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254A -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 Google Patents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254A
KR20220102254A KR1020210004390A KR20210004390A KR20220102254A KR 20220102254 A KR20220102254 A KR 20220102254A KR 1020210004390 A KR1020210004390 A KR 1020210004390A KR 20210004390 A KR20210004390 A KR 20210004390A KR 20220102254 A KR20220102254 A KR 2022010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hucking
bearing
workpiece
chuck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1000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254A/en
Publication of KR2022010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6E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2/00Apparatus used in shaping articles
    • F16C2322/39General build up of machine tools, e.g. spindles, slide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a machine tool, comprising: a chucking unit which has a chuck installed at the front of a spindle body for clamping or unclamping a workpiece, a chucking cylind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nd a draw tube penetrating the spindle body between the chuck and the chucking cylinder; and an ejection unit for ejecting a finished workpiece from the chuck. The ejection unit includes: a hous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chucking cylinder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 shaft portion of which the rear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nd which is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a first support portion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 tub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to b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haf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to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haft por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durability of the machine tool by increasing rigidity.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와 함께 긴 샤프트부의 양 단을 지지하여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a second support pa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and is long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par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shaft part. It relates to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that can be accurately installed to support both ends of a shaft and to be positioned equally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used for the purpose of machining a metal/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size using an appropriate tool by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etc.,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for their respective purposes.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used have an operation panel to which a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Such an operation panel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워크피스인 소재가 안착 되고 워크피스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 전 워크피스를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워크피스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워크피스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s a table on which the workpiece material is seated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for preparing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when a tool or workpiece is combined, and a workpiece to support the workpiece during processing. It is equipped with a tailstock and a vibration isolator.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rest, a main shaft, a tailstock, a vibration isolator, etc. are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conveying along a conveying axis in order to perform various machining.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 등이 있으며, 공구교환장치를 사용하여 주축의 공구를 교환하게 된다.In addition, in general, a machine tool uses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there is a tool magazine or a turret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place that stores and stores a plurality of tools. will exchange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물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척과 척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드로우 튜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드로우 튜브는 척킹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진 구동하며 척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여 종국적으로 공작물이 척에서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In general, machine tools are equipped with a chuck for clamping or unclamping a workpiece and a draw tube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chuck. A clamping or unclamp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huck.

또한,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된 이후 척에 클램핑 되어 있던 공작물은 척이 언클램핑 되면서 공작물이 척에서 파트 캐쳐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장치가 전후진 구동하며 공작물을 밀게 된다.In addition, the work piece clamped to the chuck after the machining of the work piece is completed is unclamped and the ejector drives the work piece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work piece can be discharged from the chuck to the part catcher and pushes the work piece.

그러나 종래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공작물을 밀어서 배출하기 위해 전후진 구동하는 샤프트부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스핀들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샤프트부가 길게 배치되어 있음에도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척에 인접하는 부분에만 한 개가 배치되어 있어 긴 샤프트가 흔들리거나 굽혀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the shaft part for driving forward and backward in order to push and discharge the workpiece is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posed inside the spind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ong shaft was shaken or bent because only one was placed in the adjacent part.

또한, 종래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샤프트부의 전후진 구동을 시키는 하우징부가 위치하는 샤프트부의 구동위치가 샤프트부가 지지되는 지지위치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고, 샤프트부의 후방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부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면서 샤프트부 및 하우징부의 중심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a conventional machine tool, the driving position of the shaft where the housing part for driving the shaft part forward and backward is far away from the support position where the shaft part is supported, and the weight of the housing part coupled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As they are ad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ssemble the shaft so that the centers of the shaft part and the housing part are positioned equally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in parallel as a whole.

