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813A - 근막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근막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813A
KR20220098813A KR1020227022383A KR20227022383A KR20220098813A KR 20220098813 A KR20220098813 A KR 20220098813A KR 1020227022383 A KR1020227022383 A KR 1020227022383A KR 20227022383 A KR20227022383 A KR 20227022383A KR 20220098813 A KR20220098813 A KR 2022009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ture
guide
cavity
por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니 에이. 셔윈터
Original Assignee
브레인차일드 서지컬 디바이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인차일드 서지컬 디바이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브레인차일드 서지컬 디바이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9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46Type of implements
    • A61B2017/00663Type of implements the implement being a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29Material properties isolating electrical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절차의 맥락에서, 구멍 또는 다른 결함을 폐쇄하기 위한 시스템들과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봉합 장치와 사용 방법은 상기 장치를 구멍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구멍 둘레의 재료를 상기 장치의 노치 내부에 배치하며, 바늘을 상기 장치 내의 캐비티와 상기 노치 내에 위치한 재료를 관통시키고, 봉합사를 바늘의 눈을 통과시키며, 상기 봉합사에 의해 상기 재료로부터 바늘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봉합사는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봉합사의 또 다른 단부에 의해 상기 구멍 둘레의 상기 재료를 관통하는 또 다른 위치에서 상기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봉합사가 제2 관통 지점을 관통한 때, 상기 봉합사는 구멍 둘레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상기 재료의 내부와 외부에서 연장되어 묶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구멍을 폐쇄한다.

Description

근막 폐쇄 장치{FASCIAL CLOSURE DEVICE}
몇몇 실시예들은 수술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절차 중에, 근막 봉합(fascial suturing)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준 수술 실수에서, 그리고, 특히 최소 침습 수술 절차들에서, 절개부(incision)(때때로 "결함(defect)"으로 불림)는 피부, 피하 지방, 근막, 및 근육 조직 내에 만들어진다. 표준 수술 기술을 사용하여, 기구들이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결함을 통해 도입된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절차에서, 결함은 투관침(trocar)의 삽입을 위한 포트(por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유체의 배출과 복강경의 수동식 기구, 카메라, 등의 도입을 포함하는 다양한 절차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이 장소에서 탈출증(herniation)과 다른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절차의 마무리에서 대개 봉합사에 의해 폐쇄되어야 한다.
일부 종래의 기술들은 조직 결함들을 폐쇄하기 위해(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및/또는 오직 그 일 측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구멍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몇몇 종래 기술들은 휘어진 바늘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기술들은 (예를 들어, 카메라의 유도하에) 근막을 관통하여 봉합사를 배치하고 그 다음에 공동(cavity) 내부의 공기 내에 자유롭게 연장된 봉합사를 파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는 심지어 경력자에게도 극히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종종 각각의 절차를 위한 비싼 전문 장비에 의존하며, 이는. 병원과 수술 센터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전문 도구들에도 불구하고, 외과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여전히 오로지 공동을 통해 및/또는 카메라를 보면서 그들의 방식을 느끼는데 의존하여야 하며, 이와 동시에, 창자, 혈관, 또는 다른 복강 내 기관들에 부상을 입히는 위험을 무릅쓴다. 기구들의 위치결정 및/또는 사용에서 작은 실수는 패혈증, 출혈, 및 심지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의 방법들은 번거로우며, 의사가 기술들에 능숙하게 되도록 하는 상당한 학습 곡선을 요구한다.
특히,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절차들의 맥락에서, 근막 결함을 폐쇄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복강 내 내용물의 부상을 피하면서 적절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해 직접 봉합을 위한 폐쇄 가이드를 가진 새로운 근막 폐쇄 장치(fascial closure device)가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조직 결함을 봉합하기 위해, 또는, 오직 그 일측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멍 또는 포털(portal)을 봉합하고 폐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봉합 장치와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근막 폐쇄 장치의 구조는 상기 장치가 쉽고 정확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막 폐쇄 장치의 실시예들은 삽입된 바늘을 위한 폐쇄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는 바늘의 날카로운 팁(tip)이 복강(abdominal cavity) 내에 자유롭게 놓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특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은 비스듬한 각도를 따라서 결함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한 과도한 힘 없이도 상기 장치가 조직, 지방, 및 근막 층들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적절한 폐쇄를 위해 층들의 파지를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공동-내부에서 바늘 눈(needle eye)에 봉합사를 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 내의 수술 바늘의 적절한 회전 방향을 보장할 수 있는 바늘 가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매번 근막 폐쇄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단일의 결함 내에 다수의 봉합사들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근막 폐쇄 장치를 결함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도 봉합사가 근막 폐쇄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봉합사 방출 장치(suture releasem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합 장치의 측면도의 절개도를 보여주며;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내부에 삽입된 바늘과 봉합사를 가진 봉합 장치의 절개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저면도를 보여주며;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보여주며;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며;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내부에 삽입된 바늘과 봉합사를 가진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0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2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 내부에 삽입된 바늘을 가진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5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6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조직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17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바늘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18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단열재 내에 둘러싸인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9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에 의해 구멍을 봉합하는 방법의 높은 수준의 흐름도를 보여주며;
도 20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측면도와 조직 결함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22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와 바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방출 구조물을 가진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기구 캐비티를 가진 봉합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25a와 25b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에 의해 구멍을 봉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주며;
도 26a 내지 26i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도 25에 도시된 방법을 일련의 도면들로 보여준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유형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구별하는 제2 라벨이 뒤따르는 참조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오직 제1 참조 라벨만 사용되는 경우, 그 설명은 제2 참조 라벨에 관계없이 동일한 제1 참조 라벨을 가진 유사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것에든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안전하고, 저 비용의, 사용하기 쉬운 봉합 장치(suturing device)(여기서 봉합 장치, 봉합 키트, 근막 폐쇄 장치, 등으로 지칭됨)와 이의 사용을 위한 기술을 포함한다. 상기 봉합 장치와 방법은 조직 결함들(tissue defects)을 봉함하기 위해, 또는 오직 일측에서만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멍 또는 포털(portal)을 봉합하고 폐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의 구조는 상기 장치가 쉽고 정확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합 장치의 실시예들은 삽입된 바늘을 위한 폐쇄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는 바늘의 날카로운 팁(tip)이 복강(abdominal cavity) 내에 자유롭게 놓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도면들의 설명과 관련하여 검토된 때 명확하게 될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상세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상세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몇몇의 예들에서, 본 발명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을 피하기 위해 회로, 구조, 및 기술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의 봉합 장치(suturing device)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봉합 장치는, 제1 단부에 베이스(10)와 반대쪽의 제2 단부에 정점(apex)(20)을 가진 타원형 원뿔체(80)이다. 도 1은 타원형 원뿔체의 측면(86)을 보여준다. "타원형 원뿔체(elliptical cone)"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그 부분을 절취한 노치를 가진 기하학적 원뿔체로서 정의된다. 타원형 원뿔체는 베이스가 타원형의 형상이 되도록 하나의 치수에서 세장될 수 있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세장형 부재(elongated memb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타원형 원뿔체(80)의 전면(front side)(82)(전면(82)은 손잡이에 인접한 측면(84) 반대쪽이다)을 노치(notch)(40)가 절취하며, 상기 노치(40)는 인접한 양측면들(86)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타원형 원뿔체의 베이스(10)와 정점(20)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절취한다(cut into)"라는 용어는 "미리 형성된다(preformed)" 또는 "설명된 수학적으로 정의된 구조로부터 제거된다"로서 정의되며, 설명된 구조로부터 부족한 장치의 부분을 정의한다. 그 구성은 제조된 후 구조로부터 실제로 "절단(cut)"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형상을 절취한 것으로서 설명된 부분의 부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노치(40)는 이 실시예에서 전면(82)을 절취하지만, 상기 노치(40)는 타원형 원뿔체(80)의 임의의 측면을 절취할 수 있으며 여전히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노치는 베이스(10)와 노치(40) 사이의 타원형 원뿔체의 영역을 한정하는 상면(42)을 가진다. 상기 노치는 정점(20)과 노치(40) 사이의 타원형 원뿔체의 영역을 한정하는 바닥면(46)을 가진다. 상기 노치의 후면(back surface)(44)은 노치의 뒷면을 형성하며,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원뿔 영역의 노치 반대쪽의 인접한 측면(8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정점(20), (배면(84)에 의해 둘러싸인) 베이스(10), 및 상기 노치의 후면(44) 사이에 연속적인 평면 또는 표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46)은 후면(44) 및/또는 인접한 측면(84)에 대하여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봉합되는 구멍으로부터 상기 장치의 쉬운 제거를 돕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합 장치의 절개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와 8을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타원형 원뿔체(80)의 몸체 내부에 바늘 안내 캐비티(needle guide cavity)(24)와 봉합사 안내 캐비티(34)가 연장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타원형 원뿔체(80)의 베이스(10)에 있는 바늘 안내 포털(needle guide portal)(22)로부터 직선 경로로 연장되어 타원형 원뿔체(80)의 몸체를 관통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노치(40)에 의해 중단되며, 그 후에 노치(40)의 바닥면(46)에 위치한 제2 바늘 안내 포털(25)을 계속 관통하고, 정점(20)을 향해 원뿔체(80)를 계속 관통한다.
