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803A -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 Google Patents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803A
KR20220096803A KR1020200189572A KR20200189572A KR20220096803A KR 20220096803 A KR20220096803 A KR 20220096803A KR 1020200189572 A KR1020200189572 A KR 1020200189572A KR 20200189572 A KR20200189572 A KR 20200189572A KR 20220096803 A KR20220096803 A KR 2022009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bandage
compression bandage
blee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은
박보나
최소은
전서린
허웅
임완주
김태현
Original Assignee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803A/ko
Publication of KR2022009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21
    • A61F13/00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82Wound bandages with transpare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46Plasters with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투명창으로 덮어 차단하되, 상기 투명창의 가장자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창이 붕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출혈감시용 압박붕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출혈환자에게 지혈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투명재질의 압박붕대가 갖는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압박붕대의 일측에 투명창을 설치하고 상기 투명창이 거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투명창의 중간부를 제외한 부분만을 나머지 압박붕대로 감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명창에 의해 감겨진 압박붕대의 내부, 즉 거즈(종래 비가시성 구역)를 육안으로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지혈 성공 여부 및 재출혈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출혈감시용 압박붕대{A ELASTIC BANDAGE}
본 발명은 출혈감시용 압박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상 등의 부상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지혈을 위해 주로 압박붕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압박붕대의 지혈 성공 여부 및 부상 부위에서의 재출혈 여부의 신속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여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출혈감시용 압박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성동맥성 출혈 및 정맥성 출혈 그리고 골절로 인해 출혈이 발생한 환자들에겐 대개 압박붕대(일명 탄력(elastic)붕대라고도 한다)를 이용해 지혈 및 골절 고정을 한다.
즉 상처부위에 거즈를 대고 그 위에 압박붕대를 둘둘 감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부상 부위에 적용된 이후 지혈 성공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압박붕대의 직접압박으로 인한 지혈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종래의 압박붕대를 이용해 출혈을 억제시켰다고 하더라도 잘못된 방식으로 지혈을 했거나, 수액 투여로 인해 환자의 혈압 상승 및 동맥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상처부위로 부터 다시 재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재출혈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 출혈을 막아주어야 하나 종래 압박붕대방식의 처치방법은 압박붕대의 재질이 불투명이고, 상처를 덮고 있는 거즈를 압박붕대로 둘둘 말고 있는 상태여서 압박붕대가 오히려 거즈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처로 부터 재출혈된 피가 거즈는 물론 감긴 압박붕대 틈 사이를 비집고 표면으로 새어나와야만 비로서 출혈을 인지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압박붕대를 사용한 출혈억제방법으로는 출혈로 인한 피가 거즈와 압박붕대 모두를 적시고 표면에 핏기가 비쳐야만 재출혈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 재출혈에 대한 응급조치가 필연적으로 늦어질 수 밖에 없게 되고 외상 환자의 주요한 사망원인 과다출혈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지혈을 위해서 종래의 압박붕대를 사용하더라도 출혈이 발생한 부위의 출혈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압박붕대 내부, 즉 상처를 덮고 있는 거즈(종래 비가시성 구역)를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지혈 성공 여부 및 재출혈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한 시점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제공개번호 WO 2005/062880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출혈환자에게 지혈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투명재질의 압박붕대가 갖는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압박붕대의 일측에 투명창을 설치하고 상기 투명창이 거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투명창의 중간부를 제외한 부분만을 나머지 압박붕대로 감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명창에 의해 감겨진 압박붕대의 내부, 즉 거즈(종래 비가시성 구역)를 육안으로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지혈 성공 여부 및 재출혈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 출혈감시용 압박붕대는 붕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투명창으로 덮어 차단하되, 상기 투명창의 가장자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창이 붕대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종래 출혈환자에게 지혈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투명재질의 압박붕대가 갖는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압박붕대의 일측에 투명창을 설치하고 상기 투명창이 거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투명창의 중간부를 제외한 부분만을 나머지 압박붕대로 감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명창에 의해 감겨진 압박붕대의 내부, 즉 거즈(종래 비가시성 구역)를 육안으로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지혈 성공 여부 및 재출혈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출혈감시용 압박붕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출혈감시용 압박붕대(100)는 붕대(110)의 일측에 개구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1)를 투명창(120)으로 덮어 차단하되, 상기 투명창(120)의 가장자리의 개구부(111)의 가장자리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창(120)이 붕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11)로는 거즈(A)를 통해 출혈된 피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투명창(120)은 거즈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어도 투명창(120)의 중간부는 붕대(110)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조심해서 감야야 한다.
이는 투명창(120)에 의해 거즈(B)의 상태, 즉 출혈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투명창(120)은 붕대에 접합부(130)에 의해 결합되는데, 접합부는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재봉질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융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접합부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110: 붕대
111: 개방부
120: 투명창
130: 접합부
140: 접착부
A: 부상 부위
B: 거즈

Claims (1)

  1. 붕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투명창으로 덮어 차단하되, 상기 투명창의 가장자리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창이 붕대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KR1020200189572A 2020-12-31 2020-12-31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KR20220096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72A KR20220096803A (ko) 2020-12-31 2020-12-31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72A KR20220096803A (ko) 2020-12-31 2020-12-31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03A true KR20220096803A (ko) 2022-07-07

Family

ID=823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72A KR20220096803A (ko) 2020-12-31 2020-12-31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598A (en) Silicone occlusive dressing for penetrating thoracic trauma
US5885254A (en) Replaceable flexible protective cover for an infusion device
US20090099496A1 (en) Pressure bandage with medication delivery system
US5728071A (en) Injection patch
US20080091152A1 (en) Battlefield chest dressing
EP0601756A1 (en) Compressive hemostatic belt
MX2015001520A (es) Apósito para heridas.
US20110208102A1 (en) Medical device for a puncture site or infusion site
KR20180130332A (ko)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WO2009109351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zugangs zu einem patienten, insbesondere eines gefässzugangs bei einer extrakorporalen blutbehandlung
CN205433796U (zh) 一种可定时、压力可调节的动静脉内瘘止血手环
US5010902A (en) Compression orb
US5496264A (en) Hemostatic transdermal injection appliance
KR20220096803A (ko) 출혈감시용 압박붕대
JP2018526099A (ja) 固定要素を有する外科用絆創膏
EP1802236B1 (de) Aufklebbarer gefässverschluss
KR20080111321A (ko) 지혈용 패치 어셈블리
KR102477345B1 (ko) 출혈감시용 관찰구
US20140012174A1 (en) Adhesive Bandage
Salasche et al. Complications of flaps
US5364368A (en) Stabilization device for intravascular catheters
KR200352606Y1 (ko) 지혈 기능을 갖는 일회용 반창고
CN210542056U (zh) 一种内瘘止血绷带
CN204910321U (zh) 一种输液保护装置
KR101155438B1 (ko) 압박지혈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