게다가 종래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샤프트부가 고속회전을 하는 스핀들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스핀들 회전에 의한 외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척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공작물을 토출하기 위해 샤프트부가 전후진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샤프트부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is disposed inside the spindle rotating at high speed, it may be affected by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spindle rotation, and may be affected by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lamping the chuck.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haft part malfunctioned because it was affected by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shaft part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i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1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61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회전하는 스핀들의 내부에 길게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부의 전방에는 제1 지지부가 설치되고, 샤프트부의 후방에는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양 단을 지지함에 따라 샤프트부가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하면서 샤프트부를 가 조립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제2 지지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st support part in front of a shaft part which is disposed long penetratingly inside a spindle rotating at high speed, and a second support part chucking part in the rear part of the shaft part. A machine tool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haft, accurately installing the shaft so that it is positioned equally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and convenient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support when the shaft is temporarily assembled. It is to provide a workpiece ejection device of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스핀들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척과 스핀들 바디의 후방에 설치되는 척킹실린더와 상기 척과 척킹실린더 사이에서 상기 스핀들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드로우튜브를 구비하는 척킹유닛; 및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상기 척에서 배출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스핀들 바디의 후방에서 상기 척킹실린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 후방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척킹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로우튜브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chuck installed in front of a spindle body to clamp or unclamp a workpiece, a chuck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nd the chuck and the chucking cylinder. a chucking unit having a draw tube disposed through the spindle body; and a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the processed workpiece from the chuck, wherein the discharging unit includes: a housing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chucking cylinder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 shaft portion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such that the rear thereof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to enable linear reciprocation;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 tub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af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detachably coupled and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 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샤프트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bea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and a base portion disposed behind the shaf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ortion is accommod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척킹실린더의 중공부의 후방에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척킹실린더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hucking cylinder;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long a rad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chucking cylind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척킹실린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척킹실린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베어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chucking cylinder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ortion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haft portion An incision formed in part open; and an accommodating hole formed in the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bearing part to accommodate the bear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ucking cylind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홀의 전방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receiving hole in order to prevent the bear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i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stopper unit that becom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부의 두께는 상기 베어링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의 직경은 상기 베어링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par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aring part, and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ho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part. hav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ork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cap portion detacha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to prevent the bear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to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스핀들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샤프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구비하여 긴 샤프트부의 양단을 균형있게 지지함으로서 샤프트부의 자중에 의해 샤프트부가 흔들리거나 샤프트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샤프트부의 전후진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샤프트부의 오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며, 강성을 증대하여 공작기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a shaft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inside a spindl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long shaft in a balanced manner by the weight of the shaft. As the shaft portion is prevented from shaking or the shaft portion is bent, the stability of the forward/backward operation of the shaft portion is improved, noise caused by malfunction of the shaft portion is reduced, and the durability of the machine tool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샤프트부의 전후진 구동을 위해 스핀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의 무게에 의해 샤프트부의 후방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에 인접하도록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결합 설치됨에 따라 샤프트부 및 하우징부의 중심이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중심을 맞추어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어 가공의 정확도를 높여 공작물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adjacent to the housing portion to prevent the rear of the shaft portion from being sagged by the weight of the hous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for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of the shaft portion. As it is coupled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it can be assembled precisely by aligning the center so that the centers of the shaft and housing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machining accuracy and maximizing the quality of the workpiece.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후방을 지지함에 따라 샤프트부와 하우징부가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부가 스핀들의 주축 회전체 내부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를 용이하게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생산성 및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to support the rear of the shaft portion, so that the shaft portion and the housing portion are precisely positioned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upport part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while the shaft part is temporarily assembled inside the spindle's main shaft rotating body, assembly is convenient, thereby promoting operator convenienc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의 베어링부가 샤프트부에 삽입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의 베이스부가 샤프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가 베이스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에 부착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의 전후진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베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shaft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shaft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is attached to the chucking cylinder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base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erefo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의 베어링부가 샤프트부에 삽입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shaft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의 베이스부가 샤프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가 베이스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에 부착된 상태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shaft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with the support part attached to the chucking cylinder is shown.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의 전후진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베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a bearing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축방향"이란 스핀들이 회전하는 축방향을 의미하고, "반경방향"이란 축방향의 방사상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방향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Axial direction" means an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spindle rotates, and "radi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spindle expands or contracts radially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축방향으로 왼쪽(즉, 도 2 내지 도 6 에서 왼쪽)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축방향으로 오른쪽(즉, 도 2 내지 도 6 에서 오른쪽)을 의미한다.In addition, "front" means the left axially in the same member (ie, the left in FIGS. 2 to 6), and "rear" means the right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ie, the right in FIGS. 2 to 6). it means.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는 척킹유닛(100) 및 토출유닛(200)을 포함한다. A work discharging device 1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1 to 6 ,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ucking unit 100 and a discharging unit 200 .

