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270A -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270A
KR20220102270A KR1020210004433A KR20210004433A KR20220102270A KR 20220102270 A KR20220102270 A KR 20220102270A KR 1020210004433 A KR1020210004433 A KR 1020210004433A KR 20210004433 A KR20210004433 A KR 20210004433A KR 20220102270 A KR20220102270 A KR 2022010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air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준
김정경
Original Assignee
김정준
김정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준, 김정경 filed Critical 김정준
Priority to KR102021000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270A/en
Publication of KR2022010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38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liquid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2001/0814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for upside down use
    • B67D2001/0817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for upside down use with a venting orif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everage transfer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contact with air.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comprises a stopper part blocking an inlet of a container, a beverage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beverage stored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n air pipe for supplying air into the container, wherein the stopper part forms a beverage transport hole and an air hole penetrating the stopper part, the beverage transport pipe extends from the beverage transport hole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air pipe may extend from the air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Various other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e specification are also possible.

Description

음료 이송 장치{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Beverage transfer device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용기 내부의 음료를 이송하는 장치와 관련된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 device for transporting a beverage inside a container.

용기 내부에 담겨있는 음료를 보관하고, 외부로부터 음료의 밀폐를 위하여 다양한 마개가 활용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캔으로 제작된 병 뚜껑, 코르크 마개가 활용된다. 일부 마개들은 용기 내부의 음료를 쉽게 용기 외부로 따를 수 있도록 마개에 홀을 형성한다. 상기 홀은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Various stoppers are used to store the beverage contained inside the container and to seal the beverage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bottle caps made of plastic or cans and cork stoppers are used. Some closures form a hole in the closure so that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easily poured out of the container. The hole is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type of beverage.

일반적으로 음료는 공기와 접촉됨으로 인하여 산화가 되어 맛이 변질될 수 있다. 음료를 따르거나 음료를 다른 용기로 옮길 때, 음료는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산화될 수 있다. 이 때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료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general, beverages may be oxidized due to contact with air, and the taste may change. When pouring or transferring a beverage to another container, the beverage may be oxidized by contact with ai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contact with air.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to provide a beverage transport device that can minimize contact with air.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는 용기의 입구를 막는 마개부, 상기 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음료 이송관,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는 음료 이송 구멍 및 공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음료 이송관은 상기 음료 이송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관은 상기 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Beverag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s a stopper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a beverage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n air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cluding, wherein the stopper forms a beverage transport hole and an air hole penetrating the stopper, the beverage delivery pipe extends from the beverage delivery hol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air tube extends from the air hole to the container may extend in the inward direction of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료 이송 장치는 용기 내부의 음료가 이송될 때 용기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can minimize contact with the air outside the container when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In addition, various e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동작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1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ension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부(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음료 이송 장치(100)를 설명한다.1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100)는 마개부(100), 음료 이송관(120), 공기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이송 장치(100)는 음료가 담긴 용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음료 이송 장치(100)는 마개부(200)를 통해 상기 용기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100)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코르크,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개부(200)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됨으로써, 용기의 입구를 막을 수 있다.The beverage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topper 100 , a beverage transfer tube 120 , and an air tube 110 .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may be coupled to a container containing a beverage.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through the stopper 200 . The stopper 1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rubber, plastic, cork, or silicone, and may be made of other materials having elasticity. The stopper 200 may b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thereby block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용기에 담긴 음료는 음료 이송 장치(100)를 통하여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음료 이송관(120)은 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외부로 이송 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음료 이송관(120)은 튜브, 파이프와 같이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그 통로를 통하여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디자인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음료 이송관(12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100).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may be for transferring the beverage stored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therein, such as a tube, a pipe, and a liquid can flow through the passage.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luminum, or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plastic, or silicon.

공기관(110)은 용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기관(110)은 튜브, 파이브와 같이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그 통로를 통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디자인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기관(110)과 음료 이송관(120)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pipe 110 may be for supplying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air tube 11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therein, such as a tube or a tube, and is designed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passage. The air pipe 110 and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도 2의 (1)을 참조하면, 마개부(200)는 마개부(200)를 관통하는 음료 이송 구멍(220) 및 공기 구멍(2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이송 구멍(220)과 공기 구멍(210)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예시가 예를 들어 도시 되었다. Referring to FIG. 2 ( 1 ), the stopper 200 may form a beverage transport hole 220 and an air hole 210 penetrating the stopper 200 . Referring to Figure 2,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and the air hole 210 is shown, for example, an example having a circular shape.

