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389A -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389A
KR20220097389A KR1020227012821A KR20227012821A KR20220097389A KR 20220097389 A KR20220097389 A KR 20220097389A KR 1020227012821 A KR1020227012821 A KR 1020227012821A KR 20227012821 A KR20227012821 A KR 20227012821A KR 20220097389 A KR20220097389 A KR 2022009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link
communication
interferen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아이오
류이치 히라타
시게루 스가야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9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Link간 간섭을 적절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제1 간섭 정보와,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본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본 기술은, 특히, Link간 간섭을 적절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에서의 데이터 용량의 확대 및 최대 스루풋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 실현 방법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Multi-Link Operation(이하, MLO라고 함)이 주목받고 있다. MLO에 대해서는, IEEE802.11의 차세대 규격으로 규격화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MLO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인 MLO 단말기에서는,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동작을 각 Link에서 적절히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적절히,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MLO 단말기의 동작을 STR(Simultaneously Tx And Rx) 동작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떤 MLO 단말기가, 2개의 Link인 Link A와 Link B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 Link A 쪽이 Link B보다 높은 PHY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Link A의 데이터 송신 쪽이, Link B의 데이터 송신보다 빨리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사용할 수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나 대역폭이 Link마다 상이한 것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송신 측의 MLO 단말기로부터 보자면,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송신을 계속하면서, Link A를 통하여, Block Ack를 먼저 수신하고, 다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TR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이, Link A를 사용하여 단말기 A와의 사이에서 DL(Down Link) 통신을 한창 행하고 있는 중에, Link B를 사용하여 단말기 B와의 사이에서 UL(Up Link) 통신을 행하는 식의 Full Duplex 통신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MLO 단말기는, STR 동작을 행함으로써, 더 효율이 높은 MLO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8746호 공보
MLO 단말기에서 STR 동작을 행하는 경우, 자신의 장치 내의 Link간 간섭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어떤 MLO 단말기가, Link A를 통하여 신호를 한창 수신하고 있는 중에, Link B를 통하여 다른 신호의 송신을 개시했을 경우, Link B의 송신 신호가 Link A의 수신부에 간섭 신호로서 들어가서, Link A를 통하여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품질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Link간 간섭을 저감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든 MLO 단말기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Link간 간섭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Link간 간섭의 영향의 정도는, MLO 단말기의 실장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Link간 간섭을 적절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에서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가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에서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취득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Link간 간섭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MLO 통신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STR Trigger Frame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Trigger Type subfield의 값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STR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Trigger Dependent User Info subfield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AP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STA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다른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MLO Parameter Set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AP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STA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대로 행한다.
1.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Link간 간섭에 대하여
3. 제1 실시 형태: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4. 제2 실시 형태: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5. 기타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1대의 기지국인 AP(Access Point)와, 종속 장치로서 동작하는 1대의 통신 단말기인 STA(STAtion)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동그라미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STA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PC, TV 등의, 무선 LAN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와 STA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복수의 Link인 Link A와 Link B를 동시에 사용하는 MLO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즉, AP와 STA는, MLO 통신이 가능한 MLO 단말기이다.
MLO 통신에 의해, 예를 들어 AP로부터 STA에 대한 DL 통신과, STA로부터 AP에 대한 UL 통신이 동시에 행해진다.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는 DL DATA가 되고,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는 UL DATA가 된다.
Link A/Link B로서 사용되는 채널은, 언라이선스 밴드로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920MHz대, 2.4GHz대, 5GHz대의 어느 것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다. 언라이선스 밴드에의 할당이 향후 기대되고 있는, 6GHz대 등의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Link A/Link B로서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Link A와 Link B 중 한 쪽이 2.4GHz대의 채널이고, 다른 쪽이 5GHz대의 채널인 식으로, 상이한 밴드의 채널을 Link로서 사용하여 MLO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각각의 Link는, 밴드에 관계없이 어느 것의 밴드의 채널에 의해 구성된다.
AP-STA 간에, 3개 이상의 Link를 사용한 MLO 통신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기지국이 존재하고, 각각의 기지국의 주위에, 접속이 확립된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조건이 충족되어 있으면 각 장치의 위치 관계도 문제되지 않는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구성을 도시하는 통신 장치(1)에는, 도 1의 AP와 STA도 포함된다. AP와 STA는, 각각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통신 장치(1)는 AP 또는 STA를 구성하는 장치의 일부(예를 들어, 통신 모듈이나 통신용 칩 등)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는 안테나(11A, 11B), 무선 통신부(12A, 12B), 및 무선 신호 처리부(13)에 의해 구성된다. 무선 신호 처리부(13)는 기억부(21), 통신 제어부(22), 데이터 처리부(23), 데이터 처리부(24A, 24B), 및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에 의해 구성된다.
