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616A -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 Google Patents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616A
KR20220097616A KR1020200187546A KR20200187546A KR20220097616A KR 20220097616 A KR20220097616 A KR 20220097616A KR 1020200187546 A KR1020200187546 A KR 1020200187546A KR 20200187546 A KR20200187546 A KR 20200187546A KR 20220097616 A KR20220097616 A KR 2022009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raw data
management server
acceler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리예
임준형
유예림
Original Assignee
유리예
임준형
유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리예, 임준형, 유예림 filed Critical 유리예
Priority to KR102020018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7616A/en
Priority to PCT/KR2021/014842 priority patent/WO2022145660A1/en
Publication of KR2022009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6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8System arrangements wherein both parent and child units can emit and rece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shoes and a system for care of patients with dementia, comprising: a sensing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management server; and a guardia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or patients suspected of dementia, dementia can be predicted, such that early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can be performed, and missing people due to dementia can be found at an early stage.

Description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Smart shoes and system for the care of dementia patients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은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모듈을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에 장착함으로써 착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보행패턴을 이용하여 배회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낙상 및 넘어짐 등의 안전사고를 감지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ia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earing rate by mounting the detection module on the outsole or insole of the sho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wandering using a gait pattern in real time, as well as falling and It relates to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can detec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and respond immediately.

알츠하이머병, 뇌혈관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치매는, 인지기능장애를 수반한다.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환자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병인의 철저한 보호가 필요로 하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치매환자가 간병인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서 배회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Dementia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is accompanied by cognitive dysfunction. Therefor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degree,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for patients to maintain their daily life by themselves, so thorough protection of caregivers is required. I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이를 위해, 치매환자에게 일종의 휴대용 위치추적장치인 배회감지기나 치매인식표 등을 착용시키고, 치매환자가 보호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환자가 착용하고 잇는 배회감지기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발견자가 인식표를 확인하는 등을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To this end, a dementia patient is put on a walking sensor or a dementia identification tag, which is a type of portable location tracking device, and when the dementia patient deviates from the protection range, the location of the wandering sensor worn by the patient is tracked or the discoverer checks the identification tag, etc. method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 제안된 팔찌, 목걸이 또는 스마트워치 등의 배회감지기는 치매환자가 자신의 신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치매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는 타인에게 치매 여부를 노출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팔찌나 목걸이 등은 착용을 꺼리게 되어 착용률이 현저히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의 경우에느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배터리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ly proposed loitering sensors such as bracelets, necklaces or smart watches have the disadvantage that dementia patients can easily remove them from their bodies, and in particular, dementia patients themselves or their guardians are reluctant to expose their dementia to others. Bracelets, necklaces, etc. are reluctant to wea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 rate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rt wa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relatively high and the battery life time is relatively short.

무엇보다, 종래의 배회감지기는 치매 환자의 현재위치에 기반하여 배회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안심지역 내에서 배회를 하는 경우 이를 즉각 인지할 수 없고, 누적된 이동경로를 확인한 후에야 배회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안심지역 내에서라도 치매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치매 초기 발견이나 예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Above all, since the conventional wandering sensor judges whether a person is wandering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it cannot be recognized immediately when wandering in the safe area, and only after checking the accumulated movement path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dementia patients cannot be guaranteed even within a safe area,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arly detection or prevention of dementia is impossible.

나아가, 치매 환자의 낙상이나 넘어짐 등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감지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Furthermore,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frequ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or falls of dementia patients, so countermeasures are urgently needed.

