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107A - 이중 활성화 방지 - Google Patents

이중 활성화 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107A
KR20220093107A KR1020227012590A KR20227012590A KR20220093107A KR 20220093107 A KR20220093107 A KR 20220093107A KR 1020227012590 A KR1020227012590 A KR 1020227012590A KR 20227012590 A KR20227012590 A KR 20227012590A KR 20220093107 A KR20220093107 A KR 20220093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riven member
guide
holder
inhal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블래틀러
오누르 데이이오글루
도미니크 폴 가브리엘 스토
벤자민 크룩
피터 루저
그레구아르 메일란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9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20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3Mouthpieces therefor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fixed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 관통 요소, 및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가이드, 슬리브에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한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Description

이중 활성화 방지
본 발명은 흡입기 물품의 활성화를 여러 번 방지하는 것을 돕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특정 흡입기 물품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캡슐을 유지한다. 이들 캡슐은 캡슐 벽을 관통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캡슐이 관통(또는 "활성화")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캡슐을 여러 번 활성화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캡슐을 여러 번 활성화시키는 것은 관통된 구멍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구멍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분말 전달을 변경시켜 전력 전달을 증가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단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캡슐을 우연히 관통하거나 흡입기 물품이 사용을 위해 슬리브 내에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을 여러 번 활성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홀더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 분말 캡슐의 다수의 활성화를 방지하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입기 시스템은 캡슐이 활성화되었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편리한 흡입기 물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 관통 요소, 및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가 제공된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가이드,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한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 관통 요소, 및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가 제공된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가이드,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한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흡입기 물품용 홀더에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은 흡입기 물품이 사용을 위해 슬리브 내에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의 활성화를 여러 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하는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은 디자인이 간단하고 이동 부품이 거의 없고 전자기기가 없는 록아웃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로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될 수 있어 흡입기 물품은 종동 부재를 중립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와 접촉한다. 종동 부재는 중립 위치 내의 슬리브 공동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접촉하여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 또는 유지 섹션과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도록 중립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고, 따라서 슬리브의 이동을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슬리브 공동 내에 중립 위치를 갖는 종동 부재는 홀더가 흡입기 물품과 함께 사용되지 않을 때 록아웃 메커니즘이 체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슬리브 내에 흡입기 물품이 없을 때 슬리브가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서로 접촉하게 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초기 측방향 배향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체결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된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록아웃 메커니즘이 체결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된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흡입기 물품이 관통을 위한 적절한 위치로 이동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측방향 위치에 편향된 종동 부재는 제2 위치에 도달한 후 종동 부재가 제1 경로 아래로 복귀하는 것을 가이드가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가이드에 의해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가 유지 섹션에 도달할 때 슬리브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 내에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접경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종동 부재가 유지 섹션에 도달할 때 슬리브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 내에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된 유지 섹션은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의 추가 관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측방향 위치에 편향된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사용을 위해 슬리브 내에 삽입될 때 캡슐을 우발적으로 관통하거나 흡입기 물품을 여러 번 활성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면서, 기존 디자인의 형태 및 기능을 유지하는 유지 섹션으로 가이드를 따라 종동 부재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와 결합된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구별되고 슬리브에 부착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슬리브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종동 부재는 캡슐 또는 흡입기 물품의 우발적인 관통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의 이동 부분을 간단한 메커니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장형 부재인 종동 부재는 슬리브의 임의의 복잡한 추가 특징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종동 부재의 측방향 편향 및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가이드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는 홀더의 외부 외관을 변경하지 않고 그의 현재 형태 및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캡슐 또는 흡입기 물품의 우발적인 관통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레버일 수 있다. 제1 단부는 슬리브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단부는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뾰족한 난형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주요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주요 길이방향 축은 약 30도 내지 약 75도 범위의 슬리브의 축방향 축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가이드와 협력하여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다는 가청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중립 위치에서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레버인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회전하거나 그의 현재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종동 부재의 측방향 편향 및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팁 체결 특징부는 슬리브의 회전 없이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뾰족한 난형 형상을 갖는 팁 체결 특징부는 가이드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종동 부재가 가이드에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다는 가청 표시를 생성하는 팁 체결 특징부 및 가이드는 캡슐이 관통되었거나 흡입기 물품이 활성화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흡입기 시스템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흡입기 물품용 홀더 및 흡입기 물품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흡입기 물품의 캡슐 공동 내에 배치된 캡슐을 더 포함한다. 캡슐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약학적 활성 입자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흡입기 물품은 현재 디자인의 형태 및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우발적인 또는 추가적인 활성화를 방지하면서 수용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약학적 활성 입자는 약 5 μm 이하, 또는 약 0.5 μm 내지 약 4 μm 범위, 또는 약 1 μm 내지 약 3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약 20 μm 이상, 또는 약 50 μm 이상, 또는 약 50 내지 약 200 μm, 또는 약 50 내지 약 150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갖는 향미 입자의 제2 집단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용어 "니코틴"은 프리 베이스(free-base) 니코틴, 니코틴 염 등과 같은 니코틴 및 니코틴 유도체를 지칭한다.
