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288B1 -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 Google Patents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288B1
KR101483288B1 KR20130048720A KR20130048720A KR101483288B1 KR 101483288 B1 KR101483288 B1 KR 101483288B1 KR 20130048720 A KR20130048720 A KR 20130048720A KR 20130048720 A KR20130048720 A KR 20130048720A KR 101483288 B1 KR101483288 B1 KR 10148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electrode array
array
de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9862A (en
Inventor
위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Priority to KR2013004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288B1/en
Publication of KR2014012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거주영역 내의 특정영역에 설치되어 치매환자가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유닛과;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된 제 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중계기와; 메인중계기로부터 송출된 제 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치매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에게 알림음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에 의하면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 또는 병원 등의 특정영역으로부터 치매환자가 이탈하는 것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비용으로 치매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ia patient wand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sensing unit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within a dwelling area where a demented patient resides, for sensing a dementia patient departing from a specific area and sending out a first wireless signal; A main repeater for receiving the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radio signal; And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to the protector protecting the demented patient when the second radio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mptly notify a guardian that a dementia patient leaves a specific area such as a home or a hospital where the demented patient resides, but also efficiently manage the dementia patient at a low cost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Description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0001]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0002]

본 발명은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영역으로부터 치매환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치매환자가 특정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배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demented patient is separated from a specific area and preventing a demented patient from wandering in a region other than a specific area will be.

현대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기억 장애를 수반하는 노인성 치매환자의 질병은 의학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치매환자들이 제일 먼저 호소하는 증상은 기억력 장애이다. 이러한 기억 장애가 심해지면 이름과 전화 번호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거나 지적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여 방향 감각이나 공간인식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길을 자주 잃어 버리게 되거나 자주 다니던 길도 헤매게 되는 경우(즉, 배회 증세)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aged, diseases of senile dementia patients with memory impairment are becoming serious medical and social problems. In general, the first symptom of most dementia patients is memory impairment. If such a memory impairment becomes severe,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name and the telephone number are not memorized increases, or the intellectual ability is problematic, and the sense of direction and the ability of recognizing the space are remarkably deteriorated. Also, frequent loss of roads or frequent travels (ie roaming) often occurs.

이와 같이, 치매환자가 자택에서 외부로 나갔을 때 방향 감각이 떨어져서 길을 잃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그 중 일부의 경우에는 보호자에 의하여 확인된 후에 가정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행방불명 되어 보호자들이 치매환자를 찾기 위해 많은 물적, 시간적 손실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에게는 심한 정신적 피해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when a patient with dementia leaves the home from outside, the sense of direction falls off and often gets lost. In some cases, the patient returns home after being confirmed by the guardian, but in some cases, This causes a lot of material and time loss for the caregivers to find the dementia patient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severe mental damage may occur to the caregiver.

한편, 종래에는 행방 불명 방지를 위하여 주로 치매환자의 이름, 주소 등을 적은 띠나 배지(badge) 등을 손목이나 목걸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치매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연락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치매환자가 인적이 드문 곳으로 갈 경우에는 연락할 수가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Meanwhile,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dementia, it is possible to worn a band or a badge, which is mainly used for the name and address of a dementia patient, on the wrist or a necklace. However,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dementia patient can not be contacted if he or she goes to a place where the human being is rare.

특히,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수단을 분실하는 경우 치매환자는 자신의 주소지나 연락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매환자의 행방 불명 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발생시에 신속하게 실종신고 및 추적을 하면, 치매환자의 이동 반경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발견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Particularly, when a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dementia patient is lost, the problem of dementia patients becomes more difficult to find because their address or contact information is not known. In addition, the important point in the process of missing persons in dementia is that when they are reported and tracked quickly, the probability of discovery is increased because the movement radius of dementia patients is relatively small.

