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810A -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810A
KR20220096810A KR1020200189584A KR20200189584A KR20220096810A KR 20220096810 A KR20220096810 A KR 20220096810A KR 1020200189584 A KR1020200189584 A KR 1020200189584A KR 20200189584 A KR20200189584 A KR 20200189584A KR 20220096810 A KR20220096810 A KR 20220096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terminal
code
user terminal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진욱
Original Assignee
썬드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드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드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810A/en
Publication of KR2022009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act-free simple payment service, compris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order event by selecting at least one menu after scanning a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and executing a payment based on at least one type of option; a franchisee terminal for printing an order sheet with at least one menu receiv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d printing a result event of the payment execut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database part for receiving a menu, a table number and a number of seats from the franchisee terminal, mapping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ats to the table number, and storing the same based o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franchisee; a transmission part for extracting the franchisee's unique identification code already mapped to the QR code and transmitting the menu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n the QR code is scann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 order part for transmitting the order sheet to the franchisee terminal of the franchisee already mapped to the QR code when the order event is printed after at least one menu is select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delivery part for delivering the result event to the franchisee terminal when the payment is execut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cans the QR code and executes payment with various options, and a franchisee confirms the payment without a contact.

Description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Non-face-to-fac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상황별 결제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비대면으로 주문 및 결제까지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by providing various payment options for each situation, provides a platform that can perform non-face-to-face orders and payments.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해를 거듭할 수록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업그레이드되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하는 상점이나 음식점의 판매정보시스템(POS)이나 주문관리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 OMS)은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면대면 주문 시스템에서 점차 비대면 주문 시스템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외식사업인 F&B(Food and Beverage) 업종의 종류와 영업 행태에 따라 수익(Revenue)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는가에 대한 최적화(Optimization)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영업이익을 최적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고객을 늘려 매출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안으로는 비용을 줄여 순이익을 증가시키는 방안이며, 이는 인건비 절감, 즉 종업원을 대신하는 QR 코드와 같은 주문관리시스템을 차용하는 것으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re being upgraded and released year after year.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sales information system (POS) or order management system (OMS) of stores or restaurants that are commonly encountered in daily life is gradually changing from a face-to-face order system to a non-face-to-face order system in line with the flow of the times. have. According to the type and business behavior of the food and beverage business, F&B (Food and Beverage), it is necessary to find an optimization method for how effectively it can increase revenue. You can think of ways to increase your sales. The second method is to increase net profit by reducing costs, which can be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by reducing labor costs, that is, by borrowing an order management system such as a QR code on behalf of employees.

이때, QR 코드를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음식을 주문 및 결제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62888호(2020년01월06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0441호(2016년05월30일 공개)에는, 음식점 매장 내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음식 메뉴를 검색, 선택, 주문 및 결제함으로써 포인트, 스탬프 및 쿠폰을 획득할 수 있고 음식의 주문 및 서빙을 위한 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구성과, 음식점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발생된 결제정보를 수취인 계좌번호 등의 이체정보와 함께 QR 코드의 형태로 생성한 후 계산서와 함께 표출시키고, QR 코드를 고객이 소유하고 있으며 즉시결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스캔하면, 고객이 기 설정한 계좌이체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면서 QR 코드 상에 포함된 수취인 계좌번호로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을 이체하도록 하고, 고객이 결제해야 할 총 결제금액뿐만 아니라 결제금액 중 일정 금액 또는 일정 비율에 상응하는 금액만을 부분적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ordering and paying for food non-face-to-face using a QR cod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No. 2016-0060441 (released on May 30, 2016), points, stamps, and coupons can be obtained by scanning, selecting, ordering, and paying for food menus by photographing a QR code attached to a restaurant store and ordering food. And a configuration that can reduce the manpower for serving, and the payment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offline franchise of the restauran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QR code along with the transfer information such as the payee account number, and then displayed along with the bill, and the QR code is sent to the customer When scanning using a smart terminal owned and installed with an instant payment application, the customer's preset account transfer process is activated, allowing the customer to transfer the amount they want to pay to the payee account number included in the QR code. A configuration for partially paying not only the total payment amount to be paid, but also an amount corresponding to a certain amount or a certain ratio among the payment amounts is disclosed, respectively.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QR 코드를 스캔할 때 하나의 QR 코드를 이용하게 되므로 어떤 테이블의 어떤 손님이 계산을 하는지 시스템 상 알 방법이 없고 이에 자신이 먹은 메뉴를 다시 찾아서 계산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 후자의 경우에도 QR 코드를 계산서를 통하여 받아야 하는데 계산서는 POS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직원이나 점주가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 비대면이 아니고 대면접촉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면 접촉을 최대한 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포스트코로나(Post COVID-19) 시대에도 안전하면서 다양한 결제 옵션으로 다양한 상황에서도 사용가능한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in the former case, one QR code is used when scanning the QR code, so there is no way in the system to know which customer at which table is paying the bill. There is a hassle to Also, in the latter case, the QR code must be received through the bill, but since the bill is output from the POS, the process of delivering it to the customer by the employee or store owner inevitably occurs. to be. Therefore, by avoiding face-to-face contact as much as possibl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provide a payment method that can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with various payment options while being safe even in the post-COVID-19 era of the New Normal era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는 테이블의 좌석마다 배치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한 테이블에 몇 명이 앉았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각 개인이 주문한 메뉴를 각자 계산하는 더치페이, 1/N로 균분하는 1/N페이, 한 사람이 몰아 결제하는 전체결제인 킹(King) 페이, 타인의 주문을 대신 결제하는 흑기사 페이,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메뉴 페이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옵션으로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가맹점 단말 상에서는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금액의 총 합계가 모두 결제된 것을 확인하는 경우 계산 프로세스를 완료시키기만 하면 됨으로써 별도로 가맹점주가 계산을 하거나 카드를 받아 결제함으로써 간접접촉을 하는 상황을 배제시킬 수 있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cans the QR code placed at each seat of the table to check how many people are seated at one table and at the same time calculates the menu ordered by each individual individually with Dutch Pay, 1/N Order with various options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1/N pay that is equalized, King Pay, which is a total payment made by one person, Black Knight Pay, which pays for other people's orders, and Menu Pay, which pays by selecting a specific menu and payment,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otal sum of the order amounts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has been paid on the merchant terminal, the merchant simply completes the calculation process, so that the merchant separately calculates or receives a card and pays indirect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that can exclude a contact situation.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좌석별 배치된 QR 코드를 스캔한 후,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 이벤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포함된 주문서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한 결제의 결과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 및 가맹점 단말로부터 메뉴, 테이블 번호 및 좌석 수를 입력받고, 좌석 수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테이블 번호에 매핑하여 각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주문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주문서를 전송하는 주문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과 이벤트를 가맹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selects at least one menu to transmit an order event, and at least one type of op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at performs payment based on , outputs an order book including at least one menu receiv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receives and outputs an event as a result of payment performed by at least one user terminal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database conversion unit that receives menus, table numbers and number of seats from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ffiliate store terminal, maps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ats to the table number and stores i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affiliate store When the QR code is scanned, a transmission unit that extracts the merchant's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pped to the QR code and transmits the menu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selects at least one menu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sends an order event When outputting,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n ordering unit that transmits an order form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mapped to the QR code, and a transfer unit that transmits a result event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when payment is made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cludes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테이블의 좌석마다 배치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한 테이블에 몇 명이 앉았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각 개인이 주문한 메뉴를 각자 계산하는 더치페이, 1/N로 균분하는 1/N페이, 한 사람이 몰아 결제하는 전체결제인 킹(King) 페이, 타인의 주문을 대신 결제하는 흑기사 페이,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메뉴 페이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옵션으로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가맹점 단말 상에서는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금액의 총 합계가 모두 결제된 것을 확인하는 경우 계산 프로세스를 완료시키기만 하면 됨으로써 별도로 가맹점주가 계산을 하거나 카드를 받아 결제함으로써 간접접촉을 하는 상황을 배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cans the QR code placed at each seat of the table to check how many people are seated at one table and at the same time calculates the menu ordered by each individual individually Pay, 1/N pay divided by 1/N, King Pay, which is a total payment made by one person, Black Knight Pay, which pays for other people's orders on behalf of others, and menu pay for selecting a specific menu It allows you to perform orders and payment with various options in various situations, and if you check that the total sum of the order amounts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has been paid on the merchant terminal, you just need to complete the calculation process, so that the merchant can make a separate calculation or By accepting a card and making a payment, the situation of indirect contact can be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conscionable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instead of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employee. The terminal 500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the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주문한 메뉴에 대한 가격을 결제하기 위한 더치페이, 함께 온 지인 또는 가족의 메뉴를 사람 수 대로 나누어 균분 결제하는 1/N 페이, 타인의 메뉴를 대신 결제하는 흑기사 페이, 어느 특정 메뉴만을 결제하는 메뉴 페이, 함께 온 지인 또는 가족의 메뉴를 모두 계산하는 킹(King) 페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performs an order and payment us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is Dutch Pay for paying the price for the menu ordered by the user, 1/N Pay for dividing the menu of acquaintances or family members who came with the number of people and paying equally, and Black Knight paying for the menu of others It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payment by selecting any one or at least one option among Pay, Menu Pay, which pays for only a specific menu, and King Pay, which calculates all menus of acquaintances or family members who came together.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가맹점 등록을 받고, QR 코드를 직접 출력할 수 있도록 테이블 번호 및 가맹점 고유식별부호를 매핑하여 생성 및 전송하거나, QR 코드를 각 테이블별로 붙일 수 있도록 스티커형 등으로 제작하여 배송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테이블 번호, 테이블 수, 각 테이블 번호 당 좌석 수, 메뉴 리스트, 옵션 리스트, 상호, 업종, 위치,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가맹점 정보를 입력받아 가맹점을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가맹점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가맹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QR 코드를 생성하고 인쇄하는 프로세스는 별도로 프로그램과 함께 제작한 PC에서 구동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좌석별로 배치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QR 코드에 매핑된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고, 고유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메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페이 옵션(Pay Option)을 선택받아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non-face-to-face based simple pay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nd,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affiliate store registrati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nd maps the table number and the affiliate stor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o that the QR code can be directly outputted, generated and transmitted, or QR code. It may be a server that carries out the delivery process by making a sticker type so that the code can be attached to each table. At this time,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table number, the number of tables, the number of seats per each table number, a menu list, an option list, a business name, a business type, a location, an address, and a phone number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It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ffiliated store information, such as, and registers the affiliated store. In additio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each affiliated store, maps and stores affiliated stor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printing the QR code may be driven on a PC produced together with a program separately. And,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scanning the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in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mapped to the QR code, is pre-mapp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t may be a server that transmits the stored menu list to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t least one pay option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performs paymen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It can be a server.

