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277A -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277A
KR20220102277A KR1020210004447A KR20210004447A KR20220102277A KR 20220102277 A KR20220102277 A KR 20220102277A KR 1020210004447 A KR1020210004447 A KR 1020210004447A KR 20210004447 A KR20210004447 A KR 20210004447A KR 20220102277 A KR20220102277 A KR 2022010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tainer
fixing
center point
al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772B1 (ko
Inventor
이동포
Original Assignee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로서, 더 자세히는 위험물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트레이가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저부에 형성되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중심에 형성되며, 트레이 바닥 중심과 일치시켜 센터링시킴으로써 트레이가 정위치 안착되는 고정중심점 및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되는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container for fixing and aligning tray}
본 발명은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산업 현장에서 리튬 이온 전지 등과 같은 위험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위험물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외부에서의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위험물을 감싸서 수납하는 트레이가 구비되며, 트레이에는 위험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수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용기가 목표 지점까지 운반된 이후, 수납부에 수납된 위험물을 파지하여 별도의 목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로봇 그리퍼가 사용된다. 이 때 로봇 그리퍼는 용기의 저면 중심을 원점으로 인식하여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정위치로 파악한 뒤, 파악된 정위치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위험물을 파지하여 운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트레이에 형성되는 수납부는 로봇 그리퍼가 인식할 수 있는 정위치에 존재하여야 하므로, 수납부가 형성된 트레이 자체가 용기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용기 저면 상에 정위치 정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위험물의 안전한 보관 및 운반을 위해서는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과 같은 소재의 트레이를 사용하여 트레이 내부에 수납되는 위험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소재는 일반적으로 가공 공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그러한 소재로 제작된 트레이는 수납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정위치에 존재하지 않을 확률이 높으므로 로봇 그리퍼의 기계적인 파지가 상대적으로 부정확할 수 있다.
반면 종래 다수의 산업현장에서 위험물 수납 트레이를 제작할 때 많이 사용되었던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을 소재로 제작된 트레이는 가공 공차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트레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정위치에 존재하므로 로봇 그리퍼에 의한 기계적인 파지가 수월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소재의 트레이는 쿠셔닝(cushioning)과 같은 충격흡수력이 떨어지고 강도 또한 약하므로, 위험물 보관 트레이로 사용할 경우 운반 중 트레이의 각 수납부 내 위험물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손이 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과 같이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 트레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소재로 제작된 트레이는 가공 공차가 크기 때문에 트레이에 형성되는 수납부가 상대적으로 정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로봇 그리퍼의 기계적인 파지가 상대적으로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등과 같은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하지만 공차가 큰 소재로 가공된 트레이의 공차를 보정하여 로봇 그리퍼의 기계적인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0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90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01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중심점 및 트레이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트레이를 고정 및 정렬시킴으로써 공차가 큰 소재로 가공된 트레이의 공차를 보정하여 로봇 그리퍼의 기계적인 파지를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트레이에 수납되는 위험물 등의 보관과 운반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면서 위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는, 위험물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트레이가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저부에 형성되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중심에 형성되며, 트레이 바닥 중심과 일치시켜 센터링시킴으로써 트레이가 정위치 안착되는 고정중심점 및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되는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 바닥 중심에는 상기 고정중심점과 일치시켜 센터링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중심점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중심프레임은 용기 내부의 저부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중심점은, 상기 중심프레임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며, 홈, 홀 또는 돌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중심점에서 발산하는 방향 상에 위치되는 4지점에 각각 방사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고정중심점을 향하여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의 체결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용기 내부의 내측면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중심점을 향하여 일정 경로로 전진 또는 후퇴되면서 트레이 외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트레이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플랜지 및 상기 체결플랜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와 