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956A -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9956A KR20220099956A KR1020227014396A KR20227014396A KR20220099956A KR 20220099956 A KR20220099956 A KR 20220099956A KR 1020227014396 A KR1020227014396 A KR 1020227014396A KR 20227014396 A KR20227014396 A KR 20227014396A KR 20220099956 A KR20220099956 A KR 20220099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sb
- offset
- coreset
- synchronization signal
- add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1150096310 SI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27 sweeten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71746 Pbsn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49 magnet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고,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 블록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을 취득한다. 단말은, 취득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라이선스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는, Long Term Evolution(LTE)이 사양화되고, LTE의 더욱의 고속화를 목적으로 하여 LTE-Advanced(이하, LTE-Advanced를 포함시켜 LTE라고 한다), 더욱,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5G, New Radio(NR) 또는 Next Generation(NG)이라고도 불린다)의 사양화도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NR에서도, LTE와 마찬가지로, 비라이선스(무면허) 주파수대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주파수대를 확장하는 New Radio-Unlicensed(NR-U)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또, NR-U에 있어서의 초기 액세스에 관해, 동기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 및 하향 물리 알림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구성되는 SSB(SS/PBCH Block)의 의사 코로케이션(QCL: Quasi Co-Location)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인 Q의 단말(User Equipment, UE)로의 통지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이 중에서, 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구체적으로는, SIB1의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RMSI)을 이용하여 Q를 통지하는 것이 합의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3GPP TR 38.889 V16.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Release 16), 3GPP, 2018년 12월
비특허문헌 2:"Feature lead summary 3 of Enhancements to initial access procedure", R1-1911685, 3GPP TSG RAN WG1 Meeting #96, 3GPP, 2019년 10월
NR-U에 있어서의 양호한 초기 액세스의 실현을 고려하면, MIB를 이용하여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인 Q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단말은, 재빨리 Q를 취득하고, 초기 액세스에 있어서, MIB를 디코딩하여 QCL을 도출함으로써, 복수의 SSB의 송신 후보 위치로부터 모니터링이 필요해지는 SSB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단, MIB의 사이즈는 한정되어 있으며, Q의 통지에 필요한 정보량(비트 수)을 동일 필드 내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SSB(SS/PBCH Block)의 의사 코로케이션(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재빨리 취득할 수 있는 단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무선기지국(eNB(100))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제어부(270))를 구비하는 단말(UE(200))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무선기지국(eNB(100))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제어부(270))를 구비하는 단말(UE(200))이다.
개시의 일 형태는, 무선기지국(eNB(100))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에 걸쳐서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제어부(270))를 구비하는 단말(UE(200))이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주파수 레인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슬롯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UE(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MIB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MIB에 포함되는 PDCCH-ConfigSIB1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3GPP Release-15의 규정에 따른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PRB의 위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PRB의 위치) 예에 있어서의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의 변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UE(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주파수 레인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슬롯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UE(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MIB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MIB에 포함되는 PDCCH-ConfigSIB1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3GPP Release-15의 규정에 따른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PRB의 위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PRB의 위치) 예에 있어서의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의 변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UE(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이나 구성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유사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1)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은, 5G New Radio(NR)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이며, 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20)(이하, NG-RAN(20)), 및 단말(200)(이하, UE(200))을 포함한다.
NG-RAN(20)은, 무선기지국(100)(이하, gNB(100))을 포함한다. 또한, gNB 및 UE의 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NG-RAN(20)은, 실제로는 복수의 NG-RAN Node, 구체적으로는, gNB(또는 ng-eNB)를 포함하고, 5G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5GC, 미도시)와 접속된다. 또한, NG-RAN(20) 및 5GC는, 단순히 '네트워크'라 표현되어도 좋다.
gNB(100)는, 5G에 따른 무선기지국이며, UE(200)와 5G에 따른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gNB(100) 및 UE(20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지향성이 높은 빔 BM을 생성하는 Massive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를 묶어서 이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 UE와 2개의 NG-RAN Node 각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C)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0)은, 복수의 주파수 레인지(FR)에 대응된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주파수 레인지를 나타낸다. 또, 도 3은, 무선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되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슬롯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0)은, FR1 및 FR2에 대응된다. 각 FR의 주파수대는, 다음과 같다.
·FR1: 410 MHz∼7.125 GHz
·FR2: 24.25 GHz∼52.6 GHz
FR1에서는, 15, 30 또는 60 kHz의 Sub-Carrier Spacing(SCS)이 이용되고, 5∼100 MHz의 대역폭(BW)이 이용된다. FR2는, FR1보다도 고주파수이며, 60 또는 120 kHz(240 kHz가 포함되어도 좋다)의 SCS가 이용되고, 50∼400 MHz의 대역폭(BW)이 이용된다.
