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290A -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 Google Patents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290A
KR20220102290A KR1020210004477A KR20210004477A KR20220102290A KR 20220102290 A KR20220102290 A KR 20220102290A KR 1020210004477 A KR1020210004477 A KR 1020210004477A KR 20210004477 A KR20210004477 A KR 20210004477A KR 20220102290 A KR20220102290 A KR 2022010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center
area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825B1 (en
Inventor
김솔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25B1/en
Publication of KR2022010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footprint-ground contacting area of the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even wear-improving tire through control of a contact area for each tread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technology improving wear resistance of a tire by reducing uneven wear occurring in a high-performance tire. The uneven wear-improving tir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act area for each trea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er unit, as a central portion of a tread, in which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is uniformly formed; and a shoulder unit, as both side portions of the center unit in the tread, gradually decreasing 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tire from the center unit. A ratio of the contact area of the shoulder unit to the contact area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is equal to or more than 5 % and equal to or less than 30 %.

Description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Tires with improved uneven wear by controlling the tread area by tread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본 발명은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성능 타이어에 발생되는 편마모 현상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for improving uneven wear by controlling the tread area for each tr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of the tire by reducing the uneven wear phenomenon occurring in a high-performance tire.

최근 전기차의 상용화로 인하여 고출력 및 고하중의 차량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타이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고출력 및 고하중의 차량에 설치되는 타이어는 내마모 성능이 불리하게 작용되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 recent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the demand for tires that can be used in high-output and high-load vehicle conditions is increasing. However, the tire installed in the vehicle of high output and high loa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is adversely applied.

그리고, 전기차와 같은 고성능 차량용으로는 별도의 고성능 타이어가 이용되며, 이와 같은 고성능 타이어는, 노면에 대한 타이어의 접지 형상이 라운드 타입(Round type)을 구비하여, 내마모 성능에 불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high-performance tire is used for a high-performance vehic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nd the high-performance tire has a round type in which the tire is grounded on the road surface,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wear resistance performance.

종래기술에서는, 2차원 트레드(Tread)의 패턴(Pattern)형상을 기준으로 부위별로 전체 면적 대비 그루브(Groove)의 비중을 인자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편마모(센터부 조기마모 혹은 숄더부 조기마모)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나, 2차원의 한계점에 의해 다양한 타이어 설계 인자가 고려되지 않았다. 타이어의 접지형상이 스퀘어 타입(Square type)인 타이어와 라운드 타입(Round type)인 타이어 간에 그 영향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ior ar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groove relative to the total area for each part was derived as a factor based on the pattern shape of the two-dimensional tread. Through this, the tendency of uneven wear (early wear on the center part or early wear on the shoulder part) was analyzed, but various tire design factors were not considered due to the two-dimensional limit.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a tire having a square type tire and a round type tire having a ground shape of the ti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0000214호(발명의 명칭: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타이어의 트레드)에서는, 타이어의 트레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패턴을 구성하는 숄더부의 NG%/센터부의 NG%가 1.00∼1.40의 범위에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9-0000214 (Title of the Invention: Tread of a tire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in composing the tread of the tire, NG% of the shoulder part constituting the pattern of the tread / NG% of the center part Disclosed is a tread of a t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 the range of 1.00 to 1.4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000021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99-00002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성능 타이어에 발생되는 편마모 현상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wear resistance of the tire by reducing the uneven wear phenomenon occurring in the high-performance ti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레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중앙 부위로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센터부; 및 상기 트레드에서 상기 센터부의 양 측 부위로써, 상기 센터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숄더부;를 포함하고, 노면에 대한 상기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상기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은 5%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re including a tread, comprising: a center portion having a constant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as a central portion of the tread; and shoulder portions in which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tire from the center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in the tread. The ratio of the contact area of the should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5% or more and less than 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Roundness는 40 이상 80 미만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ndness of the ground shape of the tread may be 40 or more and less than 8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윤곽선은 곡선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our of the ground shape of the tread may have a curved li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면적은, 상기 타이어의 주행 중 상기 트레드와 노면의 접촉 면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of the tread may be a contact area between the tread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tire is runn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부의 마모량(%)과 상기 숄더부의 마모량(%)의 차이는, 0 내지 10%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ar amount (%) of the center part and the wear amount (%) of the shoulder part may be 0 to 10%.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트레드의 센터부와 숄더부의 접지 면적 등을 조절함으로써, 각 부위의 접선 방향 속도를 제어하여,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량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편마모를 감소시켜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o control the tangential speed of each part by adjusting the contact area of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of the tread,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thereby reducing uneven wear This means that the wear resistance of the tir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설계 인자 별 속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의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량 분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mage of a ground shape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of the speed for each design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images of a ground shape of each tire.
6 to 8 are graphs for analyzing the wear amount of the tir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에서 1번은 센터부를 지시하고 2번은 숄더부를 지시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mage of a grounding shape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No. 1 may indicate a center portion and No. 2 may indicate a shoulder portion.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는, 트레드의 중앙 부위로서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센터부; 및 트레드에서 센터부의 양 측 부위로써, 센터부로부터 타이어의 외측 방향으로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숄더부;를 포함한다. 1 and 2 ,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read includes a center portion having a constant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as a center portion of the tread; and shoulder portions in which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tire from the center portion as side portions of the center portion in the tread.

