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963A -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 Google Patents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963A
KR20220102963A KR1020210005543A KR20210005543A KR20220102963A KR 20220102963 A KR20220102963 A KR 20220102963A KR 1020210005543 A KR1020210005543 A KR 1020210005543A KR 20210005543 A KR20210005543 A KR 20210005543A KR 20220102963 A KR20220102963 A KR 2022010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ndenser
heat exchanger
condensed wat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규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963A/ko
Publication of KR2022010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에어컨의 일 실시예는, 실외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에 배치되고, 냉매를 기화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고,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배관, 및 응축수배관에 배치되고 응축수를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이송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냉매를 응축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응축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트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CONDENSER AND AIR CONDITIONER INCLUD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이상(two phase)유동하는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열역학적 냉동사이클을 이룰 수 있다.
냉매는 실내에 설치되는 증발기에서 잠열을 흡수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냉각하고, 이에 따라 에어컨은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컨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특히, 실외에 설치되는 응축기에서 냉매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난다면, 에어컨의 에너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01-0025703(이하 "선행기술")에는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는 응축수를 응축기에서 분산시키는 구체적인 구조가 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응축수를 응축기에 분산시키는 구체적인 구조를 가진 에어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액화되어 생성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효과적으로 응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에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에 물방울 상태로 떨어트리는 구조를 가진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에 유입된 응축수를 응축기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에 고르게 적하하는 구조를 가진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에어컨의 일 실시예는, 응축수배관과 보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배관은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고,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이동할 수 있다. 보조펌프는 응축수배관에 배치되고 응축수를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이송할 수 있다.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응축수배관을 통해 응축기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보조펌프가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다. 보조펌프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양에 따라 단속적으로 작동하여 응축수를 응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
응축기에 유입되는 응축수는 응축기 외부의 표면에 중력에 의해 적하되어, 제1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실외의 공기와 함께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잠열을 흡수할 수 있다.
드레인장치는 상부트레이, 하부트레이 및 적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트레이는 응축수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배관과 상부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부트레이의 일측에서 웅축수배관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는 응축수 배관과 연결되기 위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트레이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유입구를 통해 상부트레이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상부트레이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부트레이에 저장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트레이는 상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상부트레이와 연통할 수 있다.
하부트레이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상부트레이로부터 하부트레이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하부트레이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에 저장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적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부트레이는 열교환기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트레이는 열교환기를 상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보이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교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응축기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 쌍의 열교환기 각각에 응축수를 적하하기 위해, 하부트레이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하부트레이는 한 쌍의 열교환기 각각에 응축기의 상하방향으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하부는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열교환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하부트레이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열교환기에 떨어트릴 수 있다.
적하부는 길이방향이 하부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그 길이가 하부트레이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트레이에서 떨어지는 응축수 모두 적하부에 떨어질 수 있다.
적하부는 제1셀, 제2셀, 제3셀 및 요철부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셀, 제2셀, 제3셀 및 요철부는 단면으로 보아 얇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셀은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제1셀은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결합하는 결합부위와 결합부위로부터 절곡되어 응축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위의 단부에서 제2셀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셀은 제1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응축기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는 하부트레이로부터 제2셀의 상면에 떨어질 수 있다.
제3셀은 제2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응축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셀은 제2셀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셀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제3셀을 따라 흘러 요철부에 도달할 수 있다.