출구 포털(exit portal)(26)은 노치(40)와 원뿔체(80)의 정점(20) 사이의 타원형 원뿔체의 전면(82)에 위치한다. 상기 출구 포털(26)은 정점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측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출구 포털(26)은 제2 바늘 안내 포털(25)과 바늘 안내 캐비티의 종료 지점 사이의 지점에서 바늘 안내 캐비티(24)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정점(20) 이전의 지점에서 종료된다.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는 타원형 원뿔체의 베이스(10)에 위치한 봉합사 안내 포털(32)과, 노치(40)와 타원형 원뿔체(80)의 출구 포털(26) 사이에 위치한 지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봉합사 안내 포털(32)은, 실질적으로 베이스(1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봉합 장치의 정점(20)보다 베이스(10)에 더 가깝게 위치한 것으로 정의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봉합사 안내 포털(32)은 봉합 장치의 베이스(10)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는 휘어지며, 노치(40)의 바닥면과 출구 포털(26) 사이의 지점에서 바늘 안내 캐비티(24)와 연결된다.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는 바늘 안내 캐비티(24)를 통해 출구 포털(26)과 연결되어 출구 포털(26)과 단일의 캐비티를 형성한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각각 내부에 삽입된 바늘(60)과 봉합사(70)를 가진 봉합 장치의 절개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각각 내부에 삽입된 바늘과 봉합사를 가진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3과 9를 동시에 참조하면,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바늘이 바늘 안내 캐비티(22) 내부에 삽입되어 노치(40)를 지나서 적어도 출구 포털(26)에 도달한 때, 바늘(60)의 눈(62)은 출구 포털(26)과 정렬된다. 상기 바늘(60)은 눈(62)을 가지며 바늘 안내 캐비티(24)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거나 가질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바늘의 팁(tip)이 바늘 안내 캐비티(24)의 바닥과 접촉되도록 바늘(60)이 바늘 안내 캐비티(24) 내에 완전히 삽입된 때, 상기 눈(62)은 출구 포털(26)과 정렬된다. 바늘(60)이 바늘 안내 포털(22)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노치(40)를 통과한 때, 상기 바늘(60)은 노치(40) 내에서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 및/또는 바늘 안내 포털(22)은 타원 또는 장방형(oblong)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늘이 캐비티 내에 삽입된 때, 바늘(60)의 눈(62)이 출구 포털(26)과 마주보도록, 바늘(60)이 배향되도록 강요한다.
"봉합사(suture)"라는 용어는 여기서 가늘고 길며, 유연한 줄, 실, 힘줄, 가닥, 등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봉합사(70)는 제1 단부(72)와 제2 단부(74)를 가지며, 봉합사 안내 포털(32)과 출구 포털(26) 사이의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다. 봉합사 안내 포털(32)을 통해 삽입할 때, 그리고 휘어진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를 통과하도록 밀릴 때, 상기 봉합사(70)의 제1 단부(72)는 출구 포털(26)과 정렬된 바늘(60)의 눈(62)을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90도로 출구 포털(26)을 통해 빠져나온다. "이중 봉합사(double suture)"도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X" 배치형태를 형성하는 중심 영역에서 연결되는 두 개의 가닥들(strands)을 가진다. 사용 방법은 이러한 봉합사의 네 개의 단부들 각각에 대해 반복되는 것 외에는 동일하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일체형 손잡이(unitary handle(50)의 바닥면은 상기 장치의 파지를 돕는 손가락의 배치를 위한 압입부(indentation)(54)를 가진다. 상기 타원형 원뿔체(80) 부분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며 가장 좁은 지점, 즉 상기 정점(20)에서 종료될 때까지 좁아진다. 상기 노치(40)는 베이스(10)와 원뿔체(80)의 정점(20) 사이에서 원뿔체(80)의 전면(82)을 절취한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보여준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바늘 안내 포털(22)과 봉합사 안내 포털(32)은 원뿔체(80)의 베이스(10)에 선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타원형이다. 세장형 손잡이는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위에서 논의된 바늘 안내 포털(22) 및 봉합사 안내 포털(32)과 동일한 라인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손잡이는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대신에, 손잡이 부분(50) 없이 상기 장치(80)의 세장형 부분이 사용된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준다. 도 10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6과 10을 동시에 참조하면, 세장형 손잡이에 인접한 타원형 원뿔체(80)의 배면(back side)(84)은 베이스(1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정점(20)에서 종료된다. 상기 손잡이는 타원형 원뿔체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예각 또는 90도의 각도(52)를 형성하면서 손잡이(50)의 끝(tip)까지 연장된다. 실시예들에서, 손가락 압입부(54)는 손잡이(50)의 끝과 손잡이(50)가 타원형 원뿔체(80)와 만나는 곳에 형성된 각도(5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노치(40)는 전면(82)과 세장형 손잡이에 인접한 배면(84) 사이의 타원형 원뿔체의 측면(86)을 부분적으로 절취한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7에서,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노치(40)는 타원형 원뿔체(80)를 절취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의 제2 바늘 안내 포털(25)은 상기 노치(40)를 형성하는 상기 장치의 바닥면(46)에 위치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출구 포털(26)은 상기 노치의 아래 지점에 그리고 바늘 안내 캐비티(24)의 종료 전에 위치한다. 개시된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와 바늘 안내 캐비티는 상기 캐비티들이 일부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한 서로에 대해 그리고 봉합 장치의 외부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material)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2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상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1과 12를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봉합 장치의 정점(20)은 재료(90) 내의 기존의 구멍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구멍을 둘러싸는 재료(90)가 노치(40) 내에 위치할 때까지 구멍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10), 세장형 손잡이(50), 및 타원형 원뿔체(80)의 상부는 재료 위에 보일 수 있도록 유지된다. 상기 노치(40)와 정점(20) 사이에 연장된 상기 원뿔체(80)의 바닥 부분은 재료의 아래에서 보일 수 있다.
도 1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재료 내부에 삽입된 바늘을 가진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바늘(60)은 도 12에서 베이스(10) 상에 보이는 바늘 안내 포털을 통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상기 바늘(60)은 바늘 안내 캐비티(24)를 통과하여 재료(90)를 관통하고 노치(40)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바늘(60)은 그 다음에 계속하여 제2 바늘 안내 포털(25)로 들어가고 노치(40) 아래의 바늘 안내 캐비티(24)의 부분으로 들어가며 출구 포털(26)과 정점(20) 사이의 지점까지 삽입된다(제2 바늘 안내 포털(25)과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둘 다 도 13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 바늘(60)은 재료(90) 아래의 노치(40) 내에서 보일 수 있다.
상기 재료(90)는 봉합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봉합 장치는 오직 일 측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9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봉합 장치는 기존의 구멍을 가지는 재료(9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 둘레의 재료(90)를 재봉/부착함으로써 상기 구멍을 재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폐쇄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재료(90)는 사람의 조직(예컨대, 사람의 피부 또는 근막), 직물, 합성재료, 금속(예컨대,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5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의 하부 및 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4와 15를 동시에 참조하면, 봉합 장치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는 균일한 하부(bottom portion)(181)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세장형 손잡이(150)는 개시된 기술의 봉합 장치의 타원형 원뿔체(180)의 상부의 베이스(110)와 연결된다. 상기 균일한 하부(181)는, 도 1-13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노치(40)가 상기 장치의 전면(82)에 위치한 지점 반대쪽의 상기 장치의 배면(184)에서 원뿔체 상부(180)와 연결된다. 상기 타원형 원뿔체 상부(180)는 상기 베이스(110)와 바닥면(참조번호 없음) 사이에 연장된다. 상기 하부(181)는 상기 하부(181)가 상부(180)와 연결되는 지점과 정점(120) 사이에 연장된다.
바늘 안내 포털(132)은 봉합 장치의 베이스(110)에 위치하고, 봉합사 안내 포털(122)은 실질적으로 봉합 장치의 베이스에 위치한다. 상기 봉합사 안내 포털은 베이스(110)에 위치하거나, 또는 봉합 장치의 정점(120)보다 베이스(11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출구 포털(125)과 제2 출구 포털(126)은 봉합 장치의 하부(181)의 전면(front side)(182)에 위치한다. 상기 타원형 원뿔체 상부(180)의 배면(back side)(184)은 세장형 손잡이(150)에 인접한다.
