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403A -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403A
KR20220097403A KR1020227015149A KR20227015149A KR20220097403A KR 20220097403 A KR20220097403 A KR 20220097403A KR 1020227015149 A KR1020227015149 A KR 1020227015149A KR 20227015149 A KR20227015149 A KR 20227015149A KR 20220097403 A KR20220097403 A KR 2022009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electronic device
decoding
user data
har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오 추이
지엔페이 차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9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처리 회로는: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시간 슬롯들에서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각각의 신호는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순간에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 하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본 개시 내용은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롯 집적(slot aggregation)을 사용하는 업링크(uplink) 반복 송신들의 피드백 프로세스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들의 발달로 인해 많은 모바일 응용 서비스들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요건들은 서비스들의 상이한 유형들에 따라 자체적으로 주안점을 둔다. 차세대 통신 기술로서, 5G NR(New Radio)은 3개의 중요한 응용 시나리오들을 고려한다: 초 광대역 무선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대규모 사물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mMTC), 및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URLLC). 이러한 응용 시나리오들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지연 시간(latency)에 대해 대응하는 요건들을 갖는다.
4G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과 유사하게,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계층에서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메커니즘이 5G NR 통신 시스템에 도입되어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HARQ는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FEC) 방법과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ARQ) 방법을 결합하는 기술이며, 여기서 FEC는 송신될 데이터에 중복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수신기가 일부 오류들을 정정할 수 있게 하여 재송신 횟수를 감소시키고,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의 결과에 따라 HARQ 확인응답(HARQ-ACK)을 송신기에 피드백한다. FEC에 의해 정정될 수 없는 오류의 경우, 수신기는 ARQ 메커니즘을 통해 데이터를 재송신하도록 송신기에 요청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3GPP RAN1#98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피드백 정보(Downlink Feedback Information)(DFI)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최소 지속 기간 D, 즉, 송신의 종료 심볼로부터 HARQ-ACK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피드백 정보(Downlink Feedback Information)(DFI)의 시작 심볼까지의 지속 기간을 정의한다. 단일 슬롯 또는 미니-슬롯이 시간-도메인 리소스에 대한 기본 스케줄링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는 업링크 송신의 완료로부터 지속 기간 D가 경과한 후에 수신되는 이 업링크 송신에 대한 HARQ-ACK의 유효성을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슬롯 집적을 이용한 반복 송신들의 특정한 경우도 있는데, 즉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가 연속적인 복수의 슬롯들(집적 슬롯들)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최소 지속 기간 D는 현재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지국 측에서의 특정 디코딩 프로세스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 디바이스는 디코딩 결과에 관해 수신된 피드백이 전체 집적된 슬롯들에 대한 것인지 또는 집적된 슬롯들의 일부에 대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며, 피드백의 유효성을 결정할 수 없어서, 후속 거동이 결정될 수 없다.
따라서, 슬롯 집적을 사용하는 업링크 반복 송신들에 대해, 적절한 최소 지속 기간 D가 정의될 필요가 있고, HARQ 피드백 프로세스에서 기지국 및 사용자 디바이스 양자 모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들과 관련하여, 본 개시 내용은 슬롯 집적을 사용하는 업링크 반복 송신들에 적용 가능한 피드백 프로세스의 다양한 양태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에 관한 간략한 개요가 아래에 주어진다. 그러나, 개요는 본 개시 내용의 완전한 설명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그것은 본 개시 내용의 주요 부분들 또는 중요한 부분들을 특정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이는 단지 본 개시 내용에 관한 일부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후술할 보다 상세한 설명의 미리 보기(preorder)의 역할을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 전자 디바이스는: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해당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통신 방법은: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및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 통신 방법은: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해당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실행될 때,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롯 집적을 사용하는 업링크 반복 송신들의 시나리오에서 적절한 HARQ 피드백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더 나은 이해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들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의 이론 및 이점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도 1은 NR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간략화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한 NR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들을 도시한다.
도 3은 5G NR에서 이용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슬롯 집적을 이용하는 업링크 반복 송신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수신 시작 시간과 HARQ 피드백의 유효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측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측에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측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측에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명료성 및 단순성을 위해, 모든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장치 및 서비스와 관련된 제한들을 준수하기 위한 것과 같이, 개발자들의 특정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요건들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구현들에 특정한 많은 설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제한들은 구현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개발 작업은 복잡하고 지루함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상적인 작업일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불필요한 세부사항들로 인해 본 개시 내용이 모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들 중 일부는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해결책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 및/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들만을 예시하지만, 일부 다른 도면들에서는, 본 개시 내용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기존의 프로세스 단계들 및/또는 디바이스 구조들이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응용 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 내용 및 그의 응용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이 5G NR의 맥락에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본 개시 내용의 응용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니고,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또한, 4G LTE/LTE-A와 같이 흔히 이용되었던 무선 통신 시스템들, 또는 미래에 개발될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되는 아키텍처, 엔티티들(entities), 기능들, 프로세스들 및 그와 유사한 것에 대한 등가물들은 NR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통신 표준들에서 찾을 수 있다.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5G NR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간략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에서, NR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G-RAN) 노드들은 gNB들 및 ng-eNB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gNB는 5G NR 통신 표준에서 새롭게 정의된 노드이고,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5GC)에 접속되며, 단말 디바이스(또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 이하 간단히 "UE"로 지칭)로 종단하는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들(NR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protocols)을 제공한다; ng-eNB는 4G LTE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 정의된 노드이고,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진화된 노드비(evolved NodeB)(eNB)의 업그레이드일 수 있으며,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를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UE와 종단하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들을 제공한다. NG-RAN 노드들(예를 들어, gNB들, ng-eNB들) 사이에는 노드들 간의 상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Xn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하에서, gNB 및 ng-eNB를 총칭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지국"은 위의 2가지 종류의 노드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일 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 표준에서 특정된 gNB 및 ng-eNB 이외에, "기지국"은 또한,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해결책이 적용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예를 들어 LTE 통신 시스템 내의 eNB,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무선 액세스 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드론 관제탑, 자동화된 플랜트(automated plant) 내의 제어 노드, 또는 유사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요소일 수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기지국의 응용 예들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UE"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다양한 단말 디바이스들 또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미의 넓은 범위를 갖는다. 예로서, UE는 모바일 폰, 노트북, 태블릿, 차량 통신 디바이스, 드론, 자동화된 플랜트 내의 센서 및 작동기(actuator)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요소일 수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UE의 응용 예들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의 기지국 및 UE에 대한 NR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가 도 2a 및 도 2b와 함께 다음에 설명된다. 도 2a는 UE 및 기지국의 사용자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스택(radio protocol stack)을 도시하고, 도 2b는 UE 및 기지국의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 1(L1)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이라고도 하는 최하위 계층이다. L1 계층은 신호들에 대한 투명한(transparent) 송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스들을 구현한다.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 2(L2)는 물리 계층 위에 있으며 UE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은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서브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RLC) 서브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서브 계층, 및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SDAP) 서브 계층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평면에서, L2 계층은 MAC 서브 계층, RLC 서브 계층, 및 PDCP 서브 계층을 포함한다.