여기서, 트레드의 접지 면적은, 타이어의 주행 중 트레드와 노면의 접촉 면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터부의 접지 면적은 타이어의 주행 중 센터부와 노면의 접촉 면적이고, 숄더부의 접지 면적은 타이어의 주행 중 숄더부와 노면의 접촉 면적일 수 있다.Here, the tread contact area may be a contact area between the tread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tire is running. Similarly, the contact area of the center part may be a contact area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tire is running, and the contact area of the shoulder part may be a contact area between the shoulder part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tire is running.

그리고, 본 발명의 타이어의 접지 형상은 라운드 타입(Round type)일 수 있다. 라운드 타입(Round type)이라는 것은,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윤곽선이 곡선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ound shap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und type. The round type means that the contour of the ground shape of the tread may have a curved line.

본 발명의 타이어의 접지 형상이 상기와 같은 라운드 타입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행 시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량 차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일 수 있다.Since the ground shap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nd typ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of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increases during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

타이어의 주행(Rolling) 시, 노면에 대한 트레더의 접지면에 있어서, 센터부 중심의 회전 반경과 숄더부 중심의 회전 반경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센터부의 중심에서의 노면에 대한 접선 방향 속도(V1)와 숄더부의 중심에서의 노면에 대한 접선 방향 속도(V2)는 상이할 수 있다.At the time of rolling of the tire, in the trea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since the turning radius of the center of the center part and the turning radius of the center of the shoulder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angential speed ( V1) and the tangential velocity V2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shoulder portion may be different.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접선 방향 속도가 상이하여, 타이어 주행 시 센터부에서는 미끄러짐(Slip)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으로 숄더부 보다 센터부의 마모가 더 촉진되므로,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V1)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V2)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타이어의 마모 성능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pective tangential velocities are different, slip may occur in the center portion during tire driving, and wear of the center portion is more accelerated than the shoulder portion due to this phenomenon, so the tangential speed V1 of the center portion and Reducing the difference in the tangential velocity V2 of the shoulder portion may be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wear performance of the ti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설계 인자 별 속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세로축은 접선 방향 속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각각의 설계 인자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enter는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이고 shoulder는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이다. 3 is a graph of a speed for each design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 the vertical axis may indicate tangential velocity, and the horizontal axis may indicate each design factor. Here, center is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center part and shoulder is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shoulder part.

또한, 평형속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 Land/Sea Ratio를 제어하고 타이어 주행 시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경우,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이 때의 평형속도1은 Va1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quilibrium speed 1 is the tangential speed of the center part when the tangential speed of the center part and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shoulder part are in equilibrium when the tire land/sea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center part and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shoulder part are balanc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shoulder portion. At this time, the equilibrium velocity 1 may be Va1.