무선 신호 처리부(13)의 기억부(21)는 통신 제어부(22)가 사용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장치(1)로부터 취득된 Link간 간섭 정보가 기억부(21)에 기억된다. Link간 간섭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신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의 제어 장치로서 구성되어, 통신 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2)는, 다른 통신 장치(1)에 대하여 통지하는 제어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23)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AP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의 통신 제어부(22)에서는, 자신의 Link간 간섭 정보와, STA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로부터 취득된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와, 다른 통신 장치(1)에서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통신 제어부(22)로부터 데이터 처리부(23)로 출력되는 제어 정보에는, 통신 제어부(22)에서 결정된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데이터 처리부(23)(Upper)는, 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와, 통신 제어부(22)로부터 공급된, 다른 통신 장치(1)에 대한 제어 정보의 시퀀스 관리를 행한다. 데이터 처리부(23)는, Link A와 Link B의 각 Link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할당을 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는, 데이터 처리부(24A, 24B)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의 시퀀스 번호를 판독하고, 수신 데이터와, 다른 통신 장치(1)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어 정보의 할당을 행한다. 데이터 처리부(23)에 의해 취득된 수신 데이터는 외부로 출력된다.
데이터 처리부(24A, 24B)(Lower)는, 각각, 데이터 처리부(23)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에 변조를 실시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24A)에 의해 생성된 Link A의 송신 신호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5A)에 공급되고, 데이터 처리부(24B)에 의해 생성된 Link B의 송신 신호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5B)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4A, 24B)는, 각각,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23)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24A)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터는 Link A의 수신 데이터로서 데이터 처리부(23)에 공급되고, 데이터 처리부(24B)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터는 Link B의 수신 데이터로서 데이터 처리부(23)에 공급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는, 각각, 데이터 처리부(24A, 24B)로부터 공급된 송신 신호에 D/A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는, D/A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송신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통신부(12A, 12B)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는, 무선 통신부(12A, 12B)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에 A/D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는, A/D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디지털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데이터 처리부(24A, 24B)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2A, 12B)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로부터 공급된 송신 아날로그 신호에 RF 처리를 실시하여, 무선 신호로서 안테나(11A, 11B)로부터 송신시킨다.
또한, 무선 통신부(12A, 12B)는, 안테나(11A, 11B)로부터 공급된 무선 신호에 RF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신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로 출력한다.
무선 신호 처리부(13)는 예를 들어 1개의 IC에 의해 실현된다. 무선 신호 처리부(13)를 구성하는 모든 처리부가 1개의 IC에 의해 실현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IC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부(25A, 25B)가, 다른 처리부를 포함하는 IC와는 다른 IC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Link간 간섭에 대하여>>
도 3은, Link간 간섭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AP와 STA가, 각각, Link A와 Link B의 2개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AP가, Link A와 Link B의 양쪽의 Link를 STA에 대한 DL DATA의 송신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Link간 간섭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AP가, Link A를 사용하여 UL DATA의 수신을 행하고, Link B를 사용하여 DL DATA의 송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 화살표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의 무선 통신부(12B)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무선 통신부(12A)에 대한 Link간 간섭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2A)에서의, UL DATA의 수신 신호의 품질이 악화된다.
마찬가지로, STA가, Link A와 Link B의 양쪽의 Link를 AP에 대한 UL DATA의 송신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Link간 간섭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STA가, Link B를 사용하여 DL DATA의 수신을 행하고, Link A를 사용하여 UL DATA의 송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 화살표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의 무선 통신부(12A)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무선 통신부(12B)에 대한 Link간 간섭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2B)에서의, DL DATA의 수신 신호의 품질이 악화된다.
이러한 Link간 간섭이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동작인 STR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AP가, Link B의 송신 전력을 낮추면, Link A에 대한 AP 내의 Link간 간섭이 저감된다. 또한, STA에서 사용되는 UL 통신의 변조 방식을 변경하거나 부호화 레이트를 낮게 하거나 하면(MCS를 변경하면), AP 내의 Link간 간섭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AP에서, UL 통신의 신호를 수신·복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각각의 MLO 단말기에서, 각각의 Link의 송신 파라미터를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으면, AP와 STA의 양쪽에서, Link간 간섭을 저감시켜, STR 동작을 정상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송신 파라미터에는, 송신 전력 값, MCS 등이 포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MLO 단말기가, 각각의 Link의 송신 파라미터를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한 주고받기가 행해진다.
도 4는, MLO 통신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ink A를 사용하여 UL 통신이 행해지고, Link B를 사용하여 DL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PowAP_B, PLAP_B2A, PLAP2STA_B, TxPowSTA_A, PLSTA_A2B, PLAP2STA_A의 6개의 파라미터에 의해 MLO 통신이 표현된다. 각 파라미터는 이하의 내용을 나타낸다.
· TxPowAP_B: AP에서의 Link B의 송신 전력(dBm)
· PLAP_B2A: AP의 Link B로부터 Link A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dB)
· PLAP2STA_B: AP-STA 간의 Link B에서의 전파 손실(dB)
· TxPowSTA_A: STA에서의 Link A의 송신 전력(dBm)
· PLSTA_A2B: STA의 Link A로부터 Link B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dB)
· PLAP2STA_A: AP-STA 간의 Link A에서의 전파 손실(dB)
반대로, Link A를 사용하여 DL 통신이 행해지고, Link B를 사용하여 UL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TxPowAP_A, PLAP_A2B, PLAP2STA_A, TxPowSTA_B, PLSTA_B2A, PLAP2STA_B의 6개의 파라미터에 의해 MLO 통신이 표현된다. 각 파라미터는 이하의 내용을 나타낸다.
