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729A -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729A
KR20220096729A KR1020200189430A KR20200189430A KR20220096729A KR 20220096729 A KR20220096729 A KR 20220096729A KR 1020200189430 A KR1020200189430 A KR 1020200189430A KR 20200189430 A KR20200189430 A KR 20200189430A KR 20220096729 A KR20220096729 A KR 2022009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data
electric vehicle
monitoring system
inter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수영
김영돈
김성대
Original Assignee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filed Critical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to KR102020018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729A/ko
Publication of KR2022009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8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충전기별로 분류한 충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충전기 DB,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DB에 저장된 과거 충전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충전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e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형성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내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가 아닌 전기 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전기 모터로 대치된 것 외에 다른 내연기관은 자동차들과 유사하다. 전기 자동차에서의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어 친환경 차량으로 인식되 고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그리드 및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자동차의 수요 및 공급이 함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자동차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 배터리가 쉽게 충전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보급률 이 떨어진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중앙 센터에서 매우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 및 충전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고장 난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리거나 고장 난 충전기를 수리하는 등의 충전기 관리가 시스템적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어 전기자동차 운전자 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전기자동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보급과 더불어 충전인프라 구축이 확대됨에 따라 설치되는 충전기의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전기자동차 보급이 다소 지연되면서 충전기 설치 후 미사용으로 인한 방치, 사용자 인식 부재에 따른 오사용 및 고장, 전문 관리인력 미비에 기인한 관리 소홀 및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 고장 발생 현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국내 보급된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기본적으로 자체 동작감시 기능을 대부분 지니고 있으며, 전 기차 충전 중에 발생되는 이상동작(Fault error) 및 경고사항(Warning)을 기록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혹은 상위 서버로 해당 사항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및 운영 서버를 통해 확인 가능한 네트워크 관련 고장 여부나 충전기 운용 상태 이외의 충전기 전력변환동작 및 전기자동차와의 연계 동작과 관련된 오동작 문제들은 실제적인 충전이 이루어져야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충전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이 발생해야만 고장이 확인되는 사후 고장 모니터링 형태가 되어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큰 불편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충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을 통한 충전기의 정상 운용과 충전기 부품 교체에 필요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충전기별로 분류한 충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충전기 DB,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DB에 저장된 충전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충전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는 상기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DC전류, AC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충전기DB로부터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가 수집한 온도 및 습도 정보와 유사한 상기 충전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데이터의 DC전류, AC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판단부는 다수의 충전기 부품 중 어느 한 부품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의 충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부품의 고장 발생 주기를 파악하여 부품의 예상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의 외부 날씨 정보를 더 수집하여 충전기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상기 충전기 고장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충전기 부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재고 수신부, 상기 재고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에 부품이 소모되는 평균 소모량을 파악하는 소모량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고 정보와 상기 평균 소모량을 수신하여 재고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충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 사용의 최적의 환경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최적의 환경 조건으로 상기 충전기 내부 환경을 관리하는 환경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실시간 감지를 통하여 충전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점검을 위한 현장 방문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상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을 통한 충전기의 정상 운용과 충전기 부품 교체에 필요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부(100), 충전기DB(200), 고장 판단부(300), 재고 수신부(400), 소모량 연산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충전기 사용횟수, 온도, 습도, DC전류, AC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DB는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충전기별로 분류한 충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장 판단부(3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DB에 저장된 과거 충전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충전기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 판단부(300)는 상기 충전기DB(200)로부터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가 수집한 온도 및 습도 정보와 근접한 상기 충전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데이터의 DC전류, AC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온도 16℃ 16℃ 16℃ 20℃ 15.8℃
습도 40% 40% 60% 40% 40%
DC전류 0V 450V 450V 450V 450V
AC전류 600V 600V 600V 600V 600V
예를 들어 상기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습도의 측정 데이터 값이 16℃, 40%일 경우 상기 충전기DB(200)에 저장된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중에서 동일한 온도, 습도 값을 가지는 데이터1과 근접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4를 추출하여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충전기의 고장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부품A 부품B 부품C
예상수명 6개월 1년 2년
설치된 기간 4개월 1년 6개월
표 2은 충전기 부품의 예상수명과 고장으로 인해 교체된 후 설치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상기 고장 판단부(300)는 다수의 충전기 부품 중 어느 한 부품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의 충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부품의 고장 발생 주기를 파악하여 부품의 예상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기DB(200)에서 어느 한 부품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수집된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가 수집된 시간 간격을 파악하여 부품의 예상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고장 계산부는 상기 충전기의 외부 날씨 정보를 더 수집하여 충전기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상기 충전기 고장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재고 수신부(400)는 충전기 부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재고 정보는 부품의 종류, 현재 가지고 있는 부품의 개수, 부품의 배송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모량 연산부(500)는 상기 재고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에 부품이 소모되는 평균 소모량을 연산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 설정된 기간의 시작일에 남아있는 재고와 기 설정된 기간의 마지막일에 남아있는 재고의 차이 값을 수집하여 부품 소모량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평균 소모량을 알 수 있다.
상기 충전기의 한 부품에 대하여 현재 남아있는 재고의 개수가 평균 소모량보다 적게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해당 부품에 대한 부족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부품A 부품B 부품C
현재 재고 4 2 6
1달 소모량 4 3 3
예를 들어 상기 표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달 소모량이 4개인 부품A의 경우 현재 4개의 재고가 남아있는 경우 재고가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1달 소모량이 3개인 부품B의 경우 현재 2개의 재고가 남아있어 상기 1달 소모량에 비해 적게 남아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품B가 부족하다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또한, 부품 배송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배송시간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여 배송시간을 고려하여 부품 부족에 관한 알람을 미리 전송하여 부품 제작 및 배송시간에 의해 충전기 수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환경관리부(600)는 충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 사용의 최적의 환경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최적의 환경 조건으로 상기 충전기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기 데이터로부터 부품의 예상수명이 가장 긴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의 온도, 습도 정보를 최적의 환경 조건으로 설정하고 상기 충전기의 내부 환경을 상기 최적의 환경 조건과 근접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환경관리부(600)는 상기 충전기의 일면에 형성된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충전기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순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내부 환경에 관한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과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정보를 생산하는 정보 분석단계, 상기 분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단계, 충전기 부품 고장시 발생하는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수명 예측단계, 부품의 예상 수명이 가장 긴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기의 내부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충전기 관리단계, 기 설정된 기간동안의 부품 재고정보를 수신하여 각 부품의 소모량 정보을 연산하는 소모량 연산단계, 상기 소모량 정보와 현재 남아있는 부품의 재고수를 비교하여 현재 재고상태가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하는 재고상태 알림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충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을 통한 충전기의 정상 운용과 충전기 부품 교체에 필요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데이터 수집부 200 : 충전기DB
300 : 고장 판단부 400 : 재고 수신부
500 : 소모량 연산부 600 : 환경관리부

