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36A - Rice cooker - Google Patents

Rice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36A
KR20220099236A KR1020210001226A KR20210001226A KR20220099236A KR 20220099236 A KR20220099236 A KR 20220099236A KR 1020210001226 A KR1020210001226 A KR 1020210001226A KR 20210001226 A KR20210001226 A KR 20210001226A KR 20220099236 A KR20220099236 A KR 2022009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ce
inner pot
rice cook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102021000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236A/en
Publication of KR2022009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ice cooker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use by performing, through automatic electric control, each step of washing water, applying washing water customized for an amount of rice to be cooked, and applying heat to cook the rice. The automatic rice cooker comprises: a rice cooker body having an outer pot configured to apply heat from an electric heater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a control mean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of a power supply part to a cooking space, and a cov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uter pot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nd an inner pot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of the rice cooker body and having a cooking space for rice in which rice and water are accommodated. The automatic rice cooker further comprises: an inlet/outlet pipe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provided with an inlet/output opening which is close to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while having a gap therebetween; a water supply means supplying water to the inlet/output pip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 drainage means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to the outside via the inlet/outlet pipes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a water level 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configured to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while having a gap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and to allow water level data to the control means.

Description

자동조리 밥솥{Rice cooker}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Rice cooker}

본 발명은, 물과 쌀을 수용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조리함으로써 밥을 제조하도록 된 밥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ooker configured to prepare rice by heating and cooking in a state in which water and rice are accommodated.

구체적으로는, 쌀의 세척과 조리되는 쌀의 양에 맞춤되는 용수의 양을 투입 및 열을 가하여 밥을 조리하는 각각의 단계들을 전기적인 자동제어를 통해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자동조리 밥솥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each step of washing rice and cooking rice by inputting and heating an amount of water tailored to the amount of rice being cooked is performed through electric automatic control,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It is about a cooking rice cooker.

일반적으로, 조리장치의 하나인 전기압력밥솥은, 밀폐된 공간에 배치되는 내솥을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 내솥안의 압력을 높여서, 상압(常壓)에서 잘 삶아지지 않는 밥을 단시간에 조리하도록 된 물품이다.In general, an electric pressure cooker, which is one of the cooking devices,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inner pot by heating the inner pot disposed in an enclosed space by an electric heater, and cooks rice that is not easily boiled at normal pressure in a short time. is a commodity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통상적으로, 본체의 외솥에 내솥이 수용되고, 본체 및 상기 내솥을 덮개으로 덮어줌으로써, 상기 내솥의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며; 상기 내솥에 조리할 쌀과 용수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내장된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열되면서 밥을 조리하게 되어 있다.This electric pressure cooker, typically, the inner pot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of the main body, by covering the main body and the inner pot with a cover,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inner pot; In a state in which rice and water to be cooked are put into the inner pot, power is applied to a heater built into the main body to cook rice while being heated.

즉, 상기 본체의 외솥이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고온을 형성하고, 상기 외솥에서 발생된 고온이 상기 내솥으로 전달되어 쌀과 용수를 가열하여 밥을 조리하게 된다.That is, the outer pot of the main body is electrically heated to form a high temperature, and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outer pot is transferred to the inner pot to heat rice and water to cook rice.

이와 같은 전기압력밥솥에서, 상기 본체의 덮개에는,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또는 증기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내솥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In such an electric pressure cooker,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r steam discharg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over of the main body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pot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inner pot.

즉, 상기 내솥의 내부가 과도하게 고압을 형성할 경우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내솥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inner pot forms an excessively high pressure, the excessive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inner pot.

이와 같은, 전기압력밥솥은, 백미, 현미, 잡곡 등과 같이 조리되는 쌀의 종류에 따른 취사특성에 따라 가열 온도를 및 용수의 비율을 달리하여 조리하게 된다.Such an electric pressure cooker cooks by vary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ratio of water according to the co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to be cooked, such as white rice, brown rice, and mixed grains.