도 16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조직 내부에 삽입된 봉합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개시된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봉합 장치는 도 11-13의 재료(90) 내에 미리 존재하는 구멍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재료(90)는 본 실시예에서 포유류 또는 다른 생체 조직이다. 상기 장치의 정점(20)은 조직의 층들이 상기 장치의 노치(40) 내에 위치하도록 조직의 피하 지방(92), 근막(94) 및 근육(96) 층들을 통해 삽입된다. 노치(40)의 아래에서 정점(20)까지 연장된 상기 장치의 부분은 조직의 피하 지방(92), 근막(94), 및 근육(6) 층들 아래에서 보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노치(10)까지 연장된 손잡이(50)와 상부는 조직 위에서 보일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봉합 장치는 사람의 조직 내의 결함, 구체적으로, 오직 조직 결함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절차에서 만들어진 작은 절개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도 1-16 및 18의 봉합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바늘을 보여준다. 상기 바늘(60)은 날카로운 팁(64)과 눈(eye)(62)을 가진다. 상기 바늘(60)의 팁(64)은 도 10의 바늘 안내 포털(22)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도 3의 바늘 안내 캐비티(24)를 통과할 수 있다. 봉합사 안내 케비티(34) 내부에 삽입된 봉합사(70)는, 눈(62)이 출구 포털(26)과 정렬된 때, 도 3에서 삽입된 바늘(60)의 눈(62)을 통과한다. 상기 바늘(60)은, 실시예들에서, 타원형 입구의 타원형, 예컨대 바늘 안내 포털(22)의 타원형과 맞는 (더 납작한 및/또는 더 길쭉한 전면 및 후면과 더 좁은 좌측 및 우측면들을 가지는) 타원형 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눈(62)이 출구 포털(26)과 정렬되어 봉합사가 봉합사 포털, 바늘의 눈, 및 출구 포털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오직 두 개의 방향으로, 상기 바늘(60)이 포털로 들어가는 것을 보장한다.
도 18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단열재 내에 둘러싸인 봉합 장치의 하부 및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봉합 장치의 노치(40) 위의 타원형 원뿔체(80)의 적어도 부분은 단열재(188) 내에 둘러싸이며, 상기 단열재(188)는 발포체(foam)일 수 있다. 상기 단열재(188)는, 세장형 손잡이(50)가 타원형 원뿔체(80)와 연결되는 지점과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베이스(10) 아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장치의 타원형 원뿔체(80) 부분의 전면(82)을 둘러싼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단열재(188)는 추가적으로, 세장형 손잡이(50)가 타원형 원뿔체(80)와 만나는 곳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베이스(10) 아래의 지점으로부터 노치(40)와 출구 포털(26) 위의 지점까지, 전면(82)에 인접한 두 개의 측면들(86)을 둘러싼다. 상기 배면(84)은, 실질적으로 봉합 장치의 베이스(10) 아래에서 손잡이(50)가 타원형 원뿔체(80)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정점(20)이 있는 지점까지 단열재(188) 내에 둘러싸인다. 실시예들에서, 세장형 손잡이(50), 베이스(10), 출구 포털(26), 노치(40) 및 정점(20)은 보일 수 있도록 유지된다.
도 19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에 의해 구멍을 봉합하는 방법의 높은 수준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제1 단계(210)에서, 재료 내의 기존 구멍 내부에 상기 봉합 장치가 삽입된다. 그 다음에 단계(220)에서 상기 장치의 노치 내부에 상기 재료가 배치된다. 노치가 없는 실시예들에서, 바늘이 재료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재료는 단순히 바늘 캐비티 아래에 배치된다. 이는 바늘이 바늘 안내 포털 내부에 삽입되고 그 다음에 재료를 뚫고 들어가는 단계들(232와 234)에서 더 설명된다. (봉합 장치의 몸체를 절취한) 노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료는 노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바늘은 노치 내의 재료를 관통한다.
다음으로, 단계(236)에서, 상기 바늘의 눈이 봉합사의 출구 포털과 정렬된다. 봉합사, 또는 봉재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가늘고 긴 실이 예를 들어 상기 봉합 장치의 상부(베이스)에 위치한 또 다른 포털로 삽입되고, 바늘이 재료를 관통한 후 바늘의 눈의 위치 또는 바늘의 눈의 높이에 있는 출구 포털에 존재하는 캐비티를 통해 연장된다. 이는 봉합사를 봉합사 안내 포털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238)와 봉합사를 바늘 눈과 출구 포털을 통과하도록 미는 단계(242)에 의해 더 성취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244)에서, 바늘은 바늘의 눈을 통과한 봉합사와 함께 봉합 장치 밖으로 당겨진다. 상기 바늘과 봉합사는 재료를 관통하며, 이로써 (봉합 장치가 들어간 방향으로부터 반대쪽의) 재료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된 봉합사에 의해 제1 절반부의 바늘 땀(stitch)이 만들어진다. 이는 박스(230)의 재봉(sewing) 단계들의 제1 패스(pass)를 완성시킨다.
제1 패스 후에, 바늘 땀을 완료하기 위해 또 다른 패스(pass)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단계(250)에서, 또 다른 패스가 필요하면 "예(yes)"가 결정된다. 그러면, 단계(260)가 수행되며, 상기 봉합 장치는 상기 재료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직교하여) 회전된다. 그 다음에, 봉합사의 제2 단부가 삽입되고 박스(230) 내의 봉재 단계들이 반복된다. 이러한 제2 패스가 완료된 후에, 봉합사는 이제 두 개의 이격된 위치들에서 재료를 관통하며, 봉합사의 단부들 둘 다 봉합 장치가 삽입된 방향을 향해 (예컨대 봉합된 환자의 신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더 많은 패스들이 사용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판단 박스(250) 후에, 단계(270)가 수행되며, 봉합사의 단부들은 예를 들어 묶기(tying)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이 방법에서 바늘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는 봉합 장치의 포털은 길쭉할 수 있으며, 이는 유사한 형상의 바늘이, 오직 바늘의 눈이 봉합사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 방법은 도 1-10에 도시된 장치와 도 11-12에 도시된 재료 내부에 삽입된 장치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방법의 실시예들의 단계(210)에서, 상기 봉합 장치는 도 11-13에 도시된 재료(90) 또는 도 16에 도시된 조직과 같은 재료 내의 기존 구멍 내부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봉합 장치의 정점(20)을 구멍 내부에 먼저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삽입에 뒤따라, 단계(220)에서, 상기 재료(90)는 봉합 장치의 노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노치는,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정점(20) 사이의 봉합 장치의 일 측면을 절취한다.
일련의 봉합 단계들(230)에서, 구멍은 상기 장치와 바늘(60)에 의해 봉합된다. 봉합의 제1 단계에서, 즉, 단계(232)에서, 상기 바늘(60)은 바늘 안내 포털(22)과 바늘 안내 캐비티(24) 내부에 삽입된다. (바늘은 단계들(210 및 220) 전에 바늘 안내 포털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계(234)에서, 바늘(60)을 바늘 안내 포털(22) 내부에 삽입한 후에, 바늘은 노치 내의 재료(90)를 관통한다. 이는 도 11과 13에서 볼 수 있으며, 도 11은 바늘 이전에 재료 내부에 삽입된 장치를 보여주고, 도 13은 재료를 관통한 바늘을 보여준다. 상기 바늘은 바늘 안내 포털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멍과 재료를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각도로 재료를 관통할 수 있다. 단계(236)에서, 다음으로 상기 바늘은 노치 아래의 바늘 안내 캐비티(24)를 통과하며, 바늘의 눈(62)은 도 13에 도시된 출구 포털(26)과 같이 상기 장치의 노치와 정점 사이에 위치한 출구 포털과 정렬된다.
계속 본 방법을 설명하면, 단계(238)에서, 봉합사의 제1 단부(72)는 실질적으로 봉합 장치의 베이스(20)에 배치된 봉합사 안내 포털을 통해 삽입된다. 그 다음에 봉합사는 봉합사 안내 캐비티, 예컨대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를 통과하며, 단계(242)에서 바늘의 눈(62)과 출구 포털(26)을 통과하도록 밀려서, 출구 포털을 통해 빠져나온다. 상기 봉합사(70)의 단부(72)(또는 제2 패스에서 74)가 빠져나오는 각도는 봉합사가 봉합사 안내 포털(32)을 통해 들어가는 각도로부터 90도일 수 있다. 단계(244)에서, 상기 바늘(60)은 봉합사와 함께 봉합 장치의 바늘 안내 포털(2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된다. 이 단계에서, 봉합사(70)는 여전히 바늘의 눈을 통과한 상태로 바늘이 관통한 지점에서 재료를 뒤로 관통하며, 그것을 통해 봉합사를 당긴다.