여기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가맹점의 업종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고 제한되지 않으며, 테이블이 존재하고 서빙이 요구되는 업종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POS 옆에 장착되어 주문 내역을 보여주는 용도의 단순 가맹점 단말과, 주방용 단말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또, 가맹점 단말(100)은, 주문 내역을 소리로 읽어주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가맹점 정보를 등록하고 QR 코드를 발행받아 직접 프린트하거나 배송을 요청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을 등록할 수 있고, 각 직원 단말(500)이 가맹점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근무 시간인 경우에만 가맹점 단말(400)과 연동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400)은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점주 또는 직원에게 확인 버튼을 누르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n affiliate store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a non-face-to-face simple payment service. Any type of business type of franchisee is possible and not limited, and it will be obvious that any type of business is possible as long as there is a table and a service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may be divided into a simple affiliate store terminal for the purpose of being mounted next to the POS to show order details, and a kitchen terminal. In additi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ext to speech (TTS) function for reading order details aloud. In this case,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n affiliate store that registers affiliate store information with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receives a QR code to directly print or request delivery.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can register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and each employee terminal 500 is linked with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only when it matches the loc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or during working hours. It may be a terminal. In additi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a payment event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allows the store owner or staff to press a confirmation butto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빙 목록이나 옵션 요청 목록을 테이블 번호와 함께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직원 단말(400)은 별도의 업무폰이 있지 않은 이상, 직원의 스마트폰이 되므로, 정해진 근무시간이나 장소 외에는 연동이 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가맹점에 설치된 와이파이에 접속이 되는 경우 연동되고, 와이파이에서 멀어져 끊어지는 경우 직원 단말(400)의 연동은 해제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 serving list or an option request list together with a table number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a non-face-to-face simple payment service. At this time, since the employee terminal 400 becomes the employee's smartphone unless there is a separate business phone, it may be set not to be linked except for a set working time or place. Alternatively, when connected to the Wi-Fi installed in the affiliated store, it is interlocked, and when it is disconnected from the Wi-Fi, the interworking of th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releas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At this tim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an embodiment in which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도 2를 참조하면,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전송부(320), 주문부(330), 전달부(340) 및 리셋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include a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 a transmission unit 320 , an ordering unit 330 , a transmission unit 340 , and a reset unit 350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로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employee When transmitting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the terminal 5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 500) may install or open a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and the like. In addition,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메뉴, 테이블 번호 및 좌석 수를 입력받고, 좌석 수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테이블 번호에 매핑하여 각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저장할 수 있다. QR 코드는, 가맹점의 기 설정된 링크 주소 및 테이블 정보가 기본값으로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QR 코드에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수에 대응하도록 좌석 번호를 증가시켜 좌석 번호를 변수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receives the menu, table number, and number of seats from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 and maps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ats to the table number to obtai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affiliate store. can be saved as a baseline. In the QR code, the preset link address and table inform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are stored as default values, and the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when there is a user terminal 100 logged in to the QR code, the number of logged in user terminals 100 By increasing the seat number to correspond to , the seat number can be assigned as a variable value.