그러나 현실적으로 치매환자를 찾기 위한 추적 인력의 부족과 무관심 또는 경찰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치매환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치매환자뿐만 아니라, 미아 또는 정신 질환자들도 가족들의 보호가 소홀한 상태에서 행방 불명 되는 경우가 빈발하며 시스템의 미숙으로 인하여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reality, the lack of tracing personnel to find a dementia patient, lack of indifference or lack of police manpower often makes it difficult to find a dementia patient. In addition, not only the above-mentioned dementia patient but also a child with a mental disorder or a mental illness is often missing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on of the family is neglected, and the system can not be found due to immaturity of the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치매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1658호에 게시되어 있다. A dementia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01658.

상기의 치매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가지는 영역 내에서 치매환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치매환자의 출입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환자에 대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환자 통신 단말;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치매환자 통신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치매환자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매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는 출입구 통신 단말; 및 상기 출입구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치매환자에 대한 출입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상기 치매환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관련 주체에게 상기 치매환자의 출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치매 관리 센터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demented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inspecting the entry and exit of a demented patient when the demented patient leaves the area through the doorway in an area having at least one doorway, A dementia patient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tored unique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 entranc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for receiving the unique information on the demented patient by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mented patient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an access related message for the demented patient; And a dementia management cent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access-related message for the dementia patient from the entranc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rming information on the previously stored dementia patient, and transmitting the access-related information of the demented patient to the related subject,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치매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은 치매환자가 통신 단말기를 항상 휴대해야하고, 치매환자가 이동가능한 예상 경로 상에 치매환자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출입구 통신 단말을 구비해야 하므로 고 비용이 소요되며, 상기와 같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만 서비스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demented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requires the demented patient to carr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ll the time, and the demented patient needs to have an entranc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demented patient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possible anticipated pat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rvice is limited only to subscribers who subscribe to the ser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 또는 병원 등의 특정영역으로부터 치매환자가 이탈하는 것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비용으로 치매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not only notify a caregiver quickly that a dementia patient leaves a specific area such as a home or a hospital where a demented patient resi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mentia patient wand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dementia pati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는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거주영역 내의 특정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중계기와; 상기 메인중계기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치매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에게 알림음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거주영역에 거주하는 정상인과 치매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mented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 demented patient wander management apparatu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within a dwelling area where a demented patient resides, ; A main repeater for receiving the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a second radio signal; And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to a guardian protecting the demented patient when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received, And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normal person living in the residence area and a dementia patient.

상기 감지유닛은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 상에 다수의 제 1 전극 와이어들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중간 어레이와, 상기 중간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저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전극 와이어들이 배치된 제 2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패드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전류가 검출될 때, 상기 메인중계기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base, a first electrode array hav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wir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first bas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tacked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array, A second electrode arra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wir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A pad portion having a cov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second base; a power supply portion for applying a power source having a different polarity to the first electrode array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array, and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rray when the 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And a line transmission unit.

상기 식별부는 상기 중간 어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출력된 전류 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무선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comprises: a load cell installed in the middle array for converting a load applied to the pad un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current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rst wireless signal when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load cell is within a set ran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ing unit.

상기 중간 어레이는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를 절연시키도록 절연성을 갖고, 상기 패드부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mediate array has an insulating property to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array from the second electrode array. When the pad unit is vertically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array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oad is remove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much as possible.

상기 감지유닛은 제 1 베이스와, 다수의 제 1 전극편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 및 상호 병렬접속된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전극편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중간 어레이와, 상기 중간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저면에 상기 제 1 전극편들의 배치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전극편들이 배치 및 상호 병력접속된 제 2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패드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전류가 검출될 때, 상기 메인중계기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base, a first electrode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ieces are arranged and interconnected in a matrix, and a second electrode array laminated on the first electrode array an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pieces A second base stacked on top of the middle array, and a second bas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pieces A pad portion having a second electrode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ieces are arran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rray or the second electrode array; Whe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gro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main relay.

상기 식별부는 상기 중간 어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출력된 전류 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무선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comprises: a load cell installed in the middle array for converting a load applied to the pad un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current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rst wireless signal when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load cell is within a set ran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ing unit.