한편, 종래에는, 밥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쌀을 직접 세척수에 씻어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넣은 후, 조리되는 쌀의 양에 따라 적당한 비율의 용수를 투입한 후, 전원을 전기히터에 공급하는 제어를 통해 밥을 조리하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prior art, when cooking rice, the user directly washes the rice in washing water, puts it in the inner pot of the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then puts water in an appropriate propor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being cooked, and then turns on the power to the electric heater. It is designed to cook rice through the control that is supplied to it.

상기에서 전기히터로의 전원의 투입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에서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의 설정된 데이터에는, 백미, 현미, 잡곡 등과 같이 조리되는 쌀의 종류에 따른 취사특성에 따라 각각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조건이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input of power to the electric heater is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co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the heating conditions of the electric heat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ata to be selectively formed,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밥솥들은, 사용자가 일일이 쌀을 세척수를 통해 세척하는 작업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수행됨에 따라, 조리의 간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ice cookers as described above, as the user manually washes the rice with washing water, there is a problem in the simplicity of cooking.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쌀을 세척수를 통해 세척하지 않고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된 밥솥들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rice cookers have been proposed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wash the rice through electric control without washing the rice with washing water, thereby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work.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79397호(명칭: 전자동 밥솥/2000.12.20.)에서 공지된 밥솥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쌀의 세척과 취사, 보온이 가능한 밥솥에 있어서, 쌀을 보관하는 쌀통과 쌀을 세척부로 자동 투입하는 전자솔레노이드 밸브,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중단에 설치되어 쌀의 세척을 담당하는 세척통, 세척부의 회전판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판을 돌려주는 세척구동모터, 세척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과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세척부에 부착되어 물과 쌀을 밥솥부로 보내주는 솔레노이드 밸브, 취사를 가능케 하는 밥솥부 취사가 끝난 뒤 덮개과 밥솥을 내보내는 구동모터 그리고 이모든 것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동밥솥이 기재되어 있다.As one of them, there is a rice cooker known fro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79397 (name: Fully automatic rice cooker/2000.12.20.), and as known in the Gazette, a rice cooker capable of washing, cooking and keeping warm r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ice container for storing rice, an electronic solenoid valve for automatically putting rice into the washing unit, a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washing box installed in the middle to wash rice, a rotating plate of the washing unit and A washing driving motor connected by a belt to turn the rotating plate, a pressure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unit to detect the weight of rice and water, a solenoid valve attached to the washing unit to send water and rice to the rice cooker unit, and a rice cooker unit that enables cooking A fully automatic rice cooker is described that includes a cover and a driving motor for discharging the rice cooker after cooking, and a microprocessor system that controls all of these.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62405호(명칭: 자동 밥 하는 기계/2009.07.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기밥솥내 외부에 걸쳐서 십자 형태로 된 회전자를 설치하고 전기밥솥 외부 바로 하단에 모터가 설치되고 이 모터가 돌아가며 동력을 발생시킬 때 이 모터의 회전축과 쌀 씻는 회전자의 축이 전기밥솥 외부의 와이어에 의해서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쌀 씻는 회전자에 전달하게 되어 회전자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쌀을 씻게 되는 자동 밥 하는 기계가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62405 (name: automatic rice cooker / 2009.07.09.), as known in the publication, a cross-shaped rotor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When a motor is installed just below the outside of the rice cooker and the motor rotates to generate power, the rotating shaft of this motor and the shaft of the rice washing rotor are connected by a wire outside the rice cooker, and the motor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ice washing rotor. An automatic rice-making machine is described in which the rotor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to wash the rice.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79397호(2000.12.20.)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79397 (2000.12.2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62405호(2009.07.09.)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62405 (2009.07.0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조리 밥솥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비 경제적이며, 특히, 쌀을 세척할 때, 쌀과 충돌하여 교반하도록 된 회전자 등에 의해 쌀이 손상되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elf-cooking rice cookers as described above are uneconomical due to their complicated structure, and in particular, when washing rice, the rice is damaged by a rotor that collides with the rice to stir, and there is a problem of unsanitary condi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쌀의 세척과 조리되는 쌀의 양에 맞춤되는 용수의 양을 투입 및 열을 가하여 밥을 조리하는 각각의 단계들을 전기적인 자동제어를 통해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된 자동조리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conomically because it is structurally simple, and the amount of water tailored to the amount of rice to be washed and cooked.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use by performing each step of cooking rice by inputting and applying heat through automatic electric contro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은,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히터의 열을 조리공간으로 인가하도록 된 외솥과 상기 외솥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덮개를 가지는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의 외솥에 수용되면서 배치되며 내부에 쌀과 용수가 수용되는 밥의 조리공간을 가지는 내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조리 밥솥에 있어서; 상기 밥솥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바닥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근접되는 입출개구가 구비된 입출수관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입출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된 용수공급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내솥에 충수된 용수를 상기 입출수관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수단과; 상기 밥솥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바닥면과의 갼격을 가지면서 상기 내솥에 충수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수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ceives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a control mean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apply the heat of the electric heater that generates heat to the cooking space. a rice cooker body having an outer pot and a cov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uter pot with respect to the outside; In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comprising; an inner pot dispos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of the rice cooker body and having a cooking space for rice in which rice and water are accommodated; an inlet and outlet water pipe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exit opening to b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while having a gap; a water supply mean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s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 draining means configured to drain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outlet pip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and apply water level data to the control means while having a gap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do.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은, 내솥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된 용수공급수단과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수단들과의 배관이 단일의 입출수관을 통해 연결되면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structurally simple and productivity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pot and the drain means for draining to the outside through a singl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It has a high effect that can be provided economically.

