단부의 진출길이를 조절하는 진출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출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도입튜브에 지지되며 도입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위치 조절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입튜브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튜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도입튜브를 감싸는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암나사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며 나사결합을 통해 도입튜브를 찍어 눌러 도입튜브에 대해 슬라이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튜브의 외주면에는, 핸들에 대한 슬라이딩부재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는 눈금부가 마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본체의 단부에는, 니들본체의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광섬유를 통해 출력되는 광이 니들본체의 주위로도 동시 조사되게 하는 다수의 광조사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는, 병소를 덮고 있는 주변장기를 리프팅 하여, 병소를 향하는 광조사장치가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호한 광역학적 치료 효과를 얻게 한다.
또한, 병소에 대한 니들과 광섬유의 삽입 깊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니들 단부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광통로가 마련되므로, 니들의 측방향 주변에 위치한 암조직 세포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조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 조사장치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 조사장치의 벌룬을 팽창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에서의 멀티루멘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광조사장치는, 체내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하여 장기를 벌려줄 수 있는 벌룬을 구비하므로, 가령 췌장과 같이 이웃 장기(臟器)에 덮여 있는 장기에 대한 광역학적 암치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조사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 부재로서, 트로카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일정 직경의 메인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단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이 포함된 멀티루멘튜브와;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여 벌룬을 팽창시키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튜브본체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튜브형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며 메인통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단부가 튜브본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광섬유통로를 제공하는 니들가이더가 구비된 가이드튜브와; 상기 홀더에 결합하며 광섬유통로와 일직선을 이루는 도입통로를 갖는 도입튜브와; 상기 도입튜브를 커버하며 도입튜브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내부에 물려 고정되고 일부가 핸들 후방으로 돌출된 중공형 니들홀더, 상기 니들홀더에 고정되며 니들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통해 전방으로 연장되며 핸들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니들가이더의 외측으로 진출하는 중공형 니들본체를 구비한 니들과; 상기 니들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켜 선단부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니들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어뎁터를 갖는 광유도부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조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광 조사장치의 절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 조사장치의 벌룬을 팽창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에서의 멀티루멘튜브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10)는, 멀티루멘튜브(20), 유체공급부, 가이드튜브(45), 도입튜브(41), 핸들(55), 니들(61), 광유도부(65)를 포함한다.
멀티루멘튜브(20)는, 트로카(12)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가요성부재로서, 튜브본체(21)와 벌룬(23)을 갖는다. 트로카(12)는, 복강경 방식 수술을 위해, 복부에 구멍을 천공한 후 천공된 구멍에 끼우는 도구로서, 각종 수술기구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트로카의 사이즈나 모양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튜브본체(2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메인통로(21a)와 유체통로(21c)를 갖는다. 메인통로(21a)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튜브본체의 전후방으로 개방된다. 본 설명에서, 광조사장치(10)가 체내로 진입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메인통로(21a)는 후술할 가이드튜브(45)의 니들가이더(45b)를 수용한다. 또한 니들가이더(45b)의 내부에는 니들본체(61f)가 수용되고, 니들본체(61f)의 내부에는 광섬유(65a)가 내장된다. (도 9 참조). 또한 메인통로(21a)의 후단부에는 결합나사부(21f)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나사부(21f)는 가이드튜브(45)의 홀더(45a)가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튜브본체(21)에 대해 홀더(45a)는 착탈 가능하다.
유체통로(21c)는 메인통로(21a)와 평행하게 연장된 통로로서, 선단부는 캡(22)으로 막혀 있고, 후단부에는 결합구(21g)를 갖는다. 결합구(21g)는 유체공급부의 주입튜브(31)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구멍이다.
튜브본체(21)의 측부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1d)은, 유체공급부로부터 유체통로(21c)로 유입된 유체가 벌룬(23)으로 넘어가는 구멍이다. 유체통로(21c)는 관통구멍(21d)을 통해 벌룬(23)과 연통한다.
벌룬(23)은 탄성 변형 가능한 의료용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튜브본체(21)의 일부를 감싸되, 유체통로(21c)가 위치한 부분을 감싼다. 튜브본체(21)에 대한 벌룬(23)의 결합은 접착방식 일 수 있다. 벌룬(23)은 관통구멍(21d)을 통과한 유체를 받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한다. 벌룬(23)은, 수축한 상태로, 근접하거나 붙어 있는 장기(臟器)의 사이로 들어가 팽창하여 장기를 벌려 공간을 확보한다.
