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524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524A
KR20220098524A KR1020210000321A KR20210000321A KR20220098524A KR 20220098524 A KR20220098524 A KR 20220098524A KR 1020210000321 A KR1020210000321 A KR 1020210000321A KR 20210000321 A KR20210000321 A KR 20210000321A KR 20220098524 A KR20220098524 A KR 20220098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lder
shaft
dispos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524A/ko
Publication of KR2022009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홀더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샤프트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중공형일 수 있다. 마그넷은 샤프트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중공형 샤프트의 경우, 마그넷의 위치를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중공형 샤프트의 가공 과정을 고려할 때, 마그넷을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샤프트에 마그넷을 정렬시키는 가이드가 없는 경우, 마그넷을 오버 몰딩(overmolding) 할 때, 마그넷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캔 또는 접착 부재로 마그넷을 감쌀 때, 마그넷이 유동할 위험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형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정렬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홀더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형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용이하게정렬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시 마그넷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넷을 샤프트에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마그넷 홀더를 사용하여 자속의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성능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에 배치된 홈과 마그넷 홀더의 돌기가 결합되어, 마그넷 홀더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에 배치된 홈과 마그넷 ?C더의 접촉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마그넷 홀더의 상하 유동뿐만 아니라 좌우 유동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에 배치된 홈과 마그넷 ?C더의 접촉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샤프트에 대한 마그넷 홀더의 안착 기준이 마련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마그넷 홀더가 배치된 샤프트와 마그넷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마그넷 홀더와 샤프트의 분해도,
도 4는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샤프트의 측단면도,
도 6은 제1 마그넷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제1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
도 8은 제2 마그넷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제2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제2 마그넷 홀더의 측면도,
도 11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
도 13은 마그넷 홀더를 사용하여 샤프트에 마그넷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부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마그넷(200)과 스테이터(300)와 마그넷 홀더(400)와 하우징(500)과 버스바(600)와 베어링 하우징(700)과, 터미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모터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샤프트(100)를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샤프트(100)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축방향으로, 샤프트(100)의 양단은 각각 베어링(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100)는 외경이 상이한 부분이 축방향을 따라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200)은 샤프트(100)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마그넷(200)은 샤프트(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마그넷(2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샤프트(100)와 마그넷(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스테이터 코어(31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20)와, 인슐레이터(320)에 권선되는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30)은 자계를 형성한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부재이거나 분할된 복수의 코어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그넷 홀더(도 2의 400)는 마그넷(200)을 샤프트(100)에 고정한다. 마그넷 홀더(400)가 마그넷(2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오버 몰딩되거나 별도의 캔 혹은 접촉 부재가 마그넷 홀더(400)와 마그넷(200)을 감쌀 수 있다.
하우징(500)은 스테이터(3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500)은 내측에 샤프트(100)와 마그넷(200)과 스테이터(300)와 마그넷 홀더(40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우징(500)은 샤프트(100)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용할 수 있다.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코어에 감긴 코일(330)들을 연결한다.
베어링 하우징(700)은 베어링(10)을 수용한다. 베어링 하우징(700)은 하우징(500)에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800)은 버스바(600)와 연결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마그넷 홀더가 배치된 샤프트와 마그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마그넷 홀더와 샤프트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넷 홀더(400)는 마그넷(200)을 샤프트(100)에 고정시킨다. 마그넷 홀더(400)가 먼저 샤프트(100)에 고정되고, 마그넷(200)이 마그넷 홀더(400)를 따라 샤프트(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00)와 마그넷 홀더(400)는 재질이 서로 상이하다.
마그넷 홀더(400)는 제1 홀더(410)와 제2 홀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410)는 샤프트(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420)는 제1 홀더(41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홀더(42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410)는 환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홀더(410)의 내주면은 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축방향으로 구분되어, 외경이 상이한 일영역과 타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홀더(410)는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일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홀더(420)는 제1 홀더(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마다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넷(200)은 복수 개의 단위 마그넷(200A,2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홀더(420)의 개수는 단위 마그넷(2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홀더(420)의 축방향 길이는 마그넷(200)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마그넷 홀더(400)는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제2 마그넷 홀더(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제1 마그넷 홀더(400A)는 샤프트(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마그넷 홀더(400B)는 샤프트(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샤프트(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샤프트(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100)는 외면에 배치된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0)은 제1 홈(111)과 제2 홈(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홈(111)과 제2 홈(112)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111)과 제2 홈(112)은 원주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제1 홈(111)과 제2 홈(112)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샤프트(100)의 외면의 일부가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1)과 제2 홈(112)은 서로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제1 홈(111)과 제2 홈(112)은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마그넷 홀더(400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제1 마그넷 홀더(400A)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넷 홀더(400A)는 제1 홀더(410A)와 제2 홀더(4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420A)는 마그넷(200)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홀더(420A)는 제1 단위 마그넷(200A)과 제2 단위 마그넷(2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420A)의 단부에는 제1 결합부(42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21A)는 외향하여 돌출되는 후크 형태의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421A)는 제2 마그넷 홀더(400B)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1 홀더(410A)는 한 개 이상의 제1 돌기(4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411A)는 제1 홀더(410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1 돌기(411A)는 샤프트(100)의 제1 홈(111)에 결합된다. 한편, 복수 개의 제1 돌기(411A)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411A)는 제1 홈(111)과 접촉하는 면이 평면일 수 있다. 제1 홈(111)과 접촉하는 면(411Aa)이 평면이면, 축방향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으로도,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샤프트(1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돌기(411A)의 크기 및 형상은 샤프트(100)의 제1 홈(111)과 대응된다.