이들 서브 계층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물리 계층은, 예를 들어, 업링크 방향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및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및 다운링크 방향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을 포함하는 MAC 서브 계층을 위한 전송 채널을 제공하고; MAC 서브 계층은 업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UL-SCH),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다운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DL-SCH),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BCH),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PCH)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RLC 서브 계층을 위한 논리 채널을 제공하며; RLC 서브 계층은 PDCP 서브 계층을 위한 RLC 채널을 제공하고, 이는 결국 SDAP 서브 계층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제공한다. 특히, MAC 서브 계층은 하나의 셀 내의 다양한 무선 리소스들(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리소스 블록들)을 다양한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제어 평면에서, 계층 3(L3)에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서브 계층이 UE 및 기지국에 또한 포함된다. RRC 서브 계층은 무선 리소스들(즉, 무선 베어러들)을 획득하고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또한, UE에서의 NAS(non-access stratum) 제어 프로토콜은 인증, 이동성 관리, 보안 제어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절차는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은 PUSCH를 통해 행해진다. 5G NR은 일반적으로 2개의 업링크 송신 방식들: 코드북(codebook) 기반 송신 및 비-코드북 기반 송신을 지원한다. 코드북 기반 송신을 위해, 기지국은 코드북으로부터 PUSCH 송신 프리코더를 선택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내의 송신 프리코딩 행렬 표시(Transmit Precoding Matrix Indication)(TPMI)를 UE에 제공한다. 비-코드북 기반 송신을 위해, UE는 DCI 내의 광대역 SRS 리소스 표시자(SRS Resource Indicator)(SRI) 필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 프리코더를 결정한다.
MAC 계층으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전송 블록들(Transport Blocks)(TB들)"로서 취급되고, 물리 계층에서 전송 채널에 매핑되기 위해 일련의 업링크 물리 계층 프로세스들을 거칠 필요가 있다. 업링크 물리 계층 프로세스들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전송 블록에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CRC) 추가 -UL-SCH로부터의 전체 전송 블록은 CRC 검사 비트들(check bits)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계산된 검사 비트들은 전송 블록에 추가됨-;
- 코드 블록 분할 및 코드 블록 CRC 추가 -전송 블록은 다수의 코드 블록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코드 블록에 기초하여 검사 비트들이 계산되며, 계산된 검사 비트들은 각각의 코드 블록에 추가됨-;
- 각각의 코드 블록들이 각각 저밀도 패리티 검사(Low Density Parity Check)(LDPC) 코딩되는 채널 코딩;
- 물리 계층에서의 HARQ 처리;
- 레이트 매칭 -LDPC 코드의 레이트 매칭은 각각의 코딩된 블록에 대해 정의되고 비트 선택 및 비트 인터리빙(interleaving)을 포함함- ;
- 예를 들어, UE의 C-RNTI, 새로운 RNTI, TC-RNTI, CS-RNTI, SP-CSI-RNTI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함께일 수 있는 스크램블링(scrambling);
- π/2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BPSK),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QPSK), 16 직교 진폭 변조(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16 QAM), 64QAM 및 256 QAM을 포함하는 변조;
- 계층 매핑, 변환 프리코딩 및 프리코딩;
- 할당된 리소스들 및 안테나 포트들에 매핑.