예를 들어, 천호동 A 식당에서 테이블 수 4 개, 좌석 수 각각 4 개로 등록을 했다면, [1234(고유식별코드)-A 식당-테이블 수 4 개 - 좌석 수 16 개]로 저장할 수 있다. 또, QR 코드는, 각 테이블 단위가 아니라 좌석별이므로 1 번 테이블에 4 개의 좌석에는 1-1, 1-2, 1-3, 1-4라는 좌석 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각각에 QR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모두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므로, QR 코드만 스캔을 하더라도 어떤 매장인지, 몇 번 테이블인지, 몇 번 좌석인지를 모두 알 수 있게 된다. 생성된 QR 코드는 제작 및 인쇄되어 가맹점 단말(400)의 주소지로 배송이 될 수도 있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직접 프린트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QR 코드 디지털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you register for 4 tables and 4 seats each at Restaurant A in Cheonho-dong, you can save it as [1234 (unique identification code) - Restaurant A - 4 tables - 16 seats]. In addition, since the QR code is for each seat, not for each table, 4 seats in Table 1 can be given seat numbers 1-1, 1-2, 1-3, 1-4, and each QR code can be created. All of these are mapped and stor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o even if you scan only the QR code, you can know which store it is, how many tables it is, and how many seats it is. The generated QR code may be produced and printed and delivered to the address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or QR code digital data may be transmitted so that it can be printed and attached directly from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이때, 각 좌석별로 QR 코드를 배치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경우에는, 하나의 테이블에 1 개의 QR 코드만을 부여하되, QR 코드는, 가맹점의 기 설정된 링크 주소 및 테이블 정보가 기본값으로 저장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해당 QR 코드에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수에 대응하도록 좌석 번호를 증가시켜 좌석 번호를 변수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 A의 링크 주소가 XXXX이고, 1 번 테이블에는 A1이 부여되었다고 가정하면, [XXXX-A1]이 디폴트로 QR 코드에 저장된다. 각 테이블에 좌석은 인원 수가 늘어나면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XXXX-A1]이라는 QR 코드에 제 1 사용자 단말(100(1))이 로그인 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XXXX-A1-C1]으로 C1(Chair 1)이 변수값으로 설정하여 부가를 하게 된다. 만약 1 명만 착석한 경우 변수값은 C1에서 끝나겠지만, 3 명이 착석한 경우에는, 변수값은 C1, C2, C3로 늘어나게 된다.At this time, if it is inconvenient or difficult to place the QR code for each seat, only one QR code is given to one table, but the QR code is such that the preset link address and table inform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are stored as default values, and the database If there is a user terminal 100 logged in to the corresponding QR code, the painter 310 may increase the seat number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logged in user terminals 100 and give the seat number as a variable valu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ink address of restaurant A is XXXX and A1 is assigned to table 1, [XXXX-A1] is stored in the QR code by default. Since the number of seats in each table can be variable as the number of people increases,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100(1) logs in to the QR code called [XXXX-A1], the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generates [XXXX-A1-C1] As a result, C1 (Chair 1) is set as a variable value and added. If only one person is seated, the variable value will end at C1, but if three people are seated, the variable value will increase to C1, C2, and C3.

전송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좌석별 배치된 QR 코드는, 가맹점 단말(400)의 고유식별코드, 테이블 번호 및 좌석 번호를 포함하는 코드일 수 있다.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the transmitter 320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previously mapped to the QR code and transmits the menu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have. The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may be a code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 table number, and a seat number.

주문부(330)는 ,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주문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400)로 주문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완전 비대면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인서빙로봇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실내 이동로봇은 실내 측위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지를 해야 하는데 실내 측위에 대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있다. 이러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StarGazer 로봇용 측위 센서를 사용하여 천정의 Landmarker로 사용해서 측위하거나, 실내 GPS나 WiFi, 비콘(Beacon) 등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으로 측위할 수 있다. 실내 이동로봇의 경우 가장 필수적인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은 동시 측위하면서 지도를 측량하는 기술이다. The ordering unit 330 may transmit an order form to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of the affiliate store previously mapped to the QR code when the order event is output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menu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manned serving robot may be further used to realize complete non-face-to-face. Indoor mobile robots need to be aware of indoor positioning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re are various technologies for indoor positioning. In order to use this positioning technology, positioning sensors for StarGazer robots can be used as a ceiling landmark, and positioning can be carried out by triangulation using indoor GPS, WiFi, or beacons.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which is the most essential for indoor mobile robots, is a technology that surveys a map while simultaneously positioning.

이를 위해 레이저 펄스를 방사해서 되돌아 온 시간으로 주변 장애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와 측위를 통해 자율주행을 위한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측위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칼만 필터, 파티클 필터를 활용한 Montecarlo 측위 등의 신호처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지도 작성 알고리즘은 파티클 필터에 의해 보정된 격자지도(Particle filtered Grid Map, PGM)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점유격자지도(Occupancy Grid Map, OGM)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출발지와 목적지까지의 경로설정 및 자율주행은 가장 초기에 고려된 Djikstra의 최단 거리 Visibility Graph, A* 알고리즘, D* 알고리즘, RRT(Rapidly-exploring Random Trees), DWA(Dynamic Window Approach), Potential Field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map for autonomous driving through positioning and a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that emits laser pulses and measures the distance to nearby obstacles with the return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uncertainty of position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such as a Kalman filter or a Montecarlo positioning using a particle filter may be used. The mapping algorithm may use a particle filtered Grid Map (PGM) corrected by a particle filter, or an Occupancy Grid Map (OGM). Djikstra's shortest distance Visibility Graph, A* algorithm, D* algorithm, RRT (Rapidly-exploring Random Trees), DWA (Dynamic Window Approach) ),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various algorithms such as Potential Field.

