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69A - 목걸이형 디퓨져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69A
KR20220096669A KR1020200189317A KR20200189317A KR20220096669A KR 20220096669 A KR20220096669 A KR 20220096669A KR 1020200189317 A KR1020200189317 A KR 1020200189317A KR 20200189317 A KR20200189317 A KR 20200189317A KR 20220096669 A KR20220096669 A KR 2022009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ventilation member
necklace
wick
pe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700B1 (ko
Inventor
박소정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형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휴대할 수 있는 목걸이 장신구의 역할을 하면서도, 목걸이 주변에 균일하게 발산하는 향기를 통해 사용자 주변 공기질을 개선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목걸이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형 디퓨져{Necklace type diffuser}
본 발명은 목걸이형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휴대할 수 있는 목걸이 장신구의 역할을 하면서도, 목걸이 주변에 균일하게 발산하는 향기를 통해 사용자 주변 공기질을 개선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목걸이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좁은 공간이나 보통의 거주공간, 사무실, 차량 등의 실내공간에는 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악취를 제거하여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퓨져가 사용되는바, 이러한 디퓨져는 그 용도나 사용공간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곳에 고정시켜 방향물질을 퍼뜨리는 고정형과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위치에 방향물질을 뿌리는 스프레이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형의 디퓨져는 소정의 디퓨져 케이스 내부에 고체형이나 겔형 또는 액체형의 방향물질을 넣어 이들 방향물질이 기화되면서 그 향기가 공간으로 퍼져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방향물질을 담는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케이스의 외측에 다수개의 홀이 개공되어 이 홀을 통해서 기화된 방향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케이스 자체를 가구, 테이블, 선반 등에 거치시켜 놓고 사용하는 거치형 디퓨져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형 디퓨져의 경우 디퓨져가 거치된 주변에만 향기를 발산하게 되므로, 활용 범위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직접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디퓨져의 구조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에 디퓨져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향수, 섬유탈취제 등을 별도로 뿌릴 필요 없이 신체 주변으로 향기를 발산하여 디퓨져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다기능성 펜던트(등록실용 20-0422610)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목걸이, 브로치, 열쇠고리 또는 휴대폰 고리와 같은 장신구에 매달아 장신구의 악세서리용으로 사용되는 펜던트에 있어서, 신축성 있는 투명한 합성 수지재로 되며, 그 표면에는 기체 성분은 통과시키면서 액체성분은 차단하는 미세기공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침엽수 정유, 천연향유, 식물성 유지 및 착색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의 방향제가 충진된 방향제 팩; 대략 구 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둘레 테두리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스로 되며, 상기 방향제 팩이 수납된 후 상기 접합부가 고정 붙임되는 팩 하우징; 상기 장신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팩 하우징에 형성되는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팩 하우징 내에서만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향 발산이 방향제 팩 주변에 집중되는 문제로, 예컨대, 팩 하우징 주변에서는 향기가 강하게 발산하고, 팩 하우징에서 멀어질수록 향 발산이 미비해 지기에, 신체 주변으로 균일하게 향을 발산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 20-042261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인체에 휴대할 수 있는 목걸이 장신구의 역할을 하면서도, 목걸이 주변에 균일하게 발산하는 향기를 통해 사용자 주변 공기질을 개선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목걸이형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목걸이부로 방향액을 흡수한 다음 목걸이부 자체에서 향을 발산하게 하는 구조로서, 향 발산 효율이 높고, 상황, 기호에 맞게 향 발산 면적의 탄력적인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형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체에 착용하더라도 방향액이 피부 및 의복에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향액에 의한 피부트러블 내지 의복 손상 등을 방지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형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로 방향액이 채워지며 한 쌍의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는 펜던트부; 및 목에 걸 수 있는 로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이 상기 장착구로 삽입되어 방향액에 침지되며, 방향액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시키는 목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통기성 있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에 삽입 고정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통기부재의 내부를 가로질러 통기부재 단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펜던트부에 채워진 방향액에 침지되어 방향액을 흡수하는 심지;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로 흡수된 방향액은 통기부재 내부까지 확산하여 통기부재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재의 정면은 심지에 흡수된 방향액의 향기가 통과하는 메쉬망으로, 후면은 향기가 차폐되는 차폐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각의 장착구의 경로상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장착구에 삽입 고정된 통기부재가 통과하며, 회전됨에 따라 외측으로 상기 통기부재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통기부재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틀 형태의 프레임부재;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일부가 펜던트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조작부재의 