일련의 단계들(230)의 완료에 뒤따라, 단계(250)에서, 바늘과 봉합사의 또 다른 패스(pass)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늘과 봉합사의 또 다른 패스가 재료를 관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단계(260)에서, 상기 봉합 장치는 구멍에 대하여 재료에 대해 횡방향으로 (예컨대, 대략 180도) 회전됨으로써, 재료를 관통하는 제2 지점에서 바늘의 또 다른 삽입이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일련의 단계들(230)이 사용된 동일한 봉합사의 제2 단부에 의해, 또는 추가 봉합사에 의해 재료의 제2 위치에서 반복된다. 단계(250)에서 추가적인 패스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봉합 장치는 구멍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봉합사가 관통의 제2 지점을 통과한 때, 봉합사는 구멍 둘레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재료의 내부로 그리고 밖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법의 단계(270)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1-13 및 16을 고려하여 도 19에 대해 논의하면, 기존 구멍은 조직 결함(tissue defect)일 수 있으며, 상기 구멍 둘레의 재료는 신체 조직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봉합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210) 전에 추가적으로 조직 결함으로부터 투관침(trocar)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봉합 장치를 기존 구멍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210)는 상기 장치를 회전시키고 조작하면서 노치 내에 배치되는 조직의 양을 최대화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와 함께 바늘을 바늘 안내 포털 밖으로 당기는 단계(244)는 바늘을 봉합 장치로부터 완전히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봉합 장치를 회전시키는 단계(260)는 상기 장치를 실질적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봉합 장치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를 실질적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은 조직 결함이 늘어나게 함으로써,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서, 대응되는 원형 장치에 의해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1 및 제2 관통 지점들이 더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봉합사의 단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270)는 먼저 구멍으로부터 봉합 장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봉합사들의 각각의 단부가, 바늘을 삽입하는 각각의 단계(232)와 재료를 관통하는 각각의 단계(234) 후에, 봉합사 안내 포털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봉합사는 제2 봉합사를 통해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봉합 장치(2000)를 보여준다. 상기 봉합 장치(2000)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서술된 장치들의 실행예일 수 있으며 및/또는 위에서 서술된 방법들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손잡이 구조물(2010)과 안내 구조물(2020)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구조물(2010)은 제1 결합 영역(coupling region)(2012)과 손잡이 영역(2015) 사이에서 주로 제1 벡터(vector)(2015)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 구조물(2020)은 제2 결합 영역(2022)과 신연 영역(distraction region)(22) 사이에서 주로 제2 벡터(2025)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영역(2022)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1 결합 영역(2012)과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손잡이 구조물(2010)과 안내 구조물(2020)은 분리될 수 있으며(예컨대, 키트(kit)로서 제공되며), 체결구를 사용하여 조립되거나, 함께 스냅 결합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2 결합 영역(2022)과 제1 결합 영역(2012)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결합 영역(2002)과 제1 결합 영역(2012)이 함께 결합되어 제조됨으로써(즉,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분리 가능한 조각들의 적극적인 결합 또는 단일의 일체형 부재의 두 개의 부분들의 물리적 배치를 묘사한다), 상기 손잡이 구조물(2010)과 안내 구조물(2020)은 일체형 구조물로서 형성된다(예컨대,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 공정의 부분으로서 조립된다). 상기 안내 구조물(2020)은 제2 결합 영역(2022)과 신연 영역(20245) 사이에 위치한 재료 포획 영역(material capture region)(20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2000)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봉합 장치(2000)는 도 20의 봉합 장치(200)의 실행예일 수 있다. 도 21은 또한 조직 결함 영역(2110)의 측면도와 다양한 기준 방향들과 각도들을 가리키는 가이드(2120)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 장치(2000)는 바늘 안내 캐비티(2030)와 봉합사 안내 캐비티(2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030)는 상기 손잡이 구조물(2010) 내의 바늘 안내 포털(2032)에서 시작하여 오직 부분적으로 상기 안내 구조물(2020)을 관통하고 상기 포획 영역(2026)에 의해 중단된 바늘 경로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2040)는 손잡이 구조물(2010) 내의 봉합사 안내 입력 포탈(2042)에서 시작하여 안내 구조물(2020) 내의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2044)에서 종료되는 봉합사 경로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1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손잡이 구조물과 안내 구조물은 예각 또는 대략 90도의 각도(즉, 'L' 형상)를 형성하도록 배향되지만, 다른 배치형태들도 가능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구조물(2010)과 안내 구조물(2020)의 몇몇 실시예들은 둔각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결합 영역(2022)은 제1 벡터(2015)와 제2 벡터(2025) 사이에 둔각(2056)을 형성하도록 제1 결합 영역(20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시험들은 둔각이 사용자의 더 적은 미는 노력에 의해 결함 둘레의 다수의 조직 층들의 신연(distraction)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2065) 내의 결함, 예컨대 복강경의 투관침의 제거로부터 유래된 조직 내의 구멍(2060)은 구멍(2060)을 관통하는 구멍 축(20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멍 축(2050)은 구멍에 인접한 재료(2065)의 내면(2067)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멍(2060)이라는 용어는 결함이라는 용어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구멍이라는 용어는 결함으로 생각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포괄하도록 넓게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복강경 시술 중 투관침에 의해 이미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결함은 투관침의 제거 후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되어 미리 열린 상처의 양측 에지들 사이에 직선의 결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구멍이라는 용어는 절개 및/또는 투관침의 제거에 의해 남은 직선 결함과 같은 임의의 개구, 중단, 등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봉합 장치(2000)의 손잡이 구조물(2010)이 상기 구멍(2060)을 둘러싸는 재료(2065)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홀딩될 때, 상기 안내 구조물(2020)은 상기 구멍 축(2050)으로부터 축에서 벗어나도록 배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벡터(2025)와 상기 구멍 축(2050)은 (예컨대, 20도와 70도 사이의) 예각(2054)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봉합 장치(2000)의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구멍 축(2050)과 제2 벡터(2025) 사이의 예각(2054)과 같이, 봉합 장치(2000), 인간 해부학 및 조직 결함과 연관된 구조물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들(예컨대, 각도, 방향, 배향, 등)을 언급한다. 여기서 개시된 관계들은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요소들의 다양한 측면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생명체에 대해 수행되는 수술 절차들에 관한 것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관계들에서의 변화는 본질적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며,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된 형태로 한정하기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아래의 교시 기술 및 관련 기술의 지식과 적합한 변형들과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포획 영역(2026)은 제1 벡터(2015)를 따라서 배향된 내부 포획 피처(feature)(2048)를 형성하는 노치 절취부(notch cut-out)(2046)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포획 피처(2048)는 손잡이 구조물(201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점에서, 구멍(2060) 외부에 위치하며 제1 벡터(2015)가 구멍 축(2050)에 실질적으로 직교(2056)하도록 배향된 손잡이 구조물(2010)에 의해 안내 구조물(220)이 구멍 내에 삽입된 때, 상기 내부 포획 피처(2048)는 상기 구멍(2060)의 내면(2067)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의 내면(2067)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상기 노치 절취부(2046)는, 내부 포획 피처(2048)가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 아래에 위치한 때,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외부 포획 피처(2052)를 형성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030)에 의해 형성된 바늘 경로는 제1 하위-경로(sub-path)(2034)와 제2 하위-경로(20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위-경로(2034)는 바늘 안내 포털(2032)에서 시작하여 외부 포획 피처(2052) 내의 개구(2064)에서 끝나며, 상기 제2 하위-경로(2036)는 내부 포획 피처(2048) 내의 개구(2066)에서 시작하여 신연 영역(2024) 내부에서 끝난다. 상기 제1 하위-경로(2034)는, 바늘 안내 캐비티(2030)가 포획 영역(2026)에 의해 중단되도록, 제2 하위-경로(2036)과 정렬된다.
