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596A -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4596A KR20220094596A KR1020200185970A KR20200185970A KR20220094596A KR 20220094596 A KR20220094596 A KR 20220094596A KR 1020200185970 A KR1020200185970 A KR 1020200185970A KR 20200185970 A KR20200185970 A KR 20200185970A KR 20220094596 A KR20220094596 A KR 202200945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ight
- imaging device
- unit
- present disclo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구강 촬영 장치로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투과되는, 유리 커버를 갖는 윈도우, 상기 발광부의 상기 일 측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촬상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대상물에 조사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촬상부에서 수신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수신된 광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함 -, 및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신호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구강 내 치아 상태 촬영을 위한 구강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 내 치아에 대해 청색광을 조사하고 그에 대응하여 치아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위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구강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치아 건강에 깊은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간식 문화의 활성화에 따라 어린 자녀를 둔 많은 부모들은 자녀의 치아 우식을 염려하여 자녀와 함께 치과를 찾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고, 평균 수명 증가에 따라 노년층도 평생 치아 건강 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치과 진단 및 진료에 나서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치과 진료의 활성화는 치아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환, 예컨대 치아 우식, 균열, 치석 부착 등의 조기 확인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주기적 치과 진단 및 진료에 대한 필요성에는 동감하면서도, 바쁜 일상으로 인해 치과 방문을 원하는 만큼 자주 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많은 사람들은, 치과 방문을 자주 하거나 하지 못하거나 간에, 다양한 종류의 구강 위생 제품들을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의 평소 치아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려 하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형태나 성분 등이 크게 다양화된 칫솔, 치약, 가글제 등의 구강 세정 제품들이 시중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가정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치아 건강 관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세정에 의한 관리 정도일 뿐이며, 치아 건강 상태의 확인은 대부분 치과 방문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구강 내 질환의 보다 조속한 발견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치과에서는, 종래 와동(cavity) 발생을 기준으로 치아 우식을 판별하던 데에서 벗어나, 근래에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초기 단계의 치아 우식의 판별을 위해서 광 조사 및 그에 따른 반사/방사 광 특성을 활용한 구강 촬영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개인적 차원의 구강 건강 관리를 위하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촬영 카메라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용 제품은, 컴퓨터 장치와의 유선 연결을 통해서 촬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번잡함이 있고, 치아 상태의 점검을 위한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번잡한 조작 없이도, 가정에서 각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강 내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치아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편의성을 높인 가정용 구강 촬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구강 촬영 장치로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투과되는, 유리 커버를 갖는 윈도우, 상기 발광부의 상기 일 측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촬상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대상물에 조사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촬상부에서 수신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수신된 광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함 -, 및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신호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소자는, 380 내지 420nm 파장대역의 청색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LED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USB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안테나를 통한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촬상부는, 파장대역별로 각기 다른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된 대역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역 필터는, 붉은 색 광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가장 높은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 촬영 장치는, 전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 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 경우, 전체로서 상기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윈도우가 상기 캡 하우징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져 있고, 상기 캡 하우징이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의 내측 면이 노출되며 상기 윈도우가 상기 내측 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의 일면에 고무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구강 촬영 장치를 이용해서 가정에서 간편하게 자신의 구강 내 치아 상태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 및 점검하여, 치아에 균열이 있는지, 치아 우식이 있는지 등을 치과 방문없이 육안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치아 건강 상태를 매일 확인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서, 치아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촬영 장치(100)의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한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촬영 장치(100)의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한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구강 촬영 장치(100)를 아래쪽 옆에서 올려다본 도면으로서, 구강 촬영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하기 위하여 캡 하우징(110-2)을 닫은 상태의 구강 촬영 장치(100) 전면을 도시하고, 도 1의 (b)는, 구강 촬영 장치(10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의 (c)는 구강 촬영을 위해 캡 하우징(110-2)을 연 상태의 구강 촬영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구강 촬영 장치(100)는, 하우징(110), 발광/수광 윈도우(120), 전면 버튼(130), 후면 버튼(140), 안테나(150), 스톱퍼(160), 및 신호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10)은, 구강 촬영 장치(110)의 구성부품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10-1)과, 본체 하우징(110-1)의 전면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 하우징(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1)의 하부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조작하기 쉬운 정도 크기의 단면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무게가 가벼워 사용상 편의가 도모될 수 있으며 심미적 위생적 관점에서도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 즉 본체 하우징(110-1)으로부터 캡 하우징(110-2)이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 하우징(110-1)의 내부 표면(110-3) 상단에 발광/수광 윈도우(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표면(110-3)은 하우징(110)의 외부 표면과 