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288A -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288A
KR20220100288A KR1020210002567A KR20210002567A KR20220100288A KR 20220100288 A KR20220100288 A KR 20220100288A KR 1020210002567 A KR1020210002567 A KR 1020210002567A KR 20210002567 A KR20210002567 A KR 20210002567A KR 20220100288 A KR20220100288 A KR 20220100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upper cover
door frame
automatic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762B1 (ko
Inventor
김봉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타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타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타포스
Priority to KR102021000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Screw or pin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에 상부 문틀이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2 개의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하는 도어행거와 구동롤러가 위치하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일체형 프레임의 앞과 뒤에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Automatic door case structure with inter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외측에 상부 문틀(헤드레일)이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2 개의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하는 도어행거와 구동롤러가 위치하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일체형 프레임의 앞과 뒤에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문(등록특허공보 제10-2080338호)은 포켓형 어퍼(upper)커버에 배열된 레일 등의 슬라이드유닛과 무관하게 문짝 자체에 연동유닛이 배열되어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 편리성을 극대화한 삼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하고, 긴 양생시간을 필요로 하는 실리콘 코깅이나 일일이 재단을 하고 장착과정을 거쳐야 하는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속칭 '시보리')를 활용하는 기존 유리패널 장착방법이 갖는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리패널의 재단 및 틀부재의 직장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파일 구조를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삼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은 2 개의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행거와 구동롤러가 위치하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일체형 프레임(하나의 알루미늄 프레임)의 좌측(앞)과 우측(뒤)에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연동하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설치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8033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본 발명의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으로 하나의 구동롤러로 2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제1 도어를 도어 상부에 설치된 고무 레일을 따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체형 프레임에 설치된 또 다른 레일을 따라 제2 도어가 이동하도록 설계 제작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상부문틀(헤드레일)에 삽입 체결되는 일체형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좌측에는 제1 도어의 고속트렉(고무레일)이 하부에 설치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우측에는 제2 도어의 감속트렉(레일)이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상부문틀(헤드레일)의 일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티(T)너트 또는 볼트헤드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구를 형성하여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헤드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상부문틀의 우측 내측에 미관을 위하여 상부 가림부재가 설치되고,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일체형 프레임(제1 및 제2 도어 체결 프레임)에 체결 고정한 후 좌측에 상부커버가 강제 끼움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서 상부커버는 상부문틀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부커버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체결고리가 형성되며,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걸림턱은 강제끼움을 상부문틀 가장자리에 설치된 걸림부재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문틀이 기억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문틀 상부 내측에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이동할 수 있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일측이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며, 다른 일측은 티(T)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 삽입된 티볼트와 너트로 고정 설치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일체형 프레임의 좌측에는 제1 도어용 구동롤러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고무레일이 형성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우측에는 제2 도어용 롤러가 이동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형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상부문틀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은 일체형 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용 걸림턱와 서로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상부문틀에 형성된 티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는 티형(T) 볼트의 티형(T) 헤드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 체결되며, 삽입 체결된 티형 볼트 또는 볼트의 숫나사와 너트의 암나사가 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상부문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체결홈과 상부커버 걸림턱은 상부커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체결홈과 서로 삽입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가 상부문틀 가장자리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이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강제 끼움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부를 부가하여, 분리시 작업자가 탄성부를 눌러서 분리하도록 구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상기 상부문틀의 좌측 하부에는 도어를 출입하는 사람들이 