또한, SCS는, numerology라 해석되어도 좋다. numerology는, 3GPP TS38.300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으며, 주파수 도메인에 있어서의 하나의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과 대응된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0)은, FR2의 주파수 대역보다도 고주파수 대역에 대응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시스템(10)은, 52.6 GHz를 초과하고, 114.25 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고주파수 대역을, 편의상 'FR4'라 부른다. FR4는, 이른바 EHF(extremely high frequency, 밀리파라고도 불린다)에 속한다. 또한, FR4는 가칭이며,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상관없다.
또, FR4는, 더 구분되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FR4는, 70 GHz 이하의 주파수 레인지와, 70 GHz 이상의 주파수 레인지로 구분되어도 좋다. 혹은, FR4는, 더욱 많은 주파수 레인지로 구분되어도 좋으며, 70 GHz 이외의 주파수에 있어서 구분되어도 좋다.
또, 여기서는, FR2와 FR41과의 사이의 주파수대는, 편의 상 'FR3'이라 부른다. FR3은, 7.125 GHz를 초과하고, 24.25 GHz 미만의 주파수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FR3 및 FR4는, FR1 및 FR2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르며, 이(異)주파수 대역이라 부른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는, 무선통신시스템(10)용으로 할당되는 주파수대에 더해, 해당 주파수대와 다른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도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는, 비라이선스(무허가) 주파수대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주파수대를 확장하는 New Radio-Unlicensed(NR-U)가 실행 가능하다.
무선통신시스템(10)용으로 할당되는 주파수대란, 상술한 FR1 및 FR2 등에 주파수 레인지 내에 포함되고, 행정에 의한 면허 할당에 기초하는 주파수대이다.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란, 행정에 의한 면허 할당이 불필요하며, 특정한 통신사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이다. 예를 들면, 무선 LAN(WLAN)용 주파수대(2.4 GHz 또는 5 GHz 대 등)를 들 수 있다.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에서는, 특정한 통신사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국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근방의 무선국으로부터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여 통신 성능을 크게 열화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예를 들면, 5 GHz 대)를 이용하는 무선 시스템으로의 요구 조건으로서, 송신을 개시하기 전에 gNB(100)가 캐리어 센스를 실행하고, 채널이 근방의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소정의 시간 길이 이내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Listen-Before-Talk(LBT)의 메커니즘이 적용된다. 또한, 캐리어 센스란, 전파를 발사하기 전에, 그 주파수 캐리어가 다른 통신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NR-U에 있어서의 LBT용 대역(LBT sub-band)은,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 내에 마련할 수 있으며,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에 있어서의 이용 유무의 확인용 대역이라 표현되어도 좋다. LBT sub-band는, 예를 들면, 20 MHz이어도 좋으며, 절반인 10 MHz, 혹은 1/4의 5 MHz 등이어도 좋다.
gNB(100)는, 캐리어 센스를 실행하고, 해당 채널이 근방의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 무선 링크 모니터링용 참조 신호, 구체적으로는, RLM-RS(Radio link monitoring-Reference Signal)을, 형성하고 있는 셀 내를 향해 송신한다.
RLM-RS는,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SSB(SS/PBCH blocks: 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s) 및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S)를 포함해도 좋다. 또, DRS는, SSB에 관련된 CSI-RS, RMSI-CORESET(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control resource sets), 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해도 좋다.
RMSI-CORESET는, Type0-PDCCH CSS(Common Search Space: 공통 검색 스페이스) set용 CORESET(control resource sets: 제어 리소스 세트,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RMSI) CORESET이라 불려도 좋다)이며, UE(200)는, RMSI CORESET용의 몇 개의 연속된 리소스 블록(RB) 및 심벌을 결정하고, 결정한 RB 및 심벌에 기초하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복호화를 위한 Type 0 PDCCH의 모니터링 기회(MO)를 설정한다.
또, UE(200)는, 3GPP TS38.213 v15/13장에 기재되어 있는 Table 13-1∼13-10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는 pdcch-ConfigSIB1의 4개의 최상위 비트(controlResourceSetZero)로부터 RMSI CORESET의 연속되는 리소스 블록(RB) 수 및 연속되는 심벌 수 등을 결정하고, MIB에 포함되는 pdcch-ConfigSIB1의 4개의 최하위 비트(searchSpaceZero)로부터 PDCCH(Type 0 PDCCH을 포함한다)의 모니터링 기회(MO)의 주기나 타이밍 등을 결정한다. 또한, pdcch-ConfigSIB1은, RMSI-PDCCH-Config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NR-U에 있어서의 초기 액세스 등에서도, 3GPP Release-15 등과 마찬가지로, 동기 신호 블록(SSB)이 이용된다.
SSB는, 동기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 및 하향 물리 알림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구성된다.
SS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S)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 Secondary SS)에 의해 구성된다.
PSS는, 셀 서치 수순에 있어서 UE(200)가 최초로 검출을 시도하는 기지(旣知)의 신호이다. SSB는, 셀 서치 수순에 있어서 물리 셀 ID를 검출하기 위해 송신되는 기지의 신호이다.