그리고, 평형속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 Land/Sea Ratio를 제어하지 않고 타이어 주행 시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경우,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이 때의 평형속도1은 Va2일 수 있다.And, the equilibrium speed 2 is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center when the tangential speed of the center part and the tangential speed of the shoulder part are balanced when the tire is running without controlling the tire land/sea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velocity and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shoulder. At this time, the equilibrium velocity 1 may be Va2.

상기에서 Land/Sea Ratio는 트레드에서 그루브와 같은 홈이 파인 면적과 그 이외의 면적의 비율이다. 이하, 동일하다.In the above, the Land/Sea Ratio is the ratio of the area where a groove such as a groove is formed in the tread and the area other than that. Hereinafter, it is the sam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터부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 사이에 평형을 이루는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부의 접지력(Adhesion force)과 숄더부의 접지력의 차이에 의해서, 타이어 주행 시 상기와 같은 평형을 이루는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간은 타이어 주행 시 소정의 속도 구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re may be an equilibrium section between the tangential velocity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In addition, the section in which the tire is balanc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hanged when the tire is drive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s adhesion force and the shoulder portion's grip force. Here, the section may be a predetermined speed section during tire driving.

다만, 타이어를 형성하는 고무의 특성에 의해 접지력(Adhesion force)는 접촉 면적에 기인하므로, 센터부의 접지력(Adhesion force)과 숄더부의 접지력의 차이는 센터부의 접지 면적과 숄더부의 접지 면적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센터부 또는 숄더부의 Land/Sea Ratio를 조절하여 센터부의 접지력(Adhesion force)과 숄더부의 접지력의 차이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편마모를 방지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adhesion force is due to the contact are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bber forming the ti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art's adhesion force and the shoulder part's traction force is realized by adjusting the center part's contact area and the shoulder's contact area. can be That is, by adjusting the Land/Sea Ratio of the center part or the shoulder pa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art's adhesion force and the shoulder part's traction force can be realized.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효과의 구현을 위해, 노면에 대한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은 5% 이상 30%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이 5%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타이어의 접지 형상이 라운드 타입(Round type)으로 형성되지 않아 본 발명의 타이어의 핸들링 성능 등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이 30% 이상인 경우, 상기와 같은 센터부의 접선 방향 속도와 숄더부의 접선 방향 속도 차이가 증가하게 되어 센터부의 조기 마모 경향이 증가하므로, 본 발명의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effect, the ratio of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portion to the tread area of the tread on the road surface may be 5% or more and less than 30%. Here, when the ratio of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to the tread area is less than 5%, the tread shap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in a round type, so that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crease. . In addition, when the ratio of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to the tread area of the tread is 30% or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ngential speed of the center and the tangential speed of the shoulder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endency of early wear of the center increases. The wear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ire may be reduced.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Roundness는 40 이상 80 미만이고, Roundness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The roundness of the ground shape of the tread is 40 or more and less than 80, and the roundness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식][Equation]

Roundness = AT/(Wmax X Lmax) X100Roundness = A T /(W max XL max ) X100

여기서, AT는 트레드의 접지 면적이고, Wmax는 트레드의 접지 형상에서 최대 폭이며, Lmax는 트레드의 접지 형상에서 최대 길이이다.where A T is the tread area of the tread, W max is the maximum width in the tread shape of the tread, and L max is the maximum length in the tread shape of the tread.

Roundness가 40 미만이면, Roundness가 과소하게 되어 타이어의 핸들링 등의 성능은 향상되는 반면, 센터부의 조기 마모가 심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Roundness가 80 이상이면, 타이어의 특성 상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 차이가 적어 상기와 같은 센터부와 숄더부의 접지 면적 제어의 필요성이 감소할 수 있다.If the roundness is less than 40, the roundness is too small and the performance such as handling of the tire is improved, but a phenomenon that early wear of the center part is deepened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roundness is 80 or more, the wear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is sm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re, so that the need for controll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reduced.

상기와 같은 타이어 설계가 수행되는 경우, 센터부의 마모량(%)과 숄더부의 마모량(%)의 차이는, 0 내지 1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타이어의 편마모가 감소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내마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tire desig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ar amount (%) of the center part and the wear amount (%) of the shoulder part may be 0 to 10%. Accordingly, uneven abrasion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duced, and the wear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roved.

