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505A -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505A
KR20220101505A KR1020210003599A KR20210003599A KR20220101505A KR 20220101505 A KR20220101505 A KR 20220101505A KR 1020210003599 A KR1020210003599 A KR 1020210003599A KR 20210003599 A KR20210003599 A KR 20210003599A KR 20220101505 A KR20220101505 A KR 2022010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teering wheel
vehicle
rot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3781B1 (en
Inventor
함정식
성호준
홍지승
이성우
정직영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00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81B1/en
Publication of KR202201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apparatus of an automobile, comprising: a rim unit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ims; a hu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im unit; and a rotation module which rotates the second rim disposed on a rear side of the hub upward so as to overlap the first rim. Accordingly, a driver's seat space can be secured by rotating the second rim disposed on a driver's side of a steering wheel so as to overlap an upper part of the first rim disposed on the front side. In addition, various mounting target objects such as a smart phone or a laptop computer may be mounted.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Steering wheel device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을 부분적으로 겹쳐서 운전자 공간을 확보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that secures a driver's space by partially overlapping a steering wheel provided on a driver's seat of the vehicle.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utonomous vehicles that move by themselves even when the driver does not drive the vehicle are being developed.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첨단 센서와 성능 높은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주행한다. The autonomous vehicle uses a high-tech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surrounding objects and a high-performance graphic processing device to detect each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o drive

상기 첨단 센서는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사각지대 없이 모든 지역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분석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e state-of-the-art senso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an object and an object like a human, detects danger, and helps to see all areas without blind spots. In addition,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helps the vehicle to safely drive by identif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and analyzing the image.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에는 라이더(LiDAR) 장비, 음파 장비, 3D 카메라, 레이더 장비 등이 탑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LiDAR equipment, sound wave equipment, 3D camera, radar equipment, and the lik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운전석을 포함한 전체 시트가 자유롭게 회전하고, 틸팅 조작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가 수평 상태까지 조절된다. In the autonomous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driver does not need to drive, the entire seat including the driver's seat rotates freely, and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adjusted to a horizontal state by tilting operation.

탑승자는 등받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트를 회전시켜 뒷좌석의 탑승자와 마주보고 회의를 할 수도 있다. The occupan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in various ways, and the seat can be rotated to face the occupant in the rear seat for a meeting.