본 발명에서 공작기계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모든 형태의 공작기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작기계는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작기계의 스핀들 바디(2)의 내부에는 관통형성되는 삽입홀(3)이 구비되며, 삽입홀(3)에는 스핀들, 토출장치(1) 등 내부 부품이 배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e tool may be any type of machine tool for processing a workpiece. For example, a machine tool may be composed of a turning center, a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 a door type machining center, a Swiss turn, an electric discharge machine, a horizontal type NC boring machine, a CNC lathe, and the like. An insertion hole 3 that is formed through the spindle body 2 of the machine tool is provided, and internal components such as a spindle and a discharging device 1 are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척킹유닛(100)은 공작물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척킹유닛(100)은 척(110), 드로우 튜브(120) 및 척킹실린더(130)를 포함한다.The chucking unit 10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workpiece. Referring to FIGS. 2 to 6 , the chucking unit 100 is a chuck 110 , a draw tube 120 and a chucking cylinder 130 are included.

척킹유닛(100)의 척(110)은 공작기계의 스핀들 바디(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작물을 직접적으로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한다. The chuck 110 of the chucking unit 1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pindle body 2 of the machine tool, and directly clamps or unclamps the workpiece.

구체적으로, 척(110)이 공작물(5)을 클램핑하고 있는 동안에는 공작물(5)의 가공공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공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공작물(5)을 배출하기 위해 공작물(5)이 척(110)에서 언클램핑 된다.Specifically, while the chuck 110 is clamping the workpiece 5, the machining process of the workpiece 5 is made, and after the machi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workpiece 5 is the chuck ( 110) is unclamped.

드로우튜브(120)는 척(110)과 척킹실린더(130) 사이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드로우튜브(120)는 스핀들 바디(2)의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삽입홀(3)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w tube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chuck 110 and the chucking cylinder 130 , and specifically, the draw tube 120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3 formed through the spindle body 2 in the axi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extending to the

또한, 드로우튜브(120)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1)울 구비하고, 척(110)에 연결되어 척(11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한다. 즉, 드로우튜브(120)는 척킹실린더(130)의 작동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운동을 하게 되어 척(11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게 된다. 축방향으로 전진이란 척(1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즉, 도 6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축방향으로 후진이란 전진방향의 반대방향인 척(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즉, 도 6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draw tube 1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21 that is formed through the axial direction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chuck 110 to clamp or unclamp the chuck 110 . That is, the draw tube 120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o clamp or unclamp the chuck 110 . Moving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means moving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chuck 110 (ie, moving to the left in FIG. 6 ), and moving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is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huck 110 ,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ie, moving to the right in FIG. 6 ).

척킹실린더(130)는 스핀들 바디(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드로우튜브(120)의 후방과 연결되어 드로우튜브(120)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hucking cylinder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2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raw tube 120 to move the draw tube 120 forward and backward.

구체적으로 척킹실린더(130)는 스핀들 바디(2)의 후방에 설치되어 스핀들 바디(2)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드로우튜브(12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게 되고, 드로우튜브(12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의해 드로우튜브(120가 척(11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게 된다. 또한, 드로우튜브(120가 척(11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게 되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되는 척(110)의 동작에 의해 척(110)이 공작물(5)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chucking cylinder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2 to move the draw tube 120 disposed through the spindle body 2 forward or backward, and the draw tube 120 moves forward or backward. The draw tube 120 clamps or unclamps the chuck 110 by the Chuck 110 clamps or unclamps workpiece 5 .

척킹실린더(130)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중공부(131)를 구비하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hucking cylinder 130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131 that is formed through the axial direction therei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operated by an inflow or outflow hydraulic press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토출유닛(200)은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5)을 척(110)에서 배출하기 위해 척킹유닛(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5)을 제거하는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가공공정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discharging unit 20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to be installed in the chucking unit 100 in order to discharge the processed workpiece 5 from the chuck 110 This is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machining process by minimizing the non-working time to remove the completed work (5).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토출유닛(200)은 하우징부(210), 샤프트부(220), 제1 지지부(230) 및 제2 지지부(240)를 포함한다. 2 to 6 , the discharge unit 200 includes a housing part 210 , a shaft part 220 , a first support part 230 , and a second support part 2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하우징부(210)는 스핀들 바디(2)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우징부(210)는 척킹실린더(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The housing 21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2 and the housing 21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 .