아울러, 밥이 조리되는 내솥의 조리공간에 별도의 기구(회전자 등)들의 배치가 불필요하여, 쌀의 손상이 없고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arrange separate appliances (rotors, etc.) in the cooking space of the inner pot in which rice is cooked, so there is no damage to the rice and it is possible to cook hygienically.

이와 더불어, 제어수단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내솥으로의 용수의 공급과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쌀의 세척 및 용수의 공급 및 가열조리의 단계들이 순차적이면서 자동으로 구현됨에 따라 밥의 조리작업에 대한 간편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the supply and drainage of water to the inner po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electrical control, so that the steps of washing rice, supplying water, and heating and cooking are sequentially and automatically implemented, so that the rice is cooked.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implicity of the work.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구성하는 입출수관의 배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구성하는 입출수관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구성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1 to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some excerpts showing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5 to 8 are schematic exemplary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s constituting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0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 part of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constituting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and 12 are schematic exemplary views showing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constituting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 i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some case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은, 사용자의 조작스위치(31)의 조작에 따른 전원공급부(전원단자)(3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히터(21)의 제어된 열을 조리공간으로 인가하도록 된 외솥(22)과, 상기 외솥(22)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덮개(24)를 가지는 밥솥본체(2)와; 상기 밥솥본체(2)의 외솥(22)의 내부에 착탈되면서 수용 배치되며 내부에 쌀과 용수가 수용되는 밥의 조리공간을 가지는 내솥(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13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ot 22 is configured to apply the controlled heat of the electric heater 21 that receives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power terminal) 32 to the cooking space. ) and a rice cooker body 2 having a cover 24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uter pot 22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nd an inner pot 23 having a cooking space for rice that is detachably disposed inside the outer pot 22 of the rice cooker body 2 and accommodates rice and water therein.

즉, 상기 내솥(23)의 내부에 쌀과 상기 쌀의 투입량에 대한 비율에 맞춤되는 양의 용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31)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부(32)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히터(21)로 인가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전기히터(21)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외솥(22)를 통해 상기 내솥(23)으로 전달되어 상기 내솥(23)의 조리공간을 가열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ively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31 in a state in which rice and water in an amount suitable for the ratio of the input amount of rice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3, the control means 3 )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2 according to the set data and applying it to the electric heater 21 to generate heat,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electric heater 21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er pot 22 It is transferred to the inner pot 23 to heat the cooking space of the inner pot 23 .

이에 따라,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쌀과 용수가 가열되어 밥이 조리된다.Accordingly, the rice and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3 are heated to cook the rice.