한편,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바퀴와 연결되는 조향장치를 구동하는 스티어링 휠이 마련된다.Meanwhile, a steering wheel for driving a ste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wheel according to a driver's manipulation is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링 형상의 림과 림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는 허브 및 허브와 림을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하고, 허브의 전단에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연결된다. A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ring-shaped rim and a hu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im and on which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pokes connecting the hub and the rim, and a steer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hub.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 a steering whee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0-006954호(2020년 1월 21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954 (published on January 21, 2020)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20689호(2014년 7월 17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20689 (Announced on July 17, 2014)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림이 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운전석에서 항상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However,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lways occupies a certain space in the driver's seat as the rim is formed in a ring shape.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 주행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또는 누운 자세를 취하고, 다리를 꼬거나 시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림과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when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riven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driver rotates the backrest of the seat backward to take a posture leaning on the backrest or lying down, and twisting the legs or rotating the sea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m and interference occurred during the process.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자세나 방향에 따라 상해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injury value increases according to the posture or direction of the driver when the vehicle collid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림을 부분적으로 접어서 운전석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트리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maximizing a driver's seat space by partially folding a ri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운전석 공간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자세나 경사 각도와 무관하게 운전자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etc. to secure a driver's seat space and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river regardless of the driver's posture or inclination ang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림의 일부를 접어서 책이나 휴대용 단말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holding a book or a portable terminal by folding a part of the ri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는 제1 및 제2 림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 상기 림부의 중앙에 마련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림을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 대상물을 거치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m portion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ims, a hu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im portion, and the firs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ub. and a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second rim upward so as to overlap the first rim, wherein the second rim is rotated upward by holding and fixing the object to be mounted between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do it wi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seat space is maximized by arranging the second rim disposed on the driver's side of the steering wheel to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im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e effect is that it can be don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에 기대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in which the driver can cross or move his legs in a lying position or leaning on the back of the sea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의 회전 동작 및 경사 각도 조절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eat and th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ang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해서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거치 대상물의 유동 및 낙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ount the object to be mounted by arranging the second rim to overlap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im, and to prevent in advance the flow and fall of the object to be mounted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effect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회전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하는 동작 상태도,
도 6은 제2 림을 이용한 거치대 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제2 커버를 예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module;
4 to 5 are respectively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rotating the second rim shown in FIG. 1 upward to overlap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im;
6 is a view illustrating a cradle function using a second rim;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자동차의 운전석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자동차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이와 함께,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the driver's seat as the center is referred to as 'front (F)',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s referred to as 'rear (B)'. In addi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L)', 'right (R)', 'up (U)' and 'down (D)' indicate each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efined as do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림(21,22)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20), 림부(20)의 중앙에 마련되고 운전석 에어백 모듈(26)이 설치되는 허브(23), 허브(23)의 전측에 배치되는 제1 림(21)과 허브(23)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24) 및 허브(23)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2 림(22)을 제1 림(21)과 겹쳐지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모듈(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teering wheel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m portion 20 and a rim portion ( 2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hub 23, on which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26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pokes 24 connecting the first rim 21 and the hub 23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ub 23 and a rotation module 30 for rotating the second rim 22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ub 23 to overlap the first rim 21 .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자세 및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40)와 감지부(40)의 감지결과 및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에 기초해서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ring wheel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40 and the detection unit 40 for detecting the driver's posture and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tation module 30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즉,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차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 가능하고,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 운전자의 자세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a general vehicle but also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second rim disposed on the driver's side of the steering wheel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and the driver's posture and direction of rotation. direction to maximize the driver's seat space.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림을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회전모듈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rim by the driver's manual operation, o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rotation module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us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상세하게 설명하면, 림부(20)는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브(23)의 전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림(21)과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브(23)의 후측, 즉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림(22)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rim portion 2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arc shape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arc shape with a pair of first rims 21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hub 23 , and the rear side of the hub 23 , that is, the driver 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rims 22 disposed on the sides.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림(21)과 제2 림(22)을 각각 180 ±α°의 각도를 갖는 하나의 호 형상 또는 반링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rim 21 and the second rim 22 may be modified to form an arc shape or a half-ring shape each having an angle of 180 ± α°.

허브(23)는 단면이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hub 23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in cross section.

허브(23)에는 내부에 운전석 에어백 모듈(26) 및 경음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하우징(25)이 결합되고, 하우징(25)의 상면에는 에어백 커버(27)가 결합될 수 있다.A housing 25 in which a driver's seat airbag module 26 and a horn switch are installed may be coupled to the hub 23 , and an airbag cover 27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5 .

스포크(24)는 각각 호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림(21)과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pokes 24 may be provided as a pair so as to b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rims 21 each formed in an arc shape.

한 쌍의 스포크(24)에는 각각 제1 및 제2 케이스(35,36)가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35,36)에는 자동차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First and second cases 35 and 36 are coupled to the pair of spokes 24,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s 35 and 36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each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each device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그리고 에어백 커버(27)에는 자동차나 제조사를 상징하는 엠블럼이나 조명 엠블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lem or a lighting emblem symbolizing a vehicle or a manufacturer may be installed on the airbag cover 27 .

회전모듈(30)은 한 쌍의 제2 림(2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커버(37)와 일단, 예컨대 상단에 제3 커버(3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커버(38)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module 30 includes a third cover 37 that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a pair of second rims 22 and a fourth cover ( 35 )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for example, an upper end of the third cover ( 35 ). 38) can be installed inside.

감지부(40)는 운전석 시트의 회전 방향,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들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어부(50)를 전달된다. The detection unit 40 includes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

제어부(50)는 자동차에 마련된 각 전자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러로 마련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 및 자동차에 마련된 각종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서 확인된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 시트의 회전방향, 등받이의 경사 각도 등에 기초해서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electronic component provided in the vehicle or a controller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40 and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tation module 30 based on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etc., confi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자동차가 시동된 후 자율주행 모드가 설정되면,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 회전모듈(30)을 구동시켜 제2 림(2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controller 50 drives the rotation module 30 to rotate the second rim 22 upward or downward in order to maximize the driver's seat space. can be controlled to do so.