용어 "향미제" 또는 "향미"는 니코틴이 소비되거나 흡입되는 동안 니코틴의 맛이나 향 특성을 변형시키고 변형시키도록 의도된 감각 자극성(organoleptic) 화합물, 조성물, 또는 재료를 지칭한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홀더, 흡입기 물품 및 흡입기 시스템의 몸체를 통해 흡인될 때 흡입 기류의 방향과 관련하여 설명된 홀더, 흡입기 물품 및 흡입기 시스템의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용어 "근위", "원위"는 홀더, 흡입기 물품, 또는 시스템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를 형성하는 홀더 또는 요소(예를 들어, 슬리브)는 사용 시,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는 근위 단부 및 폐쇄 단부일 수 있는 대향 원위 단부를 갖거나, 홀더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까운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 물품은 근위 단부를 갖는다. 사용 시, 니코틴 입자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흡입기 물품의 근위 단부를 빠져나간다. 흡입기 물품은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흡입기 물품의 근위 단부는 마우스 단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흡입기 물품용 홀더는 캡슐을 관통하고, 흡입기 물품 내에서 (홀더의 관통 요소로 캡슐을 천공함으로써) 캡슐의 신뢰성 있는 활성화를 제공하고, 캡슐 내부에 함유된 입자를 방출하고, 물품이 입자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흡입기 물품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캡슐을 포함하는 흡입기 물품과 조합될 수 있다. 홀더는 흡입기 물품과 별개이지만, 소비자는 흡입기 물품 내에서 방출된 입자를 소모하면서 흡입기 물품 및 홀더 둘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이러한 흡입기 물품은 홀더와 조합되어 시스템 또는 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단일 홀더는 각각의 흡입기 물품 내에 함유된 캡슐을 활성화(천공 또는 관통)하고, 흡입기 물품의 활성화의 각각의 흡입기 물품을 위해, 신뢰서 있는 활성화 및 선택적으로 시각적 표시(마킹)를 제공하기 위해 10개 이상, 25개 이상, 또는 50개 이상, 또는 100개 이상의 흡입기 물품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흡입기 시스템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흡입기 물품 및 흡입기 물품용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의 슬리브는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유지한다. 캡슐은 흡입기 물품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은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흡입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공동은 필터 요소에 의해 하류로 접경되고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관형 요소에 의해 상류로 접경되는 몸체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중앙 통로는 몸체의 원위 단부로부터 캡슐 공동을 향해 연장되는 공기 유입구 애퍼처를 형성할 수 있다. 캡슐은 캡슐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 통로는 캡슐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캡슐은 중앙 통로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고 캡슐 공동 내에 유지된다.
흡입기 물품용 홀더는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 관통 요소, 및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가이드, 슬리브에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한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에 부착되거나, 슬리브와 결합되거나,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중립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중립 위치에서, 종동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향해 슬리브 공동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된 후, 종동 부재는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로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될 수 있어, 흡입기 물품은 종동 부재를 중립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와 접촉한다. 종동 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종동 부재는 홀더의 가이드 또는 내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슬리브 공동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로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은 종동 부재를 중립 위치 및 슬리브 공동 밖으로 밀어 가이드와 접촉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접촉하여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 또는 유지 섹션과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도록 중립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고, 따라서 슬리브의 이동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슬리브가 제1 위치에 유지되도록 종동 부재가 유지 섹션으로 이동되었다면, 흡입기 물품을 제거하고 종동 부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은 유지 섹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슬리브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서로 접촉하게 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내에 삽입되고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접촉하게 될 때, 클릭, 팝, 스냅, 또는 다른 짧은 날카로운 소리와 같은 가청음을 방출할 수 있다. 가청음은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적절하게 안착되거나 접촉하여 배치되었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제1 측방향으로 약 0.5 mm 내지 약 2 mm 범위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제1 측방향으로 약 1.2 mm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초기 측방향 배향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종동 부재가 제1 경로 위로 복귀할 수 없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접촉하는 동안 슬리브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클릭, 팝, 스냅, 또는 다른 짧은 날카로운 소리와 같은 가청음을 방출할 수 있다. 가청음은 슬리브가 제2 위치에 도달하였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가이드에 의해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제2 측방향으로 약 1 mm 내지 약 3 mm 범위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제2 측방향으로 약 1.8 mm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한다.