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50A - Rear structur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structur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50A
KR20220093750A KR1020200184791A KR20200184791A KR20220093750A KR 20220093750 A KR20220093750 A KR 20220093750A KR 1020200184791 A KR1020200184791 A KR 1020200184791A KR 20200184791 A KR20200184791 A KR 20200184791A KR 20220093750 A KR20220093750 A KR 20220093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 floor
cross member
spac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훈
박주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750A/en
Publication of KR2022009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rear structure of a vehicle with excellent performance with respect to a rear collision by having a structure which effectively disperses a rear road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tructure of a vehicle comprises: a lower cross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a lower side of a rear floor and extended toward a lateral side of the rear floor; a diagonal member where one proximal end is coupled to the cross member and the other distal ends respectively ext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to both sides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cross member; and an upper cross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overlapped with the cross member and the diagonal member while having the rear floor therebetween.

Description

차량의 후방 구조{REAR STRUCTURE FOR VEHICLE}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REA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로드패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후방 충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against a rear collision by including a structure for effectively distributing a rear road path.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HEV)에서는 엔진과 모터를 혼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킨다. 모터는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와 회생제동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을 구동시키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엔진에 의해 차량이 구동된다. 하이브리드 차량(HEV)은 주행 중 자체 발전과 회생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차량을 구동가능하게 하므로 연료 소비나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 차량으로 꼽히고 있다.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ngine and a motor are mixed to drive the vehicle. The motor drives the vehicle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and regenerative braking, etc., and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engine when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falls below a certain level. Hybrid vehicles (HEVs) are considered eco-friendly vehicles because they consume less fuel or emit pollutants because they continuously charge the battery through self-generation and regenerative braking while driving to drive the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의 일종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에는 기존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 대용량의 배터리가 탑재된다. 따라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에서는 외부 전기 공급원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으로 전기 모터를 구동하다가 충전된 전기가 모두 소모되면 엔진이 작동하는 방식이다.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which is a type of hybrid vehicle, is equipped with a large-capacity battery compared to a conventional hybrid vehicle. Accordingly, in a plug-in hybrid vehicle (PHEV), the vehicle's battery is charged through an external electricity source and the electric motor is driven with the charged power, and the engine operates when all the charged electricity is consumed.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연료탱크와 배터리 모두를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연료탱크 및 배터리는 차량 내 제한적인 공간에 설치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므로 적합한 보호구조 및 배치설계가 필요하다. 양 측면을 고려하여 배터리와 연료탱크는 주로, 필요한 보호구조와 함께, 차체의 리어 플로어에 장착되고 있다. As such, in the case of a hybrid vehicle, both a fuel tank and a battery are mounted on the vehicle. Fuel tanks and batteries need to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within the vehicle, as well as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so an appropriate protective structure and layout design are required. Considering both aspects, the battery and fuel tank are mainly mounted on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body along with the necessary protective structure.

일 예시를 살펴보면,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650A, 650B)는 리어 플로어(630)의 상면에 장착되고, 연료탱크(610)는 리어 플로어(630)의 저면에 장착된다. 차량 충돌 시 연료탱크(610)의 보호를 위해서 연료탱크(61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용량 확보를 위해서 배터리(650A, 650B)는 분리형으로 두 개의 배터리가 배치된다. Looking at an example,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batteries 650A and 650B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630 , and the fuel tank 61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floor 630 . In order to protect the fuel tank 610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fuel tank 6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batteries 650A and 650B are separated and two batteries are disposed to secure capacity.