도 22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2200)의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봉합 장치(2200)는 도 20과 21의 봉합 장치(2000)의 실행예일 수 있으며, 상기 봉합 장치(2200)의 측면들은 봉합 장치(2000)의 특징들(이 특징들의 일부는 과도하게 복잡한 도시를 피하기 위해 도 22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 장치(2200)는 바늘 경로를 따라 형상화된 바늘(2210)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바늘 캐비티(2030)에 의해 형성된 바늘 경로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경우에는, 상기 바늘(2210)도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바늘(2210)은 바늘 손잡이(2220), 바늘 눈(2230), 및 바늘 팁(2240)을 가진다. 상기 바늘(2210)은, 바늘이 바늘 안내 캐비티(2030) 내부에 삽입된 때, 바늘 손잡이가 바늘 안내 포털(2250)에 근접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바늘 눈(2230)이 재료 포획 영역(2026) 내부에 있고 바늘 팁(2240)이 신연 영역(2024) 내부에 있을 때, 바늘(2210)의 손잡이(2220)는 바늘 안내 포털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바늘 안내 포털(2250)은 바늘 배향 피처(needle orientation feature)(2252)를 가지며, 이는 바늘 눈(2230)을 봉합사 출구 포털(2044)과 회전식으로 정렬시키도록 바늘(2210)과 접속(interface)한다. 상기 바늘 배향 피처(2252)는 비대칭의 구조적 피처(asymmetric structural feature)(예컨대, D-형상의 프로파일, 별모양 프로파일과 같은 패턴화된 피처, 노치 등)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바늘(2210)의 대응되는 바늘 정렬 피처(2222)와 접속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바늘 정렬 피처(2222)는 오직 단일의 방향에서 손잡이(2000)에 위치한 바늘 배향 피처(2252)와 맞물린다. 이러한 단일 방향은 봉합사 출구 포털(2044)과 정렬된 바늘 눈(2230)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봉합 장치(2000)와 바늘(2210)은 키트(kit)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함께 또는 별도로 포장될 수 있으며 수술 패키지(예컨대, 살균된 및/또는 살균 가능한 블리스터(blister) 패키지, 몰딩된 일회용 패키지, 등) 내에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특징들은 상기 봉합 장치의 신규한 측면들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경로는 바늘 캐비티가 바늘 안내 포털(2032)과 제2 하위-경로(2036)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선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2220)와 바늘 정렬 피처(2222)는 일체형 구조로서 제조된다. 상기 바늘 손잡이(2220)는 외과 의사에게 봉합사를 봉합사 안내 입력 포털(2042) 내부로 조작하기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으로(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구조물(2010)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도 23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2300)의 전방 측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봉합 장치(2300)는 도 20-21에 도시된 봉합 장치(2300) 및/또는 도 22에 도시된 봉합 장치(220)의 실행예일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2300)의 측면들이 봉합 장치(2000)의 특징들(이 특징들 중 일부는 과도하게 복잡한 도시를 피하기 위해 도 23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상기 봉합 장치(2300)는 손잡이 구조물(2010)과 안내 구조물(2020)에 형성된 방출 하위구조물(release substructure)(2310)을 가진다. 상기 방출 하위구조물은 (예를 들어, 도 21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늘 안내 포털(2032)과 재료 포획 영역(2026) 사이에서 바늘 안내 캐비티(2030)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방출 하위구조물(2310)은 봉합사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 봉합사 통로(2312)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봉합사 통로(2312)의 대향하는 벽들은 접촉하고 있으며, 바늘 안내 캐비티(2030) 내부에 배치된 봉합사를 인장시킬 때, 봉합사는 봉합 장치(2000)로부터 방출되도록 봉합사 통로(2312)의 대향하는 측면들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2000)로부터 봉합사의 방출 후에, 봉합사는 봉합 장치로부터 자유로우며 구멍(2060)으로부터 봉합 장치(2300)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상기 구멍(160) 내의 결함을 폐쇄하기 위해 묶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 장치(2300)를 결함(2060)으로부터 제거함이 없이, 각각의 봉합 절차 사이에서 봉합 장치(2300)를 실질적으로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구멍 축(2050)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봉합 장치(2300)는 다수의 봉합사들을 배치하기 위해 (그리고 묶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4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에서, 봉합 장치(2400)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봉합 장치(2400)는 여기서 설명된 봉합 장치들의 다른 실시예들의 실행예일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2400)의 측면들은 봉합 장치(2000)의 특징들(이 특징들 중 일부는 과도하게 복잡한 도시를 피하기 위해, 도 23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상기 봉합 장치(2400)는 기구 안내 통로(instrument guide passage)(2410)를 가진다. 상기 기구 안내 통로(2410)는 기구 안내 포털(2412)로부터 신연 영역(2024) 내에 위치한 기구 출구 포털(2414)까지 연장된다. 상기 기구 안내 통로(2410)는 복강경 카메라(2440)와 같은 복강경 수술 기구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된다. 상기 기우 출구 포털(2414)은 신연 영역(2024) 내부에 위치한 기구 캐비티(2416)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기구 캐비티는 복강경 수술 기구를 돕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구 캐비티(2416)는, 신연 영역(2024) 내의 복강경 카메라(2440)의 뷰잉 단부(viewing end)와는 반대로 배향된 거울(241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울(2418)은, 복강경 카메라(2440)가 봉합사 출구 포털(2044)을 빠져나오는 봉합사를 상기 거울(2418)에 의해 볼 수 있도록 배향된다. 상기 기구 캐비티(2416)는, 복강경 카메라(2430)가 신연 영역 및/또는 재료 포획 영역 둘레의 영역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2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420)는, 구멍(2060)으로부터 신연 도구(distraction tool)의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연 영역(2024)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는, 상기 신연 영역의 표면이 구멍(2060)에 인접하여 배치된 재료(2065)에 걸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충분히 매끈하도록(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돌기들 또는 다른 피처들이 없도록), 형상화되거나, 결합되거나, 통합되거나, 및/또는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내면(2067) 아래의 영역을 보기 위해 다른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관통 위치,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2044), 봉합사(2060) 및/또는 이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뿐만 아니라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의 관통 위치 둘레에 위치한 다른 구조물들 또는 피처들(features)의 시각화를 허용하기 위해 반사, 굴절 또는 빛을 굴절시키는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위치로부터의 이미지를 굴절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 안내 캐비티(2416) 내에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구 캐비티(2416)는 억세스 도어(access door)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으며, 이는 기구 캐비티(2416)와 주위 환경 사이에 장벽 표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억세스 도어는 상기 내면 아래의 영역 내부로 또 다른 복강경 수술 기구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열릴 수 있다. 상기 복강경 수술 기구는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의 영역, 안내 구조물(2020),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2044), 및/또는 봉합 장치(2000)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이 영역 내의 피처들을 보기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구 캐비티(2416) 또는 억세스 도어는 복강경 기구를 배향시키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또한 주입 포트(insufflation port)(2430)를 가진 봉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주입 포트는 손잡이 영역(2014)에서 시작하며, 주입 캐비티(2432)를 따라서 안내 구조물(2020)에 위치한 주입 출구 포트(2434)까지 연장된다. 상기 주입 캐비티(2432)는 가스 공급원(예컨대, 가압된 이산화탄소)과 안내 구조물(20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체강(예컨대, 복강) 사이에 도관(conduit)을 제공한다. 가압된 가스는 복강을 팽창시키기 위해 봉합 장치(2400)를 통해 체강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주입 캐비티(2432)는 기구 안내 포털(2412)과 같은 다른 포트들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입 캐비티(2432)는 주입 포트(2430)와 기구 안내 캐비티(2410) 사이에 연장될 수 있으며, 가스는 안내 구조물(2020) 상의 출구까지 기구 캐비티(24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구 안내 포털은 가스가 이 위치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또는 어댑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봉합 장치(2400)는 손잡이(2010) 상의 위치와 안내 구조물(2020) 상의 위치 사이에 연장된 다수의 기구 안내 캐비티들(2410)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안내 통로들은 단일의 캐비티를 공유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및/또는 특정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이한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입 포트(2430)는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루어(luer) 타입 커넥터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구 안내 포털(2412)은, 기구 안내 포털(2412) 내부에 삽입된 복강경 수술 기구 둘레의 가스 또는 다른 유체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투히 보스터(Tuohy Borst) 또는 유사한 어댑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2400)의 다양한 구현 장치들은 오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구 안내 포털(들), 오직 하나의 주입 포트(2430), 기구 안내 포털(들)(2412) 및 주입 포트(2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봉합사가 배치될 위치의 피부와 피하 지방을 신연하여 근막 조직 포획을 최대화하고 피하 지방의 포획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2065)가 신체 조직일 때, 결함은 신체 조직으로부터 복강경 투관침의 제거로 인해 유발된 신체 조직 내의 구멍(2060)일 수 있다. 상기 구멍(2060)은 신체 조직의 다수의 층들(예컨대, 피부와 근막)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내면(2067)은 피부 아래의 근막 표면을 말하며, 이는 복강과 마주본다. 타원형 폐쇄 안내부는 일측면에 노치 절취부(2046)를 가지며, 상기 노치 절취부의 내부에 봉합될 근막 조직이 포획된다. 근막 폐쇄 장치는 두 개의 안내 구멍들을 가지며, 하나는 바늘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예컨대, 바늘 안내 포털(2032)), 하나는 봉합사 안내부(예컨대, 봉합사 안내 입력 포털(2042))이다. 상기 바늘 안내부는 최대 양의 조직을 포획하도록 (예컨대, 90도보다 큰 각도로) 배향될 수 있으며, 폐쇄 안내 장치의 팁에 있는 포켓(예컨대, 제2 하위 경로(2062))에서 뭉툭하게 끝날 수 있다. 이 포켓은 바늘이 복강 내에서 자유롭지 않도록 하여 복강 내부의 장기 또는 조직에 부상을 입힐 수 없도록 보장한다.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2040)는, 봉합사를 플라스틱 가이드를 통해 매끄럽게 안내하고 봉합사를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휘어진 채널을 가진다. 이는 봉합사를 복강 내부에 포획할 필요성이 없도록 한다. 상기 안내 구조물(2020)은 조직 조작을 강화시키고 조직 포획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잡이(2010)를 가진다.
