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113A - 풍력 터빈용 나셀 - Google Patents

풍력 터빈용 나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113A
KR20220101113A KR1020227017911A KR20227017911A KR20220101113A KR 20220101113 A KR20220101113 A KR 20220101113A KR 1020227017911 A KR1020227017911 A KR 1020227017911A KR 20227017911 A KR20227017911 A KR 20227017911A KR 20220101113 A KR20220101113 A KR 2022010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xiliary
main unit
main
auxili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벤 라데가드 바운
예스퍼 리크케가드 노이바우어
레나토 카트로가
Original Assignee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0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03D13/122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of auxiliary arrangements inside tower or nacelle, e.g. generators or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003Power-supply to auxiliary components, e.g. to pitch drives or coo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60Cooling or heating of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60Cooling or heating of wind motors
    • F03D80/601Cooling or heating of wind motors using ambient airflow; Convective cooling of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F03D80/821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within nace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F03D80/85Ca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F03D80/881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within nace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터빈 타워에 장착되며 로터 지지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풍력 터빈 나셀(nacelle)로서, 상기 나셀은 메인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예컨대, 변환기 또는 변압기를 수용한다. 효율적인 운송, 더 낮은 비용 및 더 쉬운 조립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 요소는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린다.

Description

풍력 터빈용 나셀
본 개시는 풍력 터빈용 나셀(nacelle)에 관한 것이다. 나셀은 메인 유닛과 메인 유닛의 측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나셀은 특히 대형 풍력 터빈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개시는 또한 이러한 나셀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 터빈들은 공칭 전력 출력의 면에서 뿐만 아니라 풍력 터빈의 개별 부품들의 물리적 치수 면에서 크기가 증가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풍력 터빈의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나셀의 크기도 증가해야 한다. 풍력 터빈들은 보통 개별 부품들의 제조 위치 또는 위치들로부터 풍력 터빈이 건립되는 작동 장소로 도로, 철도 또는 선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운송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추가적인 모듈화, 설계 및 제조의 용이성을 가능하게 하고 풍력 터빈들의 개선된 유지보수를 허용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목적은 나셀의 가능한 크기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운송 및 핸들링 비용을 낮추기 위해 일반적인 운송 수단을 사용하여 운송할 수 있는 나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에 따라, 본 개시는 풍력 터빈 타워 상에 장착되고 로터-지지 조립체(rotor-supporting assembly)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풍력 터빈 나셀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지지 조립체는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로터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나셀은 전력 변환 조립체(power conversion assembly)를 수용한다.
상기 나셀은:
- 상기 풍력 터빈 타워에, 예컨대, 요잉(yawing) 장치를 통해, 연결 가능하며,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발전기를 수용하는 메인 유닛, 및
- 상기 전력 변환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작동 요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인터페이스에서 조립되는 별도의 유닛들이며,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린다(suspended).
상기 보조 유닛은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린 작동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메인 유닛은 풍력 터빈 타워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유닛은 풍력 터빈 타워로의 작동 요소의 하중 경로(load path)를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보조 유닛은 작동 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메인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유닛은 메인 유닛에 비해 더 작은 하중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유닛은,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요소의 저장 및 운송을 위해 치수가 정해지고 설계되지만, 상기 타워에 작동 요소의 전체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치수가 정해지고 설계되지는 않는다.
메인 유닛 및/또는 보조 유닛의 예들은 임의의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조립되도록 구성된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유닛 및/또는 메인 유닛은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크기 및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크기 및/또는 외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유닛은 핸들링, 운송, 및 저장과 관련하여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이점들을 가진다. 선적 화물 컨테이너들은 예를 들어 선박, 기차, 트럭 등으로 전 세계 어디에서나 벌크 운송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핸들링될 수 있다.
비용 절감은 메인 및/또는 보조 유닛이 선적 화물 컨테이너일 때 더욱 두드러진다. 선적 화물 컨테이너는 복합 컨테이너, 표준 화물 컨테이너, 박스 컨테이너, 해상 화물 컨테이너, 또는 ISO 컨테이너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대륙간 교통을 위해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복합 화물 운송 시스템에서 재료들과 제품들을 저장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를 말한다. 선적 화물 컨테이너는 ISO 668:2013 시리즈 1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ISO 표준의 치수 및 구조적 사양을 따를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회전축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로터 지지 조립체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셀은, 예를 들어, 메인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보조 유닛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보조 유닛들 각각은 ISO 668:2013 시리즈 1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ISO 표준의 치수 및 구조적 사양에 따라 하나의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절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컨테이너의 2개의 절반 부분들이 운송 중에 하나의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예컨대, 메인 유닛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2개의 보조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특히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즉 컨테이너의 가장 긴 치수로 연장되는 인터페이스에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나셀은 타워에 의해 직접 지지되거나 또는 중간 타워 구조물을 통해 타워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풍력 터빈이 전통적인 수평 축 유형인 경우에, 나셀은 일반적으로 타워 상단과 나셀 사이의 요잉(yawing) 장치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또한 하나보다 많은 나셀이 횡방향 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횡방향 빔 구조물이, 예컨대, 타워와 횡방향 빔 구조물 사이의 요잉 장치를 통해 타워에 의해 다시 지지되는 유형의 다중 로터 풍력 터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역풍(upwind) 풍력 터빈 또는 순풍(downwind) 풍력 터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중간 타워 구조물 또는 구조물들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나셀을 타워에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 유닛은 특히 나셀의 중심부일 수 있으며 로터 샤프트의 적어도 부분과 같은 구동 트레인의 부분들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풍력 터빈은 일반적으로 나셀 외부에 발전기가 배치된 직접 구동 풍력 터빈이거나, 또는 풍력 터빈은 메인 유닛 내에 배치된 발전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닛은 로터 샤프트를 통해 로터를 지지한다.
상기 메인 유닛은 풍력 터빈의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부품들, 예컨대, 기어 박스, 베어링 시스템, 및, 예컨대, 윤활, 냉각, 및 제어 목적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주변 장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유닛은 특히, 로터-지지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요잉 장치를 통해, 로터로부터 타워 또는 중간 타워 구조물로의 하중 경로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특히 주조된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 추가하여, 로터 지지 조립체는, 예를 들어, 풍력 터빈 내의 로터를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물 및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된 작동 요소는 특히 메인 프레임에 직접 매달릴 수 있으며, 즉, 메인 프레임이 작동 요소로부터 타워로의 하중 경로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작동 요소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프레임에 매달릴 수 있으며, 보조 유닛이 작동 요소로부터 타워로의 하중 경로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도록 매달릴 수 있다.