일 예에서, 음료 이송 구멍(220)은 공기 구멍(210)보다 클 수 있다. 음료 이송 구멍(220)의 지름이 공기 구멍(210)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beverage delivery hole 220 may be larger than the air hole 210 .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transport hole 220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hole (210).

음료 이송관(120)은 상기 음료 이송 구멍(220)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관(110)은 상기 공기 구멍(210)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관은 용기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내부에 담긴 음료는 음료 이송 구멍(220)과 음료 이송관(120)을 통해 용기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extend from the beverage transport hole 22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air tube 110 may extend from the air hole 21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air tube may allow ai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and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

일 실시 예에서, 음료 이송관(120)은 마개부(200)의 일면(205)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방향(예: 용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관(110)은 마개부(200)의 일면(105)과 소정을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예: 용기 내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eg, the container outer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ne surface 205 of the stopper 200 . The air tube 11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eg,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ne surface 105 of the stopper 200 .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방향은 마개부(200)의 일면(105)에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마개부(200)의 일면(105)에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105 of the stopper 200 .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105 of the stopper 200 , and may be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음료 이송관(120)은 음료 이송 구멍(220)과 결합될 수 있다. 공기관(110)은 공기 구멍(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be coupled to the beverage transport hole 220 . The air tube 110 may be coupled to the air hole 110 .

도 2의 (2)를 참조하면, 음료 이송 장치(100)는 음료 이송 구멍(220)을 덮도록 상기 마개부(200)와 결합되는 거름망(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225)은 용기 내부의 음료가 이송될 때, 음료 안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2 ),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ieve 225 coupled to the stopper 200 to cover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 The strainer 225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beverage when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동작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용기(50)와 음료 이송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 되었다. 용기(50)내부에 있는 음료(10)가 용기(50) 밖으로 이송될 수 있다. 공기관(110)은 용기(5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관(100)의 한쪽 끝(112)은 용기(50) 내부의 공기층(20)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container 50 and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is shown in a coupled state. The beverage 10 in the container 50 may be transferred out of the container 50 . The air pipe 110 may supply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50 . One end 112 of the air tube 100 may be located in the air layer 20 inside the container 50 .

도 3의 (2)를 참조하면, 공기관(110)은 마개부(200)의 공기 구멍(210)과 결합되는 일 단(또는 공기 구멍(210)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점)의 타 단(112)은 용기(50)의 바닥면(52)에 접촉될 수 있다. 공기관(110)의 길이는 용기(50)의 세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기관(110)의 타단(112)이 바닥면(52)에 접촉되는 경우가 예를 들어 도시 되었으나, 상기 타단(112)은 용기(50)에 공기를 공급하기에 충분한 만큼, 바닥면(5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2) of Figure 3, the air pipe 110 is the other end 112 of the one end coupled to the air hole 210 of the stopper 200 (or the point extending from the air hole 210) is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container 50 . The length of the air tube 110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tainer 50 .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other end 112 of the air tube 11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52 is illustrated, but the other end 112 is sufficient to supply air to the container 50, the bottom surface 52 may be placed adjacent to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공기관(110)의 타단(112)에는 부력부가 결합될 수 있다. 부력부는 예를 들어, 공기관(110)에 형성된 구멍이 음료(10)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buoyancy unit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112 of the air tube 110 . The buoyancy unit may, for example, help the hole formed in the air tube 110 to be positioned on the beverage 10 .

일 예에서, 음료(10)는 와인이고, 용기(50)는 와인병일 수 있다. 이 때, 공기관(110)의 길이는 750ml 기준의 와인병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개부(200)가 용기(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관(110)의 타단(112)이 용기(50)의 바닥면(52)에 접촉될 수 있다. 일반적인 750ml의 와인병의 세로 높이는 30mm이므로, 공기관(110)의 길이는 250mm ~300mm가 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beverage 10 may be wine and the container 50 may be a wine bottl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air tube 110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wine bottle based on 750ml.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2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50 , the other end 112 of the air tube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container 50 . Since the vertical height of a typical 750ml wine bottle is 30mm, the length of the air tube 110 may be 250mm to 300mm.

