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589A -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5589A KR20220095589A KR1020200187250A KR20200187250A KR20220095589A KR 20220095589 A KR20220095589 A KR 20220095589A KR 1020200187250 A KR1020200187250 A KR 1020200187250A KR 20200187250 A KR20200187250 A KR 20200187250A KR 20220095589 A KR20220095589 A KR 202200955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new
- insulation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group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532 Calc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69 artificial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28 bar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01 bary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9 dolom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514 dolo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YOBAEOGBNPPUQV-UHFFFAOYSA-N iron;trihydrate Chemical compound O.O.O.[Fe].[Fe] YOBAEOGBNPPUQ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903 pyrophy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ti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5822 acrylic bind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8 adhesive strength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7 polystyre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은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있어서, 진공단열재, 페놀폼보드, 경질우레탄 등의 비흡수면 고성능 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탁월한 1액형 접착신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탄소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건물의 구조체와 마감재료(단열재, 마감재 등)와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은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있어서, 진공단열재, 페놀폼보드, 경질우레탄 등의 비흡수면 고성능 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탁월한 1액형 접착신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탄소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건물의 구조체와 마감재료(단열재, 마감재 등)와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있어서, 진공단열재, 페놀폼보드, 경질우레탄 등의 비흡수면 고성능 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탁월한 1액형 접착신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탄소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건물의 구조체와 마감재료(단열재, 마감재 등)와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시 건축물의 외벽 단열 마감 시공은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재 부착공장 → 앙카 작업 공정 → 메쉬 함침 공정 → 마감재 도포공정 등으로 구성된다. 위 공정 중 단열재 부착공정은 접착몰탈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내외벽에 부착 고정하는 공정이고, 마감재 도포공정은 건물을 화려하게 꾸미기 위해 다양한 자재를 이용하여 마감 및 장식하는 공정이다.
단열재 부착 혹은 메쉬 함침 시 사용되는 접착몰탈 중 일반적인 제품은 시멘트 혼입용으로 작업자에 따라 시멘트 함량을 임의로 적용하기 때문에 시공 후 벽체의 품질편차가 크고, 부착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의 난연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도막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는데 일반 접착 몰탈의 경우 1mm 이상으로 도막을 형성할 경우 크랙이 발생하여 난연성능을 발휘할 정도로의 도막형성이 불가능 하였다.
일반 접착 몰탈을 일부 개선한 제품으로 이액형의 접착몰탈이 있는데, 이는 EVA계 액상수지와 시멘트계 모르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현장 사용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업성이 떨어지고, 공사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정부의 저탄소 에너지고효율화 정책으로 인해 건축물의 단열기준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잇따른 화재사고로 인해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안전기준도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추진 계획에 따라 저탄소 제로에너지를 지향하는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추진, 기존 건축물의 그린 리모델링 추진 등 향 후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고효율화에 대한 범국가적 관심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건축물의 외벽 단열에 자주 사용하던 발포폴리스티렌계 단열재의 경우 비드법열전도율이 0.031~0.027 수준으로 현행 중부1지역의 열관류율 기준인 0.15를 맞추기 위해서는 180~210mm를 사용해야 하므로 벽체두께가 많이 두꺼워지고 특히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페놀폼(PF), 경질우레탄, 진공단열재 등 단열성능과 화재안전성이 우수한 고성능단열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 단열재의 경우 일면이 알루미늄박판 등 비흡수면으로 되어 있어 기존 시멘트 혼합형 접착몰탈 또는 2액형 접착몰탈로는 부착성능에 한계가 있어 시공 후 탈락의 우려가 있고, 시공품질의 편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성능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우수한 1액형의 접착신소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있어서, 진공단열재, 