상기 나셀은 요잉 장치를 통해 타워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요잉 장치를 통해 나셀을 타워에 연결함으로써, 또는 다중 로터 풍력 터빈에서 개별 나셀 구조물들의 적어도 2개의 메인 프레임들을 중간 타워 구조물을 통해 타워에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간 타워 구조물은 요잉 장치를 통해 타워에 다시 연결된다.
상기 나셀은 작동 요소를 보조 유닛 상에 매달도록 구성된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은 상기 메인 유닛에 대한 상기 보조 유닛의 조립 위치에서 상기 보조 유닛을 상기 메인 유닛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서스펜션 구조물로부터 작동 요소의 매달림(suspension)을 이어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는 제2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예를 들어, 보조 유닛의 바닥 또는 벽에 지지되며,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로 하강할 때,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과의 지지 관계로부터 작동 요소를 들어올린다. 그 순간부터, 작동 요소는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프레임에 매달리며, 바람직하게는 보조 유닛의 바닥으로부터 자유롭게 들어 올려진다.
다른 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는 제2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예를 들어, 보조 유닛의 바닥 또는 벽에 지지되며,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와 메인 프레임 사이에 부착된다. 그 시점에서, 제1 서스펜션 구조물과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모두 작동 요소를 지지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메인 프레임에 대한 직접적인 매달림이 제1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독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와 메인 프레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브라켓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있는 대응된 벽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벽 개구는 벽 개구 둘레의 에지와 브라켓 사이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되는 브라켓의 단면 치수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메인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의 외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브라켓들에 가해지는 하중이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벽 개구와 브라켓들 사이의 갭은, 예를 들어, 밀봉 구조물, 예컨대, 벽의 에지와 브라켓 사이에 연장되는 고무 가스켓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일 실시예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의 부분을 구성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한다.
상기 전력 변환 조립체는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원하는 에너지 형태로 변환한다. 전력 변환 조립체는 예를 들어 전력을, 예컨대, AC 또는 DC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의 경우, 전력 변환 조립체는 발전기를, 예를 들어, 외부 전력망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력 변환 조립체는, 예를 들어, 변환기, 및/또는 변압기, 및/또는 스위치 기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요소들은 전력 변환 조립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는 변환기 및/또는 변압기, 및/또는 스위치 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보조 유닛 내에 적합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이들이 비교적 무거운 요소들이기 때문에 유리하게는 메인 유닛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로부터 타워로의 하중 경로는 가능한 한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요소들을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아 이러한 요소들의 무게의 적어도 부분을 타워에 연결된 메인 유닛에 의해 직접 지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언급된 요소들은 종종 풍력 터빈의 구동 트레인 및 다른 부품들과 관련되지 않은 외부 공급업체에 의해 풍력 터빈이 세워진 장소에 공급된다. 따라서, 구동 트레인으로부터 떨어진 유닛에서 캡슐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승인되지 않은 사람의 의도하지 않은 접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변환기와 변압기는 안전상의 이유로 메인 유닛에서 분리될 수 있는 고전압 요소들이다.
또한, 이러한 언급된 요소들은, 예컨대, 작동 요소들이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될 때 작동 요소들을 지면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또는 적어도 회전하는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험한 구동 트레인으로부터 격리된 작업 영역에서 작업함으로써, 정비 또는 교체를 특별히 훈련된 직원에 의해 적합하게 수행해야 하는 비싸고 복잡한 요소들이다.
상기 발전기는, 일례에서,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발전기, 예컨대,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발전기일 수 있으며, 변환기 전압은 때때로 고정자 전압이라고 지칭되는 발전기 전압과 동일한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다른 예에서, 이중 급전 유도 발전기(DFIG)일 수 있다. 이 경우, 변환기의 전압은 발전기 고정자 전압과 상이할 수 있다. 변환기는 발전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고정자 전압과 동일한 전압 또는 고정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다.
낮은 전압은, 예를 들어, 최대 1000V의 전압으로 간주된다. 중간 전압은 1KV 내지 대략 60kV의 전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전압은 저전압 또는 중전압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인터페이스에서 조립된다.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은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메인 유닛이 타워 상부에 조립된 후 추후에, 예를 들어,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메인 유닛으로부터 보조 유닛의 해제를 허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닛 고정 구조물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상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맞물리는 특징부들의 예로는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하나의 돌출부들과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다른 하나의 만입부들(indentation) 또는 구멍들일 수 있으며, 유닛 고정 구조물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볼트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보조 유닛은, 정비, 요소들의 교체를 위해, 또는 지면과 나셀 사이에서 요소들과 사람들의 수송을 위해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블들에 의해 메인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은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근접하게 하강될 때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닛 고정 구조물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의 후크들 또는 맞물림 구조물들(interlocking structures)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유닛 고정 구조물이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고정시키는 위치로 보조 유닛이 이동할 때, 작동 요소의 하중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서스펜션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되지만, 메인 유닛에 직접, 예컨대,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매달려 있다. 여기에서, 이는 작동 요소의 하중의 적어도 부분이 보조 유닛 또는 유닛 고정 구조물에 하중을 가하지 않으면서 메인 유닛으로 직접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하중은 여기에서 직접 하중(direct load)으로서 지칭된다.
