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366A - 하지의지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하지의지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366A
KR20220096366A KR1020200188746A KR20200188746A KR20220096366A KR 20220096366 A KR20220096366 A KR 20220096366A KR 1020200188746 A KR1020200188746 A KR 1020200188746A KR 20200188746 A KR20200188746 A KR 20200188746A KR 20220096366 A KR20220096366 A KR 2022009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dapter
prosthetic leg
fixing par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318B1 (ko
Inventor
이석민
송점식
신무현
홍범기
김종권
전경진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0018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3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80Sockets, e.g. of suct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16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002/7868Means for putting-on or pulling-off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 및 사용자의 다리에 삽입되는 소켓의 복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에 사용되는 소켓을 제작하기 위한 석고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의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족부를 지지시키기 위한 제3어댑터가 결합되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족 정렬장치{PROSTHETIC LEG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 및 사용자의 다리에 삽입되는 소켓의 복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의족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끼워지는 소켓, 무릎관절부, 족부 및 무릎관절부와 족부를 연결하는 파일론(pyl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소켓은 대퇴부 뿐만이 아닌 사용자의 절단 부위에 따라 무릎이나 종아리 등에 끼워지기도 한다.
의족(의지) 정렬(alignment)이란 착용자의 상체, 소켓, 무릎관절부, 파일론 및 족부(지면)까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맞춰주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체의 하중이 골반과 소켓 및 족부를 통해 지면에 자연스럽게 전달되도록 소켓과 족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의족 정렬(alignment)은 의족 착용자의 보행의 질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의족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즉, 적합한 의족을 선택하고 소켓 등을 잘 만들어도 벤치 얼라이먼트가 맞지 않으면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없다. 벤치 얼라이먼트란 최적의 대퇴 의족을 위한 소켓, 족부, 슬관절 안정성(knee stability)을 이루기 위한 초기단계의 조립과정에 필요한 정렬로써, 처음부터 의족에 대한 중심선 얼라인먼트를 맞춰가면서 제작하지 않으면 나중에 완벽히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처럼 의족 정렬이 잘못될 경우 보행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의족 관절 부분의 조기손상으로 내구성이 약화되어 사용기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의족의 형태는 제조사마다 제각각으로 제작자의 기술과 경험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의족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수행할 수 있는 의족 정렬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000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8898호 (000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358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의족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다리에 삽입되는 소켓을 복사할 수 있는 의족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최적의 소켓, 족부, 관절 안정성의 벤치 얼라인먼트를 적용하여 하지 의족(의지) 및 대퇴 의족(의지)의 올바른 보행 및 잘못된 정렬로 인한 의지 관절 부분 조기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족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는, 다리 절단자가 착용하는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에 사용되는 소켓을 제작하기 위한 석고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의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족부를 지지시키기 위한 제3어댑터가 결합되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3고정부가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1어댑터는, 상기 제1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1샤프트; 및 상기 제1-1탈착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켓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소켓을 지지시키는 소켓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어댑터는, 상기 제1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샤프트; 및 상기 제1-2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석고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샤프트를 탈착시키는 석고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는 제1승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1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수단의 조작시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1승강수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상하이동몸체; 상기 제1상하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좌우이동몸체; 상기 제1좌우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수단; 및 상기 전후이동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제1-2어댑터가 탈착되는 제1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어댑터는, 상기 제2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는 무릎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는 제2승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2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수단의 조작시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2승강수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상하이동몸체; 및 상기 제2상하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제2어댑터가 탈착되는 제2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어댑터는, 상기 의족의 족부가 안착지지되면서 상기 족부의 뒷꿈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승강수단; 및 상기 