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98A - Food waste dry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98A
KR20220099298A KR1020210001367A KR20210001367A KR20220099298A KR 20220099298 A KR20220099298 A KR 20220099298A KR 1020210001367 A KR1020210001367 A KR 1020210001367A KR 20210001367 A KR20210001367 A KR 20210001367A KR 20220099298 A KR20220099298 A KR 2022009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pening
basket
fil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0167B1 (en
Inventor
안동수
Original Assignee
안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수 filed Critical 안동수
Priority to KR102021000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6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ehold food processor.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n inner space, having an upper opening on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 lower opening on a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a bas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movable with the door, and having an opening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 strainer installed inside the basket; a first heater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uct having an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and a first exhaust port and a second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and a second heater installed on a recirculation flow path branching from the intake port to the first exhaust por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dry food wastes.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 {FOOD WASTE DRYER}Food Disposer {FOOD WASTE DRY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ehold food processor.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분리되어 배출되고 있다. 이 중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 오염 방지, 수거 및 이송 편의, 자원 재활용 등을 위해 그 양을 줄여 물기를 제거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음식물 처리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는 특히 예컨대 당도가 높은 과일, 섬유질, 생선 머리 등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In general, household waste is separated into general waste, recyclable waste, food waste, and the like, and discharg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and discharge it in a state where water has been removed for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collection and transport convenience, resource recycling, and the like. Therefore, for this purpose, many household food processing machines capable of heating and drying food waste have been released. However, the conventional food processor has a limitation in efficiently drying foo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This is especially true, for example, of fruits with high sugar content, fiber, fish heads, etc.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processor capable of effectively drying food.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에 하부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와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본체의 하부 개구에 연결되는 개구를 갖는 바구니, 상기 바구니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망,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히터,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에 연결되는 흡기구, 상기 본체의 하부 개구에 연결되는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를 갖는 덕트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1 배기구로 분기되어 이어지는 재순환 유로상에 설치되는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pace, a main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t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 lower opening at a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a basket having an opening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 sieve installed inside the basket, a first heat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uct having an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a first exhaust port and a second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heater installed on a recirculation passage branched from the intake port to the first exhaust port may include

또한 상기 바구니의 개구는 측면에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ning of the basket may also be arrang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on the side.

또한 상기 거름망은 상기 바구니의 개구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eve may be disposed above the opening of the basket.

또한 상기 거름망은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ainer may have a handle.

또한 상기 제2 히터는 PTC 히터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heater may be a PTC heater.

또한 상기 덕트의 제2 배기구에 연결되는 흡입구 및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데미스터 필터 및 탈취 필터를 갖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of the duct and an outlet open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demister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또한 초기에 상기 바구니의 내부를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와 상기 제2 히터가 동시에 작동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일차적으로 건조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2 히터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마저 건조하는 절전 효과 단계로 동작할 수 있다.Also, in order to quickly heat the inside of the basket at the beginning,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operated simultane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heater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rimarily dry food step and the second heater may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operate as a power saving effect step of drying the food.

또한 상기 거름망은 가운데 부분에서 양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ev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both ends from the center portion.

또한 상기 필터는 복수의 탈취 필터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탈취 필터는 타공판을 이용해 각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에 활성탄을 충전함으로써 마련되되, 상기 타공판에서 상부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as a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nd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re provided by partitioning each space using a perforated plate and filling the space with activated carb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may be blocked without forming a hole.

또한 상기 필터는 복수의 탈취 필터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탈취 필터는 타공판을 이용해 각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에 활성탄을 충전함으로써 마련되되, 상기 타공판에서 하부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as a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nd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re provided by dividing each space using a perforated plate and filling the space with activated carbon,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may be blocked without forming a hol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제1 히터(예: 원적외선 세라믹 히터)를 이용해 바구니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되,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그 중 일부를 제2 히터(예: PTC 히터)를 이용해 가열한 후 바구니로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열풍을 이용해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s and dries food in a basket using a first heater (eg, a far-infrared ceramic heater), sucks air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and uses a portion of it with a second heater (eg, PTC). By heating using a heater) and then supplying it to a basket, the food can be effectively dried using such hot ai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 개요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측면 개요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거름망의 사시 개요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schematic views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schematic views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
6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of a sieve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A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의 사시 개요도로서, 도 1은 도어(120)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어(120)가 열려 거름망(140)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의 측면 개요도로서, 도 3은 도어(120)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어(120)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schematic views of a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120 is closed, and FIG. This is a separate appearance. Also, FIGS. 3 and 4 are side schematic views of the food proces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the door 120 closed, and FIG. 4 shows the door 120 open. will be. Also,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음식물 처리기(100)는 본체(110), 도어(120), 바구니(130), 거름망(140), 제1 히터(150), 덕트(160), 제2 히터(170) 및 필터(180)를 포함한다.1 to 5 , the food processor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 a door 120 , a basket 130 , a sieve 140 , a first heater 150 , a duct 160 , and a second heater ( 170 ) and a filter 180 .

