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164A -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 Google Patents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164A
KR20220100164A KR1020210002277A KR20210002277A KR20220100164A KR 20220100164 A KR20220100164 A KR 20220100164A KR 1020210002277 A KR1020210002277 A KR 1020210002277A KR 20210002277 A KR20210002277 A KR 20210002277A KR 20220100164 A KR20220100164 A KR 2022010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entrance
plastic
pair
se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보
Original Assignee
김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보 filed Critical 김종보
Priority to KR102021000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0164A/ko
Publication of KR2022010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2067/1283Means for gathering, closing or sealing the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물품 포장기에서 비닐포장지로 물품을 포장할 뿐만 아니라 포장 후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테이프로 밀봉 처리할 수 있는 자동 물품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 중앙부에 비닐포장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는 본체, 후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호 접착된 복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기 위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포장지 걸쇠,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입구가 벌어진 비닐포장지에 물품이 투입되도록 투입호퍼를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자동 물품 포장기에 있어서, 봉합기용 삽입 입구로 상기 포장지 걸쇠로부터 이탈되는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받아들여 테이프로 밀봉 처리하기 위한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비닐포장지로 물품을 포장하고, 포장 후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테이프로 밀봉 처리할 수 있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센타의 계산대와 같은 곳에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하여는 비닐포장지 한 장을 인출한 후,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벌리고,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에서 일일이 물품을 넣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쇼핑센타와 같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는 물론이며, 제조 공장 등에서도 발생한다.
즉, 동일한 종류의 물품을 적당량 포장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비닐포장지를 인출하고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개봉하고, 그 개봉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품을 비닐포장지에 일일이 집어넣어야 한다.
이와 같은 번잡한 작업은 공장 등에서도 이루어진다. 가령 자동차의 부품을 제조하는 제조 공장이나, 닭고기를 생산하는 닭고기 공장 등의 경우 부품 포장이나 닭고기 포장 등에 있어서 이러한 부분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133호 "자동 물품 포장기"(2012.10.31.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2199호 "걸쇠 노출 방지판이 마련된 자동 물품 포장기"(2015. 12. 2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2304호 "물품 포장기" 등을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자동 물품 포장기는 통상 한 쌍의 포장지 걸쇠에 상호 접착된 복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게 되며, 아울러 가장 전방의 비닐포장지는 입구가 벌어진 상태가 되어, 상부커버의 투입호퍼를 통하여 물품을 가장 전면에 배치된 비닐포장지에 투입한 후 사용자가 가장 전면의 비닐포장지를 당기면 가장 전면의 비닐포장지가 이탈되도록 하고, 이와 연결된 다음 비닐포장지가 연이어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비닐포장지는 입구가 벌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 물품 포장기는 쇼핑센터나 제조 공장은 물론이며, 가정에서도 쓰레기통 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자동 물품 포장기에서 포장되는 물품은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쇼핑센타 등에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는, 비닐포장지의 입구 측을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의 삽입공간으로 삽입하면서 아래로 이동시키면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에 마련된 테이프가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밀봉 처리한 후 테이프 커터에 의하여 테이프가 절단되어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밀봉 처리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017호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2018. 6. 5) 등이 제안된 바 있으며, 현재 시중에서 다양한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시판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는 독자적으로 사용될 뿐이며, 자동 물품 포장기 등과 함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017호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2018. 6.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133호 "자동 물품 포장기"(2012.10.31.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2199호 "걸쇠 노출 방지판이 마련된 자동 물품 포장기"(2015. 12. 2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2304호 "물품 포장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물품 포장기에서 비닐포장지로 물품을 포장할 뿐만 아니라 포장 후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테이프로 밀봉 처리할 수 있는 자동 물품 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 중앙부에 비닐포장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는 본체, 후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호 접착된 복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기 위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포장지 걸쇠,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입구가 벌어진 비닐포장지에 물품이 투입되도록 투입호퍼를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자동 물품 포장기에 있어서, 봉합기용 삽입 입구로 상기 포장지 걸쇠로부터 이탈되는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받아들여 테이프로 밀봉 처리하기 위한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장지 걸쇠는, 서로 평행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와, 상기 전방 연장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위치한 좌우방향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에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그 하단부가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에 고정되면서 비닐포장지가 상기 봉합기용 삽입 입구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상부로 향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그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포장지 걸쇠의 하부 좌우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물품 포장기에서 비닐포장지로 물품을 포장할 뿐만 아니라 물품이 포장된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테이프로 밀봉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포장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물품 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자동 물품 포장기에 비닐포장지가 걸린 평면상 상태를 표현한 개념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비닐포장지가 포장지 걸쇠의 측방 연장부로 인출되는 평면상 상태를 표현한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물품 포장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자동 물품 포장기에 비닐포장지가 걸린 평면상 상태를 표현한 개념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비닐포장지가 포장지 걸쇠의 측방 연장부로 인출되는 평면상 상태를 표현한 개념 단면도이다.