직접 하중은 반드시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된 작동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전체 하중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직접 하중은, 예를 들어,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된 작동 요소와 메인 유닛에 매달린 방향에 의해 발생하는 전체 하중의 50% 내지 100%이다. 특히, 직접 하중은 전체 하중의 100%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작동 요소가 메인 유닛에 의해 완전히 지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MW 풍력 터빈에서 작동 요소의 무게는 예를 들어 25-30톤(변압기 및/또는 변환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 유닛의 무게는 5-15톤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의 하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인 유닛, 특히 메인 프레임에 전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직접 부하는 보조 유닛으로 전달되지 않고 보조 유닛을 통해 메인 유닛으로 전달되지도 않으며, 대신에 메인 유닛으로 직접, 예컨대, 메인 프레임으로 직접 전달된다.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대하여 회전축으로부터 옆으로 이동되었음을 의미한다. 보조 유닛은, 예를 들어, 풍력 터빈 로터의 회전축에 대해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메인 유닛 내에 조립된 베인 베어링 시스템과 구동 트레인 시스템 둘 다와 구동 트레인으로부터 멀어지게 옆으로 이동된 보조 유닛 내의 다른 요소들을 가지기 위해, 메인 풍력 터빈 요소들의 유리한 분포와 함께 나셀의 유리한 모듈성(modularity)을 제공한다. 따라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특히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몇몇의 작동 요소들은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되며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린다. 작동 요소는 동일한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된 변압기 및 변환기일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가 해제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용이하게 메인 유닛에 작동 요소가 직접 매달리게 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메인 유닛으로부터 작동 요소의 해제를 허용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메인 유닛과 작동 요소 상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맞물림 특징부들의 예들은 메인 유닛과 작동 요소 중 하나의 돌출부들과 메인 유닛과 작동 요소 중 다른 하나의 만입부들 또는 구멍들일 수 있으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메인 유닛에 작동 요소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볼트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작동 요소는,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작동 요소를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블들에 의해 메인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또한 메인 유닛에 보조 유닛을 홀딩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보조 유닛은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될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에 작동 요소가 해제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가 보조 유닛의 바닥 상에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보조 유닛의 바닥과 작동 요소 사이에 배치된 다리들, 빔들, 또는 유사한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으로부터 작동 요소의 해제를 허용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과 작동 요소 상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맞물림 특징부들의 예들은 보조 유닛과 작동 요소 중 하나의 돌출부들과 보조 유닛과 작동 요소 중 다른 하나의 만입부들 또는 구멍들일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에 작동 요소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볼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작동 요소는,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작동 요소를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블들에 의해 보조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될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특히 보조 유닛이 운송 중에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작동 요소를 지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부착될 때, 즉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하중이 제2 서스펜션 구조물로부터 제1 서스펜션 구조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서스펜션 구조물과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둘 다에 동시에 매달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요소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예컨대, 하중의 더 큰 비율이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50% 아래 또는 10% 아래의 작은 비율만 보조 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제1 서스펜션 구조물과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메인 유닛에 의한 작동 요소의 지지와 보조 유닛에 의한 작동 요소의 지지 사이에서의 자동 전환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세 가지 조립 절차들이 설명된다.
a)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지면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을 통해 결합된다. 그 후에,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상승되어 하나의 조립된 나셀로서 타워에 부착된다. 나셀에 부착된 때, 작동 요소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유닛에 직접 부착되며, 이에 의해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리게 된다. 작동 요소가 메인 유닛의 외측 표면에 노출되도록 충분히 차폐되어 있는 경우, 보조 유닛은 해제되어 다른 요소들의 후속 운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보조 유닛은 작동 요소의 지속적인 캡슐화를 위해 메인 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나셀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b)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지면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을 통해 결합된다. 그 후에, 작동 요소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유닛에 직접 부착되며, 이에 의해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리게 된다. 이제, 보조 유닛은 해제되어 다른 요소들의 후속 운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보조 유닛은 작동 요소의 지속적인 캡슐화를 위해 메인 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나셀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나셀은 상승되어 하나의 조립된 나셀로서 타워에 부착된다.
c) 메인 유닛이 상승되어 타워에 부착된다. 그 후에, 보조 유닛이 상승되어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메인 유닛에 결합된다. 두 개의 유닛이 조립될 때, 작동 요소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유닛에 직접 부착되며, 이에 의해 메인 유닛에 직접 매달리게 된다. 이 시점에서, 작동 요소는 제1 및 제2 서스펜션 구조물 둘 다를 통해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에 동시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보조 유닛은 해제되어 다른 요소들의 후속 운송에 사용되거나, 또는 보조 유닛은 작동 요소의 지속적인 캡슐화를 위해 메인 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나셀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세 가지 시나리오들 모두에서, 보조 유닛은 메인 유닛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보조 유닛이 유닛 고정 구조물을 통해 부착된 때, 작동 요소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메인 유닛에 부착을 위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작동 요소는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보조 유닛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조 유닛은 내후성(weather protection)을 위한 차폐물로서만 기능하며, 및/또는 작동 요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실내 작업 플랫폼을 형성한다. 작동 요소는, 예를 들어, 작동 요소로부터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으로의 직접 하중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보조 유닛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세 가지 시나리오 모두에서 보조 유닛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유닛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공기, 물 및 먼지가 메인 유닛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유닛은 요(yaw) 장치와 메인 유닛 사이에 삽입된 어댑터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적어도 2개의 보조 유닛들이 나셀에 포함될 수 있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은 메인 유닛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보조 유닛들은 회전축이 연장되는 수직면의 양측에 있을 수 있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은 메인 유닛의 일측에서 또는 메인 유닛의 양측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보조 유닛들은, 예를 들어, 회전축이 연장되는 수평면의 양측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평면은 회전축과 회전축에 수평으로 인접한 점에 의해 정의된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을 차례로 배열되어 보조 유닛들의 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에 의해 분리된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이 서로의 위에 또는 차례로 배열되는 경우, 나셀은 보조 유닛들 중 하나에 대한 보조 유닛들 중 다른 하나의 해제 가능한 고정을 위해 제3 고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보조 유닛들 중 하나는, 다른 보조 유닛의 메인 유닛으로의 그리고 이에 의해 풍력 터빈 타워로의 하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고정 구조물은 보조 유닛들 중 하나를 보조 유닛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3 고정 구조물은 2개의 보조 유닛들 상에, 예를 들어, 하나의 유닛에서 돌출부들의 형태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유닛에서 만입부들 또는 구멍들의 형태로, 상호 맞물리는 구조적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 구조물은 보조 유닛들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볼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 보조 유닛들 중 아래쪽 보조 유닛은, 정비, 요소들의 교체를 위해 보조 유닛들 중 아래쪽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케이블들에 의해, 보조 유닛들 중 위쪽 보조 유닛의 제자리에 홀딩될 수 있다.
