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817A -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817A
KR20220102817A KR1020210005200A KR20210005200A KR20220102817A KR 20220102817 A KR20220102817 A KR 20220102817A KR 1020210005200 A KR1020210005200 A KR 1020210005200A KR 20210005200 A KR20210005200 A KR 20210005200A KR 20220102817 A KR20220102817 A KR 2022010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
charging
discharge
schedule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성
공준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817A/ko
Publication of KR2022010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충전 스케줄링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상기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방전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NERGY STORAGE SYSTEM}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에너지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장치를 운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PV; Photovoltaic)과 연계된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PV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였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계통에 공급한다. 때문에, PV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부각되고 있다.
더구나, 일부 국가에서는 재생에너지 인증(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제도를 통해 PV에 대한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제안하고 있으며, PV와 ESS를 연계하여 운전할 경우 REC 가중치를 추가로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ESS는 높은 초기투자비용을 필요로 하며, 현재 REC 제도 하의 REC 가격도 하향 추세에 있기 때문에 ESS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기 설정된 시간에 일괄 충전 또는 방전을 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스케줄링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3722호 (2020.09.02. 등록)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에너지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장치 운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충전 스케줄링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상기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방전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은,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상기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생성함으로써, 단순히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을 정하여 일괄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하는 운영 방식에 비해 에너지저장장치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충전 스케줄링부(110) 및 방전 스케줄링부(120)를 포함한다.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은 10시부터 16시까지로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1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각 시간대별 SMP에 따라 부여된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시간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SMP 97.9 97.9 97.0 96.8 97.7 98.3
순위 4 5 2 1 3 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13시부터 14시까지의 SMP가 가장 낮으므로 해당 시간대의 충전 순위가 1번째가 되며, 반대로 15시부터 16시까지의 SMP가 가장 높으므로 해당 시간대의 충전 순위가 6번째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0시부터 11시까지와 11시부터 12시까지에서처럼 두 시간대의 SMP가 서로 동일한 경우, 앞선 시간대의 충전 순위가 높게 부여됨을 알 수 있다.구체적으로,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누적 충전량에 기초하여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최종 순위를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ESS의 누적 충전량 산정을 위해 충전 시간대별 가용 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의 충전 우선 순위가 부여된 이후, 각 시간대별 태양광발전(PV; Photovoltaic) 예측량, ESS의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version System) 용량 및 ESS의 충전 효율에 기초하여 충전 시간대별 가용 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충전 시간대별 가용 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는 충전 시간대 t 별 ESS의 가용 충전량,
Figure pat00003
는 충전 시간대 t 별 PV 예측량, PCS는 ESS의 PCS 용량,
Figure pat00004
는 ESS의 충전 효율을 나타낸다.
즉,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각 충전 시간대별 ESS의 가용 충전량을 산정하여 ESS의 충전 우선 순위가 높은 시간대부터 산정된 가용 충전량을 합산함으로써, 원하는 최종 순위까지의 누적 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ESS의 설치 용량에서 현재 ESS에 충전된 전력량을 감산함으로써,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5
이때,
Figure pat00006
는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Figure pat00007
은 ESS의 설치 용량,
Figure pat00008
는 현재 ESS에 충전된 전력량을 나타낸다.
이를 종합하면, 충전 스케줄링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3을 최초로 만족하는 N 값을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이때,
Figure pat00010
는 Rank 값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가 부여된 시간대에서의 ESS의 가용 충전량을 나타낸다.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2는 16시부터 다음날 10시까지로 설정된 방전 시간대에서 1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각 시간대별 SMP에 따라 부여된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시간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SMP 102.6 102.5 103.8 103.7 103.4 103.2
순위 7 8 1 2 3 4
시간 22:00 23:00 00:00 01:00 02:00 03:00
SMP 98.2 101.3 101.3 101.3 101.6 101.6
순위 18 12 13 14 9 10
시간 04:00 05:00 06:00 07:00 08:00 09:00
SMP 102.9 102.9 101.4 100.4 99.0 99.3
순위 5 6 11 15 17 1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18시부터 19시까지의 SMP가 가장 높으므로 해당 시간대의 방전 순위가 1번째가 되며, 반대로 22시부터 23시까지의 SMP가 가장 낮으므로 해당 시간대의 방전 순위가 18번째가 됨을 알 수 있다.구체적으로,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누적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최종 순위를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ESS의 현재 충전량은 곧 ESS의 방전 가능한 용량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ESS의 PCS 용량과 상술한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에 따라 누적 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 ESS의 누적 방전량을 산정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1
이때, N은 ESS의 방전 스케줄을 구성하는 시간대의 수를 나타낸다.
이를 종합하면,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5를 최초로 만족하는 N 값을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12
이때,
Figure pat00013
는 ESS의 방전 가능한 용량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구성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충전 스케줄링부(110) 및 방전 스케줄링부(120)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210).
이후,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22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310).
이후,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한다(320).
이후,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최종 순위를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33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410).
이후,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한다(420).
이후,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는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최종 순위를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한다(430).
상기 도시된 흐름도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1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110: 충전 스케줄링부
120: 방전 스케줄링부