물리 계층에서의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의 도움으로, 사용자 데이터로서의 비트 스트림은 OFDM 심볼들로 인코딩 및 변조되고, 할당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서빙(serving) 기지국에 송신된다.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위의 신호 프로세스들의 역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5G NR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들 모두는 프레임들로 조직화된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의 도면을 도시한다. LTE/LTE-A와 호환되는 고정된 프레임워크로서, NR 내의 프레임도 10ms의 길이를 가지며, 각각이 1ms인 10개의 동일한 크기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LTE/LTE-A와 달리, NR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달라지는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갖는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구성 가능한 수의 슬롯들, 예를 들어, 1, 2, 4, 8 또는 16을 갖는다. 각각의 슬롯은 또한 구성 가능한 수의 OFDM 심볼들을 가지며, 각각의 슬롯은 일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에 대해서는 14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 또는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서는 12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을 포함한다. 주파수-도메인 차원에서, 각각의 슬롯은 여러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리소스 블록은,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롯 내의 리소스 요소들(RE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그리드(grid)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은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섹션 내의 리소스 요소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리소스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또한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 내의 리소스 요소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송신할 데이터를 갖는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 및/또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BSR)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리소스들이 동적으로 부여(grant)되는 방식에서, 기지국은 리소스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사용하여 PUSCH를 동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랜트(grant)가 구성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식에서, 기지국은 RR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대한 이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사전 구성할 수 있어서, UE는 매번 업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요청하지 않고 PUSCH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시간-도메인 리소스들의 스케줄링은 단일 슬롯 또는 미니 슬롯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시간 슬롯들의 집적을 이용하는 일종의 스케줄링, 즉, UE에 대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한 번에 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적인 슬롯들(집적된 슬롯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있다. 슬롯 집적은 데이터의 반복 송신들을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그랜트의 경우에, RRC 계층 시그널링 ConfiguredGrantConfig 내의 파라미터 repK를 예를 들어 1, 2, 4 또는 8로 구성함으로써, UE는 PUSCH 송신 동안 해당 개수의 연속적인 슬롯들 상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송신하여, 예를 들어 채널 상태가 열악할 때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반복 송신들에 대한 피드백 프로세스는 업계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한편, RAN1#98은, PUSCH 송신의 종료 심볼로부터 그 PUSCH 송신에 대한 HARQ-ACK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피드백 정보(DFI)의 시작 심볼까지인, RRC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최소 지속 기간 D를 정의한다. 최소 지속 기간 D를 설정하는 이유는 기지국에서의 수신 및 디코딩을 위해 특정 시간이 필요하므로, 피드백이 UE에 즉시 제공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파라미터를 구성함으로써, PUSCH 송신의 완료 후에, UE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최소 지속 기간 D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그의 통신 모듈을 유휴 상태로 둘 수 있거나, HARQ-ACK 수신을 기다리면서 항상 채널을 모니터링할 필요 없이, 최소 지속 기간 D에 대응하는 기간 내에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다른 송신 또는 수신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정의된 최소 지속 기간 D는 단지 비-반복 PUSCH 송신들에 대한 것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최소 지속 기간 D가 반복 PUSCH 송신들에 대해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UE가 PUSCH 송신의 완료 후 항상 채널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통신 모듈의 에너지 절약 및 작동 효율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비-반복 PUSCH 송신에서와 같이, 반복 PUSCH 송신들의 종료 심볼로부터 HARQ-ACK를 운반하는 DFI의 시작 심볼까지의 기간이 최소 지속 기간 D로서 정의된다면, 이것은 기지국이 제1 슬롯에서 송신된 신호로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했다 하더라도, HARQ-ACK를 UE에 송신하기 이전에, 구성된 최소 지속 기간 D 뿐만 아니라 모든 슬롯에서 송신의 완료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지연 시간을 확실히 증가시킨다.
한편, 기지국에서의 디코딩 프로세스는 UE에 대해 애그노스틱(agnostic)이다, 즉, UE는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HARQ-ACK들이 집적 슬롯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것인지를 알지 못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제1 슬롯에서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못하고, 디코딩에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NACK를 UE에 송신한다고 가정하면, UE는 수신한 NACK의 유효성을 결정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UE는 NACK가 의미하는 것이 모든 집적 슬롯들에서 송신된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어서 재송신해야 하는 것인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해서 가능한 후속 ACK 또는 NACK를 기다려야 하는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개시 내용은 슬롯 집적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최소 지속 기간의 정의를 제공하고, 다운링크 피드백 정보의 해석을 모호하지 않게 하는 HARQ 피드백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도 4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구성된 그랜트의 방식으로 UE에 대한 PUSCH 리소스 할당을 반-고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E에 대한 BWP 정보 요소에서 ConfiguredGrantConfig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ConfiguredGrantConfig는, 예를 들어, 시간 도메인 할당 파라미터 timeDomainAllocation(PUSCH 매핑 유형, 시작 심볼 및 길이의 조합을 나타냄) 및 주파수 도메인 할당 파라미터 frequencydomainallocation과 같은, UE에 사전 구성된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파라미터 mcsAndTBS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타겟 코드 레이트(target code rate) 및 전송 블록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onfiguredGrantConfig는 또한 파라미터 repK를 1보다 큰 값(예를 들어, 2, 4, 8 등) -repK 값은 반복횟수를 나타냄- 으로 구성함으로써 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반복 송신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반복 송신들이 활성화되면, repK-RV는 또한 사용될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RV) 시퀀스를 나타내는 ConfiguredGrantConfig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repK가 4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UE는 할당된 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동일한 사용자 데이터를 4회 반복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PUSCH에 의해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하나의 전송 블록(TB)에 대응한다. 즉, UE는, 도 4에 도시된 TB #0, TB #1, TB #2, TB #3과 같이, 동일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TB를 4번 반복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미리 구성된 파라미터 repK-RV에 따라, repK-RV에 대응하는 리던던시 버전 시퀀스에 따라서 각각의 TB에 리던던시 버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pK=4 반복들에서의 n번째 송신 기회(즉, n번째 슬롯에서의 송신)에 대해, TB에 적용될 리던던시 버전은 리던던시 버전들의 구성된 시퀀스에서의 (mod(n-1,4) + 1) 값에 대응한다. 따라서, 해당 반복들로 송신될 전송 블록들 TB #0, TB #1, TB #2 및 TB #3은 각각 동일한 사용자 데이터 및 각각의 리던던시 버전들을 포함한다.
구성된 그랜트의 시나리오에서, PUSCH 송신을 위해 UE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UE는 가장 최근의 이용 가능한 송신 기회들에서 이들 전송 블록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블록 TB #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블록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RC) 추가, 코드 블록 분할 및 코드 블록 CRC 추가, 채널 코딩, 물리 계층 HARQ 처리,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변조, 계층 매핑, 변환 프리코딩 및 프리코딩, 및 할당된 리소스들 및 안테나 포트들에 대한 매핑을 거친 후에, 구성된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제1 슬롯에서 송신될 것이다.
