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676A -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676A
KR20220101676A KR1020227020138A KR20227020138A KR20220101676A KR 20220101676 A KR20220101676 A KR 20220101676A KR 1020227020138 A KR1020227020138 A KR 1020227020138A KR 20227020138 A KR20227020138 A KR 20227020138A KR 20220101676 A KR20220101676 A KR 2022010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rge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솽청 치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1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본 출원은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상기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21092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이 점점 풍부해지고 서로 다른 전자 장치 간의 기능 공유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그 일반적인 공유 요구의 예로는 애플리케이션 공유이다.
현재, 전자 장치 간의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즉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두 개의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을 이룰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가 다른 장치의 데스크톱을 제어하는 데, 이때 데스크톱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하나의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로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유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한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이 장치에서 조작할 수 없게 되어 장치 활용률이 떨어진다.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에서 장치 활용률이 떨어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상기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처리 모듈;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 따르면,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데, 이때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조작,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기타 기능적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공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구축된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면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다른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아,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제1 전자 장치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해야 할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흐름도(1)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흐름도(2)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1)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3)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4)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5)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6)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1)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7)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도(2)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모식도(1)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설명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체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의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통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에 적용하고,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101):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전자 장치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에는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데,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은 각자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치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에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즉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먼저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여러 개의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받을 타겟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 즉 타겟 장치 정보도 결정해야 한다.
단계(102):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이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데, 이때 제1 전자 장치와 타겟 전자 장치의 연결을 구축해야 한다. 즉,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데, 즉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가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된다.
단계(103):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한다.
가상 스크린에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할 수 있고,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것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이므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공유가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 따르면, 공유할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가 가상 스크린에 표시되는 데,이때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조작,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기타 기능적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공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가 구축된 가상 스크린에 표시되기 때문에,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면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다른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아,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조작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타겟 전자 장치는 각각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먼저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 후,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데, 즉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여전히 실행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조작,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기타 기능적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제1 애플리케이션 공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 예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포어그라운드로부터 가상 스크린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고, 이로써 포어그라운드는 실행 인터페이스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게 되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백그라운드에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백그라운드에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며, 가상 스크린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가상 스크린에 표시하는 데, 다시 말하면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여전히 실행되고 있다. 가상 스크린이 백그라운드에서 구축되는 데, 즉 가상 스크린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가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되고, 다시 말하면 실행 인터페이스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조작,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기타 기능적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공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 예로,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작동되고, 작동 후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되는 데, 즉 애플리케이션의 공유 과정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할 필요가 없고,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을 구축한 후 백그라운드에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며, 백그라운드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하게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한 제1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201);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202);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한 제1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203);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04);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205);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206);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단계(204)는 상기 단계(101)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에 대응되고, 단계(205 ~ 206)는 상기 단계(102 ~ 103)에 일일이 대응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에서 제1 조작을 수행하고, 제1 전자 장치가 제1 조작을 수신받으면 사용자가 확인하고 선택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이름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서 하나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데, 이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바로 선택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이다. 일 예로,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제1 프롬프트 창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하도록 사용자는 제1 프롬프트 창에서 타겟 식별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전자 장치의 스크린에서의 제2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된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제3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조작은 스크린에서 조작을 수행하여 제어창을 불러온 다음, 제어창에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조작 및 제3 조작을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조작은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조작은 스크린에서 제1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조작, 상태 표시줄에 대한 풀다운 조작, 또는 스크린에서 플로팅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은 상기 제어창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는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창을 표시할 수 있고, 그 다음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유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알 수 있도록 업데이트된 이름을 제어창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이 "애플리케이션 공유"이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 X이면,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은 “공유 애플리케이션 X” 일 수 있는 바, 이는 사용자가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확인하는 데 편리하도록 한다. 일 예로, 응답 조작을 수신받으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데, 즉 이름 업데이트와 제어창의 표시가 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제어창이 표시된 후 업데이트된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4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제4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 중의 타겟 장치 정보에 대한 제2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타겟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제2 전자 장치의 이름 등과 같은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받을 하나의 전자 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타겟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서 선택한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타겟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차후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수신받을 타겟 전자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장치를 스캔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의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연결 가능한 장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 가능한 제2 전자 장치를 스캔할 수 있는 데, 이때 제2 전자 장치의 블루투스 기능도 활성화되어 있고,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는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거리 범위 내에 있어야만 제1 전자 장치가 블루투스를 통해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제2 전자 장치를 스캔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받은 후에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면,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한 후 제4 조작을 수신한 다음, 타겟 장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데, 즉 이름을 업데이트한 후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4 조작은 이름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의 제4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전자 장치의 스크린에서의 제2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된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제4 조작(예컨대, 클릭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조작은 제4 조작을 수행한 후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과 같은 조작이다.