본체(110)는 내부 공간(S)을 가지며, 내부 공간(S)의 상측에 상부 개구(111)를 갖고, 내부 공간(S)의 하측에 하부 개구(112)를 갖는다.The body 110 has an inner space (S), an upper opening 111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S), and a lower opening 112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S).

또한 본체(110)는 후술할 덕트(160)에서 흡기구(161)로부터 제1 배기구(162) 및 제2 배기구(163)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기 위한 팬(미도시), 내부 공간(S)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 내부 공간(S)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미도시), 해당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팬, 후술할 제1 히터(150) 및 제2 히터(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더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a fan (not shown) for generating air flow from the intake port 161 to the first exhaust port 16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163 in the duct 1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17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or the like.

도어(120)는 예컨대 레일(R)을 통해 본체(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를 위한 구조 자체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용이하게 변경하여 도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door 1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a rail R, for example,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10 . However, the structure itself for this purpos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known in the art, 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and derive it therefrom,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나아가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와 도어(120)에 자석(미도시)이 각각 부착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120 from being unintentionally opened in a closed state, magnets (not shown) may b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body 110 and the door 120 to be fixed to each other.

바구니(130)는 도어(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12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0)가 닫히면 바구니(130)가 본체(110)의 내부 공간(S)에 위치하게 되고(도 1 및 도 3 참조), 도어(120)가 열리면 바구니(130)가 외부로 노출된다(도 2 및 도 4 참조).The basket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120 , and may move together with the door 120 . Therefore, when the door 120 is closed, the basket 130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body 110 (see FIGS. 1 and 3 ), and when the door 120 is opened, the basket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See Figures 2 and 4).

또한 바구니(130)는 측면에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개구(131)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131)는 도어(120)가 닫혀 바구니(130)가 본체(110)의 내부 공간(S)에 위치해 있을 때 본체(110)의 하부 개구(112)에 연결된다(도 3 참조).The basket 130 also has an opening 131 at a point spaced from the bottom on the side. The opening 131 is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112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door 120 is closed and the basket 13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10 (see FIG. 3 ).

거름망(140)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체 면적에 걸쳐 복수의 배수구(141)를 갖는다.The strainer 1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drain holes 141 over the entire area.

또한 거름망(140)은 바구니(13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특히 바구니(130)의 개구(131)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바구니(130)는 측면에서 개구(131)보다 위에 턱(132)이 형성되고(도 2 참조), 거름망(140)이 그 턱(132)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eve 140 is installed inside the basket 130 , in particular, may be disposed above the opening 131 of the basket 130 .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basket 130 has a jaw 132 formed above the opening 131 from the side (see FIG. 2 ), and the sieve 140 may be supported on the jaw 132 .

또한 거름망(140)은 사용자가 거름망(140)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손잡이(142)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ieve 140 may have a handle 142 so that a user can easily detach and mount the sieve 140 .

이러한 거름망(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거름망(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서 양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음식물이 가운데 부분에 집중적으로 쌓이지 않고 양단 측으로 고루 펼쳐지게 할 수 있는 한편, 물기가 보다 원활하게 떨어지게 할 수 있다.Such a sieve 140 may be formed to be flat as a whole as shown in FIG. 2 . Alternatively, the sieve 14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s shown in FIG. 6 . According to this, the food can be spread evenly to both ends without being concentrated in the middle, and water can be more smoothly dropped.

제1 히터(150)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S)의 상측에 설치되어, 바구니(130)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히터(150)는 예컨대 원적외선 세라믹 히터일 수 있다.The first heate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S of the main body 110 , and serves to heat and dry food in the basket 130 . The first heater 150 may be, for example, a far-infrared ceramic heater.

나아가 원적외선이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바구니(130)를 향해 집중될 수 있게 제1 히터(150) 주변을 둘러싸는 반사갓(미도시), 제1 히터(150)를 보호하기 위해 제1 히터(150) 주변을 감싸는 보호망(미도시) 등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Furthermore, a reflector (not show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heater 150 so that the far-infrared rays are not dispersed to the surroundings and are concentrated toward the basket 130 , the first heater 150 to protect the first heater 150 . A protective net (not shown) surrounding the periphery may be installed together.

