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669A -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669A
KR20220101669A KR1020227019985A KR20227019985A KR20220101669A KR 20220101669 A KR20220101669 A KR 20220101669A KR 1020227019985 A KR1020227019985 A KR 1020227019985A KR 20227019985 A KR20227019985 A KR 20227019985A KR 20220101669 A KR20220101669 A KR 2022010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mandrel
wire
inner layer
gui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핑 롱
하오 티안
쥐엔 허우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16Guide wires with mand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3Stents, different from stent-grafts, adapted to cover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0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002/96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with additional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66Guide wires having radio-opaqu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91Guide wires made of twisted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 및 치료 장치에 있어서, 치료 장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 의료용 이식물 및 이송관(20)을 포함한다.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는 맨드릴(110) 및 맨드릴(110) 상에 설치된 구동 부재(120)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120) 상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의료용 이식물은 이송관(20)에 의해 압축되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의료용 이식물은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의료용 이식물과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의료용 이식물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100)를 따라 동기적으로 운동하는 데 유리하고, 이송 난이도가 낮아진다.

Description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본 발명은 의료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개내 동맥류는 대부분 두개내 동맥 관벽 상에 비정상적인 팽창이 일어나는 것으로, 지주막하강 출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뇌혈관 질환에서 두개내 동맥류의 발병률은 뇌혈전증, 고혈압성 뇌출혈 다음으로 높아 위해성이 매우 크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두개내 동맥류 치료에 사용되는 방법은 주로 세 가지가 있다. (1) 수술적 결찰술은 금속 클램프를 사용하여 동맥류의 경부를 결찰하여 두개내 동맥류와 뇌순환 혈류를 차단하고, 정상적인 모동맥 혈액 공급을 회복하는 동시에 동맥류 파열 및 출혈을 방지한다. (2) 종양내 색전술은 색전 재료를 사용해 동맥류를 채우고 종양 내에 색전을 형성하여 종양이 더욱 확장되고 파열 및 출혈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3) 혈관내 스텐트술은 혈관 내에 스텐트를 이식하여 모동맥으로부터 동맥류로 유입되는 혈류를 방해함으로써, 동맥류 내 혈액을 차단 및 정체시켜 동맥류 혈전을 형성한다. 또한 종양 폐쇄를 촉진시켜 종양 파열을 방지한다. 동맥류는 일반적으로 대뇌 동맥 고리의 둘레보다 길기 때문에, 대뇌 동맥 고리 둘레에는 많은 중요한 혈관, 신경 및 뇌 조직이 있다. 수술적 결찰술을 이용해 동맥류를 치료할 경우, 의사의 의술에 대한 요구 기준이 매우 높고 수술적 결찰술로 동맥류를 치료하는 환자는 사망률이 여전히 최고 50%에 이른다. 대형 또는 거대형 등 복잡한 동맥류는 단순히 종양내 혈전술을 이용해 치료할 경우 환자의 재발률이 비교적 높다. 현재 두개내 동맥류에 대해 비교적 많이 적용하는 치료 방법은 혈관내 스텐트술이다.
종래 기술에서 혈관내 스텐트술로 두개내 동맥류를 치료할 때의 치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치료 장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및 이송관(2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20)은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캐비티를 구비한다. 이송할 스텐트(30)는 상기 내부 캐비티에 수용되며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이송관(20) 사이는 간섭 상태에 있다. 이처럼 작업자가 이송 가이드 와이어(10)를 밀어 이송관(20)에서 이동시키면,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와 상기 스텐트(30) 사이에 제1 마찰력이 발생한다. 상기 제1 마찰력의 작용 하에서 상기 스텐트(30)는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를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소정 위치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텐트(30)와 상기 이송관(20)의 내벽 사이에 상기 제1 마찰력과 반대인 제2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스텐트(30)가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혈관내 스텐트술로 두개내 동맥류를 치료할 경우, 스텐트가 혈류 안내 역할을 수행하므로, 스텐트는 금속 커버율이 비교적 높고, 두개내 혈관이 가늘고 우회한다. 따라서 가늘고 유연성이 우수한 이송 장치를 사용해 스텐트를 이송시켜야 한다. 이는 조대한 이송 장치에 비해, 스텐트와 이송 장치 사이의 매칭이 더욱 긴밀하여,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2 마찰력이 너무 커 스텐트를 밀기 어려워짐을 의미한다.