· TxPowAP_A: AP에서의 Link A의 송신 전력(dBm)
· PLAP_A2B: AP의 Link A로부터 Link B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dB)
· PLAP2STA_A: AP-STA 간의 Link A에서의 전파 손실(dB)
· TxPowSTA_B: STA에서의 Link B의 송신 전력(dBm)
· PLSTA_B2A: STA의 Link B로부터 Link A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dB)
· PLAP2STA_B: AP-STA 간의 Link B에서의 전파 손실(dB)
도 3, 도 4에 도시한 MLO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수신 품질의 하나의 지표가 되는, AP에서의 Link A와 STA에서의 Link B의 각각의 SIR(Signal-to-Interference Ratio)은, 하기 식 (1), 식 (2)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한, 송신 파라미터인 TxPow를 식 (1), 식 (2)로부터 제거하면, 하기 식 (3)이 얻어진다.
Figure pct00003
따라서, 식 (3)의 우변의 각 변수의 값이 기지이면, AP에서의 Link A의 SIR과 STA에서의 Link B의 SIR의 합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AP와 STA 중 어느 한쪽인 예를 들어 AP는, 하기의 수순에 의해, AP와 STA의 양쪽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수순 1: 식 (3)을 이용하여, AP와 STA의 타깃 SIR을 결정한다.
수순 2: 식 (1), 식 (2)를 이용하여, TxPowAP_B와 TxPowSTA_A를 결정한다.
수순 3: 타깃 SIR로부터, AP가 사용할 Link B의 최적의 MCS와, STA가 사용할 Link A의 최적의 MCS를 결정한다.
수순 (1)의 타깃 SIR은, AP에서의 Link A의 SIR과 STA에서의 Link B의 SIR의 합계이다. 타깃 SIR은, 식 (3)에 의해 구해지는 값(SIRAP_A + SIRSTA_B)과 동등하거나, 혹은, 식 (3)에 의해 구해지는 값 이하일 필요가 있다.
AP와 STA의 타깃 SIR은, 예를 들어 어느 한쪽의 SIR값을 미리 설정하고, 식 (3)으로부터, 다른 쪽의 SIR값을 구하도록 하여 결정된다. 단순히 AP와 STA의 SIR의 합계를 이등분함으로써 AP와 STA의 타깃 SIR이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식 (3)으로 얻어진 결과가 충분한 값이 아닐 경우, STR 동작을 행하지 않는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식 (1) 내지 (3)의 SIR 대신에, Noise를 추가한 SINR을 사용하여 계산함으로써, 송신 파라미터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AP와 STA의 각 Link의 Noise양을 미리 측정해 두고, Noise양을 사용하여 각 식의 계산이 행해진다. Noise양이 간섭의 정도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는, SIR을 사용함으로써도, 정확한 송신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AP와 STA의 어느 한쪽은, Link A와 Link B의 전파 손실, AP와 STA 각각에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을 알면, STR 동작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Link A와 Link B의 전파 손실은, Measurement, Sounding 등의 기존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편, AP와 STA 각각에서의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에 대해서는, 통신 파라미터로서 새롭게 통지(송수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 쪽이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다른 쪽에 통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Link간 간섭의 전파 손실의 통지를 포함하는, STR 동작시의 송신 파라미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방법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 제1 실시 형태: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 제2 실시 형태: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제1 실시 형태: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시퀀스의 예>
도 5는,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상단은, AP에서의 Link A와 Link B의 각각의 송수신의 내용을 나타내고, 하단은, STA에서의 Link A와 Link B의 각각의 송수신의 내용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도 13, 도 15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의 하방에 쌍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는, MLO Setup Phase와 MLO Tx Phase의 2개의 페이즈에 의해 구성된다.
· MLO Setup Phase
MLO Setup Phase에서는, AP-STA 간에 Multi-Link Element의 교환이 행해진다. Multi-Link Element에는,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인 Link간 간섭 정보가 포함된다.
Multi-Link Element는, MLO 단말기가 MLO의 Capability 정보를 통지하는 데 사용되는 Element이다. Capability 정보에는, 무선 통신부(12A, 12B)에 의한 MLO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Multi-Link Element는, Beacon Frame, DMG Beacon Frame, (Re)Association Request Frame, (Re)Association Response Frame, Probe Response Frame 등의 소정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Beacon Frame, DMG Beacon Frame은 알림 신호이다. 또한, (Re)Association Request Frame, (Re)Association Response Frame, Probe Response Frame은,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이다.
도 5의 예에서는, 화살표 #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AP에서의, Link A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Link A를 사용하여 AP로부터 송신되는 Link A의 Link간 간섭 정보는, AP에서, Link A가, Link B로부터 받는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낸다.