요철부는 제3셀의 하단에 구비되고, 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는 제2셀의 상측 표면에 낙하하여 흘러내려 제3셀의 외측 표면을 거쳐 요철부의 하단에 모여 물방울로 성장하여 열교환기의 상단에 적하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하부트레이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하부트레이에 유입된 응축수가 적하부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셀, 제3셀 및 요철부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셀, 제3셀 및 요철부 각각은 제1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에어컨의 일 실시예는, 실외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에 배치되고, 냉매를 기화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고,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배관, 및 응축수배관에 배치되고 응축수를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이송하는 보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냉매를 응축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응축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트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에서, 증발기에서 잠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에서 냉매의 잠열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에어컨의 냉방능력(cooling capacity)을 늘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에서, 하부트레이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열교환기 각각에 대하여 열교환기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트레이장치가 구비되고, 트레이장치에서 응축수를 적하하여 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잠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에서, 적하부는 하부트레이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그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하여, 그 길이방향이 적하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에 응축수가 열교환기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떨어지게 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에 대한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2이하에서는 외부를 감싸고 있는 패널을 생략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은 상(phase)변화 과정을 겪으면 계통을 순환하는 냉매를 사용하여 실내를 냉각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은 냉매가 순환하는 계통의 측면에서 보면, 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및 증발기(400)를 포합할 수 있다. 냉매가 상기 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및 증발기(400)를 순환하기 위해, 에어컨에는 이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냉매는 기상, 또는 건도(quality)가 높은 액상과 기상이 혼합된 포화상태에서 압축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100)를 통과하면서 압축되어 고온 및 고압의 과열(super heated)증기가 되어 상기 압축기(100)를 빠져나와 응축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200)는 실외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200)로 유입된 과열증기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응축 및 냉각될 수 있다. 냉매는 응축기(200)에서 응축되어 건도가 낮은 포화상태, 또는 액상인 과냉(super cooled)상태로 상기 응축기(200)를 빠져나올 수 있다. 즉, 냉매는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변화하는데 소비되어야 할 잠열을 실외의 공기로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200)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외부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둘러싸는 다수의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튜브와 냉각핀에 의해 외부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되면서 상변화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액화될 수 있고, 또한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응축기(200)에서 더욱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상기 응축기(200)와 인접한 위치에 제1팬(20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팬(201)의 작동에 의해 실외의 공기는 강제유동하여 상기 응축기(200)의 튜브와 냉각핀에 부딪히면서 응축기(200)를 유동하는 냉매는 더욱 효과적으로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때, 압축기(100), 응축기(200) 및 제1팬(201)은 에어컨의 실외기에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200)를 빠져나온 냉매는 팽창밸브(3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팽창밸브(300)와 증발기(400)는 에어컨의 실내기(1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에어컨은 상기 팽창밸브(300) 대신 냉매를 팽창시키는 모세관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300)를 통과하면서 팽창하면서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건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이때 팽창밸브(300)에서 상기 냉매는 대체로 단열팽창(adiabatic expansion)할 수 있다.
팽창밸브(300)를 빠져나온 저온상태의 냉매는 증발기(400)로 유입되고, 증발기(400)에서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는 잠열을 흡수하여 건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실내에서는 냉매가 잠열을 흡수함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가 냉각될 수 있다.
증발기(400)는 상기 응축기(200)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에 배치되고, 냉매를 기화할 수 있다. 증발기(400)와 응축기(200)는 냉매배관(20)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400)와 응축기(200)를 연결하는 냉매배관(20)에 팽창밸브(3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매가 잠열을 흡수함으로써 냉매는 기화되면서 건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응축기(20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열교환기(21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응축기(200)와 유사하게, 열교환기(210)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둘러싸는 다수의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증발기(400)를 통과하면서 튜브와 냉각핀에 의해 외부와 열교환을 하여 실내의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열을 잠열 즉, 냉매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화하는 상변화에 필요한 열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냉매는 증발기(400)를 통과하면서 잠열을 흡수할 수 있다.
열교환기(210)에서 더욱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210)와 인접한 위치에 제2팬(40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팬(401)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강제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210)의 튜브와 냉각핀에 부딪히면서 열교환기(210)를 유동하는 냉매는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제1팬(201)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실내의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실내를 순환하면서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는 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및 증발기(400)를 통과하면서 상변화 과정을 거치는 열역학적 냉동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동사이클은 이상(two phase)유동 사이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400)의 열교환기(210)에서는 열교환으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210)의 표면에 접촉한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는 액화 즉,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210)의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증발기(400)에서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액화되어 생성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를 효과적으로 응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은 응축수배관(500)과 보조펌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배관(500)은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증발기(400)를 연결하고, 상기 증발기(4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이동할 수 있다. 보조펌프(600)는 상기 응축수배관(500)에 배치되고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400)에서 상기 응축기(200)로 이송할 수 있다.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응축수배관(500)을 통해 응축기(200)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보조펌프(600)가 상기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다. 상기 보조펌프(600)는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양에 따라 단속적으로 작동하여 응축수를 응축기(200)로 이동할 수 있다.