하우징부(221)는 샤프트부(220)의 일부 특히 샤프트 부(220)의 후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압에 의해 샤프트부(220)를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The housing part 221 forms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part of the shaft part 220, particularly the rear of the shaft part 2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formed as a pneumatic cylinder operated by inflow or outflow pneumatic pressure, and the shaft 220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inflow or outflow pneumatic pressure.

또한, 하우징부(221)는 샤프트부(220)와 같은 선상에 중심이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공작물(5)을 정확하게 가압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part 22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center coincides with the shaft part 220 so that the workpiece 5 can be accurately pressed and discharged.

샤프트부(220)는 샤프트부(220)의 후방이 하우징부(2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척킹유닛(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길게 배치된다. The shaft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221 at the rear of the shaft 220 and extends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100 so as to be linearly recipr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샤프트부(220)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샤프트부(220)가 후진하는 경우에는 공작물(5)과 이격되어 공작물(5)이 원활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하며, 샤프트부(220)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공작물(5)을 밀어서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5)을 배출하게 된다.The shaft 22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ved by inflow or outflow pneumatic pressure, and when the shaft 220 moves backward, the workpiece 5 It is spaced apart so that the workpiece 5 can be smoothly processed, and when the shaft 220 moves forward, the workpiece 5 is pushed and the workpiece 5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제1 지지부(230)는 샤프트부(2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드로우튜브(12)의 내주면과 샤프트부(220)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샤프트부(220)의 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support 23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shaft 22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 tube 1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20 It is installed between and serves to support the front of the shaft 220 .

또한, 제1 지지부(2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드로우튜브(12)의 내주면과 샤프트부(220)의 외주면 사이에서 회전하는 드로우 튜브(120)의 회전력이 샤프트부(2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made of a bearing. In this c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aw tube 120 rotating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 tube 1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haft 220 .

그리고 제1 지지부(230)는 샤프트부(22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경우에 샤프트부(220)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And when the shaft part 220 moves forward or backward, the first support part 230 moves forward or backward together with the shaft part 2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제2 지지부(240)는 샤프트부(2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샤프트부(220)의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support part 24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so as to be located in the rear of the shaft part 220, the shaft part ( 220) serves to support the rear.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지지부(240)는 베어링부(241), 베이스부(242), 및 캡부(248)를 포함한다. 2 to 9 , the second support part 240 includes a bearing part 241 , a base part 242 , and a cap part 248 .

베어링부(241)는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어링부(241)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이란 고온, 저온, 부식성 환경, 이물질 유입, 충격하중 및 진동, 구조상 급유가 불가능한 지점 등 급유의 공급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부분 또는 급유를 하여도 효과가 없는 부분에 급유없이 베어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급유인력 및 비용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용조건에 따라 나무재질,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earing part 241 may be formed of a bearing, and in particular, may be formed of an oilless bearing. Oilless bearings are bearings without lubrication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supply oil, such as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corrosive environment, ingress of foreign substances, shock load and vibration, and structurally impossible points, etc. It can reduce the manpower and cost for refueling and improve productivity,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wood, metal, plastic, and ceramic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use.

또한, 베어링부(241)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샤프트부(22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부(241)는 베이스부(242)의 수용홀(245)에 안착된다.In addition,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so that the shaft part 220 moving forward or backward can move smoothly, and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 ) is seated in the receiving hole 245 of the base portion 242 .