또한, 화살표 #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서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Link A를 사용하여 STA로부터 송신되는 Link A의 Link간 간섭 정보는, STA에서, Link A가, Link B로부터 받는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1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B를 사용하여, AP에서의, Link B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Link B를 사용하여 AP로부터 송신되는 Link B의 Link간 간섭 정보는, AP에서, Link B가, Link A로부터 받는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Link B를 사용하여, STA에서의, Link B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Link B를 사용하여 STA로부터 송신되는 Link B의 Link간 간섭 정보는, STA에서, Link B가, Link A로부터 받는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낸다.
Multi-Link Element를 교환함으로써, AP와 STA는, 서로의 Link간 간섭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1개의 프레임에 복수의 Multi-Link Element가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Multi-Link Element가 소정의 순번으로 배열되어 프레임 내에 기술된다. 복수의 Multi-Link Element에는, 각각 상이한 Link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BSS 정보(대역, 채널, BSSID 등)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AP가 있는 Link를 사용하여 복수의 Multi-Link Element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한 경우, STA는, 프레임 내에 기술된 Multi-Link Element를 선두부터 차례로 참조하여, 프레임의 송신에 사용된 Link와는 다른 Link에서의 접속을 BSS 정보에 기초하여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TA는, 자신의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Link간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Link의 순으로, 그 Link의 BSS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를 참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STA는, 프레임의 송신에 사용된 Link와는 다른 Link의 BSS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를 임의의 순번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Multi-Link Element에 기술된 BSS 정보에 기초하여 AP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AP는, 자신의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Link간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Link의 순으로 Multi-Link Element를 배열하여, 복수의 Multi-Link Element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Link간 간섭의 영향을 가장 받지 않는 Link의 BSS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복수의 Multi-Link Element의 배열의 선두에 기술되게 된다. Multi-Link Element의 소팅은, 예를 들어 AP의 통신 제어부(22)에 의한 제어에 따라 행해진다.
AP가 전체를 제어하는 경우, 즉, AP의 송신 파라미터와 STA의 송신 파라미터의 양쪽을 AP가 결정하는 경우, AP가 송신할 Multi-Link Element에, AP의 Link간 간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AP의 Link간 간섭 정보가 STA에 대하여 통지되지 않게 된다.
또한, Link간 간섭 정보는 엘리먼트 내의 정보로서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Control Frame, Action Frame, Management Frame의 어느 것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Link간 간섭 정보가 정의되도록 해도 된다. 즉, AP-STA 간에 송수신이 행해지는 각종 정보에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MLO Tx Phase
MLO Tx Phase에서는, AP-STA 간에, Link A와 Link B의 2개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이때, AP는, STR Trigger Frame을 송신 데이터 내에 포함시키고, STR 동작시의 STA의 송신 파라미터를 STA에 대하여 통지한다. STR Trigger Frame은, STA의 송신 파라미터를 AP가 STA에 대하여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의 예에서는, 화살표 #21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STR Trigger Frame을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Link A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STR Trigger Frame에는, STA가, Link A를 사용하여 AP에 대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또한, 화살표 #22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B를 사용하여, STR Trigger Frame을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Link B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STR Trigger Frame에는, STA가, Link B를 사용하여 AP에 대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또한, 송신 데이터는, STR Trigger Frame을 포함하는 복수의 Frame의 선두에 PHY Header를 부가한 PPDU(PLCP Protocol Data Unit)에 의해 구성된다. 도 5에서는, 띠 모양으로 나타내는 한 덩어리의 송신 데이터가 1개의 PPDU를 나타낸다. STR Trigger Frame은, PPDU의 사선을 붙여서 나타낸 부분에 배치된다.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STR Trigger Frame이 송신된 후, 화살표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Block Ack(BA)가 송신된다. Block Ack의 송신은, STR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송신되는 STR Trigger Frame은,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STR Trigger Frame에 의해 통지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한 BA의 송신을 STA에 유기(誘起)시키는 유기 신호가 된다.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Block Ack가 송신된 후, 화살표 #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도 5에서는, AP로부터 STA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 후, 화살표 #25, #2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Link A와 Link B를 사용하여,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Block Ack의 송신이 행해지고 있다. STA는, AP가 허가하면, Block Ack 이외의 데이터를 AP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Trigger Frame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이 허가된 경우, STA는, STR 동작을 위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UL DATA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AP는, Link A로부터의 Link간 간섭을 받으면서도, Link B를 사용하여, IEEE802.11 규격으로 규정되는 캐리어 센스 동작을 행하여, 다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AP는, Link B에 대한 Link간 간섭을 저감시키도록 Link A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Link B를 사용하여 캐리어 센스 동작을 행한다.
<Frame Format의 예>
·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
도 6은, MLO Setup Phase에서 사용되는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ulti-Link Element는, IEEE802.11-2016에서 정의되는 Multi-Band Element를 베이스로 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Multi-Link Element의 선두에는, Multi-Link Element임을 나타내는 Element ID가 기술된다.
Multi-Link Control field 내에, 도 6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Link Interference Info. Present subfield가 정의된다. 또한, 도 6의 중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Multi-Link Element의 마지막에, Link Interference Info.가 정의된다.