5G NR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송신들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동기식 증분 리던던시(asynchronous incremental redundancy)로 HARQ를 지원한다. HARQ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정지 및 대기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TB를 송신한 후에, 송신기는 확인 응답 정보를 기다리기 위해 정지한다. 수신기는 1 비트로 TB에 대해 긍정(ACK) 또는 부정(NACK) 확인 응답을 행한다. 그러나, 송신기가 각각의 송신 후에 확인 응답을 기다리기 위해 정지하므로 처리량은 낮을 것이다. 따라서, 송신기는 다수의 병렬 HARQ 프로세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HARQ 프로세스가 확인 응답 정보를 기다리는 동안, 송신기는 다른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속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HARQ 프로세스들은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들을 허용하면서 정지-및-대기 프로토콜을 통합하는 HARQ 엔티티를 함께 구성한다.
각각의 HARQ 프로세스는 하나의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TTI)에서 하나의 TB만을 처리한다. 수신 측에서, 각각의 HARQ 프로세스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소프트 결합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인 HARQ 버퍼를 가질 필요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송신될 전송 블록들 TB #0, TB #1, TB #2, TB #3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어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즉, HARQ 프로세스 ID)를 갖는다. HARQ 프로세스는 제1 슬롯에서 PUSCH 상에서 제1 전송 블록 TB #0를 전송하고, 제2 슬롯에서 PUSCH 상에서 제2 전송 블록 TB #1을 전송하는 등등을 할 수 있다.
수신기인 기지국은 TB #0, TB #1, TB #2, TB #3을 운반하는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복조, 디스크램블링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신호 처리 후에 신호들을 HARQ 버퍼에 저장한다. 기지국은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디코딩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한 디코딩은 TB #0을 운반하는 신호가 수신된 직후에 시작될 수 있다. 디코딩의 결과는 신호의 품질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가 양호한 경우, 기지국은 신호에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지만, 간섭이 심한 경우에는, 기지국은 신호에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다. TB #0에 대한 신호를 사용하는 디코딩이 실패하면, 기지국은 HARQ 버퍼에 저장된 TB #0에 대한 신호 및 이후에 수신되는 TB #1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들을 사용하여 공동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디코딩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TB #0 및 TB #1에 대한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다면, 기지국은 HARQ 버퍼에 저장되는 TB #0, TB #1에 대한 신호들, 및 이후에 수신되는 TB #2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고, 3개를 사용하여 공동 디코딩을 수행하는 등등을 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ACK 또는 실패한 디코딩을 나타내는 NACK를 UE에 피드백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의 특정 피드백 설정들에 따라, 기지국은 각각의 슬롯에서 수신된 신호의 디코딩이 완료된 후에 HARQ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거나, 최종 디코딩 결과가 나온 후에 HARQ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에서의 디코딩 프로세스 및 피드백 메커니즘은 UE에 대해 애그노스틱이기 때문에, 고려되는 가장 이른 케이스는 TB #0의 신호를 디코딩할 때 기지국이 ACK 또는 NACK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 집적의 경우, HARQ 피드백을 수신하기 전의 최소 지속 기간 D는 제1 슬롯에서 전송 블록의 송신/수신의 완료(즉, 전송 블록의 종료 심볼의 송신/수신의 완료)로부터 관련 HARQ 피드백을 운반하는 DFI의 수신/송신의 시작(즉, DFI의 시작 심볼의 수신/송신의 시작)까지의 기간으로서 정의된다. 즉,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UE는 마지막 전송 블록(TB #3)의 종료 심볼의 송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최소 지속 기간 D가 경과한 후에 HARQ 피드백을 수신하는 대신에, 제1 전송 블록(TB #0)의 종료 심볼의 송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최소 지속 기간 D가 경과한 후에 가장 빨리 HARQ 피드백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마지막 전송 블록(TB #3)의 종료 심볼의 수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최소 지속 기간 D가 경과한 후에 HARQ 피드백을 송신하는 대신에, 제1 전송 블록(TB #0)의 종료 심볼의 수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최소 지속 기간 D가 경과한 후에 가장 빨리 HARQ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UE와 기지국 사이의 전자기파의 전파 시간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짧기 때문에, UE에서의 송신과 기지국에서의 수신, 또는 UE에서의 수신과 기지국에서의 송신이 동기화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롯 집적의 시나리오에서, HARQ 피드백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전의 최소 지속 기간 D는, 반복 송신들 전체를 참조하기보다는, 반복 송신들의 제1 송신을 참조하여 정의된다. 정의된 최소 지속 기간 D의 단위는 슬롯들의 수, 심볼들의 수, 또는 절대 시간(예를 들어, ms)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측정 기준들(metrics)이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SCS)을 고려하여 서로 스케일링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슬롯 지속 기간 "T slot "은 슬롯들의 수, 심볼들의 수, 또는 절대 시간과 같은, 최소 지속 기간 D와 동일한 미터링(metering)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지속 기간 D가 슬롯들의 수를 나타낼 때 T slot 은 1개의 슬롯을 나타낼 수 있고; 최소 지속 기간 D가 심볼들의 수를 나타낼 때 T slot 은 1개의 슬롯 내의 심볼들의 수(예를 들어, 12개 또는 14개의 심볼)일 수 있고; 최소 지속 기간 D가 절대 시간을 나타낼 때 T slot 은 1개의 슬롯의 지속 기간을 나타낼 수 있는 등등이다.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TDD) 통신의 경우, UE는 스케줄링된 반복 송신 동작이 완료된 후에만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최소 지속 기간 D는 이후의 반복 송신(들)의 지속 기간보다 짧지 않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 최소 지속 기간 D는 3개의 슬롯의 길이보다 짧지 않아서, UE의 통신 모듈은 TB #1, TB #2 및 TB #3의 송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소 지속 기간 D를 정의함으로써, UE는 기지국이 각각의 전송 블록에 대한 HARQ 피드백을 전송하더라도, 항상 채널을 모니터링할 필요 없이 HARQ 피드백을 누락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HARQ 피드백(특히 NACK)이 수신되는 타이밍에 따라 피드백의 유효성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및 UE에 의해 구현되는 HARQ 피드백은 특정 디코딩 경우들에 대해 이하에서 논의되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TB #0의 신호 송신 또는 수신 완료 타이밍이 t end 라고 가정된다:
1) TB #0에 대한 신호의 디코딩과 관련하여, 기지국은 t end + D 이후의 타이밍에서 TB #0의 신호의 디코딩과 연관된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피드백 정보(DFI#0)를 송신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ACK일 수 있으므로, UE는 기지국이 송신된 데이터를 획득했음을 알게 되어 ACK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고, 반복적인 송신들과 연관된 HARQ 프로세스를 종료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NACK일 수 있고, UE는 NACK가 수신된 타이밍이 t end + D + (repK-1) T slot 이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그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NACK는 최종 디코딩 결과가 아니므로 NACK가 무효인 것으로 결정한다.