도 3의 (1)을 참조하면, 제1 용기(50)로부터 제2 용기(55)로 음료가 이송되는 예가 도시 되었다. 음료 이송관(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용기(5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1 ), an example in which the beverage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50 to the second container 55 is show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55).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음료 이송관(120)의 한쪽 끝(122)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음료 이송관(120)이 플랙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음료 이송관(120)은 무게추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may be coupled to one end 122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 In particular, when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may be fixed through a weight.

일 예에서, 제2 용기(55)가 와인병일 경우, 음료 이송관(120)의 길이는 750ml 기준의 와인병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이송관(120)이 제2 용기(55)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 이송관(120)의 한쪽 끝(122)이 제2 용기(55)의 바닥면(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다. 공기관(110)과 마찬가지로, 음료 이송관(120)의 길이는 250mm ~300mm가 될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second container 55 is a wine bottle, the length of the beverage transfer tube 120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wine bottle based on 750ml.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55 , one end 122 of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is the bottom surface (not shown) of the second container 55 . ) can be in contact with Like the air pipe 110, the length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may be 250mm ~ 300mm.

음료 이송 장치(100)는 음료가 이송되는 동안, 음료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인이 이송될 때, 와인은 공기에 접촉될 때 산화가 진행되므로, 와인의 공기에의 접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공기관(110)과 음료 이송관(120)의 길이가 와인병에 맞추어 구성되면, 와인의 공기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may minimize exposure of the beverage to the air while the beverage is transported. For example, when the wine is transported,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contact of the wine with the air, since oxidation proceeds when the wine is in contact with air. If the length of the air tube 110 and the beverage transfer tube 120 is configured to fit the wine bott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contact of the wine.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 음료 이송 장치(100)는 용기(50)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가 이송되도록 하거나, 이송을 막기 위한 손잡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마개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300 for preventing the transfer or to allow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50 to be transferred. The handle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stopper part 200 .

손잡이부(300)는 마개부(200)의 음료 이송 구멍(220)을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손잡이부(300)는 상기 공기 구멍(210)을 열거나 닫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handle 300 may be for opening or closing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of the stopper 200 . Alternatively, the handle 300 may be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hole 210 .

음료를 용기(50) 밖으로 이송 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용기(50)의 입구가 바닥을 향하도록 용기(50)를 뒤집을 수 있다(예: 도 3의 (1)). 손잡이부(300)는 음료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송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port the beverage out of the container 50, the user may turn the container 50 over so th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50 faces the floor (eg, (1) of FIG. 3). The handle unit 300 may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transferr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손잡이부(300)는 상기 마개부(200)에 회동결합되는 레버(310) 및 상기 레버(31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레버(310)를 움켜쥐면 음료가 이송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레버(310)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서 음료가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 The handle part 300 may include a lever 310 pivotally coupled to the stopper 200 and an elastic part (not shown)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ever 310 . At this time, when the user grabs the lever 310, the beverage is transported,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lever 310, the beverage may not be transported by the elastic part.