상기 중간 어레이는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를 절연시키도록 절연성을 갖고, 상기 패드부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mediate array has an insulating property to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array from the second electrode array. When the pad unit is vertically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array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oad is remove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에 의하면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 또는 병원 등의 특정영역으로부터 치매환자가 이탈하는 것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비용으로 치매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mptly notify a guardian that a dementia patient leaves a specific area such as a home or a hospital where the demented patient resides, but also efficiently manage the dementia patient at a low cost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패드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드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패드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드부의 단면도.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d portion among constituent elements of a demented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d portion shown i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ponents of the demented patient wand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d portion among constituent elements of a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d por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mented patient wand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1)는 감지유닛(100)과, 메인중계기(200)와, 휴대단말(300)을 구비한다.1 to 4 show a demented patient walrug manage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a demented patient walley manage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a main repeater 200, and a portable terminal 300.

감지유닛(100)은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거주영역 내의 특정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패드부(110)와, 전원공급부(120)와, 전류검출부(130)와, 무선송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The sensing unit 100 senses that the dementia patient is separated from the specific region by being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within a residence area where the demented patient resides, and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he sensing unit 100 includes a pad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 current detector 130, a wireless transmitter 140, and a controller 150.

패드부(110)는 특정영역 즉, 치매환자가 취침하는 취침공간 또는 외부 출입문 근처 등에 설치되어 치매환자의 이동여부 및 특정영역으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제 1 베이스(111)와, 제 1 베이스(111) 상에 다수의 제 1 전극 와이어(112a)들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1 전극 어레이(112)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113a)들이 형성된 중간 어레이(113)와, 중간 어레이(113)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베이스(114)와, 제 2 베이스(114)의 저면에 제 1 전극 와이어(112a)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제 2 전극 와이어(115a)들이 상호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된 제 2 전극 어레이(115)와, 제 1 베이스(111)와 제 2 베이스(114)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116)를 구비한다.The pad unit 110 detects a movement of a demented patient and a departure from a specific area by being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that is, a sleeping room where a dementia patient sleeps or near an outer door, A first electrode array 112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wires 112a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first base 111 and a second electrode array 112 which is stacked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 second base 114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array 113 and a second electrode 11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base 114. The first electrode wire 11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114, A second electrode array 115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wires 115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2a and 112a, As shown in FIG.

제 1 전극 어레이(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 전극 와이어(112a)들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즉, 메시(mesh) 형태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wires 112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alternativel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that is, in the form of a mesh As shown in Fig.

제 2 전극 어레이(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와이어(112a)들과 직교하는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제 2 전극 와이어(115a)들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wires 115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r intersecting with the first electrode wires 112a And they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어레이는 치매환자가 패드부(110)를 밝을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단락된다.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are short-circuited by a load generated when the demented patient brightens the pad unit 110. [

중간 어레이(113)는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를 절연시키도록 절연성을 갖고, 패드부(110)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일 예로, 중간 어레이(113)는 스펀지 또는 고 탄성 스펀지 등의 탄성 패드를 적용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array 113 has an insulating property to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pad portion 1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s an example, the intermediate array 113 may employ an elastic pad such as a sponge or a high-elasticity sponge.

전원공급부(120)는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패드부(110) 및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0 applies power of different polarity to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and supplies power to the pad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50, .

전류검출부(130)는 전원공급부(120)와, 제 1 전극 어레이(112) 또는 제 2 전극 어레이(1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The current detecting unit 130 detects the current flowing in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or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a second electrode array 115 .

무선송신부(140)는 전류검출부(130)에서 전류가 검출될 때, 메인중계기(200)로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the first wireless signal to the main repeater 200 when a current is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130.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40 includes a controller 150, An antenna is built in.

제어부(150)는 전류검출부(130)에서 전류가 검출되면 무선송신부(140)를 통해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adio transmitter 140 to transmit the first radio signal when a current is detected in the current detector 130.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감지유닛(100)은 치매환자가 패드부(110)를 밟음으로써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검출하여 무선송신부(140)를 통해 제 1 무선신호를 후술하는 메인중계기(200)로 송출한다.The sensing unit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detects that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are short-circuited by the demented patient pressing the pad unit 110, And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main repeat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감지유닛(100)은 거주영역에 거주하는 정상인 즉, 가족 및 보호자들로부터 치매환자를 식별하여 감지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한다.The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nd detecting a dementia patient from a normal person living in a residence area, that is, a family and caregivers.