2) TB #0에 대한 신호의 디코딩이 실패하면, 기지국은 TB #0에 대한 신호 및 TB #1에 대해 이후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공동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TB #0 및 TB #1에 대한 신호들의 공동 디코딩과 관련하여, 기지국은 t end + D + T slot 이후의 타이밍에 이 공동 디코딩과 연관된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DFI #1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ACK일 수 있고, UE는 기지국에서의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알 것이며, 반복 송신들과 연관된 HARQ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대안적으로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NACK일 수 있고, UE는 NACK가 수신되는 타이밍이 t end + D + (repK-1) T slot 이전인지를 결정하며, 만약 그렇다면, 그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NACK는 최종 디코딩 결과가 아니므로 NACK가 무효한 것으로 결정한다.
3) TB #0 및 TB #1에 대한 신호들의 공동 디코딩이 실패하면, 기지국은 TB #0 및 TB #1에 대한 신호들 및 TB #2에 대해 이후에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공동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TB #0, TB #1 및 TB #2에 대한 신호들의 공동 디코딩과 관련하여, 기지국은 t end + D + 2*T slot 이후의 타이밍에 이 공동 디코딩과 연관된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DFI #2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ACK일 수 있고, UE는 기지국에서의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알 것이며, 반복 송신들과 연관된 HARQ 프로세스를 종료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NACK일 수 있고, UE는 NACK가 수신되는 타이밍이 t end + D + (repK-1) T slot 이전인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그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NACK는 최종 디코딩 결과가 아니므로 NACK가 무효한 것으로 결정한다.
4) TB #0, TB #1 및 TB #2에 대한 신호들에 대한 공동 디코딩이 실패하면, 기지국은 TB #0, TB #1 및 TB #2에 대한 신호들 및 TB #3에 대해 이후에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공동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TB #0, TB #1, TB #2 및 TB #3에 대한 신호들의 공동 디코딩을 위해, 기지국은 t end + D + 3*T slot 이후의 타이밍에 이 공동 디코딩과 연관된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DFI #3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ACK일 수 있고, UE는 기지국에서의 디코딩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알 것이며, 반복 송신들과 연관된 HARQ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대안적으로 이 피드백은 디코딩이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NACK일 수 있고, UE는 NACK가 수신되는 타이밍이 t end + D + (repK-1) T slot 이후라고 결정하며, UE는 반복 송신된 신호들 전부에 기초한 디코딩이 실패했다는 것을 알 것이고 NACK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다. UE는 구성된 그랜트를 갖는 집적된 슬롯들의 다음 세트 상에서 TB #0 ~ TB #3을 재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NACK가 t end + D + (repK-1) T slot 후에 한 번만 송신되도록 제한되어, 너무 많은 무효 NACK들을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ACK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t end + D 이후의 임의의 시간에 송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점 임계값 t end + D + (repK-1) T slot 이 설계되어, UE는 HARQ 피드백이 수신되는 타이밍을 이 시점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HARQ 피드백의 유효성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또한 송신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HARQ 피드백에 유효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수신 시작 시간과 HARQ 피드백의 유효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반복 송신들을 위해 스케줄링된 집적 슬롯들은 UE에 대한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COT) 내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발명자들은 스케줄링된 집적 슬롯들의 일부가 UE의 COT 외부에 있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이것은 UE가 단일 COT 내에서 구성된 repK 반복 송신들을 완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결책으로서, UE는 현재 COT 내에 있지 않은 반복 송신들을 포기할 수 있는데, 즉 UE가 실제로 완료하는 반복 송신들의 수 repK actual 은 재송신들의 구성된 수보다 작다. 이 때, 앞서 정의된 시점 임계값 t end + D + (repK-1) T slot t end + D + (repK actual -1) T slot 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통신 시스템은 COT들에 걸친 반복 송신들을 지원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데, 즉, 현재 COT에서 완료되지 않은 반복 송신들은 다음 COT에서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정의된 시점 임계값 t end + D + (repK-1) T slot t end + D + (repK-1) T slot + T cot 로 변경되어야 하며, 여기서 T cot 는 2개의 COT 사이의 지속 기간이다. T cot 는 통상적으로 길기 때문에, HARQ 피드백의 지연 시간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UE는 repK를 수정하고, 수정된 repK를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gNB에 통지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정의된 시점 임계값 T cot 에서의 repK는 수정된 반복 송신들 횟수이다. 이 해결책은 시그널링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통신 방법이 다음에 설명된다.
도 6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UE 또는 UE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처리 회로(101)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101)는 적어도 송신 유닛(102) 및 수신 유닛(103)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101)는 도 6b에 예시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01)는 UE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혼합 신호(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조합) 회로의 다양한 구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처리 회로(101)의 송신 유닛(102)은 연속적인 시간 슬롯들에 걸쳐 gNB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에 복수의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즉, 도 6b의 단계 S101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된 신호들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신호들 각각은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들의 송신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유닛(103)은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도록, 즉, 도 6b의 단계 S2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갖는다.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은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마지막 신호의 송신 완료까지의 기간과 같거나 더 길다.