페놀폼보드, 경질우레탄 등의 비흡수면 고성능 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탁월한 1액형 접착신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탄소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건물의 구조체와 마감재료(단열재, 마감재 등)와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은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접착신소재에 있어서,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 데 있어서,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1액형 접착신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 기존 벽체를 정리하는 단계(S2), 상기 1액형 접착신소재를 이용하여 고성능단열재를 벽체에 부착하는 단계(S3) 및 조인트부위 열교차단, 기밀 또는 방수처리를 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골재류는 탄산칼슘, 착색규사, 무늬사, 백운석, 규사, 방해석, 벤토나이트, 탈크, 규조토, 운모, 납석, 중정석, 장석, 산화티타늄, 천연광물분말, 황토석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방부제, 용제, 증점제, pH조절제, 운모, 셀룰로오즈계화합물,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성능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진공단열재, 페놀폼단열재 또는 경질우레탄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섬유, PVA섬유, PP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레이온섬유 또는 셀룰로스계섬유 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재료는 PV(태양광)패널, 불소수지 강판, 폴리에스터 수지 강판, 실리콘 수지 강판,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칼라강판, 칼라륨 강판, 동판, 황동, 스텐레스, 알루미늄, 프린트강판, 알루미늄씨트, 징크, 천연석재, 타일, 인조석, 테라코터, 세라믹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 시멘트 모르타르, 내화도료, 방염도료, 난연도료, 목재, 합성수지, 시멘트보드, 세라믹보드, 석고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1액형 접착신소재, 고성능단열재,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폭, 길이, 두께로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벽체에 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재, 페놀폼보드, 경질우레탄 등의 비흡수면 고성능 단열재와의 부착성능이 탁월한 1액형 접착신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탄소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준)불연단열재의 사용으로 화재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건물의 구조체와 마감재료(단열재, 마감재 등)와의 부착성능 향상으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2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비교예와 비교하여 실험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은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1액형 접착신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 기존 벽체를 정리하는 단계(S2), 상기 1액형 접착신소재를 이용하여 고성능단열재를 벽체에 부착하는 단계(S3) 및 조인트부위 열교차단, 기밀 또는 방수처리를 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골재류는 탄산칼슘, 착색규사, 무늬사, 백운석, 규사, 방해석, 벤토나이트, 탈크, 규조토, 운모, 납석, 중정석, 장석, 산화티타늄, 천연광물분말, 황토석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방부제, 용제, 증점제, pH조절제, 운모, 셀룰로오즈계화합물,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성능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진공단열재, 페놀폼단열재 또는 경질우레탄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섬유, PVA섬유, PP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레이온섬유 또는 셀룰로스계섬유 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재료는 PV(태양광)패널, 불소수지 강판, 폴리에스터 수지 강판, 실리콘 수지 강판,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칼라강판, 칼라륨 강판, 동판, 황동, 스텐레스, 알루미늄, 프린트강판, 알루미늄씨트, 징크, 천연석재, 타일, 인조석, 테라코터, 세라믹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 시멘트 모르타르, 내화도료, 방염도료, 난연도료, 목재, 합성수지, 시멘트보드, 세라믹보드, 석고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1액형 접착신소재, 고성능단열재,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폭, 길이, 두께로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벽체에 시공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시편을 제작하고 여러가지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1]
골재류로써 백규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5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30 중량부, 첨가제 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및 사문석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액형 접착신소재를 제조하고 고성능 페놀폼 단열재 위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골재류로써 백규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5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30 중량부, 첨가제 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및 사문석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액형 접착신소재를 제조하고 프라이머로 전처리된(코팅된) 고성능 페놀폼 단열재 위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당사의 일반접착몰탈, 파우더몰탈, 2액형몰탈을 제조하고 고성능 페놀폼 단열재 위에 각각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당사의 일반접착몰탈, 파우더몰탈, 2액형몰탈을 제조하고 프라이머로 전처리된(코팅된) 고성능 페놀폼 단열재 위에 각각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페놀폼 단열재 부착강도 실험