일 예로, 제4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제2 프롬프트 창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하도록 사용자는 제2 프롬프트 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타겟 전자 장치로 제1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타겟 전자 장치가 제1 요청에 따라 송신한 확인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타겟 전자 장치를 결정한 후,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전자 장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을 구축해야 한다. 즉, 먼저 타겟 전자 장치로 제1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전자 장치가 제1 요청을 수신받으면 수락 컨트롤과 거절 컨트롤이 포함된 제3 프롬프트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락 컨트롤을 클릭하면, 타겟 전자 장치는 수락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을 수신받고, 제1 전자 장치로 제1 전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수락하겠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거절 컨트롤을 클릭하면, 타겟 전자 장치는 거절 컨트롤에 대한 클릭조작을 수신받고, 제1 전자 장치로 제1 전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거절하겠다는 것을 나타내는 거절 정보를 송신한다. 타겟 전자 장치가 제1 요청에 따라 송신한 확인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타겟 전자 장치와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자 장치가 장치 A이고, 제1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X이고,타겟 전자 장치가 장치 C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장치 A의 스크린에 메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A에서 애플리케이션 공유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관한 바로가기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장치 A의 컨트롤 센터에는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관한 바로가기 항목이 있고,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스크린에서 상태 표시줄을 풀다운하거나, 스크린에서 위로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스크린의 플로팅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창(컨트롤 센터로 이해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창에는 “애플리케이션 공유”라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는 데, 이는 바로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관한 바로가기 항목이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기능 공유 기능을 이룰 수 있는 데,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공유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조작함으로써 타겟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결정 및 타겟 전자 장치에 대한 결정 등을 구현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수신받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타겟 장치 정보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장치 A의 제어창에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클릭 조작을 수행하고, 이 클릭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장치 A에 설치되어 있는 공유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나열한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식별정보 리스트로 이해할 수 있음)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X, 애플리케이션 Y 및 애플리케이션 Z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이름은 각각 X, Y 및 Z에 대응된다.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름은 애플리케이션 공유)이 포함된 제1 프롬프트 창이 팝업될 수 있으며, 제1 프롬프트 창에는 애플리케이션 X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Y의 이름 및 애플리케이션 Z의 이름이 더 포함되어 있고, 제1 프롬프트 창에는 사용자에게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세요”라는 안내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X를 공유하려면, 표시된 식별정보 리스트에서 애플리케이션 X의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브라우징하여 찾아냄으로써 타겟 애플리케이션 X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롬프트 창에는 검색 상자가 더 포함되어 있는 데, 사용자는 검색 상자에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하고,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찾아냄으로써 타겟 애플리케이션 X를 결정할 수 있다. 타겟 애플리케이션 X를 결정한 후, 애플리케이션 X의 애플리케이션 이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공유 애플리케이션 X"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컨트롤 센터에서 이름이 "공유 애플리케이션 X"로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장치 스캔을 시작하고, 블루투스, WIFI P2P(Wireless Fidelity Peer-to-Peer), 네트워크 서버 또는 이력 기록 등을 통해 이름이 각각 B, C, D와 같은 연결 가능한 3개의 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장치의 장치 이름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된 장치 이름에서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수행할 장치 이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치 이름 C를 클릭하면, 장치 C를 애플리케이션 공유받을 장치로 선택하게 된다. 장치 C가 근거리에 있으면, 블루투스, WIFI P2P 또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장치 C가 원거리에 있으면,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장치 A가 장치 C로 제1 요청을 송신하고, 장치 C가 제1 요청을 수신받으면 장치 C에는 수락 컨트롤 및 거절 컨트롤이 포함된 제3 프롬프트 창이 표시될 수 있다(도 9 참조). 수신자가 장치 C에서 수락 컨트롤을 클릭하면 연결 구축을 확인하는 데, 즉 장치 A로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장치 A가 확인 정보를 수신받으면 장치 C와 연결을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장치 A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준비를 하는 데, 구체적으로 장치 A는 백그라운드에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이때 가상 스크린은 메인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으며(즉,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는 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됨을 나타냄), 백그라운드에서 애플리케이션 X를 작동시키고, 애플리케이션 X의 실행 인터페이스는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하게 된다.