본 자동 물품 포장기는 크게 본체(200), 상부커버(300), 포장지 걸쇠(400),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 봉합기 안내대(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00)의 하부에 바닥판(100)이 마련되며, 본체(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부커버(300)가 마련된다.
본체(200) 내부에는 상호 접착된 복수의 비닐포장지(10)가 걸리도록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가 마련된다.
포장지 걸쇠(400)의 후단은 본체(200)의 후면벽(210)의 내부 상부에 고정된다.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는, 서로 평행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401)와, 전방 연장부(401)의 전방 단부로부터 좌우방향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402)를 포함한다.
아울러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의 전방 연장부(401)간의 간격은 비교적 넓고,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의 측방 연장부(401)간의 간격은 비교적 좁다(도 4 참조).
이는 포장지 걸쇠(400)의 전방 연장부(401)에서는 물품 투입이 용이하도록 비닐포장지(10)의 입구가 넓게 벌어져야 하며, 포장지 걸쇠(400)의 측방 연장부(402)에서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의 봉합기용 삽입 입구(510)로 비닐포장지(1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비닐포장지(10)의 입구가 좁게 모이도록 설계된 것이다.
포장지 걸쇠(400)에는 상호 접착된 다수의 비닐포장지(10)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체(200)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복수의 비닐포장지(10)가 포장지 걸쇠(400)에 걸리면서 수납되는 비닐포장지 수납공간(201)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체(200)의 전방은 개방되어 비닐포장지 수납공간(201)에 수납된 비닐포장지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지 걸쇠(400)의 후단이 직접 본체(200)의 후면벽(210)에 고정되지 않고, 먼저 걸쇠 고정구(410)에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가 고정된 후, 고정구(410)가 본체(200)의 후면벽(210)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포장지 걸쇠(400)의 후단을 본체(200)의 후면벽(210)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부커버(300)는 본체(200)에 고정되거나, 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조립되거나, 혹은 본체(200)에 힌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버(300)는 크게 본체(200)에 지지되는 평판 형태의 지지판(310)과, 지지판(310)의 중앙부에서 아래로 처지면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투입호퍼(3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투입호퍼(320)는 깔때기 형태로서, 하단부에 투입구멍(321)이 형성된다.
깔때기 형태의 투입호퍼(320)는, 넓게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물품을 투입하면 물품이 투입호퍼(320)를 따라 하부로 내려가 투입구멍(321)을 통하여 비닐포장지(10a)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투입호퍼(320)는 깔때기 형태이므로, 그 측단면은 투입구멍(321)을 향하여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지지판(310) 및 투입호퍼(320)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310)의 전방부에는 시야확보용 절개부(311)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호퍼용 절개부(312)가 형성된다.
지지판(310)의 전방 단부 중앙으로부터 시야확보용 절개부(311)가 형성되고, 시야확보용 절개부(311)의 폭은 대략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시야확보용 절개부(311)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어 호퍼용 절개부(312)가 이어진다.
투입호퍼(320)의 전방측은 개구되어 시야확보용 절개부(311)와 연통되도록 하며, 투입호퍼(320)의 상단부는 호퍼용 절개부(312)를 따라 결합된다.
투입호퍼(320)의 후방부 하측에는 탄성편(330)이 마련된다.
탄성편(330)은 아래로 길게 마련되어 입구가 개봉된 비닐포장지(10a)의 후방측 내면을 지지하게 된다.
탄성편(330)은 다수의 비닐포장지(10)가 투입구멍(321)의 하부로 하나씩 이송되고 하나씩 인출되도록, 다수의 비닐포장지(10)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입구가 개봉된 비닐포장지(10a)의 내면을 적당한 탄성으로 잡아준다. 탄성편(330)은 금속 박판이나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200)의 좌우방향 일측에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가 마련된다.
포장지 걸쇠(400)의 측방 연장부(402)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가 위치한 좌우방향 일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는, 봉합기용 삽입 입구(510)로 포장지 걸쇠(400)로부터 이탈되는 비닐포장지(10)의 입구를 받아들여 테이프로 밀봉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의 구조 등은 이미 다양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에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600)가 마련된다.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500)는 그 하단부가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에 고정되면서 비닐포장지가 봉합기용 삽입 입구(510)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600)는 상부로 향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이다.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600)는 그 상단부가 한 쌍의 포장지 걸쇠(400)의 하부 좌우방향 일측에 위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다수의 비닐포장지(10)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한 하나를 당겨 투입구멍(321)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전방에 위치한 비닐포장지(10a)는 그 후방측 내면이 탄성편(33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입구가 벌어진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투입호퍼(320)로 물품을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회의 물품 투입 혹은 수차례의 물품 투입에 의하여 비닐포장지(10a) 내부에 적당량의 물품이 채워지면, 사용자는 본체(200)의 전방에서 손을 투입하여 비닐포장지(10a)의 상단부를 잡고 비닐포장지(10a)를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닐포장지(10a)를 인출하게 되면, 다음 위치에 있는 비닐포장지가 딸려나와 투입구멍(32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인출되는 비닐포장지(10a)와 이탈된다. 이때 투입구멍(32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비닐포장지(10)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그 후방측 내면은 탄성편(330)에 의하여 지지되며 입구가 벌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인출되는 비닐포장지(10a)는, 먼저 포장지 걸쇠(400)의 전방 연장부(401)를 따라 전방으로 인출된 후 포장지 걸쇠(400)의 측방 연장부(402)를 따라 봉합기 안내대(600)가 위치한 좌우방향 일측으로 인출되면서 비닐포장지(10a)의 입구가 좁아지면서 인출된다(도 6 참조).