특허등록 제10-1483288호Patent Registration No. 10-148328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모듈을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에 장착함으로써 착용률을 극대화하고, 제조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하여 보급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치매 예방과 관리는 물론 치매로인한 실종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wear rate by installing the sensing module on the outsole or insole of the shoe, and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 to maximize the penetration rate, thereby preventing and managing dementia as well as early detection of missing persons due to dementia. It is to provide smart shoes and systems for the care of dementia patie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회보행, 낙상, 넘어짐 여부를 높은 신뢰도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종류 및 갯수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ith high reliability whether walking, falling, or falling based on acceleration data, so that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can be minimiz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To provide smart shoes and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회 등 이상상황이 발생시 보호자단말에서 알림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응급구조서버로 이상여부를 전송하여 응급상황대응이 가능한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hoe and system for the care of dementia patients that can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by transmitting abnormalities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even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from the guardian's terminal whe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wandering occurs.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stride length), 보폭(step width), 분당 걸음수(cadence), 보행속도(walking spee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연속한 3번의 보행으로부터 산출된 보행방향이 연속한 10번의 보행에서 3회 이상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배회보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er walks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s loitering gait is determined,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and ,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raw data, the wearer's stride length, step width, steps per minute (cadence), a first walk comprising at least one of walking speed (walking speed) When the gait direction calculated from three consecutive gaits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is changed more than three times in ten consecutive gaits, it is determined as the loitering gait and the notific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This is achieved by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transmit signals.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낙상(落傷)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x,y,z) 가속도 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신호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신호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한 제3신호값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3-axis (x, y, z)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wearer's movement, When the first sign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aw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wearer's movement and calculates a secon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and the second signal value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determine a fall and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the thir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hird reference value during the set reference time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econd reference value is also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제1신호값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각 축(x,y,z)으로 발생된 가속도에 따른 발생전압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발생전압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전압값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신호값은 상기 각 축에 대하여 측정된 측정가속도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2신호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낙상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 가속도값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신호값은 상기 제2신호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한 후 상기 기준시간동안 측정되는 낙상후 측정가속도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낙상후 측정가속도값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상기 낙상 움직임 판단 후 움직임이 기준값이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낙상후 최소 가속도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voltage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n each axis (x, y, z),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whether the wearer moves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voltage value is provided as a threshold voltage value for judging, the second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measured acceleration value measured for each axis,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determines the wearer's fall mot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threshold acceleration value for It may be provided as a minimum acceleration value after a fall for the wearer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fte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fall in response to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after the fall.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x축 가속도변화량 및 y축 가속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x축 가속도변화량 또는 y축 가속도변화량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된 각 임계 가속도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넘어짐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wherein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The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the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and the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based on the raw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or the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exceeds each set threshold acceleration change amount. It is also achieved by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determine and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누적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평균 초당 각속도변화량을 산출하고, 수신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실시간 상기 초당 각속도변화량이 상기 평균 가속도변화량 넘어짐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wherein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The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from the accumulated acceleration data, determines that the real-time angular velocity change in real time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acceleration data falls over the average acceleration chang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This is also achieved by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통신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상기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스마트 신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stride length), 보폭(step width), 분당 걸음수(cadence), 보행속도(walking spee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연속한 3번의 보행으로부터 산출된 보행방향이 연속한 10번의 보행에서 3회 이상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배회보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is walk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whether the wearer walks loaming based on the raw data a smart shoe in which th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is mounted on either the outsole or the insole of the shoe;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s loitering gait is determined,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and , the controller, based on the raw data, the wearer's stride length, step width, steps per minute (cadence), a first walking state comprising at least one of walking speed (walking speed)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based on th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if the gait direction calculated from three consecutive gaits is changed 3 or more times in ten consecutive gaits, it is determined as the loitering gait, an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It is also achieved by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s terminal.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통신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낙상을 판단하는 제어부가 상기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스마트 신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x,y,z) 가속도 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신호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신호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한 제3신호값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is walk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rmining a fall of the wearer based on the raw data a smart sho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either the outsole or the insole of the shoe;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3-axis (x, y, z)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wearer's movement, When the first sign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aw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moving and calculates a secon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and the second signal value is Dementia patient care that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by judging as a fall if the thir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hird reference value during the set reference time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econd reference value It is also achieved by smart shoes and systems for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은 GPS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된 상기 알림신호가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알림신호 전송 후 설정된 확인한계기준 동안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상기 착용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GPS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응급구조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etec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GPS sensor, and the management server is provided to confirm whether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is confirmed, and a confirmation limit set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by the guardian terminal during the reference period,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earer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er measured by the GPS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은 상기 신발의 아웃솔(outsole) 또는 상기 신발 내부에 장착 및 탈착되는 인솔(insole)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ensing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an outsole of the shoe or an insole that is mounted and detached inside the shoe.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교체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회수 방식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battery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s provided to be chargeabl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r further comprises a piezoelectric element 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methods of charging the battery by an energy recovery method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감지모듈을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에 장착함으로써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인솔 타입으로 마련하는 경우 제조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다양한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여 착용률 및 보급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치매 예방과 관리는 물론 치매로인한 실종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e of rejection is minimized by mounting the sensing module on the outsole or insole of the shoe. It can be applied to footwear and maximizes the wear rate and dissemination rate, so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nd managing dementia as well as early detection of missing persons due to dementi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회보행, 낙상, 넘어짐 여부를 높은 신뢰도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종류 및 갯수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ith high reliability whether walking, falling, or falling based on acceleration data, 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can save

또한, 치매 초기 환자나 의심 환자에 적용하는 경우 치매 예측이 가능하여 치매 조기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며, 치매 환자의 경우 착용률을 극대화하여 보호자가 실시간 모니터링 및 배회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early stage dementia or suspected patients, it is possible to predict dementia, enabling early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따르면, 배회 등 이상상황이 발생시 보호자단말에서 알림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응급구조서버로 이상여부를 전송하여 응급상황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shoes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wandering occurs, even if a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from the guardian's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n emergency by transmitting the abnormality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 인솔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및 판단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의 기능이 구현된 보호자단말의 화면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smart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s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a f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screen examples of a guardian terminal in which functions of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and completely understo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외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at is,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them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for such exclusion.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으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2~,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do not matc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it may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표현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되지 되지 않는 한,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어야 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unless the express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component may exist. Also,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text.

한편,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용어의 명확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eanwhil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basically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However, each of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i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a clear definition of the term is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firs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이 장착된 스마트 신발(10), 유무선 통신망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마트 신발(10)과 연결되는 관리서버(30) 및 보호자단말(50)을 포함하며, 응급구조서버(4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A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mart shoe 10 equipped with a sensing module 11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 a smart shoe 1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and It includes a connected management server 30 and a guardian terminal 50, and an emergency rescue server 4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스마트 신발(10)은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을 포함한다. The smart shoe 10 includes a sensing module 11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 .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10)에서,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아웃솔(outsole, 밑창, 102)에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인솔(insole, 깔창, 10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은, 기판(M,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 포함)이 인솔(101)에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모듈(M)은 도 2의 아웃솔(102)에도 마련될 수 있다. In the smart sho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may be provided on the outsole 102 of the shoe as shown in FIG. 2, or the insole ( It may be provided on the insole, insole, 101). Here, FIG. 3 shows a case in which the substrate (M, including the sensing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is provided on the insole 101, and this module M is the outsole 102 of FIG. can also be provided.

후자와 같이, 신발의 인솔(101)에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이 마련되는 경우, 착용자는 다양한 신발에 인솔(101)을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소요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As in the latter case, when the sensing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are provided in the insole 101 of the shoe, the wearer can use the insole 101 in various shoes, thereby maximizing the utility and cost.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은, 스마트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에 장착함으로써 착용률을 높이고, 특히 인솔에 마련하는 경우 다양한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smart shoes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the wearing rate by mounting them on the outsole or insole of the smart shoe, and in particular, when provided in the insol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shoes, thereby economically advantageous.