2개의 보조 유닛들은 메인 유닛의 일측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되거나 차례로 배열될 수 있으며, 2개의 보조 유닛들은 메인 유닛의 양측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되거나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발전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성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 인터페이스는 메인 유닛 내의 메인 공간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조 유닛에 들어가지 않고도 연결을 허용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인터페이스는 보조 유닛 내의 보조 공간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유닛에 들어가지 않고도 연결을 허용하거나 또는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메인 유닛은 특히 작동 요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로터 지지 조립체의 격리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격리는, 예를 들어, 밀봉, 즉, 기밀, 격리 또는 화재 또는 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 또는 방수 격리일 수 있다.
보조 유닛은 변압기와 변환기를 로터 지지 조립체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밀봉 격리, 또는 방화 격리, 또는 방수 격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들은, 나셀 아래로부터 나셀 위로, 갭을 통해,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갭을 형성하는 인터페이스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갭은 열 대류를 증가시켜 메인 및 보조 유닛들 내부의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모두의 벽들에 있는 개구들을 통해 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개구들과 제1 서스펜션 구조물 사이의 공간은 가스켓, 예컨대, 작동 요소의 하중이 메인 유닛 또는 보조 유닛의 벽들로 전달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탄성 고무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로 밀봉될 수 있다.
가스켓은 접근로(access way), 예를 들어, 케이블들 또는 버스-바(bus-bar)를 위한 도어들 또는 통로들이 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은 다른 압력 방출 구조물, 예컨대, 분출 패널(blowout panel) 등에 작용하는 분출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에 진동 감쇠 재료가 배치된다. 고무 또는 발포 재료, 또는 유사한 탄성 변형 및 진동 감쇠 효과를 가진 재료가 사용할 수 있다. 감쇠 재료는 특히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으며, 특히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이 못, 리벳, 볼트 또는 임의의 유사한 기계적 부착구에 의해 고정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은 보조 유닛(들)보다 더 넓다. 메인 유닛이 "더 넓다"는 것은 회전축에 대해 직각인 수평면에서의 치수가 보조 유닛(들)의 동일한 치수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인 유닛은 특히 ISO 668:2013, 시리즈 1의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ISO 표준의 치수 및 구조적 사양에 따른 선적 화물 컨테이너보다 더 넓을 수 있으며, 반면에, 보조 유닛(들)은 ISO 668:2013, 시리즈 1의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ISO 표준에서 규정된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나셀은, 메인 유닛에 부착된 크레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크레인 구조물은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유닛 고정 구조물이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연결할 수 있는 위치까지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크레인 구조물이 보조 유닛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수직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승강 절차는 수직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가능한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유닛 고정 구조물과 결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크레인은, 예를 들어, 매달린 구성(suspended configuration)과 수축된 구성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캔틸레버 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매달린 구성에서, 캔틸레버 빔 구조물은, 보조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유닛을 향하여 또는 메인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보조 유닛을 승강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몇몇의 외향 돌출 캔틸레버들을 형성한다. 외향 돌출 캔틸레버 빔 구조물은 특히 메인 유닛의 지붕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변환 조립체는 발전기로부터의 전력을 화학적으로, 예컨대, 수소, 암모니아 또는 메탄올 내에, 저장된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는 전기분해 셀 스택(electrolysis cell stack), 또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보조 유닛 내에 적절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비교적 무거운 요소들이기 때문에 메인 유닛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는 풍력 터빈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메인 유닛은 풍력 터빈이 설치되는 장소까지 운송될 수 있다. 보조 유닛은, 예를 들어, 작동 요소 공급자에 의해 준비될 수 있으며 작동 요소를 포함하여 풍력 터빈의 설치 장소에 수용되며, 작동 요소는 보조 유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메인 유닛에 부착된다.
특히, 상기 방법은 로터로부터 풍력 터빈 타워까지의 하중 경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에 작동 요소를 직접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의 초기 단계 중에, 작동 요소는 보조 유닛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설치 중에, 보조 유닛 내에서 지지되는 동안 작동 요소는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로 상승된다. 여기에서는, 이 위치를 "조립 위치"로 지칭한다. 조립 위치에 도달된 때, 작동 요소의 하중은 보조 유닛으로부터 메인 유닛으로, 특히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유닛을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유닛 고정 구조물이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연결하는 동안 하중은 제2 서스펜션 구조물로부터 제1 서스펜션 구조물로 전달된다.
제3 양태에서, 본 개시는 제1 양태에 따른 풍력 터빈을 정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작동 요소는 보조 유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메인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며, 지면에서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보조 유닛 내에서 지면으로 하강된다.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화재, 유독성 탈출, 온도 또는 전기와 관련하여 상이한 규정들을 가진 두 가지 상이한 안전 카테고리들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 양태들에서, 본 개시는 풍력 터빈 타워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풍력 터빈 나셀을 제공하며, 상기 나셀은:
- 상기 풍력 터빈 타워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는 메인 유닛, 및
-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을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인터페이스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유닛들이며, 상기 메인 유닛은 메인 유닛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유닛 고정 구조물이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연결할 수 있는 위치까지 수직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크레인 구조물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은, 예를 들어, 여기에서 개시된 피봇 가능하거나 슬라이딩 가능한 후크 형태의, 움직일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리스트
1. 풍력 터빈 타워(3)에 장착되며 로터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풍력 터빈 나셀(nacelle)(2)로서, 상기 나셀은 전력 변환 조립체를 더 수용하며, 상기 나셀은:
- 상기 풍력 터빈 타워(3)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는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및
- 상기 전력 변환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작동 요소(operative component)(34, 35, 77, 104)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을 포함하고,
-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인터페이스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유닛들이며,
-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직접 매달린다(suspended).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은 발전기(33)를 수용한다.
3.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4.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내의 메인 프레임(106)에 직접 매달린다.
5.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전기분해 셀 스택(electrolysis cell stack), 변압기, 또는 변환기(converter)이다.
6.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나셀은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해제 가능하게 매달기 위한 제1 서스펜션 구조물(78)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직접 용이하게 매달 수 있다.
7.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나셀은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에 해제 가능하게 매달기 위한 제2 서스펜션 구조물(78, 91)을 포함한다.