처리 회로(101)는 HARQ 피드백의 수신 시작 타이밍에 기초하여 HARQ 피드백의 유효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신호의 송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하기 전에 수신된 NACK는 무효인 것으로 결정되고, 여기서 D는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며, repK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수이고, T slot 은 각각의 슬롯의 길이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통신 유닛(105)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05)은 처리 회로(101)의 제어 하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통신 유닛(105)은, 다른 통신 구성요소들 중에서, 안테나 어레이 및/또는 무선 주파수 링크를 포함한 송수신기(transceiver)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5)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메모리(1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6)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 회로(101)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 통신 유닛(105)에 의해 전송 또는 수신된 다양한 제어 시그널링 또는 트래픽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6)는 또한 처리 회로(101) 내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도 7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기지국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기지국 디바이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0)는 처리 회로(201)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201)는 적어도 수신 유닛(202), 디코딩 유닛(203), 및 송신 유닛(204)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201)는 도 7b에 도시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201)는 기지국 디바이스에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혼합 신호(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조합) 회로의 다양한 구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수신 유닛(202)은 연속적인 시간 슬롯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즉, 도 7b의 단계 S201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신호는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상이한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신호들의 송신들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유닛(202)은 HARQ 프로세스와 연관된 HARQ 버퍼에 복수의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디코딩 유닛(203)은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즉, 도 7b의 단계 S2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코딩 유닛(203)은 HARQ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프트-결합함으로써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코딩 유닛(203)에 의한 디코딩의 결과에 응답하여, 송신 유닛(204)은,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수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송신 유닛(204)은 제1 신호의 수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할 때까지 NACK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코딩 유닛(203)이 사용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송신 유닛(204)은 제1 신호의 수신 완료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ACK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통신 유닛(2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205)은 처리 회로(201)의 제어 하에서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 유닛(205)은 다른 통신 구성요소들 중에서, 안테나 어레이들 및/또는 무선 주파수 링크들을 포함하는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205)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2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또한 메모리(2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전자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 처리 회로(201)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 통신 유닛(205)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및 그와 유사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또한 처리 회로(201) 내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2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도시된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 배열, 유형, 개수 등, 포트들, 기준 신호들,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방법들 및 그와 유사한 것이 본 개시 내용의 양태들을 이러한 특정 예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들(100 및 200)의 유닛들은 유닛들에 의해 구현된 특정한 기능들에 따라 분할된 논리 모듈들일 뿐이고, 특정한 구현 방식을 제한하는 데 이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상기 유닛들은 독립적인 물리적 엔티티들로서 구현되거나, 단일 엔티티(예를 들어, 프로세서(CPU 또는 DSP 등), 집적 회로 등)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처리 회로들(101 및 201)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주문형 집적 회로(ASIC), 개별 프로세서 코어의 부분들 또는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 개별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 및/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시스템과 같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메모리들(106 및 206)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들(106 및 206)은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들(100 및 200)의 유닛들은 유닛들에 의해 구현된 특정한 기능들에 따라 분할된 논리 모듈들일 뿐이고, 특정한 구현 방식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상기 유닛들은 독립적인 물리적 엔티티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단일 엔티티(예를 들어, 프로세서(CPU 또는 DSP 등), 집적 회로 등)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구현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 내용의 개념들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들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구현들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사용자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수신되면, 이러한 HARQ 피드백이 무효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D는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며, repK는 송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수이고, T slot 은 각각의 슬롯의 지속 기간인, 전자 디바이스.
3).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수신되면, 이러한 HARQ 피드백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고, 복수의 신호들을 재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그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경우, HARQ 피드백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단일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 복수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신호들 각각은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각자의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7). 2)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은 (repK-1)*T slot 이상인, 전자 디바이스.
8). 1)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들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9). 제어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9)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사용자 데이터가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디코딩되는 것에 응답하여, 그 타이밍에서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9)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제1 신호의 수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할 때까지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을 송신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D는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며, repK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수이고, T slot 은 각각의 슬롯의 지속 기간인, 전자 디바이스.
12) 9)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복수의 신호들 중 현재 수신된 신호와 이전에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10)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신호들은 단일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9)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신호들 각각은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각각의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9)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은 (repK-1)*T slot 이상인, 전자 디바이스.
16).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및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통신 방법으로서,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실행될 때, 16) 또는 17)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본 개시 내용의 응용 예들]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기지국들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지국들에 설치될 수 있고,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다양한 기지국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동작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지국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기지국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되어 전술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인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무선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국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언급된 기지국들은 바람직하게는 3GPP 5G NR 표준에서 정의된 매크로(macro) gNB 또는 ng-eNB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gNB는 피코(pico) gNB, 마이크로(micro) gNB, 및 홈(펨토(femto)) gNB와 같이,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cell)을 커버하는 gNB일 수 있다. 대신에, 기지국은 NodeB, eNodeB 및 BTS(base transceiver station)와 같은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지국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본체, 및 본체와 상이한 장소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RRH), 무선 릴레이, 드론 관제탑, 자동화된 플랜트 내의 제어 유닛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용 게임 단말, 휴대용/동글 유형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와 같은 차량 내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사물 통신(machine-to-machine(M2M)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단말(사물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 단말이라고도 함), 드론, 자동화된 플랜트 내의 센서 또는 작동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들 각각에 탑재된 (단일 다이(die)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기지국의 제1 응용예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기지국은 gNB(1400)로서 구현된다. gNB(1400)는 복수의 안테나(1410) 및 기지국 디바이스(1420)를 포함한다. 기지국 디바이스(1420) 및 각각의 안테나(141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본 명세서에서의 gNB(1400)(또는 기지국 디바이스(1420))는 전술한 전자 디바이스(200)에 대응할 수 있다.