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되는 종동 부재는 가이드에 의해 제2 측방향으로 또는 제2 경로를 따라 이동될 위치에 종동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 아세탈(폴리액탈 또는 폴리옥시메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편향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동 부재는 아세탈(폴리액탈 또는 폴리옥시메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동 부재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방향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내에 수용될 때 종동 부재가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약 1.0 mm 내지 약 2.0 mm 범위로 구부러지고 가이드와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동 부재는 약 1.5 mm 외측으로 이동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종동 부재는 가이드를 따른 종동 부재의 이동, 특히 약 0.5 mm 내지 약 2.0 mm 범위의 측방향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유지 섹션 내로 이동될 때 제1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제2 측방향으로의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가 유지 섹션에 도달할 때 슬리브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 내에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접경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경 표면은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와 결합된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구별되고 슬리브에 부착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세장형 부재는 가이드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하우징 공동 내의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종동 부재를 편향시키고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안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돌출부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종동 부재를 편향시키고 제2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유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돌출부는 하우징 공동 내의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유지 돌출부는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접경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하우징 공동 내의 하우징의 내부 표면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은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채널은 채널 내에 종동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거나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종동 부재를 편향시키고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안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채널은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종동 부재를 편향시키고 제2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유지 채널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채널은 하우징 공동 내의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채널은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접경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돌출부를 정의할 수 있다. 가이드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레버일 수 있으며, 제1 단부는 슬리브에 결합되고 제2 단부는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한다. 레버는 가이드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립 위치에서, 레버는 제2 단부가 슬리브 공동 내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지거나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중립 위치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는 캔틸레버일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캔틸레버일 수 있다. 제1 단부는 슬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제2 단부가 제1 단부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즉, 제2 단부는 제1 단부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이동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을 때 가이드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캔틸레버는 흡입기 물품 또는 가이드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뾰족한 난형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주요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주요 길이방향 축은 약 30도 내지 약 75도 범위의 슬리브의 축방향 축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요 길이방향 축은 약 55도의 슬리브의 축방향 축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팁 체결 특징부는 슬리브의 축방향 축과 팁 체결 특징부의 에지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체결 특징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체결 특징부 거리는 약 0.5 mm 내지 약 2 mm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특징부 거리는 약 1 mm이다. 팁 체결 특징부는 가이드와 협력하여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다는 가청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중립 위치에서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 영역을 수용하고 그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베이스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표면은 슬리브의 원위 단부를 정의하고 슬리브의 개방 근위 단부에 대향할 수 있다. 슬리브는 원위 단부로부터 개방 근위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리브는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흡입기 물품을 유지할 수 있다.
슬리브는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고 관통 요소는 애퍼처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는 슬리브의 베이스 표면과 접촉하고 슬리브가 관통 요소를 향해 이동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슬리브는 관통 요소와 동축일 수 있다. 슬리브는 관통 요소가 흡입기 물품 내에서 캡슐을 신뢰성 있게 활성화시키도록 흡입기 물품을 정렬할 수 있다. 슬리브는 또한 관통 요소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관통 요소를 지지하여 관통 요소의 편향을 방지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슬리브는 슬리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유입구 구역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입구 구역은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약 1개 내지 약 10개의 공기 애퍼처, 또는 약 3개 내지 약 9개의 공기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입구 구역은 슬리브의 근위 단부에 근접한다. 제1 공기 유입구 구역은 공기가 슬리브의 내부로부터 슬리브와 하우징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기류 채널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는 슬리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애퍼처를 포함하는 제2 공기 유입구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유입구 구역은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약 1개 내지 약 10개의 공기 애퍼처, 또는 약 3개 내지 약 9개의 공기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유입구 구역은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다. 제2 공기 유입구 구역은 공기가 기류 채널로부터 슬리브의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공기 유입구 구역과 제2 공기 유입구 구역 사이의 내부 공동의 일부는 감소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공기(흡입 공기)는 슬리브의 근위 단부로부터 슬리브와 흡입 물품 사이에서 슬리브의 원위 단부로 전달될 수 없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공기 유입구 구역의 제공은 유리하게는 여전히 물품이 슬리브 내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게 하면서 공기가 홀더의 개방 단부로 진입하고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흡입기 물품은 흡입기 물품이 홀더 내에 포함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소모될 수 있다.