PBCH는, 무선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 및 하프 프레임(5 밀리초) 내의 복수의 SS/PBCH Block의 심벌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 등, SS/PBCH Block을 검출한 후에 UE(200)가, gNB(100)가 형성하는 NR 셀과의 프레임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 PBCH은, 시스템 정보(SIB)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시스템 파라미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SB에는, 알림 채널 복조용 참조 신호(DMRS for PBCH)도 포함된다. DMRS for PBCH은, PBCH 복조를 위한 무선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송신되는 기지의 신호이다.
각 SSB는, 다른 빔 BM과 대응지어진다고 단말은 상정한다. 즉, 각 SSB는, 송신 방향(커버리지)이 다른 빔 BM과 대응지어진다고 단말은 상정(의사 코로케이션 상정)한다. 이로 인해, NR 셀 내에 재권하는 UE(200)는, 어느 빔 BM을 수신하고, SSB를 취득하여 초기 액세스 및 SSB 검출·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SSB의 송신 패턴은, SCS, 주파수 레인지(FR) 또는 그 외의 파라미터에 따라 다양하다.
NR-U의 경우, 다음과 같은 점에 있어서, Release 15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SSB의 송신 후보 위치는 1 프레임(10 밀리초)이 된다. 따라서, SSB의 송신 후보 위치는 #10(SCS=15 kHz인 경우, 도 2의 상단 참조), #20(SCS=30 kHz인 경우)이 된다.
또, 실제로 송신하는 SSB의 수는, LBT 성공 후에 연속하여 필요한 SSB 수가 된다. 따라서, 실제의 SSB 송신 타이밍은, LBT의 성공 여부에 따라, SSB의 송신 후보 위치 안에서 매회 다를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이 QCL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으면, SSB 후보 위치 전부에 있어서 SSB 측정을 할 필요가 없어지며, 단말은, QCL이 같은 장소만 측정하면 되게 된다.
또, NR-U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SSB와 의사 코로케이션(QCL: Quasi Co-Location)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소정의 도출 방법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QCL이란, 예를 들면, 일방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벌이 반송되는 채널의 특성이, 타방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벌이 반송되는 채널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경우, 2개의 안테나 포트는 의사적으로 같은 장소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QCL은, 준 코로케이션이라 불려도 좋다.
(2) 무선통신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UE(200)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UE(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20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 앰프부(220), 변복조부(230),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 부호화/복호부(250), 데이터 송수신부(260) 및 제어부(270)를 구비한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는, NR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는, Massive MIMO, 복수의 CC를 묶어서 이용하는 CA, 및 UE와 2개의 NG-RAN Node 각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DC 등에 대응된다.
앰프부(220)는, PA(Power Amplifier)/LNA(Low Noise Amplifier) 등에 의해 구성된다. 앰프부(220)는, 변복조부(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정의 전력 레벨로 증폭한다. 또, 앰프부(220)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210)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증폭한다.
변복조부(230)는, 소정의 통신처(gNB(100) 또는 다른 gNB)마다, 데이터 변조/복조, 송신 전력 설정 및 리소스 블록 할당 등을 실행한다.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UE(200)가 송수신하는 각종 제어 신호에 관한 처리, 및 UE(200)가 송수신하는 각종 참조 신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gNB(100)로부터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 제어 레이어(RRC)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gNB(100)를 향해,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각종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및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 등의 참조 신호(RS)를 이용한 처리를 실행한다.
DMRS는, 데이터 복조에 이용하는 페이딩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단말 개별의 기지국∼단말 사이에 있어서 기지의 참조 신호(파일럿 신호)이다. PTRS는, 높은 주파수대에서 과제가 되는 위치 잡음의 추정을 목적으로 한 단말 개별의 참조 신호이다.
또한, 참조 신호에는, DMRS 및 PTRS 이외에,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RS) 및 Sounding Reference Signal(SRS)도 포함된다. 또한, 참조 신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RLM-RS도 포함된다.
또, 채널에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포함된다. 제어 채널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등이 포함된다.
또, 데이터 채널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란,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gNB(100)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수신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Master Information Block(MIB)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240)는, MIB 이외에, 시스템 정보 블록, 구체적으로는, System Information Block(SIB)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MIB 및 SIB를 묶어서 시스템 정보 블록(혹은 단순히 시스템 정보)이라 불러도 좋다.