제3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제3어댑터가 결합되는 좌우이동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는 의족 정렬시, 정렬 기준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복수 개의 레이저포인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의족 제품이 장착되도록 설계하여 하나의 정렬장치로 다양한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켓이 고정되는 제1-1어댑터를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소켓의 크기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소켓 내부면에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풍선이 부풀려지면서 소켓을 고정시키므로 소켓의 손상없이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제1-2어댑터는 취형되어 있는 석고를 고정하여 소켓을 복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소켓을 고정하는 모든 어댑터는 상하, 좌우 및 전후 이동과 굴곡 동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향 및 각도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는 제2어댑터는 소켓을 고정시키는 제1-2어댑터와 교환 장착이 가능하며, 제2어댑터의 고정지지핀은 자석 고정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제2어댑터는 의족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정지지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무릎관절부의 고정 및 정렬이 가능하고, 상하, 좌우 및 전후 이동과 회전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족부를 지지하는 제3어댑터는 다양한 발 사이즈의 적용이 가능하게 발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구두를 신을 때 다양한 굽 높이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 힐 높이 조정기능을 적용하였으며, 이 역시 상하, 좌우 및 전후 이동과 회전 및 회동 기능이 있어 다양한 방향과 회전 및 굴곡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각종 어댑터를 장착하는 몸체는 볼스크류를 사용하여 상하조정이 가능하며, 브레이크 기능이 있어 특정위치에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상하이동몸체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상하이동몸체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에 결합된 제1-1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의 전후 이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의 회동(굴곡)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에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에 결합된 제1-2어댑터에 석고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어댑터의 회동(굴곡)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 고정지지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에 의족의 무릎관절부가 결합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부와 제3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부와 제3어댑터의 동작(움직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5와 도 17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어댑터에 의족의 족부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상하이동몸체(210, 510)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상하이동몸체(210, 510)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족(10)'이란 다리가 절단된 장애인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무릎 밑으로 소켓(11)을 착용하는 하지의지와 대퇴부에 소켓(11)을 착용하는 대퇴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의족(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 무릎관절부(12), 파일론(13) 및 족부(14)를 포함하며,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는 소켓(11), 무릎관절부(12) 및 족부(14)를 고정시켜 얼라인먼트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제1-1어댑터(300)가 위치된 방향을 지칭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 절단자가 착용하는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프레임(100), 제1고정부(200), 제2고정부(500) 및 제3고정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베이스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110), 가이드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상기 프레임(110, 120, 130)들은 다양한 형상과 재질 및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profile)로 틀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은 의족 정렬장치가 설치되는 바닥에 지지된다.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제3고정부(700)가 결합된다. 하부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다수 개의 이동수단(111)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의 후방에는 수직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프레임(120)이 형성된다. 가이드프레임(120)은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프레임(120)의 사각틀 내측 후방 중심부에는 가로(좌우) 방향으로 링크(도면부호 미기재)가 연결된다. 상기 링크를 기준으로 가이드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제1승강수단(122)이 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제2승강수단(123)이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120)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승강샤프트(121)가 수직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승강수단(122)은 제1볼스크류(122-1)와 제1레버(1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볼스크류(122-1)는 가이드프레임(120)의 상부와 상기 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하부로는 제1볼스크류(122-1)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제1레버(122-2)가 형성된다. 제1승강수단(122)에는 제1고정부(200)가 연결된다.
제1고정부(200)는 베이스프레임(100), 즉 가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고정부(200)에는 제1-1어댑터(300)나 제1-2어댑터(400)가 탈착될 수 있다. 제1-1어댑터(300)는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1-2어댑터(400)는 소켓 제작을 위한 후술할 석고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1고정부(200)는 제1상하이동몸체(210), 제1좌우이동몸체(220), 전후이동수단(230) 및 제1클램핑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상하이동몸체(210)는 제1승강수단(122), 즉 제1볼스크류(122-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승강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1상하이동몸체(210)의 좌우 양측은 각각 승강샤프트(121)에 연결되어 제1볼스크류(122-1)에 의한 승강시 승강샤프트(121)에 지지되면서 승강된다.
