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028A -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 Google Patents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028A
KR20220096028A KR1020200188137A KR20200188137A KR20220096028A KR 20220096028 A KR20220096028 A KR 20220096028A KR 1020200188137 A KR1020200188137 A KR 1020200188137A KR 20200188137 A KR20200188137 A KR 20200188137A KR 20220096028 A KR20220096028 A KR 2022009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iquid separation
separation membrane
sludge
organic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116B1 (ko
Inventor
김경성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1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운반하며, 진공펌프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Moving belt of organic wastewater for vacuum solid-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운반하며, 진공펌프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의 가축증가에 따라 가축분뇨가 늘어나면서 축산폐수 처리가 새로운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축산 폐수는 발생량은 전체 오·폐수 발생량에 비해 미미하나 고농도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오염 부하량이 높기 때문에 적정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류되었을 경우 하천의 수질 오염 들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출산 폐수처리의 방류수 배출 허용기준은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와 SS(Suspended solid)가 30mg/L, COD(Chemical oxygen demand) 50mg/L, T-N(Total phosphorus) 60mg/L, T-P(Total nitrogen) 8mg/L 이하로 규제되는 등 상당한 고도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축산 폐수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기준에 부합되기 위한 효과적인 공정 선정 및 기술 개발 등 적정 처리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축산 폐수의 정화에는 일차적으로 후속 공정의 부담을 줄이고 폐수의 성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부유 물질, 협잡물 등이나 기타 고형물을 제거하는 고액분리(스크린(screen), 원심분리, 부상분리, 탈수 케이크(cake))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생물학적 1차 처리와 활성 오니 등 생물학적 2차 처리, 질소·인 등 영양 염류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음식물이나 축산폐수의 경우 고농도유기물로 되어 있어 전처리 과정에 있어서, 고액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후처리 공정에서 요구하는 설계 농도에 맞추기 위해 응집제와 같은 추가 약품처리를 필요로 하거나 가압부상처리 장치를 병행하는 등 추가 공정이나 장치가 필요하여 전처리 설비 비용이 커진다. 따라서, 폐수의 전처리 과정인 고액분리 과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이나 설비의 단순화 및 그 운전 비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착 롤러나 드럼스크린 등과 같이 기타 부가 장치가 필요 없이 기계 장치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면서 폐수의 처리 용량도 개선할 수 있는 진공 흡입 방식의 고액 분리장치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14257호에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14257호에 따르면, PVA(폴리 비닐 알콜) 스폰지 및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축산 폐수의 고액분리방법 및 가축분뇨의 수분 함량 조절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고액분리막으로서 단순히 스폰지 막을 두고 진공흡입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연속 공정이 어렵고 공정 시간도 길어져 처리 용량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09922호에는 망사 형상의 고액분리막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가면서 진공 흡입에 의해 폐수로부터 고액 분리하는 산업용 슬러지의 연속 흡입식 탈수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099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액 분리 장치의 경우, 무한궤도를 활용하여 고액분리막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고액 분리하는 연속 흡입식 전처리 공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고액분리막 상면에 폐수를 위치시키고 고액분리막 저면에서 단순히 진공 라인으로 흡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흡입력이 약할 수밖에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설치, 운전이나 유지 보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고액분리막의 망사 간격을 크게 하면 작은 사이즈의 고형물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폐수 정화 전처리 효과가 저감된다. 더욱이, 고액분리막의 망사 간격을 작게 할 경우에, 망사 간격보다 큰 고형물 입자에 수분이 묻어 있어 고액 분리가 어려워진다.
한국출원특허 제10-1998-0014257호(1998.04.15.) 한국출원특허 제10-2001-0009922호(2001.0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흡입 방식을 통해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하여 고형물과 분리 배출하여 효율적으로 고농도의 유기성 폐기물을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러지 이동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별도의 텐션조절 장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여과액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향상시킨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액분리장치 내에 설치된 구동부에 결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에서 흡입력이 가해지는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된 제1고액분리막과, 상기 제1고액분리막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부에 공급된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력에 의해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을 운반하는 망사망이 형성된 제2고액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액분리막의 하단면 양측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액분리막의 상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앙에 삽입홈이 구비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고액분리막의 하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액분리막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가해지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제2고액분리막에 공급된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상기 망사망 및 상기 장홈을 거쳐 흡입하는 흡입플레이트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액분리막에는, 상기 망사망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슬러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따르면, 진공흡입 방식을 통해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하여 고형물과 분리 배출하여 효율적으로 고농도의 유기성 폐기물을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 이동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별도의 텐션조절 장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고액분리막이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흡입플레이트 에서 가해지는 흡입력을 증가 및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슬러지의 여과액을 강력하게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구조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액분리막이 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러지 종류에 따른 고형물의 크기에 맞춰 메쉬망을 조절하여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분리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고액분리막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 및 체결홈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고액분리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고액분리막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 및 체결홈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고액분리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운반하며, 진공펌프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액분리장치 내에 설치된 구동부에 결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공급된 슬러지를 운반할 수 있도록 제1고액분리막(10) 및 제2고액분리막(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에서 흡입력이 가해지는 다수개의 장홈(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부에 공급된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력에 의해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을 운반하는 망사망(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안착되며, 상기 고액분리장치(100)의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공급된 슬러지에서 여과액과 고형물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액분리막(10)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은 상기 구동부(30)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2) 및 제1결합부(13)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11)을 통해 여과액을 배출한다.