응축기(200)에 유입되는 응축수는 응축기(200) 외부의 표면에 중력에 의해 적하되어, 제1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실외의 공기와 함께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잠열을 흡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증발기(400)에서 잠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200)에서 냉매의 잠열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에어컨의 냉방능력(cooling capacity)을 늘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응축기(200)에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200)에 적하, 즉 물방울 상태로 떨어트리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응축기(20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응축기(200)에 중력에 의해 적하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2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2이하에서는 외부를 감싸고 있는 패널을 생략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20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10)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200)는 트레이장치(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장치(220)는 상기 열교환기(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20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210)에 떨어트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트레이장치(220)는 열교환기(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210)의 상단과 응축기(200)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는 상기 트레이장치(220)에서 적하 즉, 물방울 상태로 중력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210)로 떨어질 수 있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열교환기(210)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10)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감싸는 냉각핀, 상기 튜브와 냉각핀을 수용하고 열교환기(210)의 외형을 형성하는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패널로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210)의 외형이 도시되었다.
열교환기(210)에 적하된 응축수는 열교환기(210)의 표면으로 상기 열교환기(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중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열교환기(210)의 표면을 이동하는 응축수의 일부는 냉매의 잠열을 흡수하면서 기화될 수 있고, 나머지는 액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열교환기(210) 하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열교환기(210)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응축수를 실외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실외기에는 상기 응축수를 모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드레인장치는 상부트레이(221), 하부트레이(222) 및 적하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트레이(221)는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트레이(221)는 상기 응축수배관(500)이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배관(500)과 상부트레이(221)를 연결하기 위해, 상부트레이(221)의 일측에서 상기 웅축수배관과 연통되는 유입구(2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1)는 응축수 배관과 연결되기 위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트레이(221)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유입구(2211)를 통해 상부트레이(221)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상기 상부트레이(221)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부트레이(221)에 저장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트레이(222)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트레이(222)는 상기 상부트레이(2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트레이(221)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트레이(221)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상부트레이(221)로부터 하부트레이(222)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상기 하부트레이(2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222)에 저장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적하부(223)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210)는 설정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210)는 응축기(200)의 상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설정된 폭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트레이(222)는 상기 열교환기(210)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트레이(222)는 열교환기(210)를 상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보이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200)의 상부에서 바라볼 경우, 하부트레이(222)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그 폭이 상기 열교환기(210)의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트레이(222)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는 열교환기(210)의 상단에서 상기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상기 열교환기(210)의 표면에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2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응축기(200)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 쌍의 열교환기(210) 각각에 응축수를 적하하기 위해, 상기 하부트레이(22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하부트레이(222)는 한 쌍의 상기 열교환기(210) 각각에 응축기(200)의 상하방향으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222)는 하나의 상부트레이(221)의 하부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하부트레이(222)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열교환기(210) 각각에 응축수를 적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적하부(223)는 하나의 하부트레이(222)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하부트레이(222)에 대응하여 총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적하부(223)는 하나의 하부트레이(222)에 2개씩, 한 쌍의 하부트레이(222)에 총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부트레이(222)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열교환기(21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열교환기(2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트레이장치(220)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장치(220)에서 응축수를 적하하여 열교환기(210)를 유동하는 냉매의 잠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적하부(223)는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열교환기(2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트레이(222)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210)에 떨어트릴 수 있다.
하부트레이(222)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적하부(223)의 표면에 붙을 수 있다. 적하부(223)의 표면에 떨어진 응축수는 상기 적하부(223)의 표면을 따라 중력방향인 상기 적하부(223)의 하부로 흐를 수 있다. 응축수는 적하부(223)의 하단 즉, 요철부(2234)의 하단에서 물방울로 응집되어 그 하부에 있는 열교환기(210)의 상단에 적하될 수 있다.
적하부(223)는 길이방향이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그 길이가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트레이(222)에서 떨어지는 응축수 모두 상기 적하부(223)에 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222)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하부트레이(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적하부(22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하부(223)는 길이방향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하부(223)는 하부트레이(222)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그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하여,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적하부(22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210)에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떨어지게 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기(210)에서의 냉매에 대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펌프(600)는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10)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4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실선 화살표는 보조펌프(600)로부터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보조펌프(600)는 에어컨의 실내기(10)에 구비됨으로써, 보조펌프(600)의 설치를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펌프(600)는 에어컨의 실내기(10)를 설치하는 경우에 함께 설치됨으로써, 보조펌프(6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에어컨 설치작업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보조펌프(600)는 상기 증발기(4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실내기(10)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드레인 라인을 상기 보조펌프(600)에 연결할 수 있다.