상기에서 외솥(22)은,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밥솥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덮개(24)에 의해 상부의 개구가 밀폐 및 개방되도록 되며; 상기 내솥(23)은,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덮개(24)에 의해 상부의 개구가 밀폐 및 개방되도록 될 수 있다.In the outer pot 22, the upper opening is opened so that the upper opening is closed and opened by the cover 24 rotatably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2); The inner pot 23 has an upper opening, and the opening of the upper portion is closed and opened by the cover 24 .

즉, 상기 외솥(22)에 상기 내솥(23)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24)를 통해 각각의 개구들이 밀폐 및 개방되도록 될 수 있다.That is, each opening may be sealed and opened through the cover 24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23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22 .

상기에서 밥솥본체(2)에는, 상기 내솥(23)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상기 내솥(23)의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종래 공지된 기술의 작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ce cooker body (2), a pressure adjusting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to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23), it can b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inner pot (23);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which may have a structure that has been previously known in the art, is preferably appli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은, 상기 밥솥본체(2)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23)의 바닥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근접되는 입출개구(41)가 구비된 입출수관(4)과;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입출수관(4)으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된 용수공급수단(5);을 가진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2) and has an inlet/outlet pipe (4) provided with an inlet/outlet opening (41) that is provided in the inner pot (23) while being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23). )class; It has a; water supply means (5)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즉,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수단(5)이 구동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입출수관(4)으로 공급하여 상기 내솥(23)으로 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e water supply means (5) is driven to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let/outlet pipe (4)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the inner pot (23). do.

상기에서 용수공급수단(5)은, 외부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용수공급원(미도시됨)와 접속된 입수관로(51)와;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입수관로(51)를 통해 입수된 용수를 강제적으로 펌프하여 이송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공급펌프(52)와; 상기 공급펌프(52)에서 펌프되는 용수를 상기 입출수관(4)으로 공급하도록 연결접속된 공급관로(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water supply means 5 includes: an inlet pipe 51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 supply pump 52 selectively driven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and configured to forcibly pump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51 to form a conveying pressure; It may include a;

즉,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52)가 구동되어 상기 공급관로(53)를 통해 상기 입출수관(4)으로 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program) set in the control means 3 , the supply pump 52 is driven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4 through the supply pipe 53 . .

이때, 상기 입출수관(4)으로 공급되는 용수는, 상기 공급펌프(52)에 의해 강제적인 이송압력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내솥(23)의 내부에서 강한 이송압력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forms a forced transfer pressure by the supply pump 52 to form a strong transfer pressure inside the inner pot 23 .

이에 따라,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쌀이 용수의 강한 이송압력에 의해 세척된다.Accordingly, the rice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3 is washed by the strong transfer pressure of water.

상기에서 입출수관(4)의 입출개구는, 평면상 상기 내솥(23)의 중심에서 일측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23)으로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내솥(23)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공급되도록 될 있다.In the above, the inlet and outlet openings of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re arranged at an eccentric position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pot (23) on a plane,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inner pot (23) is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pot (23) It can be supplied while forming a vortex with

따라서, 상기 내솥(23)에 충진된 쌀이 와류형상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안정적으로 세척됨에 따라, 세척효율이 극대화되도록 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rice filled in the inner pot 23 is stably washed by the water supplied in a swirl shape, wash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상기에서 입출수관(4)에는,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공급관로(53)와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밸브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내솥(23)으로의 용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is provided with a valve means that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to selective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with the supply pipe (53), and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Accordingly,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inner pot 23 .

이때, 상기 내솥(23)에 조리하고자 하는 쌀을 투입한 후, 상기 덮개(24)을 통해 상기 내솥(2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수공급수단(5)을 통해 상기 내솥(23)으로 용수가 투입되면, 투입되는 용수에 의해 쌀이 세척된다.At this time, after putting the rice to be cooked into the inner pot 23 , water is fed into the inner pot 23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5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23 is closed through the cover 24 . is added, the rice is washed by the input water.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에서, 상기 입출수관(4)은, 상기 덮개(24)를 관통하면서 상기 내솥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입출개구가 상기 내솥(23)의 바닥면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면서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23)에 쌀이 충진되는 최소량에 대하여 충진되는 쌀들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passes through the cover 24 and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s are in the closed state of the inner pot 23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23 . It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urface while having a gap, and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inside the rice to be filled with respect to the minimum amount of rice filled in the inner pot 23 .