부호화/복호부(250)는, 소정의 통신처(gNB(100) 또는 다른 gNB)마다, 데이터 분할/연결 및 채널 코딩/복호 등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부호화/복호부(250)는, 데이터 송수신부(2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사이즈로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에 대해 채널 코딩을 실행한다. 또, 부호화/복호부(250)는, 변복조부(2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한 데이터를 연결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Protocol Data Unit(PDU) 및 Service Data Unit(SDU)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복수의 레이어(매체 액세스 제어 레이어(MAC), 무선 링크 제어 레이어(RLC), 및 패킷·데이터·컨버전스·프로토콜·레이어(PDCP) 등에 있어서의 PDU/SDU의 조립/분해 등을 실행한다. 또,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하이브리드 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오류 정정 및 재송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270)는, UE(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70)는, NR-U에 관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70)는, 이동체 통신용으로 할당되는 주파수대(제1 주파수대), 즉, 면허 주파수대(라이선스 밴드라 불려도 좋다)와 다른 비라이선스 주파수대 Fu(제2 주파수대, 비라이선스 밴드라 불려도 좋다)를 이용하는, 즉, NR-U를 실행하는 경우, MIB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SB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QCL)을 상정한다.
제어부(270)는, DMRS sequence(A)와 SSB position index(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SSB에 대응지어는 QCL을 상정해도 좋다.
제어부(270)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 포함되는 QCL 도출용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다. SSB에 관련된 QCL 도출용 파라미터는, Q라 불려도 좋다(이하에서는, Q라 부른다). 또한, 해당 파라미터는, 단순히 QCL 상정용 정보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상관없다.
Q는, 몇 개의 값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Q는, 1, 2, 4, 8 등의 값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의 Q의 통지에는, 2 비트가 필요해진다.
NR-U에서는, SSB에 관련된 QCL을 도출하기 위해, Q의 값으로서, 1, 2, 4, 8이 서포트되어도 좋다.
또, 셀(서빙 셀 또는 근접 셀)에 있어서 사용되는 PBCH DMRS 시퀀스의 최대수(=8)는, 3GPP Release 15부터 변경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해당 셀에서 사용되는 PBCH DMRS sequence(단순히, DMRS sequence라 불려도 좋다)의 수는, Q에 의존하지 않는다.
SSB candidate position index(SSB 후보 위치의 인덱스)의 최하위(LSB)의 3 비트는, DMRS sequence의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또, 제어부(270)는, Q의 값을 인식하면, 동일한 값을 갖는 modulo(A, Q)를 갖는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송신 또는 측정 윈도우 내의 SSB 사이의 QCL의 관련성을 상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해당 파라미터(Q)를 이용하여, SSB와 CORESET(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을 취득한다. CORESET는, 물리 리소스의 세트(NR 하향 링크 리소스 그리드 상의 특정한 영역)와, PDCCH/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세트라 해석되어도 좋다.
여기서, 제어부(270)가 취득하는 CORESET는, CORESET #0이라 불리는 특별한 CORESET이어도 좋다.
CORESET #0은, SIB1 스케줄링용 PDCCH을 송신하는 CORESET라 해석되어도 좋다. CORESET의 정의에는 많은 파라미터가 관계되어 있지만, 이들의 파라미터는 RRC 메시지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CORESET #0은,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이용되기 때문에, RRC 메시지에 의한 지정은 불가능해도 좋다.
SSB와 CORESET(CORESET #0)와의 오프셋은, 물리 리소스 블록(PRB) W 단위로서 나타내도 좋다. 혹은 리소스 엘리먼트(RE),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등을 단위로 해도 좋다. 또, 해당 오프셋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kSSB와 대응되어도 좋다. 제어부(270)는, 취득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한다.
또한, 해당 파라미터(Q)는, MIB의 CORESET용 필드에 포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Q는, controlResourceSetZero에 포함되어도 좋다.
제어부(270)는, 취득한 오프셋의 값에 따라, SSB에 관련된 QCL의 상정 방법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오프셋을 나타내는 kSSB의 값의 크기에 따라, SSB에 관련된 QCL의 상정을 바꾼다. 구체적인 QCL의 상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QCL을 '상정한다' 대신에, '도출한다'로 대체해도 좋다.
또, MIB에는, QCL 도출용 파라미터(Q)와, SSB와 CORESET(CORESET #0)와의 오프셋이 포함되어도 좋다. 즉, MIB에는, Q와 오프셋(kSSB)과의 양방이 포함되어도 좋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MIB에 포함되는 QCL 도출용 파라미터와, MIB에 포함되는 SSB와 CORESET와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해도 좋다.
또, 이 경우, 해당 파라미터(Q) 및 오프셋(kSSB)은, SSB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용 필드에 포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Q 및 kSSB는, ssb-SubcarrierOffset에 포함되어도 좋다.
혹은, QCL 도출용 파라미터(Q)는, MIB를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에 걸쳐서 UE(2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즉, MIB를 구성하는 필드 중, 2개 이상의 필드를 이용하여 QCL 도출용 파라미터(Q)가 통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MIB를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에 걸쳐서 포함되는 QCL 도출용 파라미터(Q)를 이용하여,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파라미터(Q)의 통지에 이용되는 구체적인 필드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NR-U에 있어서, UE(200)가,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Q)가, MIB를 이용하여 네트워크(구체적으로는, gNB(100))로부터 UE(200)에 통지된다.