중심을 상호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를 한 쌍의 슬릿으로 양분하고, 양 단이 상기 설치공간의 내벽에 축결합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슬릿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펜던트부의 상단에는 펜던트부의 내공간을 개폐하는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공간에는 방향액을 수용하는 탄성막이 설치되며 심지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막의 하부를 팽창시키는 판 형태의 팽창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막은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 권취됨에 따라 심지의 팽창편이 상승하면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의 내공간에서 상부로 수축되고,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서 권출됨에 따라 심지의 팽창편이 하강하면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의 내공간에서 하부로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휴대할 수 있는 목걸이 장신구의 역할을 하면서도, 목걸이 주변에 균일하게 발산하는 향기를 통해 사용자 주변 공기질을 개선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목걸이부로 방향액을 흡수한 다음 목걸이부 자체에서 향을 발산하게 하는 구조로서, 향 발산 효율이 높고, 상황, 기호에 맞게 향 발산 면적의 탄력적인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인체에 착용하더라도 방향액이 피부 및 의복에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향액에 의한 피부트러블 내지 의복 손상 등을 방지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길이조절부를 통과한 통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 권취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심지의 상승에 따라 탄성막이 수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길이조절부를 통과한 통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 권취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심지의 상승에 따라 탄성막이 수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펜던트부(10) 및 목걸이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펜던트부(10)는 내부로 방향액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목걸이부(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구(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디퓨져를 신체에 착용하게 되면 펜던트부(10)의 정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해 펜던트부(10)의 정면에 기타 장식을 부착 설치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펜던트부(10)의 상단에는 펜던트부(10)의 내공간을 개폐하는 마개(1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12)를 제거해 펜던트부(10)의 내공간을 개방한 뒤 방향액을 충전하거나 또는 펜던트부(10)의 내공간에 채워진 방향액을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걸이부(20)는 목에 걸 수 있는 로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이 상기 장착구(11)로 삽입되어 방향액에 침지되며, 방향액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시킨다.
즉, 펜던트부(10)에는 방향액의 향기를 토출하기 위한 별도의 통공이 생략되며 펜던트부(10)에 수용된 방향액은 목걸이부(20)로 흡수된 다음 목걸이부(20) 주변으로 발산하게 되는 구조이다.
특히, 목걸이부(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목걸이부(20)로 방향액을 흡수한 다음 목걸이부(20) 자체에서 향을 발산하게 되면 펜던트부(10) 자체에 향기 토출을 위한 통공을 형성하는 구조 대비 향 발산 면적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목걸이부(20) 전체 길이에서 향이 발산하게 될 경우 방향액의 소모가 빠르고, 또한, 향이 과도하게 발산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목걸이부(20)는 향이 과도하게 발산하는 것을 제한하고, 아울러, 흡수한 방향액이 목걸이부(20) 주변의 피부 또는 의복에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인체에 무해한 성분들로 조성된 방향액을 이용하더라도, 피부가 민감한 사람의 경우, 이러한 방향액이 피부에 접촉되면 피부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기에, 방향액의 향 이외의 성분들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목걸이부(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몸체(21), 통기성 있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11)에 삽입 고정되는 통기부재(22) 및 상기 통기부재(22)의 내부를 가로질러 통기부재(22) 단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펜던트부(10)에 채워진 방향액에 침지되어 방향액을 흡수하는 심지(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몸체(21)는 금속, 합성수지 등 목에 걸 수 있는 선에서 일반적인 목걸이줄에 이용되는 재료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기부재(22)는 이러한 몸체(21)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방향액의 향을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통기부재(22)가 장착구(11) 상에 삽입 고정되고, 심지(23)는 통기부재(22)의 내부에서부터 펜던트부(10)에 채워진 방향액을 향해 연장되어 방향액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심지(23)로 흡수된 방향액은 통기부재(22) 내부까지 확산하여 통기부재(22)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구조가 되며, 심지(23)에 흡수된 방향액이 몸체(21) 부분에 도달하면, 방향액은 몸체(21) 측으로는 더이상 확산되지 않으며, 이에, 몸체(21) 부분에서는 방향액의 향기가 발산하지 않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따라서, 방향액의 향기는 목걸이부(20)의 통기부재(22) 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발산할 수 있으며, 몸체(21) 부분에서는 심지(23)가 단절되게 구성되므로 몸체(21)로 방향액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목걸이부(20) 전체에서 과도하게 향이 발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목걸이부(2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통기부재(22)의 정면으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방향액이 신체 피부 또는 의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향 발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통기부재(22)의 정면은 심지(23)에 흡수된 방향액의 향기가 통과하는 메쉬망(22a)으로, 후면은 향기가 차폐되는 차폐막(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걸이형 디퓨져를 목에 착용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또는 의복에는 차폐막(22b)이 맞닿고, 메쉬망(22a)이 정면을 향해 배치구성될 수 있다.