즉, 상기 입출수관(4)의 입출개구가 상기 내솥(23)에서 쌀들의 내부에 위치되어 용수의 공급이 쌀들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됨에 따라, 쌀의 세척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That is, as the inlet and outlet openings of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re located inside the rice in the inner pot 23 so that the supply of water is made inside the rice,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rice can be performed stably.

한편, 상기 입출수관(4)의 입출개구에는, 용수는 통과하되 쌀은 통과하지 못하는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입출캡(41)이 구비되어, 상기 내솥에 충진되는 쌀이 상기 입출수관(4)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water pipe (4), a plurality of through-holes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water passes but not rice is provided with an entry/exit cap 41, so that the rice filled in the inner pot is transferred to the entry/exit pipe ( 4) to prevent backflow.

상기에서 입출캡(41)은, 다공성 '스테인레스 망'이 다층으로 권취되어 사익 통공들이 서로 겹치면서 용수는 통과하되 쌀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entry/exit cap 4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orous 'stainless mesh' is wound in multiple layers so that water passes but rice does not pass while the wing holes overlap each other, and it is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desirable.

상기에서 입출캡(41)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통공들은, 중심부에 대햐여 교차하는 엇각의 경사통로(42)들을 형성하여 상기 입출캡(41)을 통해 상기 용수가 공급될 때, 와류형상으로 유도되면서 공급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경사통로(42)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ntry/exit cap 41 form angled passages 42 that intersect with respect to the center to form a vortex shape when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entry/exit cap 41. As can be supplied while being, the inclined passages 42, it is preferable to be suitab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은,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상기 내솥(23)에 충수된 용수를 상기 입출수관(4)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수단(6);을 더 가진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23) is drained to the outside via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It further has a drainage means (6);

즉,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배수수단(6)이 구동되어 상기 내솥(23)에서 쌀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상기 입출수관(4)을 통해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e drain means (6) is driven to forcibly suck in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rice in the inner pot (23) through the inlet and out water pipe (4) and drain it to the outside. .

상기에서 배수수단(6)은, 상기 입출수관(4)과 연결접속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된 유입관로(61)와;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유입관로(61)에 대하여 강제흡입력을 형성하여 상기 입출수관(4)으 입출개구에 대한 강제흡입력을 형성하여 세척수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도록 된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펌프(62)에서 펌프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관로(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drain means (6) includes: an inlet pipe (61)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t is selectively driven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and forms a forced suction force for the inlet pipe (61) to form a forced suction force for the inlet and outlet openings of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to forcibly suck the washing water a drain pump 62; It may include a;

즉,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배수펌프(62)가 구동되어 상기 유입관로(61)와 연결된 상기 입출수관(4)에 강합흡입력이 형성되어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세척수가 흡입된 후, 상기 배수관로(6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data (program)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e drain pump 62 is driven to form a strong suction force in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connected to the inlet pipe 61, so that the inner pot 23 After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 is sucked, it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63).

이때, 상기 내솥(23)에서 상기 세척수와 함께 수용된 쌀은, 상기 입출캡(41)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됨에 따라, 안정성이 확보된다.At this time, the ric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inner pot 23 is blocked by the entrance and exit cap 41 so as no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ensuring stability.

상기에서 입출수관(4)에는,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유입관로(61)와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밸브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내솥(23)에서 세척수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is provided with a valve means that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3) to selective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with the inlet pipe (61), and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Accordingly,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washing water from the inner pot 23 .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은,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 및 상기 유입관로(61)를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 및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유입관로(61)에 대한 각각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수행하도록 된 전환밸브(33)이 구비될 수 있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spatially connects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the supply pipe 53 and the inflow pipe 61 to each other, and the control means 3 is controlled. a selector valve 33 that is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 may be provided.