포장지 걸쇠(400)의 측방 연장부(402)로부터 비닐포장지(10a)가 이탈된 후, 비닐포장지(10a)의 입구 측이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600)를 따라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의 봉합기용 삽입 입구(510)로 삽입되도록 하면,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500)가 테이프로 비닐포장지(10a)의 입구를 밀봉 처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비닐포장지
10a : 입구가 개봉된 비닐포장지
100 : 바닥판
200 : 본체 201 : 비닐포장지 수납공간
210 : 후면벽
300 : 상부커버
310 : 지지판
320 : 투입호퍼 321 : 투입구멍
330 : 탄성편
400 : 포장지 걸쇠 401 : 전방 연장부
402 : 측방 연장부
500 :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 510 : 봉합기용 삽입 입구
600 : 봉합기 안내대

Claims (3)

  1. 상하방향 중앙부에 비닐포장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는 본체, 후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호 접착된 복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기 위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포장지 걸쇠,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입구가 벌어진 비닐포장지에 물품이 투입되도록 투입호퍼를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자동 물품 포장기에 있어서, 봉합기용 삽입 입구로 상기 포장지 걸쇠로부터 이탈되는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받아들여 테이프로 밀봉 처리하기 위한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장지 걸쇠는, 서로 평행하게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와, 상기 전방 연장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가 위치한 좌우방향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에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그 하단부가 상기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에 고정되면서 비닐포장지가 상기 봉합기용 삽입 입구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상부로 향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한 쌍의 봉합기 안내대는 그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포장지 걸쇠의 하부 좌우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KR1020210002277A 2021-01-08 2021-01-08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KR20220100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77A KR20220100164A (ko) 2021-01-08 2021-01-08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77A KR20220100164A (ko) 2021-01-08 2021-01-08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164A true KR20220100164A (ko) 2022-07-15

Family

ID=8240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77A KR20220100164A (ko) 2021-01-08 2021-01-08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016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33B1 (ko) 2009-11-27 2012-11-12 김종보 다용도 물품 자동포장기
KR20150142199A (ko) 2014-06-11 2015-12-22 김종보 걸쇠 노출 방지판이 마련된 자동 물품 포장기
KR101867017B1 (ko) 2017-10-30 2018-06-14 서치영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KR102102304B1 (ko) 2018-10-31 2020-04-20 김종보 물품 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33B1 (ko) 2009-11-27 2012-11-12 김종보 다용도 물품 자동포장기
KR20150142199A (ko) 2014-06-11 2015-12-22 김종보 걸쇠 노출 방지판이 마련된 자동 물품 포장기
KR101867017B1 (ko) 2017-10-30 2018-06-14 서치영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KR102102304B1 (ko) 2018-10-31 2020-04-20 김종보 물품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610A (en) Hanging product display packages
US3327924A (en) Rigid plastic bag
US3380579A (en) Grouping of flexible bags
EP0482156A1 (en) Improved form, fill, seal and separate packaging machine for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means for applying zipper to web
US3886713A (en) Bag closing method and apparatus
JPH04242504A (ja) インナー滑子を用いる筒状の長尺包装用網の連続包装方法
US3327843A (en) Blister package with opening device
US5941639A (en) Universal flexible packaging bag
KR20220100164A (ko) 비닐포장지 입구 봉합기를 구비한 자동 물품 포장기
KR101198133B1 (ko) 다용도 물품 자동포장기
US3771645A (en) Package for dispensing thermoplastic bag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6093138A (en)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ing bag for use with different bagging machines
US1821011A (en) Rip string envelope
AU2006203757A1 (en) Pneumatic system for the seizure transfer of packs of products
US215787A (en) Improvement in bran-packers
KR102102304B1 (ko) 물품 포장기
KR101987174B1 (ko) 과일 포장기
US30948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les packages
US2771187A (en) Needle packet
KR101867017B1 (ko)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KR20150142199A (ko) 걸쇠 노출 방지판이 마련된 자동 물품 포장기
US1188192A (en) Packing-tray.
US3580474A (en) Container-magazine for dispensing labels
US3161212A (en) Packaging
JP2673246B2 (ja) 製袋充填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