실내기(10)에서는 증발기(400)의 표면에 수증기의 상태에서 잠열을 빼앗겨 응축된 응축수가 생성되고, 상기 증발기(40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이러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실내기(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 라인에 상기 보조펌프(6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보조펌프(600)를 실내기(10)에 간편하게 장착하고, 실내기(1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전부 상기 보조펌프(60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트레이장치(220)에 구비되는 적하부(223)의 구조를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장치(220)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2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서 실선 화살표는 보조펌프(600)로부터 배출된 응축수가 응축수배관(500)을 유동하여 상부트레이(221)의 유입구(2211)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22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22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적하부(223)는 제1셀(2231), 제2셀(2232), 제3셀(2233) 및 요철부(223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셀(2231), 제2셀(2232), 제3셀(2233) 및 요철부(2234)는 단면으로 보아 얇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하부(22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적하부(223)는 응축수에 대하여 내부식성이 강한 구리, 스테인레스강 등의 재질로 판금가공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1셀(2231)은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셀(2231)은 하부트레이(222)의 하측에 결합하는 결합부위(2231a)와 상기 결합부위(2231a)로부터 절곡되어 응축기(2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부위(2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위(2231b)의 단부에서 제2셀(2232)이 연결될 수 있다.
적하부(223)는 제1셀(2231)에서 하부트레이(22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제1셀(2231)은 하부트레이(222)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제1셀(2231)은 하부트레이(22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2셀(2232)은 상기 제1셀(22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응축기(200)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는 하부트레이(222)로부터 제2셀(2232)의 상면에 떨어질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셀(2231)의 절곡부위(2231b)에 대하여, 상기 제2셀(2232)은 상기 절곡부위(2231b)와 소정의 예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셀(2232)의 이러한 경사진 구조로 인해, 상기 하부트레이(222)에서 제2셀(2232)로 떨어지는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셀(223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셀(2232)의 하단으로 흐를 수 있다.
제3셀(2233)은 상기 제2셀(223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응축기(2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셀(2233)은 제2셀(2232)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셀(2232)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제3셀(2233)을 따라 흘러 요철부(2234)에 도달할 수 있다.
요철부(2234)는 상기 제3셀(223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적하부(223)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234)는 적하부(223)의 길이방향으로 요부와 홈부가 서로 번갈아가며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3셀(2233)에서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상기 요철부(2234)의 아래로 뾰족한 부분인 각각의 요부에 모이게 되고, 상기 응축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 형태로 성장할 수 있다.
물방울형태로 성장한 응축수는 점점 자라서 중력이 표면장력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요철부(2234)의 하단에서 낙하하여 그 하부에 있는 열교환기(210)에 적하 즉, 물방울 형태로 떨어질 수 있다.
응축수는 제2셀(2232)의 상측 표면에 낙하하여 흘러내려 제3셀(2233)의 외측 표면을 거쳐 상기 요철부(2234)의 하단에 모여 물방울로 성장하여 상기 열교환기(210)의 상단에 적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222)의 하부에는 관통홀(2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1)은 하부트레이(222)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트레이(222)에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적하부(223)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1)은 하부트레이(222)에 저장된 응축수가 낙하하는 속도를 완화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모세관으로 작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221)은 모세관 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폭이 좁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1)은 하부트레이(2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각각의 관통홀(2221)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2221)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셀(22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관통홀(2221)을 통해 적하부(223)에 떨어지는 응축수는 상기 적하부(223)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210)는 상기 적하부(22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210)와 적하부(223)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적하부(223)로부터 적하되는 응축수는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적하되어, 응축수에 의한 냉매에 대한 열교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적하부(223)는 완충부(2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235)는 상기 제3셀(2233)에 부착되고, 상기 제2셀(223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머무를 수 있다.
완충부(2235)는 응축수가 흐르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2235)는 상기 적하부(223)의 제3셀(2233)에서 응축수가 흐르는 상기 제3셀(2233)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235)는 절곡되어 그 폭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완충부(2235)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2235)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3셀(22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셀(2233)에 도달한 응축수는 완충부(2235)에 의해 상기 제3셀(22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2235)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응축수가 열교환기(210)로 적하되는 속도를 줄이고, 응축수의 정숙한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3셀(22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응축수는 완충부(2235)에서 상기 완충부(22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응축수는 완충부(2235)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완충부(2235) 및 상기 제3셀(2233)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셀(2233)에 부착되는 완충부(2235)는 제3셀(2233)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제3셀(2233)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하고, 이에 따라 응축수는 적하부(223)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열교환기(210)에 적하되므로 열교환기(210)에서 냉매에 대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완충부(2235)의 하부에는 요홈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홈부위는 완충부(2235)의 길이방향으로 요부와 홈부가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2235)의 하부에서 응축수는 상기 요홈부위 중 요부에서 물방울로 성장하여 상기 열교환기(210)로 적하될 수 있다.