이하, 본 명세서 '스마트 신발'은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상기 아웃솔 및 인솔에 적용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Hereinafter, 'smart shoes'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ll cases applied to the outsole and the insole, unless there is a special exception.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모듈(11), 통신모듈(13) 및 후술할 배터리(15), 압전소자(17) 등을 하나의 기판(M) 등에 일체로 모듈화하는 경우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해져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센서 또는 컨트롤러의 추가등 설계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판(M)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 또는 필름 등으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nsing module 11, the communication module 13, the battery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iezoelectric element 17, etc.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board M, etc., manufacturing and It is easy to install,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improved, such as adding various sensors or controllers. The substrate M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flexible substrate or a film,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ings.

감지모듈(11)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를 측정한다. The sensing module 11 measures raw data when the shoe wearer walk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시 데이터는 x,y,z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통하여 각 축으로의 각속도 또는 기울임 각을 산출할 수도 있고, 또는 추가로 다른 종류의 센서를 추가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data is based on acceleration data along the x, y, and z axes, and an angular velocity or an inclination angle in each axis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cceleration data, or additionally other types of sensors can also be added.

감지모듈(11)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종류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In the detection module 11,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and one typ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감지모듈(11)은, 예를 들어,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on module 11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ion sensor.

모션센서는 스마트 신발(1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smart shoe 10 , and may be specifically provided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모션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된다.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센서의 센싱 데이터로부터 피치(Pitch), 롤(roll), 요(yaw)를 계산할 수 있고, 그 밖에 특징(feature) 추출이 가능하다. An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be used in a motion sensor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change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usually configur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The gyro sensor is a sensor that measures angular velocity, and may detect a direction returned to a reference direction. Pitch, roll, and yaw can be calculated from the sensing data of the motion sensor, and other features can be extracted.

감지모듈(11)은 GPS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 센서는 스마트 신발(10)을 착용한 착용자의 현재위치를 측정한다. 착용자의 현재위치는 관리서버(30)를 통하여 보호자가 보호자단말(5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안심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받을 수 있다. 추가로, 치매 환자의 일별, 주별 또는 월별 운동량, 운동거리 등 건강관리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detection module 11 may further include a GPS sensor. The GPS sensor measur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arer wearing the smart shoes 10 .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arer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5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can receive a notification signal when out of the safe zone. In addition, it may be used for health management purposes such as daily, weekly or monthly exercise amount and exercise distance of dementia patients.

통신모듈(13)은 상기 원시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송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 transmits the raw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통신모듈(13)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 및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UFD(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Lora modul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 또는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력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인 Lora module(Long Range)이 사용되는 경우 전력소모량을 줄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고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 may be provided without limitation using a variety of known type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For exampl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RFID), Ultra Wideband (UFD), ZigBee, Lora module, etc., it may be network-connect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or servers. Here, when the Lora module (Long Range), which is a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protocol,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to increase battery usage time and reduce communication costs.

한편,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감지모듈(11) 또는 통신모듈(13)과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기판위에 실장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tection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but the detection module 11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3 and one chip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hip, or it may be mounted on a single substrate.

스마트 신발(10)은 감지모듈(11) 및 통신모듈(1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shoe 10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15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

배터리(15)는 교체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외부 전원에 유선 또는 무선(접촉 또는 비접촉을 포함)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압전소자(17)를 추가로 마련하여 착용자의 보행시 압전소자(17)에 가해지는 압력을 에너지로 회수하여 자가충전하는 방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15 may be provided to be replaceable, or may be provided to be charged in various ways such as wired or wireless (including contact or non-contac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lternatively, the piezoelectric element 17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recov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7 as energy when the wearer walks, and it may be provided as a method of self-charg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10)은, 감지모듈(11)에서 측정된 원시 데이터들 및/또는 상태 판별을 위한 데이터들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mart sho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data such as raw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11 and/or data for state determination. have.

보호자단말(50)은 관리서버(30)로부터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다. 보호자단말(50)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기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컴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guardian terminal 50 receives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 The guardian terminal 50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known device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computer.

보호자단말(50)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로 마련되는 경우, 휴대가 가능하여 상기 알림신호를 상시 확인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착용자의 현재위치, 배회 등의 감지기록 등과 같은 추가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guardian terminal 50 is provided with a smartphone or tablet PC, it is portable and thus the notification signal can be checked at all tim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wearer's current location and detection record of wandering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touch screen. There are advantages to be found.

예를 들어, 보호자단말(5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안심구역 이탈기록, 배회감지 기록 또는 낙상이나 넘어짐 감지기록을 실시간 또는 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may be installed in the guardian terminal 50 to efficiently utilize the smart shoes and system 1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FIG. 5 , Through the application, the safe zone departure record, the wandering detection record, or the fall or fall detection record can be implemented in real time or to check the history.

관리서버(30)는 통신모듈(13)로부터 상기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행정보를 산출하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착용자의 배회, 낙상 또는 넘어짐을 판단하여 이를 보호자 단말에 알린다.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raw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3, calculates various types of gait information based on this, determines the wearer's wandering, falls, or falls according to the set criteria, and informs the guardian terminal of this. .

이하, 전술한 각 구성들의 상호 동작과정을 각 실시예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utual oper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스마트 신발(10)에 장착된 감지모듈(11)을 통하여 측정된 원시 데이터를 통신모듈(13)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배회보행 여부를 판단하여, 배회보행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자단말(50)로 알림신호를 송신한다. The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 raw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module 11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 .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er is loitering based on the raw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is loaming,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50.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z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로 마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w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11 is provided a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관리서버(30)는 상기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착용자의 보행패턴과 관련된 제1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three-axis acceleration data and calculates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gait pattern of the wearer.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는 걸음걸이(stride length), 보폭(step width), 분당 걸음수(cadence), 보행속도(walking speed)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서버(30)는, 상기 걸음걸이(또는 활보장, 착용자의 한쪽 발뒤꿈치에서 다음 같은 쪽 발뒤꿈치 사이의 거리), 상기 보폭(또는 보장, 한쪽 발뒤꿈치에서 다른 쪽 발뒤꿈치사이의 거리), 상기 분당 걸음수(또는 분속수, 1분당 발걸음수) 및 보행속도(상기 보폭을 설정시간으로 나눈 값)을 산출한 후에, 이를 시간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통하여 착용자의 보행패턴의 시간적 변화 추이를 추적할 수 있다. The first walk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two or more of a stride length, a step width, a number of steps per minute (cadence), and a walking speed. Here, the management server 30, the gait (or the gait,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er's one heel to the next same heel), the stride length (or guarantee, the distance between one heel and the other heel) ),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or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and the walking spee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tride length by the set time) are calculated and stored by time, and the wearer's gait through the accumulated data The temporal change of the pattern can be traced.

