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85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852A
KR20220096852A KR1020200189672A KR20200189672A KR20220096852A KR 20220096852 A KR20220096852 A KR 20220096852A KR 1020200189672 A KR1020200189672 A KR 1020200189672A KR 20200189672 A KR20200189672 A KR 20200189672A KR 20220096852 A KR20220096852 A KR 2022009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lor
pixel
color filter
fla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영
오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852A/ko
Publication of KR2022009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7/3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01L27/32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서브 화소, 제 2 서브 화소, 제 3 서브 화소 및 제 4 서브 화소가 구비된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기판; 제 1 기판 상에 구비된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에 구비된 발광층;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 2 전극; 제 2 전극 상에 구비되며, 제 1 격벽을 가지는 제 1 컬러 레이어; 제 1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2 격벽을 가지는 제 2 컬러 레이어; 및 제 2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3 격벽을 가지는 제 3 컬러 레이어를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3 격벽은 비발광 영역에 구비되며, 제 1 격벽은 상기 제 2 격벽 및 상기 제 3 격벽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특히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각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를 중첩시키는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반사율을 저감시키기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발광된 광이 상부 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발광 소자 상에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를 한 층씩 코팅하여 컬러 필터의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먼저, 발광 소자 상에 제 1 컬러 필터를 코팅한다. 제 1 컬러 필터는 제 1 컬러 필터와 대응되는 제 1 서브 화소, 이웃하는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코팅된다. 즉, 제 1 서브 화소 이외의 서브 화소 각각은 경계 영역에 코팅된 제 1 컬러 필터에 의해 둘러싸이며, 우물 형태의 구조가 형성된다.
그 다음, 코팅된 제 1 컬러 필터 상에 제 2 컬러 필터를 코팅한다. 제 2 컬러 필터는 제 2 컬러 필터와 대응되는 제 2 서브 화소, 이웃하는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코팅된다. 이 때, 제 2 서브 화소를 둘러싸고 있는 제 1 컬러 필터 상에 코팅된 제 2 컬러 필터와 제 2 서브 화소에 코팅된 제 2 컬러 필터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다. 즉, 이전 공정에서 코팅된 제 1 컬러 필터에 의해, 제 2 컬러 필터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고,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코팅된다. 이에 따라, 제 2 컬러 필터가 발광 소자 상에서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다음, 코팅된 제 2 컬러 필터 상에 제 3 컬러 필터를 코팅한다. 제 3 컬러 필터는 제 3 컬러 필터와 대응되는 제 3 서브 화소, 이웃하는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코팅된다. 이 때, 마찬가지로, 제 3 서브 화소를 둘러사고 있는 제 1 및 제 2 컬러 필터 상에 코팅된 제 3 컬러 필터와 제 3 서브 화소에 코팅된 제 3 컬러 필터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한다. 즉, 각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에서의 단차는 더욱 증가하며, 동일한 문제가 더 심화될 수 있다.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컬러 필터의 적층 구조 상에 평탄화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단차 보상이 불필요한 부분에도 평탄화층이 두껍게 형성되며,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서브 화소 사이의 단차를 방지하면서, 외부 광의 반사율이 저감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 서브 화소, 제 2 서브 화소, 제 3 서브 화소 및 제 4 서브 화소가 구비된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기판; 기판 상에 구비된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에 구비된 발광층;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 2 전극; 제 2 전극 상에 구비되며, 제 1 격벽을 가지는 제 1 컬러 레이어; 제 1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2 격벽을 가지는 제 2 컬러 레이어; 및 제 2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3 격벽을 가지는 제 3 컬러 레이어를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3 격벽은 비발광 영역에 구비되며, 제 1 격벽은 제 2 격벽 및 제 3 격벽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필터, 격벽 및 평탄부를 포함하는 컬러 레이어 구조를 적층시킴으로써, 각 서브 화소 사이의 단차를 방지하며 외부 광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는 빛을 방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빛을 방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시 영역(DA)은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P1-P4)가 구비된 발광 영역 및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화소(P1)는 적색(R) 광을 방출하고, 제 2 서브 화소(P2)는 녹색(G) 광을 방출하고, 제 3 서브 화소(P3)는 청색(B) 광을 방출하고, 제 4 서브 화소(P4)는 백색(W)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의 사이에는 비발광 영역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기판(100), 회로 소자층(200), 제 1 전극(310), 발광층(320), 제 2 전극(330), 뱅크(340), 봉지층(400), 및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기판(100)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빛을 방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를 포함하며, 표시 영역(DA)에는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 1 내지 제 4 서브 화소(P1-P4)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 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제 1 기판(100)의 재료로는 투명한 재료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200)은 제 1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회로 소자층(200)에는 각종 신호 배선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가 서브 화소(P1, P2, P3, P4) 별로 구비되어 있다. 신호 배선들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및 기준 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 배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제 1 전극(3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게이트 배선 또는 별도의 센싱 배선에서 공급되는 센싱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기준 배선으로 공급한다.