물론, 제어부(50)는 운전석 시트의 회전 방향이나 등받이의 경사 각도에 따라 회전모듈(30)의 구동을 세분화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controller 50 may subdivide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tation module 3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er's seat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회전모듈의 구성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ot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3은 회전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module, and FIGS. 4 and 5 are diagrams of an operation state of rotating the second rim shown in FIG. 1 upward to overlap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im.

회전모듈(30)은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제2 림(2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rotation module 30 functions to rotate the second rim 22 upward or downward by applying a dual link structure.

이러한 회전모듈(30)은 한 쌍의 제2 림(22)과 허브(2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회전모듈(30)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rotation module 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rims 22 and the hub 23 . Of course, the rotation module 30 may be provided as a pair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set interval.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모듈(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허브(23)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31),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제2 림(22)에 연결되는 고정부재(32) 그리고 양단이 각각 지지부재(31)와 고정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를 포함한다.In detail,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rotation module 30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hub 23 and a support member 31 extending upwardly, both ends of a pair of second It includes a fixing member 32 connected to the rim 22 ,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3 and 34 ,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31 and the fixing member 32 , respectively.

지지부재(31)는 제3 커버(37)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부재(31)의 양측 상단부와 고정부재(32)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는 각각 제2 커버(3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에 지지부재(31)가 설치되는 제3 커버(37)는 하우징(25)과 별도로 마련되거나, 하우징(25)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31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cover 37 , and both upper ends of the support member 31 and the fixing member 32 ,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36 . ) can be placed inside. Here, the third cover 37 in which the support member 31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25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25 .

지지부재(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L'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지지부재(31)의 수직부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후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양측 상단부는 각각 '「' 형상으로 전방을 향애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31 is bent into an approximately 'L' shape in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1 is divided into both sides to have an approximately 'U' shape in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 And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by bending forward in a ''' shape, respectively.

지지부재(31)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제1 축(311)과 제2 축(312)이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311)은 제2 축(312)에 비해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and second shafts 311 and 312 may be installed at both upper ends of the support member 31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set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the first shaft 31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than the second shaft 312 .

고정부재(3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H'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재(32)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제2 림(22)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32 has an approximately 'H'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a pair of second rims 2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32 , respectively.

고정부재(32)의 양측 전후단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3 축(321)과 제4 축(322)이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축(321)은 제4 축(322)에 비해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third shaft 321 and a fourth shaft 322 may be install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xing member 3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set interval. Here, the third shaft 32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than the fourth shaft 322 .

제1 연결부재(33)와 제2 연결부재(34)는 각각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4 may each have an approximately 'H'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above.

제1 연결부재(33)의 양측 전단부는 제1 축(311)에 의해 지지부재(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연결부재(33)의 양측 후단부는 제3 축(321)에 의해 고정부재(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Both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31 by a first shaft 311 , and both rear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shaft 321 .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32 .

제2 연결부재(34)의 양측 전단부는 제2 축(312)에 의해 지지부재(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4)의 양측 후단부는 제4 축(322)에 의해 고정부재(3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Both front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4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31 by a second shaft 312 , and both rea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4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fourth shaft 322 .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32 .

여기서, 제1 연결부재(33)와 제2 연결부재(34)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각 축(312,312,321,322)에 연결됨에 따라, 회전 반경은 동일하나, 회전 궤적은 제1 및 제2 축(311,312)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4 are provided with the same length and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hafts 312, 312, 321 and 322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radius of rotation is the same, but the rotation trajectory is The first and second axes 311 and 312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따라서 한 쌍의 제2 림(2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에 의해 제1 림(21)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air of second rims 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im 21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bout each axis. It can be rotated upward to partially overlap.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한 쌍의 연결부재를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시켜 제2 림을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second rim upward by rotating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about different axes by applying the double link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2 림(22)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을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dius and trajectory of the second rim 22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

즉,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가 증가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이 늘어남에 따라, 제1 림(21)과 제2 림(22)이 겹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re increased, as the rotation radius and trajectory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re increased, the first rim 21 and the second rim 21 are formed. The area where the 2 rims 22 overlap can be increased.