유체공급부는 벌룬(23)에 채워질 유체를 압입하는 역할을 한다. 유체공급부는, 주입튜브(31), 주사기(14), 제1체크밸브(33), 제2체크밸브(34)를 포함한다.
주입튜브(31)는 일정직경을 갖는 중공파이프로서 결합구(21g)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다. 팽창되어 있던 벌룬(23) 내부의 유체를 빼내기 위해, 주입튜브(32)를 결합구(21g)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주사기(14)는, 실린더(14b)와 피스톤(14c)을 갖는 일반적인 주사기로서, 실린더(14b)의 주둥이부(14a)가 주입튜브(31)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주사기(14)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유체를 주입튜브(31) 내부로 압입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유체는 공기나 식염수 일 수 있다.
제1체크밸브(33)는, 주입튜브(31)의 일측에 설치되며, 주사기의 피스톤(14c)이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할 때 닫히고 후퇴할 때 열린다. 피스톤(14c)이 후퇴할 때 실린더(14b)에 음압이 형성되는데, 이 때 유체가 제1체크밸브(33)를 통해 화살표 b방향으로 유입하여 실린더(14b)에 채워진다.
제2체크밸브(34)는, 주사기(14)를 기준으로 제1체크밸브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즉, 제1체크밸브(33)와 튜브본체(21)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체크밸브(34)는 주사기의 피스톤(14c)이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할 때 열리고 후퇴할 때 닫힌다. 피스톤(14c)을 전진시킴에 따라 실린더(14b)로부터 분출되는 유체는 제2체크밸브(34)를 통해 유체통로(21c)로 공급된다.
결국, 상기 동작을 하는 제1,2체크밸브(33,44)를 가짐에 의해, 피스톤(14c)을 반복적으로 전진 및 후퇴시켜, 유체통로(21c)에 유체를 연속적으로 압입할 수 있다.
가이드튜브(4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5a)와 니들가이더(45b)를 갖는다. 홀더(45a)는 중공 파이프의 형상을 취하며 결합나사부(21f)에 나사 결합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나사부(21f)에 대한 홀더(45a)의 결합 및 분리는 가능하다.
니들가이더(45b)는 후단부가 홀더(45a)의 내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가요성 중공튜브이다. 니들가이더(45b)는 홀더(45a)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며 메인통로(21a)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니들가이더(45b)의 연장단부, 즉 선단부는 튜브본체(21)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된다. 하지만 니들가이더(45b)의 길이를 짧게하여 튜브본체(21)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입튜브(41)는, 홀더(45a)에 결합하며 광섬유통로와 일직선을 이루는 도입통로(41a)를 제공하는 중공파이프이다. 홀더(45a)의 일부는 도입튜브(4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된다.
도입튜브(41)는, 환자의 체외에 위치하는 직선형 부재로서, 후술할 핸들(55)을 화살표 e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입튜브(41)의 전방측 단부에는 스토퍼(53)가 고정된다. 스토퍼(53)는 슬라이딩링(51)의 화살표 g 방향이동을 제한한다.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링(51)은 스토퍼(53)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스토퍼(53)는 슬라이딩링(51)의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또한, 스토퍼(53)와 핸들(55)의 사이에는 진출길이조절수단이 설치된다. 진출길이조절수단은, 핸들(55)의 전방으로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니들 선단부의 진출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핸들(55)의 화살표 e방향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진출길이조절수단은, 슬라이딩부재와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슬라이딩부재는, 도입튜브(41)에 지지되며 도입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링타입의 슬라이딩링(5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딩링(51)은 도입튜브(41)를 감싸는 링형 부재로서 도입튜브(4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아울러, 슬라이딩링(51)의 일측에는 표시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구멍(51a)은 눈금부(41c)에 마킹되어 있는 눈금을 외측으로 내보이는 관통구멍이다. 또한 슬라이딩링(51)에는 암나사부(51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51b)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통로로서 고정스크류(51d)와 나사 결합한다.