Claims (6)

  1. 전기자동차 충전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충전기별로 분류한 충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충전기DB;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DB에 저장된 과거 충전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충전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는,
    상기 센서를 통해 충전기 사용횟수, 온도, 습도, DC전류, AC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충전기DB로부터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가 수집한 온도 및 습도 정보와 유사한 상기 충전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충전기 내부 데이터와 상기 충전기 데이터의 DC전류, AC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부는,
    다수의 충전기 부품 중 어느 한 부품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의 충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부품의 고장 발생 주기를 파악하여 부품의 예상수명을 예측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충전기의 외부 날씨 정보를 더 수집하여 충전기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충전기 고장 확률을 계산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충전기 부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재고 수신부;
    상기 재고 정보를 기 설정된 기간에 부품이 소모되는 평균 소모량을 연산하는 소모량 연산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재고 정보와 상기 평균 소모량을 수신하여 재고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충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최적의 환경 조건으로 상기 충전기의 내부 환경을 관리하는 환경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189430A 2020-12-31 2020-12-31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6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30A KR20220096729A (ko) 2020-12-31 2020-12-31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30A KR20220096729A (ko) 2020-12-31 2020-12-31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729A true KR20220096729A (ko) 2022-07-07

Family

ID=8239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430A KR20220096729A (ko) 2020-12-31 2020-12-31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7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33B1 (ko) * 2022-10-24 2023-01-04 주식회사 서경산업 전기차충전기 고장판단 시스템
WO2024075990A1 (ko) * 2022-10-07 2024-04-11 (주)펌프킨 건설현장의 환경관리가 가능한 충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90A1 (ko) * 2022-10-07 2024-04-11 (주)펌프킨 건설현장의 환경관리가 가능한 충전시스템
KR102484633B1 (ko) * 2022-10-24 2023-01-04 주식회사 서경산업 전기차충전기 고장판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7834A (zh) 重型电机健全性分析平台及使用其的分析方法
KR102031116B1 (ko)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04507A1 (en)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equipment management method
US10203375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storage battery state, state-ascertain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220096729A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6141B1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장 예방 기능을 구비한 비상 발전기
KR102368324B1 (ko) 충전케이블의 온도값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이상상태 모니터링 장치
US20230011148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battery
KR102310061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278428B1 (ko) 예지 보전 기반의 실시간 협업 기업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468427B (zh) 一种基于大数据的设备运维智能监管系统及方法
CN111027934A (zh) 电梯维保任务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716899B1 (ko) 배전자동화용 축전지의 감시 시스템
CN115718258A (zh) 电池故障检测
KR20210109136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장 예방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WO2023149416A1 (ja) 蓄電池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蓄電池遠隔監視方法
WO2023157373A1 (ja) 電池管理装置、電池管理プログラム
CN116972910A (zh) 一种火电厂电气设备的监测方法及系统
JP7138355B2 (ja) 住宅用太陽電池診断システム
KR20230077994A (ko) 제조 설비의 고장 예측 시스템
KR102624649B1 (ko) 전기차 통합유지보수 클라우드 플랫폼
Kanetani et al. Optimization of maintenance by failure prediction considering instantaneous and cumulative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s
KR20210109753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장 예방 기능을 구비한 비상 발전기
EP4230930A1 (en) Method of diagnosing device having ice making function and server implementing same
CN117347869B (zh) 储能电池管理系统数据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