커패시터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제 1 전극(310)은 회로 소자층(200) 상에 형성된다. 제 1 전극(310)은 각각 서브 화소(P1, P2, P3, P4) 별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양극(An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전극(310)은 회로 소자층(200)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다.
뱅크(340)는 복수의 서브 화소(P1, P2, P3, P4) 사이의 경계에서, 제 1 전극(310) 상에서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되면서 복수의 서브 화소(P1, P2, P3, P4) 각각에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즉, 각각의 서브 화소(P1, P2, P3, P4)에서 뱅크(340)가 형성되지 않은 개구 영역이 발광 영역이 된다.
뱅크(34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뱅크(340)는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뱅크(34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해, 블랙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층(320)은 제 1 전극(310) 상에 형성된다. 발광층(320)은 뱅크(34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층(320)은 각각의 서브 화소(P1, P2, P3, P4) 및 그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도 형성된다.
발광층(320)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30)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층(320)은 백색(W)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발광층(320)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스택(sta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층(320)은 제 1 스택, 제 2 스택, 및 제 1 스택과 제 2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스택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정공 수송층, 황녹색(Yellow-Green) 또는 청색(Blue)의 제 1 유기 발광층 및 제 1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하 생성층은 제 1 스택에 전자를 제공하는 N형 전하 생성층 및 제 2 스택에 정공을 제공하는 P형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스택은 차례로 적층된 제 2 정공 수송층, 청색 또는 황녹색의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광층(320)은 서브 화소(P1, P2, P3, P4) 별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330)은 발광층(3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극(33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음극(Cath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 2 전극(330)은 발광층(320)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서브 화소(P1, P2, P3, P4) 및 그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도 형성된다. 즉, 제 2 전극(330)은 제 1 전극(310)의 위쪽 및 뱅크(340)의 위쪽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2 전극(330)은 발광층(320)에서 발광된 광을 상부 쪽으로 투과시키기 위해서,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진다.
봉지층(400)은 제2 전극(330) 상에 형성되어 발광층(320)으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봉지층(400)은 무기절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절연물과 유기절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는 봉지층(400)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컬러 레이어(500)는 봉지층(400) 상에 구비되며, 제 1 컬러 필터(510), 복수의 제 1 격벽(520) 및 복수의 제 1 평탄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컬러 필터(510)는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되며, 적색(R)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발광층(320)에서 발광된 백색(W) 광이 제 1 컬러 필터(510)를 통과하면서 적색(R)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표시 영역(DA)의 양 끝단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 제 1 서브 화소(P1)와 제 2 서브 화소(P2) 사이에 구비된 제 1 경계 영역(B1) 및 제 2 서브 화소(P2)와 제 3 서브 화소(P3) 사이에 구비된 제 2 경계 영역(B2)에 구비된다.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제 1 컬러 필터(5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적색(R)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4 서브 화소(P4)는 백색(W) 광을 방출하므로,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 사이에는 제 1 격벽(5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 화소(P1)와 이웃한 영역인, 제 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 1 경계 영역(B1)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은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된 제 1 컬러 필터(510)가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각각의 제 1 격벽(5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각각의 제 1 격벽(5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컬러 레이어(5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1 컬러 필터(5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평탄부(530)는 제 2 내지 제 4 서브 화소(P2-P4)에 각각 구비된다. 복수의 제 1 평탄부(5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는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의 양 측면은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P3, 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는 제 2 경계 영역(B2)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의 양 측면은 제 2 경계 영역(B2) 에 구비된 제 1 격벽(520) 및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의 양 측면은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 사이에는 제 1 격벽(520)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P3, 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는 경계가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컬러 레이어(5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평탄부(530)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컬러 레이어(5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평탄부(53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1 컬러 필터(5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컬러 레이어(500)에 구비된 제 1 컬러 필터(510), 복수의 제 1 격벽(520) 및 복수의 제 1 평탄부(530)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1 컬러 레이어(500)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컬러 레이어(600)는 제 1 컬러 레이어(500) 상에 구비되며, 제 1 컬러 필터(610), 복수의 제 2 격벽(620) 및 복수의 제 2 평탄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컬러 필터(610)는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되어,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와 중첩된다. 또한, 제 2 컬러 필터(610)는 녹색(G)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발광층(320)에서 발광된 백색(W) 광이 제 2 컬러 필터(610)를 통과하면서 녹색(G)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표시 영역(DA)의 양 끝단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 제 1 서브 화소(P1)와 제 2 서브 화소(P2) 사이에 구비된 제 1 경계 영역(B1) 및 제 2 서브 화소(P2)와 제 3 서브 화소(P3) 사이에 구비된 제 2 경계 영역(B2)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격벽(520)과 서로 중첩된다.