실시예1,2 및 비교예1,2에서 제작한 시편으로 간이부착강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1일 양생 후 | 14일 양생 후 | 28일 양생 후 | |||||
프라이머 X | 프라이머 ○ | 프라이머 X | 프라이머 ○ | 프라이머 X | 프라이머 ○ | ||
일반접착제 (접착제:시멘트= 1:2) |
부착강도 | 204N | 316N | 206N | 366N | 188N | 386N |
146N | 356N | 152N | 390N | 176N | 356N | ||
164N | 372N | 194N | 404N | 162N | 412N | ||
부착강도 평균값 | 171N | 348N | 184N | 389N | 175N | 385N | |
파우더몰탈 | 부착강도 | 216N | 400N | 190N | 438N | 180N | 372N |
212N | 376N | 264N | 456N | 274N | 388N | ||
190N | 396N | 248N | 424N | 178N | 402N | ||
부착강도 평균값 | 206N | 391N | 234N | 439N | 211N | 387N | |
EVA 2액형타입 | 부착강도 | 168N | 372N | 248N | 368N | 138N | 434N |
168N | 398N | 274N | 452N | 202N | 408N | ||
222N | 384N | 192N | 408N | 262N | 398N | ||
부착강도 평균값 | 186N | 385N | 238N | 409N | 201N | 413N | |
에코그린본드 | 부착강도 | 446N | 424N | 358N | 424N | 380N | 362N |
380N | 430N | 472N | 380N | 386N | 428N | ||
374N | 376N | 380N | 380N | 412N | 402N | ||
부착강도 평균값 | 400N | 410N | 403N | 395N | 393N | 397N |
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일 양생 후 실시예1(1액형 접착신소재; 에코그린본드)에 따른 부착강도가 비교예1에 따른 각 비교제품별 부착강도보다 1.9~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2에 따른 부착강도 역시 비교예2에 따른 각 비교제품별 부착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 2의 경우 프라이머의 도포 여부에 부착강도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이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1액형 접착신소재는 시공 시 프라이머 시공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1, 2의 경우 프라이머의 도포 여부에 따라 부착강도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페놀폼과 같은 고성능 단열재 시공시 프라이머 시공이 반드시 필요함을 의미하고 이는 곧 시공기간과 비용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1액형 접착신소재(에코그린본드)는 페놀폼과 같은 고성능 단열재의 부착성능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골재류로써 백규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5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30 중량부, 첨가제 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및 사문석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액형 접착신소재를 제조하고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골재류로써 백규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5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30 중량부, 첨가제 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및 사문석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액형 접착신소재를 제조하고 프라이머로 전처리된(코팅된)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당사의 일반접착몰탈, 파우더몰탈, 2액형몰탈을 제조하고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각각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당사의 일반접착몰탈, 파우더몰탈, 2액형몰탈을 제조하고 프라이머로 전처리된(코팅된)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각각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2]경질우레탄보드 부착강도 실험
실시예3,4 및 비교예3,4에서 제작한 시편으로 간이부착강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X | 프라이머 ○ | ||||
일반몰탈 (월본드:시멘트= 1:2) |
부착강도 | 344N | 344N | 434N | 384N |
288N | 332N | 414N | 350N | ||
248N | 326N | 438N | 386N | ||
320N | 278N | 380N | 384N | ||
부착강도 평균값 | 310N | 396N | |||
파우더몰탈 | 부착강도 | 466N | 404N | 502N | 642N |
380N | 356N | 478N | 596N | ||
444N | 412N | 578N | 464N | ||
444N | 414N | 538N | 594N | ||
부착강도 평균값 | 415N | 549N | |||
에코그린본드 | 부착강도 | 504N | 562N | 652N | 614N |
514N | 546N | 610N | 656N | ||
530N | 562N | 650N | 614N | ||
550N | 510N | 636N | 598N | ||
부착강도 평균값 | 535N | 629N |
위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일 양생 후 실시예3(1액형 접착신소재; 에코그린본드)에 따른 부착강도가 비교예3에 따른 각 비교제품별 부착강도보다 1.3~1.7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4에 따른 부착강도 역시 비교예4에 따른 각 비교제품별 부착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1액형 접착신소재는 페놀폼 단열재 뿐만 아니라 경질우레탄과 같은 고성능단열재의 부창성능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골재류로써 백규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5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30 중량부, 첨가제 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및 사문석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액형 접착신소재를 제조하고 페놀폼 단열재 위에 도포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20℃ 냉각 2시간, 실온 2시간 냉온Cycle을 2회 반복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3]냉온반복에 따른 부착강도 실험
