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689A -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689A
KR20220099689A KR1020210001887A KR20210001887A KR20220099689A KR 20220099689 A KR20220099689 A KR 20220099689A KR 1020210001887 A KR1020210001887 A KR 1020210001887A KR 20210001887 A KR20210001887 A KR 20210001887A KR 20220099689 A KR20220099689 A KR 2022009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ental floss
supply
recov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1795B1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21000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795B1/en
Publication of KR2022009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8Flossing tools with heads removable from handle, e.g. interchangeable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which can simplify a structure and improve product assembly, convenience of use and precision of operation. The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parts can be accommodated; a feed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and winding one side of dental floss,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 recovery drum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eeding drum in the installation space, having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fixed thereto, and dynamically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a motor; and a floss operation unit having a slid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so as to approach to and be separated from the feeding drum, a locking unit which extends from the sliding unit toward the feeding drum and selective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eeding drum to lock and unlock the feeding drum, and a sensing unit which can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Description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의 간소화 및 제품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사용상의 편리성 및 동작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automatic supply and recov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assembly of the product,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recision of operation, the dental flos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t relates to automatic feeding and retrieval devices.

최근에는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타겟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각광받고 있다.Recently, technologies for improving usability by targeting products that people mainly use in their daily life have been in the spotlight.

예컨대, 전동 칫솔과 같이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 뿐만 아니라 이빨 세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이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이,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빨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 잔류하여 잇몸 건강을 해치는 문제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치실의 경우에도 전동 치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For example, the use of dental floss is increasing as a product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eeth cleaning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an electric toothbrush, is widely known and used. In the case of dental floss used to prevent health-damaging problems, electric floss is being developed.

이러한 전동 치실의 경우 구조의 간소화 뿐만 아니라, 치실이 텐션을 유지한 채 사용되어야 치실에 의한 찌꺼지 제거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치실 사용을 위한 구조 설계의 정밀성이 반영되어서 가격 경쟁력 및 품질 경쟁력이 갖춰질 것이 요구됨은 물론,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켜 제품 신뢰도를 높여 매출이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In the case of such electric dental floss, it is required not only to simplify the structure but also to have pric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competitiveness by reflecting the precision of the structural design for the use of dental floss because the floss removal effect is achieved only when the floss is used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contribute to sales profit by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073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061073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의 간소화 및 제품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사용상의 편리성 및 동작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assembly of the product,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recision of oper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upply and recover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치실의 일측이 권회되는 공급 드럼; 상기 설치공간의 상기 공급 드럼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치실의 타측이 고정되며, 모터의 구동축과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회수 드럼; 및 상기 공급 드럼 측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상기 공급 드럼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공급 드럼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그 공급 드럼을 록킹 및 언로킹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게 하는 센싱부를 구비하는 치실 작동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s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can accommodate parts therein; a supply d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and has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wound; a recovery drum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rum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is fixed, and is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a sliding part mov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so as to approach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rum side, extending from the sliding part toward the supply drum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ly drum to lock the supply drum and a dental floss operation unit having a locking unit for unlocking and a sens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본 발명은, 상기 공급 드럼의 치실 공급을 위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공급 드럼을 탄성 가압시켜서, 상기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장력인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tension apply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by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ly dru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for the dental floss supply of the supply drum.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공급 드럼에 대한 접촉 해제력 작용 후 그 접촉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sliding part so that the sliding par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tact releasing force is removed after the contact releasing force acts on the supply drum of the sliding part. do.