또는, 관리서버(30)는 다수 착용자의 누적 데이터를 분석모듈을 이용하여 머신러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착용자의 치매 여부 판단이나, 치매 예측, 치매 악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치매의 종류(예를 들어, 알츠하이머성, 알코올성, 비타민 부족성 또는 혈관성 치매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using the analysis module on the accumulated data of multiple wearers, and use these results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wearer has dementia, predict dementia, or determine whether dementia worsens Also, the type of dementia (eg, Alzheimer's disease, alcoholism, vitamin deficiency or vascular dementia, etc.) may be determined.

관리서버(30)는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연속한 3번의 보행으로부터 산출된 보행방향이 연속한 10번의 보행에서 3회이상 변경되는 경우, 이를 배회보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 based on th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when the gait direction calculated from the wearer's three consecutive gaits is changed three or more times in ten consecutive gaits, it can be determined as a wandering gait.

여기서, 상기 배회보행의 판단기준은 착용자의 상태 또는 착용자가 위치한 지리적 특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 및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치매 진행 정도에 따라 배회보행으로 판단되는 보행변경의 횟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30)는 배회보행 빈도에 따라 치매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치매 단계에 따라 설정된 보행변경 횟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Her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oitering gait can be changed and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wearer's state 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ere the wearer is loca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gait changes determined as wandering gait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wearer's degree of dementia progression.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etermine the dementia stage according to the wandering gait frequency, and automatically set the number of gait changes se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mentia stage.

관리서버(30)는 배회보행으로 판단한 경우, 설정된 보호자단말(50)로 착용자의 배회여부를 알림신호로 송신하며, 이에 보호자는 보호자단말(50)를 통해 배회여부를 확인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대응할 수 있다.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that it is loitering, it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whether the wearer is roaming to the set guardian terminal 50, and the guardian checks whether or not roaming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50, and a dedicated application, etc. It can respond by checking the wearer's location.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회보행여부를 높은 신뢰도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종류 및 갯수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ith high reliability whether to walk or not based on the acceleration data,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minimized by minimizing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while reducing the cost, the penetration rate can be improved.

또한, 치매 초기 환자나 의심 환자에 적용하는 경우 치매 예측이 가능하여 치매 조기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며, 치매 환자의 경우 착용률을 극대화하여 보호자가 실시간 모니터링 및 배회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early stage dementia or suspected patients, it is possible to predict dementia, enabling early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have

한편, 관리서버(30)는 보호자단말(50)로 전송된 상기 알림신호가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30)에서 보호자단말(50)로 문자(mms등)로 알림신호가 전송된 경우, 보호자단말(50)에서 상기 문자를 확인하게되면 수신확인신호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보호자단말(5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알림신호에 따라 보호자단말(50)에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관리서버(30)가 상기 알림신호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be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50 is confirmed.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by text (mms, etc.)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guardian terminal 50, when the guardian terminal 50 confirms the text, a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It can also be sent to Alternatively, when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guardian terminal 50, when the guardian terminal 50 accesses the dedic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etermine that the notification signal has been confirmed.

관리서버(30)는 상기 알림신호 전송 후에 설정된 확인한계기준 동안 상기 알림신호가 보호자단말(50)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이를 응급구조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if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by the guardian terminal 50 during the confirmation threshold set after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상기 확인한계기준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알림신호 전송 후에 보호자단말(50)에서 상기 알림신호를 확인하기까지의 확인한계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확인한계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알림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30)는 응급구조서버(40)로 저장된 상기 착용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착용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모듈(11)은 GPS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limit criter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may be set as the confirmation limit time until the guardian terminal 50 confirms the notification signal after the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Accordingly, when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until the confirmation limit time has elapsed,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transmit the wear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wear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tored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 . (Here, the detection module 11 may further include a GPS sensor.)

또는, 상기확인한계기준은 예를 들어, 배회 한계횟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착용자의 배회가 3회 이상 반복되어 관리서버(30)가 상기 알림신호를 전송하였으나, 배회가 한계횟수(예를 들어, 배회가 5회 반복)까지 보호자단말(50)에서 상기 알림신호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30)는 응급구조서버(40)로 저장된 상기 착용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착용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firmation limit criteri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by the number of loitering limits. Accordingly, although the wearer's wandering is repeated three or more times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guardian terminal 50 until the limit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wandering repeats 5 times) If not confirmed,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transmit the wear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wear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tored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

여기서, 상기 확인한계기준은 전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관리서버(30)가 응급구조서버(40)로 전송하는 전송내용 또한 착용자의 식별 및 현재위치가 가능한 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착용자의 사진, 이름, 보호자 연락처 등)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of course, the confirmation limit criter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the transmission contents transmitt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are also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wearer and the current location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the wearer's photo, name, guardian contact information, etc.) may be provided as a matter of course.

한편, 상기 응급메시지의 발송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보호자단말(50)을 통하여 선택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 whether the emergency message is sent or no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guardian can select it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50 .

여기서, 응급구조서버(40)는 예를 들어, 112서버 또는 119서버와 같이 치매 환자의 응급상황발생시 이를 대응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마련된다. Here,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is provided as a server of an institution that can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of a dementia patient, such as, for example, a 112 server or a 119 server.