즉,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의 공간적 개폐를 수행하도록 된 밸브수단 및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유입관로(61)의 공간적 개폐를 수행하도록 된 밸브수단이 상기 전환밸브(33)로 이루어져, 통합적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valve means configured to spatially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nd the supply pipe 53 and the valve means to spatially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nd the inlet pipe 61 are the switching It is made of the valve 33, which can be implemented to implement integrated control, and is preferably applied to each suitab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은, 상기 밥솥본체(2)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23)의 바닥면과의 갼격을 가지면서 상기 내솥(23)에 충수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으로 수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수위감지수단(7);을 가진다.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2) while having a gap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23) and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23). and a water level detecting means (7) configured to sense the water level and apply water level data to the control means (3).

즉, 상기 수위감지수단(7)를 통해 상기 내솥(23)에 충수되는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되어, 상기 용수공급수단(5)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23 is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7 ,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5 can be selectively adjusted.

이에 따라, 상기 내솥(23)에 대한 용수의 과도한 공급을 전기적으로 제한하도록 되어 조리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inner pot 23 is electrically restricted to ensure the safety of cooking quality.

이때, 상기 수위감지수단(7)의 수위감지위치는,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쌀의 량에 따라 선택된 공급되는 용수의 수위로 이루어져, 상기 내솥(23)에 적정량의 용수가 공급되도록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level sensing posi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7 is composed of a water level to be supplied sel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contained in the inner pot 23,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pot 23. have

상기에서 수위감지수단(7)의 수위감지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쌀의 량(조리용량)에 따라 적합한 양의 용수를 공급하도록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water level sensing posi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7 is formed to be selectively adjustable by the user,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cooking capacity)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3. have.

상기에서 수위감지수단(7)은, 내부에 상기 입출수관(4)이 관통하면서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덮개(24)에서 그 위치가 확정되도록 배치고정되고 하단이 상단에 대한 간격이 조절되도록 신축되는 신축관(71)과; 상기 신축관의 일위치(하단)에 고정되는 수위센서(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7 is accommod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the upper end is arranged and fixed so that its position is fixed in the cover 24, and the lower end is stretched and contract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upper end is adjusted an expansion tube 71; It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72 fixed to one position (lower end) of the expansion tube.

즉, 사용자가 상기 신축관(71)의 신축정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상기 내솥(23)에서의 조리되는 쌀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적합한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degre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xpansion tube 71 to adjust the water level suitable for the type and amount of rice cooked in the inner pot 23 .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신축관(71)의 신축조절에 따라 상기 내솥23)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기 상기 수위센서(72)를 통해 상기 내솥(23)에 충수되는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되어, 상기 입출수관(4)을 통해 급수되는 용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23 is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72 whose position in the inner pot 23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trol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ube 71 by the user. , the supply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is selectively controlled.

이에 따라, 상기 내솥(23)에 대한 용수의 과도한 공급을 전기적으로 제한하도록 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inner pot 23 is electrically limit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the effect of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de in this way as follows.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조리 밥솥(1)을 통해 밥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내솥(23)에 조리하고자 하는 쌀을 적정량으로 투입한 후, 상기 내솥(23)을 상기 외솥(22)의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하고, 상기 내솥(23)에 수용된 쌀의 종류 및 투입량에 따른 잔존용수의 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신축관(71)의 신축정도를 조절하여 신축하여 상기 수위센서(72)의 적정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한다.When you want to cook rice through the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 an appropriate amount of rice to be cooked is put into the inner pot 23, and then the inner pot 23 is placed in the outer pot 22 ), the water level sensor 72 by adjusting the degre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xpansion tube 71 to fit the amount of remaining water according to the type and input amount of rice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3. Adjust the proper posi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쌀이 수용된 상기 내솥(23)이 상기 외솥(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관(71)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덮개(24)을 통해 상기 내솥(23) 및 상기 외솥(22)을 폐쇄하여 밀폐시킨다.When the adjustment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ube 71 is comple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23 in which the rice is accommodated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22, the inner pot 23 and the outer pot through the cover 24 ( 22) is closed and sealed.

이때, 상기 입출수관(4)의 입출개구에 구비되는 상기 입출캡(41)이 상기 내솥(23)에서 쌀들의 내부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input/exit cap 41 provided at the entry/exit opening of the entry/exit water pipe 4 is located inside the rice in the inner pot 23 .