고정중심점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대각선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는 트레이의 바닥 중심과 일치시켜 센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중심점과 고정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되는 트레이 고정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중심점을 향하여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포함하며, 고정구는 트레이와 용기가 센터링된 상태에서 트레이의 가공 공차를 보정하여 트레이를 가압 및 정렬시키므로 공차가 큰 트레이에 수납되는 위험물 등의 보관 및 운반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면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고정중심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트레이가 정렬되므로 로봇 그리퍼가 트레이 수납부에 수납된 위험물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트레이 고정모듈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고정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1, 이하 “용기(1)”라 함)는 용기(1) 저부에 형성되며, 용기(1)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 중심에 형성되며, 트레이 바닥 중심과 일치시켜 센터링시킴으로써 트레이가 정위치 안착되는 고정중심점(131) 및 용기(1)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되는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모듈(200)을 포함하며, 트레이 고정모듈(200)은, 고정중심점(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고정중심점(131)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용기(1)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트레이의 하면 중심에는 고정중심점(131)과 대응되며, 고정중심점(131)과 일치시켜 센터링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중심점(21)이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에는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위험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다수의 수납부(22)가 형성된다. 트레이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등과 같이 가공 공차가 크지만 강도 및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소재로 가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발포폴리올레핀(Expanded Polyolefin, EPO)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베이스부(100)는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2는 베이스부(100)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중심프레임(130)과 같은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중심프레임(130)은 격자 형태의 형상을 형성하여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중심프레임(130)은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용기 내부(1)의 중심을 가로지를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상술한 예시에 따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용되는 트레이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중심점(131)은 용기(1) 내부의 저부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프레임(13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바닥의 중심에는 고정중심점(131)과 일치시켜 센터링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중심점(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중심점(131)을 트레이의 바닥 중심에 형성되는 트레이 중심점(21)과 일치시켜 센터링시킴으로써 트레이가 용기 저면 상에 정위치 안착될 수 있다.
고정중심점(131)은 홈, 홀 또는 돌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중심점(131)이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트레이 중심점(131)이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고정중심점(131) 및 트레이 중심점(21)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트레이가 일치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 중심점(21)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중심점(1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고정중심점(131)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트레이 중심점(21)이 고정중심점(131)의 돌기 형상과 대응되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중심점(21)과 고정중심점(131)을 일치시킴으로써 트레이와 용기(1)가 센터링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 고정모듈(200)에 의하여 트레이가 용기(1) 저면 상에 정위치 정렬이 된다면, 로봇 그리퍼 이용시 고정중심점(131)을 원점으로 할 때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의 수납부(22)에 수납된 위험물의 픽업이 용이하다.
트레이 고정모듈(200)은 용기(1) 내부에 수용된 트레이를 정렬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정중심점(131)에서 발산하는 방향 상에 위치되는 4지점에 각각 방사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되,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고정구(210), 지지플레이트(220), 체결구(230)를 포함하며, 고정중심점(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고정중심점(131)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고정구(210)는 용기(1)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대응되어 고정중심점(131)을 향하여 일정 경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면서 트레이 외면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트레이의 고정 및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구(210)는 고정중심점(131)을 향하여 수평으로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210)는 고정 중심점(131)을 기준으로 네 모서리 또는 용기(1) 내측면을 향하여 수평으로 발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구(210)는 고정중심점(131)을 기준으로 네 모서리를 향하여 발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기(1) 내측면에 고정중심점(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는 형태이면 어떤 방식으로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구(210)는 고정중심점(131)에서 네 모서리가 아닌 용기(1) 내측면을 향하여 발산하는 방향 상에 고정중심점(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는 