베이스부(242)는 베어링부(241)를 수용한 상태로 샤프트부(2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즉, 베이스부(242)는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부(241)를 수용하여 베어링부(241)를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42)는 본체부(243)와 플랜지부(247)를 포함한다.The base part 24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220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241 is accommodated. That is, the base part 242 serves to accommodate the bearing part 241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to couple the bearing part 241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 Specifically, the base part 242 includes a body part 243 and a flange part 24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베이스부(242)의 본체부(243)는 척킹실린더(13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중공부(131)의 후방에 삽입 설치되는 부분으로 제2 지지부(240)를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243)는 절개부(244), 수용홀(245) 및 스토퍼부(247)을 포함한다.The body part 243 of the base part 242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part 131 that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a part inserted and installed at the rear and serves to couple the second support part 240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 3 to 8 , the body part 243 includes a cutout 244 , an accommodation hole 245 , and a stopper part 247 .

절개부(244)는 베어링부(241)가 샤프트부(220)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243)를 척킹실린더(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본체부(243)의 일부에 개방 형성된다. The cutout 244 is formed open in a part of the body 243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body 243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haft part 220 . do.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부(220)는 샤프트부(220)의 후방이 하우징부(221)에 가결합되어 있으면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척킹실린더(130)의 중공부(131)의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척킹유닛(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길게 배치되도록 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 척킹실린더(130)의 중공부(131)에는 이미 샤프트부(22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ft part 220 is the back of the hollow part 131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so th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220 is linearly reciprocated while being temporarily coupled to the housing part 221 . Since it is inserted through the assembly so as to be disposed lo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100, in this case, the shaft portion 220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31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따라서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하여 샤프트부(220)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할 때 절개부(244)를 통해 샤프트부(220)룰 통과하여 본체부(243)와 샤프트부(220)가 직접적으로 충돌되어 걸리지 않도록 해야한다.Therefore, in order to insert the main body 243 in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o support the shaft 220, when inserting the main body 243 in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hrough the cutout 244 . The shaft part 220 must pass through the rule so that the body part 243 and the shaft part 220 do not directly collide with each other.

즉,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할 때 절개부(244)를 통해 샤프트부(220)가 통과되도록 하여 이미 척킹유닛(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길게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부(220)를 다시 제거하거나 재조립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 지지부(240)를 교체하거나 탈착하는 경우에도 이미 척킹유닛(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길게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부(220)를 다시 제거하거나 재조립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절개부(244)를 통해 샤프트부(220)와의 간섭없이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서 본체부(243)를 탈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in body 243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he shaft 220 is passed through the cutout 244, so that i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is disposed long. The body part 243 can be conveniently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without the need to remove or reassemble the shaft part 220 again, and even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240 is replaced or detached as necessary. The chucking cylinder 13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shaft 220 through the cutout 244 conveniently without the need to remove or re-assemble the shaft 220 that has already penetrated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is long.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body portion 243 from the rear of the.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후방을 지지함에 따라 샤프트부와 하우징부가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부가 스핀들의 주축 회전체 내부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를 용이하게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생산성 및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such,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to support the rear of the shaft part, so that the shaft part and the housing part can be precisely installed so that they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spindle axis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upport part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while the shaft part is temporarily assembled inside the main shaft rotating body of the spindle, assembly is convenient, so that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promoted, and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수용홀(245)은 본체부(243)가 척킹실린더(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베어링부(241)를 수용하도록 베어링부(241)에 대응하여 본체부(243)에 형성된다. The accommodating hole 245 is formed in the body part 243 to correspond to the bearing part 241 to accommodate the bearing part 241 when the body part 24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

구체적으로, 수용홀(245)은 절개부(244)와 연통되어 있으며 샤프트부(220)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부(2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부(24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입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hole 245 communicates with the cutout 244 and is re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aring portion 241 so that the bearing portion 241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haft portion 220 can be seated. do.

즉,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할 때 절개부(244)를 통해 샤프트부(220)가 통과되고,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베어링부(241)는 공작물 토출장치(1)의 조립이 완료되면 종국적으로 수용홀(245)에 수용된다.That is, when the main body 243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 the shaft part 220 passes through the cutout 244 , and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 ) is final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245 when the assembly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is completed.

스토퍼부(247)는 베어링부(241)가 본체부(243)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홀(245)의 전방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topper part 247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accommodation hole 245 in order to prevent the bearing part 241 from being separat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part 243 .