이에, 심지(23)에 흡수된 방향액이 차폐막(22b)에 가려져 신체 피부 또는 의복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심지(23)에 흡수된 방향액의 향기는 메쉬망(22a)을 통해 외부로 발산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한편, 심지(23)로 흡수된 방향액은 통기부재(22) 부분에서만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데, 만일, 향기 토출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하면 향기의 토출량을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을 늘리게 될 경우 향 발산 면적이 넓어지면서 향이 보다 많이 발산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을 줄이게 될 경우 향 발산 면적이 줄어들면서 향 발산이 보다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목걸이형 디퓨져는 각각의 장착구(11)의 경로상에 형성된 설치공간(13)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장착구(11)에 삽입 고정된 통기부재(22)가 통과하며, 회전됨에 따라 외측으로 상기 통기부재(22)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3)은 펜던트부(10) 내부의 장착구(11) 경로상에 형성된 일정 공간을 의미하며, 장착구(11) 내로 통기부재(22)가 삽입되면 통기부재(22)는 길이조절부(30)를 경유하게 된다.
이에, 길이조절부(30)를 임의로 회전조작하게 될 경우, 통기부재(22)가 설치공간(13) 내에서 길이조절부(30)에 권취 또는 권출되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형태의 프레임부재(31),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재(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일부가 펜던트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32) 및 상기 프레임부재(31)와 조작부재(32)의 중심을 상호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재(31)의 내부를 한 쌍의 슬릿(31a)으로 양분하고, 양 단이 상기 설치공간(13)의 내벽에 축결합되는 축부재(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31), 조작부재(32) 및 축부재(33)는 설치공간(13) 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펜던트부(10)의 정면으로 일부가 노출된 조작부재(32)를 임의로 회전시키면 길이조절부(30) 자체가 축부재(33)를 회전중심으로 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장착구(11) 내로 삽입된 통기부재(22)는 설치공간(13)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설치공간(13)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슬릿(31a)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재(22)는 프레임부재(31)와 축부재(33) 사이로 얽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프레임부재(31)가 회전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부재(22)는 프레임부재(31) 외측으로 권취되거나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향기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펜던트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작부재(32)를 일방향 회전시킬 경우 설치공간(13) 내에서 프레임부재(31)가 회전하면서 프레임부재(31) 외측으로 통기부재(22)를 권취하게 된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부재(22)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외부로 노출된 통기부재(22) 마저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향 발산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ㅋ
다시 말해, 통기부재(22)가 프레임부재(31)에 권취될 경우 외부로 노출된 통기부재(22)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그만큼 향 발산 면적의 감소로 향 발산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조작부재(32)를 역방향 회전시켜 프레임부재(31)에 권취된 통기부재(22)를 권출하게 될 경우, 통기부재(2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서 그만큼 통기부재(22)의 외부 노출량이 많아지고, 이에, 향 발산 면적의 증가로 향 발산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호, 상황 등에 맞게, 목걸이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향기의 토출 면적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길이조절부(30)로 통기부재(22)가 권취되면 통기부재(22) 내부에 마련된 심지(23)까지 함께 권취되고, 이에 방향액에 침지된 심지(23)의 단부가 설치공간(13) 내로 끌려 올라가게 되면서 방향액으로부터 빠져나갈 우려가 발생한다.
심지(23)는 방향액을 흡수하기 위해 항상 방향액에 침지되어 있어야 하는바, 만일, 방향액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되면 방향액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재(31)에 통기부재(22)가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심지(23) 단부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방향액의 수위를 이와 연동되게 하여 심지(23)가 항상 방향액에 침지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로 유지될 수 있게끔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펜던트부(10)의 내공간에는 방향액을 수용하는 탄성막(14)이 설치되며 심지(23)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막(14)의 하부를 팽창시키는 판 형태의 팽창편(23a)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막(14)은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탄성재질의 주머니 형태로 예시되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수축하려는 성질의 탄성막(14) 하부는 팽창편(23a)에 의해 팽창되어 방향액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하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팽창편(23a)에 의해 통기부재(22)가 장착구(1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막(14)은 통기부재(22)가 길이조절부(30)에 권취됨에 따라 심지(23)의 팽창편(23a)이 상승하면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10)의 내공간에서 상부로 수축될 수 있다. 이에, 탄성막(14)에 채워진 방향액도 탄성막(14)의 수축 방향으로 함께 상승하면서 심지(23)가 방향액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침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통기부재(22)가 길이조절부(30)에서 권출됨에 따라 심지(23)의 팽창편(23a)이 하강하면 탄성막(14)은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10)의 내공간에서 하부로 이완되면서 심지(23)의 하방이동을 적절히 허용한다.