암나사부(51b)와 고정스크류(51d)는, 위치가 조절된 슬라이딩링(51)을 그 자리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링(51)을 필요한 지점에 위치시킨 후 고정스크류(51d)를 죄면, 고정스크류(51d)가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며 나사결합을 통해 도입튜브를 찍어 눌러 도입튜브(41)에 대한 슬라이딩링(51)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입튜브(41)의 외주면에는 눈금부(41c)가 위치한다. 눈금부(41c)는 핸들(50)에 대한 슬라이딩링(51)의 이격거리를 나타낸다.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는 핸들(50)은 슬라이딩링(51) 까지만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딩링(51)을 (눈금부(41c)에 마킹되어 있는 눈금을 참조삼아) 핸들(55)측으로 이동시키면, 핸들(55)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그만큼 짧아진다. 핸들은 후술할 니들(6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니들(61)의 도 7의 화살표 k방향 진출거리도 짧아진다. 니들(61)의 화살표 k방향 진출거리는, 체내 장기에 삽입되는 니들의 깊이이기도 하다. 진출거리는 1cm 내지 4cm 일 수 있다.
아울러 도입튜브(41)의 후단부에는 가이드링(42)이 끼워진다. 가이드링(42)은 도입튜브(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형 부재로서 수직방향 상하부에 가이드돌출부(42a)를 갖는다. 가이드돌출부(42a)는 핸들편(55a)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주행가이드홈(55c)에 끼워진 상태로 핸들(55)의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 핸들(55)이 가이드돌출부(42a)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하는 것이다.
핸들(55)은 두 개의 핸들편(55a)이 조립 구성된 것이다. 도입튜브(41)를 사이에 두고 핸들편(55a)을 결합함으로써 핸들(55)이 구성된다. 핸들편(55a)의 전방 단부에는 링결합부(55f)가 마련되어 있다. 링결합부(55f)는 결합링(55g)이 끼워지는 홈이다. 결합링(55g)은 핸들편(55a)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핸들편(55a)의 후방 단부에는 후단홈(55e)이 형성된다. 후단홈(55e)은 핸들편(55a)이 조립된 상태에서 니들홀더(63)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제공한다.
또한 각 핸들편(55a)의 내측에는 끼움홈(55d)이 더 형성된다. 끼움홈(55d)은 니들홀더(63)의 걸림턱부(63a)를 수용 고정하는 홈이다. 니들홀더(63)를 사이에 두고 핸들편(55a)을 결합하면, 니들홀더(63)가 핸들편(55a)에 물려 고정되고, 니들홀더(63)의 결합나사부(63c)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55) 후방으로 노출된다.
한편, 니들(61) 및 광유도부(65)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니들(61)은, 니들홀더(63)와 니들본체(61f)로 이루어진다. 니들홀더(63)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편(55a)의 후단홈(55e)에 물려 고정되는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니들본체(61f)를 후방으로 개방한다. 니들홀더(63)의 후단부에 마련된 결합나사부(63c)는 어뎁터(65b)에 대해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어뎁터(65b)의 내부에, 결합나사부(63c)에 결합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니들본체(61f)는 니들가이더(45b)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직선형 부재로서 광섬유통로(61a)를 제공한다. 광섬유통로(61a)는 광섬유(65a)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니들본체(61f)의 선단부에는 사선으로 경사진 선단날부(도 7의 61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날부는 일반적인 주사바늘과 같은 것이다.
선단날부(61b)는, 핸들(55)이 최대로 후퇴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가이더(45b)의 내부에 대기한다. 또한 핸들(55)이 도 1의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이 이동한 거리만큼 화살표 k방향으로 진출한다.
또한 니들본체(61f)에는 다수의 광조사구멍(61e)이 형성되어 있다. 광조사구멍(61e)은, 광섬유통로(61a)에 수용되어 있는 광섬유(65a)에서 출력된 빛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광섬유(65a)의 단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일부는 광조사구멍(61e)을 통해 측방향으로도 얼마간 빠져나간다.
경우에 따라 니들본체(61f)의 선단부에, 병소의 생체검사를 위한 바이옵시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광유도부(65)는, 광섬유(65a)와 어뎁터(65b)로 구성된다. 광섬유(65a)는 니들본체(61f)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켜 선단부 전방으로 조사한다.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은, 레이저광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일 수 있다. 광을 전달받아 선단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광섬유(65a)의 후단부는 어뎁터(65b)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광으로서, 다이오드 레이저(630nm)를, 광섬유는 400㎛ 내지 800㎛ GOF(Glass Optical Fiber)를 사용할 수 있다.