즉, 스토퍼부(247)는 공작물 토출장치(1)의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부(241)가 본체부(243)의 수용홀(245)에 수용된 경우에 베어링부(241)가 본체부(243)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베어링부(241)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topper part 247 is a bearing when the bearing part 241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245 of the body part 243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 It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bearing part 241 so that the part 241 does not deviate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243 .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스토퍼부(247)의 두께(도 5에서 t)는 베어링부(241)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 the thickness (t in FIG. 5 ) of the stopper part 247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bearing part 241 .

만약, 스토퍼부(247)의 두께(도 5에서 t)가 베어링부(241)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스토퍼부(247)의 두께(도 5에서 t)가 베어링부(241)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토퍼부(247)가 샤프트부(22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샤프트부(220)가 전후진 이동하게 될 때 스토퍼부(247)와 마찰되면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샤프트부의 전후진 동작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샤프트부의 오작동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키며, 종국적으로 제기능을 상실하여 공작기계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thickness (t in FIG. 5) of the stopper part 247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T of the bearing part 241, or the thickness (t in FIG. 5) of the stopper part 247 is the bearing part 241. In the case of being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T of It cannot move properly, impairing the stability of the forward/backward operation of the shaft, generating noise due to malfunction of the shaft, and eventually losing its function, which may impair the durability of the machine tool.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수용홀(도 5에서 l)의 직경은 베어링부의 외경(L)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hole (l in FIG. 5) of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L) of the bearing part.

만약, 수용홀(도 5에서 l)의 직경이 베어링부(241)의 외경(L)보다 작은 경우에는 베어링부(241)가 수용홀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지 못하여 고속회전하는 스핀들이나 샤프트부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제2 지지부(240)의 베이스부(242)가 척킹실린더(130)에서 이탈되어 샤프트부의 양단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샤프트부 및 하우징부의 중심이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하여 정밀가공이 이루어지지않아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hole (l in FIG. 5)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L) of the bearing part 241, the bearing part 241 cannot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hole, and the spindle or shaft rotating at high spee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s the base part 242 of the second support part 240 is separated from the chucking cylinder 130 by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movement and cannot firmly support both ends of the shaft part, the center of the shaft part and the housing part moves in the spindle axial direction. Since precision machining is not performed by operating in a state that is not identically positioned 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베이스부(242)의 플랜지부(247)는 본체부(242)를 척킹실린더(130)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부(242)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flange portion 247 of the base portion 242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portion 242 to fix the body portion 242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 is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즉, 플랜지부(247)는 척킹실린더(130)의 중공부(131) 후방에 본체부(243)를 삽입하는 경우에 본체부(243)가 척킹실린더(130) 후방부분에 배치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247)는 척킹실린더(130)의 중공부(131)에 삽입되지 않고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 접촉 결합된다. That is, the flange portion 247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body portion 243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hollow portion 131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he main body portion 243 is disposed and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The flange part 247 is not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31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but is contact-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

또한, 플랜지부(247)를 통해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척킹실린더(130)와나사결합하여 베이스부(242)를 척킹실린더(130)에 견고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242 can be firmly coupled and fixed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by screwing with the chucking cylinder 130 using bolts and nuts through the flange portion 24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1)의 제2 지지부(240)는 베어링부(241)가 베이스부(242)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242)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부(2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24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242 to prevent the bearing portion 241 from being separated to the rear of the base portion 242. It may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248 that is detacha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캡부(248)는 베어링부(241)가 샤프트부(220)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홀(245)에 베어링부(241)가 삽입된 경우에 베어링부(241)가 베어링부(241)가 베이스부(242)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부(248)의 일부는 베어링부(241)와 접촉된다. Referring to FIG. 9 , specifically, the cap part 248 is a bearing part 241 when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245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24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haft part 220 . A portion of the cap part 248 is in contact with the bearing part 241 so that the temporary bearing part 241 is not separated to the rear of the base part 242 .

또한, 캡부(248)는 베어링부(241)와 접촉되어 베어링부(241)는 고정하되 캡부(248)에 의해 샤프트부(220)의 전후진 이동이 방해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220)와는 접촉되지 않게 일부가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249)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ap part 248 is in contact with the bearing part 241 to fix the bearing part 241 , but the shaft part 220 to preven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aft part 220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cap part 248 . ) and an opening 249 in which a part is formed openly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it.

