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959A -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959A
KR20220101959A KR1020210004081A KR20210004081A KR20220101959A KR 20220101959 A KR20220101959 A KR 20220101959A KR 1020210004081 A KR1020210004081 A KR 1020210004081A KR 20210004081 A KR20210004081 A KR 20210004081A KR 20220101959 A KR20220101959 A KR 2022010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lightning current
related data
arres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선통신
오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선통신, 오석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선통신
Priority to KR102021000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959A/ko
Publication of KR2022010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낙뢰에 따른 뇌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링하고, 피뢰기 등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은,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장착된 뇌전류센서와; 상기 뇌전류센서에 감지된 전류값을 기초로 관련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뇌전류센서는,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지 못하는 전류는 감지하지 않고, 상기 피뢰기를 통과한 고전력의 뇌전류만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 SWITCHBOARD HAVING MONITORING FUNCTION }
본 발명은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낙뢰에 따른 뇌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링하고, 피뢰기 등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뇌운이 가진 전하를 공기절연파괴를 통해 대지로 방출하는 현상이며, 이 과정에서 전자장이 발생하여 대기중을 전파하게 된다.
낙뢰발생의 위치를 분석하는 기술은 뇌운의 활동과 이동경로, 낙뢰의 발생을 예지하여 건축물과 전력설비에서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 대책의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낙뢰 경보 시스템은, 임의의 구역에 낙뢰 감지기를 설치하고, 낙뢰 발생 시, 설치된 낙뢰 감지기로부터 수집된 각종 낙뢰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여, 낙뢰 경보 또는 낙뢰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기관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낙뢰 등에 의해 전자기기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뢰기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낙뢰 발생시 낙뢰에 따른 고전력의 뇌전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 불충분하였고, 단순히 피뢰기를 장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피뢰기의 수명 및 교체시기 등을 미리 알려주는 정보가 없어 피뢰기의 고장시 큰 피해를 발생하였다.
공개특허 10-2015-0043729 공개특허 10-2020-013789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낙뢰 등에 따른 고전력의 뇌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 및 분석하여 외부로 알림으로서 관리자가 관련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전력의 뇌전류에 따른 각종 부품(전기회로 등)의 수명 및 교체시기 등을 미연에 알려 고장에 따른 사고 또는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은,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장착된 뇌전류센서와; 상기 뇌전류센서에 감지된 전류값을 기초로 관련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뇌전류센서는,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지 못하는 전류는 감지하지 않고, 상기 피뢰기를 통과한 고전력의 뇌전류만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데이터는, 뇌전류의 발생시기, 크기, 형태,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회로부 또는 피뢰기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과거에 뇌전류가 발생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관련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알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낙뢰 등에 따른 고전력의 뇌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함으로서, 관리자가 뇌전류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회로부 및/또는 피뢰기의 수명 및/도는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서, 고장에 따른 사고 또는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의 구성도.
본 발명의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회로부(1)와, 케이블(2)과, 피뢰기(3)와, 뇌전류센서(4)와, 제어부(5)와, 정보저장부(6)와, 디스플레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회로부(1)는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공지된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블(2)은 상기 전기회로부(1)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회로부(1)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피뢰기(3)는 일단이 상기 전기회로부(1)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블(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다.
상기 피뢰기(3)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것을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블(2)을 통해 일상적인 크기의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뢰기(3)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전기회로부(1)로 공급된다.
상기 케이블(2)을 통해 낙뢰에 따른 뇌전류와 같은 고전력의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뢰기(3)를 통과하여 접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낙뢰 등에 따른 뇌전류 발생시 상기 전기회로부(1)가 높은 전압, 전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뇌전류센서(4)는 상기 피뢰기(3)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뇌전류센서(4)는, 상기 피뢰기(3)를 통과하지 못하는 전류는 감지하지 않고, 상기 피뢰기(3)를 통과한 고전력의 뇌전류만을 감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뇌전류센서(4)가 상기 피뢰기(3)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장착되어, 고전력, 고전류의 뇌전류만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뇌전류센서(4)가 저전압, 저전류를 감지하지 않게 되어 상기 뇌전류센서(4)의 사용에 따른 빠른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전류센서(4)는 상기 피뢰기(3)를 통과한 고전력만을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작비용 및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뇌전류센서(4)에 감지된 전류값을 기초로 관련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관련데이터는, 뇌전류의 발생시기, 크기, 형태, 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6)는 상기 관련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7)는 상기 관련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정보저장부(6) 및 디스플레이(7)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7)를 통해 상기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전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기회로부(1) 및/또는 피뢰기(3)의 수명 및/또는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7)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즉, 낙뢰에 따른 고전력이 상기 전기회로부(1) 및/또는 피뢰기(3)로 전달될 경우, 상기 뇌전류센서(4)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에서는 상기 뇌전류센서(4)에 감지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낙뢰 등에 따른 뇌전류의 빈도, 크기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배전만 및/또는 피뢰기(3)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미리 알려주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전기회로부(1) 및/또는 피뢰기(3)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미리 알려주도록 함으로서, 상기 전기회로부(1) 및/또는 피뢰기(3)의 고장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과거에 뇌전류가 발생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관련데이터를 디스플레이(7)를 통해 외부로 알린다.
이와 같이 저장된 과거의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낙뢰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를 미리 외부로 알림으로서, 관리자 등이 사전에 보호 조치 등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낙뢰 등에 따른 고전력의 뇌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7)를 통해 외부로 표시함으로서, 관리자가 뇌전류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회로부(1) 및/또는 피뢰기(3)의 수명 및/또는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서, 고장에 따른 사고 또는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전기회로부, 2 : 케이블, 3 : 피뢰기, 4 : 뇌전류센서, 5 : 제어부, 6 : 정보저장부, 7 : 디스플레이.