어뎁터(65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55)의 후방으로 돌출된 니들홀더(63)에 대해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디스크형 부속이다. 니들홀더(63)에 대한 어뎁터(65b)의 결합이나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광 조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료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해 환자 체내의 암세포의 위치를 파악한다. 암세포의 위치가 파악되었다면 복부에 구멍을 천공하고 트로카(12)를 끼운다. 트로카(12)를 통해 내시경 등 필요한 도구를 넣어 필요한 처치를 먼저하고, 광감작제를 주입한다.
광감작제의 주입이 완료되었다면, 광조사장치(10)를 멀리루멘튜브(20)를 트로카를 통해 체내에 진입시킨다. 이 때 광유도부(65)와 주사기(14)는 빠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핸들(55)은 최대한 후퇴한 상태이다.
아울러 멀티루멘튜브(20)의 선단부를 목표지점으로 접근할 때, 접근 경로가 장기(臟器)에 의해 가려져 있을 때에는 주사기(14)를 연결하여 벌룬(23)을 부풀린다. 벌룬(23)은 이웃하는 장기의 사이에서 팽창하여 장기를 벌린다.
상기 과정을 통해 멀티루멘튜브(20)의 선단부가 병소에 도달하였다면, 광유도부(65)를 끼우고 니들홀더(63)에 어뎁터(65b)를 연결한 다음 핸들(55)을 전진시켜 니들본체(61f)를 찌른다. 이 때 니들본체(61f)의 최대 진출 깊이는 슬라이딩링(51)과 고정스크류(51d)에 의해 미리 세팅되어 있어야 한다.
니들본체(61f)가 병소의 조직 내부로 삽입된 후, 광발생부(미도시)를 어뎁터(65b)에 연결하고, 광섬유로 광을 인가한다. 제공된 광은, 광섬유(65a)를 통과한 후 니들본체(61f)의 선단날부(61b) 방향과 광조사구멍(61e)을 통해 주변으로 퍼지며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상기 과정이 마무리되었다면, 유체공급부(30)를 분리하여 벌룬을 수축시킨 후 멀티루멘튜브(20)를 꺼낸 후 후속 조치를 이어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광조사장치 12:트로카 14:주사기
14a:주둥이부 14b:실린더 14c:피스톤
20:멀티루멘튜브 21:튜브본체 21a:메인통로
21c:유체통로 21d:관통구멍 21f:결합나사부
21g:결합구 22:캡 23:벌룬
30:유체공급부 31:주입튜브 33:제1체크밸브
34:제2체크밸브 41:도입튜브 41a:도입통로
41c:눈금부 42:가이드링 42a:가이드돌출부
45:가이드튜브 45a:홀더 45b:니들가이더
51:슬라이딩링 51a:표시구멍 51b:암나사부
51d:고정스크류 53:스토퍼 55:핸들
55a:핸들편 55c:주행가이드홈 55d:끼움홈
55e:후단홈 55f:링결합부 55g:결합링
61:니들 61a:광섬유통로 61b:선단날부
61e:광조사구멍 61f:니들본체 63:니들홀더
63a:걸림턱부 63c:결합나사부 65:광유도부
65a:광섬유 65b:어뎁터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 부재로서, 트로카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일정 직경의 메인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본체의 단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이 포함된 멀티루멘튜브와;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여 벌룬을 팽창시키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튜브본체의 후단부에 결합하는 튜브형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며 메인통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단부가 튜브본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광섬유통로를 제공하는 니들가이더가 구비된 가이드튜브와;
    상기 홀더에 결합하며 광섬유통로와 일직선을 이루는 도입통로를 갖는 도입튜브와;
    상기 도입튜브를 커버하며 도입튜브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내부에 물려 고정되고 일부가 핸들 후방으로 돌출된 중공형 니들홀더, 상기 니들홀더에 고정되며 니들홀더를 통해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통해 전방으로 연장되며 핸들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니들가이더의 외측으로 진출하는 중공형 니들본체를 구비한 니들과;
    상기 니들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켜 선단부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니들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어뎁터를 갖는 광유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에는, 유체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통로가 더 형성되며,
    튜브본체에는, 상기 유체통로내의 유체가 벌룬으로 넘어가는 통로인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통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체를 통과시키는 주입튜브와,
    상기 주입튜브의 단부에 결합하고 공급할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갖는 주사기와,
    상기 주입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주사기의 피스톤이 전진할 때 닫히고 후퇴할 때 열리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주사기를 기준으로 제1체크밸브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주사기의 피스톤이 전진할 때 열리고 후퇴할 때 닫히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내측에는 핸들의 이동경로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입튜브에는 주행가이드홈에 삽입되며 핸들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튜브에는;
    상기 핸들의 전방으로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니들 선단부의 진출길이를 조절하는 진출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도입튜브에 지지되며 도입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위치 조절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입튜브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튜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도입튜브를 감싸는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암나사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며 나사결합을 통해 도입튜브를 찍어 눌러 도입튜브에 대해 슬라이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튜브의 외주면에는,
    핸들에 대한 슬라이딩부재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는 눈금부가 마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본체의 단부에는,
    니들본체의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광섬유를 통해 출력되는 광이 니들본체의 주위로도 동시 조사되게 하는 다수의 광조사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암치료를 위한 광 조사장치.