Link Interference Info. Present subfield는, Multi-Link Element 내에 Link Interference Info.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ink Interference Info. Present subfield의 값이 1인 것은, Multi-Link Element 내에 Link Interference Info.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Link Interference Info. Present subfield의 값이 0인 것은, Multi-Link Element 내에 Link Interference Info.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Link Interference Info.는, 상술한 Link간 간섭 정보(Link Interference Level)이다.
Link간 간섭 정보는, Multi-Link Element 내의 Band ID, Operating Class, Channel Number에 의해 지정되는 예를 들어 Link A를 사용하여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최대 송신 전력으로 신호의 송신이 행해진 경우에 Link B가 받는, STA에서의 Link간 간섭의 전력을 나타낸다. Link Interference Info.가 나타내는 전력은, 예를 들어, dBm 단위로, 2진수의 정수로서 나타내어진다.
또한, Link Interference Info.가 나타내는 전력이 0인 경우, 그것은, STA의 송신 파라미터를 AP로부터 제어할 필요 없이, STA의 STR 동작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한편, Link Interference Info.가 255(8비트 표현에서의 최댓값)인 경우, 그것은, STA의 STR 동작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는, 도 6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Link의 주파수 정보(대역, 채널을 포함함)와 Link간 간섭 정보가 포함되는 각종 구조를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의 start/end의 Band ID 또는 Channel Number가 포함되고, 어떤 주파수 대역의 구간(최대로 W52/53이나 W56 등)에서 공통인 Link간 간섭 정보가 기술된 구조를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ink간 간섭 정보에 대해서도, 전력을 정수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계층 단위로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STR 동작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field가, Link간 간섭 정보의 field와는 별도로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BSS 정보, 주파수 정보 및 Link간 간섭 정보의 각각의 field가 포함되어 있으면, 다른 field가 Multi-Link Element에 마련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 STR Trigger Frame의 데이터 구조
도 7은, MLO Tx Phase에서 사용되는 STR Trigger Frame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TR Trigger Frame은, P802.11ax_D4.0에서 정의되는 Trigger Frame을 베이스로 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STR Trigger Frame의 선두에는, Frame Control을 포함하는 MAC header가 배치된다.
MAC header에 이은 Common Info field의 선두에는, 도 7의 중단에 원으로 둘러싸서 나타낸 바와 같이 Trigger Type이 기술된다. Trigger Type에는, 새로운 Trigger Type으로서 STR Trigger가 정의된다. 또한, User Info field 내의 Trigger Dependent User Info 내에, STR MCS와 STR Target RSSI가 새롭게 정의된다.
도 8은, Trigger Type subfield의 값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밑줄을 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rigger Type subfield value=8이, STR Trigger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정의된다.
도 9는, STR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ser Info field의 마지막에는, 원으로 둘러싸서 나타낸 바와 같이 Trigger Dependent User Info가 기술된다. Trigger Dependent User Info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STR MCS와 STR Target RSSI가 포함된다. User Info field 내의 다른 subfield는, P802.11ax에서 정의되는 것과 동일하다.
도 10은, STR Trigger Frame에서의 Trigger Dependent User Info subfield에 포함되는 subfield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Trigger Dependent User Info subfield에는, STR MCS subfield와 STR Target RSSI subfield가 정의된다.
STR MCS subfield에는 STR MCS가 기술된다. STR MCS는, STR 동작을 행할 때 사용할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로서의 EHT TB PPDU의 MCS 정보를 나타낸다.
STR Target RSSI subfield에는 STR Target RSSI가 기술된다. STR Target RSSI는, STR 동작을 행할 때의, AP의 안테나 단자 점에서의 EHT TB PPDU의 평균 수신 전력 기댓값을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STR Target RSSI는, STA의 송신 전력을 지정하는 정보가 된다. 전력 기댓값의 분해능은 1dB 단위이다. EHT TB PPDU의 평균 수신 전력 기댓값의 상세는 P802.11ax_D4.0에 규정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 STR Trigger Frame을 사용하여, STR 동작을 행할 때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통지된다. 한편, STR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User Info field를 사용하여, EHT TB PPDU의 송신 파라미터가 통지된다. STR Trigger Frame에는, STR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도 포함된다.
STR 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송신 파라미터와 STR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의 송신 파라미터가 STR Trigger Frame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AP는, STR 동작을 행할지 여부를 사전에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프레임의 기술 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Trigger Dependent User Info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2개의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FEC, DCM 등의 다른 파라미터가, STR 동작용의 송신 파라미터로서 새롭게 정의되어, Trigger Dependent User Info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Common Info field(도 7)에 포함되는 Length, CS Required, BW 등에 대해서도, STR 동작용의 송신 파라미터가 Trigger Dependent Common Info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STA가 Block Ack를 송신할 때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STR Trigger Frame에서 통지하는 경우, 상술한 STR MCS, STR Target RSSI에 더하여, MU-BAR variant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가, STR Trigger Frame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STR MCS, STR Target RSSI가, 예를 들어 P802.11ax_D4.0에서 정의되는 TRS Control field 내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각 장치의 동작>
여기서,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시의 AP와 ST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처리는, MLO Tx Phase에서의 AP와 STA의 처리이다. MLO Setup Phase가 행해짐으로써, AP와 STA의 사이에는, 서로의 Link간 간섭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 AP의 동작
먼저,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AP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Link A의 송신권을 획득한다.