장치 A는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장치 C로 공유할 수 있다. 장치 C는 표시된 내용을 수신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즉 메인 스크린)에서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수신받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재생하여 애플리케이션 X의 공유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어,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백그라운드에서 구축된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스크린 녹화를 수행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함으로써, 두 장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보고 사용할 수 있으며, 두 장치의 진도가 동기화되어 위지위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과정에서 장치에서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공유 연결을 유지하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유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언제든지 포어그라운드로 돌아가 실행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 공유 수신자의 체험을 확보하면서 애플리케이션 공유자가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논리가 자연스럽고 효율적이며 장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1201);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처리 모듈(1202);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공유 모듈(1203);을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1200)를 더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는,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수신 모듈은,
제1 조작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모듈;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한 제1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신 모듈은,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제2 조작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된 제어창을 표시하는 제어창 표시 모듈;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제3 조작을 수신하는 제3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제어창 표시 모듈이 제어창을 표시한 후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은 제어창에 표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며,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출원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13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네트워크 모듈(1302), 오디오 출력 유닛(1303), 입력 유닛(1304), 센서(1305), 디스플레이 유닛(1306), 사용자 입력 유닛(1307), 인터페이스 유닛(1308), 메모리(1309), 프로세서(1310), 및 전원(1311)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자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전자 장치 구조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부품, 일부 부품의 조합, 또는 서로 다른 부품 배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용 모바일 단말, 웨어러블 장치 및 보수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1310)는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 스크린이 백그라운드에서 구축되기 때문에, 가상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조작,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기타 기능적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타겟 애플리케이션 공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전자 장치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가 가상 스크린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제1 전자 장치의 다른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는 여전히 제1 전자 장치에서 조작할 수 있어, 제1 전자 장치의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310)로 송신하여 처리하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1302)을 통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 예를 들어 이메일의 발수신, 웹 서핑, 및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3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전자 장치(500)에서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착신음, 메시지 착신음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스피커, 버저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3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3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3041) 및 마이크(13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장치(13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나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13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장치(13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309)(또는 다른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13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에 의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600)가 귀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3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소등시킬 수 있다. 모션 센서의 하나로 가속도계 센서는 모든 방향(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경우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자세(예컨대, 가로 및 세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탭핑)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13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3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306)은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을 포함할 수 있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터치 패널(13071) 및 다른 입력 장치(13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진행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3071)에서 또는 터치 패널(13071) 근처에서 진행한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감지 전자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의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지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전자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접촉 지점의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310)에 송신한 후 프로세서(1310)로부터 송신한 명령을 수신하고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3071)은 저항형, 정전 용량형,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 외에도,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다른 입력 장치(13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13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컨대 볼륨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나아가, 터치 패널(13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3061)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13071)은 그에 대한 터치 조작 또는 그 근처에서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도록 이를 프로세서(13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3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에서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3에서, 터치 패널(13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은 2개의 독립적인 두개의 부품으로서 전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3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을 집적화하여 전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500)를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연결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받은 입력을 전자 장치(500)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로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5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3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13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구역 및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구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구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른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10)는 전자 장치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3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13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비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3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3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화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310)와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311; 예컨대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311)은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3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전력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충전, 방전, 소비 전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6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310) 및 메모리(1309)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메모리(1309)에는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예를 들어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CD-ROM 등이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모듈, 유닛, 서브 모듈, 서브 유닛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DSPD(DSP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에 따른 기능을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구비" 등 용어 또는 이들의 임의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인 뜻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한 프로세스, 방법, 물체 또는 전자 장치는 이러한 구성 요소 뿐만 아니라, 여기에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고유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야 한다. 별도의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를 포함"이라는 표현에 의해 한정된 구성 요소는 해당 구성 요소를 포함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전자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구성 요소의 존재가 배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만으로도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예컨대 ROM/ RAM, 자기 디스크, CD-ROM)에 저장되어 있고, 하나의 전자 장치(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음)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 여러 가지 명령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들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기술적 특징들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그것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계시에 의해 본 출원의 요지, 및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도출할 수도 있는 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제1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상기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한 제1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제1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제2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된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제3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은 상기 제어창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6.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및 타겟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타겟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가상 스크린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처리 모듈;