제1좌우이동몸체(220), 전후이동수단(230) 및 제1클램핑수단(240)의 구조 및 동작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승강수단(123)은 제2볼스크류(123-1)와 제2레버(1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볼스크류(123-1)는 가이드프레임(120)의 하부와 상기 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상부로는 제2볼스크류(123-1)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제2레버(123-2)가 형성된다. 제2승강수단(123)에는 제2고정부(500)가 연결된다.
제2고정부(500)는 제2상하이동몸체(510) 및 제2클램핑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고정부(500)는 제1고정부(200)의 하부, 즉 가이드프레임(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고정부(500)에는 제1-1어댑터(300)나 제2어댑터(600)가 탈착될 수 있다. 제1-1어댑터(300)는 소켓이 종아리 부위에 결합되는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alignment) 작업시 제2고정부(5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어댑터(600)는 의족의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2상하이동몸체(510)는 제2승강수단(123), 즉 제2볼스크류(123-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승강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2상하이동몸체(510)의 좌우 양측은 각각 승강샤프트(121)에 연결되어 제2볼스크류(123-1)에 의한 승강시 승강샤프트(121)에 지지되면서 승강된다.
제2클램핑수단(52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3고정부(700)는 제2고정부(500)의 하부에 위치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 즉 하부프레임(110)에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고정부(700)에는 족부를 지지시키기 위한 제3어댑터(800)가 결합되며, 제3어댑터(800)의 구조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상부프레임(130)이 연결된다. 상부프레임(130)은 가이드프레임(120)의 전방으로 연결되며, 사각틀 형태의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30)의 전방과 좌우 양측에는 각각 레이저포인터(131)가 프로파일을 따라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이저포인터(131)를 통해 의족 얼라인먼트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200)에 결합된 제1-1어댑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300)의 전후 이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300)의 회동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어댑터(300)에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좌우이동몸체(220), 전후이동수단(230), 제1클램핑수단(240) 및 제1-1어댑터(300)의 구조 및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좌우이동몸체(220)는 제1상하이동몸체(21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파일을 통한 이송동작 결합구조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후이동수단(230)은 제1좌우이동몸체(22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후이동수단(230)은 전후이동몸체(231), 전후이동 볼스크류(232), 가이드샤프트(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후이동몸체(231)는 제1좌우이동몸체(22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후이동 볼스크류(232)가 제1좌우이동몸체(220)와 전후이동몸체(231)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이동 볼스크류(232)의 후방에는 조작레버(도면번호 미기재)가 구비된다. 전후이동 볼스크류(232)에 체결된 전후이동몸체(231)의 내측면에는 볼스크류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전후이동몸체(23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흔들림없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샤프트(233)가 더 결합된다. 가이드샤프트(233)는 전후이동 볼스크류(232)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전후이동 볼스크류(232)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도면 상에는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가이드샤프트(233)는 제1좌우이동몸체(220)에는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전후이동몸체(231)에는 전후이동몸체(231)의 전후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제1클램핑수단(240)은 전후이동몸체(2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클램핑몸체(241), 제1클램핑레버(242) 및 제1좌우이동컨트롤레버(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클램핑몸체(241)의 중심 상부에는 클램핑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홀을 통해 후술할 제1-1어댑터(300) 또는 제1-2어댑터(400)가 탈착된다.
제1클램핑몸체(241)의 중심 상부에는 제1클램핑레버(242)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홀에 체결된 제1-1어댑터(300) 또는 제1-2어댑터(400)를 고정 및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제1좌우이동컨트롤레버(243)는 상부에 레버가 형성된 체결볼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제1클램핑몸체(241)의 좌우측에 체결된다. 제1좌우이동컨트롤레버(243)는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술한 제1상하이동몸체(210)에 체결 및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제1좌우이동몸체(220)의 이동 동작을 제어한다.