안테나(14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한다. 안테나들(1410)은,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1420)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1410)은 gNB(14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420)는 컨트롤러(1421), 메모리(14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상위 계층에서 기지국 디바이스(1420)의 다양한 기능들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2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 회로(201)를 포함하거나, 도 7b에 설명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들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를 통해 전달한다. 컨트롤러(1421)는 다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s)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하여 번들링된 패킷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링된 패킷들을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421)는 무선 리소스 제어, 무선 베어러 제어,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 및 스케줄링과 같은 제어들을 수행하는 논리적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제어들은 근처의 g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4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14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는 기지국 디바이스(1420)를 코어 네트워크(1424)(예를 들어, 5G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14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gNB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gNB(1400)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gNB들은 S1 인터페이스 및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는 또한 무선 백홀 라인(wireless backhaul line)을 위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는 무선 통신을 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는 5G NR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1410)를 통해 gNB(1400)의 셀에 위치한 단말과의 무선 연결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BB) 프로세서(1426) 및 RF 회로(1427)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426)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L1,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과 같은 계층들에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421)의 대안으로서, BB 프로세서(1426)는 전술한 논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14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들을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BB 프로세서(1426)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디바이스(1420)의 슬롯에 삽입된 카드 또는 블레이드(blade)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은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장착된 칩일 수 있다. 한편, RF 회로(1427)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4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도 8은 하나의 RF 회로(1427)가 하나의 안테나(1410)에 연결되는 예를 예시하지만, 본 개시 내용은 이 예시로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RF 회로(1427)는 동시에 다수의 안테나(14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4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1426)는 gNB(14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는 복수의 RF 회로(14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4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8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426) 및 복수의 RF 회로(14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426) 또는 단일 RF 회로(14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gNB(1400)에서,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201)에 포함된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142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gNB(14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426)) 또는 전체, 및/또는 컨트롤러(14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즉,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gNB(140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426)) 및/또는 컨트롤러(14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gNB(1400), 기지국 디바이스(14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의 제2 응용예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개략적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기지국은 gNB(1530)로서 도시된다. gNB(1530)는 다수의 안테나들(1540), 기지국 장비(1550), 및 RRH(1560)를 포함한다. RRH(1560) 및 각각의 안테나(154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 장비(1550) 및 RRH(1560)는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고속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현 방식에서, 본 명세서에서의 gNB(1530) (또는 기지국 디바이스(1550))는 전술한 전자 디바이스들(200)에 대응할 수 있다.
안테나들(1540)은 대규모 MIMO를 위한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1540)은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1550)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1540)은 gNB(15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1550)는 컨트롤러(1551), 메모리(15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 및 접속 인터페이스(1557)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551), 메모리(15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3)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컨트롤러(1421), 메모리(14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23)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는 5G NR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RRH(1560) 및 안테나(1540)를 통해 RRH(1560)에 대응하는 섹터에 위치한 단말에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556)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556)는 BB 프로세서(1556)가 접속 인터페이스(1557)를 통해 RRH(1560)의 RF 회로(1564)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BB 프로세서(1426)와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55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556)은 gNB(15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5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55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557)는 기지국 디바이스(15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를 RRH(1560)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557)는 또한 기지국 디바이스(15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55))를 RRH(1560)에 연결하는 전술한 고속 라인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RRH(1560)는 접속 인터페이스(15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를 포함한다.
접속 인터페이스(1561)는 RRH(156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를 기지국 디바이스(1550)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561)는 또한 전술한 고속 라인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는 안테나(154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RF 회로(1564)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156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54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도 9는 하나의 RF 회로(1564)가 하나의 안테나(1540)에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지만, 본 개시는 이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RF 회로(1564)는 동시에 다수의 안테나(15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는 복수의 RF 회로(15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1564)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가 복수의 RF 회로(15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63)는 단일 RF 회로(15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gNB(1500)에서,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2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유닛들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25)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152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5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526)) 또는 전체, 및/또는 컨트롤러(15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즉,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gNB(150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526)) 및/또는 컨트롤러(15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gNB(1500), 기지국 디바이스(15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1 응용예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1600)의 개략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 예에서, 스마트폰(1600)은 본 개시 내용에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600)은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2), 저장 디바이스(16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 카메라 디바이스(1606), 센서(1607), 마이크(1608), 입력 디바이스(16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 스피커(16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615), 하나 이상의 안테나(1616), 버스(1617), 배터리(1618), 및 보조 컨트롤러(16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일 수 있고, 스마트폰(16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다른 계층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601)는 도 6a을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101)를 포함하거나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메모리(16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60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저장 디바이스(16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을 스마트폰(1600)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 디바이스(1606)는 CCD(charge-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1607)는 측정 센서,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08)는 스마트폰(1600)에 입력된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16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1600)의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1611)는 스마트폰(1600)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4G LTE, 5G NR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6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6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6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가 집적되는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다수의 BB 프로세서(1613) 및 다수의 RF 회로(16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613) 및 복수의 RF 회로(16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613) 또는 단일 RF 회로(16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방식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1613) 및 RF 회로(16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스위치(161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1616)의 접속 목적지(connection destination)를 스위칭한다.