이송관(20)에서 원활하게 밀 수 있도록, 종래의 이송 가이드 와이어(10)는 모두 매끄러운 외표면을 구비한다. 이송 가이드 와이어(10)와 스텐트(30) 사이의 제1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상에는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은 구동 부재가 설치된다. 그러나 구동 부재를 설치하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상에 로딩되는 스텐트의 외경이 증가해, 스텐트와 이송관(20) 내벽 사이의 제2 마찰력이 증가한다. 동시에 전체 치료 장치의 외경이 이에 함께 증가해 치료 장치를 원위 단부 혈관병변 치료에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설치된 구동 부재 수량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으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 원위 단부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이송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며, 이는 의료용 이식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된 구동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 부재 상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홈은 상기 리세스부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홈의 구조는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 구조와 서로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홈은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내표면과 서로 거울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홈의 폭은 0.0008 내지 0.004인치이고, 및/또는 상기 오목홈의 깊이가 0.0002 내지 0.004인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홈은 하나 이상의 서브 오목홈을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서브 오목홈은 상기 본체의 외표면 상에 교차 배치, 연속 배치 또는 이격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오목홈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는 와인딩 와이어가 상기 맨드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인접한 2개의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이격 배치되어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고분자 와이어 또는 표면에 고분자 코팅층이 덮인 금속 와이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금속 와이어는 현상성이 있고, 및/또는 상기 금속 와이어는 백금-텅스텐 합금 와이어 또는 백금-이리듐 합금 와이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부재는 내층 부재 및 외층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층 부재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맨드릴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층 부재는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내층 부재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공극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층 부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공극 구조를 채운다. 상기 외층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극 구조를 관통하여 상기 맨드릴과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의 외표면에는 리세스부가 설치된다.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공극 구조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코일은 상기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인접한 2개의 상기 코일 사이에는 상기 공극 구조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와이어를 편조하여 만든 관형 망상 구조이다. 상기 관형 망상 구조의 메쉬는 상기 공극 구조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001인치 이하이고, 및/또는 길이 인치당 상기 내층 부재 상에 포함된 편조 교차점의 수는 15 내지 5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형 구조이다. 상기 외층 부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를 덮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와이어가 상기 맨드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형성된 나선 구조이다. 인접한 2개의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상기 공극 구조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001인치 이하이고, 및/또는 상기 와이어가 형성하는 나선 구조의 나선 피치는 0.001 내지 0.007인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현상성이 있는 금속 재료로 제작된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 재료는 백금, 금, 텅스텐, 백금 합금, 백금-텅스텐 합금, 백금-이리듐 합금 및 백금-니켈 합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는 상기 맨드릴과 용접 또는 접착되고, 및/또는 상기 외층 부재는 상기 내층 부재를 덮으며 상기 맨드릴과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층 부재의 재질은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실리카겔, 나일론 및 아크릴산 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층 부재는 열간 프레스 및/또는 딥 코팅의 방식을 통해 상기 내층 부재 상에 형성하거나, 상기 내층 부재와 상기 외층 부재가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맨드릴 상에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구동 부재가 설치된다. 적어도 2개의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구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0.5 내지 150mm이다.
선택적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구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0.5 내지 5m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맨드릴 상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동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 부재의 외경은 0.01 내지 0.03인치이고, 각 상기 구동 부재의 길이는 0.5 내지 8mm이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구동 부재의 길이는 0.5 내지 4m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는 제1 현상 부재 및 제2 현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현상 부재는 상기 맨드릴의 원위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현상 부재는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현상 부재와 상기 제2 현상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료 장치를 더 제공한다. 여기에는 이송관, 의료용 이식물 및 상술한 이송 가이드 와이어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관은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캐비티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캐비티는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내부 캐비티의 벽은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출하여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축 상태로 만든다. 압축 상태의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상기 구동 부재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의 범위는 0.017 내지 0.029인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자가 확장식 스텐트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는 이하의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치료 장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의료용 이식물 및 이송관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는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부재 상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해 의료용 이식물을 이송하며,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이송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의 관벽은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축하는 데 사용된다.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상기 구동 부재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텐트와 상기 구동 부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평평하게 만들어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의료용 이식물의 이송 난이도를 낮춘다. 동시에 이송관에 압축된 의료용 이식물의 외경이 감소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이송관의 외경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료 장치가 더욱 원위의 목표 치료 위치에 도달할 수 있어 치료 범위가 확장된다. 또한 치료 장치 전체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비교적 구불구불한 혈관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수술 성공률이 높아진다.
동시에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내층 부재 및 외층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층 부재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맨드릴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층 부재는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내층 부재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내층 부재가 맨드릴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되고, 내층 부재와 맨드릴이 모두 금속 재료이다. 따라서 결합 강도가 매우 높고 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고분자 재료로 제작한 외층 부재와 내층 부재 사이는 특정 구조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내층 부재 상에 공극 구조를 설치하고, 외층 부재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해당 공극 구조를 채워 내층 부재와 외층 부재 사이를 삽입 매칭시킨다. 다른 예를 들면 외층 부재가 상기 내층 부재를 덮으며 맨드릴과 연결되도록 더 연장되어, 외층 부재, 내층 부재 및 맨드릴 셋 사이가 긴밀하게 매칭된다. 상기 외층 부재는 상기 내층 부재를 통해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층 부재와 상기 외층 부재는 비교적 큰 접촉 면적을 가지므로 연결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방식은 모두 종래 기술의 연결 방식을 변경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구동 부재를 상기 맨드릴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스텐트 이송 과정에서 구동 부재가 느슨해지거나 주름지거나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의료용 이식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료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리세스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리세스부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변형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다른 변형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A 지점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또 다른 변형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B 지점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또 다른 변형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부호는 하기와 같다.
10, 100 - 이송 가이드 와이어
110 - 맨드릴
120 - 구동 부재, 121 - 본체, 122 - 오목홈, 123 - 갭, 124 - 내층 부재, 125 - 외층 부재, 126 - 공극 구조
130 - 제1 현상 부재
140 - 제2 현상 부재
20 - 이송관
30, 300 - 스텐트
310 - 편조사
311 - 편조점.