제1-1어댑터(300)는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1샤프트(310) 및 소켓지지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1샤프트(310)는 제1고정부(200), 즉 제1클램핑수단(240)의 클램핑홀(도면부호 미기재)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술한 제1클램핑레버(242)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클램핑홀에 체결된 제1-1샤프트(310)의 일측을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제-1샤프트(310)는 상부로 절곡된 '∩'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1샤프트(310)의 타측 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켓(11)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소켓(11)을 지지시키는 소켓지지수단(320)이 형성된다. 소켓지지수단(320)은 지지몸체(321) 및 지지샤프트(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몸체(321)는 원통 형상으로, 미도시 하였으나, 지지몸체(321)의 외측 둘레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풍선(미도시)이 결합되며, 에어 주입 및 토출에 의해 상기 풍선이 부풀어지거나 본디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결합된 소켓(11)을 지지시키거나 지지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지지몸체(321)의 내측 상부에는 지지샤프트(322)가 체결되며, 지지샤프트(322)는 제1-1샤프트(310)의 타측 단부에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제1-1샤프트(310)의 타측 단부에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고, 이에 지지샤프트(3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홀에 연결되는 육각나사 등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지지샤프트(2322)를 고정 및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200)에 결합된 제1-2어댑터(400)에 석고몸체(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어댑터(400)의 회동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2어댑터(400)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2어댑터(400)는 중심 상부로 고정샤프트(21)가 결합된 석고몸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2샤프트(410) 및 석고지지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샤프트(410)의 체결 구조는 전술한 제1-1샤트프(31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2샤프트(41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단부에 석고지지수단(420)이 결합된다. 석고지지수단(420)은 브래킷(421), 전후이동 볼스크류(422) 및 체결고정부재(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래킷(421)은 제1-2샤프트(41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측면을 기준으로 'ㄴ'자 형상과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브래킷(421)의 하부 전방 단부에는 체결고정부재(423)의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래킷(421)의 상부 중심에는 후방에 조작레버(도면부호 미기재)가 형성된 전후이동 볼스크류(422)가 체결된다. 여기서, 볼스크류는 볼트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전후이동 볼스크류(422)의 전방 단부는 체결고정부재(42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후이동 볼스크류(422)를 정/역회전시키면 체결고정부재(423)는 하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된다.
체결고정부재(423)는 상하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일측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클램핑몸체(도면부호 미기재)와 클램핑몸체에 연결된 클램핑레버(도면부호 미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고정부재(423)에는 석고몸체(20)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고정샤프트(21)가 탈착된다. 체결고정부재(423)와 고정샤프트(21) 상호간의 탈착구조는 전술한 제1클램핑수단(240)의 탈착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제1-2어댑터(300)를 통해 석고몸체(2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소켓(11) 복사가 가능하다. 즉, 지금까지는 사용자(대퇴 의족의 경우)의 소켓(11) 제작시, 사용자의 대퇴부에 붕대를 감은 후 붕대의 표면에 석고를 입히고 굳혀 사용자의 대퇴부 형상 본을 뜨게 된다. 어느정도 굳힌 석고를 사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붕대와 사람의 대퇴부가 매끄럽지 않으므로, 석고의 내측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처리 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이와 같이 마감처리가 끝난 석고를 이용하여 소켓(11)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소켓(11) 제작시마다 일일이 수행해야 하는 작업으로 많은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의족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소켓(11) 제작을 요청시, 평소 착용(사용)하던 소켓(11)에 석고를 붓고 중심에 고정샤프트(21)를 삽입한 상태에서 석고를 굳혀 석고몸체(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석고몸체(20)를 제1-2어댑터(400)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인 의족 정렬장치에 석고몸체(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의족 얼라인먼트 작업을 수행한 후 얼라인먼트 작업이 끝난 석고몸체(200)를 이용하여 소켓(11)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켓(11) 복사는 사용자의 소켓(11)만 있으면 가능하며, 제작된 석고몸체(20)는 재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6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600)의 고정지지핀(625)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600)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어댑터(600)에 의족의 무릎관절부가 결합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제2고정부(500)의 제2클램핑수단(520)과 제2어댑터(600)의 구조 및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클램핑수단(520)은 제2상하이동몸체(510)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클램핑몸체(521), 제2클램핑레버(522) 및 제2좌우이동컨트롤레버(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클램핑몸체(521)의 중심 상부에는 클램핑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홀을 통해 제1-1어댑터(300) 또는 후술할 제2어댑터(600)가 탈착된다.