이와 같이 상기 덮개(24)를 통해 상기 내솥(23) 및 상기 외솥(22)을 폐쇄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조작스위치(31)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면, 투입되는 쌀의 양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의 연산조건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수단(5)을 통한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As such, when the inner pot 23 and the outer pot 22 are closed through the cover 24, when the operation switch 31 is selectively operated by the user,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put rice (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conditions of the data set in 3),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5).

이때,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환밸브(33)이 제어조절되어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유입관로(61)는 폐쇄되고,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펌프(52)의 펌프에 따라, 강한 이송압력을 가지는 용수가 상기 내솥(23)의 조리공간으로 용수가 고압분사되면서 쌀이 세척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e switching valve (33) is controlled and adjusted so that the inlet/outlet pipe (4) and the inlet pipe line (61) are closed, and the input/exit water pipe (4) and the supply pipe The furnace 53 is opened, and according to the pump of the supply pump 52 , water having a strong conveying pressure is sprayed into the cooking space of the inner pot 23 at high pressure to wash the rice.

상기와 같이 쌀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세척되는 중에, 상기 내솥(23)의 수위가 용수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라 점차 올라가며, 상기 수위센서(72)가 상기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52)의 구동이 중지굄과 아울러, 상기 전환밸브(33)가 제어되어 상기 입출수관(4)으로의 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rice is being washed with water sprayed under high pressure,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pot 23 gradually rise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supply of water, and when the water level sensor 72 detects the water level, the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3), the driving of the supply pump (52) is stopped and the switching valve (33) is controlled to stop the supply of water to the inlet/outlet pipe (4).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환밸브(33)가 제어되어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는 폐쇄되고,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유입관로(61)가 개방되며, 상기 배수펌프(62)의 펌프에 따라, 상기 입출수관(4)의 입출개구에 강합흡입력이 형성되면서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e switching valve (33) is controlled to close the inlet/outlet pipe (4) and the supply pipe line (53), and the inlet/outlet pipe (4) and the inlet pipe line 61 is opened, and according to the pump of the drain pump 62, a strong suction force is formed at the inlet/outlet opening of the inlet/outlet pipe 4, and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배수펌프(62)는,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어, 설정된 시간동안 배수작업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drain pump 62 is driven for a set time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and the drain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set time.

한편,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52)와 상기 배수펌프(62) 및 상기 전환밸브(33)의 선택적 제어를 통해, 상기 내솥(23)으로의 용수의 투입 및 세척수의 배수를 순차적이면서 설정된 횟 수의 반복적 수행을 통해 쌀을 세척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through the selective control of the supply pump (52), the drain pump (62), and the switching valve (33), the input of water into the inner pot (23) and to be able to wash the rice through repeated execution of a set number of times while sequentially draining the washing water; It is preferable to be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즉, 쌀의 세척횟수는, 조리되는 쌀의 종류와 양에 따른 사용자의 상기 조작스위치(3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되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rice can be calculated and adjusted based on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3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31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rice being cooked, It is preferab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쌀의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환밸브(33)의 선택적 제어를 통해,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유입관로(61)는 폐쇄되고, 상기 입출수관(4)과 상기 공급관로(53)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펌프(52)의 펌프에 따라, 용수가 상기 내솥(23)의 조리공간으로 공급된다.When the washing operation of rice according to the data set in the control means (3) is completed by performing this process, through the selective control of the switching valve (33),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nd the inlet pipe (61) is closed, and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and the supply pipe 53 are opened, and according to the pump of the supply pump 52 , water is supplied to the cooking space of the inner pot 23 .

이때, 상기 수위센서(72)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까지 용수가 공급되면,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환밸브(33)가 제어되어 상기 입출수관(4)을 폐쇄하여 외부에 상기 내솥(23)에 대하여 외부와 공간적으로 폐쇄한다.At this time, when water is supplied up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72, the switching valve 33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3 to close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 4 to the outside. It is spatially closed with respect to the inner pot (23).

상기와 같이 상기 내솥(23)의 조리공간이 폐쇄되면서,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21)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열이 발생하여 상기 내솥(23)의 조리공간을 가열하면서 밥이 조리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cooking space of the inner pot 23 is closed,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21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3 , and heat is generated to cook the inner pot 23 . The rice is cooked while heating the space.