로봇 개발을 위해 제공되는 개발환경은 예를 들어, ROS(Robot 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로봇을 구성하는 다양한 센서 탐지 및 구동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패키지들을 제공한다. 복잡한 로봇 동작들을 위해 다중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고 연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로봇 간에 협업도 가능하다. TF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여러 좌표 프레임 간 실시간 좌표변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자세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urtlebot 2계열의 Kobuki 이동체를 사용하고 Nvidia사의 Jetson TX2 보드를 주제어 컴퓨터로 해서, 여기에 LINUX Ubuntu 16.04 버전 운영체제 상에 ROS Kinetic Kame 버전의 메타운영체제를 설치해서 목적지를 말하면 음성인식 과정을 통해 해당 목적지로 이동하는 서빙 이동로봇을 구현할 수 있다. A development environment provided for robot development may use, for example, a Robot Operating System (ROS). In this case, program packages for detecting and driving various sensors constituting the robot are provided. Collaboration between multiple robots is also possible by allowing multiple processes to be managed and interlinked for complex robot movements. Posture control can also be facilitated by providing real-time coordinate transformation data between multiple coordinate frames using the TF library. For example, using a Kobuki mobile body of the Turtlebot 2 series and using Nvidia's Jetson TX2 board as the main control computer, install the ROS Kinetic Kame version of the meta operating system on the Linux Ubuntu 16.04 version operating syste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rving mobile robot that moves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이를 위해 ROS에서 지원하는 SLAM에 의한 지도 작성 프로그램 패키지를 사용하여 로봇을 이동시키면서 측위 및 LiDAR 센서로 주변 장애물들에 대한 거리를 탐지함으로써 지도를 작성한다. 이 지도를 토대로 ROS에서 지원하는 자율주행 프로그램 패키지를 사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고, Kobuki 이동체의 2개 구륜모터들에 대해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병진속도 및 회전각속도를 조정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게 된다. 경로설정을 위해 주제어 컴퓨터인 Jetson TX2 보드에 연결된 TFT-LCD 터치스크린을 먼저 터치하고 마이크에 목적지 위치를 가령 "1 번 테이블"과 같이 말한다. 이에 대한 음성파일을 만들고 이 음성파일을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Open AI 서버로 보낸 다음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받는다. 텍스트 데이터에서 “테이블” 앞 부분의 테이블 번호를 식별하여 해당 테이블 번호에 맞는 지도 상의 위치를 자율주행 프로세스에게 토픽메시지로 보내어 목적지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For this, a map is created by detecting the distance to surrounding obstacles with positioning and LiDAR sensors while moving the robot using the SLAM mapping program package supported by ROS. Based on this map, using the autonomous driving program package supported by ROS, set the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and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wo old-wheeled motors of the Kobuki moving body to adjust the transl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angular speed to the destination. will move To set the route, first touch the TFT-LCD touch screen connected to the Jetson TX2 board, which is the main control computer, and say the destination location to the microphone, for example, “Table No. 1”. It creates a voice file and sends this voice file to the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Open AI Server, and then receives the recognized text data. By identifying the table number in the front part of the “table” in the text data, the location on the map that matches the table number is sent to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as a topic message to set the destination route.

<ROS><ROS>

ROS(Robot Operating System)는 로봇 개발을 편리하게 하고 관리 및 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설치되어 하드웨어의 가상화, 로우 레벨(Low Level) 장치 제어, 인터넷이 연결된 이기종 컴퓨터의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TCI-IP 메시지 통신을 통한 분산 컴퓨팅 환경, 로봇을 구성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들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패키지들을 제공한다. 이 외에 3차원 시뮬레이터인 Gazebo, 시각화 도구인 Rviz, GUI 도구 모음 RQT 등의 유틸리티 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ROS (Robot Operating System) is installed in various operating systems for convenient robot develop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TCI-IP is installed between the processes of different types of computers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virtualization of hardware, low-level device control, and the Internet. It provides application packages necessary for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messag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control of various hardware modules constituting the robot. In addition, utilities such as Gazebo, a 3D simulator, Rviz, a visualization tool, and RQT, a GUI tool set may be required.

ROS는 토픽(Topic), 서비스(Service), 액션 서비스(Action Service)와 같은 분산처리 환경들을 제공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토픽 메시지를 통해 퍼블리셔(Publisher)와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로 구성된 두 노드 프로세스간에 TCP-IP 소켓 통신을 하도록 함으로써 연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원격키 노드 프로세스인 A 노드는 키보드의 방향키를 통해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퍼블리셔 노드이고, 반면에 B 노드는 이 방향키 제어신호를 받아 윈도우 안의 객체가 움직이게 하는 서브스크라이버 노드이다. 이를 위해서 연동하려는 노드들은 마스터 노드 프로세스에게 자신의 IP 및 포트, 토픽메시지 이름과 메시지 유형의 정보를 보낸다. 마스터 노드는 동일한 토픽메시지를 요청하는 노드들에게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노드의 IP 및 포트 정보를 넘겨 주면, 이들 간에 소켓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ROS provides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s such as Topic, Service, and Action Service. Two nodes composed of a Publisher and a Subscriber through a topic message are the most used. It interworks by allow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es. For example, node A, which is a remote key node process, is a publisher node that wants to control movement through the arrow keys on the keyboard, whereas node B is a subscriber node that receives this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and causes objects in the window to move. For this, the nodes that want to interwork send their IP and port, topic message name and message type information to the master node process. When the master node passes the IP and por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node to which it wants to communicate to nodes requesting the same topic message, it enables socket communication between them.

로봇을 구성하는 컴퓨터들은 각각 .bashrc shell 스크립트 파일에 마스터 노드가 되는 컴퓨터의 IP 및 포트 정보의 환경설정을 한다. 이제 마스터 노드가 되는 컴퓨터에서는 터미널을 열어「roscore」ROS shell command를 사용해서 마스터 노드 프로세스를 구동한다. 연동하는 두 노드 프로세스들을 동작시키려면 터미널을 열어「rosrun」ROS shell command를 통해 구동한다. 특히 RQT 유틸리티는 현재 로봇에서 일어나는 모든 노드 프로세스들 간의 연동되는 모습을 그래프의 형태로 노드 이름과 토픽메시지 이름을 표시해서 보여 준다.Each computer composing the robot configures the IP and port information of the computer that becomes the master node in the .bashrc shell script file. Now, on the computer that becomes the master node, open a terminal and use the “roscore” ROS shell command to start the master node process. To run the two interlocking node processes, open a terminal and run it through the “rosrun” ROS shell command. In particular, the RQT utility shows the interworking between all node processes occurring in the current robot by displaying the node name and topic message name in the form of a graph.

이와 같이 ROS 환경에서 로봇 동작을 위해 연동되는 노드 프로세스들을 위한 패키지들이 ROS 관련 git-hub에서 많이 제공되어 쉽게 복사 해서 컴파일하거나 linux의 apt-get 설치 shell command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로봇 동작을 위한 패키지들은 로봇에 사용되는 특정 제조사의 특정 모델 하드웨어 모듈을 구동하거나, SLAM에 의한 지도 작성, 자율주행과 같이 로봇 제어 등을 위한 ROS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된다. ROS 버전, 구동할 로봇 이동체 사양, 하드웨어 모듈의 사양 등에 따라 적합한 패키지들을 선택하면 구현이 가능하다.In this way, many packages for node processes that are interlocked for robot operation in ROS environment are provided in ROS-related git-hub, so you can easily copy and compile them or install them using the apt-get installation shell command of linux. Packages for robot operation are provided as ROS applications for driving a specific manufacturer's specific model hardware module used in the robot, creating maps by SLAM, and controlling the robot such as autonomous driving. It can be implemented by selecting suitable packages according to the ROS version, the specifications of the robot to be driven,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hardware module.