이때, 상기 장홈(11)은 상기 고액분리막의 상하면을 관통하며,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12)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면 양측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동부(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12)는 마름모형상 또는 V벨트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0)의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31)은 상기 가이드돌기(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30)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32)와, 상기 구동롤러(32)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종동롤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고액분리장치(100)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롤러(32)는 별도의 모터 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구동롤러(32)와 상기 종동롤러(33)의 양측단에 상기 가이드홈(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구동롤러(32)와 상기 종동롤러(33)가 양측에 각각 배치된 후 외부면에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3)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앙에 삽입홈(1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13)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무한궤도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3)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부드럽게 융착시켜 이동경로 및 회동반경에 따라 이동시 분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안착되는 제2결합부(22)와, 상부에 공급된 슬러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망사망(21)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망사망(21)은 미세한 메쉬로 형성되어 슬러지에 혼합된 고형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여과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22)는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하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결합부(13) 및 상기 제2결합부(22)를 통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무한궤도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23)은 상기 망사망(21)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슬러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단막(23)은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망사망(21)에 유입된 슬러지가 옆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단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부(22) 및 상기 차단막(23)은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융착시켜 이동시 분리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진공펌프(41)에 의해 가해지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공급된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상기 망사망(21) 및 상기 장홈(11)을 거쳐 흡입하는 흡입플레이트(4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플레이트(40)는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액분리장치(100)에 설치되며, 별도로 설치된 상기 진공펌프(41)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41)에서 가해진 흡입력은 상기 흡입플레이트(40)를 통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에서 흡입하여, 상기 제1고액분리막(10)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공급된 슬러지 중 여과액을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공(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3a)은 상기 삽입홈(14)의 양측 또는 일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공(13a)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3a)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2a)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 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흡착플레이트(40)에서 가해지는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상기 장홈(11) 사이에 다수개 배치된 막음판(15)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막음판(15)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면에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1결합부(13)에 양끝단이 밀착되도록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장홈(11)과 상기 장홈(11)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막음판(15)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장홈(11)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흡착플레이트(40)에서 유입된 흡입력을 특정 공간에 균일하게 공급하여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상단에는 상기 망사망(21)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를 가지는 메쉬망(24)이 더 설치된다.
즉, 일예로, 상기 망사망(21)이 100메쉬일 때, 상기 메쉬망은 50메쉬로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공급된 슬러지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24)은 상기 망사망(21)의 상부면에 밀착 접촉되며, 양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메쉬망(24)은 상기 제2고액분리막(20)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측단이 상기 차단막(2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체결되는 결합돌기(2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상단에는 상기 차단막(23)의 내부에 상기 체결돌기(22a)가 결합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2a)는 상기 메쉬망(24)의 양측 끝단에서 하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는 상기 결합돌기(24a)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4a)의 끝단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5)에 억지 끼움결합을 통해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4a)는 상기 메쉬망(2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5)은 상기 체결돌기(22a)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메쉬망(24)은 상기 망사망(21)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로 형성하여, 슬러지에서 여과액을 흡입할 때, 상기 망사망(21)보다 작은 크기의 고형물이 상기 메쉬망(24)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액분리장치(100)는 별도의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에 설치되며, 슬러지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슬러지수용부(110), 상기 슬러지수용부(110)를 통해 슬러지를 공급받아 제1 및 제2 고액분리막(10, 20) 상에 위치시켜 주기 위한 슬러지투입부(120)를 통해 제1 및 제2 고액분리막(10,20)에 슬러지를 공급한다.
이 후, 상기 제1 및 제2 고액분리막(10,20)이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운반할 때 상기 흡착플레이트(40)를 통해 여과액을 흡입하고, 여과액이 제거된 생성된 고형물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구동롤러(32)와 상기 종동롤러(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2)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구동롤러(32)와 상기 종동롤러(33)를 감싸 무한궤도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에는 가이드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2)는 상기 구동부(30)의 상기 가이드홈(31)에 체결되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2)에 의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에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과 동일하게 무한궤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결합부(22)가 제1결합부(1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23)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가 옆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고액분리막(10,20)은 상기 구동부(30)를 통해 무한궤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슬러지를 운반하며, 여과액과 고형물을 분리배출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수용부(110)에 저장된 슬러지는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상부에 공급한다.
이때, 슬러지는 상기 차단막(23)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공급된 슬러지는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흡착플레이트(40)를 통해 가해지는 흡입력을 통해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한다.