8. 실시예 6과 7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과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 모두를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에 동시에 매달도록 구성된다.
9.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나셀은 적어도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 61, 62, 71, 102, 122, 191)을 포함한다.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양측에 배치된다.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하부 및 상부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면의 양측에 있다.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양측에 하부 및 상부 보조 유닛(61, 62)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의 일측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되고,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반대측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된다.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은 하부 보조 유닛(62)을 상부 보조 유닛(61)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고정 구조물을 포함한다.
14.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내의 발전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성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15. 실시예 5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은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워싸인 공간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변압기와 컨버터는 상기 메인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16.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로부터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격리시키도록 구성된다.
17.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표면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의 대향 표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갭(167)을 형성한다.
18. 전기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나셀은, 상기 메인 유닛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이 상기 보조 유닛을 상기 메인 유닛에 연결할 수 있는 위치까지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크레인 구조물을 포함한다.
19.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구조물은 상기 보조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20.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나셀을 가진 풍력 터빈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이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포함하여 상기 풍력 터빈의 설치장소에 수용되는 단계; 및
-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이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내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부착된다.
21. 실시예 20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내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부착된다.
22. 실시예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풍력 터빈 타워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에 부착된 크레인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상기 메인 유닛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유닛으로부터 하강된다.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크레인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오직 수직면에서만 승강된다.
24.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나셀을 가진 풍력 터빈을 정비(service)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으로부터 분리되며, 지면에서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서 지면으로 하강된다.
다음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와 1b는 풍력 터빈들을 도시하며;
도 2는 풍력 터빈의 나셀을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나셀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위에서 본 도 3의 나셀을 도시하며;
도 5는 좌측 및 우측 보조 유닛들이 동일한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2개의 보조 유닛들(61, 62)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인터페이스의 세부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8은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부착된 후의 도 7의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을 도시하며;
도 9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이 볼트 형상의 고정 핀들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 11은 제1 및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며;
도 12-15는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들의 4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도 16-18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이 힌지 구조물에 의해 조립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9, 20은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부착시키기 위한 후크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며;
도 21은 보조 유닛이 지면으로 자유롭게 하강될 수 있는 개방 위치의 후크를 도시하며;
도 22는 메인 유닛에 보조 유닛의 부착을 위한 2개의 볼트 구멍들을 가진 단면을 도시하며;
도 23, 24, 25는 후크가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6-29은 보조 유닛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메인 유닛 상의 크레인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과 수정들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과 구체적인 예들은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 1a와 1b는 타워(3)에 장착된 나셀(2)을 가진 풍력 터빈들(1)을 도시한다. 3개의 로터 블레이드들(5)을 지지하는 허브(4)는 로터를 형성하며 상기 나셀(2) 내의 로터-지지 조립체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터-지지 조립체는 기어 장치와 발전기를 허브에 연결하는 로터 샤프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발전기가 샤프트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으므로 기어가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는 상기 나셀 외부에 위치한 발전기(6)를 가지는 직접 구동 풍력 터빈을 도시한다.
도 2는 나셀이 메인 유닛(20)과 2개의 보조 유닛들(21, 22)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냉각 영역(23)은 나셀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 영역은 메인 유닛 및/또는 보조 유닛들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 유닛(20)은 요잉(yawing) 장치(미도시)를 통해 타워(3) 상에 장착되어 로터를 바람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나셀(2)이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도 3은 도 2의 나셀(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상기 나셀(2)의 외벽들은 (설명을 위해) 투명하게 도시되어, 이에 의해 나셀(2)의 내부 부품들과 나셀 내부에 수용된 풍력 터빈의 요소들을 드러낸다. 상기 메인 유닛(20)은 그 내부에 회전을 위한 메인 샤프트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 유닛(31)과, 허브(4)의 회전축에 의해 정의된 방향을 따라서 허브(4) 뒤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기어 장치(32) 및 발전기(33)를 수용한다. 상기 메인 유닛 내의 요소들은 주로 구동 트레인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보조 유닛(22)은 변압기 유닛(34)과 변환기 유닛(35)을 수용하며, 상기 변환기 유닛(35)은 여기에서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되지만 메인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상이한 작동 요소들을 구성한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작동 요소는 전기분해 셀 스택(electrolysis cell stack) 또는 배터리일 수 있다.
각각의 보조 유닛(21, 22)은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메인 유닛(20)의 측면을 따라서 장착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유닛들(21, 22)은, 허브(4)의 회전축을 따라서 허브(4)로부터 메인 유닛(20)의 후방 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하나의 보조 유닛(21)은 메인 유닛(20)의 우측을 따라 장착되고 다른 보조 유닛(22)은 메인 유닛(20)의 좌측을 따라서 장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들은 에워싸이고 선택적으로 밀봉 가능한 유닛들로서, 하나의 격실은 보조 유닛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격실은 메인 유닛에 의해 형성되어 메인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구동 트레인이 변환기와 변압기로부터 격리될 수 있도록 한다. 2개의 격실들은 사람과 장비가 메인 유닛 내의 메인 공간으로부터 보조 유닛 내의 보조 공간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개구들(cooperating openings)(3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구들(36)은 밀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재 등이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하나로부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다른 하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위에서 본 나셀을 도시한다.
도 5는 좌측 및 우측 보조 유닛들이 무게 균형 및 이중 기능(double function)을 수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중 기능은 풍력 터빈이 보조 유닛들 각각에 하나씩 포함된 2개의 유사하게 기능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요소들은 특성과 사양이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의 요소가 고장난 경우에, 풍력 터빈은 다른 보조 유닛 내의 작동 요소로 교체되어 감소된 출력으로 계속 작동할 수 있다.
도 4와 5는 메인 유닛으로부터 보조 유닛 내부로 연장되고 예비 부품 등의 용이한 핸들링을 허용하는 레일(42)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5에서, 상기 보조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화물 컨테이너, 예컨대 시리즈 1 화물에 컨테이너들에 대한 ISO 표준, ISO 668:2013에 의해 제공된 치수와 구조적 사양들을 가지는 40피트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요소들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보조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강철로 성형되며 컨테이너에 대해 특히 강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ISO 코너 리프팅 구조물에 의해 메인 유닛에 부착된다.