마개부(200)가 용기(50)에 결합되었을 때, 사용자는 용기(50)의 입구 부분과 레버(310)를 함께 움켜쥘 수 있다. 레버(310)는 마개부(20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00)와 용기(50)의 입구를 함께 움켜쥘 수 있다. 용기(50)가 음료 이송을 위하여 뒤집어진 상태인 경우, 음료가 담긴 상태의 용기(50)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손잡이부(300)와 용기(50)를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stopper 2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50 , the user may grasp the inlet portion of the container 50 and the lever 310 together. The lever 310 may be rotated toward or away from the stopper 200 . The user may grab the handle 300 and the inlet of the container 50 together. When the container 50 is in an inverted state for transporting the beverag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50 in the state containing the beverage is heavy,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300 and the container 50 with one han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doing so.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레버(310)를 움켜쥐면, 레버(310)는 마개부(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음료 이송 구멍(220) 또는 공기 구멍(210)이 열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310)를 놓으면 레버(310)는 마개부(20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음료 이송 구멍(220) 또는 공기 구멍(210)이 닫힐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abs the lever 310, the lever 310 is mov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stopper 200, and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or the air hole 210 may be opened.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lever 310, the lever 310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pper 200, and the beverage transfer hole 220 or the air hole 210 may be closed.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이송 장치의 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ension of the beverag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 공기관(110)과 음료 이송관(120)에 각각 추가 튜브(115, 125)가 결합될 수 있다. 추가 튜브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와 같은 플렉서블 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ditional tubes 115 and 125 may be coupled to the air pipe 110 and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respectively. The additional tube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silicone or rubber.

제1 추가 튜브(125)는 음료 이송 관(12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추가 튜브(115)는 공기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 튜브(115, 225)는 각각 음료 이송 장치(100)와 연관되는 용기의 길이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 될 수 있다. 제1 추가 튜브(125)와 제2 추가 튜브(115)가 음료 이송 장치(100)에 결합되면, 음료 이송 장치(100)의 연장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음료 이송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음료 이송 장치(100)와 결합된 용기(예: 도 3의 제1 용기(50)) 및 음료를 이송할 대상인 용기(예: 도 3의 제2 용기(55))의 길이에 맞추어 추가 튜브(115, 12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튜브는 플렉서블 한 재질이므로, 사용자는 추가 튜브를 필요에 따라 절단할 수 있다.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may be coupled to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 and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may be coupled to the air pipe 110 . The additional tubes 115 and 225 may each be customized to fit the length of the container associated with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 When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and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are coupled to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 it may constitute an extension of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 A user using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is a container coupled with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eg, the first container 50 in FIG. 3 ) and a container to which the beverage is to be transported (eg, the second container in FIG. 3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ditional tube (115, 125) according to the length of (55)). For example, since the additional tube is a flexible material, the user can cut the additional tube as needed.

도 5의 실시 예에서, 음료 이송관(120)과 공기관(110)은 견고한 재질(예: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플라스틱)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이송관(120)과 공기관(110)은 어떤 크기의 용기에나 사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음료 이송관(120)과 공기관(110)은 10cm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5,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and the air pipe 110 may be made of a solid material (eg, metal, stainless steel, plastic).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and the air pipe 110 may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so that they can be used in any size container. In one example,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and the air pipe 110 may have a length of 10 cm or less.

이 경우, 추가 튜브(115, 225)가 각각 음료 이송관(120)과 공기관(110)에 결합됨으로써, 이송되는 음료가 공기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가 튜브(125)의 한쪽 끝은 음료가 이송될 다른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추가 튜브(115)의 한쪽 끝은 음료가 담겨있는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서 음료가 용기 내부에서 다른 용기로 이송될 때 공기의 접촉이 최소화된 채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by being coupled to the additional tube (115, 225) to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and the air pipe 11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everage being transported in contact with the air.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may be disposed adjac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container to which the beverage is to be transported. One end of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beverage. As a result, when the beverage is transferr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another container, the transfer can be made with minimal air contac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추가 튜브(125)의 음료 이송관(120)과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끝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가 결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추가 튜브(125)는 상기 무게추를 통해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may be coupled or formed at the other end not coupled to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of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 At this time,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may be fixed so as not to be shaken through the weigh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추가 튜브(115)의 공기관(110)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끝에는 부력부가 결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는 공기관(110)에 형성된 구멍이 음료(예: 도 3의 음료(10))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 buoyancy unit may be coupled or formed at the other end not coupled to the air pipe 110 of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 The buoyancy unit may help the hole formed in the air tube 110 to be positioned on the beverage (eg, the beverage 10 of FIG. 3 ).