스텝 S2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권을 획득한 Link A를 통한 송신 종료까지, Link B가 Busy 상태인지 여부(NAV Timer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Link A를 통한 송신 종료까지 Link B가 Busy 상태인 경우,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AP-STA 간에 교환된 Multi-Link Element의 내용에 기초하여,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STA에서의 Link간 간섭의 전력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스텝 S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3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AP 자신이 사용할, Link A와 Link B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한편,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스텝 S2에서 판정한 경우,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STA로부터 취득한 Link간 간섭 정보와, 자신의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Link A와 Link B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상기 식 (1) 내지 (3)을 사용하여, AP 자신의 송신 파라미터와 STA의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스텝 S5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B를 통한 송신 중에, Link A의 송신 파라미터를 STA에서 제어받을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Link A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AP의 STR 동작을 고려하여 행해진다.
송신 파라미터를 STA에서 제어받을 필요가 있는 것으로 스텝 S5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6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STR Trigger Frame을 송신 데이터에 추가한다.
스텝 S7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STR Trigger Frame이 스텝 S6에서 추가되어 있는 경우, STA에 대하여 STR Trigger Frame이 송신되고, 이에 의해, 송신 파라미터가 통지된다.
한편,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받을 필요가 없는 것으로 스텝 S5에서 판정된 경우, 스텝 S6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 경우, Trigger Frame을 추가하지 않고, 스텝 S7에서,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 대한 데이터 송신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AP가, Link A를 사용하여 최대의 전력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해도, Link B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에 영향이 없는 경우,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받을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Link A로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주파수와 Link B로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주파수가 떨어져 있는 경우, Link간 간섭은 적어진다.
Link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스텝 S3에서 Link A와 Link B의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스텝 S7에서,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 대한 데이터 송신이 개시된다.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후, AP가 Link B의 송신권을 획득한 경우, AP는, 미리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ink B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된 경우, STA의 Link A를 사용한 데이터 송신의 개시를 늦추도록 해도 된다.
· STA의 동작
다음으로,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STA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Link A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다.
스텝 S12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 내에 STR Trigger Frame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TR Trigger Frame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스텝 S1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3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스텝 S13에서 판정한 경우, 처리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STR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 내의 Trigger Dependent User Info에 포함되는 송신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송신 파라미터 정보는, STA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로서 AP에서 결정된, 상술한 STR MCS와 STR Target RSSI이다(도 10). 이와 같이, Trigger Dependent User Info에 포함되는 송신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STA에 의해 송신 파라미터가 취득된다. 또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A를 사용하여, AP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 중이더라도, Link A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Link B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 것을 Length 정보 등으로부터 알고 있는 경우, AP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이, 스텝 S15에서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Trigger Dependent User Info 내에 다른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도록,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또한, Trigger Dependent User Info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에 관해서는,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User Info field 내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STR Trigger Dependent Common에도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그 파라미터에 따라서도,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한편,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스텝 S13에서 판정한 경우, 처리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STR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에 포함되는 송신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Link A를 사용하여, AP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한편, AP로부터의 데이터 신호 내에 STR Trigger Frame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스텝 S12에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지, 또는 STR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STR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스텝 S16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7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자신이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ink A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한편,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고, 또한, STR 동작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스텝 S16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8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A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대기한다. 이때, 가장 최근에 수신된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송신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그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STA에서는, 무선 통신부(12A, 12B)의 상태에 따라,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변형예>
도 13은,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다른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시퀀스는, MLO Setup Phase 시에, AP-STA 간의 Multi-Link Element의 교환이 Link A와 Link B 각각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한쪽의 Link인 예를 들어 Link A에서만 행해지는 점에서, 도 5에 도시한 시퀀스와 다르다.
도 13의 예에서는, 화살표 #51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AP에서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또한, 화살표 #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서의 Link간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Multi-Link Element가 송신된다.
도 14는, 도 13의 시퀀스에서 송수신이 행해지는 Multi-Link Element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는, 도 14의 중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Reverse Link Interference Info. subfield가 Multi-Link Element의 마지막에 추가되어 있는 점에서, 도 6에 도시한 구조와 다르다.
도 14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Multi-Link Element가 Link A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Link Interference Info. subfield에는, Link B로부터 Link A에 대한 Link간 간섭의 전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Reverse Link Interference Info. subfield에는, Link A로부터 Link B에 대한 Link간 간섭 전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Link A의 Link간 간섭 정보와 Link B의 Link간 간섭 정보를 1개의 Multi-Link Element에 기술하고, Link간 간섭 정보의 통지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시퀀스의 예>
도 15는,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시퀀스는, MLO Setup Phase와 MLO Tx Phase의 사이에 MLO Parameter Set Element의 송신이 행해지는 점에서, 도 5에 도시한 시퀀스와 다르다. MLO Parameter Set Element는, STA의 송신 파라미터의 통지에 사용되는 Element이다. MLO Tx Phase에서는, STR Trigger Frame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다.