이하, 전술한 응급구조와 관련한 구성은 후술할 각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rescue may be equally applied to each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따르면, 배회 등 이상상황이 발생시 보호자단말에서 알림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응급구조서버로 이상여부를 전송하여 응급상황대응이 가능하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mart shoes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wandering occurs, even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from the guardian's terminal, the abnormality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situation can be dealt with.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스마트 신발(10)에 장착된 감지모듈(11)을 통하여 측정된 원시 데이터를 통신모듈(13)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낙상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자단말(50)로 알림신호를 송신한다. A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raw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module 11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 .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has fallen based on the raw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has fallen,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50 .

이하,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1)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x,y,z) 가속도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module 11 may be provided as a 3-axis (x, y, z)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er.

여기서, 관리서버(30)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원시 데이터인 x,y,z 축 각 방향의 가속도 측정값 또는 상기 가속도 발생시 측정되는 전압값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낙상을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etermine the wearer's fall by using the raw data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uch as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s in each direction of the x, y, and z axes, or voltage values measured when the acceleration occurs.

관리서버(30)가 상기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낙상을 판단할 때에는 다양한 측정값 또는 이로부터 산출된 다양한 산출값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the wearer's fall using the raw data, various measured values or various calculated values calculated therefrom may be used, and various methods using these may be used.

예를 들어, 관리서버(30)는 착용자가 보행중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보행중인 상태에서 설정값 이상의 과도한 움직임이 판단되는 경우 낙상을 예비적으로 판단한 후에, 낙상 후 착용자의 움직임이 설정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walking, and if excessive movement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rmined while walking, preliminarily determines the fall, and then the wearer's movement after the fall is maintained for a set time. If it is not detected, it can be judged as a fall.

상기 실시예를 도 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관리서버(30)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신호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착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보행중임을 확인한다(S10). 이는, 대부분의 낙상의 경우, 착용자가 보행 등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낙상판단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다. When the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4 , first,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walking when the first sign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aw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first reference value. Confirm (S10). This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fall determination since most falls occur when the wearer is moving, such as walking, but this step can be omitted if necessary.

여기서, 상기 제1신호값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각 축(x,y,z)으로 발생된 가속도에 따른 발생전압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발생전압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전압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생전압값이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가속도가 발생하지 않을 때(즉, 착용자의 움직임이 없을 때) 1.6V 의 평균 전압값을 갖는 다면, 상기 제1기준값은 예를 들어, 상기 평균 전압값에 근접하는 1.7V로 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신호값(발생 전압값)이 제1기준값(임계전압값)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서버(30)는 착용자가 보행중인 상태로 판단한다. Here, the first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voltage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n each axis (x, y, z),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whether the wearer moves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voltage value It may be provided as a threshold voltage value for determining . For example, if the generated voltage value has an average voltage value of 1.6V when no acceleration occurs in the acceleration sensor (ie, no movement of the wearer),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for example, the average It can be set to 1.7V, which is close to the voltage value. Accordingly, when the first signal value (generated voltag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reshold voltage value),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walking.

다음, 관리서버(30)는 착용자가 보행중임이 판단된 경우,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신호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낙상을 예비적으로 판단한다(S20). 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is walking, the management server 30 calculates a secon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and if the second sign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second reference value, it is preliminarily determined to fall (S20).

상기 제2신호값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각 축에 대하여 측정된 측정 가속도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2신호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낙상 움직임을 판단 하기 위한 임계 가속도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신호값 및 제2신호값은 각 3축의 전압값 또는 가속도값을 개별적으로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과 대비(예를 들어, x축 발생 전압값과 x축 임계전압값을 대비)할 수도 있으나, 각 3축의 전압값(또는 가속도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대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2기준값은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다수의 치매환자로부터 발생되는 낙상사고시 제2신호값을 추적하여 사후적으로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econd signal value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measured acceleration value measured for each axis. In this case,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provided as a threshold acceleration value for determining the wearer's falling mot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value. Here, the first signal value and the second signal value compare the voltage value or acceleration value of each of the three axes individually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for example, the x-axis generated voltage value and the x-axis threshold voltage valu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voltage values (or acceleration values) of each of the three axes to compa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can be set in various ways, and can be adjusted post-mortem by tracking the second signal value in case of a fall accident occurring from a plurality of dementia patients.

관리서버(30)가 낙상을 예비적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착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는, 일반적으로 낙상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적 손상이나 기절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없거나 기준 이하의 미약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낙상으로 확정하는 것이다.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 preliminarily determines the fal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earer's movement occurs for a set time (S40). In general, in the case of a fall, it is usually impossible to walk normally due to physical damage or fainting of the wearer, so it is determined as a fall only when there is no movement or weak movement below the standard by detecting the wearer's movement. .

예를 들어, 관리서버(30)는 S20 단계에서 낙상 움직임이 판단된 경우, 타이머를 작동하고(S30), 설정된 기준시간(To)동안 측정(또는 산출)된 제3신호값이 제3기준값 미만인 경우 낙상을 최종 판단한다. For example, when the fall motion is determined in step S20, the management server 30 operates a timer (S30), and the third signal value measured (or calculated) for the set reference time To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fall is the final decision.

여기서, 상기 제3신호값은 상기 제2신호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한 후 상기 기준시간 동안 측정되는 낙상후 측정 가속도값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낙상후 측정 가속도값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낙상 움직임 판단 후 움직임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낙상 후 최소 가속도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signal value may be provided as a post-fall measurement acceleration value measured for the reference time after the second signal valu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the post-fall measurement acceleration value Correspondingly, it may be provided as a minimum acceleration value after a fal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earer's moveme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fte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fall.