차량의 후방 충돌 성능 평가를 위해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오프셋 충돌 시험이 사용되곤 한다. 본 예시에서, 후방 충돌이 발생하면 백빔이 변형되면서 파단이 발생된다. 리어 크로스멤버에 의해 추가적인 변형이 억제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좌측에서 오프셋 충돌이 발생하면, 사이드멤버 전단에 꺾임이 발생하고, 백빔 파단에 의한 충돌 분산이 미흡하여 우측 멤버는 충돌력 흡수를 적게 하는 반면, 좌측 멤버에서는 내측으로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An offset crash test laterally offse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a vehicle is often used to evaluate the rear impact performance of a vehicle. In this example, when a rear impact occurs, the back beam is deformed and fracture occurs. Although additional deformation is suppressed by the rear cross member, for example, if an offset collision occurs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vehicle, a bend occurs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member, and the collision distribution due to the breakage of the back beam is insufficient, so the right member reduces the impact force absorption, while inward rotation occurs in the left member.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4387호 (공개일자: 2020.08.07)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4387 (published date: 2020.08.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후방 충돌에 대하여 연료탱크와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protecting a fuel tank and a battery against a rear collis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hereinafter 'person of ordinary skill') it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 구조는 리어 플로어의 후측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크로스멤버; 일 단인 근접단부는 상기 크로스 멤버에 결합되고, 타 단인 원위단부는 상기 크로스멤버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서 양 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사선부재;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로스 멤버 및 사선부재와 포개어지는 상부 크로스멤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includes: a lower crossmember coupled to a rear bottom surface of a rear floor and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n oblique member having a proximal end of one end coupled to the cross member, and a distal end of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cross member to both si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n upper cross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overlapping the cross member and the diagonal member with the rear floor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충돌 시 충돌 에너지의 분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collision energy in a rear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충돌 시 배터리 및 연료탱크의 보호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excellent protection performance of a battery and a fuel tank in case of a rear collision.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는 예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예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서 리어 플로어를 제거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선부재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도시하고,
도 8b는 도 8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9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9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9의 좌측면도로서 일부 구성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충돌로드 분산방향을 도시한다.
1A shows a top side view of a rear floor of an exemplary hybrid vehicle;
1B shows a bottom view of an exemplary hybrid vehicle rear floor;
2 shows a top side view of a rear floor comprising a r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ing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after removing the rear floor in Figure 2;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5 shows a diagon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shows a top side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shows a bottom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shows a bottom view of the rear floor of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B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shows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a;
9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rear floor of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top side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bottom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1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9;
1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9;
Figure 14 is a left side view of Figure 9, some of the configuration is shown transparently,
15 is a view illustrating a collision load distribution direction of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elem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with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the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특히, PHEV 차량에서 후방 충돌에 대한 차체 성능이 우수한 차량의 후방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excellent vehicle body performance against rear-end collisions in a hybrid vehicle, in particular, a PHEV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갖는 차량에서는 하나의 단일한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한다. 단일 고전압 배터리는 증가된 용량으로 인해 그 크기 역시 증대된다. 크기가 커진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한 후방 구조를 통해 리어 플로어에서 연료탱크가 배터리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ehicle having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single high voltage battery. A single high voltage battery also increases in size due to the increased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 may be disposed behind the battery on the rear floor through the rear structure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against a collision so that the increased battery can be efficiently disposed.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연료탱크 변형률은 대략 40%까지 허용되는 반면, PHEV 차량의 경우 그 조건이 엄격하여 대략 15% 정도 밖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a 내지 1b에 예시된 차량에서는 연료탱크(610)를 차량의 후미로부터 비교적 전방 측에 배치함으로써, 두 개의 배터리(650A, 650B)를 분리하여 장착한다. 분리형 배터리의 특성상 배터리의 냉각은 공냉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공냉식의 경우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배터리에 비해 성능이 저하된다. The fuel tank strain rate of a gener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s allowed up to about 40%, whereas in the case of a PHEV vehicle, the condition is strict and only about 15% is allowed. Accordingly, in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S. 1A to 1B , the two batteries 650A and 650B are separated and mounted by disposing the fuel tank 610 on the relatively front sid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Due to the nature of the detachable battery, the battery is cooled by air cooling.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연료탱크를 차량의 후미에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단일한 고전압 배터리를 채용하여 배터리를 수냉식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dispersing collision energy applied to the rear floor, so that the fuel tank can be disposed clos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lso, by employing a single high-voltage battery to cool the battery with water cooling. It can improve battery performan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서 리어 플로어를 제거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X 방향은 차량의 측방향이고, Y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나타낸다. 2 shows a top side view of the rear floor including the r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after removing the rear floor in FIG. , 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The X direction i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Y direction represen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1)는 리어 플로어(10)에 마련되고, 하부 크로스멤버(20), 사이드 익스텐션(30), 결합요소(40) 및 사선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크로스멤버(20), 사이드 익스텐션(30), 결합요소(40) 및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된다. 2 to 4, the rear structure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ear floor 10, the lower cross member 20, the side extension 30, the coupling element 40 and It may include a diagonal member 50 . In particular, the lower cross member 20 , the side extension 30 , the coupling element 40 , and the diagonal member 50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하부 크로스멤버(2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차량의 측방향(X)을 따라 연장한다. The lower crossmember 2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and extend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하부 크로스멤버(2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리어 플로어(10)와의 사이에서 빈 공간인 제1 공간(S1)을 형성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공간(S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다. The lower cross member 2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to form a first space S1 that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cross member 20 and the rear floor 10 .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space S1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크로스멤버(2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되는 엔드 플랜지부(22)를 포함한다. 엔드 플랜지부(22)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길이방향 양 측으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어(10)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마련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ross member 20 includes end flange portions 22 formed by b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respectively. The end flange portion 22 is formed by b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and is provided to have a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rear floor 10 so as to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사이드 익스텐션(30)은 하부 크로스멤버(20)의 양 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 저면에 결합된다. 사이드 익스텐션(30)은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면을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Y)으로 일정 거리 연장한다. The side extensions 3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10 . The side extension 30 extends along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vehicle.