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길이가 감소하면, 제1 및 제2 연결부재(33,34)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이 줄어듦에 따라, 제1 림(21)과 제2 림(22)이 겹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re reduced, as the rotation radius and trajectory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3 and 34 are reduced, the first rim 21 and the first rim 21 are The area where the 2 rims 22 overlap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모듈에 적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해서 제1 림과 제2 림이 겹쳐지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rea where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overlap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applied to the rotation module.

특히, 제2 림(22)은 제1 림(2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도 2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econd rim 22 may be rotated upward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in FIG. 2 so a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im 21 .

물론, 제어부(50)는 회전모듈(30) 적용되는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을 변경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어할도 수 있다. Of course, the control unit 50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61 to which the rotation module 30 is applied to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rim 22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rim 21 . can also

한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10)는 구동력을 발생해서 회전모듈(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ering wheel device 10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dule 6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rotation module 30 .

예들 들어, 구동모듈(60)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1) 및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모듈(3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닛(61)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module 60 is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50 to generate a driving motor 61 ,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1 for transferr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to the rotation module 30 . ) may be included.

구동모터(61)는 리니어 모터나 스텝 모터 등 다양한 구성 및 규격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61 may be provided as a motor having various configurations and specifications, such as a linear motor or a step motor.

동력 전달 유닛(62)은 구동모터(6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출몰 동작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2 may include a rod that moves in and out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61 .

예를 들어, 상기 로드는 구동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도록 수축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d may contract and contract so that the length is reduc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61 .

따라서 상기 로드와 연결된 제1 연결부재(33)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2 림(22)을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connected to the rod may rotate the second rim 22 upward while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력 전달 유닛을 웜과 웜기어 방식, 한 쌍의 베벨기어나 스크류 기어, 헬리컬 기어와 같이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동력 전달 유닛을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power transmission units that can convert the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such as a worm and a worm gear type, a pair of bevel gears, screw gears, and helical gears are applied. can be changed to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고, 동력 전달 유닛에 래크와 피니언을 적용하거나 한 쌍의 평기어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to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apply a rack and pinion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r apply a pair of spur gears.

또, 본 발명은 기어 방식 대신에,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동력 전달 유닛을 이용해서 회전모듈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rotation module u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using a pulley and a belt instead of the gear type.

이러한 구동모듈(60)은 일측이 회전모듈(30)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재(31)나 허브(23)에 연결되어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제3 커버(37)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hird cover 37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31 or hub 23 provided in the rotation module 30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듈의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모듈로 전달해서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of the driving module may be transferred to the rotation module to rotate the second rim upwards of the first rim.

또는, 구동모듈(60)은 직선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켜 제1 연결부재(33) 와 연결된 로드(67)를 신장 동작시키켜 제2 림을 제1 림의 하부로 회전 이동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driving module 60 generates a linear pushing force to extend the rod 67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to rotate the second rim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im. may be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회전모듈을 회전시켜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im can be rota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rim by rotating the rotation module using the driving motor.

즉, 구동모터(61)는 미는 힘을 발생시켜 로드를 상방으로 신장 동작시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당기는 힘을 이용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하부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미는 힘과 당기는 힘을 이용해서 제2 림(22)을 제1 림(21)의 상부와 하부로 회전 이동시킬 수도 있다. That is, the driving motor 61 generates a pushing force to extend the rod upward to rotate the second rim 22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im 21, or use a pulling force to move the second rim ( 22) may be rot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im 21, or the second rim 22 may be rotationally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rim 21 by using a pushing force and a pulling forc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림(2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제1 림(21)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한 경우, 제2 커버(36)는 책이나 랩탑 컴퓨터 등의 거대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when the second rim 22 is rotated upward to overlap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im 21 , the second cover 36 is a large space such as a book or a laptop computer. It can perform a cradle function for holding an object.

예를 들어, 도 6은 제2 림을 이용한 거치대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커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For example,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radle function using a second rim,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ver.