도 4와 도 5는 각각의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의 (a), (b) (c) 각각에는, 상기된 본 발명의 타이어와 같이 센터부와 숄더부에 대한 접촉 면적 조절이 각각 수행된 제1-1타이어 내지 제3-1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가 개시되어 있다.4 and 5 are images of a ground shape of each tire. In each of (a), (b) and (c) of FIG. 4 , the contact area of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is adjusted, respectively, as i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s 1-1 to 3-1 are shown. An image of a ground shape is disclosed.

그리고, 도 5의 (a), (b) (c) 각각에는, 상기된 본 발명의 타이어와 같이 센터부와 숄더부에 대한 접촉 면적 조절이 수행되지 않은 제1-2타이어 내지 제3-2 타이어의 접지 형상에 대한 이미지가 개시되어 있다.And, in each of (a), (b) (c) of FIG. 5 , the first to second tires to which the contact area adjustment for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is not performed as i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image of the tread shape of a tire is disclosed.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 분석에 있어서, 제1-1타이어에서는 해당 비율이 28.4%로 측정되고, 제2-1타이어에서는 해당 비율이 28.9%로 측정되며, 제3-1타이어에서는 27.8%로 측정되었다.In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to the tread area, the corresponding ratio was measured to be 28.4% in the 1-1 tire, the corresponding ratio was measured to be 28.9% in the 2-1 tire, and the 3-1 tire was measured to be 27.8%.

그리고, 제1-2타이어에서는 해당 비율이 33.7%로 측정되고, 제2-2 타이어에서는 해당 비율이 37.2%로 측정되며, 제3-2타이어에서는 45.6%로 측정되었다. And, the corresponding ratio was measured to be 33.7% in the 1-2 tire, 37.2% in the 2-2 tire, and 45.6% in the 3-2 tire.

여기서, 각각의 타이어에는 동일한 중량이 제공되고 각각의 타이어가 회전 시 각각의 타이어에 대한 접지 형상 및 면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1-1타이어와 제1-2타이어는 트레드 패턴 조절 여부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한 타이어이고, 제2-1타이어와 제2-2타이어는 트레드 패턴 조절 여부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한 타이어이며, 제3-1타이어와 제3-2타이어는 트레드 패턴 조절 여부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한 타이어이다.Here, the same weight was provided to each tire, and the ground shape and area for each tire were analyzed when each tire rotates. And, the 1-1 tire and the 1-2 tire are the same tires except whether the tread pattern is adjusted or not, and the 2-1 tire and the 2-2 tire are the same tires except for whether the tread pattern is adjusted or not, Tires 3-1 and 3-2 differ only in whether the tread pattern is adjusted and the rest are the same tires.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량 분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의 각각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트레드의 그루브 깊이(mm)에 대한 것이고, 가로축은 트레드의 그루브 각각의 위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트레드 상 타이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Out sho.(Out shoulder), 1G, 2G, 3G, 4G 및 in sho.(In shoulder) 각각의 위치가 확정될 수 있으며, 세로축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의 트레드의 그루브 깊이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And, FIGS. 6 to 8 are graphs for analyzing the wear amount of the tir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n each of the graphs of FIGS. 6 to 8 , the vertical axis is for the groove depth (mm) of the tread, and the horizontal axis is for the position of each groove of the tread. Specifically, each position of Out sho. (Out shoulder), 1G, 2G, 3G, 4G, and in sho. (In shoulder) on the tread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ire can be determined, and at each position by the longitudinal axis may indicate the change in the groove depth of the tread.

도 6의 (a) 그래프는 제1-1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The graph of FIG. 6 (a) shows the groove depth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1-1 tire is rotated, a graph is a graph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0Km, and b graph is a graph for a mileage of 5,000 km, and graph c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0,000 km.

그리고, 도 6의 (b) 그래프는 제1-2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And, the graph of FIG. 6 (b) shows the depth of the groove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first and second tires are rotated, and the graph a is a graph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0Km, Graph b is a graph for a mileage of 5,000 km, and graph c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0,000 km.