도 15의 예에서는, MLO Setup Phase에서 Multi-Link Element의 송수신이 행해진 후, 화살표 #101, #1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Link A와 Link B를 사용하여 MLO Parameter Set Element가 송신된다.
MLO Parameter Set Element는, Beacon Frame, DMG Beacon Frame, (Re)Association Request Frame, (Re)Association Response Frame 등의 소정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Infrastructure BSS에서는, MLO Parameter Set Element는, STR 동작시의 STA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 AP에 의해 사용된다.
MLO Parameter Set Element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송신이 복수회 행해진 경우, STA에서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되는 MLO Parameter Set Element가 송신 파라미터의 갱신에 사용된다.
또한, MLO Parameter Set Element에 포함되는 정보는, 엘리먼트 이외의 프레임이 정보로서 정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Control Frame, Action Frame, Management Frame의 어느 것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MLO Parameter Set Element에 포함되는 정보가 정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rame Format의 예>
도 16은, MLO Parameter Set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LO Parameter Set Element에는 STR MCS와 STR Target RSSI가 포함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STR MCS와 STR Target RSSI는, STR 동작을 행할 때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이다.
<각 장치의 동작>
여기서,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 시의 AP와 ST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 도 18에 도시한 처리는, MLO Setup Phase 후에 AP와 STA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이다. MLO Setup Phase가 행해짐으로써, AP와 STA의 사이에는, 서로의 Link간 간섭 정보가 공유된다.
· AP의 동작
먼저,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AP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스텝 S21 내지 S25의 처리는, 각각, 도 11의 스텝 S1 내지 S4, S7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다. 즉, STR Trigger Frame의 송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스텝 S21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Link A의 송신권을 획득한다.
스텝 S22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스텝 S2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23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AP 자신이 사용할, Link A와 Link B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한편, STR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스텝 S2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24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STA로부터 취득한 Link간 간섭 정보와, 자신의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Link A와 Link B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상기 식 (1) 내지 (3)을 사용하여, AP 자신의 송신 파라미터와 STA의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스텝 S23 또는 스텝 S24에서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스텝 S25에서, AP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A를 사용하여, STA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스텝 S24에서 AP 자신의 송신 파라미터와 STA의 송신 파라미터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송신 전에, 적절히, MLO Parameter Set를 사용하여, STA의 송신 파라미터가 AP로부터 STA에 대하여 통지된다.
· STA의 동작
다음으로,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STA의 통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1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예를 들어 Link A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다.
스텝 S32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스텝 S3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33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마지막에 수신한 MLO Setup Element에서 지정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ink A를 사용하여, AP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한편,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스텝 S32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34에서, STA의 통신 제어부(22)는, 자신이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Link A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하여, 송신 파라미터의 통지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 응용예
이상에서는, MLO 통신에 사용되는 Link의 수가 2개인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Link를 사용하여 MLO 통신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송신 파라미터의 결정에 사용할 식이 상기 식 (1) 내지 (3)과 비교하여 복잡해지지만, 2개의 Link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파 손실과 Link간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도 14에 포함되는, BSSID, Operating Class, Channel Number, Band ID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동일한 엘리먼트에 복수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STR 동작에서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다른 제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Link A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 때, Link간 간섭의 영향으로 인해, Link B를 사용한 캐리어 센스에 의한 신호의 검출을 충분히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Link간 간섭 정보 등에 기초하여 Link A의 송신 파라미터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Link B의 캐리어 센스의 성공 확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P가 STA에 대하여 STR 동작시의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STA가 AP에 대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STA가, AP의 STR 동작시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게 된다.
STA가, AP의 STR 동작시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경우, 상술한 AP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STA에 의해 행해진다. 반대로, 상술한 STA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AP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STR 동작시의 송신 파라미터의 제어가, AP 이외의 각종 통신 장치에 의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AP로부터 통지된 송신 파라미터를 STR 동작에 적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송신할 송신 데이터 내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AP가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TR 동작을 행하고 있음이 STA로부터 AP에 대하여 통지되게 된다.
송신 파라미터를 STR 동작에 적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Preamble의 SIG 내나, Control Field 내에 1bit의 Field가 확보되도록 해도 된다.
· 효과에 대하여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MLO 단말기에서, 송신 측과 수신 측의 각각의 Link간 간섭을 사전에 교환해 둠으로써, STR 동작시에 발생하는 Link간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Link A와 Link B의 데이터 송신의 시간이 일치하지 않고, Link A의 데이터 송신이 먼저 종료된 경우에도, 송신 측은, Link B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계속하면서, Link A를 통하여 Block Ack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ink B의 송신 시간을 단축하거나, Link B의 데이터 송신이 종료될 때까지 Link A를 패딩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오버헤드의 원인이 되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로서의 Trigger Frame을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 따르면, AP는, 송신 데이터 내에 Multi-Link용의 Trigger Frame을 삽입함으로써, 수신 측의 STA에 적절한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하고, 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STR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송신 파라미터를, STR 동작시용의 송신 파라미터와 함께 Trigger Frame에 포함시켜 통지함으로써, STR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통상 동작시용의 송신 파라미터의 제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AP는, STA에서 STR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STR 동작시용의 송신 파라미터와는 별도로, 통상 동작시용의 송신 파라미터를 STA에 대하여 통지할 필요가 없다.