Claims (4)

  1.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피뢰기와;
    상기 피뢰기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장착된 뇌전류센서와;
    상기 뇌전류센서에 감지된 전류값을 기초로 관련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관련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뇌전류센서는,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지 못하는 전류는 감지하지 않고, 상기 피뢰기를 통과한 고전력의 뇌전류만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관련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관련데이터는, 뇌전류의 발생시기, 크기, 형태,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회로부 또는 피뢰기의 수명 및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과거에 뇌전류가 발생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관련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0210004081A 2021-01-12 2021-01-12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220101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81A KR20220101959A (ko) 2021-01-12 2021-01-12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81A KR20220101959A (ko) 2021-01-12 2021-01-12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59A true KR20220101959A (ko) 2022-07-19

Family

ID=8260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081A KR20220101959A (ko) 2021-01-12 2021-01-12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95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729A (ko) 2013-10-15 2015-04-23 선광엘티아이(주) 낙뢰 경보, 예방 시스템
KR20200137893A (ko) 2019-05-31 2020-12-09 이엠아이솔루션즈(주) 고신뢰성 지능형 낙뢰 경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729A (ko) 2013-10-15 2015-04-23 선광엘티아이(주) 낙뢰 경보, 예방 시스템
KR20200137893A (ko) 2019-05-31 2020-12-09 이엠아이솔루션즈(주) 고신뢰성 지능형 낙뢰 경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9305A1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US10690709B2 (en) System for monitoring resistance and current in ground line
KR101521134B1 (ko) 낙뢰 경보, 예방 시스템
US9324527B2 (en) Arc monitor
KR102177564B1 (ko)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2099688B1 (ko) 화재예방과 구조물 안전예방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KR101516776B1 (ko) 접지 시스템 진단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진단 시스템
JP2007202298A (ja) 開閉装置
KR20120064042A (ko) 차단기 상태를 이용한 아크 이벤트 검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389844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보호 계전 시스템
KR102234242B1 (ko)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220101959A (ko) 뇌전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배전반
JP4432081B2 (ja) 直流電力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US9146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ircuit breaker operation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KR102328806B1 (ko)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0907657B1 (ko)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무접점 릴레이 장치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CN110412416A (zh) 一种配电线路故障录波方法和系统
KR101631997B1 (ko) 이중 서지 보호 기능과 누설전류 제어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10571032U (zh) 一种用于受限空间的热灾害检测装置
KR101307470B1 (ko) 아크플래시 감지 맨 머신 인터페이스
KR20170022450A (ko) 과도전압으로 인한 기기손상 및 절연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부하차단이 가능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