도 6은 2개의 보조 유닛들(61, 62)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보조 유닛(61)는 40피트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크기와 형상을 가진 유닛으로 구성되며, 하부 보조 유닛(62)은 20피트 선적 화물 컨테이너의 크기와 형상을 가진 유닛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컨테이너들은 ISO 표준, ISO 668:2013에 의해 제공된 치수와 구조적 사양들을 가지며, 보조 유닛들은 주로 20피트 컨테이너의 코너 리프팅 장치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40피트 컨테이너의 코너 리프팅 장치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두 개의 보조 유닛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도 7은 인터페이스의 세부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터페이스는 보조 유닛(71)과 메인 유닛(72)을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며, 설치 장소로 운송 후에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예컨대, 유지보수 중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유닛(71)은 임의의 다른 유닛들과는 독립적으로 메인 유닛(72)에 부착되며, 유닛 고정 구조물은 메인 유닛 내의 안쪽으로 향한 홈 또는 트랙(73)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랙(73)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외측 표면(75) 내부로의 리세스(recess)를 형성한다. 상기 트랙은 수평 단면에서 C-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즉, 위에서 보았을 때, 트랙은 보조 유닛에 제공된 돌출부(7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보조 유닛(71)이 메인 유닛(72)의 외측 표면(75)을 따라서 아래로 하강되는 절차를 통해 돌출부(74)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화살표(76)로 도시된다. 이 절차는 다른 보조 유닛과 그 내부에 수용된 작동 요소의 분리 없이 보조 유닛과 그 내부에 수용된 작동 요소의 용이한 교체를 허용한다.
상기 메인 유닛은 보조 유닛 내에 수용된 작동 요소로부터 타워, 예컨대, 메인 프레임을 통해, 타워로 내려가는 하중 경로(load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 하중 경로는 보조 유닛으로부터 타워로의 하중 경로와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는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보조 유닛(71)은 볼트 형상의 고정 핀들(78)로 구성된 제2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보조 유닛에 고정되는 변환기(converter)(77)를 수용한다.
상기 메인 유닛은 외벽들에 부착된 강화 브라켓(79)을 가지며, 상기 강화 브라켓(79)은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수용되어 고정될 때 변환기(77)의 무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보조 유닛이 메인 유닛에 부착된 후의 도 7의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 형상의 고정 핀들(78)은 옆으로 좌측으로 연장되어 강화 브라켓(79) 내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하중을 작동 요소로부터 메인 프레임을 통해 타워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메인 유닛 내의 강성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볼트 형상의 고정 핀들은 이제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구성하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변환기는 메인 유닛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작동 요소로부터 타워로의 하중 경로의 부분을 형성하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보조 유닛으로부터 타워로의 다른 하중 경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도 7-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서스펜션 구조물들은 둘 다 변환기로부터 보조 유닛 또는 메인 유닛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연장되는 동일한 볼트들의 세트로 구성된다.
도 9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이 볼트 형상의 고정 핀들로 구성되고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은 변환기의 바닥과 보조 유닛의 바닥 사이의 지지 다리들(support legs)(91)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및 제2 서스펜션 구조물들의 다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101)과 보조 유닛(102)은 보조 유닛(102)을 구성하는 컨테이너의 코너 리프팅 지점들(103)에 의해 구성된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결합된다.
변압기(104)는 여기서 제1 서스펜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이는 여기에서 보조 유닛(102)의 바닥에 놓인 지지 프레임(105)의 형태이고 메인 유닛(101) 내부의 메인 프레임(106)에 직접 매달려 있다(suspended). 이에 의해, 메인 프레임은 작동 요소를 위한 타워로의 하중 경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변압기(104) 무게의 적어도 50퍼센트는 메인 유닛(101)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무게는 보조 유닛(102)에 의해 지지되며 이는 다시 메인 유닛(101)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나머지 무게는 메인 유닛(101)에 의해 직접 지지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와 비슷한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여기에서 서스펜션 구조물(105)은, 메인 유닛(101) 내부의 메인 프레임(106)에 배치되며 하부 브라켓들(1101)과 상부 브라켓들(1102)을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물을 통해 매달린 지지 프레임(105)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메인 프레임은 작동 요소를 위한 타워로의 하중 경로를 형성한다.
도 12-15는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스들을 형성하는 유닛 고정 구조물의 4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들 4개의 도면들 각각에서, 메인 유닛(121)과 보조 유닛(122)은, 유닛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며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공동 구조물(cooperating structure)에 의해 연결된다.
도 12에서, 협동 구조물들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이 볼트들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들(123)에 의해 구성된다.
도 13에서, 협동 구조물들은 도 12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하부 브라켓(123)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에지에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은 힌지점(hinge point)(132)에서 메인 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131)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후크는 화살표(133)로 표시된 대로 회전할 수 있으며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보조 유닛의 에지 브라켓(134)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브라켓(123)이 제거되고 상기 후크(131)가 메인 유닛 내부로 회전되면, 보조 유닛은 지면으로 하강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는 도 13의 실시예와 비슷하지만, 하부 브라켓은 상부 브라켓(141)으로 대체되고 후크가 하부 에지에 배치된다.
도 15에서, 하부 브라켓과 상부 브라켓은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볼트 체결하는 데 사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지지대(151)는 볼트들이 체결되는 동안 보조 유닛의 저면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작동 요소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보조 유닛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고자 원하는 경우, 슬라이딩 가능한 지지대는 좌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보조 유닛은, 예컨대, 메인 유닛 내부에 구축된 크레인의 사용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도 12-15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브라켓들 또는 후크들은 보조 유닛으로부터 메인 유닛의 강성 부분으로, 예컨대, 하중 지지 기둥으로, 예컨대, 메인 유닛의 코너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한다. 다양한 구조적 특징들이 보조 유닛을 지지하는 브라켓들 또는 후크들을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타워로의 하중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도 12-15에 도시된 후크 및 브라켓 유닛 고정 구조물에 추가하여, 제1 서스펜션 구조물(미도시)은 작동 요소(미도시)를 메인 유닛 내부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연결한다.
도 16-18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들이 힌지 구조물에 의해 조립된 유닛 고정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힌지 구조물은 힌지 요소들(163, 164, 165)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요소들(163, 164, 165)은 힌지 요소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힌지 핀(166)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진다.