본 발명의 목적, 이점 및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모두 매우 단순화된 형태로 부정확한 축척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목적에 대한 용이하고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음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인 "하나의", "1개의" 및 "해당"은 복수의 대상을 포함하며, 복수 형태인 "복수의"는 둘 이상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또는"은 통상적으로 내용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및/또는"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용어 "설치",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다.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다. 직접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요소 내부의 연통이거나 두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원에에 사용된 용어 "근위 단부", "원위 단부"는 해당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관점에서 볼 때 서로의 요소 또는 동작에 대한 상대적인 방위, 상대적인 위치, 방향이다. "근위 단부", "원위 단부"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근위 단부"는 통상적으로 해당 의료 장비가 정상적인 조작 과정에서 작업자와 가까운 일단을 의미하며, "원위 단부"는 통상적으로 먼저 환자 체내에 가장 먼저 들어가는 일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의료용 이식물을 환자 체내의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예를 들어 자가 확장식 스텐트(즉, 자가 팽창식 스텐트)이다. 상기 자가 확장식 스텐트는 구체적으로 편조 스텐트 또는 절단 스텐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의료용 색전 코일, 혈관 폐쇄 장치 등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의료용 이식물이 자가 확장식 스텐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스텐트"는 모두 자가 확장식 스텐트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는 맨드릴(110) 및 상기 맨드릴(110) 상에 설치된 구동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부재(120) 상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스텐트를 이송할 때, 상기 스텐트는 이송관의 내부 캐비티에 압축되며(이때 상기 스텐트는 압축 상태에 있음), 상기 구동 부재(120)를 긴밀하게 씌우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스텐트가 상기 구동 부재(120)에 반경 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며, 상기 스텐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텐트와 상기 구동 부재(120)의 접촉 면적이 대폭 증가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밀어 상기 이송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텐트와 상기 구동 부재(120) 사이에 발생하는 제1 마찰력도 대폭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스텐트가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데 유리하다. 편조 스텐트의 경우, 상기 스텐트를 편조하는 데 사용되는 편조사의 굵기가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절단 스텐트의 경우, 상기 절단 스텐트 상의 파형 막대도 굵기가 상이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 스텐트는 이송관의 압박 하에서 비교적 두꺼운 편조사 또는 파형 막대가 더 많이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텐트와 상기 이송관이 서로 접촉되는 표면(즉, 스텐트의 외표면)이 평평해지도록 만든다. 따라서 스텐트와 이송관 내벽 사이에 발생하는 제2 마찰력이 감소하고, 스텐트 이송 시의 미는 저항이 낮아진다.
종래의 이송 가이드 와이어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는 제1 현상 부재(130) 및 제2 현상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맨드릴(110)은 대향하는 제1 원위 단부와 제1 근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현상 부재(130)는 현상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위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현상 부재(140)는 상기 맨드릴(110) 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부재(120)는 상기 제1 현상 부재(130)와 상기 제2 현상 부재(140)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제1 현상 부재(130)와 상기 제2 현상 부재(140)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는 실리카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고무(TPU), 폴리이미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Pebax),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과 같은 고분자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는 스테인리스강, 니켈-티타늄 합금, 백금-텅스텐 합금 등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맨드릴(110) 상에는 여러 상기 구동 부재(12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등이다. 상기 구동 부재(120)의 구체적인 수량은 이송할 상기 스텐트의 길이(즉, 상기 스텐트의 축방향 상에서의 치수)에 따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각 상기 구동 부재(120)의 길이가 고정되면, 상기 스텐트의 길이가 길수록 이송 시 발생하는 미는 저항도 커진다. 이때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와 스텐트 사이의 제1 마찰력을 향상시켜 스텐트가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더 많은 구동 부재(120)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상기 구동 부재(120)의 외경은 0.01 내지 0.03인치일 수 있다. 각 상기 구동 부재(120)의 길이는 0.5 내지 8mm 사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부재(120)의 길이는 0.5 내지 4mm 사이에 있다. 상기 맨드릴(110) 상에 2개 이상의 상기 구동 부재(120)가 설치될 경우, 2개 이상의 구동 부재(120)는 상기 맨드릴(110)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구동 부재(120)의 거리는 0.5 내지 15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0.5 내지 5mm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단순히 구동 부재(120) 자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1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맨드릴(110) 상에 설치된 구동 부재(120)의 수량 및 각 상기 구동 부재(120)의 치수에 대한 설계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비교적 큰 제1 마찰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맨드릴(110) 상에 하나의 연속적이며 비교적 긴 구동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상기 맨드릴(110) 상에 적어도 2개의 이격되고 비교적 짧은 구동 부재(120)를 설치하면, 구동 부재(120)의 총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즉, 구동 부재(120)의 총 길이가 길수록, 스텐트의 회수율이 높아짐).