홀더는 하우징의 개방 근위 단부에 고정된 유지 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링 요소는 흡입기 물품 공동 내에 슬리브를 유지한다. 유지 링은 홀더의 흡입기 물품 공동 내에서 슬리브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유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다.
홀더는 하우징의 개방 근위 단부를 향해 이완된(제1) 위치와 압축된(제2) 위치 사이에서 슬리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홀더의 흡입기 물품 공동 내에 포함되고, 이동 가능한 슬리브 및 흡입기 물품이 관통 요소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슬리브와 하우징의 원위 단부 사이에 있을 수 있고, 슬리브와 하우징의 원위 단부와 접촉한다. 스프링 요소는 관통 요소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관통 요소와 동축일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원추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홀더의 원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홀더의 원위 단부 및 슬리브의 원위 단부 둘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원추형 스프링일 수 있다. 원추형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보다 유연한 설계 및 더 작은 전체 압축 두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낮은 프로파일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원추형 스프링의 제공은, 또한 유리하게는 원통형 스프링에 비해 압축될 때 스프링이 구부러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관통 요소가 흡입기 물품을 활성화하면 관통 요소와의 체결로부터 그리고 관통 요소로부터 멀리 흡입기 물품을 편향시킨다. 스프링 요소는 관통 요소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관통 요소와 동축일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스프링 요소가 이완된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요소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스프링 요소가 압축된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요소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스프링 요소가 이완된 위치 및 압축된 위치 둘 모두에 있을 때 스프링 요소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스프링 요소를 압축할 때 스프링 요소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관통 요소를 하우징 내로 오목하게 하는 것은 관통 요소가 관통 요소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관통 요소를 하우징 내로 오목하게 하는 것은 또한 관통 요소가 관통 요소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표면에 의해 손상되거나 개질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관통 요소 길이는 하우징 길이에 대해 임의의 적합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요소 길이는 하우징 길이의 약 25% 내지 약 60%, 또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관통 요소의 원위 단부는 하우징의 원위 단부에 또는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원위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관통 요소 전체 길이는 하우징 길이 내에서 동일 공간에 있을 수 있다.
관통 요소는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강성 재료는 흡입기 물품 내에 함유된 캡슐을 관통, 천공 또는 활성화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다. 관통 요소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예를 들어 316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섬유 강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을 형성하는 데 유용한 중합체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PBT 폴리에스테르, PET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액정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는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이다.
흡입기 물품은 흡입기 물품 외부 표면 및 홀더 하우징 외부 표면이 동심이도록 홀더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이 홀더 내에 수용될 때, 관통 요소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 길이방향 축, 및 흡입기 길이방향 축과 동축일 수 있다. 하우징 길이의 적어도 약 50%, 또는 적어도 약 75%는 흡입기 물품이 홀더 내에 수용될 때, 흡입기 길이와 동일 공간에 있을 수 있다.
홀더는 삽입 몰딩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예를 들어, 먼저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 다음 하우징은 관통 요소에 접합되는 관통 요소 주위에 몰딩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금속 관통 요소일 수 있으며, 하우징은 금속 관통 요소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금속 관통 요소 주위에 몰딩될 수 있다. 금속 관통 요소는 관통 요소의 원위 단부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하우징 몰딩 재료 내에서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관통 요소의 원위 단부에 돌출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 물품 공기 채널은 흡입기 물품의 단부 캡 또는 엔드피스 요소를 통해 연장되어 흡입기 물품을 통해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기류를 캡슐 공동에 공급하는 공기 채널은 흡입기 몸체의 캡슐 공동 내에 소용돌이 공기 흐름 패턴을 수용하거나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채널 구성은 공기가 공기 채널을 통해 그리고 캡슐 공동을 통해 흐르면서 회전 공기 흐름 또는 소용돌이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에서 흡입기 물품으로 들어갈 수 있고 흡입기 물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마우스피스 단부로 이동한다. 흡입기 물품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흡입기 몸체를 따라 상류로 또는 캡슐 공동을 따라 흡입기 물품으로 들어갈 수 있고 흡입기 물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마우스피스 단부로 이동한다.