도 16은 인터페이스가 갭(167)을 형성하는 것을 더 보여주며, 상기 갭(167)은, 예를 들어, 공기가 갭을 통해 나셀 아래로부터 나셀 위로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갭은 거리 요소(distance element)(168)에 의해 하부에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거리 요소는 공기가 유닛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다수의 핀들(pins) 또는 개방 구조물(open structur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갭은 열 대류를 증가시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내부의 공간의 냉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갭은 힌지 구조물을 가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조립 방법과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도 17과 18은 힌지 요소들(163, 164, 165)과 힌지 핀(166)을 도시한다. 도 17에서, 힌지 요소들은 힌지 핀이 힌지 요소들 내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된다. 도 18에서, 힌지 핀은 힌지 요소들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도 19, 20은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부착시키기 위한 후크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며;
도 19a, 19b 및 19c는 보조 유닛(191)을 메인 유닛(192)에 부착시키기 위한 후크 형태의 유닛 고정 구조물의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상기 후크(193)는 메인 유닛 내의 힌지(194)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상기 후크는 보조 유닛 내의 개구(195)를 통과하도록 회전할 수 있으며 보조 유닛 내의 리세스 또는 에지(196)를 잡을 수 있다.
상기 후크는 또한 보조 유닛 내에 부착되어 메인 유닛 내의 리세스 또는 에지를 잡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후크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부착될 수 있다.
도 21은 보조 유닛이 지면으로 자유롭게 하강될 수 있는 개방 위치의 후크를 도시한다.
도 22는 2개의 볼트 구멍들(221)이 보일 수 있는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볼트 구멍들은 견고한 고정을 위해 볼트들의 사용에 의해 메인 유닛에 보조 유닛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는 주로 메인 유닛에 대해 정확한 높이에 보조 유닛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볼트들은 유닛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9, 21 및 22에서, 상기 후크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메인 유닛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치된 기둥 또는 지지 기둥들을 통해, 메인 유닛의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도 19에서, 상기 기둥(197)은 메인 유닛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며 메인 유닛의 바닥 부분의 메인 프레임 상에 후크를 지지한다.
도 20에서, 후크가 보조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후크가 맞물리는 메인 유닛의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의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메인 유닛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배치된 기둥들 또는 칼럼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예를 들어, 유압 구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동력 구동 수단에 의해 개방 위치(도 21)와 폐쇄 위치(그림 19, 20, 22)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23, 24, 25는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매달리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린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 기능은 도 19-22의 실시예와 같다. 도 23과 24에서, 단면도는 메인 유닛에 보조 유닛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볼트 구멍(231)을 도시한다. 도 23의 후크는 메인 유닛에 부착되고, 도 24의 후크는 보조 유닛에 부착된다.
도 25a에서, 후크(251)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의해 보조 유닛의 에지를 분리시키고 보조 유닛이 지면으로 하강되도록 허용한다. 도 25b에서, 후크(251)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의해 보조 유닛의 에지에 맞물리며 두 개의 유닛들을 서로 고정된 상태로 홀딩한다. 상기 후크는 동력 구동 수단, 예컨대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도 19-25는 보조 유닛을 메인 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한 유닛 고정 구조물의 부분들로서 설명된다. 유사한 구조물들이 작동 요소가 메인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구조물들이 작동 요소가 보조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유사한 구조물들이 2개의 보조 유닛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3 고정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림 26은 유지보수 또는 교체 중에 보조 유닛을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보조 유닛은 메인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크레인(261)의 사용에 의해 승강된다. 이동은 기본적으로 화살표(263)로 표시된 수직면에서만 이루어지며, 메인 유닛에 보조 유닛의 부착은, 힌지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후크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고정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27은 내부 크레인(261)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상기 크레인은 메인 유닛의 지붕 부분에 부착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들이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들 사이의 맞물림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까지 수직 방향으로 보조 유닛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 절차는 수직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크레인 지원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간단한 조립 절차를 가능하게 한다. 수평면에서의 조절을 위해, 상기 크레인(261)은, 예를 들어, 화살표(26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옵션을 가질 수 있다.
도 28은 메인 유닛(282)의 지붕에 이중 캔틸레버 빔(281)을 가진 다른 크레인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캔틸레버 빔(281)은 신축 섹션(telescopic section)(283)에서 옆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빔은 리프팅과 메인 유닛(282)에 보조 유닛(284)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피봇 가능한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여기에서 개시된 유닛 고정 구조물들이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만 승강시켜 보조 유닛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지만, 안팎으로의 이동(in and out movement)은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사이의 수평 거리의 미세한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정의(definitions)
여기에서, "나셀(nacelle)"이라는 용어는 풍력 터빈용 기계실, 즉 로터와 구동 트레인을 지지하며 풍력 터빈 타워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설명하는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용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이라는 용어들은 개별적으로 운송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유닛들과 조립되어 나셀을 형성할 수 있는 유닛들을 지칭한다.
여기에서, "로터-지지 조립체"라는 용어는 로터를 지지하는 나셀의 부품들, 일반적으로 구동 트레인, 메인 베어링, 및 메인 프레임을 의미한다. 구동 트레인은 풍력 터빈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요소들, 예컨대, 로터 샤프트, 발전기, 및 선택적으로 로터 샤프트와 발전기 사이의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1)

  1. 풍력 터빈 타워(3)에 장착되며 로터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풍력 터빈 나셀(nacelle)(2)로서, 상기 나셀은 전력 변환 조립체를 더 수용하며, 상기 나셀은:
    - 상기 풍력 터빈 타워(3)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를 수용하는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및
    - 상기 전력 변환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작동 요소(operative component)(34, 35, 77, 104)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을 포함하고,
    -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인터페이스에서 유닛 고정 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유닛들이며,
    -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직접 매달리는(suspended), 풍력 터빈 나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메인 프레임(106)에 직접 매다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로터로부터 상기 풍력 터빈 타워로의 하중 경로(load path)의 부분을 형성하는, 풍력 터빈 나셀.