도 8은 제2 마그넷 홀더(400B)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제2 마그넷 홀더(400B)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제2 마그넷 홀더(400B)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마그넷 홀더(400B)는 제1 홀더(410B)와 제2 홀더(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420B)는 마그넷(200)의 측면의 다른 일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홀더(420B)는 제1 단위 마그넷(200A)과 제2 단위 마그넷(2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더(420B)의 단부에는 제2 결합부(42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1B)는 내향하여 돌출되는 후크 형태의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421B)는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1 홀더(410B)는 한 개 이상의 제2 돌기(4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11B)는 제1 홀더(410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2 돌기(411B)는 샤프트(100)의 제2 홈(112)에 결합된다. 한편, 복수 개의 제2 돌기(411B)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411B)는 제2 홈(112)과 접촉하는 면(411Ba)이 평면일 수 있다. 제2 홈(112)과 접촉하는 면이 평면이면, 축방향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으로도, 제2 마그넷 홀더(400B)와 샤프트(1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411B)의 크기 및 형상은 샤프트(100)의 제2 홈(112)과 대응된다.
제2 돌기(411B)는 제1 홀더(410B)의 내주면뿐만 아니라 제1 홀더(410B)의 일면보다 축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기(411B)의 형상은 샤프트(100)의 축방향 단부의 라운드 형태의 코너에 제2 홈(112)이 위치하고,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 제2 홈(112)의 형상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제2 돌기(411B)는 제1 돌기(411A)보다 클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축방향으로 마그넷(200)의 일측에 제1 마그넷 홀더(400A)가 배치된다. 축방향으로 마그넷(200)의 타측에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배치된다. 제1 마그넷 홀더(400A)는 제1 돌기(411A)가 샤프트(100)의 제1 홈(111)에 결합함으로써, 샤프트(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마그넷 홀더(400B)는 제2 돌기(411B)가 샤프트(100)의 제2 홈(112)에 결합함으로써, 샤프트(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홈(111)은 제1 면(S1)과 제2 면(S2)과 제3 면(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411A)가 제1 홈(111)에 결합되면, 제1 면(S1)은 제1 돌기(411A)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면(S2)은 제1 돌기(411A)의 축방향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면(S3)은 제1 돌기(411A)의 축방향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S1), 제2 면(S2), 제3 면(S3)은 모두 평면일 수 있다. 제1 면(S1), 제2 면(S2), 제3 면(S3)이 모두 평면이기 때문에, 샤프트(100)에 대한 제1 마그넷 홀더(400A)의 안착 부위가 용이하게 확보되고, 상하방향 유동뿐만 아니라 원주방향 유동까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홈(112)은 제4 면(S4)과 제5 면(S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11B)가 제2 홈(112)에 결합되면, 제4 면(S4)은 제2 돌기(411B)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5 면(S5)은 제2 돌기(411B)의 축방향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돌기(411B)의 축방향 타면은 제2 홈(112)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제4 면(S4)과 제5 면(S5)은 모두 평면일 수 있다. 제4 면(S4)과 제5 면(S5)이 평면이기 때문에 샤프트(100)에 대한 제2 마그넷 홀더(400B)의 안착 부위가 용이하게 확보되고, 상하방향 유동뿐만 아니라 원주방향 유동까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마그넷 홀더(400B)는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달리, 제2 홈(112)과 제2 돌기(411B)의 결합관계에서, 도면상 하측으로, 구속되지 못한다. 따라서,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서 축방향으로 이탈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제2 마그넷 홀더(400B)에 기구적으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 장착되면, 제2 결합부(421B)가 제1 결합부(421A)에 걸리면서,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서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마그넷 홀더(400A)에 고정된다.