흡입기 몸체는 흡연 물품 또는 궐련과 크기 및 모양이 유사할 수 있다. 흡입기 몸체는 흡입기 물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몸체를 가질 수 있다. 흡입기 몸체는 세장형 몸체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흡입기 몸체는 세장형 몸체의 길이를 따라 균일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흡입기 몸체는 약 6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7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7 mm 내지 약 9 mm, 또는 약 7 mm 내지 8 mm 또는 약 7.2 mm 범위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흡입기 몸체는 약 40 mm 내지 약 80 mm, 또는 약 40 mm 내지 약 70 mm, 또는 약 40 mm 내지 약 50 mm, 또는 약 45 mm 범위의 길이를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가질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은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관형 요소에 의해 정의된 개방 원위 단부 또는 최상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개방 중앙 통로는 캡슐 공동으로부터 흡입기 물품의 개방 원위 단부 또는 최상류 단부로 연장되는 원통형 개방 애퍼처를 정의할 수 있다. 개방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개방 관형 요소는 약 3 mm 내지 약 12 mm, 또는 약 3 mm 내지 약 7 mm 또는 약 4 mm 내지 약 6 mm, 또는 약 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개방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개방 관형 요소는 셀룰로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개방 관형 요소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관형 요소는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된다. 개방 중앙 통로를 정의하는 개방 관형 요소는 약 0.5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0.5m m 내지 약 1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캡슐 공동의 하류에 위치된 필터 요소는 캡슐 공동으로부터 흡입기 물품의 마우스피스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 요소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 바람직하게는 약 15 mm 내지 약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mm 내지 약 22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캡슐 공동은 캡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원통형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캡슐은 예를 들어, 장박형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음). 캡슐 공동은 캡슐 공동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거나 균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캡슐 공동은 고정된 공동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캡슐 공동은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공동 내경을 갖고, 캡슐은 캡슐 외경을 갖는다. 캡슐 공동은 장박형 캡슐을 함유하는 크기로 될 수 있다. 캡슐 공동은 캡슐 공동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통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캡슐 공동은 균일한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캡슐은 캡슐 공동의 내부 직경의 약 80% 내지 약 95%인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캡슐에 대한 캡슐 공동의 구성은 캡슐의 활성화 또는 관통 동안 캡슐의 제한된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캡슐 공동은 개방 관형 요소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개방 관형 요소는 흡입기 물품의 원위 단부를 형성하는 개방 관형 요소와 필터 요소 사이에 그리고 이들과 접경하는 정렬로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요소는 래퍼와 결합될 수 있다. 캡슐 공동을 정의하는 개방 관형 요소는 판지 또는 보드지와 같은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캡슐에 대한 캡슐 공동의 구성은 캡슐이 캡슐 공동 내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캡슐의 길이방향 축은 흡입 동안 흡입기 몸체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캡슐에 대한 캡슐 공동의 구성은 캡슐이 캡슐 공동 내에서 일부 진동으로 회전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안정적인 회전은 캡슐의 회전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동축인 흡입기 몸체의 길이방향 축을 의미한다. 안정적인 회전은 회전하는 캡슐의 행렬이 없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기 몸체의 길이방향 축은 캡슐의 회전 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을 수 있다. 캡슐의 안정적인 회전은 소비자에 의해 2회 이상, 또는 5회 이상, 또는 10회 이상의 "퍼프" 또는 흡입에 걸쳐서 캡슐로부터 니코틴 입자의 일부의 균일한 비말동반을 제공할 수 있다.
캡슐은 소비 전에 흡입기 물품 내에서 밀봉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은 밀봉된 또는 기밀된 용기 또는 백 내에 함유될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은 흡입기 물품의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 채널 또는 공기 배출구 또는 마우스피스를 덮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박리 가능한 또는 제거 가능한 밀봉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흡입기 물품을 통해 유동할 때 캡슐이 그것의 길이 방향 또는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캡슐은 단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흡입기와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관통 요소에 의해 관통되거나 천공될 수 있는 기밀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캡슐은 캡슐로부터 떨어져 오염물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캡슐 내의 니코틴 입자들을 소모하기 전에 관통 요소에 의해 관통되거나 천공될 수 있는 금속 또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캡슐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일 수 있다. 캡슐은 크기 1에서 크기 4 캡슐, 또는 크기 3 캡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별도의 홀더는 캡슐 공동 내에 수용된 캡슐을 통해 단일 애퍼처를 형성한다.
캡슐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니코틴 입자(또한 "니코틴 분말" 또는 "니코틴 입자"로서 지칭됨) 및 선택적으로 향미를 포함하는 입자(또한 "향미 입자"로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미리 결정된 양의 니코틴 입자 및 선택적인 향미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적어도 2회 흡입 또는 "퍼프", 또는 적어도 약 5회 흡입 또는 "퍼프", 또는 적어도 약 10회 흡입 또는 "퍼프"를 제공하는 데 충분한 니코틴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약 5회 내지 약 50회 흡입 또는 "퍼프", 또는 약 10회 내지 약 30회 흡입 또는 "퍼프"를 제공하는 데 충분한 니코틴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각각의 흡입 또는 "퍼프"는 약 0.1 mg 내지 약 3 mg의 니코틴 입자를 사용자의 폐에 전달하거나 약 0.2 mg 내지 약 2 mg의 니코틴 입자를 사용자의 폐에 전달하거나 약 1 mg의 니코틴 입자를 사용자의 폐에 전달할 수 있다.