    상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페이스를 상기 타겟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가상 스크린을 구축하고,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제1 조작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중의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한 제1 선택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제2 조작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조작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이 포함된 제어창을 표시하는 제어창 표시 모듈;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에 대한 제3 조작을 수신하는 제3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표시 모듈이 제어창을 표시한 후에,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기반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컨트롤의 이름은 상기 제어창에 표시되는 제1 전자 장치.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13.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KR1020227020138A 2019-12-02 2020-11-27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20220101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10926.2A CN111049979B (zh) 2019-12-02 2019-12-02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1911210926.2 2019-12-02
PCT/CN2020/132069 WO2021109926A1 (zh) 2019-12-02 2020-11-27 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676A true KR20220101676A (ko) 2022-07-19

Family

ID=7023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138A KR20220101676A (ko) 2019-12-02 2020-11-27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6496A1 (ko)
EP (1) EP4072112A4 (ko)
JP (1) JP2023505129A (ko)
KR (1) KR20220101676A (ko)
CN (1) CN111049979B (ko)
WO (1) WO2021109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979B (zh) * 2019-12-02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45772A (zh) * 2019-12-02 2020-04-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26484A (zh) * 2019-12-02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15404A (zh) * 2020-06-23 2020-10-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虚拟物品分享方法及装置
CN111966267A (zh) * 2020-07-31 2020-11-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评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125546B (zh) 2020-08-27 2023-02-28 荣耀终端有限公司 信息分享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2182673A (zh) * 2020-10-30 2021-01-05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装置及设备
CN112738910B (zh) * 2020-12-30 2023-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738774B (zh) * 2020-12-31 2023-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共享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65830B (zh) * 2021-02-25 2024-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及其装置
CN113608810B (zh) * 2021-08-06 2024-03-08 亿咖通(湖北)技术有限公司 应用分享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3966013B (zh) * 2021-09-13 2023-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间共享信息的方法及共享设备
CN115729502B (zh) * 2022-03-23 2024-02-27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投屏端和显示端的响应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41146A (zh) * 2022-03-28 2022-07-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802113A (zh) * 2022-10-27 2023-03-14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控制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3207B2 (ja) * 1997-08-11 2006-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共同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共同作業支援方法
US20050138566A1 (en) * 2003-12-17 2005-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llaboration data
US20120173622A1 (en) * 2011-01-04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cial screen casting
US10200464B2 (en) * 2012-10-02 2019-02-05 Razer (Asia-Pacific) Pte. Ltd. In-app application casting
US9977413B2 (en) * 2013-03-11 2018-05-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pen windows in a graphical display for a representation of a process system
US20140315489A1 (en) * 2013-04-22 2014-10-23 Htc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shar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05168B1 (ko) * 2013-05-15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70713B2 (en) * 2013-09-27 2016-02-23 Cisco Technology, Inc. Mechanism for compacting shared content in collaborative computing sessions
US9848027B2 (en) * 2015-04-24 2017-12-19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content to nearby displays
US20170104818A1 (en) * 2015-10-07 2017-04-13 Calgary Scientific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sharing content ov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10419583B2 (en) * 2015-11-10 2019-09-17 Bang & Olufsen A/S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content streaming
US20180262793A1 (en) * 2017-03-09 2018-09-13 Google Inc. Reverse Casting from a First Screen Device to a Second Screen Device
US10437549B2 (en) * 2017-05-19 2019-10-08 Vmware, Inc. Selective screen sharing
CN109976821B (zh) * 2017-12-14 2022-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加载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581939B2 (en) * 2018-01-26 2020-03-03 Citrix Systems, Inc. Virtual computing system providing local screen sharing from hosted collaboration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CN109451141B (zh) * 2018-09-26 2021-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控制方法及相关终端
CN109831578A (zh) * 2019-01-21 2019-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及终端
CN109857297B (zh) * 2019-01-31 2020-08-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0471639B (zh) * 2019-07-23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CN110515579A (zh) * 2019-08-28 2019-1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屏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049979B (zh) * 2019-12-02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26484A (zh) * 2019-12-02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9926A1 (zh) 2021-06-10
US20220286496A1 (en) 2022-09-08
JP2023505129A (ja) 2023-02-08
CN111049979B (zh) 2021-04-27
EP4072112A1 (en) 2022-10-12
CN111049979A (zh) 2020-04-21
EP4072112A4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1676A (ko)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N108255378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739354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方法、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WO2019174611A1 (zh) 应用程序的设置方法及移动终端
US20220300302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8762634B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
CN110837327B (zh) 一种消息查看方法及终端
US20220283828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196864A1 (zh) 一种虚拟按键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354017B2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210326479A1 (en) Permission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732494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方法、第1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20210320995A1 (en) Conversation crea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124345A (zh) 一种音频源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CN111078186A (zh) 一种播放方法及电子设备
CN109284146B (zh) 一种轻应用开启方法及移动终端
CN111061404A (zh) 一种控制方法及第一电子设备
CN111061446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8366106B (zh) 通信信息的更新方法、管理方法、修改方法和相关设备
WO2021121093A1 (zh) 图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240551B (zh) 应用程序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142759B (zh) 信息的发送方法及电子设备
CN111142998A (zh) 后台应用的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0928616A (zh) 快捷图标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596842A (zh) 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