제2클램핑몸체(520)의 중심 상부에는 제2클램핑레버(522)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홀에 체결된 제1-1어댑터(300) 또는 제2어댑터(600)를 고정 및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제2좌우이동컨트롤레버(523)는 상부에 레버가 형성된 체결볼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제2클램핑몸체(521)의 좌우측에 체결된다.
제2클램핑수단(520)의 동작 구조는 전술한 제1클램핑수단(240)의 동작 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제1-1어댑터(300)와 후술할 제2샤프트(610)의 탈착구조 역시 전술한 제1클램핑수단(240)에 탈착되는 구조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소켓을 종아리 부위에 착용하는 사용자의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 작업시, 제2고정부(500)에 제1-1어댑터(3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어댑터(600)는 제2샤프트(610) 및 무릎고정수단(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샤프트(610)의 탈착구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1샤프트(310)의 탈착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무릎고정수단(620)은 제2샤프트(610)의 전방 단부에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족의 무릎관절부(12)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회동가이드몸체(621), 회동몸체(622), 잠금해제스크류(623), 고정스크류(624) 및 고정지지핀(6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가이드몸체(621)는 제2샤프트(610)의 전방 단부에 고정결합된다. 회동가이드몸체(621)에는 활처럼 만곡진 형태의 홈(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회동몸체(6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몸체(622)는 반원 형태의 몸체로 형성되며 개방된 양단부가 전방으로 위치된다. 회동몸체(622)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홈을 따라 일정 반경 내에서 회동된다. 회동몸체(622)의 중심부에는 회동몸체(622)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 반경을 갖는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에는 잠금해제스크류(623)가 결합되며, 잠금해제스크류(623)를 정/역회전시키면 잠금해제스크류(623)가 회동가이드몸체(621)에 접촉 및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회동몸체(622)의 회동 동작이 제어된다.
회동몸체(622)의 전방 양측 단부에는 각각 좌우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스크류(624)가 결합된다. 고정스크류(624)를 정/역회전시켜 회동몸체(622)의 내측에 위치된 무릎관절부(12)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무릎관절부(12)에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고정스크류(624)의 단부에는 고정지지핀(625)이 탈착된다. 의족은 제작사마다 형상이 제각각이고, 각 구성부의 위치나 형태도 조금씩 상이하므로, 이에 따라 고정스크류(624)를 통한 무릎관절부(12)의 고정시 고정할 부위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정지지핀(625)을 고정스크류의 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지지핀(625)은 자석 결합 형태로 고정스크류(624)의 단부에 결합되므로, 손쉽고 빠른 교체가 가능하다. 회동몸체(622)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보관홀(626)이 형성되며 이에 각각의 형태를 갖는 고정지지핀(625)이 보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부(700)와 제3어댑터(8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부(700)와 제3어댑터(800)의 동작(움직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어댑터(800)에 의족의 족부(14)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제3고정부(700)와 제3어댑터(800)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고정부(700)는 베이스프레임(100), 즉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족부(14)를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3승강수단(710) 및 좌우이송수단(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승강수단(71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제3볼스크류(711), 제3레버(712), 상부플레이트(713), 하부플레이트(714) 및 동일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링크(7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승강수단(710)의 상하 이동 구조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플레이트(713)와 하부플레이트(714)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다수 개의 링크(715)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플레이트(713)와 하부플레이트(714)의 좌우 양측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의 링크(715)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의 링크(715) 상호간에는 좌우 직선 방향으로 연결된 링크(715)가 결합된다.