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복수의 이격된 짧은 구동 부재(120)를 설치하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가 구불구불한 혈관을 관통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복수의 비교적 짧은 구동 부재(120)를 채택하여, 구동 부재(120)에 경도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음) 재료를 채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공차를 제어하기가 용이하며 제작 난이도가 낮아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텐트의 회수율은 당업계에 공지된 지식임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스텐트의 회수율=(스텐트 총 길이-스텐트 근위 단부에서 구동 부재 원위 단부까지의 거리)/스텐트 총 길이*100%이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부재(120)의 구조를 소개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부재(120)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방식일 뿐이며, 이는 본 발명을 부당하게 제한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는 본체(12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1)는 중공 관형체이다. 상기 본체(121)는 상기 맨드릴(110)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 상에는 오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22)은 상기 리세스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목홈"은 좁고 긴 리세스 구조를 포함하며, 원형, 사각형 또는 불규칙 형상의 리세스 구조(즉, 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상기 오목홈(122)은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홈(122)의 구조는 압축 상태인 상기 스텐트의 적어도 일부 구조와 서로 매칭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목홈(122)의 형상, 위치는 상기 스텐트의 형상, 위치와 서로 매칭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122)의 치수는 상기 스텐트의 파형 막대 또는 편조사의 치수와도 서로 매칭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홈(122)의 폭은 상기 편조사 또는 파형 막대의 폭보다 크거나, 같거나, 약간 작다. 상기 오목홈(122)의 깊이(오목홈(122) 바닥부와 오목홈(122) 꼭대기부의 본체(121)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편조사 또는 상기 파형 막대의 반경 방향 치수 등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다. 상기 스텐트의 치수에 따라, 상기 오목홈(122)의 폭은 0.0008 내지 0.004인치이다. 상기 오목홈(122)의 깊이는 0.0002 내지 0.004인치이다. 상기 오목홈(122)의 폭은 상기 스텐트의 편조사 또는 파형 막대의 폭에 대응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의 편조사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상기 편조사의 폭은 스텐트 축방향을 따르는 편조사의 치수를 의미한다. 상기 오목홈(122)의 폭은 스텐트 축방향을 따르는 오목홈(122)의 치수를 의미한다.
상기 오목홈(122)은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 상에 형성된 하나의 연속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오목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 상에서, 복수의 상기 서브 오목홈은 교차 배치, 연속 배치 또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텐트(300)를 예로 들면, 상기 스텐트(300)는 복수의 편조사(310)를 편조하여 제작한다. 상기 스텐트(300)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홈(122)은 복수의 서브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서브 오목홈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오목홈(122)과 압축 상태인 상기 스텐트의 내표면이 서로 거울상이 되도록 만든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즉, 상기 오목홈(122)의 치수 및 그 배치 방식은 압축 상태인 스텐트의 편조사(310)의 치수 및 배치 방식과 서로 매칭된다. 상기 스텐트(300)가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씌우도록 설치될 때, 각 상기 편조사(310)는 모두 상기 리세스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22)은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1)의 재질은 고분자 재료이다. 또한 상기 본체(121)가 성형되었으나 경화되지 않은 경우, 와이어를 이용해 상기 본체(121)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또는 교차하여 상기 본체(121)를 감싼다. 또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본체(121)의 표면이 긴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본체(121)에 반경 방향 작용력을 인가한다. 상기 와이어의 압출 하에서,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과 상기 와이어가 접촉되는 부위가 본체(121)의 축선을 향해 오목하게 변형되어 상기 오목홈(122)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와이어를 제거하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 고분자 와이어 또는 다른 재질의 와이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와이어 직경은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씌우도록 설치해야 하는 스텐트(300)의 편조사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와이어 직경은 상기 스텐트(300)의 편조사의 와이어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오목홈(122)은 상기 본체(121)가 경화 및 성형된 후 추가로 가공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상기 본체(121)를 가열하여 상기 본체(121)를 연화시킨 후, 다시 와이어를 이용해 상기 오목홈(122)을 형성한다. 또는 상기 본체(121)가 경화 및 성형된 후, 조각 공정을 이용해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에 상기 오목홈(122)을 조각한다.
상기 본체(121)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조각 공정(예를 들어, 레이저 조각)을 통해 본체(121)의 외표면에 상기 오목홈(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절삭 공정을 채택해 성형하는 스텐트의 경우, 조각 공정을 통해 상기 본체(121)의 표면에 상기 스텐트와 매칭되는 오목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1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는 내층 부재(124) 및 외층 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내층 부재(124)는 금속 재료로 제작하며, 상기 맨드릴(110)을 고정하여 씌우도록 설치한다. 상기 외층 부재(125)는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내층 부재(124)를 고정하여 씌우도록 설치한다.