  3.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에 매달기 위한 제2 서스펜션 구조물(78, 91)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 나셀.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은 상기 메인 유닛에 대한 상기 보조 유닛의 조립 위치에서 상기 보조 유닛을 상기 메인 유닛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상기 보조 유닛이 조립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서스펜션 구조물로부터 상기 작동 요소의 매달림(suspension)을 이어받도록 구성되는, 풍력 터빈 나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상기 작동 요소들과 상기 메인 프레임(10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풍력 터빈 나셀.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라켓은 상기 메인 유닛과 보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외벽의 대응되는 벽 개구(wall opening)를 통해 연장되는, 풍력 터빈 나셀.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벽 개구는 상기 벽 개구 둘레의 에지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되는 브라켓의 단면 치수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풍력 터빈 나셀.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78)은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풍력 터빈 나셀.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션 구조물(78, 91)은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가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에 해제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풍력 터빈 나셀.
  10.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의 표면과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의 대향 표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갭(167)을 형성하는, 풍력 터빈 나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은 상기 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풍력 터빈 나셀.
  12.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과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은 상기 로터 지지 조립체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풍력 터빈 나셀.
  13.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전기분해 셀 스택(electrolysis cell stack), 변압기, 또는 변환기(converter)인, 풍력 터빈 나셀.
  14.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나셀 외부에 배치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풍력 터빈 나셀.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셀은 상기 로터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33)를 더 수용하는, 풍력 터빈 나셀.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셀을 가진 풍력 터빈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이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를 포함하여 상기 풍력 터빈의 설치장소에 수용되는 단계; 및
    -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이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메인 유닛 내의 메인 프레임은 상기 로터로부터 상기 풍력 터빈 타워로의 하중 경로(load path)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 내의 메인 프레임에 직접 부착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제1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서스펜션 구조물을 통해 상기 보조 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고정 구조물이 상기 보조 유닛을 상기 메인 유닛에 연결하는 조립 위치로 상기 보조 유닛을 이동시키면서 제2 서스펜션 구조물로부터 제1 서스펜션 구조물로 하중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풍력 터빈 타워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에 부착된 크레인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상기 메인 유닛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유닛으로부터 하강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크레인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오직 수직면에서만 승강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셀을 가진 풍력 터빈을 정비(service)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작동 요소(34, 35, 77, 104)는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유닛(20, 72, 101, 121, 192)으로부터 분리되며, 지면에서 정비 또는 교체를 위해 상기 보조 유닛(21, 22, 61, 62, 71, 102, 122, 191) 내에서 지면으로 하강되는, 방법.
KR1020227017911A 2019-11-22 2020-11-20 풍력 터빈용 나셀 KR20220101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970712 2019-11-22
DKPA201970712 2019-11-22
PCT/DK2020/050316 WO2021098927A1 (en) 2019-11-22 2020-11-20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113A true KR20220101113A (ko) 2022-07-19

Family

ID=7364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911A KR20220101113A (ko) 2019-11-22 2020-11-20 풍력 터빈용 나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71016B2 (ko)
EP (1) EP4062059A1 (ko)
JP (1) JP2023503905A (ko)
KR (1) KR20220101113A (ko)
CN (1) CN114945748A (ko)
AU (1) AU2020386417A1 (ko)
BR (1) BR112022009492A2 (ko)
WO (1) WO2021098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7090B (zh) * 2021-06-28 2023-04-07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机舱总成以及风力发电机组
WO2023088525A1 (en) 2021-11-16 2023-05-25 Vestas Wind Systems A/S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EP4180659A1 (en) 2021-11-16 2023-05-17 Vestas Wind Systems A/S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WO2023093956A1 (en) 2021-11-23 2023-06-01 Vestas Wind Systems A/S A nacelle installation method at a wind turbine
CN114837907A (zh) * 2022-01-25 2022-08-02 北京三力新能科技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的机舱、机舱吊装方法及风力发电机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3442C1 (de) 2000-03-17 2001-10-31 Tacke Windenergie Gmbh Windkraftanlage
EP2063119A3 (en) * 2007-11-21 2014-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e of a nacelle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assembly
US20110278852A1 (en) * 2008-12-16 2011-11-17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nacelle
EP2550453B1 (en) 2010-03-22 2014-04-23 Vestas Wind Systems A/S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the nacelle comprising side units
JP5511549B2 (ja) * 2010-06-30 2014-06-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JP5463218B2 (ja) * 2010-06-30 2014-04-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EP2412970A1 (en) * 2010-07-26 2012-02-01 Alstom Wind, S.L.U. Nacelle for a wind turbine
US8922038B2 (en) * 2010-12-08 2014-12-30 Northern Power Systems, Inc. Wind power unit having an underslung transformer
BRPI1100020A2 (pt) * 2011-01-28 2016-05-03 Mitsubishi Heavy Ind Ltd gerador de turbina eólica.
EP2525090B1 (en) 2011-05-18 2016-06-29 ZF Wind Power Antwerpen NV Wind turbine nacelle
EP2565445B1 (en) * 2011-09-02 2014-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former chamber for a wind turbine, wind turbine structure component, wind turb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wind turbine
WO2016116112A1 (en) * 2015-01-22 2016-07-28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nacelle
EP3276169A1 (en) 2016-07-26 2018-01-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wind turbine
EP3786448A1 (en) * 2019-08-29 2021-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ounting a nacelle of a wind turbine and assembling set of parts of a wind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8927A1 (en) 2021-05-27
CN114945748A (zh) 2022-08-26
JP2023503905A (ja) 2023-02-01
AU2020386417A1 (en) 2022-06-02
US11971016B2 (en) 2024-04-30
US20220403829A1 (en) 2022-12-22
EP4062059A1 (en) 2022-09-28
BR112022009492A2 (pt)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1113A (ko) 풍력 터빈용 나셀
US8922038B2 (en) Wind power unit having an underslung transformer
JP2023503456A (ja) 風力タービン
US11946446B2 (en) Nacelle for a wind turbine
US10781798B2 (en) Nacelle component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mounting a nacelle component
EP4062515B1 (en)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US20230068808A1 (en)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and a method of making a wind turbine
EP2394051B1 (en) Wind turbine having power electronics in the nacelle
US20220412315A1 (en) A set of units for making a wind turbine nacelle
WO2023093956A1 (en) A nacelle installation method at a wind turbine
US12006911B2 (en) Nacelle for a wind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