상부플레이트(713)와 하부플레이트(714)의 전방 일측에는 이송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이에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링크(715)가 체결되면서 상기 이송홀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이다. 상부플레이트(713)와 하부플레이트(714)의 중심위치에 연결되며, 좌우 직선 방향으로 연결된 링크(715)의 중심부에는 제3레버(712)가 형성된 제3볼스크류(71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볼스크류(711)의 후단부는 후방에 연결된 링크(715)에 결합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며, 전방에 위치한 링크(715)가 제3레버(712)를 통해 제3볼스크류(711)를 정/역회전시 전방에 위치한 링크가 제3볼스크류(711)를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부플레이트(713)와 하부플레이트(714) 상호 간의 간격이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승강되는 구조이다.
좌우이송수단(720)은 상부플레이트(713)의 상부에 결합된다. 좌우이송수단(720)은 고정몸체(721), 좌우이동몸체(722), 좌우이동 볼스크류(723) 및 가이드샤프트(7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몸체(721)는 상부플레이트(713)의 상부에 결합된다. 고정몸체(721)에 체결되는 좌우이동몸체(722), 좌우이동 볼스크류(723) 및 가이드샤프트(724)의 구조와 동작 상태는 전술한 제1고정부(200)의 전후이동수단(230)과 명칭만 달리할 뿐 동일한 구조이므로, 전술한 전후이동수단(23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3어댑터(800)는 제3고정부(7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족부(14)를 지지하는 것으로, 안착플레이트(810), 고정볼트(820), 힐높이조정수단(830) 및 각도조절수단(8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우이송수단(720)을 구성하는 좌우이동몸체(722)의 상부에는 각도조절수단(840)이 형성된다. 각도조절수단(840)의 동작 구조 자체는 볼트 구조를 이용한 공지된 전후 왕복 구조로써,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2168032호에 소개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840)의 상부에 안착플레이트(810)의 후방 하부가 결합되며, 각도조절수단(840)의 동작에 따라 안착플레이트(810)가 상하 각도로 조정된다.
안착플레이트(810)는 상판(811)과 하판(8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판(811) 중심에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된다. 하판(812)에는 볼트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고정볼트(820)가 하판(812)의 하부에서 상기 볼트체결홀을 통해 관통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판(811)의 상기 홀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즉, 고정볼트(820)를 정/역회전시켜 상판(811)과 하판(812) 상호간을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판(811)과 하판(812)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홀을 따라 상판(8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족부(14)의 사이즈에 맞게 상판(8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판(811)의 후방에는 홈(811-2)이 형성되고, 홈(811-2)의 후방으로 상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샤프트(811-1)가 구성된다. 지지샤프트(811-1)는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지지샤프트(811-1)에 힐높이조정수단(830)이 체결된다.