덕트(160)는 본체(110)의 상부 개구(111)에 연결되는 흡기구(161), 본체(110)의 하부 개구(112)에 연결되는 제1 배기구(162) 및 후술할 필터(180)의 흡입구(181)에 연결되는 제2 배기구(163)를 갖는다. 이에 덕트(160)는 흡기구(161)로부터, 제1 배기구(162)로 분기되어 이어지는 재순환 유로(164) 및 제2 배기구(163)로 분기되어 이어지는 배출 유로(165)를 갖게 된다(도 3 참조).The duct 160 includes an intake port 161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111 of the main body 110 , a first exhaust port 162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112 of the main body 110 , and a filter 180 to be described later. It has a second exhaust port 163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81 . Accordingly, the duct 160 has a recirculation flow path 164 branching from the intake port 161 to the first exhaust port 162 and a discharge flow path 165 branching and continuing to the second exhaust port 163 (see FIG. 3 ). ).

제2 히터(170)는 덕트(160)의 재순환 유로(164)상에 설치되어, 이를 지나가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히터(170)는 예컨대 PTC 히터일 수 있다.The second heater 170 is installed on the recirculation passage 164 of the duct 160 and serves to heat the air passing therethrough. The second heater 170 may be, for example, a PTC heater.

필터(180)는 덕트(160)의 제2 배기구(163)에 연결되는 흡입구(181) 및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구(182)를 갖는다.The filter 180 has an inlet 181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163 of the duct 160 and an outlet port 182 open to the outside.

이러한 필터(180)는 흡입구(181)와 배출구(182) 사이에, 예컨대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데미스터 필터(183), 산성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탈취 필터(184), 염기성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탈취 필터(185) 및 중성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3 탈취 필터(186)를 차례로 가질 수 있다.The filter 180 is between the inlet 181 and the outlet 182, for example, a demister filter 183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a first deodorizing filter 184 for removing acidic odor components, and a basic malodor. It may have a second deodorizing filter 185 for removing the component and a third deodorizing filter 186 for removing the neutral malodorous component in turn.

데미스터 필터(183)는 그 내측에 별도 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히터를 이용해, 데미스터 필터(183) 내 수분을 가열하여 신속히 건조함으로써, 수분 제거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The demister filter 183 may include a separate heater (not shown) therein. According to this, by using the heater, the moisture in the demister filter 183 is heated and dried quickly, so that the moisture removal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제1 탈취 필터(184), 제2 탈취 필터(185) 및 제3 탈취 필터(186)는 타공판(P)을 이용해 각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에 활성탄을 충전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타공판(P)을 관통하여 제1 탈취 필터(184), 제2 탈취 필터(185) 및 제3 탈취 필터(186)를 지나가면서, 악취 성분들을 단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deodorizing filter 184 , the second deodorizing filter 185 and the third deodorizing filter 186 may be provided by partitioning each space using a perforated plate P and filling the space with activated carbon. Accordingly,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P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deodorizing filter 184 , the second deodorizing filter 185 and the third deodorizing filter 186 , the odor components can be removed in stages.

단 타공판(P)에서 상부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을 수 있다. 해당 공간에 활성탄을 가득 충전했더라도 보관, 유통 또는 사용 중 충격 또는 자중에 의해 활성탄이 더욱 조밀하게 압축 충전되어 그 상부에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가 빈 공간을 통해 지나가게 되면 악취 성분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타공판(P)에서 상부가 막혀 있다면, 그 상부에 빈 공간이 생기더라도 공기가 빈 공간을 통해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P) may be blocked without forming a hole. Even if the space is fully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the activated carbon may be compressed and filled more densely due to impact or its own weight during storage, distribution, or use, resulting in an empty space in the upper part. In this case,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empty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component cannot be properly removed. However, if the upper part is blocked in the perforated plate (P), even if an empty space is created in the upper part, since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empty space,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prevented.

또한 타공판(P)에서 하부도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을 수 있다. 장시간 사용 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공간에 수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처럼 타공판(P)에서 하부가 막혀 있다면, 그 하부에 수분이 모이더라도 다른 공간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P) may be blocked without a hole is formed. When used for a long time, moisture may occur in the space over time. If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P is blocked in this way, even if the moisture collects in the lower part, it can be prevented from passing to another space.