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제 2 컬러 필터(6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녹색(R)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4 서브 화소(P4)는 백색(W) 광을 방출하므로,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 사이에는 제 2 격벽(6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 화소(P2)와 이웃한 영역인,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은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2 컬러 필터(610)가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격벽(6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은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격벽(6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은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보다 좁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컬러 레이어(6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2 컬러 필터(6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평탄부(630)는 제 1,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P1, P3, P4)에 각각 구비된다. 복수의 제 2 평탄부(6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는 제 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 1 경계 영역(B1)에 구비된 제 2 격벽(6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의 양 측면은 제 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 1 경계 영역(B1)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P3, 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는 제 2 경계 영역(B2)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의 양 측면은 제 2 경계 영역(B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 및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의 양 측면은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 사이에는 제 2 격벽(620)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P3, 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는 경계가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컬러 레이어(6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평탄부(630)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1 격벽(520) 각각의 폭과 동일할 경우, 복수의 제 2 평탄부(630) 각각의 폭은 복수의 제 1 평탄부(530) 각각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1 격벽(520) 각각의 폭보다 작을 경우, 복수의 제 2 평탄부(630) 각각의 폭은 복수의 제 1 평탄부(530)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2 컬러 레이어(6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평탄부(63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2 컬러 필터(6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이 평평한 제 1 컬러 레이어(500) 상에, 제 2 컬러 레이어(600)에 구비된 제 2 컬러 필터(610), 복수의 제 2 격벽(620) 및 복수의 제 2 평탄부(630)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2 컬러 레이어(600) 또한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컬러 레이어(700)는 제 2 컬러 레이어(600) 상에 구비되며, 제 3 컬러 필터(710), 복수의 제 3 격벽(720) 및 복수의 제 3 평탄부(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컬러 필터(710)는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되어,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평탄부(530, 630)와 중첩된다. 또한, 제 3 컬러 필터(710)는 청색(B)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발광층(320)에서 발광된 백색(W) 광이 제 3 컬러 필터(710)를 통과하면서 청색(B)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표시 영역(DA)의 양 끝단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 제 1 서브 화소(P1)와 제 2 서브 화소(P2) 사이에 구비된 제 1 경계 영역(B1) 및 제 2 서브 화소(P2)와 제 3 서브 화소(P3) 사이에 구비된 제 2 경계 영역(B2)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및 제 2 격벽(520, 620)과 서로 중첩된다.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제 3 컬러 필터(7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청색(B)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4 서브 화소(P4)는 백색(W) 광을 방출하므로,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 특정한 파장대의 광을 흡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3 서브 화소(P3)와 제 4 서브 화소(P4) 사이에는 제 3 격벽(7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3 서브 화소(P3)와 이웃한 영역인, 제 2 경계 영역(B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은 제 3 서브 화소(P3)에 구비된 제 3 컬러 필터(710)가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각각의 제 3 격벽(7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또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폭은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각각의 제 3 격벽(720)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폭은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컬러 레이어(7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3 컬러 필터(7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3 평탄부(730)는 제 1, 제 2 및 제 4 서브 화소(P1, P2, P4)에 각각 구비된다. 복수의 제 3 평탄부(7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는 제 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 1 경계 영역(B1)에 구비된 제 3 격벽(7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서브 화소(P1)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의 양 측면은 제 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 1 경계 영역(B1)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는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서브 화소(P2)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의 양 측면은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는 제 3 컬러 필터(710)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양 측면은 제 3 컬러 필터(710)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2)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 3 컬러 레이어(7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3 평탄부(730)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제 3 격벽(7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과 동일할 경우, 복수의 제 3 평탄부(730) 각각의 폭은 복수의 제 2 평탄부(630) 각각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 3 격벽(7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보다 작을 경우, 복수의 제 3 평탄부(730) 각각의 폭은 복수의 제 2 평탄부(630)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3 컬러 레이어(7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3 평탄부(73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3 컬러 필터(7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이 평평한 제 2 컬러 레이어(600) 상에, 제 3 컬러 레이어(700)에 구비된 제 3 컬러 필터(710), 복수의 제 