제1 결합부(421A)는 후크 형태로 외향하여 돌출되며, 제2 결합부(421B)는 후크 형태로 내향하여 돌출되기 때문에,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제2 결합부(421B)가 제1 결합부(421A)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421A)와 제2 결합부(421B)가 후크 형태로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구속력이 크고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3은 마그넷(200) 홀더를 사용하여 샤프트(100)에 마그넷(200)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3의 (b)와 같이, 제1 마그넷 홀더(400A)를 도면상 베어링이 설치되는 샤프트(100)의 하측에서 샤프트(100)에 끼워 넣는다. 제1 돌기(411A)가 제1 홈(111)에 결합되면, 제1 마그넷 홀더(400A)가 샤프트(100)에 고정된다. 별도로 접착제을 도포하는 공정도 없고 접착제를 경화하는 공정도 없다.
다음으로, 도 13의 (c)와 같이, 제2 마그넷 홀더(400B)를 도면상 베어링이 설치되는 샤프트(100)의 하측에서 샤프트(100)에 끼워 넣는다. 제2 돌기(411B)가 제2 홈(112)에 걸리면서 제2 마그넷 홀더(400B)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제2 결합부(421B)가 제1 결합부(421A)에 걸리면서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3의 (d)와 같이,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제2 마그넷 홀더(400B) 사이에 마그넷(200)을 안착시킨다. 마그넷(200)과 샤프트(1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샤프트(10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마그넷(200)의 안착위치도 정확하게 설정된다. 또한, 마그넷(200)의 일면과 측면을 제1 마그넷 홀더(400A)와 제2 마그넷 홀더(400B)가 모두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캔을 씌우거나 접착시트를 감는 과정에서 마그넷(20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시트는 반경와 상태의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샤프트
110: 홈
111: 제1 홈
112: 제2 홈
200: 마그넷
300: 스테이터
400: 마그넷 홀더
400A: 제1 마그넷 홀더
400B: 제2 마그넷 홀더
410: 제1 홀더
411: 돌기
411A: 제1 돌기
411B: 제2 돌기
420: 제2 홀더
500: 하우징
600: 버스바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는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배치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홀더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마그넷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마그넷의 측면에 배치되는 모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제1 단위 마그넷과 제2 단위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1 단위 마그넷과 상기 제2 단위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마그넷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은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홀더는 제1 마그넷 홀더와 제2 마그넷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홀더와 상기 마그넷 홀더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제1 마그넷 홀더는 축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의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마그넷 홀더는 축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의 타측과 접촉하는 모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마그넷 홀더의 상기 제1 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마그넷 홀더의 상기 제2 홀더에 배치되는 모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돌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돌기의 축방향 일면과 접촉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돌기의 축방향 타면과 접촉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평면인 모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돌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4 면과, 상기 제2 돌기의 축방향 일면와 접촉하는 제5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 및 상기 제5 면은 평면이며,
    상기 제2 돌기의 축방향 타면은 상기 제2 홈과 접촉하지 않는 모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 홀더는 상기 제1 마그넷 홀더의 상기 제2 홀더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홀더는 상기 제1 마그넷 홀더의 상기 제2 홀더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서로 체결되는 모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외향하여 돌출되는 후크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내향하여 돌출되는 후크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모터.
KR1020210000321A 2021-01-04 2021-01-04 모터 KR20220098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321A KR20220098524A (ko) 2021-01-04 2021-01-04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321A KR20220098524A (ko) 2021-01-04 2021-01-04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24A true KR20220098524A (ko) 2022-07-12

Family

ID=8241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321A KR20220098524A (ko) 2021-01-04 2021-01-04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5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94A1 (ko)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전극 슬라이딩 규격의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94A1 (ko)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전극 슬라이딩 규격의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4064B2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rotor thread thereof having fixing pins
US7965012B2 (en) Electronic motor
CN102576216B (zh) 保持转子-定子同心的电动机端盖定位件
KR20070003623A (ko) 전동기
JP2007014146A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US6541889B2 (en) DC motor
US9350215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mounting sensor substrate of brushless motor
US9356500B2 (en) Stepper motor with adjustable detent torque
US11025110B2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dual clutch transmission thereof
JPH06311675A (ja) 分割形環状コア
US20150288239A1 (en) Bobbin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20220098524A (ko) 모터
JP6484824B2 (ja) 電動機
JP2010239826A (ja) モータ
US20100148595A1 (en) Linear synchronous motor
JPH099539A (ja) 永久磁石回転電機の回転子
JP2003102135A (ja) ギャップワインディングモータ
KR101711583B1 (ko)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350344B1 (ko) 분할 코어타입 모터
KR101297802B1 (ko) 모터 및 모터 제조방법
KR102159798B1 (ko)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
CN219068023U (zh) 电机装配治具
JP2003009499A (ja) クローポール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モータ構造
KR102651686B1 (ko) 모터
JP3906101B2 (ja) 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