그리고, 밥의 조리가 상기 제어수단(3)의 설정된 데이터에 따은 시간동안 이루어져 완료되면 상기 전기히터(21)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밥의 조리가 완료된다.Then, when the cooking of the rice is completed for a time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control means 3 , when the supply of power to the electric heater 21 is stopped, the cooking of the rice is complet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recit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밥솥 2 : 밥솥본체
21 : 전기히터 22 : 외솥
23 : 내솥 24 : 덮개
3 : 제어수단 31 : 조작스위치
32 ; 전원공급부 33 : 전환밸브
4 : 입출수관 41 : 입출캡
42 : 경사통로 5 : 용수공급수단
51 : 입수관로 52 : 공급펌프
53 : 공급관로 6 : 배수수단
61 : 유입관로 62 : 배수펌프
63 : 배수관로 7 : 수위감지수단
71 : 신축관 72 : 수위센서
1: rice cooker 2: rice cooker body
21: electric heater 22: outer pot
23: inner pot 24: cover
3: control means 31: operation switch
32 ; Power supply 33: switching valve
4: entrance and exit pipe 41: entrance and exit cap
42: inclined passage 5: water supply means
51: intake pipe 52: supply pump
53: supply line 6: drainage means
61: inlet pipe 62: drain pump
63: drain line 7: water level sensing means
71: expansion tube 72: water level sensor

Claims (1)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기히터의 열을 조리공간으로 인가하도록 된 외솥과 상기 외솥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덮개를 가지는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의 외솥에 수용되면서 배치되며 내부에 쌀과 용수가 수용되는 밥의 조리공간을 가지는 내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조리 밥솥에 있어서;
상기 밥솥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바닥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근접되는 입출개구가 구비된 입출수관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입출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된 용수공급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내솥에 충수된 용수를 상기 입출수관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수단과;
상기 밥솥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바닥면과의 갼격을 가지면서 상기 내솥에 충수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수위데이터를 인가하도록 된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 밥솥.
A rice cooker main body having an outer pot that receives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a control mean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pplies the heat of the electric heater that generates heat to the cooking space, and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er pot with respect to the outside; In an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comprising; an inner pot dispos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uter pot of the rice cooker body and having a cooking space for rice in which rice and water are accommodated;
an inlet and outlet water pipe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exit opening that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exit opening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while having a gap;
water supply mean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inlet and outlet water pipes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 draining means configured to drain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outlet pip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and apply water level data to the control means while having a gap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KR1020210001226A 2021-01-06 2021-01-06 Rice cooker KR20220099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26A KR20220099236A (en) 2021-01-06 2021-01-06 Ric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26A KR20220099236A (en) 2021-01-06 2021-01-06 Rice coo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36A true KR20220099236A (en) 2022-07-13

Family

ID=8240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26A KR20220099236A (en) 2021-01-06 2021-01-06 Rice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23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405A (en)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Injecting washer liquid of rear wash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405A (en)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Injecting washer liquid of rear wash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637B2 (en) Cooking machine
US20050223504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90522A1 (en) Rice cooker
EP1655408A1 (en) Washing machine
US4004600A (en) Dishwasher with special low washing liquid usage cycle
US2009023595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washer
KR20080087597A (en) Washing machine
CN107374333A (en) Cooking electric cooker
BR102014002217B1 (en) Control method of a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KR100994458B1 (en) Automatic rice cooker
BR10201400221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101448632B1 (en) Laundry Machine Having a Steam Generator
US9060664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99236A (en) Rice cooker
KR102230162B1 (en) Rice cooker
US4321809A (en) Washing machine
KR102492109B1 (en) A automatic cooking rice cooker
JP2004041286A (en) Electric rice-cake maker
KR20170002105U (en) Warm water supply device for warm water circulation mat
EP2757189B1 (en) Laundry appliance
KR20030043130A (en) Auto pressure-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0754919A (en) Electric cooker and cooking method thereof
KR20040054628A (en) Automatic rice cooking machine
KR100531758B1 (en) A self-cleaning of cooker
KR101880186B1 (en) Cooker system having steam cha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