<지도 작성 & 자율주행><Map Creation & Autonomous Driving>

이동로봇은 먼저 이동하면서 LiDAR 또는 깊이(Depth) 카메라와 같은 거리 센서들을 사용하여 주변 장애물들을 탐지하고 측위 과정을 거치면서 지도를 작성한다. 그 다음에 이 지도를 바탕으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해서 자율주행하도록 해야 한다. 먼저 측위 과정에 있어서 k 시점에서 로봇이 2차원 x-y에서의 위치 및 그 위치에서의 방향각으로서 (xk, yk, θk)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로봇의 좌우바퀴 엔코더(Encoder) 회전속도 센서를 통해 탐지된 좌우바퀴의 회전각속도 wlk 및 wrk과 바퀴의 반경 r, 바퀴사이의 거리 D로부터 k 시점에서의 로봇 병진속도 vk 및 로봇 회전각속도 wk를 각각 이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While moving first, the mobile robot uses distance sensors such as LiDAR or depth camera to detect nearby obstacles and creates a map through the positioning process. Then, based on this map, you need to set a route to the desired destination and allow it to drive autonomously. First, in the positioning process, the robot can be expressed as (xk, yk, θk) as the position in the two-dimensional xy at the point k and the direction angle at the posi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ular velocity w l k and w r k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detected through the encoder rotation speed sensor of the robot's left and right wheels, the radius r of the wheel, and the robot translation speed vk at the point k from the distance D between the wheels and the robot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wk can be obtained as shown in Equations 1 and 2 below,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vk 및 wk로부터 △t 시간 지난 k+1 시점에서의 이동거리 △sk 및 방향회전각 △θk을 구할 수 있고, 이로부터 k+1 시점에서의 위치 및 방향각 (xk+1, yk+1, θk+1)을 수학식 3과 같이 구함으로써 측위할 수 있다.From vk and wk, the movement distance Δsk and the direction rotation angle Δθk at the time k+1 after Δt time can be obtained, and from this,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angle at the time k+1 (xk+1, yk+1,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by obtaining θk+1) as in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그러나 회전속도 센서의 오차나 또는 회전속도 탐지가 올바로 탐지 되더라도 바퀴의 미끄러짐이나 마찰 등으로 인해 실제 이동한 거리는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작은 오차라 할지라도 주행하면서 누적되는 측위 오차는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매 구간마다 측위 오차에 대한 확률적 통계를 측정해서 보정해 줄 필요가 있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칼만 필터 등의 통계적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보정할 수 있다. 이동로봇이 LiDAR와 같은 거리 센서를 통해 주변 장애물에 대한 거리 탐지로부터 측위 보정을 더욱 잘 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지도를 작성하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rotation speed sensor error or rotation speed detection is correctly detected, the actual distance traveled may vary due to wheel slippage or friction, and even a very small error will inevitably increase the positioning error accumulated while driving.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correct probabilistic statistics for positioning errors in every section, and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rrected using a statistical algorithm such as a Kalman filter. Mobile robots will be able to perform better positioning correction from distance detection to surrounding obstacles through distance sensors such as LiDAR and create more accurate maps.

이제 로봇에 지도를 갖춘 상태에서 목적지 좌표를 정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경로설정 계산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해서 구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자율주행 하도록 해야 한다. 설정된 경로에 따라 △t 시간마다 k 시점에서 다음 k+1 시점에서의 이동거리 △sk 및 방향회전각 △θk가 주어지고 이로부터 모터의 회전속도를 구해서 이에 맞는 듀티(Duty)비의 디지털 신호인 PWM(Pulse Width Modulation)를 좌우바퀴 모터에 가한다. 자율주행 하는 동안에도 끊임없이 엔코더, IMU(Inertia Measurement Unit), 깊이 카메라와 같은 여러 센서들을 사용하여 측위해 가면서 설정된 경로로부터의 이탈을 수시로 점검해서 다시 보정된 경로를 따라 가도록 설정할 수 있다.Now, if the destination coordinates are determined with the robot equipped with a map, the movement path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oute setting calculation algorithm, and the old-wheeled motor is driven to enable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set route, the movement distance Δsk and the directional rotation angle Δθk from the k time point to the next k+1 time point are given for each △t tim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obtained from this. PWM (Pulse Width Modulation)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 motors. Even during autonomous driving, various sensors such as encoders, IMUs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depth cameras are constantly used to check deviations from the set route while measuring, and it can be set to follow the calibrated route.

전달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과 이벤트를 가맹점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포함된 주문서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한 결제의 결과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좌석별 배치된 QR 코드를 스캔한 후,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 이벤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unit 340 may transmit a result event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when payment is perform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outputs an order book including at least one menu receiv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nd receives and outputs an event as a result of payment performed by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can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scans the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selects at least one menu, transmits an order event, and performs payment based on at least one type of option. have.

<킹 페이><King F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 결제를 수행하는 킹(King)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킹 페이는, 테이블 번호 당 1 명이 주문표 합계액 전체를 계산하는 옵션이다. 한 멤버(사용자)가 이 옵션을 선택하면 3 분 내로 결제를 해야 하고 이때까지 다른 멤버들에겐 옵션 선택권이 비활성 된다. 이때, 3 분 내로 킹 페이를 실행하지 않으면 옵션들은 리셋될 수 있다. 물론, 3 분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type of option may include a King Pay for performing a total amount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order events that are generated by being mapped to a table number. In this case, King Pay is an option for one person per table number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the order table. When one member (user) selects this option, payment must be made within 3 minutes, and the option option is inactive for other members until then. At this time, if the king pay is not executed within 3 minutes, the options may be reset.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3 minutes, and various times may be set according to embodiments.

<황제 페이><Emperor F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 결제를 수행하는 킹(King) 페이 뿐만 아니라, 다른 테이블 번호를 지정하여 다른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저장된 주문 내역을 모두 결제하는 옵션이다. 킹 페이가 테이블 번호 당 1 명이 주문표 합계액 전체를 계산하는 옵션이었다면, 황제 페이는 현재 테이블 번호 뿐만 아니라 다른 테이블 번호까지, 1 명이 주문표 합계액 전체를 계산하는 옵션이다. 예를 들어, 단체 회식이나 부킹 술집에서 다른 테이블까지 모두 결제해야 할 경우 필요하게 된다. 황제 페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 내 미결제된 주문 내역이 존재하는 테이블의 번호가 모두 표시되고, 황제 페이를 선택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테이블 번호를 고르거나, 모든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킹 페이에 합산되어 결제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황제 페이는 킹 페이의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옵션일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At least one type of option is not only King Pay, which performs a full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order events mapped to table numbers, but also other table numbers that are mapped to other table numbers and stored It is an option to pay all order details. If King Pay was an option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the order table by one person per table number, Emperor Pay is an option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the order table by one person, not only the current table number but also other table numbers. For example, you will need it if you have to pay for all the other tables at a group dinner or a booking bar. When Emperor Pay is selected, all table numbers with outstanding order history in the affiliated store are displayed, and the user who selected Emperor Pay can selectively select a table number or select all tables. In this case, King It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payment is added to the pay. In this case, the emperor pay may be an option corresponding to the sub-menu of the king pay, but it may not.