같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와 달리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수광 윈도우(120)는, 구강 촬영 장치(100)로부터의 광이 촬영 대상(예컨대 구강 내 치아 등)을 향하여 조사되는 통로이자,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반사 또는 방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수광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수광 윈도우(120)는,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유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캡 하우징(110-2)은, 하우징 내부 표면(110-3)과 그에 배치된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덮도록, 본체 하우징(110-1)과 결합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본체 하우징(110-1)과 캡 하우징(110-2)이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 외관이 하나의 긴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 하우징(110-1)의 내부 표면(110-3)과 캡 하우징(110-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측 안쪽에, 서로 마주보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고, 캡 하우징(110-2)이 본체 하우징(110-1)과 결합할 때 그 안쪽의 자석들 간의 인력이 결합을 지탱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 하우징(110-1)과 캡 하우징(110-2)은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110-1)의 전면 상에서 캡 하우징(110-2)이 배치되는 상부 영역의 아래쪽에, 전면 버튼(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110-1)의 전면 상의 전면 버튼(130)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후면 상에 후면 버튼(1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버튼(130)은, 구강 촬영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제어에 이용될 수 있고, 후면 버튼(130)은, 구강 촬영을 위한 스위치 온/오프 제어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버튼(130)과 후면 버튼(140)은 각각 구강 촬영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각각의 사용자 제어 신호 입력을 위하여 이용되는 버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 촬영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촬영 모드(예컨대, 백색광 모드 및 청색광 모드)를 가질 수 있고, 전면 버튼(130)과 후면 버튼(140) 각각은 서로 다른 모드의 촬영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110-1)에서, 발광/수광 윈도우(120)가 배치된 위치를 둘러싸고 본체 하우징(110-1)의 외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안테나(1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의 촬상부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가, 안테나(150)를 통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110-1)에서, 발광/수광 윈도우(120)가 배치된 쪽의 반대쪽 하단부에 스톱퍼(1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퍼(160)는, 고무와 같은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톱퍼(160)는, 예컨대 전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구강 촬영 장치(100)가 바닥에 놓이는 경우에 구강 촬영 장치(100)가 굴러가지 않도록, 구강 촬영 장치(110)와 바닥 표면 간의 마찰을 높이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하우징(110-1)의 하단부 아래쪽 표면에는 신호 연결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연결부(170)는, 예컨대 USB 젠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연결부(170)가 USB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고,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촬상부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가 신호 연결부(170) 및 그에 연결된 USB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스마트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구강 촬영 장치(100)는, 발광부(210), 촬상부(220), 저장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는 하나 이상의 LED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는, 제1 색깔의 광(예컨대, 380 내지 420nm 파장대역의 청색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LED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의 제1 LED 발광소자들은, 중앙부가 빈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는 제2 색깔의 광(예컨대, 모든 색깔의 빛이 혼재하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LED 발광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의 제1 LED 발광소자들과 제2 LED 발광소자들은 모두, 중앙부가 빈 링 형상을 이루며,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210)의 제1 LED 발광소자 및/또는 제2 LED 발광소자가 발광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의 제1 LED 발광소자 또는 제2 LED 발광소자의 발광에 따라, 구강 내 촬영 대상물(예컨대, 치아)을 향하여 청색광(및/또는 백색광)이 조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는 도 1의 발광/수광 윈도우(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발광부(2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통해 구강 내 촬영 대상물(예컨대 치아)에 닿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로부터, 예컨대 380 내지 420nm 파장대역의 청색광(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이 구강 내로 조사될 수 있는데, 구강 내 건전 치아에 대해 조사된 청색광은 치아의 상아-법랑질의 경계(DEJ)까지 투과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아-범랑질의 경계(DEJ)로부터 녹색의 자연 형광(autofluorescence)이 생성되어 방사될 수 있다. 반면, 우식증 등 병변이 있는 병소의 경우에는, 구강 내 세균의 대사 과정 중에 발생하는 대사 산물인 포피린(porphyrin) 등에 의해서, 청색광 입사 시 위 건전 치아로부터 반사되는 녹색의 자연 형광(autofluorescence)과는 다른 고유의 색깔의 형광(예컨대, 붉은 색 형광)이 생성되어 방사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10)는 주로 LED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는, OLED,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크세논 램프, 레이저 발광장치 등 다양한 다른 형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부(220)가, 발광부(210)의 후면(즉, 발광부(210)를 기준으로, 발광/수광 윈도우(120) 쪽이 아닌 반대쪽의 본체 하우징(110-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10)로부터의 광 조사에 대응하여 구강 내 촬영 대상물(예컨대, 치아)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어 돌아오는 광이 도 1의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통해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로 입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어 구강 촬영 장치(100) 내부로 입사한 광은, 발광부(210)의 발광소자들이 링 형상(가운데가 빈 링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그 링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촬상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촬상부(220)는, 선명한 이미지 획득을 위한 초점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 특정 파장대역의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획득될 이미지의 색 특성이나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대역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부(220)의 대역 필터는, 치아의 우식증 또는 기타 구강 내 세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의 광(예컨대, 발광부(210)로부터의 청색광 조사에 대응하여 포피린 등 병변부로부터 생성 및 방사되는, 예를 들어 붉은 색 파장대역 광 등)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제공하는 필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부(220)는 대역필터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장치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230)는, 촬상부(22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4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40)는, 예컨대 촬상부(220) 및/또는 저장부(230)로부터 영상 신호를 획득하고,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신호 연결부(170)를 경유한 유선 연결을 통해, 전술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도 1의 안테나(150)를 