(3. 1) 마스터 정보 블록(MIB)의 구성 예
우선,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Q)의 통지에 이용되는 MIB의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MIB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또, 도 6은, MIB에 포함되는 PDCCH-ConfigSIB1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MIB 및 PDCCH-ConfigSIB1의 구성은, 3GPP TS38.331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다.
MIB는, BCH(Broadcast Channel)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PDCCH-ConfigSIB1는, 공통의 ControlResourceSet(CORESET #0), Common Search Space, 및 필요한 PDCCH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ssb-SubcarrierOffset이, SIB1이 존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PDCCH-ConfigSIB1은, UE(200)가 SIB1에서 SSB를 발견할 수 있는 주파수 위치, 또는 네트워크가 SIB1에서 SSB를 제공하지 않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NR-U의 경우, MIB에 포함되는 다음의 필드의 비트를 Q의 통지에 이용해도 좋다.
·PDCCH-ConfigSIB1 내의 controlResourceSetZero: 1 또는 2 비트
·PDCCH-ConfigSIB1 내의 searchSpaceZero: 1 비트
·ssb-SubcarrierOffset: 1 비트
·subCarrierSpacingCommon: 1 비트
·spare: 1 비트
(3. 2) controlResourceSetZero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NR-U의 경우, Q의 값으로서, 1, 2, 4, 8을 서포트할 수 있기 때문에, Q의 통지에는, 2 비트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controlResourceSetZero의 2 비트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 controlResourceSetZero를 이용하여 Q가 통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trolResourceSetZero(4 비트)에 관해, NR-U의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고, NR-U를 향한 테이블(3GPP TSTS38.213 Table 13-1∼13-10)이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S/PBCH block and CORESET multiplexing pattern: 1
·Number of CORESET RBs: 48(30 kHz SCS), 96(15 kHz SCS)
·Number of CORESET Symbols: 1 or 2
여기서, SSB와 CORESET(CORESET #0)와의 오프셋(kSSB, PRBs)이 2 값(1 비트)인 경우, Q는, controlResourceSetZero만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해당 오프셋의 값에 대해서는, 채널 래스터 및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의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채널 래스터(Channel raster)는, 상향 링크(UL)와 하향 링크(DL)의 무선 주파수(RF) 채널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RF 기준 주파수(FREF)의 서브셋을 정의한다. 또, 동기 래스터는, 동기 신호 블록 신호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정보 취득을 위해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SSB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표 1은, 오프셋이 2 값인 경우에 있어서의 controlResourceSetZero의 구성 예(SCS=30 kHz)를 나타낸다.
NR-U를 향한 채널 래스터 및 동기 래스터의 구성을 감안하면,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는, SSB에서 5 가지가 되며, CORESET #0에서 2 가지가 된다.
도 7은,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상단은, CORESET #0 및 SSB의 패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하단은, PRB#0∼5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ORESET #0은, PRB#1 또는 PRB#2부터 개시하는 2 가지의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 또, SSB(SS/PBCH)는, PRB#0, 1, 2, 3, 4부터 개시하는 5 가지의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SCS=30 kHz의 예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또, 도면 중의 kSSB는,
SCS=30 kHz를 단위로 한 기준 위치(래스터의 위치)로부터의 오프셋(PRB)을 나타낸다.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kSSB)을, 3GPP Release-15에 내용을 답습하여 결정하는 경우(TS38.213 13장), 오프셋의 표시에는,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값 필요해진다.
·Offset=0:(SSB, CORESET#0)=(#1, #1), (#2, #2),
·Offset=2:(SSB, CORESET#0)=(#3, #1), (#4, #2)
·Offset=-1:(SSB, CORESET#0)=(#0, #1)
(3.3) 파라미터(Q)의 통지 동작
이하에서는, NR-U를 향해, MIB를 이용하여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Q)를 통지하는 3개의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예 1) controlResourceSetZero 내의 2 비트를 이용한 통지
이 경우,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이 변경된다.
·(동작 예 2) ssb-SubcarrierOffset을 이용한 통지
이 경우, kSSB와 Q를 합쳐서, ssb-SubcarrierOffset을 이용하여 통지한다.
·(동작 예 3) MIB의 복수의 필드를 이용한 통지
이 경우, 2개 이상의 필드를 조합하여 통지한다.
(3. 3. 1) 동작 예 1
본 동작 예에서는,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오프셋 값을 2 값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controlResourceSetZero의 2 비트를 Q의 통지에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3GPP Release-15의 규정에 따른 NR-U를 향한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PRB의 위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배치 예에서는,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kSSB)은, TS38.213 13장의 규정에 따라 도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규정에 따라 kSSB가 도출된다.
"The offset in Tables 13-1 through 13-10 is defined with respect to the SCS of the CORESET for Type0-PDCCH CSS set, provided by subCarrierSpacingCommon, from the smallest RB index of the CORESET for Type0-PDCCH CSS set to the smallest RB index of the common RB overlapping with the first RB of the corresponding SS/PBCH block."