상기 제3신호값은 상기 측정 가속도값 이외에도, 상기 제1신호값과 동일하게 측정 전압값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3기준값도 임계 전압값으로 마련되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제1기준값과 동일하게 마련할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준값보다 높게 마련하는 등 다양하게 값을 조절할 수 있다. Of course, the third signal value may be provided as a measured voltage valu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ignal value in addition to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In this case,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lso provided as a threshold voltage value. For example, the third reference value may be provided to be the same as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to be set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value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는 전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낙상을 감지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관리서버(30)는, 상기 3축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착용자의 보행패턴과 관련된 제2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detect a fall in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3-axis acceleration data to determine the wearer's gait pattern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lated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상기 제2보행상태정보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력가속도(g) 단위로 보정된 보정가속도(g), 초당 각속도변화량 또는 각도변화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corrected acceleration (g),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or angular change amount corrected in units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g) based on the raw data. may include

이에 관리서버(30)는, 산출된 상기 제2보행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낙상기준값 이상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etermine a fall if any one of the calculated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fall reference value.

즉, 낙상의 경우, 통상의 보행패턴과 다른 양상을 나타나게 되는 바, 예를 들어, 통상 보행속도 이상의 보행속도가 산출되거나, 통상 걸음거리 이상의 걸음걸이 또는 통상 보행방향과 다른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 등)으로의 보행방향을 보이므로 이에 따른 각 제2보행상태정보의 상기 낙상기준값을 설정하고, 어느 하나의 제2보행상태정보에 대하여 상기 낙상기준값 이상의 보행이 산출되면 이를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fall, a different aspect from the normal gait pattern appears, for example, a gait spee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ormal gait speed is calculated, or a gait greater than the normal gait distance or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normal gai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irection, etc.), so the fall reference value of each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is set accordingly, and if a gait greater than the fall reference value is calculated for any one of the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as a fall. have.

상기 낙상기준값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누적 원시 데이터로부터 평균 제2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상기 낙상기준값을 설정할 수도 있고, 다수 착용자의 과거 낙상사례시에 상기 제2보행상태정보로부터 상기 낙상기준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의 (b)참조)The fall reference value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verage second gait stat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from the accumulated raw data of the wearer and the fall reference value may be set therefrom, and in the case of past falls of multiple wearers, the The fall reference value may be set from the second walking state information. (See Fig. 4 (b))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설정되는 낙상기준값은, 예를 들어, 상기 보정가속도가 2.5g 이상이거나, 상기 초당 각속도 변화량이 100 degree/s 이상 또는 상기 각도변화량이 22 degree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fall reference value set by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the corrected acceleration is 2.5 g or more, th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is 100 degree/s or more, or the angular change amount is 22 degrees or more.

이후, 관리서버(30)에서 보호자단말(50)로의 상기 알림신호 송신과, 응급구조서버(40)로의 송신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guardian terminal 50 and the transmission configuration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스마트 신발(10)에 장착된 감지모듈(11)을 통하여 측정된 원시 데이터를 통신모듈(13)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넘어진 여부를 판단하여, 넘어짐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자단말(50)로 알림신호를 송신한다. The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raw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module 11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 .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has fallen based on the raw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has fallen,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50.

이하,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z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로 마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w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11 is provided as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이에 관리서버(30)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x축 가속도변화량 및 y축 가속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x축 가속도변화량 또는 y축 가속도변화량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된 각 임계 가속도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넘어짐으로 판단할 수있다.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0 calculates an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and a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based on the raw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or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exceeds each set threshold acceleration change amount. , can be judged by the fall.

여기서, 3축의 가속도 변화량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만 사용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넘어짐이 발생할 때에는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므로 x축 및 y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량만을 사용할 수 있다. Here, all of the acceleration variations of the three axes may be used, but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such as using only one or two of them. For example, in general, when a fall occurs, the amount of acceleration change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is relatively large, so only the amount of acceleration chang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can be used.

이외에도 SVM(Sum Vector Magnitude) 값(

Figure pat00001
)이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로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VM (Sum Vector Magnitude) value (
Figure pat00001
) can be used and converted into various types.

한편, 관리서버(30)에서 넘어짐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관리서버(30)는 누적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평균 초당 각속도 변화량 또는 평균 각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수신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실시간 상기 초당 각속도변화량 또는 실시간 상기 각도변화량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평균 초당 각속도 변화량 또는 평균 각도변화량 이상인 경우 넘어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넘어질 때에는 통상의 보행패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바, 예를 들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지는 경우 통상 보행에 필요한 각도 이상의 각도 변화량이 나타나면, 넘어지는 속도에 따라 각속도 변화량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측면으로 넘어지는 경우에는 각도 방향 자체가 달라지거나, 산출되지 않은 각속도 변화량이 검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detecting a fall in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or an average angular change amount from the accumulated acceleration data, If any one of the real-time angular velocity change amount per second or the real-time angular change amount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acceleration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amount per second or the average angular change amount, it may be determined as falling. This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normal gait pattern when the wearer falls, for example, when an angle change more than the angle required for normal walking appears when the wearer falls forward or backward, the amount of change in angular velocity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lling speed will occur In addition, in the case of falling to the side, the angular direction itself may be changed, or an uncalculated angular velocity change amount may be detected.

따라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넘어짐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누적 원시 데이터로부터 평균 초당 각속도 변화량, 평균 각도 변화량 또는 각도 방향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또는, 다수 착용자의 넘어짐 발생시의 상기 원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평균 초당 각속도 변화량 또는 평균 각도 변화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평균 초당 각속도 변화량 또는 평균 각도 변화량의 설정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fall using the acceleration data, it may be necessary to calculate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the average angular change amount, or reference data for the angular direction from the accumulated raw data of the wearer. Alternatively,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or the average angular change amount may be calculated with reference to the raw data when multiple wearers fall o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used as the method of setting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amount per second or the average angular change amount.