사이드 익스텐션(30)은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플로어(1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인 제2 공간(S2)을 형성한다. The side extension 3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to form a second space S2 that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side extension 30 and the rear floor 10 .

한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사이드 익스텐션(30)은 사이드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사이드 플랜지부(32)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양 측으로부터 벤딩 형성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extension 30 includes a side flange portion (32). The side flange part 32 is bent from both sides of the side extension 30 and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은 결합요소(40)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요소(4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결합요소(4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단부에 추가적인 보강력을 제공하고, 사이드 익스텐션(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ross member 20 and the side extension 30 are connected by a coupling element 40 . The coupling element 4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respectively. The coupling element 40 may provide an additional reinforcing force to the end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and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side extension 30 .

결합요소(40)의 단면 형상은 하부 크로스멤버(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결합요소(4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내측에 안착된다. 결합요소(40)의 일 측 단부에는 결합요소(40)의 둘레로부터 벤딩 형성되는 플랜지요소(42)가 마련된다. 플랜지요소(42)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결합요소(4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 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용이하게 한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element 40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and the coupling element 40 is seated inside the lower cross member 20 . A flange element 42 formed by bending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element 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element 40 . The flange element 42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extension 30 , and the engaging element 40 facilitates and strengthens the coupling between the lower crossmember 20 and the side extension 30 .

한 쌍의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하부 크로스멤버(20)와 사이드 익스텐션(30) 사이를 연장한다. 사선부재(50)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되고,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Y) 또는 측방향(X)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실질적으로 사선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사선부재(50)는 차량의 길이방향(Y)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각 사선부재(50)의 일 측은 하부 크로스멤버(20)에 결합되고, 각 사선부재(50)의 타 측은 리어 플로어(10)의 측면까지 연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사선부재(50)의 타 측은 사이드 익스텐션(30)에 결합된다. A pair of diagonal member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10 , respectively, and extend between the lower cross member 20 and the side extension 30 . The oblique member 5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and is disposed obliquely and substantially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r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The pair of oblique members 50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vehicle. One side of each diagonal member 50 is coupled to the lower cross member 20 , and the other side of each diagonal member 50 extends to the side of the rear floor 10 , and more specifically, each diagonal member 50 . The other side of the is coupled to the side extension (30).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사선부재(50)는 제1 부재(150) 및 제2 부재(25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50) 및 제2 부재(250)는 결합에 의해 서로의 사이에 일 측이 개방된 제3 공간(S3)을 형성한다. 개방된 제3 공간(S3)은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폐공간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onal member 50 includes a first member 150 and a second member 250 . The first member 150 and the second member 250 form a third space S3 of which one side is opened between each other by coupling. The open third space S3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to form a closed space.