도 7의 (a) 그래프는 제2-1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277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76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7(a) graph shows the groove depth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2-1 tire is rotated, a graph is a graph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0Km, b graph is a graph for a mileage of 5,277Km, and graph c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0,076Km.

그리고, 도 7의 (b) 그래프는 제2-2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277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76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And, the graph of FIG. 7 (b) shows the depth of the groove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2-2 tire is rotated, and the graph a is a graph when the driving distance is 0Km, Graph b is a graph with a driving distance of 5,277Km, and graph c is a graph with a driving distance of 10,076Km.

도 8의 (a) 그래프는 제3-1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d그래프는 주행거리 1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e그래프는 주행거리 2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The graph of FIG. 8 (a) shows the depth of the groove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3-1 tire is rotated, a graph is a graph in the case of a driving distance of 0Km, and a graph b is a graph for a mileage of 5,000 km, graph c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0,000 km, graph d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5,000 km, and graph e is a graph for a mileage of 20,000 km.

도 8의 (b) 그래프는 제3-2타이어를 회전 시키는 경우, 각각의 주행거리에 따라 트레드 상 각각의 위치에서의 그루브 깊이를 나타내며, a그래프는 주행거리 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b그래프는 주행거리 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c그래프는 주행거리 1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d그래프는 주행거리 15,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며, e그래프는 주행거리 20,000Km인 경우의 그래프이다.The graph of FIG. 8 (b) shows the groove depth at each position on the tread according to each driving distance when the 3-2 tire is rotated. is a graph for a mileage of 5,000 km, graph c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0,000 km, graph d is a graph for a mileage of 15,000 km, and graph e is a graph for a mileage of 20,000 km.

상기와 같은 회전 시, 제1-1타이어에서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량 차이(센터부의 마모량(%)-숄더부의 마모량(%))인 마모량 차이는 0%이고, 제1-2타이어에서 마모량 차이는 -8%이다.In the above rotation, the wear difference, which is the difference in the wear amount of the center part and the shoulder part (the wear amount of the center part (%) - the wear amount of the shoulder part (%)) in the 1-1 tire, is 0%, and the wear difference in the 1-2 tire is -8%.

또한, 제2-1타이어에서의 마모량 차이는 -3%이고, 제2-2타이어에서의 마모량 차이는 -11%이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in the 2-1 tire is -3%,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in the tire 2-2 is -11%.

그리고, 제3-1타이어에서의 마모량 차이는 -5%이고, 제3-2타이어에서의 마모량 차이는 -12%이다.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in the 3-1 tire is -5%,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in the 3-2 tire is -12%.

도 6 내지 도 8 및 각각의 도면에 관련된 상기의 수치 기재 사항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1타이어와 제2-1타이어 및 제3-1타이어와 같이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이 30% 미만인 타이어에서 센터부와 숄더부의 마모량 차이가 10% 미만으로 형성되어, 편마모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numerical descriptions related to FIGS. 6 to 8 and each drawing,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portion compared to the tread area of the tread like the 1-1 tire, the 2-1 tire, and the 3-1 tire is In a tire having a ratio of less than 30%,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is formed to be less than 10%, and it can be seen that uneven wear is reduc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 센터부
S : 숄더부
C: center part
S: shoulder

Claims (5)