상기 내층 부재(124)는 금속 재료로 제작된다. 또한 접착 또는 용접 또는 기타 방식에 의해 상기 맨드릴(110) 상에 고정된다. 이들 둘 사이의 결합 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내층 부재(124)는 상기 맨드릴(110) 상에서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다. 외층 부재(125)는 상기 내층 부재(124)를 통해 맨드릴(110)과 연결되며, 외층 부재(125)와 맨드릴(110)의 연결 면적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맨드릴(110) 상에서 외층 부재(125)의 부착력을 강화시켜, 스텐트 이송 과정에서 외층 부재(125)가 느슨해지거나 주름지거나 변위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인다. 본원에 언급된 "씌우도록 설치"되는 것은 두 가지 경우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맨드릴(110)의 경우 상기 내층 부재(124)가 독립적인 요소이며, 이 둘은 각각 가공이 완료된 후 다시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가공 과정에서 상기 내층 부재(124)와 상기 맨드릴(110)이 일체로 가공 성형되나, 상기 내층 부재(124)가 상기 맨드릴(110)의 외표면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층 부재(124) 상에는 공극 구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층 부재(125)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공극 구조(126)를 채워, 상기 외층 부재(125)와 상기 내층 부재(124) 사이의 연결 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124)는 다양한 구조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본원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내층 부재(124)의 바람직한 구조에 대해 소개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내층 부재(124)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방식일 뿐이며, 이는 본 발명을 부당하게 제한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124)는 상기 맨드릴(110)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코일은 상기 맨드릴(110)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금속 와이어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상기 코일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한 2개의 코일 사이에 단면이 V자형과 유사한 리세스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공극 구조(126)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의 반경 방향 단면의 형상에 따라, 상기 리세스부는 U자형 오목홈, 입방체, 장방체 또는 반구형 피트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코일의 외표면에서 열간 프레스 및/또는 딥 코팅 등 방식을 통해 몰딩 정형, 냉각을 수행하여 상기 외층 부재(125)를 형성한다. 열간 프레스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내층 부재(124) 상에 고분자관을 씌워 설치한다. 그 후 다시 상기 고분자관 외부에 열수축관을 씌워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열수축관을 가열하고 몰드로 성형하여, 상기 고분자관을 용융시켜 상기 내층 부재(124)의 공극 구조(126)에 침투시킨다. 고분자 재료가 냉각 및 경화된 후 상기 열수축관을 제거하면 된다. 상기 외층 부재(125)의 재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수지(Pebax)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실리카겔, 나일론, 아크릴산 중합체 등 고분자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이 있다. 상기 고분자 재료는 상기 공극 구조(126)를 채워, 상기 외층 부재(125)와 상기 내층 부재(124)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들 둘 사이의 연결을 강화한다. 상기 고분자 재료가 경화되지 않은 경우에도 인접한 2개의 코일 사이로부터 상기 맨드릴(110)의 표면까지 침투된다. 동시에 상기 내층 부재(124)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맨드릴(110)의 표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층 부재(125), 상기 내층 부재(124) 및 상기 맨드릴(110)의 셋 사이를 긴밀하게 접착하여, 상기 외층 부재(125)에 주름, 헐거움, 변위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외층 부재를 형성하고, 접착 등 방식을 통해 상기 내층 부재(124)와 상기 외층 부재(125)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코일은 상기 맨드릴 상에 이격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인접한 2개 코일 사이의 갭은 상기 공극 구조를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외층 부재, 상기 내층 부재 및 상기 맨드릴 사이는 모두 서로 접착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124)는 와이어가 상기 맨드릴(110)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형성된 나선 구조이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당 나선 구조의 내층 부재(124)의 경우, 인접한 2개의 상기 와이어 사이는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110) 상에 하나의 상기 구동 부재(120)만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동 부재(1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층 부재(124)는 고분자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를 감아 제작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내층 부재(124)의 경우, 나선 구조는 부드러워 구부리기가 용이하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 전체가 비교적 우수한 유연성을 갖도록 만든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층 부재(124)의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001인치 이하이다. 여기에서, 내층 부재(124)의 상기 와이어가 형성하는 나선 구조의 나선 피치는 0.001 내지 0.007인치이다.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나선 피치는 0.004 내지 0.007인치이다. 나선 피치가 클수록 접착제 등이 내층 부재(124)와 맨드릴(110) 사이에 유입되기 유리하며, 내층 부재(124)/외층 부재(125)와 맨드릴(11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내층 부재(124)와 맨드릴(110)의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기 않는 동시에, 이송 가이드 와이어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124)는 와이어를 편조하여 형성한 관형 망상 구조이다. 상기 관형 망상 구조 중의 메쉬는 상기 공극 구조(126)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110) 상에 하나의 상기 구동 부재(120)만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동 부재(1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각 구동 부재(120)의 경우, 상기 내층 부재(124)를 편조하는 데 사용되는 와이어는 가능한 가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의 직경(또는 와이어의 단면 폭)은 0.001인치 이하이다. 또한 인치당 상기 내층 부재(124) 상의 편조 교차점의 수는 너무 많지 않아야 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1인치인 상기 내층 부재(124) 상의 편조 교차점의 수는 15 내지 50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동 부재(120)는 상기 맨드릴(110)과의 연결 견고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맨드릴(11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내층 부재(124)가 용접된다. 상기 내층 부재(124)는 금속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은 표면이 평평한 관형 구조이다. 상기 금속관은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길이가 0.3 내지 2mm일 수 있다. 상기 금속관이 적어도 2개인 경우, 상기 외층 부재(125)는 전체가 모든 상기 금속관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맨드릴(110)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금속관 사이에 노출된 맨드릴(110) 부분(해당 부분은 공극 구조(126)를 구성함)을 동시에 덮거나, 상기 외층 부재(125)가 단일 금속관(도 9에 도시됨)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단일 외층 부재(125)는 단일 내층 부재(124)를 덮으며, 상이한 외층 부재(125)는 각각 상이한 내층 부재(124)를 덮는다. 