문틀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보이지 않도록 가림부재가 설치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상부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 문틀과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된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제1 도어를 도어 상부에 설치된 고무 레일을 따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체형 프레임에 설치된 또 다른 레일을 따라 또 다른 제2 도어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설치공간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상부문틀(헤드 레일)에 삽입 체결되는 일체형 프레임이 설치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좌측에 제1 도어의 고속트렉(고무레일)이 설치되고, 우측에는 제2 도어의 감속트렉(레일)이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므로 프레임의 제작비용을 줄이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부문틀(헤드 레일)의 일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티너트 또는 볼트헤드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구를 형성하여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헤드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상승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부문틀의 우측 내측에 상부 가림부재가 설치되고,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일체형 프레임에 체결 고정한 후 좌측에 상부커버가 강제 끼움에 의하여 고정시켜서 미관을 좋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부커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부문틀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부커버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체결고리를 형성시켜 강제끼움으로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들을 분해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중 상부 문틀과 일체형 프레임을 결합 조립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이 모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서 상부 문틀과 일체형 프레임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작 설치하여 시험 가동하고 있는 모습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외측에 상부 문틀(헤드레일)이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2 개의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행거와 구동롤러가 위치하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일체형 프레임의 앞과 뒤로 설계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연동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부문틀(헤드레일)과, 상부문틀 내측에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설치된 일체형 프레임이 삽입 체결되고, 상부 전면(도면상의 좌측)에는 상부 커버가 설치된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들을 분해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중 상부 문틀과 일체형 프레임을 결합 조립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이 모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상부, 하부, 좌, 우, 아래, 위 등의 표현은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서로 다른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이동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 및 고정도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은 최대한 폭을 좁게 제작되고, 작업자들이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제작되고, 자동문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3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체결 관계를 살펴본다.
도 1에서, 상부문틀(도1의 10)은 기억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문틀 상부 내측에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이동할 수 있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의 일측이 체결홈(도1의 12)에 삽입 체결되고, 다른 일측은 티(T)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도1의 13)에 삽입된 티(T)형 볼트(도1의 14, 또는 볼트)와 너트(도1의 15)로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의 '고무레일' 또는 '레일'은 수요자 또는 설계자의 요청 또는 선택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계 제작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러한 단어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티(T)형 볼트((도1의 14)와 너트(도1의 15)는 상부문틀(도1의 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상부문틀(도1의 10)에는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문틀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못 체결홈(도1의 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문틀(도1의 10)의 좌측 하부에는 도어를 출입하는 사람들이 문틀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보이지 않도록 가림부재(도1의 27)가 설치되어 있다.
가림부재(도1의 27)는 문틀의 미관을 위하여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가림부재(도1의 27)는 상부문틀(도1의 10)을 제작할 때 함께 성형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일체형 프레임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은 연동식 자동문에서 이동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의 구동롤러 및/또는 아이들롤러와 체결되는 고무레일(도1의 16) 및/또는 레일(도1의 17,18)이 하나의 프레임에 모두 고정 설치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에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용 고무레일 및 레일 하나로 함께 성형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의 폭, 즉 문틀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의 좌측에 형성된 고무레일(도1의 16)에는 제1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구동롤러는 밸트로 구동모터와 체결되어 구동모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의 우측에 형성된 레일(도1의 17,18)에는 제1 도어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제1 도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은 제1 도어의 속도가 제2 도어의 속도보다 2배 빠르게 이동하므로 제1 도어와 연동하는 고무레일(도1의 16)을 '고무레일'이라 칭하고, 제2 도어와 연동하는 레일(도1의 17,18)을 '레일'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상부문틀(도1의 10)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도1의 12)은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고정용 걸림턱(도1의 19)과 서로 삽입함에 의하여 체결된다.