3 격벽(720) 및 복수의 제 3 평탄부(730)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제 3 컬러 레이어(700) 또한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3 컬러 레이어(700) 상에 보호 필름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과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520, 620, 720)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격벽(520, 620, 720)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510, 610, 7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므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NDA1, NDA2)과 제 1 및 제 2 경계 영역(B1, B2)을 향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빛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에서 반사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평탄부(530, 630, 730)를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에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컬러 필터 적층 구조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520, 620, 720)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차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I-II'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II-II' 영역에는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과 제 4 서브 화소(P4)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컬러 레이어(500)는 봉지층(400)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컬러 레이어(500)는 복수의 제 1 격벽(520) 및 제 1 평탄부(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다.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제 1 컬러 필터(5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적색(R)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 또는 패드부에 구비되어, 제 4 비표시 영역(NDA4)이 제 3 비표시 영역(NDA3)보다 더 클 경우,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은 제 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컬러 레이어(5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격벽(5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평탄부(530)는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평탄부(5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는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1 격벽(5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1 평탄부(530)의 양 측면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탄부(530)의 높이는 제 1 격벽(5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컬러 레이어(600)는 제 1 컬러 레이어(500) 상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 2 격벽(620) 및 제 2 평탄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격벽(520)과 서로 중첩된다. 또한,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제 2 컬러 필터(6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녹색(G)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은 제 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은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구비된 제 1 격벽(5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컬러 레이어(6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격벽(6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평탄부(630)는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평탄부(6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는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2 격벽(6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2 평탄부(630)의 양 측면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평탄부(630)의 높이는 제 2 격벽(6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1 격벽(520) 각각의 폭과 동일할 경우, 제 2 평탄부(630)의 폭은 제 1 평탄부(53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1 격벽(520) 각각의 폭보다 작을 경우, 제 2 평탄부(630) 의 폭은 제 1 평탄부(53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 3 컬러 레이어(700)는 제 2 컬러 레이어(600) 상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 3 격벽(720) 및 제 3 평탄부(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2 격벽(620)과 서로 중첩된다. 또한,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제 3 컬러 필터(7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청색(B)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폭은 제 3 비표시 영역(NDA3)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폭은 제 4 비표시 영역(NDA4)에 구비된 제 2 격벽(620)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3 컬러 레이어(700)에 구비된 복수의 제 3 격벽(72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평탄부(730)는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평탄부(730)는 발광층(3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는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3 격벽(7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서브 화소(P4)에 구비된 제 3 평탄부(730)의 양 측면은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 구비된 제 3 격벽(7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3 평탄부(730)의 높이는 제 3 격벽(7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제 3 격벽(7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과 동일할 경우, 제 3 평탄부(730)의 폭은 제 2 평탄부(63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 3 격벽(720) 각각의 폭이 복수의 제 2 격벽(620) 각각의 폭보다 작을 경우, 제 3 평탄부(730) 의 폭은 제 2 평탄부(63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520, 620, 720)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격벽(520, 620, 720)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510, 610, 7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므로, 제 3 및 제 4 비표시 영역(NDA3, NDA4)을 향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빛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에서 반사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의 적층 구조가 변경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가 구비된 제 2 기판(800)을 발광 소자가 구비된 제 1 기판(100)에 합착하여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기판(800)의 하부에 제 1 컬러 레이어(500)가 구비되고, 제 1 컬러 레이어(500)의 하부에 제 2 컬러 레이어(600)가 구비되고, 제 2 컬러 레이어(600) 하부에 제 3 컬러 레이어(7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3 컬러 레이어(700)와 봉지층(400) 사이에 평탄화층이 추가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 각각의 구성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컬러 레이어(500, 600, 700) 각각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 1 기판 200: 회로 소자층
310: 제1 전극 320: 발광층
330: 제 2 전극 340: 뱅크
400: 봉지층 500: 제 1 컬러 레이어