도 8에 도시하는 배치 예에서는, CORESET #0이 PRB#1부터 개시하고 있다. Start PRB#3의 SSB에 주목한 경우, CORESET #0과 SSB가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최소의 PRB가 #3이 되고, 오프셋 값(kSSB, PBs)은, '2'((SSB, CORESET #0)=(#3, #1))가 된다.
도 9는, CORESET #0 및 SSB의 주파수 방향의 배치(PRB의 위치) 예에 있어서의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의 변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RB의 Index의 설정이 변경된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SSB와 CORESET #0의 개시 위치에 상관없이, 절대적인 PRB의 Index(#0∼5)가 이용되고 있지만, 도 9에서는, 상단에 나타내는 PRB의 Index(1∼4)가 이용된다.
이 PRB의 Index는 kSSB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눌 수 있고, kSSB≥6인 경우, 대응되는 SSB(SS/PBCH)의 최초(최소의 인덱스 값)의 RB이, CORESET #0과 중복되는 공통 RB의 인덱스라 해석되어도 좋다. 또, kSSB<6인 경우, 대응되는 SSB(SS/PBCH)의 두번째로 작은 RB가, CORESET #0과 중복되는 공통 RB의 인덱스라 해석되어도 좋다.
즉, kSSB≥6인 경우,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 CORESET #0에 중복되는 SSB의 가장 값이 작은 RB를 기준으로 한 인덱스로 해석되어도 좋다. 또, kSSB<6인 경우,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 CORESET #0에 중복되는 SSB의 두번째로 값이 작은 RB를 기준으로 한 인덱스라 해석되어도 좋다.
이 경우, Start PRB#3의 SSB에 주목한 경우, 오프셋 값(kSSB, PBs)은, CORESET #0의 개시 위치가 #2인 경우 '2'가 된다. 이와 같은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에 의하면, 오프셋 값(kSSB)을 2 값(0 또는 2)으로 할 수 있다(Start PRB#2의 SSB의 오프셋 값은 0이어도 2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오프셋 값의 도출 방법의 경우, TS38.213 13장의 규정에 따르면, 이하와 같이 규정되어도 좋다.
"The offset in Tables 13-1 through 13-10 is defined with respect to the SCS of the CORESET for Type0-PDCCH CSS set, provided by subCarrierSpacingCommon, from the smallest RB index of the CORESET for Type0-PDCCH CSS set to the smallest RB index if kSSB is less than 6, or the 2 ndsmallest RB index if kSSB is larger than or equal to 6, of the common RB overlapping with the first RB of the corresponding SS/PBCH block."
여기서, "if kSSB is less than 6, or the 2nd smallest RB index if kSSB is larger than or equal to 6"이라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kSSB가 6RB 이상인 경우, 해당 SSB와 CORESET #0이 중복되는 2번째로 작은 값의 해당 SSB와 PRB와의 오프셋 값이 이용된다(도 9의 Start PRB#=3의 실선 틀을 참조).
또한, 오프셋 값(kSSB)이 '6'인 경우, 최소의 RB index를 기준으로 해도 좋으며, 2번째로 작은 RB index를 기준으로 해도 좋다.
(3. 3. 2) 동작 예 2
본 동작 예에서는, 오프셋 값(kSSB)에 관해, NR-U의 경우, SSB 및 CORESET #0의 SCS가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표 2는, RB index, kSSB 및 Q의 조합 예를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kSSB의 값은, 0∼11의 12 값에 의해 통지할 수 있다. 또한, kSSB의 값은 0, 2, 4, 6, 8, 10의 6 값을 취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기 때문에, kSSB와 Q는, ssb-SubcarrierOffset을 이용하여 통지할 수 있다. 또한, kSSB의 값은, 반드시 0, 2, 4, 6, 8, 10의 6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달라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Q는,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이지만,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상관없다.
(3. 3. 3) 동작 예 3
본 동작 예에서는, MIB의 복수의 필드를 이용하여 파라미터(Q)가 통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나타내는 MIB 내의 필드 중, 2개를 조합하여 Q가 통지된다.
·PDCCH-ConfigSIB1 내의 controlResourceSetZero
·PDCCH-ConfigSIB1 내의 searchSpaceZero
·ssb-SubcarrierOffset
·subCarrierSpacingCommon
·spare
예를 들면,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Q의 값을 2 비트의 테이블에 맵핑하고, LSB(최하위 비트)와 MSB(최상위 비트)를 각각 따로따로의 필드를 이용하여 통지해도 좋다.