식별부는 치매환자의 하중과 그 이외의 정상인 간의 체중 차이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와 정상인을 판별하는 것으로서, 중간 어레이(113)에 설치되어 패드부(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identifies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normal person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ad of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other normal persons. The identif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load applied to the pad unit 110 into the current signal, And a load cell to which the load cell is connected.

상기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치매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은 치매환자가 패드부(110)를 밟았을 때 로드셀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기준 전류치를 저장하고, 저장된 기준 전류치와 로드셀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측정 전류치를 비교함으로써 패드부(110)를 가압하는 대상이 정상인 인지 치매환자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전류치 비교는 제어부(150)에서 수행한다.A method for identifying a normal person and a demented patient using the load cell includes storing a reference current value generated by a load acting on the load cell when the demented person steps on the pad unit 110, By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s generated by the load,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whether the subject to be pressed against the pad unit 110 is a normal person or a demented person. Th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current values.

제어부(150)는 기준 전류치를 저장하고 있고, 기준 전류치와 측정 전류치를 비교하며, 측정된 전류 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무선송신부(14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stores the reference current value, compares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the reference current value, and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40 to transmit the first wireless signal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is within the set range.

메인중계기(200)는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휴대단말(300)로 제 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수신부(210)와 송신부(220) 및 신호증폭부(미도시) 등의 구성을 가지며 통상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ain repeater 200 receives the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and transmits the second radio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ceiving unit 210, the transmitting unit 220, And a signal amplifying unit (not shown), and is provided with essential components necessary for norm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인중계기(200)는 감지유닛(100)과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별도의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된다.The main repeater 2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is operated by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휴대단말(300)은 메인중계기(200)로부터 송출된 제 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치매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에게 알림음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호자의 손목 또는 허리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시계 또는 허리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중계기(200)에서 송출되는 신호만을 수신하는 수신부(310)와, 보호자에게 알림음을 송출할 수 있는 알림부(320) 또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330)를 구비한다. 무선송신부(140)와, 메인중계기(200) 그리고 휴대단말(300)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 근거리통신(Ultra Wide band Near Field Communication; UWB NFC) 기술을 채택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다.The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the second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200 and provides a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to the protector protecting the demented patient when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received. A receiver 310 that receives onl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200, a notification unit 320 that can transmit a notification sound to a guardian, And a vibrator 330 which can be operated.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40, the main repeater 2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such as a Zigbee, a Bluetoo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 Ultra Wide Band Near Field Communication (UWB NFC) technology.

휴대단말(300)에는 알림음의 크기 및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버튼 및 표시창을 구비하며, 교체 가능한 건전지 또는 충전가능한 이차전지를 내부에 장착한다.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and a display window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nd a replace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s mounted therei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관리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emented patient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거주영역의 외부 출입문 주변에 설치된 감지유닛(100)의 패드부(110)를 치매환자가 밟으면, 치매환자의 하중에 의해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가 접촉되면서 단락된다. When the demented patient touches the pad portion 110 of the sensing unit 100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door of the residence area,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are contacted by the load of the demented patient, do.

이때,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가 단락되면서 전류검출부(130)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어부(150)는 무선송신부(140)를 통해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are short-circuited and current flows to the current detection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first radio signal through the radio transmission unit 140 .

메인중계기(200)에서는 무선송신부(140)에서 송출된 제 1 무선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휴대단말(300)로 제 2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 1 무선신호와 제 2 무선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되 진폭의 크기를 변조한 것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The main repeater 200 receives and amplifies the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140 and transmits the second radio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e first radio signal and the second radio signal may have the same frequency but modulate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or may have different frequencies.

일 예로 제 1 신호는 비교적 근거리에서 사용가능한 단파를 적용할 수 있고 제 2 신호는 원거리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장파를 사용할 수도 있되, 기존의 전자기기(휴대폰, 유선전화)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signal may be a short-wave signal that can be used in a relatively short range, and the second signal may be a long-wave signal that may be used in a long distance, but may be a region other than a frequency region used in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Is preferably applied.