형태로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구(210)는 고정프레임(211), 체결플랜지(212), 체결홀(21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1)은 트레이의 외면과 대응할 수 있도록 수평단면이 ㄴ형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이거나 트레이의 삼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11)은 금속 소재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수용되는 트레이의 견고한 고정 및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플랜지(212)는 고정프레임(211)의 외측면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플랜지(212) 각각의 일측에 고정프레임(211)의 외측 대각선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구(2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중심점(131)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체결홀(2121)은 고정프레임(211)의 모서리가 고정중심점(131)을 항하여 수렴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210)는 복수의 체결홀(2121)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2121)은 고정구(210)의 모서리가 고정중심점(131)을 향하여 수렴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고정프레임(211)의 외측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2121)이 2개 이상 형성된 경우 고정구(21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고정구(210)가 체결구(230)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지지플레이트(220)는 고정구(210)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고정구(210)의 체결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용기(1) 내부의 내측면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20)에는 체결구(230)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2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230)는 고정구(2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어 견고한 체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트레이의 크기에 비례하여 고정구(210)와 고정중심점(131)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된 이후, 가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체결구(230)가 체결플랜지(212)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2121) 및 지지플레이트(22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221)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구(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홀(2121)은 체결플랜지(212)가 아닌 지지플레이트(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220)가 아닌 체결플랜지(212)에 체결구(230)를 나사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네 모서리의 고정구(210)를 고정중심점(13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경로로 전진 및 후퇴시키는 한편, 수용되는 트레이와 용기(1) 내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도 5의 a,b)가 가변됨으로써 트레이의 크기에 비례하여 트레이 고정모듈(200)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때 용기(1) 내측면과 트레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작아지며(도 5의 a 참조) 트레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때 용기(1) 내측면과 트레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커지므로(도 5의 b 참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용기(1) 내측면과 트레이 사이의 이격거리(도 5의 a,b)가 가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가 가변된 고정구(210)의 고정프레임(211)이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체결홀(2121)에 체결구(230)가 삽입되어 고정구(210)가 위치 이동한 후 가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체결구(230)를 지지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체결공(221)에 나사 체결 하여 고정구(210)가 지지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210)를 고정중심점(13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경로로 전진 및 후퇴시키면서 트레이의 크기와 무관하게 고정 및 정렬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고정모듈(200)에 의하여 수용되는 트레이의 공차가 보정되므로 공차가 큰 소재로 가공된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1)는 고정중심점(131)을 트레이의 바닥 중심과 센터링되어 일치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고정중심점(131)에서 발산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210)의 고정중심점(131)을 중심으로 하는 전진 및 후퇴 동작으로 인해 트레이의 외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고정 및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 및 간편한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중심점(131)과 트레이 고정모듈(200)에 의한 센터링, 고정 및 정렬을 통하여 공차가 큰 트레이의 가공 공차를 보정함으로써 로봇 그리퍼에 의한 수납부(22)에 수납된 위험물의 기계적인 파지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는 용기(1) 내부의 4지점에 형성된 트레이 고정 모듈(200)에 의한 고정 및 정렬을 통하여 트레이 공차의 보정을 수행하는 한편, 산업현장에서 위험물 등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되는 위험물 용기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면서 위험 안전성과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용기
10 : 용기 내부
100 : 베이스부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130 : 중심프레임
131 : 고정중심점
200 : 트레이 고정모듈
210 : 고정구
211 : 고정프레임
212 : 체결플랜지
2121 : 체결홀
220 : 지지플레이트
221 : 체결공
230 : 체결구
2 : 트레이
21 : 트레이 중심점
22 : 수납부

Claims (5)

  1. 위험물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트레이가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저부에 형성되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중심에 형성되며, 트레이 바닥 중심과 일치시켜 센터링시킴으로써 트레이가 정위치 안착되는 고정중심점; 및