니코틴 입자는 사용된 특정 제형에 기초하여 임의의 유용한 니코틴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입자는 적어도 약 1 중량% 니코틴 최대 약 30 중량% 니코틴, 또는 약 2 중량 % 내지 약 25 중량% 니코틴,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니코틴, 또는 약 4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니코틴,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13 중량% 니코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μg 내지 약 150 μg의 니코틴이 흡입 또는 "퍼프"할 때마다 사용자의 폐에 전달될 수 있다.
캡슐은 적어도 약 5 mg의 니코틴 입자 또는 적어도 약 10 mg의 니코틴 입자를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약 900 mg 미만의 니코틴 입자, 또는 약 300 mg 미만의 니코틴 입자, 또는 150 mg 미만의 니코틴 입자를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약 5 mg 내지 약 300 mg의 니코틴 입자 또는 약 10 mg 내지 약 200 mg의 니코틴 입자를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향미 입자가 캡슐 내부에서 니코틴 입자와 혼합되거나 조합될 때, 향미 입자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각각의 흡입 또는 "퍼프"에 원하는 향미를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니코틴 입자는 우선적으로 사용자의 폐 속에 흡입 전달을 위한 임의의 유용한 크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캡슐은 니코틴 입자 이외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입자 및 다른 입자는 분말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캡슐은 적어도 약 5 mg의 건조 분말(분말 시스템으로 또한 지칭됨) 또는 적어도 약 10 mg의 건조 분말을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약 900 mg 미만의 건조 분말, 또는 약 300 mg 미만의 건조 분말, 또는 약 150 mg 미만의 건조 분말을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캡슐은 약 5 mg 내지 약 300 mg의 건조 분말, 또는 약 10 mg 내지 약 200 mg의 건조 분말, 또는 약 25 mg 내지 약 100 mg의 건조 분말을 보유하거나 함유할 수 있다.
건조 분말 또는 분말 시스템은 약 5 μm 이하, 또는 약 1 μm 내지 약 5 μ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니코틴 입자에 포함된 분말 시스템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40%, 또는 적어도 약 60%, 또는 적어도 약 80%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입자는 약 5 μm 이하, 또는 약 0.5 μm 내지 약 4 μm의 범위, 또는 약 1 μm 내지 약 3 μm의 범위, 또는 약 1.5 μm 내지 약 2.5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은 바람직하게 캐스케이드 임팩터로 측정된다.
향미를 포함하고 있는 입자는 약 20 μm 이상, 또는 약 50 μm 이상, 또는 약 50 μm 내지 약 200 μm, 또는 약 50 μm 내지 약 150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은 바람직하게 캐스케이드 임팩터로 측정된다.
건조 분말은 약 60 μm 이하, 또는 약 1 μm 내지 약 40 μm의 범위, 또는 약 1.5 μm 내지 약 25 μm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평균 직경은 질량 당 평균 직경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회절, 레이저 확산 또는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다.
분말 시스템 또는 니코틴 입자 속의 니코틴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리 베이스 니코틴, 또는 니코틴 염 또는 니코틴 염 수화물일 수 있다. 유용한 니코틴 염 또는 니코틴 염 수화물은, 예를 들어 니코틴 피루빈산염, 니코틴 시트르산염, 니코틴 아스파르트산염, 니코틴 젖산염, 니코틴 중주석산염(nicotine bitartrate), 니코틴 살리실산염(nicotine salicylate), 니코틴 푸마르산염(nicotine fumarate), 니코틴 모노-피루빈산염(nicotine mono-pyruvate), 니코틴 글루탐산염(nicotine glutamate) 또는 니코틴 염산염(nicotine hydrochloride)을 포함하고 있다. 니코틴과 조합해서 염 또는 염 수화물을 형성하는 화합물은 이의 예상되는 약리학적 효과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니코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은 L-류신과 같은 류신일 수 있다.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는 입자에 L-류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제공하면,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는 입자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니코틴 입자 간의 인력을 감소시켜 니코틴 입자의 응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향미를 포함하고 있는 입자에 대한 접착력도 감소될 수 있으므로 향미 입자와 함께 니코틴 입자의 응집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분말 시스템은 자유 유동성 재료일 수 있으며, 니코틴 입자 및 향미 입자가 조합되는 경우라도 각 분말 성분의 안정적인 상대 입자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니코틴은 니코틴 염 입자가 코팅 또는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표면 개질된 니코틴 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코팅 또는 복합 재료는 L-류신일 수 있다. 하나의 특히 유용한 니코틴 입자는 L-류신을 갖는 니코틴 중주석산염일 수 있다.