실시예5 및 비교예5에서 제작한 시편으로 간이부착강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일 양생 후 실시예5(동해○)에 따른 1액형 접착신소재의 부착강도가 비교예5(동해×)와 비교하여 약 9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안 본 발명에 따른 1액형 접착신소재는 동결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Claims (10)
-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접착신소재에 있어서,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 신축건물의 외벽을 단열마감 시공하거나, 기존건물의 외벽을 리모델링 시공하는 데 있어서,
골재류 100 중량부에 대해 물 20 내지 30 중량부, 바인더 25 내지 45 중량부,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MgO 함량이 30% 이상이고, 입도가 50mesh 이하인 사문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1액형 접착신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
기존 벽체를 정리하는 단계(S2),
상기 1액형 접착신소재를 이용하여 고성능단열재를 벽체에 부착하는 단계(S3),
및 조인트부위 열교차단, 기밀 또는 방수처리를 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류는 탄산칼슘, 착색규사, 무늬사, 백운석, 규사, 방해석, 벤토나이트, 탈크, 규조토, 운모, 납석, 중정석, 장석, 산화티타늄, 천연광물분말, 황토석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방부제, 용제, 증점제, pH조절제, 운모, 셀룰로오즈계화합물, 안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단열재는 비드법단열재, 압출법단열재, 진공단열재, 페놀폼단열재 또는 경질우레탄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를 시공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섬유, PVA섬유, PP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레이온섬유 또는 셀룰로스계섬유 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료는 PV(태양광)패널, 불소수지 강판, 폴리에스터 수지 강판, 실리콘 수지 강판,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칼라강판, 칼라륨 강판, 동판, 황동, 스텐레스, 알루미늄, 프린트강판, 알루미늄씨트, 징크, 천연석재, 타일, 인조석, 테라코터, 세라믹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 시멘트 모르타르, 내화도료, 방염도료, 난연도료, 목재, 합성수지, 시멘트보드, 세라믹보드, 석고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1액형 접착신소재, 고성능단열재, 보강재 또는 마감재료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폭, 길이, 두께로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벽체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의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250A KR20220095589A (ko) | 2020-12-30 | 2020-12-30 |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250A KR20220095589A (ko) | 2020-12-30 | 2020-12-30 |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589A true KR20220095589A (ko) | 2022-07-07 |
Family
ID=8239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7250A KR20220095589A (ko) | 2020-12-30 | 2020-12-30 |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5589A (ko)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7250A patent/KR2022009558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66999C2 (ru) | Гипсов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
EP3233752B1 (en) | Multicomponent adhesive system and its use as adhesive in building and construction | |
KR100807244B1 (ko) | 고내화성 무기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화보드 | |
CN1162512C (zh) | 阻燃组合物 | |
CN103553542B (zh) | 一种保温防水胶泥及其制备方法 | |
CN111410861B (zh) | 双组分保温腻子及其制备方法、施工方法和应用 | |
KR20210117642A (ko) |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 |
EA039443B1 (ru) | Смесь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 |
KR101564722B1 (ko) | 외단열 방수 복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976555B1 (ko) | 불연, 방염, 차열, 단열 및 결로방지 효과를 갖는 기능성 수성 페인트 조성물 | |
KR20220095589A (ko) | 고성능 단열재 부착용 1액형 접착신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시공방법 | |
KR100961004B1 (ko) | 재분산성 폴리머 분산제 및 폐타이어를 이용한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KR101466916B1 (ko) | 단열 몰탈 | |
EP1370502B1 (en) | Finishing mortar for sound-absorbing and fire-resisting coating | |
KR100874883B1 (ko) | 난연성 바닥 마감재 조성물 | |
CN208668827U (zh) | 内墙装饰结构 | |
KR100348601B1 (ko) | 경량 내화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CN219080813U (zh) | 一种水包砂外墙保温涂层 | |
CN218205217U (zh) | 一种多层一体成型防火板 | |
WO2008003150A2 (en) | Composition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ifacturing articles made of it | |
KR100741756B1 (ko) | 방내화칸막이용 불연성 판넬 및 그 제조방법 | |
CN215290742U (zh) | 一种多功能新型复合抗裂防火板 | |
KR20120114907A (ko) | 불연몰탈층이 구비된 경량 샌드위치 패널 | |
CN208056339U (zh) | 一种防水保温建筑材料结构 | |
KR101902193B1 (ko) | 크랙 발생과 광물질의 유실이 방지되는 건축물 외벽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외벽 마감재,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