제2 림(22)은 도 6의 (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림(22)과 제1 림(21) 사이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 책, 랩탑 컴퓨터 등의 거치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rim 22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mounted between the second rim 22 and the first rim 21, as shown in (a) to (f) of FIG. 6 , It can hold a stationary object such as a book or a laptop computer.

물론, 제2 커버(36)는 화장품 또는 컵이나 용기에 담긴 음식물 등을 거치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second cover 36 may hold cosmetics or food contained in a cup or container.

이때, 한 쌍의 제2 림(22) 양단은 한 쌍의 제1 림(21)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 상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책이나 랩탑 컴퓨터의 양측 하단부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rims 22 protrude upward on both sides while being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pair of first rims 21, effectively fixing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ook or laptop computer. can do.

제2 커버(36)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거치 대상물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슬립방지부(361)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7 , the second cover 36 may be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unit 361 to prevent slipping of an object to be mounted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

슬립방지부(361)는 고무나 직물과 같이 마찰력을 증대시킨 마찰패드로 마련되거나, 슬립방지 패턴이 형성된 슬립방지부재를 포함될 수 있다. The anti-slip part 361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pad having increased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or fabric, or may include a slip-preventing member having an anti-slip pattern.

제3 커버(36)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대상물을 안착시켜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부(362)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7 , the third cover 36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part 362 to seat the object to be mounted and prevent the flow.

안착부(362)는 화장품이나 음식물이 담긴 종이컵, 용기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362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so that a paper cup or container containing cosmetics or food can be inserted.

물론, 안착부(362)는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이나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eating portion 36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mounted.

제3 커버(36)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c) of FIG. 7, the third cover 36 may include a fixing member 363 for fixing an object to be mounted.

고정부재(363)는 제3 커버(36)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통해 스카트 폰이나 음식물 등,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363 is shaft-coupl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third cover 36, and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around the shaft-coupled end, a relatively small mounting object, such as a smart phone or food, is effectively fixed. You may.

도 7의 (c)에는 고정부재(363)가 제3 커버(36)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부재(363)는 제3 커버(36)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In (c) of FIG. 7 , the fixing member 363 is shown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ound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cover 36 , but the fixing member 363 is attached to the third cover 36 . It may be changed to rotat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coupled one en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운전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seat space can be maximized by arranging the second rim disposed on the driver's side of the steering wheel to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im disposed on the front sid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시트의 등받이에 기대거나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a space for the driver to cross or move his/her legs in a lying position or leaning on the backrest of the seat.

그리고 본 발명은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의 회전 동작 및 경사 각도 조절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when rotating the seat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또한, 본 발명은 제2 림을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배치해서 거치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거치 대상물의 유동 및 낙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mount the object to be mounted by arranging the second rim to overlap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im, and to prevent the flow and fall of the object to be mounted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in advanc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전측에 배치된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게 회전 동작시켜 운전석 공간을 확보하고, 스마트폰이나 랩탑 컴퓨터 등 다양한 거치 대상물을 거치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driver's seat space by rotating the second rim disposed on the driver's side of the steering wheel to overlap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im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for mounting various objects such as smartphones and laptop computers. Applied to steering wheel device technology.

10: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20: 림부 21,22: 제1, 제2 림
23: 허브 24: 스포크
25: 하우징 26: 운전석 에어백 모듈
27: 에어백 커버
30: 회전모듈
31: 지지부재 311,312: 제1, 제2 축
32: 고정부재 321,322: 제3, 제4 축
33,34: 제1, 제2 연결부재
35 내지 37: 제1 내지 제3 커버
40: 감지부 50: 제어부
60: 구동모듈
61: 구동모터 62: 동력전달유닛
10: car steering wheel device
20: rim 21, 22: first and second limbs
23: hub 24: spoke
25: housing 26: driver's seat airbag module
27: air bag cover
30: rotation module
31: support members 311 and 312: first and second shafts
32: fixing member 321, 322: third, fourth shaft
33,34: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5 to 37: first to third covers
40: sensing unit 50: control unit
60: drive module
61: drive motor 62: power transmission unit

Claims (9)