이상으로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Based o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사용자가 바구니(130)에, 보다 구체적으로 거름망(140) 위에 음식물을 넣고 도어(120)를 닫으면, 음식물에서 물기가 거름망(140)의 배수구(141)에 의해 일차적으로 분리되어 그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구(131)가 측면에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물기가 개구(131)를 통해 덕트(16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when the user puts food in the basket 130, more specifically, on the sieve 140 and closes the door 120, the water from the food is primarily separated by the drain hole 141 of the sieve 140 and falls below it. do.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opening 131 is disposed at a point spaced from the floor on the side, it may be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duct 160 through the opening 131 .

다음으로 팬, 제1 히터(150) 및 제2 히터(170)가 작동한다. 먼저 제1 히터(150)가 작동함으로써, 원적외선을 통해 바구니(130)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할 수 있다. 또한 팬이 작동함으로써, 본체(110)의 내부 공간(S)으로부터 상부 개구(111) 및 흡기구(161)를 통해 덕트(160)로 공기가 유입된다.Next, the fan, the first heater 150 and the second heater 170 operate. First, as the first heater 150 operates, the food in the basket 130 can be heated and dried through far-infrared rays. In addition, as the fan operates,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ct 160 from the inner space S of the body 110 through the upper opening 111 and the intake port 161 .

이러한 공기 중 일부는 재순환 유로(164)를 따라 유동하면서 제2 히터(170)에 의해 더 가열된 후 제1 배기구(162), 하부 개구(112) 및 개구(131)를 통해 바구니(130)로 공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풍을 통해 거름망(140) 위에 있는 음식물 및 거름망(140) 아래에 있는 물기를 재차 가열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Some of this air flows along the recirculation flow path 164 and is further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70 and then into the basket 130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2 , the lower opening 112 and the opening 131 . is supplied Therefore, the food on the sieve 140 and the water under the sieve 140 can be heated again and dri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hot air.

또한 공기 중 나머지는 배출 유로(165)를 따라 유동하여 제2 배기구(163) 및 흡입구(181)를 통해 필터(180)로 이동한다. 이에 데미스터 필터(183)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제1 탈취 필터(184), 제2 탈취 필터(185) 및 제3 탈취 필터(186)를 거치면서 각종 악취가 제거되어, 배출구(1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rest of the air flows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165 and moves to the filter 180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163 and the suction port 181 . Accordingly, moisture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emister filter 183 , and various odors ar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deodorizing filter 184 , the second deodorizing filter 185 and the third deodorizing filter 186 , the outlet 182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전체 사이클에 있어서 팬, 제1 히터(150) 및 제2 히터(170)는 모두 동시에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ntire cycle, the fan, the first heater 150 , and the second heater 170 may all operate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또는 팬은 연속적으로 작동하되, 제1 히터(150)와 제2 히터(170)는 특정한 패턴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미리 정해진 시간(예: 약 30분) 동안 제1 히터(150)와 제2 히터(170)가 동시에 작동하기 시작하여 바구니(130)의 내부를 일단 최대로 신속하게 가열하고, 그 후 미리 정해진 시간(예: 음식물이 약 500-600g으로 비교적 적은 경우 약 5시간; 음식물 약 500-1,000g으로 비교적 많은 경우 약 7시간) 동안 제1 히터(150)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일차적으로 건조하며, 그 후 미리 정해진 시간(예: 음식물이 약 500-600g으로 비교적 적은 경우 약 3시간 동안; 음식물 약 500-1,000g으로 비교적 많은 경우 약 5시간) 동안 제2 히터(170)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마저 건조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an may operate continuously, but the first heater 150 and the second heater 170 may operate in a specific pattern. For example, initi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eg, about 30 minutes), the first heater 150 and the second heater 170 start to operate at the same time to quickly heat the inside of the basket 130 to the maximum, Thereafter, the first heater 150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eg, about 5 hours when the amount of food is relatively small (about 500-600 g; about 7 hours, when the amount of food is relatively large, about 500-1,000 g)) to primarily heat the food. After drying, the second heater 170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about 3 hours when the amount of food is relatively small at about 500-600 g; for about 5 hours when the amount of food is relatively large at about 500-1,000 g) You can even dry food.