상기 회수 드럼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맞물리는 비원형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부재와,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에 맞물리도록,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overy drum includes a non-circular groove portion engaged with a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ing member in which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recovery drum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casing Preferably, the second cas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engages with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recovery drum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member.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 간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가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위치 정렬을 위한 가이드편이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first casing memb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and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collecting drum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first casing memb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iece is provided for aligning the coupling position and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piece is formed in the other on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치실의 양측을 각각 공급 드럼 및 회수 드럼에 연결한 후, 치실의 일부분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필요에 따라 치실 작동 유닛을 슬라이딩시키기만 하면, 그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모터의 작동으로 회수 드럼이 회전되게 하여 사용한 치실 부분은 회수 드럼을 통해 회수되게 하고, 새로운 치실 부분은 공급 드럼을 통해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급 드럼과 회수 드럼과 치실 작동 유닛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비교적 간소한 구성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 만으로로 사용한 치실의 회수와 새로운 치실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을 통해 제품 신뢰도를 높여 매출이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fte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dental floss to the supply drum and the recovery drum, respectively, the dental floss automatic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xposes a portion of the dental floss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en, if necessary, floss the dental floss. By simply sliding the operation unit, the recovery drum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so that the used dental floss part is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drum, and the new dental floss part is fed through the supply drum, so that the supply drum an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covery drum and the floss operation unit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the user's simple operation, the recovery of used floss and the supply of new floss can be simultaneously made. It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sales profit by increasing product reliability 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 간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치실이 권회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치실이 자동으로 공급되고 회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and separation operation between a first casing member and a second casing membe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al floss is w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dental floss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retrie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f cours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s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 간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치실이 권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치실이 자동으로 공급되고 회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asing memb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ss wou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and FIGS.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dental floss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retrie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이빨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치실을 종래 사용방법인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한 후 회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케이스(1)와 공급 드럼(2)과 회수 드럼(3)과 치실 작동 유닛(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uses the dental floss used to remove food debris caught between teeth without manual operation,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It can be collected after being supplied and used, and includes a case (1), a supply drum (2), a recovery drum (3), and a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상기 케이스(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 및 치실이 수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는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유닛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부품의 설치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여러 개의 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1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has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parts and dental floss can be accommodated. The case 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by one unit, but also can be formed by several unit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follow-up of p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공급 드럼(2)은, 상기 케이스(1)의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1)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치실의 일측이 권회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치실은,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공급 드럼(2)에 권회되고 타측이 상기 회수 드럼(3)에 연결되며,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사이 부분 중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The supply drum 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1 , and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is wound. That is, the dental floss in this embodiment, as well shown in FIGS. 6 and 7 , is wound on the supply drum 2 on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recovery drum 3 on the other side, which is well shown in FIG. 1 .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por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so that it can be used by the user.

상기 회수 드럼(3)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치실의 타측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설치공간의 상기 공급 드럼(2)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6)(도 2 참조; 6)의 구동축(61)과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서 모터(6)의 동력으로 회전된다. The recovery drum 3 is a par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is fixed as shown in FIGS. 6 and 7 ,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rum 2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motor 6 . (See FIG. 2; 6)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1 and is dynamically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6).

상기 치실 작동 유닛(4)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공급 드럼(2) 측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슬라이딩부(41)와, 상기 슬라이딩부(41)로부터 공급 드럼(2)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슬라이딩부(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급 드럼(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록킹부(42)와, 상기 슬라이딩부(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터(6)에 구동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게 하는 센싱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is, as well shown in FIG. 2, a sliding part that is installed relative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1 and approaches or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rum 2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41, a locking part 42 extending from the sliding part 41 toward the supply drum 2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ly drum 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41; and a sensing unit 43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motor 6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it 41 .

여기서,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드럼(2)은 외부에 형성된 래칫기어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작동 유닛(4)의 록킹부(42)는 이러한 래칫기어부(21)에 맞물리는 섹터기어부(421)를 포함하여서, 도 6과 같이, 상기 록킹부(42)의 섹터기어부(421)가 공급 드럼(2)의 래칫기어부(21)에 맞물린 경우 치실의 공급은 불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도 7과 같이, 슬라이딩부(41)의 이동에 따라 맞물림이 해제된 경우 치실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Here, as well shown in FIG. 5, the supply drum 2 includes a ratchet gear part 21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locking part 42 of the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is such a ratchet gear part ( Including the sector gear part 421 meshing with 21), as shown in FIG. 6, when the sector gear part 421 of the locking part 42 meshes with the ratchet gear part 21 of the supply drum 2, floss The supply of is impossible, and conversely, as shown in FIG. 7 , when the engagement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41, the supply of dental floss becomes possible.

상기 센싱부(43)로는 예컨대 상기 치실 작동 유닛(4)의 일측에 설치되는 홀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는 상기 치실 작동 유닛(4)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회로 기판의 전자 부품과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1)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모터(6) 측에 송출할 수 있게 한다. As the sensing unit 43 , for example, a Hall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may be employed. Such a hall sensor interacts with electronic components of a circuit board fixedly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to transmit a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41 to the motor 6 side. do.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실(A)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치실의 양측을 각각 공급 드럼(2) 및 회수 드럼(3)에 연결한 후, 치실의 일부분을 케이스(1)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필요에 따라 치실 작동 유닛(4)을 슬라이딩시키기만 하면, 그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모터(6)의 작동으로 회수 드럼(3)이 회전되게 하여 사용한 치실(A)부분은 회수 드럼(3)을 통해 회수되게 하고, 새로운 치실(A)부분은 상기 공급 드럼(2)을 통해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급 드럼(2)과 회수 드럼(3)과 치실 작동 유닛(4)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비교적 간소한 구성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 만으로로 사용한 치실의 회수와 새로운 치실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을 통해 제품 신뢰도를 높여 매출이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dental floss (A) automatic supply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onnects both sides of the dental floss to the supply drum 2 and the recovery drum 3, respectively, and then inserts a portion of the dental floss into the case ( 1) After exposure to the outside, simply slide the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 as needed, and the motor 6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to rotate the recovery drum 3 to rotate the used dental floss (A) A portion is withdrawn via the recovery drum 3 and a fresh portion of dental floss A is fed through the feed drum 2 , whereby the feeding drum 2 and the recovery drum 3 and the floss operating unit 4 are With this organically combined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he collection of used dental floss and the supply of new dental floss can be simultaneously mad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 reliability and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sales profit.