휴대단말(300)에서는 메인중계기(200)에서 송출된 제 2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알림부(320)를 통해 치매환자가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음을 송출 또는 바이브레이터(330)를 통해 진동을 발생한다. The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the second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200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sound indicating that the demented patient has deviated from the specific area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320 or transmits the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vibrator 330 Vibration is generated.

이로써, 치매환자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보호자는 쉽게 치매환자가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As a result, a caregiver who is located close to a dementia patient or at a remote location can easily know whether or not a dementia patient has deviated from a specific area.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감지유닛(1100)이 도시되어 있다.5 and 6 show a sensing unit 1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감지유닛(1100)은 제 1 베이스(111)와, 다수의 제 1 전극편(112b)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 및 상호 병렬접속된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1 전극 어레이(112)의 상부에 적층되고 제 1 전극편(112b)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113a)들이 형성된 중간 어레이(113)와, 중간 어레이(113)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베이스(114)와, 제 2 베이스(114)의 저면에 제 1 전극편(112b)들의 배치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전극편(115b)들이 배치 및 상호 병력접속된 제 2 전극 어레이(115)와, 제 1 베이스(111)와 상기 제 2 베이스(114)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116)를 구비한다.The sensing unit 1100 includes a first base 111, a first electrode array 112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ieces 112b are arranged and interconnected in a matrix, An intermediate array 113 o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3a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pieces 112b,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ieces 115b are arranged and mutually connected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pieces 112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114, And a cover 116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base 111 and the second base 114.

제 1 전극 어레이(112)는 다수의 제 1 전극 와이어(112a)들로 전기 접속되는 다수의 제 1 전극편(112b)들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제 1 전극편(112b)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ieces 112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wires 112a. The first electrode pieces 112b are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 predetermined area.

제 2 전극 어레이(115)는 다수의 제 2 전극 와이어(115a)들로 전기 접속되는 다수의 제 2 전극편(115b)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전극편(112b)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편(112b)들과 제 2 전극편(115b)들은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패드부(110)에 하중이 작용할 때 서로 접촉됨으로써 단락된다.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ieces 115b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wires 115a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ore specifically,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piece 112b. The first electrode pieces 112b and the second electrode pieces 115b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are short-circuited when they contact each other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ad unit 110. [

중간 어레이(113)는 도 1 내지 4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 장치와 동일하게 제 1 전극 어레이(112)와 제 2 전극 어레이(115)를 절연시키도록 절연성을 갖고, 패드부(110)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The intermediate array 113 isolates the first electrode array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115 in the same manner as the demented patient w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pad portion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olume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a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load is remo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감지유닛
110 : 패드부
111 : 제 1 베이스
112 : 제 1 전극 어레이
113 : 중간 어레이
114 : 제 2 베이스
115 : 제 2 전극 어레이
116 : 커버
120 : 전원공급부
130 : 전류검출부
140 : 무선송신부
150 : 제어부
200 : 메인중계기
300 : 휴대단말
100: Detection unit
110: pad portion
111: first base
112: first electrode array
113: intermediate array
114: second base
115: second electrode array
116: cover
120: Power supply
130:
140: radio transmission unit
150:
200: Main repeater
300:

Claims (7)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거주영역 내의 특정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특정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 2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 및 신호증폭부를 구비하는 메인중계기와;
상기 메인중계기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치매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에게 알림음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거주영역에 거주하는 정상인과 치매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 상에 다수의 제 1 전극 와이어들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중간 어레이와, 상기 중간 어레이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저면에 소정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전극 와이어들이 배치된 제 2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는 패드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전류가 검출될 때, 상기 메인중계기로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중간 어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출력된 전류 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 1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무선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준 전류치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기준 전류치와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측정 전류치를 비교하여 상기 패드부를 가압하는 대상이 정상인인지 치매환자인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중간 어레이는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를 절연시키도록 절연성을 갖고, 상기 패드부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
A detection unit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within a residence area in which a demented patient resides to detect that the demented patient is departing from the specific area and transmit a first radio signal;
A main repeater including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firs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cond radio signal, and a signal amplifi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repeater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to a guardian protecting the demented patient when the second wireless signal is received,
Wherein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normal person living in the residence area and a dementia patient,
The sensing unit
A first electrode array hav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wir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first bas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array, A second electrode arra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wir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A pad portion having a cover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ad portion,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a power of different polarity to the first electrode array and the second electrode array,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rray or the second electrode array,
And a radio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main repeater when a current is detected in the current detector,
Wherein the identification unit comprises: a load cell installed in the middle array for converting a load applied to the pad un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current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rst wireless signal when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load cell is within a set ran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eference current value with a measured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load cell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pressing the pad unit is a normal or a dementia patient,
The intermediate array has an insulating property to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array from the second electrode array. When the pad unit is vertically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the volume of the intermediate array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oad is removed, Wherein the wris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much as possi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48720A 2013-04-30 2013-04-30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KR101483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720A KR101483288B1 (en) 2013-04-30 2013-04-30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720A KR101483288B1 (en) 2013-04-30 2013-04-30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62A KR20140129862A (en) 2014-11-07
KR101483288B1 true KR101483288B1 (en) 2015-01-15

Family

ID=5245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720A KR101483288B1 (en) 2013-04-30 2013-04-30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2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2B1 (en)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nd a method for caring the dementia patient using the same
KR20220097616A (en) 2020-12-30 2022-07-08 유리예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17B1 (en) 2021-12-29 2024-02-27 (주)기억산책 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dementia judgment system
KR102560638B1 (en) 2021-04-30 2023-07-27 (주)기억산책 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R200497207Y1 (en) * 2021-06-30 2023-08-31 폴스타헬스케어(주) Smart Ma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2A (en) * 1991-08-09 1995-01-13 Paramount Bed Co Ltd Wandering detection means in bed
JPH09327442A (en) * 1996-06-07 1997-12-22 Seiwa Tsushin Syst Kk Aged person attending and supporting system
JP2001228036A (en) * 1999-12-08 2001-08-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Load sensor, load sensor unit and insertion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2A (en) * 1991-08-09 1995-01-13 Paramount Bed Co Ltd Wandering detection means in bed
JPH09327442A (en) * 1996-06-07 1997-12-22 Seiwa Tsushin Syst Kk Aged person attending and supporting system
JP2001228036A (en) * 1999-12-08 2001-08-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Load sensor, load sensor unit and insertion det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2B1 (en)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nd a method for caring the dementia patient using the same
KR20220097616A (en) 2020-12-30 2022-07-08 유리예 Smart shoes and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62A (en)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288B1 (en) Wandering management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US8611321B2 (en) Location tracking system
US10134489B2 (en) Medical pad and a wetness reporting system with such a medical pad
US10257063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communication channel monitoring
EP2834796B1 (en) Monitoring system
US20060290519A1 (en) Two-way wirel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489863B1 (en) Beacon terminal and monitoring system with beacon terminal
US20190038478A1 (en) Diaper
US9746543B2 (en) Localisation system
CN108781320A (en) Wireless body Worn type personal device with loss detection function
WO2017033847A1 (en) Operation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system for monitoring person to be monitore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son to be monitored
KR2019005149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KR101504968B1 (en) The fall patient detection system using IR sensor
KR200459614Y1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KR101420381B1 (en) Two-way digital radio group broadcast system
JP6220816B2 (en)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990118B1 (en) System for detecting accidents in care hospital using radar signals
KR101627188B1 (en) Intelligent house supervision device for house installation
US20150255872A1 (en) Antenna Device, Transmitter Module Using the Antenna Device, and Location Identifying System Using the Transmitter Module
JP2007150435A (en) Communication system
KR101254331B1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KR101363542B1 (en) Voice guiding device of environment
US8558706B1 (en) Wireless alarm intercom system
CN206363470U (en) One kind, which is entered, guides key end storage system
US20230368645A1 (en) Headwall beac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