트레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중앙 부위로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센터부; 및
상기 트레드에서 상기 센터부의 양 측 부위로써, 상기 센터부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숄더부;를 포함하고,
노면에 대한 상기 트레드의 접지 면적 대비 상기 숄더부의 접지 면적의 비율은 5%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A tire comprising a tread, comprising:
a center portion having a constant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as a central portion of the tread; and
In the tread, shoulder portion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tire.
The tire for improving uneven wear by controlling the tread area for each t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read area of the shoulder portion to the tread area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is 5% or more and less than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Roundness는 40 이상 80 미만이고, 상기 Roundness는 아래의 식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Roundness = AT/(Wmax X Lmax)X100
여기서, AT는 상기 트레드의 접지 면적이고, Wmax는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에서 최대 폭이며, Lmax는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에서 최대 길이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tness of the tread of the ground shape of the tread is 40 or more and less than 80, and the roundnes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Roundness = A T /(W max XL max )X100
Here, A T is the tread area of the tread, W max is the maximum width in the tread shape of the tread, and L max is the maximum length in the tread shape of the tre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형상의 윤곽선은 곡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for improving uneven wear by controlling the tread area for each t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our of the tread of the tread has a curved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접지 면적은, 상기 타이어의 주행 중 상기 트레드와 노면의 접촉 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for improving uneven wear by controlling the tread area for each t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d area is a contact area between the tread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tire is run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부의 마모량(%)과 상기 숄더부의 마모량(%)의 차이는, 0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부위별 접지 면적 제어를 통한 편마모 개선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for improving uneven wear through the tread area control for each t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ar amount (%) of the center part and the wear amount (%) of the shoulder part is 0 to 10%.
KR1020210004477A 2021-01-13 2021-01-13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KR102510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77A KR102510825B1 (en) 2021-01-13 2021-01-13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77A KR102510825B1 (en) 2021-01-13 2021-01-13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90A true KR20220102290A (en) 2022-07-20
KR102510825B1 KR102510825B1 (en) 2023-03-17

Family

ID=8260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77A KR102510825B1 (en) 2021-01-13 2021-01-13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8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9239A (en) * 2022-09-30 2022-12-20 山东玲珑轮胎股份有限公司 Real-time tire lif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by utilizing contour area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14A (en) 1997-06-03 1999-01-15 박원훈 Cell line producing erythropoietin (EPO), its preparation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EPO using the same
KR20010088035A (en) * 2000-03-10 2001-09-26 신형인 Pneumatic Tire with PTN of Improved Wear Performance
KR20040043970A (en) * 2002-11-20 2004-05-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radial tire
JP2004224270A (en) * 2003-01-24 2004-08-1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JP2015006871A (en) * 2013-05-30 2015-01-15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2019137088A (en) * 2018-02-06 2019-08-2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2019188853A (en) * 2018-04-18 2019-10-31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14A (en) 1997-06-03 1999-01-15 박원훈 Cell line producing erythropoietin (EPO), its preparation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EPO using the same
KR20010088035A (en) * 2000-03-10 2001-09-26 신형인 Pneumatic Tire with PTN of Improved Wear Performance
KR20040043970A (en) * 2002-11-20 2004-05-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radial tire
JP2004224270A (en) * 2003-01-24 2004-08-1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JP2015006871A (en) * 2013-05-30 2015-01-15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2019137088A (en) * 2018-02-06 2019-08-2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2019188853A (en) * 2018-04-18 2019-10-31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9239A (en) * 2022-09-30 2022-12-20 山东玲珑轮胎股份有限公司 Real-time tire lif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by utilizing contour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25B1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392B1 (en) A heavy duty tire with sacrificial ribs for improved tire wear
US7484543B2 (en) Tire with tread having continuous rib
US8622104B2 (en) High-performance type for a motor vehicle
JP3121391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s
EP2319713B1 (en) Tire
US9873290B2 (en) High-performance tyre for a motor vehicle
JP5391236B2 (en)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KR20220102290A (en) Tires for improving irregular wear with contact area control of each block
JP4742759B2 (en) Pneumatic tire
JPH03295706A (en) Pneumatic radial tire
JP2874782B2 (en) Motorcycle tires that can be used on both rough roads and rough terrain
JP3539450B2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s
KR101859843B1 (en) Groove Structure of Truck and Bus Radial Tire
JPH04271902A (en) Pneumatic tire
EP0827460A1 (en) Tread for truck tyre
JP2003118317A (en) Pneumatic tire
US20180022166A1 (en) Tire treads having tread elements with inclined lateral sides
JP2001294018A (en) Pneumatic tire
JPH06297912A (en) Pneumatic tire for two wheeler
JP2002219908A (en) Pneumatic tire and fitting method therefor
JPS6317102A (en) Heavy-duty pneumatic tire
JPH06255316A (en) Pneumatic tire
JP2816853B2 (en) Pneumatic radial tire
US10807416B2 (en) Tire tread
US20180222256A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