제1 부재(150)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취한다. 제1 부재(150)는 제1 부분(152) 및 제2 부분(15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52)은 리어 플로어(1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부분(154)은 제1 부분(15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벤딩된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member 150 generally takes an 'L' shape. The first member 150 includes a first portion 152 and a second portion 154 . The first portion 152 is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or horizontally with the rear floor 10 , and the second portion 154 is b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from the first portion 152 .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하부 크로스멤버(2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선방향으로부터 방향으로 전환하여 차량의 길이방향(Y)과 나란하게 연장한다. 제1 부분(152)의 근접단부(152a)는, 따라서, 제1 부분(152)의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확장되어 하부 크로스멤버(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근접과 원위란 하부 크로스멤버(20)에 보다 가까운 측을 근접으로, 하부 크로스멤버(20)에서 멀어지는 측을 원위로 지칭하였다. The proximal end 152a of the first portion 15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rossmember 20 . The proximal end 152a of the first portion 152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vehicle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oblique direction to facilitate engagement with the lower crossmember 20 . The proximal end 152a of the first portion 152, therefore, has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152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lower crossmember 20. Here, proximal and distal refer to a side closer to the lower crossmember 20 as proximal, and a side farther from the lower crossmember 20 to distal.

제1 부분(152)의 원위단부(152b)는 제1 부분(152)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또는 지면을 향해 벤딩 형성된다. 원위단부(152b)는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파일을 포함함으로써 사이드 익스텐션(30)과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The distal end 152b of the first portion 152 is bent dow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152 or toward the ground. The distal end portion 152b includes a profil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extension 30 to facilitate engagement with the side extension 30 .

제2 부분(154)은 제1 부분(15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리어 플로어(10)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1154)를 포함한다. 결합플랜지(1154)는 제2 부분(154)으로부터 벤딩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부착된다. The second portion 154 extends substantially vertically from the first portion 152 and includes a coupling flange 1154 coupled to the rear floor 10 . The coupling flange 1154 is bent from the second part 154 and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제2 부재(250)는 제1 부재(15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2 부재(250)는 접합부(252), 수직부(254) 및 연결플랜지(256)를 포함한다. The second member 250 is coupled to the first member 15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mber 250 includes a joint portion 252 , a vertical portion 254 , and a connecting flange 256 .

접합부(252)는 제1 부재(150)의 제1 부분(152)과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접합부(252)의 하면은 제1 부분(152)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접합부(252)의 상면은 제1 부분(152)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The bonding portion 252 is directly bonded to the first portion 152 of the first member 15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252 may b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52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252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52 .

수직부(254)는 접합부(252)로부터 벤딩되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의 결합에 의해 수직부(254)와 제2 부분(154)은 마주보게 된다.The vertical portion 254 is bent from the abutment 252 and extend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vertical portion 254 and the second portion 154 face each other due to the coupling of the first member 150 and the second member 250 .

연결플랜지(256)는 수직부(254)의 둘레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된다. 연결플랜지(256)는 한 쌍의 측면 연결플랜지(1256a, 1256b) 및 상부 연결플랜지(225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54)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 연결플랜지(1256a, 1256b)는 수직부(254)로부터 비스듬하게 벤딩되고, 각각 하부 크로스멤버(20)의 외측면과 사이드 익스텐션(30)의 외측면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한다. 수직부(254)의 상 측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플랜지(2256)는 수직부(254)로부터 벤딩되어 리어 플로어(10)에 부착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부 연결플랜지(2256)는 결합플랜지(1154)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flange 256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portion 254 . The connecting flange 256 may include a pair of side connecting flanges 1256a and 1256b and an upper connecting flange 2256 . The side connecting flanges 1256a and 1256b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254 are bent obliquely from the vertical portion 254 ,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and the outside of the side extension 30 .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 The upper connecting flange 2256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art 254 is bent from the vertical part 254 and attached to the rear floor 10 .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upper connecting flange 2256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upling flange 1154 .

위에서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를 별개의 서로 다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부재(150)와 제2 부재(25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rst member 150 and the second member 250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first member 150 and the second member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구조의 리어 플로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Fig. 6A shows a top side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shows a bottom view of the rear floor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체는 로드패스(load path)의 연결을 통해서 차량의 후방 충돌 성능을 확보한다. 충돌에 대비한 부재를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하지만 하중이 일 측으로 집중되는 경우 상기 부재는 그 기능을 다 하지 못할 수 있다. 로드패스 중에서 하중이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면 하중이 일부분에 집중되어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하지 못하며 국부적인 변형이 커지게 된다. The vehicle body secures the rear collision performan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load path. Although a collision-prepar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f the load is concentrated to one side, the member may not perform its function. If the load is transmitted in only one direction during the road pass, the load is concentrated in a part, and the collision energy cannot be properly absorbed and the local deformation becomes large.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 백빔의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 특히, 하부 크로스멤버(20)를 지지하는 사선부재(50)를 포함함으로써 백빔의 파단을 방지하고 하부 크로스멤버(20)의 밀림을 방지하며, 효과적으로 충돌력이 양 측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 후에도 각 멤버들의 거동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serving to distribute the force of the bumper back beam, in particular, by including the diagonal member 50 supporting the lower cross member 20, prevents the back beam from breaking and prevents the lower cross member 20 from being pushed. Prevents and effectively distributes the impact force to both sid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havior of each member can be kept constant even after a collision.