이후, 관리서버(30)에서 보호자단말(50)로의 상기 알림신호 송신과, 응급구조서버(40)로의 송신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guardian terminal 50 and the transmission configuration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스마트 신발(10)에 장착된 감지모듈(11)을 통하여 측정된 현재위치 데이터를 통신모듈(13)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현재위치 데이터에 기초한 착용자의 현재위치를 지도와 함께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보호자단말(50)로 송신하며, 착용자의 현재위치가 설정된 안심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보호자단말(50)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한다. The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module 11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3 .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When out of the safe zone, it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50).

이하,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1)은 GPS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원시 데이터는 상기 GPS 센서에서 측정한 위도 및 경도 데이터로 마련되며, 관리서버(30)는 상기 원시 데이터를 실측 지도에 맞게 계산하여 현재위치에 대한 좌표값으로 변환된 현재위치 데이터를 산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etection module 11 is provided with a GPS sensor, the raw data is provided with latitude and longitude data measured by the GPS sensor,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calculates the raw data according to the actual map, The current position data converted to the coordinate values for the current position is calculated.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보호자단말(50)에서 착용자의 현재위치 및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치매 환자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since the guardian can check the wearer's current location and movement path in the guardian terminal 5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agement of the dementia patient is easy in real time.

또한, 보호자는 보호자단말(50)을 통하여 안심구역(동, 주소 등)을 설정할 수 있고, 관리서버(30)는 실시간으로 산출된 상기 현재위치 데이터가 상기 안심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림신호를 보호자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ardian can set a safe zone (dong, address, etc.)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5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sends the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current location data calculated in real time is out of the safe zon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50 .

이후, 관리서버(30)에서 보호자단말(50)로의 상기 알림신호 송신과, 응급구조서버(40)로의 송신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guardian terminal 50 and the transmission configuration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40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1)은, 스마트 신발(10) 자체에서 상기 원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산출하여 배회보행, 낙상 또는 넘어짐 등을 판단한다. The smart shoe and system 1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the raw data in the smart shoe 10 itself or use it to calculate new data to walk, fall or fall judge etc.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의 아웃솔(102) 또는 인솔(101) 중 어느 하나에 감지모듈(11), 통신모듈(13)과 함께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이상행동(배회보행, 낙상, 넘어짐 등)을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on the basis of the raw data together with the sensing modul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in either the outsole 102 or the insole 101 of the shoe, the wearer's abnormal behavior (loaming walking, falling) ,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falling, etc.).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의 관리서버(30)가 수행하는 동작과 그 수행주체가 상이할 뿐 그 내용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ubject is different, but the content is the same, and thus the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ecide to do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각 감지모듈(11)에서 측정된 상기 원시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각 제어부에서 가공 및 산출한 데이터, 상기 이상행동의 판단결과와 이력등은 스마트 신발(10)의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구분저장될 수 있고, 관리서버(30)는 상기 각 이상행동에 대한 판단 기준값(예를 들어, 제1기준값, 임계 가속도변화량 등)을 통신모듈(13)을 통하여 각 스마트 신발(10)의 상기 제어부를 설정 및 조정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raw data measured by each sensing module 11, the data processed and calculated by each control unit corresponding there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history of the abnormal behavior, etc. a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shoe 10 may be transmitted and stored separately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ogether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 It is provided to enable setting and adjustment of the control unit of each smart shoe 10 through the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시 데이터의 가공 및 상기 이상행동의 판단은 스마트 신발(10) 또는 관리서버(30) 중 어느 하나에서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나, 각각에 그 기능이 분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가공 및 변수 산출은 각 스마트 신발(10)의 제어부에서 수행하고, 이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이상행동을 판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of the raw data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 behavior may all be performed in either the smart shoe 1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but the function may be distributed to each. Of course. For example, data processing and variable calculation ar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of each smart shoe 10 , and whe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etermine the abnormal behavior.

이상에서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1 :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10 : 스마트 신발
101 : 인솔 102 : 아웃솔
11 : 감지모듈 13 : 통신모듈
15 : 배터리 17 : 압전소자
30 : 관리서버 40 : 응급구조서버
50 : 보호자단말
1: Smart shoes and systems for the care of dementia patients
10: Smart Shoes
101: insole 102: outsole
11: detection module 13: communication module
15: battery 17: piezoelectric element
30: management server 40: emergency rescue server
50: guardian terminal