도 9를 참조하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 캡부(248)의 개방부(249)는 개방된 형상이 도 9에서 윗부분은 베이스부(242)의 절개부(244)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아랫부분은 베이스부의 수용홀의 전방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경우에 베어링부(241)의 이탈은 방지하면서 동시에 샤프트부의 전후진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open portion 249 of the cap portion 248 has an open shape,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he same as the cut portion 244 of the base portion 242 in FIG. 9 , and the lower portion is radially in front of the receiving hole of the base portion. The stopper extending inward along the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ormed stopper. When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earing part 241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aft part.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스핀들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는 샤프트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구비하여 긴 샤프트부의 양단을 균형있게 지지함으로서 샤프트부의 자중에 의해 샤프트부가 흔들리거나 샤프트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샤프트부의 전후진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샤프트부의 오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며, 강성을 증대하여 공작기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spindl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long shaft portion in a balanced manner, so that the weight of the shaft portion By preventing the shaft from shaking or the shaft from being bent, the stability of the forward/backward operation of the shaft can be improved, the noise caused by malfunction of the shaft can be reduced, and the durability of the machine tool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의 제2 지지부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assembling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샤프트부(220)의 후방에 하우징부가(210) 가조립(볼트체결이 반쯤되어 있는 상태)되어 있는 상태에서 먼저 베어링부(241)를 샤프트부(220)의 외주면에 삽입설치한 뒤, 샤프트부(220)를 척킹실린더(130)의 후방에서 척킹실린더(130)의 중공부(131)로 삽입하여 샤프트부(220)를 척킹유닛(100)의 내부에 임시로 배치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part 210 is temporarily assembl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220 (in a state in which the bolts are half fastened), the bearing part 241 is first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220, and then the shaft part ( 220 )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131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from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130 , and the shaft part 220 is temporarily disposed inside the chucking unit 100 .

베이스부(242)를 본체부(243)의 절개부(244)를 통해 샤프트부(220) 부분(척킹실린더(130)와 하우징부(210) 사이의 샤프트부(220))으로 넣은 후 본체부(243)의 수용홀(245)에 베어링부(241)를 안착시킨다.After inserting the base part 242 into the shaft part 220 part (the shaft part 220 between the chucking cylinder 130 and the housing part 210) through the cutout 244 of the body part 243, the main body part The bearing part 241 is seated in the receiving hole 245 of the 243 .

베어링부(241)가 본체부(243)의 수용홀(245)에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41)의 플랜지부(247)를 통해 척킹실린더(130)의 후방과 볼트체결을 하여 베이스부(242)를 척킹실린더(130)에 결합고정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241 is seated in the receiving hole 245 of the body part 243, the base part ( 242)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hucking cylinder 130 .

개방부(249)에 샤프트부(220)를 넣은 상태로 캡부(248)를 플랜지부(247)와 볼트체결하여 캡부(248)를 베이스부(242)에 결합고정한다. The cap part 248 is bolted to the flange part 247 while the shaft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249 to couple and fix the cap part 248 to the base part 242 .

긴 샤프트부의 전방은 제1 지지부를 통해 샤프트부의 후방은 제2 지지부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하여 샤프트부의 축방향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가 조립되어 있는 하우징부를 완전히 볼트체결하여 하우징부를 결합고정한다.The front of the long shaft part is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shaft part is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par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shaft part is align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housing part is fully bolted to fix the housing part.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는 샤프트부의 전후진 구동을 위해 스핀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부의 무게에 의해 샤프트부의 후방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가 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부에 인접하도록 제2 지지부가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결합 설치하여 샤프트부 및 하우징부의 중심이 스핀들 축방향에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중심을 맞춘 후 하우징부를 완전하게 조립함에 따라 하우징부가 쳐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어 토출장치의 정확한 작동을 구현하여 공작물 가공의 정확도를 높여 공작물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such, i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part is assembled in order to prevent the rear of the shaft part from sagging by the weight of the housing pa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spindle for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of the shaf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is installed adjacent to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quality of the work piece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machining the work piece by realizing the precise opera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공작물 토출장치, 100 : 척킹유닛,
110 : 척, 120 : 드로우 튜브,
130 : 척킹실린더, 200 : 토출유닛,
210 : 하우징부, 220 : 샤프트부,
230 : 제1 지지부, 240 : 제2 지지부,
241 : 베어링부, 242 : 베이스부,
228 : 캡부.
1: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100: chucking unit,
110: chuck, 120: draw tube,
130: chucking cylinder, 200: discharge unit,
210: housing part, 220: shaft part,
230: first support, 240: second support,
241: bearing part, 242: base part,
228: cap.