봉합 장치(2000)에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봉합 장치92000)에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8에 관련하여 설명된 봉합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봉합 장치(2000)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어떤 특징들의 다양한 실행예들을 실례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세장형 손잡이(50)(예를 들어, 도 2)는 도 20에 도시된 손잡이 구조물(2010)과 같은 손잡이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베이스(10)와 세장형 손잡이(50)(예컨대, 도 3)는 주로 제1 벡터, 예컨대 제1 결합 영역과 손잡이 영역 사이에서 세장형 손잡이(50)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향된 벡터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상기 베이스(10)(예컨대, 도 3)는 도 20에 도시된 제1 결합 영역(2012)과 같은 제1 결합 영역의 실행예일 수 있으며, 상기 세장형 손잡이(50)는 도 20에 도시된 손잡이 영역(2014)의 실행예일 수 있다. 상기 타원형 원뿔체(80)는 주로 제2 결합 영역과 신연 영역 사이에서 제2 벡터를 따라서 연장된 안내 구조물, 예를 들어, 도 20의 실시예에 도시된 안내 구조물(2020)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벡터는 베이스(10)와 정점(20) 사이에서 연장되며, 베이스(10)는 이 실시예에서 제2 결합 영역의 실행예일 수 있고, 정점(20)은 신연 영역의 실행예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기 베이스(10)는 제1 결합 영역과 제2 결합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도 1-18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상기 노치(40)는 재료 포획 영역, 예를 들어, 재료 포획 영역(2026)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노치(40)(예컨대, 재료 포획 영역)는 제2 결합 영역(예컨대, 베이스(10))과 신연 영역(예컨대, 정점(20)) 사이에 위치한다. 도 1-1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바늘 안내 캐비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늘 안내 캐비티(24)를 포함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제1 결합 영역(예컨대, 베이스(10)) 내의 바늘 안내 포털(22) 내에서 시작하여 안내 구조물(예컨대, 타원형 원뿔체(80))을 오직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바늘 경로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4)는 포획 영역(예컨대, 노치(40))에 의해 중단된다. 도 1-1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봉합사 안내 캐비티(34)와 같은 봉합사 안내 캐비티를 포함한다. 상기 봉합사 안내 캐비티(34)는, 제1 결합 영역(예컨대, 베이스(40)) 내의 봉합사 안내 포털(34)과 같은 봉합사 안내 포털에서 시작하여 포획 영역(예컨대, 노치(40)) 내의 출구 포털(26)과 같은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에서 끝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포획 수단은, 구멍(2060)을 둘러싸는 재료(2065) 내의 다수의 관통 위치들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포획 수단을 수동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14 및 20은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가 포획 수단을 수동으로 배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이한 유형의 손잡이들과 다른 구조물들을 보여준다. 상기 손잡이들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지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수동 배향 기능을 돕기 위한 다른 구조 특징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 및/또는 다른 손의 해부학적 구조와 접속하는 인체 공학적 특징들, 고무를 입힌 그립(grip), 테이퍼링(tapering) 또는 라운딩(round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배향시키는 수단은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과 임의 적합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손잡이 구조물을 가지는 대신에, 봉합 장치의 안내 영역이 신장되거나 및/또는 포획 수단을 수동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예에서, 배향 수단은 여기서 봉합 장치들의 다양한 실행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다소의 다양한 개구들(예를 들어, 봉합사 안내 포트 개구, 바늘 안내 포트 개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포획 수단(means for capturing)은, 바늘의 팁과 눈을 선택된 관통 위치에서 재료를 관통하도록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늘의 팁을 포획 수단의 외부에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예를 들어, 도 3, 14 및 21은,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가 바늘의 팁을 포획 수단 내부에 위치한 재료를 관통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상이한 유형들의 바늘 안내 캐비티들 및 다른 구조물들을 보여준다. 상기 바늘 가이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지도록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이 원형의 형상인 경우에, 바늘 가이드는 바늘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늘은 길쭉한 또는 타원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바늘 가이드는 여전히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바늘은 바늘 가이드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늘과 바늘 가이드는 바늘을 바늘 가이드 내부에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과 바늘 가이드 둘 다 타원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늘은 바늘 가이드 내부에 오직 특정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수동 배향 수단은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과 임의 적합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포획 수단은 봉합사의 팁을 구멍(2060)과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14 및 21은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가 봉합사의 팁을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이한 유형들의 봉합사 안내 캐비티들 및 다른 구조물들을 보여준다. 상기 봉합사 가이드는 안내 기능을 돕기 위한 다른 구조적 특징들, 예컨대 봉합사 입력 포털, 테이퍼링, 라운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멍(2060)과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봉합사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은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포획 수단의 다른 특징들과 임의 적합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된 봉합사 안내 캐비티를 가지는 대신에, 봉합사 안내 캐비티는 주입 포트(insufflation port)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및/또는 봉합사를 구멍(2060)과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전진시키고 안내하기 위해 가압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예에서, 안내 수단은 여기서 봉합 장치들의 다양한 실행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다소의 다양한 개구들(예를 들어, 봉합사 안내 포트 개구, 바늘 안내 포트 개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a와 2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강경 수술 포트 내의 근막을 봉합하기 위해 근막 폐쇄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2500)에 대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더욱 명료하게, 상기 방법(2500)의 다양한 단계들은 도 26a 내지 26i에 도시되고 이 도면들을 설명된다. 도 26a 내지 26i가 도 20의 봉합 장치의 사용을 보여준다고 할지라도, 상기 방법(2500)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도 1-24를 참조하여 설명된 임의의 봉합 장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봉합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도 25a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2500)의 제1 부분이 도시된다. 상기 방법(2500)의 몇몇 실시예들은, 봉합 장치의 안내 구조물을, 구멍을 둘러싸는 재료가 안내 구조물의 포획 영역 내부에 있을 때까지, 구멍 내부에 배치(positioning)함으로써, 단계(2510)에서 시작한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절차의 결말에서, 투관침은 제거되고 근막 폐쇄 장치(2000)로 교체된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은 봉합 장치의 안내 구조물을, 구멍을 둘러싸는 재료가 안내 구조물의 포획 영역 내부에 있을 때까지, 구멍 내부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치는 구멍(2060) 둘레의 다층 재료를 신연시키기 위해 신연 벡터(distraction vector)(2025)를 따른다. 상기 구멍(2060)은, 구멍(2060) 내부를 통과하며 구멍(2060)에 인접한 재료(2065)의 내면(2067)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구멍 벡터(2050)를 정의하며, 상기 구멍 벡터(2050)와 신연 벡터(2025)는 예각(205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봉합 장치(2000)의 손잡이(2010)를 결함의 외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홀딩한 외과 의사는 안내 구조물을 실질적으로 방향(2025)을 따라서 결함 내부로 밀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봉합 장치가 결함에 들어감에 따라 신연 영역은 지방과 조직의 층들을 신연시킨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 장치(2000)는, 봉합 장치(2000)의 절취된 노치(cut-out notch)(2046)가 결함(2060)의 내면(2067)(예를 들어, 피부와 피하 지방) 아래에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투관침(trocar)에 의해 생성된 결함(예컨대, "포트(port)")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2000)는 원하는 양(예컨대, 1cm와 같이 규정된 최대량)의 근막(2610)을 상기 절취된 노치(2046) 내부에 포획하도록 (예컨대, 압력을 가하거나 및/또는 손잡이(2010)를 조작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단계(2520)는, 제1 반복(iteration)과 제2 반복 각각에서, 봉합사 패스(suture pass)를 형성함으로써 진행되며, 각각의 반복은 구멍(2060)을 둘러싸는 재료(2065)의 상이한 해당하는 관통 위치에서 수행되며 봉합사의 상이한 해당하는 단부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계(2520)의 각각의 반복은 단계들(2522 - 2528)에 따라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2520)는 도 25b에 도시된 일련의 하위-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522)는 관통 위치가 포획 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봉합 장치(2000)를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6b는 구멍(2060) 내부에 배치된 안내 구조물(2020)을 가진 봉합 장치(2000)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근막(2610)이 포획 영역(2026) 내부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장치(2000)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 몇몇 상황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근막(2610)이 재료 포획 영역(2026) 내부에 위치한 때를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힘들 수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구조물(2020)에 관련된 손잡이(2010)의 배향(orientation)은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0)를 배치하는 것을 돕는다. 구체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벡터(2015)의 방향은 외부 포획 피처(2052)에 평행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멍(2060)에 대한 손잡이의 위치를 재료(2065)의 내면(2067)에 대한 외부 포획 피처(2052)의 방향을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잡이(2010)의 제1 벡터(2015)가 구멍(2060)의 내면(206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향에서, 안내 구조물(2020)의 제2 벡터(2025)는 구멍 축(2050)에 대해 예각(2054)으로 배치될 것이다. 달리 언급하면, 안내 구조물은 구멍(2060) 내에 각도를 이루어 배향될 것이며, 외부 포획 피처(2052)는 내면(206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장치(2000)를 이러한 방식으로 배향하는 것은, 사용자가 재료 포획 영역(2026) 내부에 위치한 근막(2610)을 직접 관찰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근막(2610)을 포획하는 것을 돕는다.
단계(2524)는 바늘을 안내 구조물의 바늘 안내 캐비티 내부에 삽입하고, 이에 의해 바늘의 눈이 포획된 재료를 지나서 포획 영역 내부에 위치할 때까지 바늘이 대응되는 관통 위치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진행된다. 예를 들어,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은 바늘 안내 캐비티(2030)를 통해 도입될 수 있으며, 바늘을 재료(2065)(예컨대, 조직)를 관통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장치(2000)의 포획 영역 내의 제2 하위 경로(2062)(도 21) 내에서 정지시킨다. 바늘 손잡이(2220)와 바늘 안내 캐비티(2030) 사이의 신규한 인터페이스는, 바늘의 눈(2230)이 봉합사 가이드(2040)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배향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바늘 손잡이(2220)가 바늘 안내 캐비티(2030) 내에 완전히 안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단계(2526)에서, 실시예들은 봉합사의 대응되는 단부가 바늘의 눈과 정렬된 출구를 가진 안내 구조물의 봉합사 안내 캐비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가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6d와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가이드는, 봉합사를 상기 장치 아래로,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그리고 봉합 장치(2000)의 밖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향된다(예컨대, 봉합사는 근막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장치를 빠져나온다).