외층 부재(125)는 동시에 복수의 금속관 사이의 맨드릴(110)(해당 부분은 공극 구조(126)를 구성함)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딥 코팅 또는 열간 프레스의 방식을 채택해 외층 부재(125)가 내층 부재(124)를 덮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 상에 레이저 에칭 등 방식을 통해 피트, 오목홈 또는 관통하는 공동이 설치되어 더 많은 공극 구조(1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외층 부재(125)와 내층 부재(124) 사이의 접촉 면적을 더 증가시켜 연결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내층 부재(124)는 현상성이 없는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현상성이 있는 금속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현상성이 없는 금속에는 스테인리스강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현상성이 있는 금속에는 백금-텅스텐 합금 또는 백금-이리듐 합금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 부재(124)는 현상성이 있는 금속(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금속이라고 칭함)으로 제작하여, 상기 구동 부재(120)가 현상성을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의 재료는 백금, 금, 텅스텐, 백금 합금, 백금-텅스텐 합금, 백금-이리듐 합금 및 백금-니켈 합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금-텅스텐 합금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백금-이리듐 합금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백금-텅스텐 합금과 백금-이리듐 합금을 동시에 사용한다(예를 들어, 백금-텅스텐 합금 와이어와 백금-이리듐 합금 와이어를 함께 편조하여 상기 관형 망상 구조의 내층 부재를 구성함). 이러한 설치는 이송 과정에서 작업자가 즉시, 정확하게 스텐트 회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씌우도록 설치되며 이송관에 압축된다. 상기 이송관은 대향하는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원위 단부 상에는 현상 고리(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송 과정에서 상기 구동 부재(120)가 현상 고리와 중첩되기 시작할 때, 다시 계속해서 원위 단부를 향해 스텐트를 밀면, 스텐트를 더 이상 회수할 수 없다. 따라서 구동 부재(120) 자체에 현상성이 있으면, 작업자는 현상 장치를 통해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하고 판단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 내지 10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를 내층 부재(124)와 외층 부재(125) 두 부분으로 설치한다. 상기 내층 부재(124)는 금속 구조이며, 상기 맨드릴(110)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층 부재(125)는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내층 부재(124)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층 부재(124)를 통해 상기 외층 부재(125)와 상기 맨드릴(110) 사이의 결합력을 간접적으로 강화시킨다. 이는 스텐트 이송 과정에서 상기 구동 부재(120)가 쉽게 느슨해지거나 주름지거나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의료용 이식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 외층 부재(125) 외표면 상의 오목홈(122)을 통해,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오목홈(122)에 삽입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텐트와 상기 구동 부재(1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가 접촉되는 부분을 평평하게 만들어 상기 의료용 이식물과 상기 이송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의료용 이식물의 이송 난이도를 낮춘다.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홈(122)은 상기 본체(121) 상에 형성된 연속 오목홈일 수 있다. 상기 연속 오목홈은 상기 본체(121)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에 나선형 오목홈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22)은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해 상기 오목홈(122)을 형성한다.
다시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홈(122)은 적어도 2개의 상기 본체(121) 상에 이격되도록 분포된 서브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오목홈은 원형, 사각형, 프리즘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즉, 상기 서브 오목홈은 피트임). 또한 상기 서브 오목홈의 수량이 2보다 클 때, 복수의 서브 오목홈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21)의 외표면 상에 분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각 등 공정을 통해 상기 오목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텐트(300)를 예로 들면, 편조사(310)가 서로 교차하는 편조점(311)은 스텐트(300)의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큰 반경 방향 두께를 갖는다. 상기 스텐트(300)를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씌우도록 설치할 경우, 상기 편조점(311)은 부분적으로 상기 오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특정 위치에는 반경 방향 치수가 비교적 큰 지점이 존재한다. 상기 스텐트를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씌우도록 설치할 경우, 상기 반경 방향 치수가 비교적 큰 지점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오목홈에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텐트(300)가 상기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씌우도록 설치되며 이송관의 내부 캐비티에 관통 설치될 경우, 상기 스텐트(300)의 편조사 또는 파형 막대와 상기 본체(12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는 스텐트(300)와 상기 구동 부재(120) 사이의 제1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동시에 상기 스텐트(300)의 외경이 전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상기 스텐트(300)와 상기 이송관이 접촉되는 표면(즉, 스텐트(300)의 외표면)이 더욱 평평해진다. 따라서 스텐트와 이송관 내벽 사이의 제2 마찰력이 감소하고 스텐트 이송 시 미는 저항이 낮아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20)는 상기 맨드릴(110)을 둘러싸는 와인딩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상기 맨드릴(110)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여러 바퀴 둘러싸며 나선형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와인딩 와이어의 인접한 2바퀴 사이에는 갭(123)이 존재한다. 상기 갭(123)은 상기 리세스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와이어가 둘러싸는 바퀴수 및 나선 피치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와 매칭되는 스텐트가 비교적 큰 PPI(편조 스텐트의 경우, PPI는 해당 편조 스텐트의 단위 길이 내에 포함되는 편조점의 수를 의미하며, 여기에서 길이는 스텐트의 축방향 치수를 의미함)를 갖는 경우, 맨드릴(110) 상에서 와인딩 와이어가 감기는 바퀴수를 증가시키며 나선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와 구동 부재(120)가 더 큰 접촉 면적을 갖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고분자 와이어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와이어는 비교적 큰 표면 마찰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 및 상기 금속 와이어 외표면을 덮는 고분자 코팅층으로 구성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와이어는 백금-텅스텐 합금 와이어, 백금-이리듐 합금 와이어와 같이 현상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이다. 이처럼 상기 구동 부재(120)는 현상성을 갖는다. 상기 구동 부재(120)가 현상성을 갖기 때문에, 스텐트 이송 시, 작업자는 체내에서 스텐트의 구체적인 위치를 판단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일부가 방출된 스텐트가 이송관 내로 회수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텐트를 이송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이송관은 대향하는 제2 원위 단부 및 제2 근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원위 단부 상에는 제3 현상 부재가 설치된다. 스텐트를 이송할 때, 작업자가 현상 장치를 통해 상기 구동 부재(120)가 제3 현상 부재와 중첩되기 시작하는 것을 관찰하면, 작업자는 스텐트가 다시 회수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1 및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부재(120)는 도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내층 부재(124) 및 외층 부재(125)를 구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조와 재료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치료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치료 장치는 이송관, 의료용 이식물 및 전술한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은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캐비티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캐비티는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내부 캐비티의 벽은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출하여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축시킨다. 압축된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상기 구동 부재(120)를 긴밀하게 씌우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120) 사이에 제1 마찰력이 생성되며,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예를 들어 자가 확장식 스텐트이며, 구체적으로 편조 스텐트 또는 절단 스텐트일 수 있다.