510: 제 1 컬러 필터 520: 제 1 격벽
530: 제 1 평탄부 600: 제 2 컬러 레이어
610: 제 2 컬러 필터 620: 제 2 격벽
630: 제 2 평탄부 700: 제 3 컬러 레이어
710: 제 3 컬러 필터 720: 제 3 격벽
730: 제 3 평탄부 800: 제 2 기판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P: 서브 화소 B: 경계 영역

Claims (17)

  1. 제 1 서브 화소, 제 2 서브 화소, 제 3 서브 화소 및 제 4 서브 화소가 구비된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구비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구비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에 구비되며, 제 1 격벽을 가지는 제 1 컬러 레이어;
    상기 제 1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2 격벽을 가지는 제 2 컬러 레이어; 및
    상기 제 2 컬러 레이어 상에 구비되며, 제 3 격벽을 가지는 제 3 컬러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격벽은 상기 비발광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2 격벽 및 상기 제 3 격벽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레이어는 제 1 컬러 필터, 상기 제 1 격벽 및 복수의 제 1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컬러 레이어는 제 2 컬러 필터, 상기 제 2 격벽 및 복수의 제 2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컬러 레이어는 제 3 컬러 필터, 상기 제 3 격벽 및 복수의 제 3 평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필터는 상기 제 1 서브 화소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컬러 필터는 상기 제 2 서브 화소에 구비되고,
    상기 제 3 컬러 필터는 상기 제 3 서브 화소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는 적색 광, 녹색 광 또는 청색 광 중 어느 하나의 광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 1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은 제 2 및 제 3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과 상이하고,
    상기 제 2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은 제 3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과 상이한,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제 2 격벽은 상기 제 2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제 3 격벽은 상기 제 3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평탄부는 상기 제 2 내지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평탄부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 3 평탄부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필터,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복수의 제 1 평탄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컬러 필터, 상기 제 2 격벽 및 상기 복수의 제 2 평탄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컬러 필터, 상기 제 3 격벽 및 상기 복수의 제 3 평탄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의 면적과 상기 제 2 격벽의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평탄부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제 2 평탄부의 면적은 동일한, 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의 면적과 상기 제 3 격벽의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평탄부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제 3 평탄부의 면적은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서브 화소는 백색 광을 방출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브 화소와 상기 제 4 서브 화소 사이에는 상기 비발광 영역이 구비되지 않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컬러 레이어 상에 제 2 기판이 더 구비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레이어는 제 1 컬러 필터, 상기 제 1 격벽 및 복수의 제 1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컬러 레이어는 제 2 컬러 필터, 상기 제 2 격벽 및 복수의 제 2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컬러 레이어는 제 3 컬러 필터, 상기 제 3 격벽 및 복수의 제 3 평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필터는 상기 제 3 서브 화소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컬러 필터는 상기 제 2 서브 화소에 구비되고,
    상기 제 3 컬러 필터는 상기 제 1 서브 화소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는 적색 광, 녹색 광 또는 청색 광 중 어느 하나의 광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 1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은 제 2 및 제 3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과 상이하고,
    상기 제 2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은 제 3 컬러 필터가 투과시키는 광의 색깔과 상이한,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제 2 격벽은 상기 제 2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제 3 격벽은 상기 제 3 컬러 필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평탄부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평탄부는 상기 제 1, 제 3 및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 3 평탄부는 상기 제 2 내지 제 4 서브 화소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189672A 2020-12-31 2020-12-31 표시 장치 KR20220096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72A KR20220096852A (ko) 2020-12-31 2020-12-31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72A KR20220096852A (ko) 2020-12-31 2020-12-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52A true KR20220096852A (ko) 2022-07-07

Family

ID=823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72A KR20220096852A (ko) 2020-12-31 2020-12-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4415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7977875B2 (en) Light emitting display
US96472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multi-layer stack structure
KR10141165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463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514679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US9419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77189A1 (en) Display device
US20120153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568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9208027A (ja) 表示装置
KR20100028925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7008044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40062258A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KR10257240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1298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30422551A1 (en) Display device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383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30048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10271A (ja) 表示装置
KR102353802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4773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01951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220157905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