안테나(1616)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한다. 안테나(1616)는,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이용된다. 스마트폰(16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6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16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615)는 스마트폰(16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1617)는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2), 저장 디바이스(16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604), 카메라 디바이스(1606), 센서(1607), 마이크(1608), 입력 디바이스(16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10), 스피커(16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 및 보조 컨트롤러(1619)를 서로 연결한다. 배터리(1618)는 공급 장치(feeder)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스마트폰(160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 장치는 부분적으로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조 컨트롤러(1619)는 예를 들어, 절전 모드에서 스마트폰(1600)의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들을 동작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스마트폰(1600)에서,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1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유닛들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601) 또는 보조 컨트롤러(1619)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16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또는 전체, 및/또는 프로세서(16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16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처리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즉,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160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6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613)), 프로세서(16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1619)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160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2 응용예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개략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디바이스(1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프로세서(1721), 메모리(17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724), 센서(1725), 데이터 인터페이스(1726), 콘텐츠 플레이어(17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728), 입력 디바이스(1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 스피커(173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736), 하나 이상의 안테나(1737), 및 배터리(1738)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본 개시 내용에 설명된 바와 같이 UE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일 수 있고,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내비게이션 기능들 및 다른 기능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7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72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GPS 모듈(17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위치를 측정한다. 센서(1725)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공기압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7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을 통해 차량 내 네트워크(1741)에 연결되고, 차량에 의해 생성된 (차량 속도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1727)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1728)에 삽입되는 CD 및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172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1731)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사운드 또는 재생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4G LTE 또는 5G NR과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734)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1735)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737)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또한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가 집적되는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복수의 BB 프로세서(1734) 및 복수의 RF 회로(17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1734) 및 복수의 RF 회로(17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또한 단일 BB 프로세서(1734) 또는 단일 RF 회로(17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LAN 방식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1734) 및 RF 회로(17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1736) 각각은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을 위한 회로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1737)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173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한다. 안테나(1737)는,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17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1736)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1738)는 공급 장치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의 각각의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 장치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1738)는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축적한다.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에서,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회로(1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유닛들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72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또는 전체, 및/또는 프로세서(17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처리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즉,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734)) 및/또는 프로세서(1721)는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 또는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은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720), 차량 내 네트워크(1741), 및 차량 모듈(17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내 시스템(또는 차량)(1740)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모듈(1742)은 차량 속도, 엔진 속도, 및 고장 정보와 같은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내 네트워크(1741)에 출력한다.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은 절대로 위의 예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형들을 할 수 있고, 이러한 개조 및 변형들은 본 개시 내용의 기술의 범위 내에 확실히 속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기능들은 별도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모듈들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들은 각각 별도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의 기능들 중 하나는 다수의 모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들은 본 개시 내용의 기술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도들에서 설명되는 단계들은 시간 순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뿐만 아니라, 병렬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되지만 반드시 시간 순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닌 프로세스들도 포함한다. 또한, 시간 순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에서도, 물론, 순서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 및 그 이점들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include)", "포함한다(comprise)" 또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들은 비-배타적인 포함으로 의도되어, 일련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는 이러한 요소들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것들, 또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것들을 포함한다. 추가 제한들의 경우에, "하나를 포함한다"라는 문장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추가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사용자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복수의 신호들을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수신되면, 이러한 HARQ 피드백이 무효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D는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며, repK는 송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수이고, T slot 은 각각의 슬롯의 지속 기간인,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수신되면, 이러한 HARQ 피드백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들을 재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이 상기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경우, 상기 HARQ 피드백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단일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COT) 내에 상기 복수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각자의 리던던시(redundancy) 버전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은 (repK-1)*T slot 이상인,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HARQ 피드백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9. 제어 디바이스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며;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상기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들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디코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밍에서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완료로부터 (D + (repK-1)*T slot )이 경과할 때까지 디코딩 실패를 나타내는 HARQ 피드백을 송신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D는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며, repK는 수신된 상기 복수의 신호들의 수이고, T slot 은 각각의 슬롯의 지속 기간인,
    전자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현재 수신된 신호와 이전에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들은 단일 채널 점유 시간(COT) 내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더하여 각각의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은 (repK-1)*T slot 이상인, 전자 디바이스.
  16.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들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통신 방법으로서
    연속적인 슬롯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들 각각은 반복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제1 신호의 송신 완료로부터 미리 구성된 지속 기간이 경과한 후의 타이밍에서, 상기 디코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들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실행될 때,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15149A 2019-11-08 2020-11-03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200974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89379.7 2019-11-08
CN201911089379.7A CN112787773A (zh) 2019-11-08 2019-11-08 电子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PCT/CN2020/126097 WO2021088789A1 (zh) 2019-11-08 2020-11-03 电子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403A true KR20220097403A (ko) 2022-07-07

Family

ID=7574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49A KR20220097403A (ko) 2019-11-08 2020-11-03 전자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171325A1 (ko)
EP (1) EP4057544A4 (ko)
JP (1) JP2023500355A (ko)
KR (1) KR20220097403A (ko)
CN (2) CN112787773A (ko)
AU (1) AU2020379699A1 (ko)
CA (1) CA3156744A1 (ko)
MX (1) MX2022004994A (ko)
WO (1) WO20210887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6665A1 (en) * 2009-10-02 2011-04-06 Panasonic Corporation Relay backhaul uplink HARQ protocol
CN115347998A (zh) * 2016-12-16 2022-11-15 苹果公司 基带电路、ue和基站
US11246155B2 (en) * 2018-03-27 2022-02-08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feedback in unlicensed new radio
CN109565839B (zh) * 2018-09-19 2021-05-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56744A1 (en) 2021-05-14
AU2020379699A1 (en) 2022-06-23
CN112787773A (zh) 2021-05-11
WO2021088789A1 (zh) 2021-05-14
CN114762277A (zh) 2022-07-15
US20240171325A1 (en) 2024-05-23
JP2023500355A (ja) 2023-01-05
EP4057544A4 (en) 2022-12-28
MX2022004994A (es) 2022-05-16
EP4057544A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7752B1 (en)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9320031B2 (en) Mobil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05716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8605313B (zh) 终端装置、基站装置和通信方法
RU2737389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работы с интервалом времени передачи при дуплексной передаче с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JP5680746B2 (ja) キャリア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0447283B (zh) 无线通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US2019016587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20048994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TWI744259B (zh) 用於使用tdd子訊框結構中的共用上行鏈路短脈衝來去耦合上行鏈路延時的方法和裝置
US20240106577A1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9005323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of Soft Buffers
CN113472489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222035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bled harq processes
US20230231660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749638B2 (en) Soft buffer handling with limited memory access bandwidth
EP3874637B1 (en) Harq-ack handling with multiple pucch in multi-trp transmission in nr
CN110140317B (zh) 解码部分无线电传送
EP3944538B1 (en) Trigger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reporting for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CN108028729B (zh) 用于控制反馈传输的定时的方法和装置
EP4057544A1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892284A (zh) 无线通信中的传输块重传的减少的准备时间
WO2024077457A1 (en) Subframe bas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