(4) 작용·효과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E(200)는, MIB에 포함되는 QCL 도출용 파라미터(Q)를 이용하여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kSSB)을 취득하고, 취득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해당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200)는, MIB를 이용하여 SSB의 QCL 도출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인 Q를 재빨리 취득할 수 있고, NR-U에 있어서도 양호한 초기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라미터(Q)는, controlResourceSetZero에 포함할 수 있다. UE(200)는, 오프셋의 값에 따라, SSB에 관련된 QCL의 상정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ontrolResourceSetZero의 비트 수가 한정되는 경우라도, UE(200)는, 오프셋의 값에 따라 QCL의 상정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SSB에 관련된 QCL을 확실하게 상정할 수 있다.
또, UE(200)는, MIB에 포함된 파라미터(Q)와, MIB에 포함된 SSB와 CORESET #0과의 오프셋(kSSB)을 취득하고, 해당 SSB에 관련된 QCL을 상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200)는, MIB를 통해 취득한 파라미터(Q) 및 오프셋(kSSB)에 기초하여, NR-U에 있어서도 양호한 초기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라미터(Q)와 오프셋(kSSB)은, ssb-SubcarrierOffset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MIB를 이용하면서, 파라미터(Q)와 오프셋(kSSB)을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UE(200)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UE(200)는, MIB를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에 걸쳐서 포함되는 파라미터(Q)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UE(200)는, MIB를 통해 취득한 파라미터(Q) 및 오프셋(kSSB)에 기초하여, NR-U에 있어서도 양호한 초기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5)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Q)는, 상술한 바와 같이, QCL 상정용 정보 혹은 QCL 도출용 파라미터 등,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상관없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터 정보 블록을 이용하여 파라미터(Q) 등이 통지되고 있었지만, 다른 시스템 정보(SIB)를 이용하여 파라미터(Q) 등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 비라이선스 주파수대는,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예를 들면, 면허 면제(License-exempt) 혹은 Licensed-Assisted Access(LAA) 등의 용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 구성도(도 4)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무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은, 상기 하나의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에는, 판단, 결정, 판정, 계산, 산출, 처리, 도출, 조사, 탐색, 확인, 수신, 송신, 출력, 액세스, 해결, 선택, 선정, 확립, 비교, 상정, 기대, 간주, 알림(broadcasting), 통지(notifying), 통신(communicating), 전송(forwarding), 구성(configuring), 재구성(reconfiguring), 할당(allocating, mapping), 배정(assigning)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을 기능시키는 기능 블록(구성부)은, 송신부(transmitting unit)나 송신기(transmitter)라 호칭된다.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UE(200)는, 본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0은, UE(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200)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및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해당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UE(200)의 기능 블록(도 4 참조)은, 해당 컴퓨터 장치의 어느 하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해당 하드웨어 요소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UE(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 통신장치(100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또한,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에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ead Only Memory(ROM), Erasable Programmable ROM(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EEPROM),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ompact Disc ROM(CD-ROM) 등의 광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라이프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이어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및 시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해당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Uplink Control Information(UCI),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edium Access Control(MAC) 시그널링, 알림 정보(Master Information Block(MIB), System Information Block(SIB)),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ong Term Evolution(LTE), LTE-Advanced(LTE-A), SUPER 3G, IMT-Advanced,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4G),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5G), Future Radio Access(FRA), New Radio(NR),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ltra Mobile Broadband(UMB),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ltra-WideBand(UWB),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복수의 시스템이 조합되어(예를 들면, LTE 및 LTE-A의 적어도 하나와 5G와의 조합 등) 적용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및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정보, 신호(정보 등)는, 상위 레이어(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또는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는,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는,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는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는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등) 및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 무선 기술의 적어도 하나는,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 본 개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심벌의 적어도 하나는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이어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는, 캐리어 주파수, 셀, 주파수 캐리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또,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무선기지국',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수신 포인트(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스몰 셀,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emote Radio Head: RRH)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ser Equipment: UE)', '단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서,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통신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에 탑재된 디바이스, 이동체 자체 등이어도 좋다. 해당 이동체는, 탈것(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이어도 좋으며, 무인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예를 들면, 드론, 자동 운전차 등)이어도 좋으며, 로봇(유인형 또는 무인형)이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통신 동작 시에 이동하지 않는 장치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센서 등의 Internet of Things(IoT) 기기이어도 좋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이동국(유저단말, 이하 동일)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이동국 간 통신(예를 들면, Device-to-Device(D2D), Vehicle-to-Everything(V2X)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이 갖는 기능을 이동국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단말 간 통신에 대응되는 문언(예를 들면, '사이드(side)')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 하향 채널 등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이 갖는 기능을 기지국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각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더욱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numerology)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어느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 및 수신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TTI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벌,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어도 좋다.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미니 슬롯보다 큰 시간 단위로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A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B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 TTI의 적어도 하나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의 송신 시간 단위이어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이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서브 슬롯,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상관없이 같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12이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RB의 시간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 등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B: PRB), 서브 캐리어 그룹(Sub-Carrier Group: SCG),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부분 대역폭 등이라 불려도 좋다)은,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어느 수비학용의 연속하는 공통 RB(common resource blocks)의 서브셋을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공통 RB는, 해당 캐리어의 공통 참조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RB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좋다. PRB는, 어느 BWP에서 정의되고, 해당 BWP 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도 좋다.