KR1020210005775A 2021-01-15 2021-01-15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KR10254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75A KR102547764B1 (ko) 2021-01-15 2021-01-15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75A KR102547764B1 (ko) 2021-01-15 2021-01-15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23A true KR20220103323A (ko) 2022-07-22
KR102547764B1 KR102547764B1 (ko) 2023-06-26

Family

ID=8260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775A KR102547764B1 (ko) 2021-01-15 2021-01-15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575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티큐어 광 치료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606A (ja) * 1998-03-31 1999-10-12 Terumo Corp レーザ照射装置
KR100901798B1 (ko)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1526820A (ja) * 2008-07-03 2011-10-20 ホットスパ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体管腔内の閉塞部を治療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814280B1 (ko) 2015-05-21 2018-01-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광역학 치료용 내시경 프로브
KR102056103B1 (ko) 2012-03-21 2019-12-16 발레리 루빈치크 광역학 테라피 레이저
KR20190139016A (ko) * 2018-06-07 2019-12-17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JP2020138940A (ja) * 2019-02-28 2020-09-03 テルモ株式会社 治療方法
KR20200133054A (ko) * 2019-05-15 2020-11-26 한국광기술원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복합 광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606A (ja) * 1998-03-31 1999-10-12 Terumo Corp レーザ照射装置
KR100901798B1 (ko)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1526820A (ja) * 2008-07-03 2011-10-20 ホットスパ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体管腔内の閉塞部を治療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2056103B1 (ko) 2012-03-21 2019-12-16 발레리 루빈치크 광역학 테라피 레이저
KR101814280B1 (ko) 2015-05-21 2018-01-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광역학 치료용 내시경 프로브
KR20190139016A (ko) * 2018-06-07 2019-12-17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JP2020138940A (ja) * 2019-02-28 2020-09-03 テルモ株式会社 治療方法
KR20200133054A (ko) * 2019-05-15 2020-11-26 한국광기술원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복합 광원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575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티큐어 광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764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7719B2 (en) Wat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EP0673627B1 (en) Catheter with optical fiber
US5454807A (en) Medical treatment of deeply seated tissue using optical radiation
US5409483A (en) Direct visualization surgical probe
EP1273274B1 (en) Medical energy irradiation apparatus
US2019012544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ecting and/or ablating an undesired tissue
US202100083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use of photodynamic therapy
WO201604038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therapy
KR102547764B1 (ko)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KR102566620B1 (ko) 광 치료 장치
JP2008535564A (ja) 超音波医療装置並びに関連する使用方法
KR102346692B1 (ko) 다중 표적 복막암 형광 진단 및 치료장치
JPH02185269A (ja) 光化学治療装置
KR20170122323A (ko) 레이저 수술장치
CN220632199U (zh) 消融装置及消融系统
JP7125705B2 (ja) 卵胞発育誘導装置
RU22978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опухолей
KR102481165B1 (ko) 벌룬 카테터를 이용한 괄약근 광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JPH0910222A (ja) 生体へのレーザ光照射システム
JP2004236949A (ja) エネルギー照射装置
KR20220168433A (ko) 광과민제 측정 장치 및 방법
JP4637327B2 (ja) 加熱治療装置
CN115518301A (zh) 一种诊断治疗监测一体的光学诊疗平台
CN117396249A (zh) 具有预刺辅助件的光照射系统
JPH0394776A (ja) 体内留置用導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