Claims (10)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stride length), 보폭(step width), 분당 걸음수(cadence), 보행속도(walking spee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연속한 3번의 보행으로부터 산출된 보행방향이 연속한 10번의 보행에서 3회 이상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배회보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a shoe wearer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er walks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s loitering walk is determined, a guardian terminal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Containing,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raw data, the wearer's stride length, step width, steps per minute (cadence), a first walking state comprising at least one of walking speed (walking speed)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when the gait direction calculated from three consecutive gaits based on th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is changed 3 or more times in 10 consecutive gaits, it is determined as the loitering gait and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transmit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낙상(落傷)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x,y,z) 가속도 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신호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신호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한 제3신호값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a shoe wearer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Containing,
The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3-axis (x, y, z)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er,
When the first sign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aw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moving and calculates a secon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and the second signal value Smart shoes and system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determine a fall and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the thir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hird reference value during the set reference time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econd reference valu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값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각 축(x,y,z)으로 발생된 가속도에 따른 발생전압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발생전압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전압값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신호값은 상기 각 축에 대하여 측정된 측정가속도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2신호값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낙상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 가속도값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신호값은 상기 제2신호값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한 후 상기 기준시간동안 측정되는 낙상후 측정가속도값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낙상후 측정가속도값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상기 낙상 움직임 판단 후 움직임이 기준값이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낙상후 최소 가속도값으로 마련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generated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n each axis (x, y, z),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moves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voltage value is provided as a threshold voltage value for It is provided as a threshold acceleration value, and the third signal value is provided as a post-fall measurement acceleration value measured during the reference time after the second signal valu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fter the fall. A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provided as a minimum acceleration value after a fall for determining whether a movemen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fter the wearer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fall in response to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x축 가속도변화량 및 y축 가속도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x축 가속도변화량 또는 y축 가속도변화량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된 각 임계 가속도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넘어짐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a shoe wearer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an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and a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based on the raw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x-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or y-axis acceleration change amount exceeds each set threshold acceleration change amount, falling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determin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을 판단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넘어짐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누적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평균 초당 각속도변화량을 산출하고, 수신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실시간 상기 초당 각속도변화량이 상기 평균 가속도변화량 넘어짐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a shoe wearer walk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aw data to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wearer's fall based on the received raw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from the accumulated acceleration data, determines that the real-time angular velocity change per second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acceleration data falls over the average acceleration change, and send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통신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상기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스마트 신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배회보행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원시 데이터는, 착용자의 보행시 측정된 x,y 및 z 축으로의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stride length), 보폭(step width), 분당 걸음수(cadence), 보행속도(walking spee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보행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연속한 3번의 보행으로부터 산출된 보행방향이 연속한 10번의 보행에서 3회 이상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배회보행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the wearer of the shoe is walk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earer is loitering based on the raw data are mounted on either the outsole or the insole of the shoe with smart shoes;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s loitering walk is determined, a guardian terminal receiving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Containing,
The raw data includes acceleration data in x, y and z axes measured when the wearer walks,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raw data, the wearer's stride length, step width (step width), steps per minute (cadenc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walking speed (walking speed) , and if the gait direction calculated from three consecutive gaits based on the first gait state information is changed 3 or more times in 10 consecutive gaits, it is determined as the loitering gait, and the guardian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a terminal.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측정하는 감지모듈과, 통신모듈과,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낙상을 판단하는 제어부가 상기 신발의 아웃솔 또는 인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스마트 신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착용자의 낙상이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전송받는 보호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축(x,y,z) 가속도 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신호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신호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시 데이터에 기초한 제3신호값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보호자단말에 상기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measuring raw data when a wearer of a shoe is walk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fall of the wearer based on the raw data are mounted on either the outsole or the insole of the shoe. shoes;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falls, a guardian terminal that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Containing,
The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3-axis (x, y, z)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er,
When the first sign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raw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wearer's movement is the same and calculates a secon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and the second signal value is Dementia patient car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by judging as a fall if the third signal value based on the raw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hird reference value during the set reference time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econd reference value smart shoes and systems fo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GPS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된 상기 알림신호가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알림신호 전송 후 설정된 확인한계기준 동안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상기 착용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GPS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착용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응급구조서버로 전송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detec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GPS sensor,
The management server is provided to confirm whether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is confirmed, and when the notification signal is not confirmed in the guardian terminal during the confirmation threshold set after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the stored wearer Smart shoes and systems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that transmi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earer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er measured by the GPS sensor to an emergency rescue serv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은 상기 신발의 아웃솔(outsole) 또는 상기 신발 내부에 장착 및 탈착되는 인솔(insole)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nsing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installed on either an outsole of the shoe or an insole that is mounted and detached inside the shoe and a smart shoe and system for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교체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회수 방식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치매 환자 케어를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battery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s provided to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r further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to charge the battery by an energy recovery method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Dementia patient care smart shoes and systems for
KR1020200187546A 2020-12-30 2020-12-30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KR2022009761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546A KR20220097616A (en) 2020-12-30 2020-12-30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PCT/KR2021/014842 WO2022145660A1 (en) 2020-12-30 2021-10-21 Smart shoes and system for dementia patient c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546A KR20220097616A (en) 2020-12-30 2020-12-30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616A true KR20220097616A (en) 2022-07-08

Family

ID=8225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546A KR20220097616A (en) 2020-12-30 2020-12-30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97616A (en)
WO (1) WO202214566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8B1 (en) 2013-04-30 2015-01-15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4973A (en) * 1998-10-23 2000-07-14 Masanobu Kujirada Emergency informing system
KR101307392B1 (en) * 2011-12-23 2013-09-16 정재영 shoe possible to report of a unusual case
KR101990364B1 (en) * 2018-03-07 2019-06-20 (주)에스엘에이치 Wireless Worker Safety Monitoring Shoes
KR20200016439A (en) * 2018-08-07 2020-02-17 고큐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Walking monitoring system using sensing module mounted on wearer's shoes
KR102199204B1 (en) * 2019-05-31 2021-01-06 (주)엘센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ll and falldown using wearable sens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8B1 (en) 2013-04-30 2015-01-15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660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5221B (e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are fallen down in cloud service in real time
US10660395B2 (en) Smart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mart terminal processing data
KR102306064B1 (en) Activity recognition using accelerometer data
US8876738B1 (en) Hum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US7248933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system
KR101231904B1 (en) Improving Healthcare System using Smart Shoes
KR101856053B1 (en) A shoe pad for coping with dangerous situation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same
EP3266369B1 (en) Analysis of fall severity us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wearing apparatus
KR1014613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all accident therefor
US11413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vement variables
CN104224182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human tumbling
CN112201006A (en) Positioning tracking system based on RFID
KR20190052351A (en) A wearable smart device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same
Wójtowicz et al. Fall detector using discrete wavelet decomposition and SVM classifier
AU2021101013A4 (en) Aiot based pandemic related smart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workers
KR20220097616A (en)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KR1019216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KR2021013672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falling accident
JP5985443B2 (en) Anomaly detection device
KR101558512B1 (en) Danger detection system using smart insol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for recoding computer program therefor
US11564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oot strike pattern
KR20180050942A (en) Target guiding system
KR201100229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adapted activity recognition
KR20220147703A (en) Impairment detection
KR102398480B1 (en)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