BWP에는, UL BWP(UL용 BWP)와, DL BWP(DL용 BWP)가 포함되어도 좋다. UE에 대해, 1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설정된 BWP의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이어도 좋으며, UE는, 액티브한 BWP 밖에서 소정의 신호/채널을 송수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캐리어' 등은,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이라도, 논리적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라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 프린트 전기 접속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Reference Signal(RS)이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따라 파일럿(Pilot)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상기의 각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의 '수단'을, '부', '회로', '디바이스' 등으로 치환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본 개시는, 이들의 관사 뒤에 이어지는 명사가 복수형인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 search, inquiry)(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결정)'은, '상정하는(assuming)', '기대하는(expecting)', '간주하는(considering)' 등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또한, 해당 용어는, 'A와 B가 각각 C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다르다'와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이상,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가 본 개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 무선통신시스템
20 NG-RAN
100 gNB
200 UE
210 무선 신호 송수신부
220 앰프부
230 변복조부
240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
250 부호화/복호부
260 데이터 송수신부
270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1007 버스
20 NG-RAN
100 gNB
200 UE
210 무선 신호 송수신부
220 앰프부
230 변복조부
240 제어 신호·참조 신호 처리부
250 부호화/복호부
260 데이터 송수신부
270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1007 버스
Claims (5)
-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을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제어 리소스 세트용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셋의 값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의 상정 방법을 변경하는 단말. -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및 상기 오프셋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용 필드에 포함되는 단말. -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및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드에 걸쳐서 포함되는 의사 코로케이션 도출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신호 블록에 관련된 의사 코로케이션을 상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9/044780 WO2021095215A1 (ja) | 2019-11-14 | 2019-11-14 | 端末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956A true KR20220099956A (ko) | 2022-07-14 |
Family
ID=7591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4396A KR20220099956A (ko) | 2019-11-14 | 2019-11-14 | 단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408383A1 (ko) |
EP (1) | EP4061074A4 (ko) |
JP (1) | JPWO2021095215A1 (ko) |
KR (1) | KR20220099956A (ko) |
CN (1) | CN114600528A (ko) |
WO (1) | WO202109521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92157B2 (en) * | 2017-01-04 | 2019-1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information delivery in advanced wireless systems |
JP6930107B2 (ja) * | 2017-01-06 | 2021-09-01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基地局装置、端末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
US11160050B2 (en) * | 2018-03-28 | 2021-10-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arge subcarrier spacing for SS/PBCH block |
CN116782408A (zh) * | 2019-11-12 | 2023-09-1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
-
2019
- 2019-11-14 EP EP19952206.1A patent/EP4061074A4/en active Pending
- 2019-11-14 KR KR1020227014396A patent/KR20220099956A/ko unknown
- 2019-11-14 CN CN201980101811.1A patent/CN114600528A/zh active Pending
- 2019-11-14 WO PCT/JP2019/044780 patent/WO2021095215A1/ja unknown
- 2019-11-14 JP JP2021555732A patent/JPWO2021095215A1/ja active Pending
- 2019-11-14 US US17/756,020 patent/US20220408383A1/en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비특허문헌 1: 3GPP TR 38.889 V16.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Release 16), 3GPP, 2018년 12월 |
비특허문헌 2:"Feature lead summary 3 of Enhancements to initial access procedure", R1-1911685, 3GPP TSG RAN WG1 Meeting #96, 3GPP, 2019년 10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95215A1 (ja) | 2021-05-20 |
EP4061074A1 (en) | 2022-09-21 |
US20220408383A1 (en) | 2022-12-22 |
CN114600528A (zh) | 2022-06-07 |
EP4061074A4 (en) | 2023-09-13 |
JPWO2021095215A1 (ko) | 2021-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92797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 |
US20200314776A1 (en) |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 |
JP7181672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 |
US11533119B2 (en) |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WO2020261524A1 (ja) | 端末 | |
JP2023116728A (ja) | 端末 | |
WO2021009821A1 (ja) | 端末 | |
US11729764B2 (en) |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 |
JP7068344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 |
JP7477523B2 (ja) | 端末 | |
WO2021171594A1 (ja) | 端末 | |
WO2022163840A1 (ja) | 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
WO2021199200A1 (ja) | 端末 | |
WO2021033328A1 (ja) | 端末 | |
WO2021074951A1 (ja) | 端末 | |
WO2021019698A1 (ja) | 端末 | |
KR20220099956A (ko) | 단말 | |
WO2022215167A1 (ja) | 端末 | |
US20240154774A1 (en) | Terminal,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WO2022029982A1 (ja) | 端末 | |
WO2021064965A1 (ja) | 端末 | |
WO2021074955A1 (ja) | 端末 | |
WO2021074948A1 (ja) | 端末 | |
CN116018862A (zh) | 终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