힐높이조정수단(830)은 안착플레이트(810)의 홈(811-2)에 대응되는 크기의 뒷굽지지판(831-1)을 갖는 클램핑몸체(831)로 구성되며, 클램핑몸체(831)에는 클램핑레버(832)가 결합된다. 클램핑레버(832)를 통해 클램핑몸체(831)를 지지샤프트(811-1)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킨다. 클램핑몸체(831)가 최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뒷굽지지판(931-1)이 홈(811-2)에 삽입되어 상판(811)과 뒷굽지지판(831-1)의 상부면이 동일한 수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좌우상하이동, 회전 및 회동 동작을 수행하는 각 구성부에는 이동 길이를 파악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의족에 대한 얼라인먼트 작업을 하나의 의족 정렬장치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의 좌우상하이동, 회전 및 회동 동작의 구성으로 사용자의 체형과 보행 특성에 맞게 정확한 정렬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소켓 복사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제작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의족 11 : 소켓
12 : 무릎관절부 13 : 파일론
14 : 족부
20 : 석고몸체 21 : 고정샤프트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하부프레임
111 : 이동수단 120 : 가이드프레임
121 : 승강샤프트 122 : 제1승강수단
122-1 : 제1볼스크류 122-2 : 제1레버
123 : 제2승강수단 123-1 : 제2볼스크류
123-2 : 제2레버 130 : 상부프레임
131 : 레이저포인터
200 : 제1고정부 210 : 제1상하이동몸체
220 : 제1좌우이동몸체 230 : 전후이동수단
231 : 전후이동몸체 232 : 전후이동 볼스크류
233 : 가이드샤프트 240 : 제1클램핑수단
241 : 제1클램핑몸체 242 : 제1클램핑레버
243 : 제1좌우이동컨트롤레버
300 : 제1-1어댑터 310 : 제1-1샤프트
320 : 소켓지지수단 321 : 지지몸체
322 : 지지샤프트
400 : 제1-2어댑터 410 : 제1-2어댑터
420 : 석고지지수단 421 : 브래킷
422 : 전후이동 볼스크류 423 : 체결고정부재
500 : 제2고정부 510 : 제2상하이동몸체
520 : 제2클램핑수단 521 : 제2클램핑몸체
522 : 제2클램핑레버 523 : 제2좌우이동컨트롤레버
600 : 제2어댑터 610 : 제2샤프트
620 : 무릎고정수단 621 : 회동가이드몸체
622 : 회동몸체 623 : 잠금해제스크류
624 : 고정스크류 625 : 고정지지핀
626 : 보관홀
700 : 제3고정부 710 : 제3승강수단
711 : 제3볼스크류 712 : 제3레버
713 : 상부플레이트 714 : 하부플레이트
715 : 링크
720 : 좌우이송수단 721 : 고정몸체
722 : 좌우이동몸체 723 : 좌우이동 볼스크류
724 : 가이드샤프트
800 : 제3어댑터 810 : 안착플레이트
811 : 상판 811-1 : 지지샤프트
811-2 : 홈 812 : 하판
820 : 고정볼트 830 : 힐높이조정수단
831 : 클램핑몸체 831-1 : 뒷굽지지판
832 : 클램핑레버 840 : 각도조절수단

Claims (11)

  1. 다리 절단자가 착용하는 의족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에 사용되는 소켓을 제작하기 위한 석고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의족의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족의 족부를 지지시키기 위한 제3어댑터가 결합되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3고정부가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어댑터는,
    상기 제1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1샤프트; 및
    상기 제1-1탈착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켓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소켓을 지지시키는 소켓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어댑터는,
    상기 제1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샤프트; 및
    상기 제1-2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석고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샤프트를 탈착시키는 석고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는 제1승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1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수단의 조작시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1승강수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상하이동몸체;
    상기 제1상하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좌우이동몸체;
    상기 제1좌우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수단; 및
    상기 전후이동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제1-2어댑터가 탈착되는 제1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댑터는,
    상기 제2고정부에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릎관절부를 고정시키는 무릎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는 제2승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2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수단의 조작시 상기 승강샤프트와 상기 제2승강수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상하이동몸체; 및
    상기 제2상하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1어댑터 또는 상기 제2어댑터가 탈착되는 제2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어댑터는,
    상기 의족의 족부가 안착지지되면서 상기 족부의 뒷꿈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족 정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승강수단; 및
    상기 제3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제3어댑터가 결합되는 좌우이동수단;를 포함하는 의족 정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이동수단이 결합되는 의족 정렬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는 의족 정렬시, 정렬 기준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복수 개의 레이저포인터가 구비되는 의족 정렬장치.