도 6b에서 B는 배터리(200)의 보호구간을, F는 연료탱크(100)의 보호구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방향(X) 좌측으로 오프셋(L1, 70% 오프셋)되어 이동식 변형 가능한 배리어(Moving Deformable Barrier, MDB)가 충돌하는 경우, 연료탱크 보호구간(F)과 사선멤버(50)의 끝단 라인(L2)이 일치한다. 이는 연료탱크를 보호가능한 최대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최대화된 좌굴 유도 구간(L3)이 차량의 양 측에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In FIG. 6B , B denotes a protection section of the battery 200 , and F denotes a protection section of the fuel tank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vable deformable barrier (MDB) collides with an offset (L1, 70% offset) to the left in the lateral direction (X), the fuel tank protection section (F) and the oblique member (50) The end line (L2) of This corresponds to the maximum position where the fuel tank can be protected. In addition, the maximized buckling induction section L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to stably absorb the shock.

즉, 본 발명은 후방 충돌, 특히, 오프셋 충돌 시 충돌력 분산이 우수하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dispersing the collision force in the case of a rear collision, in particular, an offset collision.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는 보강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60)의 근접단부(60a)는 하부 크로스멤버(20) 내지는 사선부재(50)에 결합되고, 보강부재(60)의 원위단부(60b)는 리어 플로어(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7A and 7B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 The proximal end 60a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lower cross member 20 or the diagonal member 50, and the distal end 60b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can

도 8a 및 8b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보강부재(60)는 내부에 빈 공간인 제4 공간(S4)을 포함한다. 8A and 8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ember 60 includes a fourth space S4 that is an empty space therein.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의 허용 변형량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의 경우 매우 작기 때문에 연료탱크(100)의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60)가 연료탱크(100)를 지지하도록 하고, 특히, 보강부재(60)가 내부에 제4 공간(S4)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 보다 효과적으로 연료탱크(10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llowable deformation amount of the fuel tank is very small in the case of the plug-in hybrid vehicle (PHEV), additional protection of the fuel tank 100 is requir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einforcing members 60 support the fuel tank 100 , and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configured to have a fourth space S4 therein, so that the fuel tank more effectivel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100) can be prevented.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 구조(1)는 상부 크로스멤버(70)를 더 포함한다. 9 to 11 ,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tructure 1 of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n upper crossmember 70 .

상부 크로스멤버(70)는 후방 충돌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크로스멤버(70)는 리어 플로어(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차량의 측방향(X)을 따라 연장한다. 상부 크로스멤버(70)는 연료탱크 배치부(12)를 감싸면서 차량의 양 측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연료탱크 배치부(12)는 리어 플로어(1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융기하여 형성된다. 연료탱크 배치부(12)는 내측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연료탱크(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crossmember 70 may provide additional support in response to a rear impact. The upper crossmember 7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and extends substantial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The upper cross member 70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vehicle while enclosing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floor 10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is formed to be concave upwardly on the inside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uel tank 100 .

상부 크로스멤버(70)의 양 단부는 휠 하우스 패널(300)에 결합될 수 있다. 휠 하우스 패널(300)은 리어 플로어(10)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고, 휠 하우스 패널(300)의 상방으로 휠 하우스 패널(300)을 둘러싸는 쿼터부(400)가 마련된다. Both ends of the upper cross member 70 may be coupled to the wheel house panel 300 . The wheel house panel 30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10 , and a quarter part 400 surrounding the wheel house panel 300 is provided above the wheel house panel 300 .

