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53U - 아로마 타이스트링 - Google Patents

아로마 타이스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53U
KR20180001753U KR2020160007047U KR20160007047U KR20180001753U KR 20180001753 U KR20180001753 U KR 20180001753U KR 2020160007047 U KR2020160007047 U KR 2020160007047U KR 20160007047 U KR20160007047 U KR 20160007047U KR 20180001753 U KR20180001753 U KR 20180001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
string
tie
holes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덕
Original Assignee
오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덕 filed Critical 오선덕
Priority to KR2020160007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5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부에는 압화를 부착하고,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는 타이스트링을 고정하는 기능 및 아로마 향기를 방출하는 스트링을 고정하는 다기능 스트링 홀더를 구비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제안한다. 상기 아로마 타이스트링은, 타이스트링 바디 및 다기능 스트링 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는 전면에 압화가 부착된다. 상기 다기능 스트링홀더는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 부착되며,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 및 브릿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로마 타이스트링{Aroma tie-string}
본 고안은 타이스트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타이스트링의 기능은 물론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에 부착된 압화에 대응되는 아로마 향기를 더불어 방출할 수 있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에 관한 것이다.
타이스트링(tie-string) 또는 스트링타이는 끈 모양의 넥타이를 말한다.
도 1은 타이스트링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a는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1b는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스트링 바디(10)의 후면에 한 가닥의 스트링(20)이 타이스트링 홀더(30)에 고정되어 목에 걸 수 있는 공간(40)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이스트링은 넥타이를 대신할 수 있으며,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에 편리함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타이스트링의 바디(plate) 전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쇠나 보석으로 장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생화를 탈색, 탈수, 염색 및 건조와 같은 보존처리를 한 후, 이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압화를 타이스트링의 본체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천연 꽃은 인조의 쇠나 보석과 같은 인조의 것에 비해 친근감 및 심미감을 더해 주는 기능이 있지만, 부착된 꽃에 대응되는 향기는 맡을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부에는 압화를 부착하고,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는 타이스트링을 고정하는 기능 및 아로마 향기를 방출하는 스트링을 고정하는 다기능 스트링 홀더를 구비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은, 타이스트링 바디 및 다기능 스트링 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는 전면에 압화가 부착된다. 상기 다기능 스트링홀더는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 부착되며,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 및 브릿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트링 가이드 관은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에 부착되어 스트링의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1 아로마 유입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트링 가이드 관은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링의 다른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2 아로마 유입 홀이 형성된다. 상기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는 내부 측면에 아로마 용기가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 상부 면에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상기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및 상기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아로마 유입 홀과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 중 대응되는 유출 홀, 상기 제2 아로마 유입 홀과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 중 대응되는 유출 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아로마 가이드 홀이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은, 전면에서는 압화를 보여주면 후면에서는 압화에 대응되는 향기를 방출하여, 상대편에게는 친근감 및 심미감을 제공하고, 착용자 자신과 주위 사람들에게 심적 안정감을 더불어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타이스트링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여러 방향에서 본 그림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과 결합한 아로마 용기 내의 아로마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여러 방향에서 본 그림을 나타낸다.
도 3의 상부에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의 위에서 본 것이고, 도 3b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의 배면을 본 것이고, 도 3c는 아로마 타이스트링의 밑에서 위로 쳐다보고 그린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200)은 타이스트링 바디(300) 및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 부착되어 타이스트링 바디를 착용자의 목에 걸게 하는 기능 이외에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에 부착된 압화에 대응하는 아로마를 방출하는 다기능 스트링 홀더(200)를 포함한다.
다기능 스트링 홀더(200)는,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제2 스트링 가이드 관(213),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215), 브릿지(218) 및 아로마 유도수단(220)을 포함한다.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은 타이스트링 바디(3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스트링(미도시)의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1 아로마 유입 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트링 가이드 관(213)은 타이스트링 바디(3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스트링(미도시)의 다른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2 아로마 유입 홀(214)이 형성되어 있다.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215)는 내부 측면에 아로마 용기(100)의 나사산(115)과 결합하는 나사산(216)이 형성되며, 내부 상부 면에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이 형성된다. 브릿지(218)는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제2 스트링 가이드 관(213) 및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215)를 연결하며, 제1 아로마 유입 홀(212)과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 중 대응되는 유출 홀, 제2 아로마 유입 홀(214)과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 중 대응되는 유출 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아로마 가이드 홀(219)이 내부에 형성된다.
복수의 아로마 유도수단(220)은 일단이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에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아로마 용기(10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일단이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 및 복수의 아로마 가이드 홀(219)을 거쳐 복수의 제1 아로마 유출 홀(212)과 복수의 제2 아로마 유출 홀(214)까지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아로마 용기(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아로마 유도수단(220)은, 일단이 잠긴 아로마를 다른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나무 재질의 막대 또는 튜브이고, 막대 및 튜브는 교체 가능한 것이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기능 스트링 홀더(200)를 구성하는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및 제 스트링 가이드 관(213)에 삽입되는 스트링의 재질은, 내부에 아로마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직물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과 결합한 아로마 용기 내의 아로마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아로마 용기(100) 내의 아로마(110)가 아로마 유도수단(220), 아로마 가이드 홀(219),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및 제 스트링 가이드 관(213)을 통해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및 제2 스트링 가이드 관(213)의 내부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동한 아로마는 스트링(미도시)을 통해 아로마 타이스트링을 착용한 사람의 주위로 발산하게 된다. 착용자의 주위로 발산하는 아로마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링을 상하로 이동하면 효과가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아로마 용기(100) 내에 아로마 유도수단(2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아로마 유도수단(220)이 없는 경우에도 아로마는 동일한 경로를 거쳐 스트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아로마 용기(100) 내의 아로마는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217), 아로마 가이드 홀(219),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및 제 스트링 가이드 관(213)을 통해 제1 스트링 가이드 관(211) 및 제2 스트링 가이드 관(213)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아로마 유도수단(22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아로마가 착용자의 주위로 발산되기는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a 아로마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5b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서 본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로마 타이스트링은, 타이스트링 바디(300) 및 타이스트링 바디(300)의 후면에 부착되어 타이스트링 바디(300)를 착용자의 목에 걸게 하는 기능 이외에 타이스트링 바디의 전면에 부착된 압화에 대응하는 아로마를 방출하는 다기능 스트링 홀더(200)를 포함한다.
다기능 스트링 홀더(200)에는 2개의 스트링 가이드 관(510, 520) 및 아로마 용기 걸이(530)가 형성되어 있다. 아로마 용기 걸이(530)에는 아로마 용기(55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아로마 용기
110: 아로마 115: 나사산
200: 다기능 스트링 홀더
211: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212: 제1 아로마 유입 홀
213: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214: 제2 아로마 유입 홀
215: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
216: 나사산 217: 아로마 유출 홀
218: 브릿지 219: 아로마 가이드 홀
220: 아로마 유도 수단
300: 타이스트링 바디