<더치 페이><Dutch P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 및 QR 코드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더치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더치 페이는 각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를 각자가 계산하는 의미이고 1/N과 같은 균분 결제와 다르다. 주문표에는 각자 별명과 함께 선택한 메뉴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더치 페이 옵션을 선택하면 각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는 자신이 주문한 메뉴의 금액만 계산하기가 가능하다. The at least one type of option may include a Dutch Pay for performing a paymen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event that is generated by being mapped to a table number and a QR code. In this case, Dutch pay means that each user calculates the menu ordered by each user, and is different from equal payment such as 1/N. Since the menus selected together with each nickname are separated in the order table, when the Dutch pay option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only the amount of the menu ordered by the user on the screen of each user terminal 100 .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더치 페이의 옵션을 선택하면, 해당 테이블 번호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다른 사용자 단말(100)에도 주문한 메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이 각자의 결제창에 뜨게 된다. 이때, 모든 옵션은 활성화 상태이고, 멤버 중 한 명이 더치 페이로 결제를 수행하면, 다른 페이 옵션들은 비활성되며, 흑기사 페이만 활성화되어서, 흑기사 페이 옵션을 선택하는 멤버는 아직 미결제한 멤버 리스트를 보고 선택하는 경우, 자신의 결제창에 합산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흑기사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tion of Dutch Pay is selected in one user terminal 100, the pay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enu ordered is also displayed in the respective payment windows in other user terminals 100 that have scanned the QR code from the table number. At this time, all options are active, and when one of the members pays with Dutch Pay, other pay options are inactive, and only Black Knight Pay is activated, so the member who selects the Black Knight Pay option sees and selects the list of members who have not yet paid If you do, you will be able to pay for the Black Knight because it will be added to your payment window.

<1/N 페이><1/N P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을, 테이블 번호에서 스캔된 QR 코드의 수로 나눈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1/N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참여한 사람의 수 만큼 균분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며, 술자리 등 각자 먹은 것을 따로 계산하기 곤란한 경우에 통상 총액을 참여자 수 만큼 균등하게 나눠서 지불하는 방식인데, 매장을 떠난 후 복잡하게 계산하는 1/N 페이 방식이 아니라, 매장 내 테이블에서 모든 계산을 끝내고 나갈 수 있게 된다. At least one kind of option includes a 1/N pay that performs a payment for the total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order events mapped to the table number divided by the number of QR codes scanned from the table number can do. It is a method of paying in equal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ly calculate what each person ate, such as a party, it is usually a method to divide the total amount equally b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stead, you can finish all the calculations at the table in the store and leave.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1/N 페이의 옵션을 선택하면, 해당 테이블 번호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다른 사용자 단말(100)에도 해당 테이블 번호에서 주문한 모든 메뉴의 합계를 QR 코드를 스캔한 사람의 수 만큼 나누어 균분한 결제금액이 각자의 결제창에 뜨게 된다. 이때, 모든 옵션은 활성화 상태이고, 멤버 중 한 명이 1/N 페이로 결제를 수행하면, 다른 페이 옵션들은 비활성되며, 흑기사 페이만 활성화되어서, 흑기사 페이 옵션을 선택하는 멤버는 아직 미결제한 멤버 리스트를 보고 선택하는 경우, 자신의 결제창에 합산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흑기사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1/N pay option is selected in one user terminal 100, the total of all menus ordered from the table number is also added to the other user terminal 100 that has scanned the QR code from the corresponding table number to the person who scanned the QR code Divided by the number of , the equal payment amount is displayed on each payment window. At this time, all options are active, and if one of the members pays with 1/N pay, other pay options are inactive, and only Black Knight Pay is activated, so the member who selects the Black Knight Pay option will see the list of members who have not yet paid. If you view and select, you can pay for the Black Knight because it is added to your payment window and appears.

<메뉴 페이><Menu P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메뉴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메뉴에 대하여 결제하기 옵션인데, 예를 들어, 점심을 같이 먹는 회사 동료 중 한 명이 탕수육 값은 본인이 낸다고 한 경우, 특정 메뉴, 즉 탕수육에 대한 결제를 메뉴 페이 옵션에서 수행할 수 있다. 회식 자리에서 특별히 술이나 안주 등 특정 메뉴를 사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다. 또, 처음에 로그인 하지 않은 멤버도 결제 전에 페이 옵션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사용자에게 링크를 보내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다른 간편결제 플랫폼으로 이동하여 결제되도록 하거나, 해당 링크에서 웹 페이지 기반으로 바로 결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at least one type of option may include a menu pay for performing paymen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event selected by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mong order events mapped to table numbers and generated. It is an option to pay for a specific menu. For example, if one of your coworkers having lunch together says that you will pay for sweet and sour pork, you can pay for a specific menu, that is, sweet and sour pork through the menu pay option.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buy a special menu such as alcohol or snacks at a dinner party. In addition, members who did not log in at first can participate by selecting the pay option before payment. Alternatively, when a link is sent to a user who does not have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yment can be made by moving to another simple payment platform without installing the application, or payment can be made directly from the link based on a web page.

<흑기사 페이><Black Knight Fay>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대신 수행하는 흑기사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흑기사 페이 옵션은, 결제를 하지 못하는 사람을 대신하여 대신결제하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는 주문표에 취합된 금액 단일 결제밖에 없으며, 카페에서 주문과 동시 결제도 바로하는 더치 페이식 선결제가 있을 뿐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영유아나 결제에 부모의 동의권이 존재하는 미성년자 또는 간편결제를 모르는 IT 취약계층에서 결제를 못하는 경우, 흑기사 페이 옵션으로 대신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술자리에서 흑기사는 못 마시는 술을 마셔야 하는 곤란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대신하여 마셔주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데 이를 응용하여 술자리에서 결제를 못하는 사람을 대신하여 결제를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The at least one type of option may include a black knight pay for performing paymen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event selected by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rom among order events mapped to table numbers and generated instead. The Black Knight Pay option is a function to make payments on behalf of those who cannot make payments. Generally, there is only a single payment for the amount collected in the order table, and there is only a Dutch Pay-type prepayment that allows simultaneous payment at the cafe and order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yment is not made by infants, minors who have parental rights to payment, or IT vulnerable classes who do not know about simple payment, payment can be performed using the Black Knight Pay option instead. A black knight at a drinking party refers to a person who drinks on behalf of a person who is in a difficult situation where he or she cannot drink alcohol.

리셋부(350)는, 전달부(340)로부터 전달된 결과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 금액의 총 합이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과 동일한 경우 가맹점 단말(400)로 알람을 전송하고, 가맹점 단말(400)에서 확인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켜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프로세스를 종료 및 초기화할 수 있다.The reset unit 350, when the total sum of payment amounts included in the result event transmitted from the delivery unit 340 is the same as the total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the order events generated by mapping the table number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when a confirmation event is generated i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 exit event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o terminate and initialize the order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이때,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각 테이블에 의자를 옮기도록 IoT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고, 지그비(Zigbee)를 이용해 의자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알아내어 의자가 탁자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로 장애물을 인식하여 의자가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고, 적외선 센서는 의자와 탁자의 거리를 인식하여 점주 또는 직원이 의자가 정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가맹점 단말(400)과 의자 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일대일 통신을 할 수 있고, 가맹점 단말(400)은 어느 테이블에 의자가 정리되었고 정리되지 않았는지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IoT-based system can be designed to move chairs to each table when an exit event occurs. For example, a motor can be controlled using a motor driver, and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a chair and a table can be found using Zigbee to control the chair to move to the table position. The ultrasonic sensor recognizes obstacles so that the chair can avoid obstacles, and the infrared sensor recogn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chair and the table so that the store owner or staff can know whether the chair is in order. One-to-on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the chair using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output on which table the chairs are arranged or not.