즉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망사망(21) 및 메쉬망(24)으로 가해진 흡입력에 의해 여과액을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서 흡입된 여과액은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은 상기 막음판(15)에 의해 폭방향을 따라 구획된 공간에 균일하게 여과액을 저장하며, 다수개의 상기 장홈(11)을 통해 상기 흡입플레이트(40)로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누적된 고형물은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에 의해 운반되어 별도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은 이중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되, 슬러지에서 여과액과 고형물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2), 상기 제1결합부(13), 상기 제2결합부(22)에 의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 및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이동 시 이탈을 방지하고 별도의 텐션조절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4a) 및 상기 결합홈(25)에 의해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이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망사망(21) 및 메쉬망(24)을 통해 공급된 다양한 종류의 슬러지에 혼합된 고형물의 크기에 맞춰 설치하여 용이하게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제1고액분리막 11: 장홈 12: 가이드돌기
13: 제1결합부 13a: 체결공
14: 삽입홈 15: 막음판
20: 제2고액분리막 21: 망사망 21: 제2결합부
21a: 체결돌기 22: 차단막
23: 메쉬망 23a: 결합돌기
24: 결합홈
30: 구동부 31: 가이드홈 32: 구동롤러
33: 종돌롤러
40: 흡입플레이트 41: 진공펌프
100: 고액분리장치 110: 슬러지수용부 120: 슬러지투입부
130: 배출구

Claims (3)

  1. 고액분리장치 내에 설치된 구동부에 결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에서 흡입력이 가해지는 다수개의 장홈(11)이 형성된 제1고액분리막(10)과,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부에 공급된 슬러지에 혼합된 여과액을 흡입력에 의해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을 운반하는 망사망(21)이 형성된 제2고액분리막(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하단면 양측단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동부(3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2)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30)의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액분리막(10)의 상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중앙에 삽입홈이 구비된 제1결합부(13)와,
    상기 제2고액분리막(20)의 하단면 양측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4)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2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KR1020200188137A 2020-12-30 2020-12-30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KR10245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37A KR102452116B1 (ko) 2020-12-30 2020-12-30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37A KR102452116B1 (ko) 2020-12-30 2020-12-30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028A true KR20220096028A (ko) 2022-07-07
KR102452116B1 KR102452116B1 (ko) 2022-10-06

Family

ID=8239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137A KR102452116B1 (ko) 2020-12-30 2020-12-30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20U (ko) * 1990-06-27 1991-02-15
KR19980014257A (ko) 1996-08-09 1998-05-25 김춘선 태그 핀 첨부 장치
KR20010009922A (ko) 1999-07-14 2001-02-05 구자홍 디스크 드라이버의 디스크 이송장치
JP2006136854A (ja) * 2004-11-15 2006-06-01 Ishigaki Co Ltd 水平ベルトフイルター
KR101977641B1 (ko) * 2017-12-06 2019-05-10 안종현 컨베이어 벨트와 이에 착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스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20U (ko) * 1990-06-27 1991-02-15
KR19980014257A (ko) 1996-08-09 1998-05-25 김춘선 태그 핀 첨부 장치
KR20010009922A (ko) 1999-07-14 2001-02-05 구자홍 디스크 드라이버의 디스크 이송장치
JP2006136854A (ja) * 2004-11-15 2006-06-01 Ishigaki Co Ltd 水平ベルトフイルター
KR101977641B1 (ko) * 2017-12-06 2019-05-10 안종현 컨베이어 벨트와 이에 착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스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116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069B1 (ko) 주축베어링하우징부와 유입관을 설치하여 농축 및 회수 효율을 개선한 탈수장치
KR102452116B1 (ko) 진공고액분리장치용 유기성 폐수의 이동벨트
KR102355047B1 (ko)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CN102596374B (zh) 膜模块、膜单元和膜分离装置
US6224766B1 (en) Membrane treatment method and membrane treatment apparatus
KR101772913B1 (ko) 이동식 수처리 장치
CN102603091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EP2869904A1 (en) Compartmentally expandable rotating belt filter for energy use reduction
CN103408138B (zh) 含高cod、高氨氮煤化工污水的两段式生物处理设备
WO2017146463A1 (ko) 슬러지 처리장치
JPH09220598A (ja) 固液分離装置
KR20220096131A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전처리용 진공고액분리장치
KR20060005023A (ko) 전기응집 활성탄 여과장치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KR100710501B1 (ko) 유량 조절장치
KR100810625B1 (ko) 활성오니 처리설비용 순환형 담체장치
JPH11253942A (ja) 移動式浸漬型膜分離汚水処理装置
CN111592134A (zh) 一种集装箱式垃圾渗滤液处理系统
KR100456346B1 (ko) 미생물 접촉산화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0241540Y1 (ko) 수처리용 평막모듈 구조체
CN215161413U (zh) 一种推流分段分区多模式运行的污水装置
CN218573052U (zh) 一种矿坑废水快速过滤装置
CN220537626U (zh) 一种用于处理速冻食品加工废水的系统
JP5767087B2 (ja) 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