KR1020200188746A 2020-12-31 2020-12-31 하지의지 정렬장치 KR10249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6A KR102496318B1 (ko) 2020-12-31 2020-12-31 하지의지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6A KR102496318B1 (ko) 2020-12-31 2020-12-31 하지의지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66A true KR20220096366A (ko) 2022-07-07
KR102496318B1 KR102496318B1 (ko) 2023-02-07

Family

ID=8239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46A KR102496318B1 (ko) 2020-12-31 2020-12-31 하지의지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12B1 (ko) * 2023-02-28 2024-02-01 김웅범 의족 보조기 제작용 정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476A (en) * 1987-03-24 1990-05-08 J. E. Hanger & Company Limited (British Company)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artificial limb manufacture
US5127420A (en) * 1990-02-28 1992-07-07 Otto Bock Orthopadische Industrie Besitz- Und Verwaltungs-Kg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a prosthesis socket
US20060206465A1 (en) * 2001-06-01 2006-09-14 Schmitz Benjamin W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loading fare and schedule data
KR20090025561A (ko) * 2007-09-06 2009-03-11 선동윤 의족의 동적 중심 정렬용 구동장치
KR20190110763A (ko) * 2018-03-21 2019-10-01 문상철 다기능 대퇴의족 제작 기구의 개발
KR20200133582A (ko) 2019-05-20 2020-11-30 근로복지공단 하지의지 정렬을 위한 스마트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476A (en) * 1987-03-24 1990-05-08 J. E. Hanger & Company Limited (British Company)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artificial limb manufacture
US5127420A (en) * 1990-02-28 1992-07-07 Otto Bock Orthopadische Industrie Besitz- Und Verwaltungs-Kg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a prosthesis socket
US20060206465A1 (en) * 2001-06-01 2006-09-14 Schmitz Benjamin W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loading fare and schedule data
KR20090025561A (ko) * 2007-09-06 2009-03-11 선동윤 의족의 동적 중심 정렬용 구동장치
KR100918898B1 (ko) 2007-09-06 2009-09-23 선동윤 의족의 동적 중심 정렬용 구동장치
KR20190110763A (ko) * 2018-03-21 2019-10-01 문상철 다기능 대퇴의족 제작 기구의 개발
KR20200133582A (ko) 2019-05-20 2020-11-30 근로복지공단 하지의지 정렬을 위한 스마트 정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12B1 (ko) * 2023-02-28 2024-02-01 김웅범 의족 보조기 제작용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318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926B2 (en) Spherical joint orthosis
AU768707B2 (en) Alignment device for a prosthetic limb
KR20220096366A (ko) 하지의지 정렬장치
US10420656B2 (en) Knee rotational adapter
JP2016007535A (ja) 治療デバイスの自動ロック双方向駆動のためのデバイス
SE9703487L (sv) Låsanordning vid protesarrangemang
CN114126549A (zh) 矫形外科技术装置
CN211433523U (zh) 小腿假肢取型架
WO1997032155A9 (en) Fabrication assembly and casting apparatus for prosthetic and orthotic devices
WO1997032155A1 (en) Fabrication assembly and casting apparatus for prosthetic and orthotic devices
US7685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lignment of the support socket in the manufacture of leg prostheses
KR20190110763A (ko) 다기능 대퇴의족 제작 기구의 개발
US6394804B1 (en) Articulator for dental casts
GB2116432A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rtificial limb
RU2137443C1 (ru) Голеностопный узел протеза стопы
US2662228A (en) Orthopedic and prosthetic appliance
CN218943639U (zh) 一种足踝固定器
RU20395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параметров протеза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CN217245019U (zh) 跟腱修复术后的可调节支具
CN117838409A (zh) 牵引架及手术床系统
KR101865550B1 (ko)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CN114886455A (zh) 一种影像科用辅助支架
WO2023112275A1 (ja) 義足ソケット、義足、義肢ソケット及び義肢
KR101745306B1 (ko)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WO2016157983A1 (ja) 座位型股義足用ソケット及び座位型股義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