도 1에서, 상부문틀(도1의 10)에 형성된 티(T)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도1의 13)에는 티(T)형 볼트의 티(T)형 헤드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 체결되며, 삽입 체결된 티(T)형 볼트(도1의 14) 또는 볼트의 숫나사와 너트의 암나사가 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형 프레임(도1의 11))이 상부문틀(도1의 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일체형 프레임(제1 및 제2 도어 체결 프레임)에 체결 고정하여 조립 제작을 종료한 후, 좌측에 상부커버(도1의 29)가 강제 끼움에 의하여 상부문틀(도1의 10)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에서, 상부커버(도1의 29)에는 상부문틀(도1의 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체결홈(도1의 20) 및 상부커버 걸림턱(도1의 21)과 서로 삽입 체결되는 구조는 상부커버(도1의 29)의 상부 우측에 도1의 '21'번의 체결홈과 도1의 '20'번의 걸림턱 구조로 형성되어 양자를 삽입 체결할 경우에 상부커버(도1의 29)를 견고하게 상부문틀(도1의 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부커버(도1의 29)의 하부에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도1의 24)가 상부문틀(도1의 10) 가장자리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커버(도1의 29)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도1의 25)이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도1의 24)의 하부에 형성된 도1의 '25'번의 걸림홈에 강제 끼움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커버(도1의 29)는 하부에서 강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좌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부문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도1의 24)에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도1의 2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을 부여하는 구조로 설계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결합력이 강히여 구조를 모르는 작업자가 힘으로 강제 분리시 상부커버(도1의 29)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부(도3의 51)를 부가하여, 분리시 작업자가 탄성부(도3의 51)의 가장자리를 손으로 눌러서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 문틀과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중 상부 문틀과 일체형 프레임을 결합 조립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이 모두 결합 조립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서 상부 문틀과 일체형 프레임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의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서는 상부문틀에 형성된 티(T)형 볼트 삽입구에는 2개의 티(T)형 볼트가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 체결된 구조이며, 삽입 체결된 티(T)형 볼트의 숫나사와 너트의 암나사가 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작 설치하여 내구성 및 다양한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이다.
도 4와 도 5는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모습이며, 도면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문틀의 폭이 좁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앞서 기술한 기술적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요약해 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문틀이 기억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문틀 상부 내측에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이동할 수 있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일측이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며, 다른 일측은 티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 삽입된 티형 볼트와 너트로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일체형 프레임의 좌측에는 제1 도어용 구동롤러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고무레일이 형성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우측에는 제2 도어용 롤러가 이동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문틀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은 일체형 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 고정용 걸림턱와 서로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문틀에 형성된 티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는 티형 볼트의 티형 헤드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 체결되며, 삽입 체결된 티형 볼트 또는 볼트에 형성된 숫나사와 너트의 암나사가 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문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체결홈과 상부커버 걸림턱은 상부커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체결홈과 서로 삽입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가 상부문틀 가장자리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이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강제 끼움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부를 부가하여, 분리시 작업자가 탄성부를 눌러서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상부문틀의 좌측 하부에는 도어를 출입하는 사람들이 문틀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보이지 않도록 가림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 문틀과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권리 보호범위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외측에 상부 문틀이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2 개의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하는 도어행거와 구동롤러가 위치하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일체형 프레임의 앞과 뒤에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공간을 줄이며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10; 상부문틀(헤드레일) 11; 일체형 프레임
12;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 13; 티(T)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
14; 티(T)형 볼트 15; 너트(14와 체결됨)
16; 고무레일(제1 도어용) 17; 제2 도어 상부레일
18; 제2 도어 하부레일 19; 일체형 프레임 고정용 걸림턱
20; 상부커버 체결홈 21; 상부커버 걸림턱
22; '21'번의 체결홈 23; '20'번의 걸림턱
24;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 25;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
26; '25'번의 걸림홈 27; 가림부재
28; 나사못 체결홈 29; 상부커버
30; 상부문틀(헤드레일) 31; 일체형 프레임
32;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 33; 티(T)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
34; 티(T)형 볼트 35; 너트(34와 체결됨)
36; 고무레일(제1 도어용) 37; 제2 도어 상부레일
38; 제2 도어 하부레일 39; 일체형 프레임 고정용 걸림턱