요홈부위가 형성됨으로 인해, 완충부(2235)에 흘러내린 응축수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요홈부위의 요부에서 물방울로 성장하여 상기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적하될 수 있다.
완충부(2235)의 요홈부위에서 적하되는 응축수는 다시 그 하부에 배치되는 요철부(2234)로 적하될 수 있고, 요철부(2234)에서도 응축수가 물방울로 성장하여 상기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적하될 수 있다.
다만, 완충부(2235)에서 요홈부위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따라서, 완충부(2235)의 하부는 반드시 요홈부위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완충부(2235)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는 요철부(2234)에서 물방울로 성장하여 중력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210)의 상단으로 적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유입구(2211)를 통해 상부트레이(221)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상부트레이(221)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상부트레이(221)에서 그 하부에 구비된 하부트레이(222)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길이방향으로 다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2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응축수는 상기 하부트레이(222)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2221)을 통해 상기 제2셀(2232)의 상면에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관통홀(2221)을 통해 하부트레이(222)를 빠져나가는 응축수는 상기 제2셀(2232)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제2셀(2232)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제3셀(2233)을 거쳐 완충부(2235)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그 길이방향이 제3셀(2233)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완충부(2235)에서, 응축수는 완충부(2235)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완충부(2235)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완충부(2235)의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상기 요철부(2234)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234)는 그 길이방향이 열교환기(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열교환기(210)와 요철부(2234)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응축수는 요철부(2234)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요부의 하단에서 물방울로 성장할 수 있다. 이때, 응축수는 상기 요철부(2234)의 길이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요철부(2234)에서 적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요철부(2234)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적하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길이방향이 요철부(223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210)에서는 그 길이방향으로 응축수가 고르게 분배되어 적하되므로, 상기 열교환기(210)에서 냉매에 대한 열교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셀(2232), 상기 제3셀(2233) 및 상기 요철부(2234)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제2셀(2232), 상기 제3셀(2233) 및 상기 요철부(2234) 각각은 상기 제1셀(223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적하부(223)에서 응축수가 흐르는 구성요소인 제2셀(2232), 상기 제3셀(2233) 및 상기 요철부(2234)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이들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응축수가 흐르는 경로를 증가시켜, 응축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완충부(2235)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완충부(2235) 각각은 한 쌍의 상기 제2셀(2232)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셀(2233)에 부착되는 완충부(2235)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2235)가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응축수가 흐르는 경로를 증가시켜, 응축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하부트레이(2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셀(2232)에 응축수를 떨어트리는 관통홀(2221)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관통홀(2221)은 한 쌍의 제2셀(2232)에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관통홀(2221)은 하부트레이(2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적하부(223)에서, 하부트레이(222)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셀(2231)은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셀(2231)의 결합부위(2231a)는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셀(2231)의 양단에 절곡부위(2231b)각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제1셀(2231)의 절곡부위(2231b)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절곡부위(2231b) 각각에 한 쌍의 제2셀(2232)이 연결되어, 적하부(223)는 전체적으로 절곡부위(2231b), 제2셀(2232), 상기 제3셀(2233), 상기 요철부(2234) 및 상기 요철부(2234)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들 각각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210)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트레이(222)도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절곡부위(2231b), 제2셀(2232), 상기 제3셀(2233), 상기 요철부(2234) 및 상기 요철부(2234)는 응축기(200)에서 각각 총4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장치가 구비된 에어컨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조건인 정격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된 에어컨은 25평의 실내에서 사용된다. 에어컨의 정격 냉방능력은 900W이다. 사용된 에어컨은 실내온도가 19℃~27℃, 실외온도가 24℃~35℃인 온도환경에서 사용된다.
정격조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 유량은 0.1LPM(liter per minute), 상기 응축수 온도는 14℃로 측정되었다.