본 실시예는, 도 3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드럼(2)의 치실(A)공급을 위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공급 드럼(2)을 탄성 가압시켜서, 상기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장력인가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 and 5, by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ly drum 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for supplying the dental floss A of the supply drum 2, the dental floss It comprises a tension applying member (5)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이러한 장력인가부재(5)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치실(A)공급시 그 치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실의 케이스(1)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느슨한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사용자 불편함을 초래하고 치석 제거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such a tension applying member 5, by being configured to provide tension to the dental floss when the floss (A) is supplied,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of the floss is used in a loose state.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prevent the calculus removal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슬라이딩부(41)의 이동시 그 슬라이딩부(41)를 원래의 위취로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슬라이딩부(41)의 공급 드럼(2)에 대한 접촉 해제력 작용 후 다른 추가적인 동작 수행 없이도 그 접촉 해제력을 제거하기만 하면 상기 슬라이딩부(4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nd,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lastic member (not shown)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sliding part 41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liding part 41 moves, so that the supply drum of the sliding part 41 ( 2) After the contact releasing force is applied, the sliding part 41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simply removing the contact releasing force without performing any additional operations, there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

상기 회수 드럼(3)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6)의 구동축(61)에 맞물리는 비원형홈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는 회수 드럼(3)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과 그 회수 드럼(3)에 동력을 인가시켜 주기 위한 동력원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서로 분리시켜 사후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1케이싱부재(11)와 제2케이싱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llecting drum 3 includes a non-circular groove portion 31 that engages with the drive shaft 61 of the motor 6, as shown in FIG. 4, and the case 1 is provided with the collecting drum The first casing member 11 and the second cas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portion where (3) is installed and the portion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for applying power to the recovery drum 3 to increase post-management efficiency. member 12 is included.

즉, 상기 제1케이싱부재(11)는, 상기 회수 드럼(3)의 비원형홈부(31)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싱부재(12)는, 모터(6)의 구동축(61)이 외부로 노출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1케이싱부재(11)와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6)의 구동축(61)이 상기 회수 드럼(3)의 비원형홈부(3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first casing member 11 is installed so that the non-circular groove part 31 of the recovery drum 3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 is a drive shaft of the motor 6 . 61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rive shaft 61 of the motor 6 engages with the non-circular groove part 31 of the recovery drum 3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first casing member 11 . is configured to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케이싱부재(11)와 제2케이싱부재(12) 간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6)의 구동축(61)과 회수 드럼(3)의 비원형홈부(31)가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in this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rst casing member 1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 the drive shaft 61 of the motor 6 and the non-circular groove part 31 of the recovery drum 3 are It is made to include a connection means that enables a smooth connection.

상기 접속수단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싱부재(11)와 제2케이싱부재(12)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이드편(121)과 다른 하나에 마련된 가이드홈(111)이 채용되었다. The connecting means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nfigurations, bu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well in FIG. 4 , a guide piec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casing member 1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 . A guide groove 111 provided in the other one from the 121 was employ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케이싱부재(11) 및 제2케이싱부재(12)가 가이드편(121)과 가이드홈(111)에 의해 위치정렬이 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동력원인 모터(6)에 회수드럼이 동력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asing member 1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by the guide piece 121 and the guide groove 111 . and the recovery drum is configured to be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6, which is a power source, in this coupling process,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ssembly and separation of products.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only clearly show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케이스 11:제1케이싱부재
111:가이드홈 12:제2케이싱부재
121:가이드편 2:공급 드럼
21:래칫기어부 3:회수 드럼
31:비원형홈부 4:치실 작동 유닛
41:슬라이딩부 42:록킹부
421:섹터기어부 43:센싱부
5:장력인가부재 6:모터
61:구동축 A:치실
1: Case 11: First casing member
111: guide groove 12: second casing member
121: guide piece 2: supply drum
21: ratchet gear part 3: recovery drum
31: non-circular groove part 4: dental floss operation unit
41: sliding part 42: locking part
421: sector gear unit 43: sensing unit
5: Tension applying member 6: Motor
61: drive shaft A: dental floss