분말 시스템은 향미 입자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입자는 사용자의 입 또는 협측 구강 내로 선택적으로 흡입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유용한 크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분말 시스템은 약 20 μ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에 포함된 분말 시스템의 향미 입자 집단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40%, 또는 적어도 약 60%, 또는 적어도 약 80%를 가질 수 있다. 분말 시스템은 약 50 μ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에 포함된 분말 시스템의 향미 입자 집단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60%, 또는 적어도 약 80%를 가질 수 있다. 분말 시스템은 약 50 μm 내지 약 150 μ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에 포함된 분말 시스템의 향미 입자 집단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60%, 또는 적어도 약 80%를 가질 수 있다.
향미를 포함하는 입자는 접착력이나 표면 에너지 및 생성된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입자는 접착 감소 화합물로 표면 개질되어 코팅된 향미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접착 감소 화합물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일 수 있다. 향미 입자를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같은 접착 감소 화합물에 제공하면, 특히 향미 화합물을 코팅하면, 향미를 포함하고 있는 입자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향미 입자들 간의 인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향미 입자의 응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향미 입자가 니코틴 입자와 응집하는 것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분말 시스템은 니코틴 입자들과 향미 입자들이 조합되었을 때에도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는 입자 및 향미를 포함하고 있는 입자의 안정적인 상대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말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자유 유동성일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을 위한 종래의 제형은 활성 입자의 유동화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캐리어 입자를 함유하는데, 흡입기를 통한 단순 기류의 영향을 받기에는 활성 입자가 너무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말 시스템은 캐리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입자는 약 50 μm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는 락토스 또는 만니톨과 같은 당류일 수 있다. 캐리어 입자는 제형 내에서 희석제나 증량제로서 작용하여 투여량 균일성을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니코틴 분말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분말 시스템은 담체가 없거나 락토오스 또는 만니톨과 같은 당류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담체가 없거나 락토오스나 만니톨과 같은 당류가 실질적으로 없으면 일반적인 흡연 체제의 흡입 속도 또는 기류 속도와 유사한 흡입 속도 또는 기류 속도로 니코틴이 흡입되어 사용자의 폐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니코틴 입자 및 향미는 하나의 캡슐 내에 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코틴 입자 및 향미는 각각 감소된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조합 시 각각의 성분의 입자 크기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안정한 입자 제제를 초래한다. 대안적으로, 분말 시스템은 하나의 캡슐 내에 함유된 니코틴 입자 및 제2 캡슐 내에 함유된 향미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니코틴 입자 및 향미 입자는 임의의 유용한 상대적인 양으로 조합될 수 있어서 향미 입자는 니코틴 입자로 소모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니코틴 입자 및 향미 입자는 분말 시스템의 총 중량의 적어도 약 9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9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99 중량% 또는 100 중량%를 형성한다.
흡입기 및 흡입기 시스템은 덜 복잡하고 종래의 건조 분말 흡입기에 비해 단순화된 기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흡입기 바디부 내부에서 캡슐의 회전은 니코틴 분말 또는 분말 시스템을 에어로졸화하고 자유 유동 분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흡입기 물품은 상술한 니코틴 입자를 폐로 깊이 전달하기 위해 종래의 흡입기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승된 흡입 비율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흡입기 물품은 약 5 L/분 미만 또는 약 3 L/분 미만 또는 약 2 L/분 미만 또는 약 1.6 L/분의 유량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량은 약 1 L/분 내지 약 3 L/분 또는 약 1.5 L/분 내지 약 2.5 L/분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속도 또는 유량은 캐나다 연방보건부 흡연 제도(캐나다 보건부 흡연 체제)의 흡입 속도 또는 유량, 즉 약 1.6 L/분과 유사할 수 있다.