실험결과


실내: 25평
기존 에어컨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방능력(W) 8950.4 9035.7
소비전력(W) 2445.4 2422.2
EER 3.66 3.73
실험에서, "기존 에어컨"은 트레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어컨에 대한 실험결과값으로 비교예이다. EER(Energy Efficiency Ratio)은 냉방장치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효율을 의미한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기존 에어컨에 비해 트레이장치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이 정격조건에서 냉방능력과 EER이 높아지고, 소비전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사용하여 응축기의 냉매로부터 잠열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기존에 에어컨에 비해 진보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실내기 20: 냉매배관
100: 압축기 200: 응축기
201: 제1팬 210: 열교환기
220: 트레이장치 221: 상부트레이
2211: 유입구 222: 하부트레이
2221: 관통홀 223: 적하부
2231: 제1셀 2231a: 결합부위
2231b: 절곡부위 2232: 제2셀
2233: 제3셀 2234: 요철부
2235: 완충부 300: 팽창밸브
400: 증발기 401: 제2팬
500: 응축수배관 600: 보조펌프

Claims (16)

  1. 실외에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실내에 배치되고, 냉매를 기화하는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고,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배관; 및
    상기 응축수배관에 배치되고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응축기로 이송하는 보조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트레이장치
    를 포함하는,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펌프는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에어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장치는,
    상기 응축수배관이 연결되는 상부트레이;
    상기 상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트레이와 연통하는 하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열교환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적하부
    를 포함하는,
    에어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설정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는,
    에어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열교환기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그 폭이 상기 열교환기의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에어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하부트레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그 길이가 상기 하부트레이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에어컨.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부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부착되는 제1셀;
    상기 제1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셀;
    상기 제2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셀; 및
    상기 제3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부
    를 포함하는,
    에어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하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트레이에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적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에어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부는,
    상기 제3셀에 부착되고, 상기 제2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3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에어컨.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 상기 제3셀 및 상기 요철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셀, 상기 제3셀 및 상기 요철부 각각은 상기 제1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에어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완충부 각각은 한 쌍의 상기 제2셀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에어컨.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는 한 쌍의 상기 열교환기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에어컨.
  15. 냉장고에 구비되는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트레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장치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상부트레이;
    상기 상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트레이와 연통하는 하부트레이; 및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열교환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기에 떨어트리는 적하부
    를 포함하는,
    응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부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측에 부착되는 제1셀;
    상기 제1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셀;
    상기 제2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셀;
    상기 제3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제3셀에 부착되고, 상기 제2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응축기.
KR1020210005543A 2021-01-14 2021-01-14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KR20220102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43A KR20220102963A (ko) 2021-01-14 2021-01-14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43A KR20220102963A (ko) 2021-01-14 2021-01-14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963A true KR20220102963A (ko) 2022-07-21

Family

ID=8261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543A KR20220102963A (ko) 2021-01-14 2021-01-14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2459A (zh) * 2023-09-25 2023-10-31 杭州医维之星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冷凝水潜冷回收装置、系统、制冷设备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2459A (zh) * 2023-09-25 2023-10-31 杭州医维之星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冷凝水潜冷回收装置、系统、制冷设备及控制方法
CN116972459B (zh) * 2023-09-25 2024-01-12 杭州医维之星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冷凝水潜冷回收装置、系统、制冷设备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423A (en) Building exhaust and air conditioner condenstate (and/or other water source) evaporative refrigerant subcool/prec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845702A (en) Serpentine heat pipe and dehumidification application in air conditioning systems
CN107014141B (zh) 一种冷冻冷藏柜性能测试装置用空气处理系统
CN111059802A (zh) 一种冷凝装置和具有其的空调系统
CN104214830A (zh) 室外换热器和空调
US5775114A (en) Figure 8-form thermodynamic cycle air conditioner
US8146373B2 (en) Accessory sub-cooling unit and method of use
CN112944770B (zh) 冰箱及其制冷系统
KR20220102963A (ko)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KR101265114B1 (ko) 공기열원 열펌프 제상용 루프히트파이프
JP2001066017A (ja) 空気調和機
CN102455090A (zh) 一种过冷冷凝器
RU2693946C2 (ru) Стойкий к образованию инея микроканаль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20060129789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CN205119917U (zh) 提高冷凝液对流换热系数的构件及制冷系统、冷暖空调器
CN113701256A (zh) 蒸发冷却装置、室外机和空调系统
KR20100085804A (ko) 분리형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방 장치
EP2431685B1 (en) Air conditioner
CN212179051U (zh) 空调器
JP2006242394A (ja) 空気調和装置の熱源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0518842B1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CN215982922U (zh) 蒸发冷却装置、室外机和空调系统
CN219934756U (zh) 一种换热器和烘干机
CN219696907U (zh) 冷却装置及激光设备
CN219934755U (zh) 一种双系统换热器和烘干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