Claims (5)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치실의 일측이 권회되는 공급 드럼;
상기 설치공간의 상기 공급 드럼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치실의 타측이 고정되며, 모터의 구동축과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회수 드럼; 및
상기 공급 드럼 측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상기 공급 드럼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공급 드럼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그 공급 드럼을 록킹 및 언로킹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게 하는 센싱부를 구비하는 치실 작동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a cas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that is long in one direction and can accommodate parts therein;
a supply d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and has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par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wound;
a recovery drum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drum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is fixed, and is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A sliding part that is relatively mov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so as to approach and separate from the supply drum sid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liding part toward the supply drum, and is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supply drum to lock the supply drum and A dental floss automatic supply and recovery device comprising: a locking unit for unlocking; and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드럼의 치실 공급을 위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공급 드럼을 탄성 가압시켜서, 상기 치실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장력인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nsion apply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by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ly dru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for the dental floss supply of the supply dr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공급 드럼에 대한 접촉 해제력 작용 후 그 접촉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liding part so that the sliding par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tact releasing force is removed after the contact releasing force acts on the supply drum of the sliding part. Automatic feeding and retrie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드럼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맞물리는 비원형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부재와,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에 맞물리도록,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케이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very drum comprises a non-circular groove portion engaged with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he case includes a first casing member in which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recovery drum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engages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recovery drum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first casing member. , Floss automatic supply and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asing member that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 간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회수 드럼의 비원형홈부가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싱부재와 제2케이싱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위치 정렬을 위한 가이드편이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order to smoothly connect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the non-circular groove portion of the recovery drum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first casing memb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any one of the first casing memb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has a coupling position. An automatic dental floss supply and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iece for alignment is provided and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piece is formed in the other.
KR1020210001887A 2021-01-07 2021-01-07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KR102511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887A KR102511795B1 (en) 2021-01-07 2021-01-07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887A KR102511795B1 (en) 2021-01-07 2021-01-07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89A true KR20220099689A (en) 2022-07-14
KR102511795B1 KR102511795B1 (en) 2023-03-21

Family

ID=8240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887A KR102511795B1 (en) 2021-01-07 2021-01-07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7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385A (en) * 1995-04-07 1997-07-15 Dynaproducts Inc. Automated dental cleaner
KR100610738B1 (en) 2004-07-08 2006-08-21 주식회사 치아랑 Device for division of dental floss
US20120266904A1 (en) * 2011-04-20 2012-10-25 Aronson Ross E Ultrasonic manipulator of dental flos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385A (en) * 1995-04-07 1997-07-15 Dynaproducts Inc. Automated dental cleaner
KR100610738B1 (en) 2004-07-08 2006-08-21 주식회사 치아랑 Device for division of dental floss
US20120266904A1 (en) * 2011-04-20 2012-10-25 Aronson Ross E Ultrasonic manipulator of dental flos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795B1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5806B1 (en) Electrically driven hand-held power tool
ATE467391T1 (en) ROTATING ATHERECTOMY DEVICE WITH IMPROVED INTERCHANGEABLE DRIVE SHAFT CONNECTOR MODULE
KR20220099689A (en) Automatic dental floss feeding and recovery device
KR960028204A (en) Removable Camcorder
JP3059112B2 (en) Plate edge insertion device for printing press
CN1590107A (en)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JPH10291518A (en) Label sticking apparatus
RU2700371C2 (en) Attachment points for surgical instruments assemblies
CN209799577U (en) Intelligent lock outer door handle structure and clutch mechanism thereof
CN211710389U (en) Portable label printer with manual paper cutting mechanism
TW394929B (en) Motor loading system for a disk drive
KR900003995Y1 (en) Adhesive tape case provided with cutter
JP3194440B2 (en) Paper feeder
AU2011322615B2 (en) Hand-operated pressing tool
US5021912A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recording/playing head, capstan and pinch roller of a cassette type audio recorder/player
CN111374728A (en)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mechanism
US20040140382A1 (en) Paper shredder
CN112832598A (en) Passive intelligence lock with ink screen
TWM521574U (en) Vehicular main switch lock and its main switch control module
JP2016020256A (en) Footstep clean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CN219744166U (en) Movable buckle retaining structure
RU2669856C2 (en) Surgical instrument, body for application with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instrument assembly
CN217945046U (en) Sliding ramp for a vehicle
JPS6152891A (en) Electric razor
KR101473140B1 (en) Cut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