즉, 통기부재(22)가 길이조절부(30)에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심지(23)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또는 길어지더라도, 탄성막(14)이 이와 연동해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방향액을 심지(23)에 항상 근접시킴으로써 방향액이 모두 소진되지 않는 한 심지(23)가 방향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상기 통기부재(22)의 끝단을 장착구(11) 상에 고정시킨 상태로 길이조절부(30)에 권취 또는 권출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심지(23) 부분의 길이변화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펜던트부
20: 목걸이부
30: 길이조절부

Claims (5)

  1. 내부로 방향액이 채워지며 한 쌍의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는 펜던트부; 및
    목에 걸 수 있는 로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이 상기 장착구로 삽입되어 방향액에 침지되며, 방향액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시키는 목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통기성 있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에 삽입 고정되는 통기부재; 및
    상기 통기부재의 내부를 가로질러 통기부재 단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펜던트부에 채워진 방향액에 침지되어 방향액을 흡수하는 심지;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로 흡수된 방향액은 통기부재 내부까지 확산하여 통기부재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디퓨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재의 정면은 심지에 흡수된 방향액의 향기가 통과하는 메쉬망으로, 후면은 향기가 차폐되는 차폐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디퓨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장착구의 경로상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장착구에 삽입 고정된 통기부재가 통과하며, 회전됨에 따라 외측으로 상기 통기부재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통기부재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디퓨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틀 형태의 프레임부재;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재와 일체로 구성되어 일부가 펜던트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조작부재의 중심을 상호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를 한 쌍의 슬릿으로 양분하고, 양 단이 상기 설치공간의 내벽에 축결합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재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슬릿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디퓨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부의 상단에는 펜던트부의 내공간을 개폐하는 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공간에는 방향액을 수용하는 탄성막이 설치되며 심지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막의 하부를 팽창시키는 판 형태의 팽창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막은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 권취됨에 따라 심지의 팽창편이 상승하면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의 내공간에서 상부로 수축되고, 통기부재가 길이조절부에서 권출됨에 따라 심지의 팽창편이 하강하면 이에 연동해 펜던트부의 내공간에서 하부로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디퓨져.
KR1020200189317A 2020-12-31 2020-12-31 목걸이형 디퓨져 KR10244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17A KR102443700B1 (ko) 2020-12-31 2020-12-31 목걸이형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17A KR102443700B1 (ko) 2020-12-31 2020-12-31 목걸이형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69A true KR20220096669A (ko) 2022-07-07
KR102443700B1 KR102443700B1 (ko) 2022-09-14

Family

ID=8239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317A KR102443700B1 (ko) 2020-12-31 2020-12-31 목걸이형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7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29U (ja) * 2002-11-22 2003-06-13 治郎 奥野 装飾具
KR200422610Y1 (ko) 2006-05-17 2006-07-27 강석철 다기능성 펜던트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KR20180001753U (ko) * 2016-12-05 2018-06-14 오선덕 아로마 타이스트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29B2 (ja) * 1990-08-28 2000-10-03 コニカ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229U (ja) * 2002-11-22 2003-06-13 治郎 奥野 装飾具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KR200422610Y1 (ko) 2006-05-17 2006-07-27 강석철 다기능성 펜던트
KR20180001753U (ko) * 2016-12-05 2018-06-14 오선덕 아로마 타이스트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700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598A (en) Scented hair accessory
US20160073697A1 (en) Hunting garment for controlling odors
US6557375B1 (en) Jewelry system
US6000057A (en) Odor preventing hunting apparel
KR102443700B1 (ko) 목걸이형 디퓨져
US11559117B2 (en) Spray and sniff aroma wristband
JP4646749B2 (ja) かつら
US20050273901A1 (en) Face protection device for tanning
KR20030026860A (ko) 방향구
KR101546650B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미용제품 거치대
US6102773A (en) Perfumed brassiere
US10390598B2 (en) Elastic clothing or accessory treated with microencapsulated substance and having consumer-activated pull mechanism
US20210299310A1 (en) Copper bearing substrate for odour control
KR19990038052U (ko) 귀걸이
KR200294266Y1 (ko) 향기 액세서리
KR200372131Y1 (ko) 아로마향기 공급장치가 설치된 마스크
KR920006066Y1 (ko) 방향 밴드
KR200274566Y1 (ko) 탈, 부착형 향기 발산 장치
KR100446040B1 (ko) 탈, 부착형 향기 발산 장치
KR200329064Y1 (ko) 마이크로캡슐향 방한마스크
KR200301513Y1 (ko) 향기나는 교체용 휴대폰 줄
KR200289887Y1 (ko) 향수패드 수용실을 갖는 벨트
KR200190595Y1 (ko) 향기나는 악세사리
KR200231829Y1 (ko) 기능성 펜던트
KR101167928B1 (ko) 곤충 기피향 발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