Claims (7)

스핀들 바디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척과 스핀들 바디의 후방에 설치되는 척킹실린더와 상기 척과 척킹실린더 사이에서 상기 스핀들 바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드로우튜브를 구비하는 척킹유닛; 및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상기 척에서 배출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스핀들 바디의 후방에서 상기 척킹실린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
후방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척킹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로우튜브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척킹실린더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
A chucking unit having a chuck installed in front of the spindle body to clamp or unclamp a workpiece, a chuck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nd a draw tube disposed between the chuck and the chucking cylinder to pass through the spindle body; and
Including; a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the finished workpiece from the chuck;
The discharge unit is
a housing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chucking cylinder at the rear of the spindle body;
a shaft part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hucking unit so that the rear is coupled to the housing part and linearly reciprocated;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 tub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part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haft part; and
and a second support part detachably coupled and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chucking cylinder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haf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샤프트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upport part,
a bearing part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art; and
and a base part disposed behind the shaft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part is accommod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척킹실린더의 중공부의 후방에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척킹실린더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part,
a body part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hollow part of the chucking cylinder; and
and a flange part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to fix the body part to the chucking cylin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척킹실린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척킹실린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베어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part,
a cutout formed in an open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etachably couple the main body to the chucking cylinder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un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haft; and
and an accommodating hole formed in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ar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bearing portion when the main body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ucking cylin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홀의 전방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part,
and a stopper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front of the receiving hole in a radial direction to prevent the bear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의 두께는 상기 베어링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의 직경은 상기 베어링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part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aring part,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hole is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토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upport part,
In order to prevent the bear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to the rear of the base part, a cap part detacha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se part;



KR1020210004390A 2021-01-13 2021-01-13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KR202201022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390A KR20220102254A (en) 2021-01-13 2021-01-13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390A KR20220102254A (en) 2021-01-13 2021-01-13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54A true KR20220102254A (en) 2022-07-20

Family

ID=8260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390A KR20220102254A (en) 2021-01-13 2021-01-13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25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121A (en) 2015-05-19 2016-11-2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Sub-spi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121A (en) 2015-05-19 2016-11-2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Sub-spi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8927B1 (en) Rotary transfer indexing machine
US20240051037A1 (en) Tool clamp device and machine tool
EP2554301A1 (en) Spindle device of a machine tool
KR102427733B1 (en) Tool turret of machine tool
EP3375565A1 (en) Machine tool
EP3513905B1 (en) Spindle apparatus for use in machine tool, in particular a lathe, and machine tool with such spindle apparatus
CN114630740A (en) Workpiece holding device
EP3769883B1 (en) Lathe
JP2009233786A (en) Spindle unit allowing both spindle for tool and spindle for chuck to be attached thereto
US20100166519A1 (en) Clamping method for workpiec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mpressor or turbine wheels
JP6891287B2 (en) Geographic adapters for use in machine tools, as well as geographic clamp systems
KR20220102254A (en)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US20030223834A1 (en) Spindle assembly for machine tool
CN109843483B (en) Spindle unit and machine tool
WO2021084885A1 (en) Cutting tool rest and machine tool
KR101912081B1 (en) A pallet clamping device of machining center
JP7213114B2 (en) Toolholders and machine tools
KR20210133815A (en) Tail stock of machine tool
WO2022059118A1 (en) Tool turret
CN111347350B (en) Curve feeding mechanism
KR101889805B1 (en) Rear Stopper Jig for Lathe
KR20210126444A (en) Workpiece eje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KR20210133809A (en) Chucking apparatus of machine tools
KR20230120322A (en) Pallet positioning device of machine tool
KR20220085923A (en) Tool head of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