상부 크로스멤버(70)는 리어 플로어(10)를 사이에 두고 하부 크로스멤버(20), 사선부재(50) 및 사이드 익스텐션(30)과 중첩되도록 리어 플로어(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즉, 상부 크로스멤버(70)는 제1 공간(S1), 제2 공간(S2) 및 제3 공간(S3)과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하중 지지에 보다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The upper cross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so as to overlap the lower cross member 20 , the diagonal member 50 and the side extension 30 with the rear floor 1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upper cross member 70 has a more advantageous structure for supporting a load while forming a closed cross-section with the first space S1 , the second space S2 , and the third space S3 .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크로스멤버(70)는 지지부(170), 상부 사선부(270) 및 윙부(37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ross member 70 includes a support portion 170 , an upper oblique portion 270 and a wing portion 370 .

지지부(170)는 차량의 측방향(X)으로 연장하며, 실질적으로 차량의 측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지지부(170)는, 또한, 연료탱크 배치부(12)를 감싸도록 리어 플로어(10)에 결합된다. 지지부(170)는 하부 크로스멤버(20)의 일부와 포개어지도록 리어 플로어(10)의 상면에서 연장한다. The support 170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and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The support unit 170 is also coupled to the rear floor 10 so as to surround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 The support unit 170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so as to overlap a portion of the lower cross member 20 .

상부 사선부(270)는 지지부(170)의 양 측으로부터 차량의 측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사선부(270)는 지지부(17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차량의 측방향 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한다. 각 상부 사선부(270)는 리어 플로어(10) 하부의 각 사선부재(50)와 포개어지도록 리어 플로어(10)의 상면에서 연장한다. The upper oblique portions 270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unit 170 toward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oblique portions 270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unit 170 to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extend obliquely toward Each upper slanted portion 270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so as to overlap each slanted member 50 under the rear floor 10 .

윙부(370)는 상부 사선부(270)로부터 일정 각도로 벤딩 형성된다. 윙부(370)는 리어 플로어(10) 내지는 상부 크로스멤버(70)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되어 휠 하우스 패널(300)에 결합된다. The wing portion 37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oblique portion 270 . The wing part 370 is ben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ear floor 10 or the upper cross member 70 to be coupled to the wheel house panel 300 .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상부 크로스멤버(70)는 리어 플로어(10) 또는 휠 하우스 패널(300)과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부(170)와 리어 플로어(10) 사이 및 상부 사선부(270)와 리어 플로어(10) 사이에는 제5 공간(S5)이 대략 차량의 측방향(X)을 따라 연장하고, 윙부(370)와 휠 하우스 패널(300) 사이에는 제6 공간(S6)이 마련된다. 12 to 14 , the upper cross member 70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by coupling with the rear floor 10 or the wheel house panel 300 .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70 and the rear floor 10 and between the upper diagonal portion 270 and the rear floor 10, a fifth space S5 extends approximate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vehicle, and the wing portion 370 . A sixth space S6 is provided between and the wheel house panel 300 .

또한, 상부 크로스멤버(70)는 상부 크로스멤버(70)의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전방플랜지(72) 및 후방플랜지(74)를 포함한다. 전방플랜지(72)와 후방플랜지(72)는 리어 플로어(10)와의 결합을 보다 강하게 용이하게 한다. 상부 크로스멤버(70)가 리어 플로어(10)에 결합되었을 때, 전방플랜지(72) 및 후방플랜지(74)는, 각각, 차량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하고, 상부 크로스멤버(70)와 리어 플로어(10) 또는 상부 크로스멤버(70)와 휠 하우스 패널(300) 사이에 제5 공간(S5) 및 제6 공간(S6)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cross member 70 includes a front flange 72 and a rear flange 74 extending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 member 70 . The front flange 72 and the rear flange 72 facilitate stronger coupling with the rear floor 10 . When the upper cross member 70 is coupled to the rear floor 10, the front flange 72 and the rear flange 74 exten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the upper cross member 70 and the rear floor (10) Alternatively, a fifth space S5 and a sixth space S6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cross member 70 and the wheel house panel 300 .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전방플랜지(72)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돌출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70)로부터 연장하는 전방플랜지(72)는, 연료탱크 배치부(12)가 상향 각도를 가지는바, 연료탱크 배치부(12)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플랜지(72)가 경사를 갖는 경우 충돌에 의한 변형 시 연료탱크(100)와 면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변형과 파손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lange 72 may protrude obliquely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front flange 72 extending from the support unit 170 may extend obliquely to have the same angle as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since the fuel tank arrangement unit 12 has an upward angle. In this way, when the front flange 72 has an inclination, i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uel tank 100 when it is deformed due to a collision, thereby reducing deformation and damage.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후방플랜지(74)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접합되는 리어 플로어(10)의 표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어(10)와 나란하게 연장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lange 74 protrud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rear floor 1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surface of the rear floor 10 to be joined. do.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플랜지(72) 및 후방플랜지(74)에 의해 리어 플로어(10)에 오버랩되는 부분이 증가하는 바 추가적인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reinforcing force can be provided as the portion overlapped with the rear floor 10 by the front flange 72 and the rear flange 74 is increas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로 전달된 후방 충돌력은 측방향(X) 양 측으로 분산되면서 양 측의 상부 사선부(270)를 따라 퍼진다. 상부 사선부(270)를 따라 분산된 충돌력은 리어 플로어(10)와 윙부(370)로 퍼져나간다. 윙부(370)에서는 휠 하우스 패널(300)로부터 쿼터부(400)로 힘이 분산되면서 하중이 퍼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15 , the rear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support unit 170 spreads along the upper oblique portions 270 on both sides while being distributed to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X). The impact force distributed along the upper oblique portion 270 spreads to the rear floor 10 and the wing portion 370 . In the wing part 370 , the load is spread while the force is distributed from the wheel house panel 300 to the quarter part 400 .