가맹점 단말(400)은, 터치스크린 동작으로 의자가 Zigbee를 통한 신호세기를 바탕으로 정리될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의자는 이동 중에 장애물을 만나면 초음파 센서로 감지하여 회피하고, 목표한 탁자에 도착하면 구동이 완료될 수 있다.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visualize and output the movement of the chair to a position to be arrang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through the Zigbee through a touch screen operation. When the chair encounters an obstacle during movement, it is detected by an ultrasonic sensor to avoid it, and when it arrives at the target table, the operation can be completed.

한편,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500)은,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상호 간 연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가맹점 단말(400)과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또는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원" 버튼을 누르면 직원 단말(500)과 무전처럼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으로 주문한 결과 응대가 느리거나 호출에도 반응이 없거나 너무 먼 거리인 야외 식당에서라면, 직원과 간단히 대화를 바로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단, 호(Call) 발신 신호음은 없고 무전처럼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전기처럼 일방의 대화만 하는 방식이 아닌 쌍방 통화가 가능한 형태로 무전과 통화를 결합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500 is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within the wireless network connected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forms a channel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r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o form a voice or message can send and receive In addition, when the "employee" button is pressed in the user terminal 100, a function for making a call with the employee terminal 500 like a radio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if a non-face-to-face order results in slow response, no response to calls, or an open-air restaurant that is too far away, the ability to have a simple conversation with an employee may be added. However, there is no call tone, it can be connected directly like a radio, and it can be operated in a way that combines a radio and a call in a form that allows two-way calls rather than a one-way conversation like a radio.

이때,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과 직원 단말(500) 간 뿐만 아니라, 직원 단말(400) 상호 간에도 가능하고, 가맹점 단말(400)이나 점장 단말(미도시)와 직원 단말(500) 간에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멀리있는 직원 등 모든 직원에게 업무지시가 가능하고, 가맹점 내 채널을 분류할 수 있어서 주방과 홀, 전체 등으로 세분화하여 필요한 팀에게만 전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is possible not only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mployee terminal 500, but also between the employee terminal 400, and betwee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or the manager terminal (not shown) and the employee terminal 500 is also possible. . Accordingly, work orders can be given to all employees, including distant employees, and channels within the franchise can be classified, so it can be subdivided into kitchens, halls, and the whole and delivered only to necessary teams.

이하, 상술한 도 2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가맹점 등록을 받으면서 테이블 번호, 좌석 수, 메뉴판이나 판매물품정보, 상호, 주소, 업종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좌석 수에 맞게 등급을 부여하고 가맹점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QR 코드를 생성 및 인쇄를 진행하며, 배송을 위한 운송장을 출력한다. 이렇게 각 가맹점으로 배송이 된 QR 코드는 각 테이블의 좌석별로 부착 또는 구비된다. (b)와 같이 각 테이블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고, 각 좌석별로 QR 코드가 배치된다. 각 가맹점 단말(400)은, (c)와 같이 각 메뉴, 가격, 옵션 등을 등록할 수 있고, (d) 손님이 해당 테이블에 착석하면 손님의 단말인 사용자 단말(100)로 각 좌석별 QR 코드를 스캔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ffiliate registrati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and information such as table number, number of seats, menu board or items sold, business name, address, business type, etc. It collects and assigns grad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ats, generates and prints a QR code based on the affiliated store's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prints a waybill for delivery. The QR code delivered to each affiliate store in this way is attached or provided for each seat at each table. As shown in (b), each table is numbered, and a QR code is placed for each seat. Each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can register each menu, price, option, etc. as shown in (c), and (d) when a customer sits at the corresponding table, the user terminal 100, which is the customer's terminal, sends a QR for each seat code will be scanned.

도 4a를 참조하면, (a) 킹 페이(King Pay)는, 한 명이 해당 테이블에서 주문한 모든 메뉴를 계산하는 것인데, 테이블 번호가 1 번이고 좌석번호가 3 번인 곳의 QR 코드를 스캔한 사용자 단말(100(3))에서 킹 페이 옵션을 선택하면, 3 분간 다른 사용자 단말(100(1), 100(4))의 결제 옵션은 비활성화되고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테이블에서 주문한 메뉴의 총 합과 결제된 금액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가맹점 단말(400)에서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퇴장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되고, 음식점을 나갈 때 퇴장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상에서 해당 테이블은 리셋되어 다시 주문을 받을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4a, (a) King Pay (King Pay) is to count all the menus ordered by one person at the table, the user terminal that scans the QR code where the table number is 1 and the seat number is 3 If the king pay option is selected in (100(3)), the payment options of other user terminals 100(1) and 100(4) are deactivated for 3 minutes, and when payment is completed, the total sum of the menus ordered from the table and payment After confirming that the amount of money is the same, if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merchant terminal 400, the exit button can be press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exit button is pressed when leaving the restaurant, the table is reset on the system to receive the order again be able to prepare

(b) 더치 페이는 각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에 대응하는 금액을 각자 계산하는 것인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1/N 페이와 구분된다. 1/N은 모든 메뉴를 합산하여 균분하는 것이고, 더치 페이는 자신이 먹은 메뉴만 계산하는 것이다. 이때, 한 사용자 단말(100(3))에서 더치 페이 옵션을 누르면, 다른 사용자 단말(100(1), 100(4))에서도 더치 페이를 위한 결제창이 뜨게 되고,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테이블에서 주문한 메뉴의 총 합과 결제된 금액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가맹점 단말(400)에서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퇴장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되고, 음식점을 나갈 때 퇴장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상에서 해당 테이블은 리셋되어 다시 주문을 받을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b) Dutch pay is to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enu ordered by each user, which is different from 1/N pay as described above. 1/N is to add up all menus and equalize, while Dutch Pay is to count only the menus you ate. At this time, when the Dutch Pay option is pressed in one user terminal 100(3), a payment window for Dutch Pay is also displayed in the other user terminals 100(1) and 100(4). After confirming that the total sum of the menus ordered and the amount paid are the same, if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merchant terminal 400, the user terminal 100 can press the exit button, and when the exit button is pressed when leaving the restaurant, the corresponding table in the system is reset and ready to take orders again.

도 4b의 (a)를 참조하면, 1/N 페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균분하는 옵션인데, 각자 주문한 메뉴의 가격을 모두 합산한 후, QR 코드를 스캔한 사람의 수 만큼 또는 수동으로 사람의 수를 입력받아 나눌 수도 있다. 이렇게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테이블에서 주문한 메뉴의 총 합과 결제된 금액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가맹점 단말(400)에서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퇴장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되고, 음식점을 나갈 때 퇴장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상에서 해당 테이블은 리셋되어 다시 주문을 받을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a) of FIG. 4B , 1/N pay is an option to equalize as described above. After summing up all the menu prices each ordered, the number of people who scanned the QR code or manually You can also divide by inputting a number.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in this way, after confirming that the total sum of the menus ordered from the corresponding table and the paid amount match, pressing the confirm button in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llows you to press the exit button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exit the restaurant When the exit button is pressed, the table is reset in the system and ready to receive orders again.