구동 부재(120)와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매칭도를 향상시키고 치료 장치의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는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인 의료용 이식물에 따라 제조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먼저 이송할 의료용 이식물을 제공한 후,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구조에 따라 구동 부재(120) 및 리세스부의 형태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이송 가이드 와이어(100)를 제작한다.
또한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이송관의 내부 캐비티는 반경 방향 치수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의 범위는 0.017 내지 0.029인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는 0.027인치 이하이거나, 상기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는 0.021인치 이하이다. 이송 가이드 와이어에 리세스부를 구비한 구동 부재를 사용하므로, 의료용 이식물이 압축 상태일 때의 외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장치는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가 비교적 작은 이송관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치료 장치는 이에 상응하여 이송관의 외경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얇은 이송관은 더욱 먼 원위 단부의 혈관 또는 더욱 미세한 병변 부위에 도달할 수 있어 치료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치료 장치 전체의 유연성도 향상되어, 비교적 구불구불한 혈관을 통해 병변 부위에 순조롭게 도달하는 데에 유리하다. 따라서 수술 성공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4)

  1. 이송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의료용 이식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되며,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된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 상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리세스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구조는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 구조와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내표면과 서로 거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폭이 0.0008 내지 0.004인치이고, 및/또는 상기 오목홈의 깊이가 0.0002 내지 0.004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하나 이상의 서브 오목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서브 오목홈은 상기 본체의 외표면 상에 교차 배치, 연속 배치 또는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본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와인딩 와이어가 상기 맨드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나선 구조를 형성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이격 배치되어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고분자 와이어 또는 표면에 고분자 코팅층이 덮인 금속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는 현상성을 가지고, 및/또는 상기 금속 와이어는 백금-텅스텐 합금 와이어 또는 백금-이리듐 합금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내층 부재 및 외층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내층 부재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맨드릴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층 부재는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내층 부재에 고정되어 씌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공극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층 부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공극 구조를 채우고, 상기 외층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극 구조를 관통하여 상기 맨드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의 외표면에는 리세스부가 설치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공극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코일은 상기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코일 사이에는 상기 공극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와이어를 편조하여 만든 관형 망상 구조이며, 상기 관형 망상 구조의 메쉬는 상기 공극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001인치 이하이고, 및/또는 길이 인치당 상기 내층 부재 상에 포함된 편조 교차점의 수는 1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형 구조이고, 상기 외층 부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층 부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와이어가 상기 맨드릴의 축선을 따라 나선으로 둘러싸며 형성된 나선 구조이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상기 공극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001인치 이하이고, 및/또는 상기 와이어가 형성하는 나선 구조의 나선 피치는 0.001 내지 0.007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현상성이 있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며, 여기에서 상기 금속 재료는 백금, 금, 텅스텐, 백금 합금, 백금-텅스텐 합금, 백금-이리듐 합금 및 백금-니켈 합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1.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부재는 상기 맨드릴과 용접 또는 접착되고, 및/또는 상기 외층 부재는 상기 내층 부재를 덮으며 상기 맨드릴과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2.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부재의 재질은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실리카겔, 나일론 및 아크릴산 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3.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부재는 열간 프레스 및/또는 딥 코팅의 방식을 통해 상기 내층 부재 상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층 부재와 상기 외층 부재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외층 부재의 외표면 상에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리세스부의 구조는 압축 상태인 상기 의료용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 구조와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오목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서브 오목홈은 상기 외층 부재의 외표면 상에 교차 배치, 연속 배치 또는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6.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상에는 적어도 2개의 상기 구동 부재가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7. 제26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상기 구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0.5 내지 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8. 제27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상기 구동 부재 사이의 거리는 0.5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2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상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외경은 0.01 내지 0.03인치이고, 각 상기 구동 부재의 길이는 0.5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30. 제29항에 있어서,
    각 상기 구동 부재의 길이는 0.5 내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3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현상 부재와 제2 현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현상 부재는 상기 맨드릴의 원위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현상 부재는 상기 맨드릴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현상 부재와 상기 제2 현상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이드 와이어.