또한, 리어 플로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크로스멤버(20), 사선부재(60) 등과 상부 크로스멤버(70)가 폐단면 구조를 이루는바, 충돌 시 효과적으로 후방 밀림을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cross member 20 , the diagonal member 60 , and the like, and the upper cross member 70 provided under the rear floor 10 form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rearward sliding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차량의 후방 구조 10: 리어 플로어
12: 연료탱크 배치부 20: 하부 크로스멤버
22: 엔드 플랜지부 30: 사이드 익스텐션
32: 사이드 플랜지부 40: 결합요소
42: 플랜지요소 50: 사선부재
60: 보강부재 70: 상부 크로스멤버
72: 전방플랜지 74: 후방플랜지
100: 연료탱크 150: 제1 부재
152: 제1 부분 154: 제2 부분
170: 지지부 200: 배터리
250: 제2 부재 252: 접합부
254: 수직부 256: 연결플랜지
270: 상부 사선부 300: 휠 하우스 패널
370: 윙부 400: 쿼터부
1154: 결합플랜지 1256a, 1256b: 측면 연결플랜지
2256: 상부 연결플랜지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S3: 제3 공간
S4: 제4 공간 S5: 제5 공간
S6: 제6 공간 X: 측방향
Y: 길이방향
1: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10: rear floor
12: fuel tank arrangement unit 20: lower cross member
22: end flange portion 30: side extension
32: side flange portion 40: coupling element
42: flange element 50: oblique member
60: reinforcing member 70: upper cross member
72: front flange 74: rear flange
100: fuel tank 150: first member
152: first part 154: second part
170: support 200: battery
250: second member 252: joint portion
254: vertical portion 256: connecting flange
270: upper oblique part 300: wheel house panel
370: wing 400: quarter
1154: coupling flange 1256a, 1256b: side connection flange
2256: upper connection flange S1: first space
S2: second space S3: third space
S4: fourth space S5: fifth space
S6: sixth space X: lateral
Y: longitudinal direction

Claims (12)