이상으로 설명한 음식물 처리기(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The food processor 100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the food processo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as described in the claims, includes all the rang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0: 음식물 처리기
110: 본체
120: 도어
130: 바구니
140: 거름망
150: 제1 히터
160: 덕트
170: 제2 히터
180: 필터
100: food processor
110: body
120: door
130: basket
140: strainer
150: first heater
160: duct
170: second heater
180: filter

Claims (11)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상부 개구를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에 하부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와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본체의 하부 개구에 연결되는 개구를 갖는 바구니,
상기 바구니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망,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히터,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에 연결되는 흡기구, 상기 본체의 하부 개구에 연결되는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를 갖는 덕트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1 배기구로 분기되어 이어지는 재순환 유로상에 설치되는 제2 히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 upper opening at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 lower opening at a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a bas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movable together with the door, and having an opening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 sieve installed inside the basket,
A first heat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 duct having an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a first exhaust port and a second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nd a second heater installed on a recirculation passage branched from the intake port to the first exhaus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의 개구는 측면에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of the basket is dispos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from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바구니의 개구보다 위에 배치되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eve is disposed above the opening of the bas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손잡이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eve is a food processor having a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터는 PTC 히터인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eater is a PTC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제2 배기구에 연결되는 흡입구 및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데미스터 필터 및 탈취 필터를 갖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processo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of the duct and an outlet opening to the outside, the filter having a demister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초기에 상기 바구니의 내부를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와 상기 제2 히터가 동시에 작동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1 히터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일차적으로 건조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제2 히터가 작동하여 음식물을 마저 건조하는 단계로 동작하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to quickly heat the interior of the basket initially;
Drying the food primarily by operating the first he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food processor in which the second heater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dry the f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가운데 부분에서 양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ev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내측에 별도 히터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emister filter is a food processor having a separate heater in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의 탈취 필터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탈취 필터는 타공판을 이용해 각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에 활성탄을 충전함으로써 마련되되, 상기 타공판에서 상부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는 음식물 처리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 has a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nd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re provided by dividing each space using a perforated plate and filling the space with activated carb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being blocked without a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의 탈취 필터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탈취 필터는 타공판을 이용해 각 공간을 구획하고 그 공간에 활성탄을 충전함으로써 마련되되, 상기 타공판에서 하부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는 음식물 처리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 has a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nd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filters are provided by dividing each space using a perforated plate and filling the space with activated carbon,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plate being blocked without a hole.
KR1020210001367A 2021-01-06 2021-01-06 Food waste dryer KR102640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67A KR102640167B1 (en) 2021-01-06 2021-01-06 Food waste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67A KR102640167B1 (en) 2021-01-06 2021-01-06 Food waste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98A true KR20220099298A (en) 2022-07-13
KR102640167B1 KR102640167B1 (en) 2024-02-23

Family

ID=8240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67A KR102640167B1 (en) 2021-01-06 2021-01-06 Food waste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650U (en) * 2008-02-25 2009-08-28 하롬주식회사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0952198B1 (en) * 2008-01-04 2010-04-09 주식회사 오린 Filter Assembly for Foodwaste Drying Apparatus
KR101011783B1 (en) * 2008-06-26 2011-02-07 주식회사 오린 Method for Operating Food Garbage Disposer And Food Garbage Dispo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98B1 (en) * 2008-01-04 2010-04-09 주식회사 오린 Filter Assembly for Foodwaste Drying Apparatus
KR20090008650U (en) * 2008-02-25 2009-08-28 하롬주식회사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011783B1 (en) * 2008-06-26 2011-02-07 주식회사 오린 Method for Operating Food Garbage Disposer And Food Garbage Dispo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67B1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588A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lint particles in a clothes dryer
JP5060669B2 (en) Dry volume reduction processing equipment
JP2004503310A (en) Air-guided household appliances with washable filters
JP3953448B2 (en) Kitchen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KR20220099298A (en) Food waste dryer
KR20060004601A (en) Food waste dryer
KR101347168B1 (en) Duck down dryer
KR20090124260A (en) Drying device for food waste
JP3618728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90050621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JP2007135772A5 (en)
KR200342219Y1 (en) Structure for Drying Receptacle of Food Garbage Disposer
KR200356444Y1 (en) Food waste dryer
KR100865905B1 (en) Moistureless installation for agricultural and marineproduct dryer
JP3766736B2 (en) 厨 芥 Drying device
KR100662763B1 (en) Fluffs filtering apparatus for a dryer
JP3418645B2 (en)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KR0181273B1 (en) A small drier for wastes
KR100648966B1 (en) A Food-refuse drier
JPH10449A (en)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200382802Y1 (en) Food-waste treatment apparatus
KR0127272Y1 (en) Hot-air circulating dehydrator
KR20040056811A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101432659B1 (en)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R19980063951U (en) Kitchen waste dehyd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