제2 실시 형태로서의 MLO Parameter Set를 이용한 송신 파라미터 제어에 따르면, AP는, Multi-Link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기 전에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해 둠으로써, 데이터 송신마다 정보(프레임)를 부가하지 않고, STA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기술은, 적용 범위가 넓고, 또한, 기존의 IEEE802.11의 사양으로부터 적은 변경으로 실현 가능하다.
· 프로그램의 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케이스 안에 있는지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따라서, 별개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1개의 케이스 안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1개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구성의 조합 예>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각각 상이한 Link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간섭 정보와,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의 통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먼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엘리먼트를 1개 이상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통신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제2 간섭 정보에 따라 소팅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간섭 정보로서 포함하는 상기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상기 (2)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다른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상기 (2)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지하는
상기 (2)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와,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7)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유기시키는 유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7)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상기 (2)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4)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유기시키는 유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장치.
(15)
각각 상이한 Link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에 따라, 사용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
(16)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 상기 유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상기 (13) 내지 (16)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8)
상기 통신 제어부는, 마지막에 취득한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상기 (13) 내지 (1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9)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방법.
1: 통신 장치
11A, 11B: 안테나
12A, 12B: 무선 통신부
13: 무선 신호 처리부
21: 기억부
22: 통신 제어부
23: 데이터 처리부
24A, 24B: 데이터 처리부
25A, 25B: 무선 인터페이스부

Claims (19)

  1.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Link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간섭 정보와,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의 통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먼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엘리먼트를 1개 이상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제2 간섭 정보에 따라 소팅하는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간섭 정보로서 포함하는 상기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다른 상기 무선 통신부가 받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와,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유기시키는 유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통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12.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유기시키는 유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Link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무선 통신부의 상태에 따라, 사용할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 상기 유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인 알림 신호, 또는 접속시에 사용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통신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마지막에 취득한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19. 통신 장치가,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Link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1 간섭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간섭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Link간의 간섭에 관한 제2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227012821A 2019-11-08 2020-10-26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KR20220097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3109 2019-11-08
JP2019203109 2019-11-08
PCT/JP2020/040050 WO2021090718A1 (ja) 2019-11-08 2020-10-26 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389A true KR20220097389A (ko) 2022-07-07

Family

ID=7584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821A KR20220097389A (ko) 2019-11-08 2020-10-26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03997A1 (ko)
EP (1) EP4050934A4 (ko)
JP (1) JPWO2021090718A1 (ko)
KR (1) KR20220097389A (ko)
CN (1) CN114667798A (ko)
WO (1) WO2021090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8275A (zh) * 2021-06-01 2024-01-09 索尼集团公司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终端和无线通信方法
JP2023051568A (ja) * 2021-09-30 2023-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3068774A1 (ko) * 2021-10-22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의 각도 변화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의 동작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8746A (ja) 2010-02-24 2017-02-0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グリゲートビーコン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538A (ja) * 2008-02-26 2009-09-10 Kyocera Corp 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
CN103096328B (zh) * 2011-11-02 2015-09-23 西门子公司 用于多链路无线数据传输的装置、系统和方法
EP3490298A4 (en) * 2016-07-19 2019-05-29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0663262A (zh) * 2017-06-02 2020-01-07 索尼公司 通信装置和通信系统
JP2019057756A (ja) * 2017-09-19 2019-04-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1166309B2 (en) * 2017-09-26 2021-11-02 Kabushiki Kaisha Toshiba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in WLANs
CN111034249B (zh) * 2017-10-13 2024-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8746A (ja) 2010-02-24 2017-02-0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グリゲートビーコン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090718A1 (ko) 2021-05-14
EP4050934A4 (en) 2022-12-14
WO2021090718A1 (ja) 2021-05-14
CN114667798A (zh) 2022-06-24
EP4050934A1 (en) 2022-08-31
US20220303997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40514B (zh) 用于无线网络的改进的空间重用
US97366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N110169191B (zh) 用于无线lan中的初始协商的方法和设备
JP5906276B2 (ja) 無線lanにおけるチャネル接近要求方法及び装置
EP3998799A1 (en) Link sett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CN108353429B (zh) 无线通信系统中nav设置方法及相关设备
KR20210007881A (ko) 무선랜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전송을 위한 링크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97389A (ko) 통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CN106961733B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US1012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formation about transmission failure frame
JP2007504703A (ja) Wlanにおける適応性のある電力制御機構
WO2018202111A1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EP3432678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secondary node and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US1118477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on basis of spatial reuse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US11343702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network
US11082887B2 (en) Method for re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US20220022050A1 (en) Selective transmission and/or detection of identification signals by a wireless access node in unlicensed spectrum
US1095926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US20240089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traffic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US10743348B2 (en) Method for multi-user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EP4376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str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EP42622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traffic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CN110199565B (zh) 非授权频段上的随机接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110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ual coexistence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KR20230062436A (ko) Emlsr을 지원하는 무선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