리어 플로어의 후측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크로스멤버;
일 단인 근접단부는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에 결합되고, 타 단인 원위단부는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서 양 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사선부재; 및
상기 리어 플로어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 및 사선부재와 포개어지는 상부 크로스멤버;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a lower cross member coupled to a rear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floor;
an oblique member having a proximal end that i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cross member, and a distal end of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lower cross member to both si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n upper cross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overlapping the lower cross member and the diagonal member with the rear floor interposed therebetween;
A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 및 상기 사선부재는, 각각, 상기 리어 플로어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인 제1 공간 및 제3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크로스멤버는 상기 리어 플로어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인 제5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및 제3 공간과, 상기 제5 공간은 서로 포개어지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cross member and the diagonal member, each comprising a first space and a third space, which are empty spaces inside by coupling with the rear floor,
The upper cross member includes a fifth space that is an empty space therein by coupling with the rear floor,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wherein the first space, the third space, and the fifth space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크로스멤버는,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는 휠 하우스 패널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rossmember is configured to extend to a wheel house panel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 저면 및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인 제2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익스텐션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air of side extension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both ends of the lower cross member to form a second space that is an empty space therein by coupling with the rear floor.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which is to inclu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익스텐션 또는 제2 공간의 일부는 상기 제5 공간과 중첩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rear structure of claim 4 , wherein a part of the side extension or the second space overlaps the fifth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는 양 측으로부터 각각 벤딩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접합되는 엔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선부재는 양 측으로부터 각각 벤딩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저면에 접합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cross member comprises an end flange portion formed by bending from both sides, respectively,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wherein the diagonal member includes a coupling flange that is respectively bent from both sides and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lo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크로스멤버는,
일 측으로부터 벤딩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는 전방플랜지; 및
타 측으로부터 벤딩되어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는 후방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cross member,
a front flange bent from one side to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and
a rear flange bent from the other side to exten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nd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A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compris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랜지 및 후방플랜지는 상기 엔드 플랜지부 및 결합플랜지와 포개어지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rear structure of claim 7 , wherein the front flange and the rear flange overlap the end flange portion and the coupling fl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크로스멤버는,
상기 하부 크로스멤버와 중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하고 상기 사선부재와 중첩되는 한 쌍의 상부 사선부;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ross member,
a support portion overlapping the lower cross member; and
a pair of upper diagonal part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and overlapping the diagonal members;
A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compris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크로스멤버는,
각 상부 사선부로부터 벤딩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의 양 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휠 하우스 패널에 접합되는 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upper cross member,
a w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from each upper oblique portion and joined to a wheel house panel substantially vertic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상기 휠 하우스 패널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휠 하우스 패널과의 사이에 제6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rear structure of claim 10 , wherein the wing portion forms a sixth space between the wheel house panel and the wheel house panel by coupling with the wheel house pane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벤딩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의 상면에 접합되고,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하는 전방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플랜지는 상기 리어 플로어의 표면 프로파일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차량의 후방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loor, comprising a front flang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flange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profile as a surface profile of the rear floor.
KR1020200184791A 2020-12-28 2020-12-28 Rear structure for vehicle KR202200937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91A KR20220093750A (en) 2020-12-28 2020-12-28 Rear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91A KR20220093750A (en) 2020-12-28 2020-12-28 Rear structur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50A true KR20220093750A (en) 2022-07-05

Family

ID=8240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91A KR20220093750A (en) 2020-12-28 2020-12-28 Rear structur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7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3683A (en) * 2023-01-31 2023-04-07 重庆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Automobile rear bottom guard plate capable of reducing wind resistance coefficient and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7A (en)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protection structur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7A (en)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protection structure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23683A (en) * 2023-01-31 2023-04-07 重庆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Automobile rear bottom guard plate capable of reducing wind resistance coefficient and vehicle
CN115923683B (en) * 2023-01-31 2024-05-10 重庆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Automobile rear bottom guard board capable of reducing wind resistance coefficient and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US997541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onboard battery for vehicle
US8540282B2 (en) Protecting structure for power source apparatus
US1080764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11840278B2 (en) Vehicle impact energy absorption system
US20160233467A1 (en)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CN115122891A (en) Lower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JP6769903B2 (en) In-vehicle battery
KR20220093750A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KR20190021800A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KR20220093749A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CN113246706A (en) Attachment device for providing traction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i.e. an electric energy source for driving the vehicle
CN217623792U (en) Connecting piece and vehicle body floor assembly
KR20230081182A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US20210320366A1 (en) Battery pack
CN114802485A (en) Vehicle body floor assembly and vehicle
US20230088647A1 (en) Rear structure for a vehicle
US11541943B2 (en) Electric vehicle having low-voltage component in rear portion of vehicle body
CN114644055A (en) Cowl structure for vehicle
KR20210071116A (en) Vehicle body having high voltage battery
CN221041380U (en) Box side beam, battery pack and vehicle
CN220842678U (en) Sub-frame of vehicle, body assembly of vehicle and vehicle
US20230083528A1 (en) Lower bumper reinforcement and vehicle
WO2023228655A1 (en) Supporting device for driving battery
US20220069403A1 (en) Battery casing containing high-voltag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