Claims (5)

  1. 전면에 압화가 부착된 타이스트링 바디; 및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다기능 스트링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스트링 홀더는,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에 부착되어 스트링의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1 아로마 유입 홀이 형성된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상기 타이스트링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링의 다른 한쪽 부분이 이동하는 가이드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제2 아로마 유입 홀이 형성된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내부 측면에 아로마 용기가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 상부 면에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이 형성된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 및
    상기 제1 스트링 가이드 관, 상기 제2 스트링 가이드 관 및 상기 다기능 아로마 용기 홀더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아로마 유입 홀과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 중 대응되는 유출 홀, 상기 제2 아로마 유입 홀과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 중 대응되는 유출 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아로마 가이드 홀이 내부에 형성된 브릿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에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아로마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아로마 유출 홀 및 상기 복수의 아로마 가이드 홀을 거쳐 상기 복수의 제1 아로마 유출 홀과 상기 복수의 제2 아로마 유출 홀까지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아로마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아로마 유도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의 재질은,
    내부에 상기 아로마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유도수단은,
    일단이 잠긴 아로마를 다른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나무 재질의 막대 또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및 튜브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 타이스트링.
KR2020160007047U 2016-12-05 2016-12-05 아로마 타이스트링 KR201800017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47U KR20180001753U (ko) 2016-12-05 2016-12-05 아로마 타이스트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47U KR20180001753U (ko) 2016-12-05 2016-12-05 아로마 타이스트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53U true KR20180001753U (ko) 2018-06-14

Family

ID=6259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47U KR20180001753U (ko) 2016-12-05 2016-12-05 아로마 타이스트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49U (ko) * 2020-09-24 2022-03-31 김용일 패널형 방향제
KR20220096669A (ko) * 2020-12-31 2022-07-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목걸이형 디퓨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49U (ko) * 2020-09-24 2022-03-31 김용일 패널형 방향제
KR20220096669A (ko) * 2020-12-31 2022-07-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목걸이형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44263A1 (en) Shoe with slip-resistant, shape-retaining fabric outsole
NO20030208D0 (no) Gjenget skjöt integrert i rör
KR20180001753U (ko) 아로마 타이스트링
MY126896A (en) Industrial textiles assembled from pre-crimped components
NO20033036D0 (no) Lökkefiltstoff, samt fremgangsmåte for tilvirking av dette
DK1958938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10,11-dihydro-10-oxo-5H-dibenz[b,f]azepin-5-carboxamid
USD870407S1 (en) Clothes peg for coupling socks
ITMI20001198A0 (it) Macchina automatica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stirare calzoni senza piega, del tipo jeans o elasticizzati o di tipo sportivo.
WO2005071794A3 (en) A lamp and a method of attaching a burner to a cap of lamp
ATE284824T1 (de) Membranpumpe mit einer zumindest in einem teilbereich der peripherie befindlichen, bevorzugten verformungszone, und damit ausgerüsteter behälter
KR200328506Y1 (ko) 우산의 안전한 곡선 철심구조
ITRM20000052V0 (it) Dispositivo per l'estrazione del filtro dalla caldaia e/o la miscela dal filtro di una macchinetta per caffe'.
AU2002239795A1 (en) Process for the ironing of fabrics, and refill cartridge for irons
MXPA00008474A (es) Diseno de inmunogenos a traves del uso de fagos filamentosos recombinantes.
ITRM990144V0 (it) Dispositivo per l'estrazione del filtro della caldaia e/o la miscela dal filtro di una macchinetta per caffe'.
IT1307078B1 (it) Caffettiera del tipo moka express.
IT251803Y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Mattick Elegant variation: Paul Mattick on Sidney Tillim.(Passages)
ES1047497Y (es) Perfeccionamiento de maquina de cafe.
ES1044031U (es) Colgador para sombrillas de playa.
ITMI20060417U1 (it) Elemento di sostegno di fiori e simili per il fissaggio di fiori e simili in particolare a capi di vestiario e simili.
IT8932010V0 (it) Fioriera ottenuta mediante l'utilizzazione di un tubo in fibra kraft, nelle cui estremita'vengono inseriti ad incastro ed incollati un anel-lo come bordo superiore e un pannello come fondo.
ITVA20000039A1 (it) Pendente jacquard per abbigliamento.
ES1047362Y (es) Exprimidor de citricos semiautomatico.
IT1307882B1 (it) Procedimento ed attrezzatura per l'accoppiamento di due tessutimediante resine polimerizzab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