단계(2528)에서, 실시예들은, 바늘 안내 캐비티를 통과한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를 유지하는 바늘 안내 캐비티로부터 바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하고, 이에 의해 바늘의 눈을 통해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를 끌어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210)이 바늘 안내 캐비티(2030)로부터 위쪽으로 당겨질 때, 눈(2230)을 통과한 봉합사(262)의 단부는 바늘(2210)과 바늘 안내 캐비티(2030)의 내측벽 사이에 포획된다. 바늘(2210)이 바늘 안내 캐비티(2030)로부터 후퇴함에 따라, 봉합사(2620)는 재료(2065)와 실질적으로 바늘 안내 캐비티(2030)를 통과하도록 당겨진다. 따라서, 바늘을 봉합 장치(2000)로부터 추출하면 봉합사(2620)는 조직을 통과하도록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2030)는, 봉합사(2620)가 효과적으로 구부러져 바늘이 장치로부터 추출될 때 바늘의 눈 내부의 제자리에 홀딩되도록 크기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봉합 장치의 실시예들이 단계(2524)에서 바늘을 삽입하고 그 다음에 단계(2526)에서 바늘의 대응하는 단부가 바늘의 눈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의 단계들이 이러한 특정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계(2526)는 단계(2524)보다 선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를 바늘의 눈(2230)과 정렬된 출구를 가진 안내 구조물(2020)의 봉합사 안내 캐비티(203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가 바늘(2210)의 눈(2230)을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는, 바늘(2210)이 바늘 안내 캐비티(2040) 내부에 삽입되기 전에 봉합사(2620)의 해당하는 단부를 봉합사 안내 캐비티(2030) 내부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바늘(2210)을 안내 구조물(2020)의 바늘 안내 캐비티(2040)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바늘(2210)의 눈(2230)이 포획된 재료를 지나서 포획 영역 내부에 위치할 때까지 바늘(2210)이 해당하는 관통 위치를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는, 이미 바늘 안내 캐비티(204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 봉합사의 단부에 의해 바늘(2210)이 관통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바늘(2210)의 눈(2230)은 개방되거나 및/또는 바늘(2210)이 삽입될 때 봉합사의 단부를 지나서 슬라이딩하는 파지 피처(grasping feature)를 가질 수 있다. 봉합사(2620)가 바늘(2210)의 눈(2230) 및/또는 파지 피처를 통과한 때, 봉합사(2620)는 눈 및/또는 파지 피처에 의해 포획된다. 이제, 봉합사(2620)의 단부는 바늘(210)의 눈(2230) 및/또는 파지 피처 내부에 위치하며, 봉합사(2620)와 바늘(2210)의 눈(2230) 둘 다 관통 위치 아래에 위치한다. 단계(2528)에서, 바늘 안내 캐비티(2040)를 통과한 봉합사(2620)의 해당하는 단부를 유지하는 바늘 안내 캐비티로(2040)부터 바늘(22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하고, 이에 의해 재료92067)의 해당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봉합사(2620)의 해당하는 단부를 끌어당기는 단계는, 바늘의 개방된 눈(2230) 및/또는 파지 피처 내에 포획된 봉합사(2620)가 바늘(2210)의 눈(2230) 및/또는 파지 피처에 의해 관통 위치를 통과하도록 당겨지는 것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2520)는 제1 및 제2 반복 각각에서 봉합사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들(2522-2528)은 결함 내부에 제1 위치로 배향된 봉합 장치(2000)에 의한 제1 봉합사 패스 반복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패스가 완료된 후에,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 장치는 결함의 근막의 상이한 부분을 상기 장치의 노치 내부에 포획하기 위해 (예를 들어 180도) 회전될 수 있다. 단계들(2510-2528)은 제2 봉합사 패스 반복을 수행하기 위해 제2 배향의 상기 봉합 장치(2000)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봉합사(2620)의 타단부는 "U" 타입 봉합사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동일한 봉합사 가이드를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h는 봉합 장치의 봉합사 안내 캐비티 내부를 통과할 봉합사(2620)의 제2 단부를 보여준다. 봉합사(2620)의 제2 단부가 봉합 장치(2000)의 봉합사 안내 캐비티(2040) 내부에 들어가서 바늘(2210)을 통과한 후, 상기 바늘(2210)은 바늘 안내 캐비티(2030)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봉합 장치(2000)는 구멍(206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060)으로부터 봉합 장치(2000)를 제거한 후에, "U" 타입 봉합사는 결함의 두 개의 위치들에서(예컨대, 양측에서) 근막의 두께를 완전히 통과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방법(2500)의 몇몇 실행예들은 추가적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530)는, 봉합 장치를 구멍(2060)으로부터 추출함이 없이, 봉합사를 방출 하위구조물(release substructure)을 통해 봉합 장치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함으로부터 봉합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다수의 봉합사들이 결함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도 2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봉합사를 추출하는 것은 봉합사 통로(2312)를 포함하는 방출 하위구조물(2310)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2500)은, 봉합 장치를 구멍(2060)으로부터 추출하고, 바늘땀(stitch)을 형성하기 위해 봉합사의 해당하는 단부들을 묶는 단계(2540)를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봉합사들의 수가 결함 내에 배치된 때, 봉합 장치(2300)는 구멍(206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봉합사는 묶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결함을 폐쇄한다.
근막 폐쇄 장치의 실시예들 및/또는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들은 다양한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몇몇의 특징들은 상기 장치의 새로운 형상과 관련된다. 도 20-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 장치(2000)의 몇몇 실시예들은 앞쪽으로 지향된 장치의 팁에 의해 90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외과 의사에 의한 과도한 푸싱 없이도 피부와 지방층들을 밀어젖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는 상기 장치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의 손잡이는 피부층과 평행하고, 상기 장치의 노즈(nose)는 90보다 큰 각도로 전방으로 지향되며, 상기 노치의 바닥 부분 (및 상측 부분)은 근막층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는 상기 장치가 지방과 피부층들이 신연되는 동안 가능한 한 많은 근막을 노치 내에 포획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특징들은 바늘의 새로운 배치에 관한 것이다. 근막 폐쇄 장치의 적절하고 편리한 작동은, 바늘의 눈이 봉합사 채널과 정렬되도록 바늘을 배향시키는 것에 의존할 수 있다(그래서 봉합사는 쉽게 바늘의 눈을 통과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평평하거나 타원-형상의 바늘과 같은 방향성이 있는(orientable) 단면을 가진 바늘 및 대응되는 형상의 바늘 안내 채널을 포함한다. 이는 오직 눈을 봉합사 채널과 적절히 정렬하는 방향으로만 바늘 안내 채널 내부에 바늘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행예들은 신규한 바늘 손잡이 복합체를 포함한다. (바늘과 접속하는) 바늘 손잡이의 베이스는, 바늘이 바늘 안내 채널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때, 바늘 눈이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바늘 안내 채널 개구의 형상과 접속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접속부의 형상은 임의의 유용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 손잡이의 베이스는 D-형상의 단면, 노치 또는 탭(tab),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늘 손잡이의 몇몇 실시예들은 봉합사 채널로의 접근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손잡이는 봉합사 채널로부터 떨어지도록 전방으로 지향될 수 있다.
다른 특징들은 봉합사 채널 자체의 신규한 측면들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삽입되는 봉합사 채널의 입력 개구는 비교적 크고; 봉합사 채널의 출력 개구는 바늘 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지만, 약간 더 작다; 봉합사 채널은 봉합사를 입력 개구(여기서 봉합사는 근막층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로부터 출력 개구(여기서 봉합사는 근막층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로 매끄럽게 안내하기 위해 아치형상이다. 이러한 배치는 다수의 특징들을 제공한다. 상기 채널은 두 개의 봉합사들을 매끄럽게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면서, 복강으로부터 가스(예컨대, CO2)가 빠져나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충분히 작다; 입력 개구는 수술 장갑을 착용하고서도 봉합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충분히 크다; 출력 개구는 봉합사가 바늘 눈을 매끄럽게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는 형상을 가진다.
다른 특징들은 근막 폐쇄 장치의 외부 몸체 내의 절취부들(cutouts)("핀(fin)")의 신규한 배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핀들은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외부 몸체의 균일한 냉각을 허용하고 플라스틱 내의 결함을 방지한다. 상기 핀들은 또한 장치의 작동과의 간섭을 피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핀들은, 실행된 때, 피부, 지방 또는 근막 층들에 현저히 걸리지 않으며; 상기 장치의 살균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장치의 내구성을 현저히 감소시키지 않는다.