제1 및 제2 림으로 분할 형성되는 림부,
상기 림부의 중앙에 마련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림을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도록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 대상물을 거치해서 고정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A rim portion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ims;
a hub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im; and
and a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second rim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ub upward to overlap the first rim,
The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im is rotated upwardly, and the object to be mounted is mount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경사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
구동력을 발생해서 상기 회전모듈을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및 자동차의 시동 여부, 자율주행 모드 설정 여부에 기초해서 상기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that is install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car and detects the angle of inclination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er;
a driving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module; and
The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and whether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은 한 쌍의 스포크에 의해 상기 허브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림은 상기 허브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림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irst rim is fixed to the hub by a pair of spokes,
The second rim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ub and rotates to overlap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im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하단이 상기 허브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제2 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티어링 휠의 중앙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재 그리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중 링크 구조를 응용해서 상기 제2 림을 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otation module is
a support member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hub and extending upward;
A fix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im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and
A steering whee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im is rotated by applying a dual link structure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축과 제2 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3 축과 제4 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축과 제3 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 축과 제4 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ar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set interval,
A third axis and a fourth axis are installed in the fixing member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set interval,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by the first shaft and the third shaft,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by the second shaft and the fourth shaft,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의 회전 반경 및 궤적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어 상기 제1 림과 겹쳐지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urning radius and trajectory of the second rim are adjusted according to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to adjust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ri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된 거치 대상물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cover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rim and the rotation module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the cover includes an anti-slip part for preventing slip of a mounted object mounted between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im is rotated up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cover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rim and the rotation module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the cover includes a seating part on which a mounting object mounted between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im is rotated up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과 회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림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거치되는 거치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종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cover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rim and the rotation module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module,
and the cover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an object to be mounted between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im is rotated upward.
KR1020210003599A 2021-01-11 2021-01-11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KR102493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en) 2021-01-11 2021-01-11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en) 2021-01-11 2021-01-11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05A true KR20220101505A (en) 2022-07-19
KR102493781B1 KR102493781B1 (en) 2023-02-06

Family

ID=8260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99A KR102493781B1 (en) 2021-01-11 2021-01-11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8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17A (en) * 2001-01-17 2001-05-07 김보연 Mobile office system
KR101420689B1 (en) 2008-06-25 2014-07-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Vehicle steering wheel
US20160325662A1 (en) * 2015-05-04 2016-11-1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integral tray table
US20180334183A1 (en) * 2017-05-19 2018-11-2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movable between a deploy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KR20200006954A (en) 2018-07-11 2020-01-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vehicle
KR102075346B1 (en)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Variable steering whee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17A (en) * 2001-01-17 2001-05-07 김보연 Mobile office system
KR101420689B1 (en) 2008-06-25 2014-07-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Vehicle steering wheel
US20160325662A1 (en) * 2015-05-04 2016-11-1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integral tray table
US20180334183A1 (en) * 2017-05-19 2018-11-2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movable between a deployed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KR20200006954A (en) 2018-07-11 2020-01-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vehicle
KR102075346B1 (en)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Variable steering whee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781B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011B2 (en) Double rack gear structure for supporting pop-up monitor
US9234621B2 (en) Pop-up monitor with double rack gear structure
JP6881211B2 (en) Vehicle display device
EP3028899B1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KR20170057305A (en) Actuator mechanism, exterior mirror device and vehicle
KR102493781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US10252673B2 (en) Vehicle mirror device
US2014014637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300454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KR102601024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JP2022078862A (en) Operation system and operation content setting method
CN216102343U (en) Steering wheel and vehicle
CN113548060A (en) Automobile flexible central control display board, intelligent steering whe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21795A1 (en) Side mirro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628396B1 (en) haptic scroll wheel device
KR102613408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JP6417289B2 (en) Rotation drive mechanism and in-vehic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rotation drive mechanism
US11383750B2 (en) Vehicle steering assembly
KR20140014804A (en) Automobile
JP2010254209A (en) Automatic angle adjusting device of vehicular mirror
JP2003276526A (en) Meter display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JP6521594B2 (en) Vehicle vision device
KR20210055290A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JP3788070B2 (en) Angle control device for vehicle mirror
KR102231512B1 (en) Apparatus for setting room mirror of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