Claims (14)

  1.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충전 스케줄링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상기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방전 스케줄링부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링부는,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8.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에서, 단위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시간대 외에서, 상기 단위 시간대별 SMP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MP가 낮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충전 가능한 잔여 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12.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MP가 높은 시간대 순으로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ESS를 방전할 시 예상되는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최종 순위를 변수로 하여 상기 누적 방전량을 산정하고, 상기 누적 방전량이 최초로 상기 ESS의 현재 충전량 이상이 되는 경우의 상기 최종 순위를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의 확정된 최종 순위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ESS의 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방법.
KR1020210005200A 2021-01-14 2021-01-14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220102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00A KR20220102817A (ko) 2021-01-14 2021-01-14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00A KR20220102817A (ko) 2021-01-14 2021-01-14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17A true KR20220102817A (ko) 2022-07-21

Family

ID=826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200A KR20220102817A (ko) 2021-01-14 2021-01-14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8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190B1 (ko) * 2022-11-30 2023-07-04 식스티헤르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방전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22B1 (ko)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시너지 Pv 발전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22B1 (ko)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시너지 Pv 발전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190B1 (ko) * 2022-11-30 2023-07-04 식스티헤르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방전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Multi-objective scheduling of scientific workflows in multisite clouds
Cong et al. Developing user perceived value based pricing models for cloud markets
US20180046505A1 (en) Parallel processing apparatus and job management method
US20210224713A1 (en) Combining batch and queueable technologies in a platform for large volume parallel processing
US9665346B2 (en)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using both large and small floating point values
US201802105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eterogeneous Frequency Operation and Scheduling Task of Heterogeneous Frequency CPU
US10685160B2 (en) Large cluster persistence during placement optimization of integrated circuit designs
US20120216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Supply Efficiency
US201800885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grid dynamic regulation pools
US9146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backplane time synchronization
US20210208952A1 (en) Implementing workloads in a multicloud environment
Seyoum et al. Flora: Floorplan optimizer for reconfigurable areas in fpgas
KR20220102817A (ko)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Zhou et al. Mocha: Multinode cost optimization in heterogeneous clouds with accelerators
Qureshi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ource allocation schemes for real-time services in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s
CN112990952A (zh) 云计算计量计费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Różycki et al. Solving a power-aware scheduling problem by grouping jobs with the same processing characteristic
CN111782210A (zh) 页面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825425A (zh) 配置数据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Sidiropoulos et al. Jitpr: A framework for supporting fast application's implementation onto fpgas
Zhu et al. Gas cooling in hydrodynamic simulations with an exact time integration scheme
CN107292142B (zh) 业务操作处理方法、业务操作处理装置及业务终端
JP6869313B2 (ja) ユーザ行動に基づくサービスディスパッ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561131B1 (en) Allocating products to licenses on a computing device
KR20220036493A (ko) 뉴럴 네트워크 추론을 위한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