  32. 치료 장치에 있어서,
    이송관, 의료용 이식물 및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캐비티는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내부 캐비티의 벽은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출하여 상기 의료용 이식물을 압축 상태로 만들고, 압축 상태의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상기 구동 부재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비티의 반경 방향 치수의 범위는 0.017 내지 0.029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이식물은 자가 확장식 스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
KR1020227019985A 2019-11-27 2020-08-31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KR20220101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83832.0 2019-11-27
CN201911183832 2019-11-27
PCT/CN2020/112448 WO2021103720A1 (zh) 2019-11-27 2020-08-31 一种输送导丝及治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669A true KR20220101669A (ko) 2022-07-19

Family

ID=7599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985A KR20220101669A (ko) 2019-11-27 2020-08-31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401240A1 (ko)
EP (1) EP4066795A4 (ko)
JP (1) JP2023503345A (ko)
KR (1) KR20220101669A (ko)
CN (1) CN112842647A (ko)
AU (1) AU2020390732B2 (ko)
BR (1) BR112022007450A2 (ko)
CA (1) CA3155353A1 (ko)
WO (1) WO2021103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946A (zh) * 2021-08-23 2022-05-10 上海心玮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输送导丝以及血流导向装置
CN114848067A (zh) * 2021-12-17 2022-08-05 聚辉医疗科技(深圳)有限公司 输送导丝
CN117982279A (zh) * 2022-10-28 2024-05-07 神途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医用支架以及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952A (en) * 1996-06-21 1998-08-25 Localmed,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helical stents
EP1180003B1 (en) * 1999-05-20 2008-01-16 Boston Scientific Limited Stent delivery system with nested stabilizer
US6833003B2 (en) * 2002-06-24 2004-12-21 Cordis Neurovascular Expandable stent and delivery system
CA2578156A1 (en) * 2004-08-26 2006-03-09 Cook Incorporated Delivery system with controlled frictional properties
US8092508B2 (en) * 2006-03-30 2012-01-10 Stryker Corporation Implantable medical endoprosthesis delivery system
EP2353553B1 (en) * 2006-05-12 2015-12-02 Covidien LP Implant and delivery system with multiple marker interlocks
US20080255654A1 (en) * 2007-03-22 2008-10-16 Bay Street Medical System for delivering a stent
JP2016513505A (ja) * 2013-03-14 2016-05-16 ニューラヴィ・リミテッド 血管から閉塞血餅を除去するための血餅回収デバイス
JP2016073553A (ja) * 2014-10-08 2016-05-1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ャーガイドワイヤ
US20170304097A1 (en) * 2016-04-21 2017-10-26 Medtronic Vascular, Inc. Stent-graft delivery system having an inner shaft component with a loading pad or covering on a distal segment thereof for stent retention
CN110090063B (zh) * 2018-01-30 2022-07-08 上海沃比医疗科技有限公司 血栓捕捉装置及其方法
CN109700572B (zh) * 2018-12-29 2020-09-25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输送器的止缩装置及其输送器
CN211325911U (zh) * 2019-11-27 2020-08-25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输送导丝及治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3720A1 (zh) 2021-06-03
AU2020390732A1 (en) 2022-05-12
CN112842647A (zh) 2021-05-28
CA3155353A1 (en) 2021-06-03
US20220401240A1 (en) 2022-12-22
EP4066795A1 (en) 2022-10-05
EP4066795A4 (en) 2023-01-18
JP2023503345A (ja) 2023-01-27
BR112022007450A2 (pt) 2022-07-12
AU2020390732B2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307B2 (ja) 閉塞デバイス
KR20220101669A (ko) 이송 가이드 와이어 및 치료 장치
EP3448270B1 (en)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aneurysms
CA2711484C (en) Radiopaque super-elastic intravascular stent
EP2416712B1 (en) Delivery wire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EP2626038B1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CA2652176C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US6746468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ascular malformations
US859732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ascular malformations
JP7017010B2 (ja) インプラント挿入システム
CA2652022A1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CN108601920B (zh) 具有加固材料的聚合导管轴
CN211325911U (zh) 一种输送导丝及治疗装置
CN112842645A (zh) 一种输送导丝及治疗装置
CN217310725U (zh) 输送器及血流导向支架系统
US20220183868A1 (en) Medical tubular body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4484746U (zh) 一种输送导丝及治疗装置
CN115666453A (zh) 用于在血管内展开的可扩展管
RU2795174C1 (ru) Доставочный проволочный проводник и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30053337A1 (en) Delivery guidewire and therapeutic treatment device
WO2019026364A1 (ja) 生体内留置具、生体内留置具送達システムおよび生体内留置具の製造方法
WO2023014797A1 (en) Embol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