40; 상부커버 체결홈 41; 상부커버 걸림턱
42; '41'번의 체결홈 43; '40'번의 걸림턱
44;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 45;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
46; '45'번의 걸림홈 47; 가림부재
48; 나사못 체결홈 49; 상부커버
50; '44'번의 사시도 51; 탄성부재

Claims (9)

  1.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문틀이 기억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문틀 상부 내측에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이동할 수 있는 고무레일 또는 레일이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의 일측이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며,
    다른 일측은 티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 삽입된 티형 볼트와 너트로 고정 설치된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일체형 프레임의 좌측에는 제1 도어용 구동롤러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고무레일이 형성되고,
    일체형 프레임의 우측에는 제2 도어용 롤러가 이동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레일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문틀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 체결홈은 일체형 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일체형 프레임 고정용 걸림턱와 서로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문틀에 형성된 티형 볼트 또는 볼트헤드 삽입구에는 티형 볼트의 티형 헤드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 체결되며,
    삽입 체결된 티형 볼트 또는 볼트에 형성된 숫나사와 너트의 암나사가 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일체형 프레임이 상부문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문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체결홈과 상부커버 걸림턱은 상부커버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체결홈과 서로 삽입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커버의 하부에는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가 상부문틀 가장자리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커버 하부 걸림턱이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강제 끼움에 의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커버 고정용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부를 부가하여,
    분리시 작업자가 탄성부를 눌러서 분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문틀의 좌측 하부에는 도어를 출입하는 사람들이 문틀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보이지 않도록 가림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 문틀과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KR1020210002567A 2021-01-08 2021-01-08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KR10257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67A KR102575762B1 (ko) 2021-01-08 2021-01-08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67A KR102575762B1 (ko) 2021-01-08 2021-01-08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88A true KR20220100288A (ko) 2022-07-15
KR102575762B1 KR102575762B1 (ko) 2023-09-06

Family

ID=8240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567A KR102575762B1 (ko) 2021-01-08 2021-01-08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535Y2 (ja) * 1990-04-26 1997-07-16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吊車の外れ防止装置
JPH09279946A (ja) * 1996-04-18 1997-10-28 Kohan Kenzai Kk 連動引戸装置
KR101234865B1 (ko) *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미맥스 자동문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160084942A (ko) * 2015-01-06 2016-07-15 성하섭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KR102080338B1 (ko) 2019-07-31 2020-02-21 (주)씨넷 삼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535Y2 (ja) * 1990-04-26 1997-07-16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吊車の外れ防止装置
JPH09279946A (ja) * 1996-04-18 1997-10-28 Kohan Kenzai Kk 連動引戸装置
KR101234865B1 (ko) *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미맥스 자동문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160084942A (ko) * 2015-01-06 2016-07-15 성하섭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KR102080338B1 (ko) 2019-07-31 2020-02-21 (주)씨넷 삼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762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9758C (en) Closure frame corner joint
US8146295B2 (en) Z-bar extension member and assembly
KR200475150Y1 (ko)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US8595981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9458666B2 (en) Tension adjustable retractable screen assembly
US20150113904A1 (en) Corner Assembly for Metal Framed Glass Panel Doors, Windows and Wall Partitions
MXPA06014439A (es) Sistema y metodo de acoplamiento de bisagra.
RU2013147616A (ru) Сборный элемент и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в нем конструкция задней стенки
US20110083393A1 (en) Extruded corner molding set
EP2647774B1 (en) Connecting member for section bar, section ba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section bar
KR101864016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220100288A (ko) 연동구조를 가진 자동문의 케이스 구조물
KR101946920B1 (ko) 하이브리드 창호완충 고정장치, 그리고 이를 부착한 창호틀
CN105155985A (zh) 车用推拉窗用滑动机构、车用推拉窗及其工作方法
EP0650546B1 (en) Lead-through structure for a wall
KR101579526B1 (ko) 창호용 손잡이
CA2976794A1 (en) Astragal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EP2366856A2 (de) Schiebetüranordnung mit Abdeckblende sowie ein Verfahren zur Anordnung der Abdeckblende
KR20140001126U (ko) 창호용 바람막이
US9776834B2 (en) Balustrade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CN211923927U (zh) 用于门窗假中挺的封盖组件及门窗组件
KR20190042158A (ko) 창문 프레임 연결구
CN108590451B (zh) 一种拼接式门窗系统
GB2490683A (en) Blast resistant window with strengthen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