일 예에서, 음료는 와인이고, 용기(예: 도 3의 용기(50))는 와인병일 수 있다. 이 때, 공기관(110)과 제2 추가 튜브(115)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총 길이는 750ml 기준의 와인 병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추가 튜브(115)의 한쪽 끝이 용기의 바닥면(예: 도 3의 바닥면(52))에 접촉될 수 있다. 일반적인 750ml의 와인병의 세로 높이는 30mm이므로, 공기관(110)과 제2 추가 튜브(115)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총 길이는 250mm ~300mm가 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everage may be wine, and the container (eg, container 50 in FIG. 3 ) may be a wine bottle.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tube 110 and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are combined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wine bottle based on 750ml.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eg, the bottom surface 52 of FIG. 3 ). Since the vertical height of a typical 750ml wine bottle is 30mm, the total length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tube 110 and the second additional tube 115 are combined may be 250mm to 300mm.

일 예에서, 음료 이송 장치(100)를 통해 음료가 이송될 대상인 제2 용기(예: 도 3의 제2 용기(55))가 와인병일 경우, 음료 이송관(120)과 제1 추가 튜브(125)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총 길이는 750ml 기준의 와인병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이송관(120)이 제2 용기(55)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추가 튜브(125)의 한쪽 끝(122)이 제2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음료 이송관(120)과 제1 추가 튜브(125)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총 길이는 250mm ~300mm가 될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second container (eg, the second container 55 in FIG. 3 ) to which the beverage is to be transported through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00 is a wine bottle, the beverage transport pipe 120 and the first additional tube ( 125) in the combined state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vertical length of the wine bottle based on 750ml.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transfer pipe 12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55 , one end 122 of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 The total length of the beverage transfer tube 120 and the first additional tube 125 in the combined state may be 250mm ~ 300mm.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an element from other such elements, and may refer elements to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Claims (5)

음료 이송 장치에 있어서,
용기의 입구를 막는 마개부;
상기 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음료 이송관; 및
상기 용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는 음료 이송 구멍 및 공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음료 이송관은 상기 음료 이송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관은 상기 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료 이송 장치.
In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a stopper for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a beverage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Including; an air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stopper forms a beverage transport hole and an air hole passing through the stopper,
The beverage delivery tube extends from the beverage delivery hol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air tube extends from the air ho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container,
beverage transf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송 구멍을 덮도록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음료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rainer coupled to the stopper so as to cover the beverage transport hole, beverage transpor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 구멍과 결합되고,
상기 공기관의 타단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음료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air tube is coupled to the air hole,
The other end of the air pipe will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everage transport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의 길이는 적어도 300mm이상인, 음료 이송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ength of the air tube is at least 300mm or more, beverage deliver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가 이송되도록 하거나, 이송을 막기 위한 상기 마개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o that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or coupled to the stopper for preventing transport.
KR1020210004433A 2021-01-13 2021-01-13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KR202201022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33A KR20220102270A (en) 2021-01-13 2021-01-13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33A KR20220102270A (en) 2021-01-13 2021-01-13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70A true KR20220102270A (en) 2022-07-20

Family

ID=8260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33A KR20220102270A (en) 2021-01-13 2021-01-13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2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506B2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6045000A (en) Blow molded drum
EP0759007B1 (en) Container cover and dispensing device
EP1846304A1 (en) A container closure
US6290105B1 (en) Variable volume storage device
US6968984B2 (en) Thermal container
KR20220102270A (en) Device for transporting liquid
KR102205088B1 (en) Beverage container apparatus
EP1626910B1 (en) Pouring spout for a container including a liquid, container, method and use hereof
US7156254B2 (en) Blow molded drum
WO2010085137A2 (en) A pendulum cap apparatus
KR200244402Y1 (en) Cap for bottle open or close by tilt
KR200395478Y1 (en) A beverage can
US11548775B2 (en) Protective cap for beverage dispensing spigot
US11639254B2 (en) Drinking spout with trigger and valve mechanism for bottles and cans
US20070023460A1 (en) Liquid conveying bottle top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KR102482131B1 (en) Beverage container apparatus
EP1555216A1 (en) Liquid dispensing arrangement
US20230040658A1 (en) Water Bottle
KR200239923Y1 (en) Can With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173350Y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3010077U (en) Liquid seasoning container
WO2002049930A1 (en) Hygienic opening for drink cans
KR200201900Y1 (en) Portable water barrel with a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