    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되는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치(對置)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 또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이동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 바닥 중심에는 상기 고정중심점과 일치시켜 센터링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중심점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중심프레임은 용기 내부의 저부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중심점은,
    상기 중심프레임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며, 홈, 홀 또는 돌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중심점에서 발산하는 방향 상에 위치되는 4지점에 각각 방사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고정중심점을 향하여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트레이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의 체결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용기 내부의 내측면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중심점을 향하여 일정 경로로 전진 또는 후퇴되면서 트레이 외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트레이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플랜지; 및
    상기 체결플랜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와 고정중심점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 대각선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중심점을 항하여 수렴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KR1020210004447A 2021-01-13 2021-01-13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KR10258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47A KR102584772B1 (ko) 2021-01-13 2021-01-13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47A KR102584772B1 (ko) 2021-01-13 2021-01-13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77A true KR20220102277A (ko) 2022-07-20
KR102584772B1 KR102584772B1 (ko) 2023-10-05

Family

ID=8260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47A KR102584772B1 (ko) 2021-01-13 2021-01-13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93B1 (ko) * 2004-11-15 2006-04-13 주식회사 프로텍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JP2009001287A (ja) * 2007-06-19 2009-01-08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KR100889009B1 (ko) 2007-03-06 2009-03-19 장대환 누적공차 최소화 및 다기종 센터링기능이 구비되는 이송및 삽입 적재장치 및 방법
JP2011001073A (ja) * 2009-06-17 2011-01-06 Sanko Co Ltd 搬送ワーク固定機構
KR101631917B1 (ko) * 2015-03-31 2016-07-0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판유리 운송용 모바일랙
KR101797101B1 (ko) * 2017-05-17 2017-11-13 (주)루맷 다단 적층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필름 적재용 밀폐박스
KR102080175B1 (ko) 2018-05-24 2020-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투입관 자동 센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15099B1 (ko) 2018-12-05 2020-05-26 김경철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593B1 (ko) * 2004-11-15 2006-04-13 주식회사 프로텍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KR100889009B1 (ko) 2007-03-06 2009-03-19 장대환 누적공차 최소화 및 다기종 센터링기능이 구비되는 이송및 삽입 적재장치 및 방법
JP2009001287A (ja) * 2007-06-19 2009-01-08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JP2011001073A (ja) * 2009-06-17 2011-01-06 Sanko Co Ltd 搬送ワーク固定機構
KR101631917B1 (ko) * 2015-03-31 2016-07-0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판유리 운송용 모바일랙
KR101797101B1 (ko) * 2017-05-17 2017-11-13 (주)루맷 다단 적층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필름 적재용 밀폐박스
KR102080175B1 (ko) 2018-05-24 2020-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투입관 자동 센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15099B1 (ko) 2018-12-05 2020-05-26 김경철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772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20B1 (ko) 배터리 운반 트레이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US10336356B2 (en) Wheeled shipping cart with stackable trays
EP2899131B1 (en) Stackable pallet
US20140367305A1 (en) Supporting structure, loading and packing device, supporting base plate, and packing method
US20130056390A1 (en) Probe card container
US20180290290A1 (en) Robot base stand
KR101180858B1 (ko) 간극보상부재를 구비한 핵연료 집합체 운반용기용 리드프레임 및 핵연료 집합체 운반용기
US20170137200A1 (en) Photovoltaic module stackable corner protector
JP6220382B2 (ja) ドアに輸送用クッションが取り付けられたウェーハ容器
CN109907552B (zh) 用于将搁架定位到基部结构上的方法
US10196175B2 (en) Tool chest lifting solution
JP2012232799A (ja) スキッドパレット、および輸送および貯蔵用容器
KR20220102277A (ko) 트레이 고정 및 정렬을 위한 용기
JP6750574B2 (ja) 物品支持棚
JP6547334B2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JPWO2020110207A1 (ja) 位置決め搬送装置および位置決め搬送方法
CN208507640U (zh) 晶圆盒
RU195141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 системой крепления
RU1927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US9850027B2 (en) Device for securing goods to be transported onto a load carrier
US11024864B2 (en) Assembly device for stacking a fuel cell stack
CN101048322B (zh) 半刚性材料围壁与平支承件之间用于形成箱子的固定件
JP3198007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CN205630412U (zh) 一种托盘装夹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