다른 특징들은 신규한 다중-봉합사의 구현이다. 몇몇 실시예들은 장치의 전면에 바늘 안내 채널의 상부로부터 노치의 상부까지 진행하는 슬릿(slit)을 포함한다. 이러한 슬릿은 장치를 복강경 수술 포트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도 (예를 들어, 묶기 전에) 봉합사의 제거를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서 다수의 봉합사들이 하나의 포트 내에 재봉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더 큰 구멍들의 봉합 속도를 높이고, 체강으로부터 가스들의 탈출을 제한단다. 몇몇 실행예들에서, 상기 슬릿은 장치의 전면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상부에 "V"-형상의 절취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행예들에서, 상기 슬릿은 보통은 보이지 않고, 바늘 안내 채널의 구성 내에 일부 유연성을 허용함으로써 제공된다. 예를 들어, 외부 몸체의 몇몇 실행예들은 두 개의 절반부들(예컨대, 거울상들)로 형성되며, 이들은 마찰-맞춤 핀들을 사용하여 함께 스냅 결합된다. 바늘 안내 채널 뒤에 모든 마찰-맞춤 핀들을 가진 이러한 외부 몸체 조립체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장치의 전면 이음매 내에 유연성이 있을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슬릿을 형성한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성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작들의 특정한 순서가 규정되어 있지 않으면, 특정한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수정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실행예들은 개시된 내용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와 사상 내에 있다. 예를 들어, 기능들을 실행하는 특징부들은 다양한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에서 실행되도록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그리고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가 앞에 위치한 아이템들의 목록 내에 사용된 "또는(or)"은 이접적인(disjunctive) 목록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목록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와 B와 C)를 의미한다. 또한, "예시적인(exemplary)"이라는 용어는 설명된 예가 바람직하거나 또는 다른 예들보다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교시의 기술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여기서 설명된 기술에 대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과 청구항들의 범위는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및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의 특정 측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된 대응되는 측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현재 존재하거나 또는 후에 개발될,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동작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그 범위 내에 이러한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재료 내의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봉합 장치(suturing device)로서, 상기 봉합 장치는:
    제1 결합 영역과 손잡이 영역 사이에서 주로 제1 벡터(vector)를 따라서 연장된 손잡이 구조물(handle structure);
    제2 결합 영역과 신연(distraction) 영역 사이에서 주로 제2 벡터를 따라서 연장된 안내 구조물(guide structure)로서, 상기 제2 결합 영역은 제1 벡터와 제2 벡터 사이에 둔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결합되고, 상기 안내 구조물은 상기 제2 결합 영역과 상기 신연 영역 사이에 위치한 재료 포획 영역(material capture region)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재료 포획 영역은 제1 벡터를 따라서 배향된 내부 포획 피처(inner capture feature)를 형성하는 노치 절취 피처(notch cut-out feature)를 포함하는, 안내 구조물;
    상기 제1 결합 영역 내의 바늘 안내 포털(needle guide portal)에서 시작하여 상기 안내 구조물을 오직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바늘 경로(needle path)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포획 영역에 의해 중단되는 바늘 안내 캐비티(needle guide cavity); 및
    상기 제1 결합 영역 내의 봉합사 안내 입력 포털(suture guide input portal)에서 시작하여 상기 신연 영역 내의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에서 끝나는 봉합사 경로(suture path)를 따라서 연장되는 봉합사 안내 캐비티(suture guide cavity);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 외부에 위치하며 제1 벡터가 구멍 축에 직교하도록 배향된 상기 손잡이 구조물에 의해 상기 안내 구조물이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된 때, 상기 내부 포획 피처는 상기 구멍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멍에 인접한 상기 재료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상기 구멍 축은 상기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구멍에 인접한 상기 재료의 내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 내의 기구 안내 포털(instrument guide portal)에서 시작하여 상기 재료 포획 영역과 상기 신연 영역 사이에 위치한 기구 출구 포털까지 연장된 기구 경로(instrument path)를 따라서 연장된 기구 안내 통로(instrument guide passage)를 더 포함하는, 봉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출구 포털은 상기 신연 영역 내부에 배치된 기구 캐비티(instrument cavity)를 더 형성하는, 봉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캐비티는, 상기 기구 안내 캐비티가 복강경 카메라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때, 상기 복강경 카메라가 상기 구멍을 볼 수 있도록 배향된 반사면을 포함하는, 봉합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캐비티는 투명 재료에 의해 밀폐되는, 봉합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캐비티는, 복강경 수술기구를 상기 구멍 내부의 영역 내부로 진행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억세스 도어(access door)를 더 포함하는, 봉합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절취 피처는, 상기 내부 포획 피처가 상기 구멍 내부에 배치된 때 상기 구멍 외부에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외부 포획 피처를 더 형성하며;
    상기 바늘 경로는, 상기 바늘 안내 포털에서 시작하여 상기 외부 포획 피처 내의 개구에서 끝나는 제1 하위-경로(sub-path)와, 상기 내부 포획 피처 내의 개구에서 시작하여 상기 안내 구조물 내부에서 끝나는 제2 하위-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경로는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가 상기 포획 영역에 의해 중단되도록 상기 제2 하위-경로와 정렬되는, 봉합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구조물과 상기 안내 구조물 내에 형성된 방출 하위구조물(release substructure)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출 하위구조물은 상기 바늘 안내 포털과 상기 포획 영역 사이의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에 위치상으로 대응되며, 봉합사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부여되는, 봉합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구조물에 배치된 주입 포트(insufflation port)에서 시작하여 상기 안내 구조물에 배치된 주입 출구 포트까지 연장된 주입 캐비티(insufflation cavity)를 더 포함하는, 봉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경로는 선형인, 봉합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구조물과 상기 안내 구조물은 단일의 구조물로서 제조되는, 봉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늘 손잡이, 바늘 눈, 및 바늘 팁을 가지는 바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늘은, 상기 바늘이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 내부에 삽입된 때, 상기 바늘 손잡이는 상기 바늘 안내 포털에 근접하고, 상기 바늘 눈은 상기 포획 영역 내부에 있으며, 상기 바늘 팁은 상기 신연 영역 내부에 있도록, 크기가 부여되는, 봉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는, 상기 바늘이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 내부에 삽입된 때, 상기 바늘의 눈을 상기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과 회전식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바늘과 접속(interface)하는 바늘 배향 피처(needle orientation feature)를 포함하는, 봉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배향 피처는, 오직 단일 배향에서 상기 바늘의 대응되는 구조적 피처와 완전히 접속(interface)하는 비대칭의 구조적 피처(asymmetric structural feature)를 가지며, 상기 단일 배향은 상기 바늘이 상기 눈을 상기 봉합사 안내 출구 포털과 회전식으로 정렬하는 것에 대응되는, 봉합 장치.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봉합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kit)로서,
    삽입된 때, 바늘의 손잡이 측은 상기 바늘 안내 포털로부터 돌출되고, 바늘의 팁 측은 상기 신연 영역 내부에 있도록, 상기 바늘 안내 캐비티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바늘을 더 포함하는, 키트.
KR1020227022383A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KR20220098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36186A KR102416624B1 (ko)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PCT/US2017/031783 WO2018208294A1 (en) 2017-05-09 2017-05-09 Fascial closur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186A Division KR102416624B1 (ko)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813A true KR20220098813A (ko) 2022-07-12

Family

ID=641048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383A KR20220098813A (ko)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KR1020197036186A KR102416624B1 (ko)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186A KR102416624B1 (ko) 2017-05-09 2017-05-09 근막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21527A1 (ko)
KR (2) KR20220098813A (ko)
WO (1) WO2018208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55B1 (ko) 2020-08-19 2023-05-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근막 봉합기
WO2022254423A1 (en) * 2021-06-04 2022-12-08 Rambam Medtech Ltd. Needle guide too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0328B2 (en) * 2003-12-19 2008-06-24 Abbott Laboratories Device and method for suturing of internal puncture sites
US7662160B2 (en) * 2004-01-28 2010-02-16 Smith & Nephew, Inc. Suture loading
DE102004041936B3 (de) * 2004-08-30 2005-10-06 Medi-Globe Gmbh Chirurgische Vorrichtung zum Hindurchführen wenigstens zweier Nähfäden durch den Randbereich einer Gewebeöffnung
US20070232941A1 (en) * 2005-10-27 2007-10-04 Stan Rabinovic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d treating tissue
US9861356B2 (en) * 2014-10-01 2018-01-09 Brainchild Surgical Devices Llc Sutur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132A (ko) 2020-01-23
WO2018208294A1 (en) 2018-11-15
KR102416624B1 (ko) 2022-07-04
EP3621527A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939B2 (en) Fascial closure device
US8992549B2 (en)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tool
US5697941A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and method
US6517552B1 (en) Suture retriever
US7771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ture in a passageway
JP3380552B2 (ja) 内視鏡による縫合システム
US5391173A (en) Laparoscopic suturing technique and associated device
CA2569878C (en) Surgical closure instrument and methods
US9393011B2 (en) Needle and snare guide apparatus for passing suture
CA2928615C (en) Suturing device and method
KR101580098B1 (ko)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US8979747B2 (en) Endoscopic port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AU2003288503A1 (en) Suture manipulating and/or cutting implement
US20050043746A1 (e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closing laparoscopic trocar puncture wounds
US20050090841A1 (en) Suturing instrument with needle dock
US9668727B2 (en) Needle and snare guide apparatus for passing suture
KR102416624B1 (ko) 근막 폐쇄 장치
EP3563775A1 (en) Port site closure instrument
US20200155144A1 (en) Needle and guide apparatus for passing suture
JP2019524329A (ja) 組織を縫合するための縫合糸送達装置
US10271838B2 (en) Laparoscopic suturing guide
US11771415B2 (en) Specialized knot pusher for surgical port closure and suturing devices
EP3730064A1 (en) Port site incision clos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