(b) 흑기사 페이 또는 메뉴 페이는 상술한 더치 페이 또는 1/N 페이를 진행하면서 어느 한 명이 다른 한 명의 결제금액을 대신결제해주거나, 어느 하나의 메뉴를 특정하여 결제하는 방법이다. 이때, 킹 페이 옵션을 누르게 되면 흑기사 페이나 메뉴 페이는 모두 비활성이 될 수 있다. (b) The Black Knight Pay or Menu Pay is a method in which one person pays the other person's payment amount on behalf of the other person while the above-mentioned Dutch Pay or 1/N Pay is performed, or a specific menu is paid. At this time, when the king pay option is pressed, both the black knight pay and the menu pay may be inactiv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FIG. 1 or easily from the described content. Since it can be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메뉴, 테이블 번호 및 좌석 수를 입력받고, 좌석 수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테이블 번호에 매핑하여 각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저장한다(S5100).5,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menu, table number and number of seats from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maps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ats to the table number, and stores i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affiliated store do (S5100).

그리고,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메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200).And, whe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scans the QR code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it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previously mapped to the QR code and transmits the menu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S5200).

또,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주문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주문서를 전송하고(S53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결과 이벤트를 가맹점 단말로 전달한다(S5400).In addition,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outputting an order event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menu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transmits an order form to the merchant terminal of the merchant pre-mapped to the QR code (S5300), at least one When payment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of , the result event is transmitted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400 )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400 )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s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FIGS. Since it can be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have.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simple pay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etc.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lso,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directly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cordabl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1)

좌석별 배치된 QR 코드를 스캔한 후,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 이벤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포함된 주문서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한 결제의 결과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메뉴, 테이블 번호 및 좌석 수를 입력받고, 상기 좌석 수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테이블 번호에 매핑하여 각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상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메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주문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QR 코드에 기 매핑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주문서를 전송하는 주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과 이벤트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at scans a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selects at least one menu, transmits an order event, and performs payment based on at least one type of option;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for outputting an order book including at least one menu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an event as a result of a payment performed by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ceiving a menu, table number, and number of seats from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mapping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ats to the table number and storing i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affiliated store When the QR code is scanned, a transmission unit that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previously mapped to the QR code and transmits the menu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menu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n outputting an order event, an ordering unit that transmits an order form to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mapped to the QR code, and a delivery unit that transmits the result event to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whe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performs payment A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 결제를 수행하는 킹(King)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ing (King) pay for performing a total amount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the order events that are mapped to the table nu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킹(King) 페이를 진행할 때,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의 전체 금액 결제 뿐만 아니라,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미결제된 주문 내역이 존재하는 다른 테이블 번호를 선택하여 전체 금액 결제를 수행하는 황제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When proceeding with the King pay, not only the payment of the entire amount of the order event generated by mapping to the table number, but also the payment of the full amount is performed by selecting another table number with outstanding order details i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Emperor P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테이블 번호 및 상기 QR 코드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더치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tch pay for performing a payment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rder event that is mapped to the table number and the QR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을, 상기 테이블 번호에서 스캔된 QR 코드의 수로 나눈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1/N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1/N pay for performing a payment for an amount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the order events mapped to the table number by the number of QR codes scanned from the table number Non-face-to-fac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메뉴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and a menu pay for performing a paymen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event selected by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mong the order events mapped to the table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옵션은,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대신 수행하는 흑기사 페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kind of option comprises: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lack Knight Pay for performing payment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an order event selected by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mong the order events that are generated by being mapped to the table numb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결과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 금액의 총 합이 상기 테이블 번호에 매핑되어 발생된 상기 주문 이벤트의 총 합에 대응하는 전체 금액과 동일한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확인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주문 프로세스를 종료 및 초기화하는 리셋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total sum of payment amounts included in the result event delivered from the delivery unit is the same as the total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otal sum of the order events that are generated by mapping to the table number, an alarm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and the merchant a reset unit for terminating and initializing the order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by generating an exit event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n the terminal generates a confirmation event;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상호 간 연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과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또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in the wireless network connected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or messages by forming a channel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or affiliated store terminal;
Non-face-to-face-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별 배치된 QR 코드는, 가맹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 테이블 번호 및 좌석 번호를 포함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QR code arranged for each seat is a non-face-to-face based simple pay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de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a table number, and a seat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상기 가맹점의 기 설정된 링크 주소 및 테이블 정보가 기본값으로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부는,
상기 QR 코드에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에 대응하도록 좌석 번호를 증가시켜 상기 좌석 번호를 변수값으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QR code is
The preset link address and table information of the affiliate store are stored as default values,
The database conversion unit,
When there is a user terminal logged in to the QR code, the seat number is increas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logged in user terminals, and the seat number is given as a variable value.
KR1020200189584A 2020-12-31 2020-12-31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KR202200968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84A KR20220096810A (en) 2020-12-31 2020-12-31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84A KR20220096810A (en) 2020-12-31 2020-12-31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10A true KR20220096810A (en) 2022-07-07

Family

ID=8239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84A KR20220096810A (en) 2020-12-31 2020-12-31 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based easy paymen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8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97B1 (en) * 2022-08-09 2023-10-13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Unmanned order service apparatus using table remote ordering and payment lin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97B1 (en) * 2022-08-09 2023-10-13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Unmanned order service apparatus using table remote ordering and payment lin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1507B1 (en) Beacon deployment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an urban or city environment
US902053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chang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20190362275A1 (en) Controlling queuing in a defined location
Ozdenizci et al. NFC internal: An indoor navigation system
JP5746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location determination
US9740999B2 (en) Real time customer access to location, arrival and on-site time data
US9204257B1 (en) Indoor and outdoor mapping and navigation utilizing RF bluetooth beacons
US2018017672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machine-assisted interactions
US20170293848A1 (en) Location-based Services
US9763037B2 (en) Network architecture for synchronized display
JP2019506650A (en) Collaborative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autonomous delivery
US20150026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US8977236B2 (en) Method and system to record and visualize type, path and location of moving and idle segments
US20080312946A1 (en) Trade show information management
US20150025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US20020006787A1 (en) Pocket concierge and multimedia, wireless call center system and method
US20120019365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enabled mobile device, method and related server arrangement
CA2976113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time location based employee management systems
US20150317356A1 (en) Communications utility with integrated mapping grid
CN103998897A (en) Geocoding points of interest and service route delivery and audit field performance and sales method and apparatus
GB2425921A (en) Retail management system for us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74874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machine-assisted interactions
KR20120122217A (en) Application system to output waiting order from remote place and method thereof
KR2012006120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 arrival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
US201501130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rodu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