경유한 무선 연결(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름)을 통해, 전술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전술한 발광부(210), 촬상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전면 버튼(130) 및 후면 버튼(14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제어 입력이 신호 전달 경로를 거쳐 제어부(25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30)는 수신된 사용자 제어 입력 등에 기초하여 발광부(210) 및 촬상부(220)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발광부(210)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발광부(210)의 청색광 발광소자들이 구동되어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발광부(210)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발광부(210)의 백색광 발광소자들이 구동되어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발광부(210)를 위한 제어 신호를 통해, 구동 시키고자 하는 발광소자의 개수, 발광시간, 조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촬상부(220)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촬상부(220)가 촬영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광을 수신 및 결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촬상부(220)를 위한 제어 신호를 통해, 촬상부(220)의 렌즈 초점, 결상을 위한 광량, 이미지 생성을 위한 컬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제어부(250)는, 촬상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40) 각각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촬상부(220)가 생성한 이미지 신호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240), 신호 연결부(170) 및/또는 안테나(150)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구강 촬영 장치(100)의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한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우선 단계(302)에서, 구강 촬영 장치(100)는, 발광부(210)의 발광소자로부터 광(예컨대, 청색광)을 조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은, 구강 촬영 장치(100)의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통해 구강 내 촬영 대상물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한 구강 내 촬영 대상물로부터 반사 및/또는 방사된 광 또는 형광이 구강 촬영 장치(100)의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통해 수광될 수 있다. 단계(306)에서, 발광/수광 윈도우(120)를 통해 입사(수광)되는 광이, 촬상부(220)로 전달되고 렌즈 및 촬상 필터를 통과할 수 있고, 촬상 소자에 의해 영상 신호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08)에서, 촬상 소자에 의해 형성된 영상 신호가, 구강 촬영 장치(100)의 신호 연결부(170) 및 그에 접속된 USB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접속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08)에서, 촬상 소자에 의해 형성된 영상 신호가, 구강 촬영 장치(100)의 안테나(150)를 이용한 무선 접속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10)에서, 스마트폰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촬영된 구강 내 치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치아의 우식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구강 촬영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본 개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9)
- 구강 촬영 장치로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투과되는, 유리 커버를 갖는 윈도우,
상기 발광부의 상기 일 측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촬상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대상물에 조사된 후, 상기 대상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광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촬상부에서 수신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수신된 광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함 -, 및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신호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380 내지 420nm 파장대역의 청색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LED소자를 포함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USB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안테나를 통한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지원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파장대역별로 각기 다른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된 대역 필터를 포함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필터는, 붉은 색 광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가장 높은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된, 구강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촬영 장치는, 전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 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 경우, 전체로서 상기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윈도우가 상기 캡 하우징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져 있고, 상기 캡 하우징이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의 내측 면이 노출되며 상기 윈도우가 상기 내측 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강 촬영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구강 촬영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의 일면에 고무 스톱퍼가 구비된, 구강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970A KR20220094596A (ko) | 2020-12-29 | 2020-12-29 |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970A KR20220094596A (ko) | 2020-12-29 | 2020-12-29 |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596A true KR20220094596A (ko) | 2022-07-06 |
Family
ID=8240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5970A KR20220094596A (ko) | 2020-12-29 | 2020-12-29 |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4596A (ko) |
-
2020
- 2020-12-29 KR KR1020200185970A patent/KR202200945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11646B2 (en) | Oral endoscope | |
US20190133429A1 (en) | Spectral filter for an intra-oral imaging system | |
JP4521180B2 (ja) | 診断用撮影器 | |
US20050003323A1 (en) |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 |
JP2004237081A (ja) | 診断用撮影器 | |
WO2018155630A1 (ja) |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 |
JP2012125455A (ja) | 口腔内撮像装置 | |
CN205683069U (zh) | 一种利用深蓝光led检查牙齿的设备 | |
US20210321864A1 (en) | Dental imaging and/or curing system | |
JP2001218624A (ja) | 歯清掃具、歯ブラシ、画像モニタ装置 | |
JP2005304600A (ja) | 生体観察機器、口腔内撮影装置、医療用照射額帯装置及びデンタルミラー | |
US20210085168A1 (en) | Smart toothbrush utilizing fluorescence and intraoral camera | |
WO2018219157A1 (zh) | 一种口腔内窥器 | |
KR20220094596A (ko) | 스마트폰 연동형 구강 촬영 장치 | |
KR102523970B1 (ko) | 치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
CN218338549U (zh) | 一种口腔清洁器 | |
KR20190060458A (ko) |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66482B1 (ko) | 휴대형 영상 촬영 장치 및 시스템 | |
RU2766766C2 (ru) |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локализованного воспал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 |
TWI686165B (zh) | 一種口腔內窺器 | |
EP4420602A1 (en) | Dental plaque detection device | |
JP2020099502A (ja) | 口腔の観察を支援する撮像装置 | |
WO2024007100A1 (en) | Oral scanner system | |
WO2024007885A1 (en) | Oral scanner system | |
WO2024007106A1 (en) | Oral scann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