흡입기 시스템은 종래의 궐련을 흡연하거나 전자 담배를 베이핑하듯이 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흡연 또는 베이핑은 다음의 두 단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니코틴의 총량을 함유하는 작은 체적이 구강 내로 흡인되는 동안인 제1 단계, 이어서 원하는 양의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을 포함하고 있는 이 작은 체적이 신선한 공기로 추가 희석되고 폐 속 더 깊숙이 흡인되는 동안인 제2 단계. 두 단계 모두 소비자에 의해 제어된다. 제1 흡입 단계 동안 소비자는 흡입할 니코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단계 동안, 소비자는 폐 속 깊숙이 흡인될 제1 체적을 희석하기 위한 체적을 결정하여, 기도 상피 표면에 전달되는 활성제의 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흡연 메커니즘은 때때로 "퍼프-흡입-호기"로 불린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서 제공된 정의는 본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부정관사("a", "an"), 및 정관사("the")는 그 내용을 명확하게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물을 갖는 구현예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은 일반적으로 달리 그 내용을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요소들 중 하나 또는 전부, 또는 열거된 요소들 중 임의의 2개 이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갖다", "갖는", "포함하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등은 개방형의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로 이루어지는" 등은 "포함하는(comprising)"등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단어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는 특정한 상황 하에서 특정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 또한 동일하거나 다른 상태 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인용은 다른 구현예가 유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다른 구현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흡입기 물품용 홀더가 제공된다. 홀더는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관통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관통 요소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록아웃 메커니즘은 유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아래에,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비포괄적인 번호화된 목록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 구현예, 또는 양태의 임의의 다른 하나 이상의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1: 흡입기 물품용 홀더로서, 홀더는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로서, 슬리브는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하고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한 슬리브;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리브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 관통 요소; 및 가이드,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하는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종동 부재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 가이드를 따라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유지 섹션은 슬리브가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하는, 홀더.
2: 실시예 1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도록 배열되는, 홀더.
3: 실시예 2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슬리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삽입될 때 흡입기 물품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되어 흡입기 물품은 종동 부재를 중립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와 접촉하는, 홀더.
4: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중립 위치 내의 슬리브 공동 내에서 연장되는, 홀더.
5: 실시예 4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될 때 가이드와 접촉하도록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가요성인, 홀더.
6: 실시예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때 종동 부재가 가이드, 또는 유지 섹션과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도록 중립 위치를 향해 편향되는, 홀더.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서로 접촉하게 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홀더.
8: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9: 실시예 8에 있어서,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10: 실시예 8 또는 실시예 9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초기 측방향 배향을 향해 편향되고;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되는, 홀더.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종동 부재 및 가이드는 종동 부재가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홀더.
12: 실시예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종동 부재를 가이드에 의해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홀더.
14: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가이드는 슬리브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15: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가 유지 섹션에 도달할 때 슬리브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 내에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되는, 홀더.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유지 섹션은 종동 부재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접경 표면을 포함하는, 홀더.
17: 실시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슬리브와 결합된 세장형 부재인, 홀더.
18: 실시예 17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19: 실시예 17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슬리브와 구별되고 슬리브에 부착된 구성요소인, 홀더.
20: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홀더.
21: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는 채널을 포함하는, 홀더.
22: 실시예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는 하우징 공동의 내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홀더.
23: 실시예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레버이며, 제1 단부는 슬리브에 결합되고 제2 단부는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는, 홀더.
24: 실시예 23에 있어서, 팁 체결 특징부는 뾰족한 난형 형상을 정의하는, 홀더.
25: 실시예 23 또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팁 체결 특징부는 주요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주요 길이방향 축은 약 30도 내지 약 75도 범위의 슬리브의 축방향 축과 각도를 형성하는, 홀더.
26: 실시예 23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팁 체결 특징부는 가이드와 협력하여 슬리브가 제2 위치에 있다는 가청 표시를 생성하는, 홀더.
27: 실시예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종동 부재는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중립 위치에서 길이방향 축을 갖는, 홀더.
28: 실시예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홀더 및 흡입기 물품을 포함하는 흡입기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흡입기 물품의 캡슐 공동 내에 배치된 캡슐을 더 포함하며, 캡슐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약학적 활성 입자를 포함하는, 흡입기 시스템.
29: 실시예 28에 있어서, 약학적 활성 입자는 약 5 μm 이하, 또는 약 0.5 μm 내지 약 4 μm 범위, 또는 약 1 μm 내지 약 3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갖는, 흡입기 시스템.
30: 실시예 29에 있어서, 캡슐은 약 20 μm 이상, 또는 약 50 μm 이상, 또는 약 50 μm 내지 약 200 μm, 또는 약 50 μm 내지 약 150 μm 범위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을 갖는 향미 입자의 제2 집단을 더 포함하는, 흡입기 시스템.
이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2a및 도 2b는 도 1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흡입기 물품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a는 예시적인 슬리브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4b는 흡입기 물품의 예시적인 홀더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예시적인 홀더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a는 흡입기 물품의 예시적인 홀더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예시적인 홀더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의 예시적인 홀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예시적인 가이드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예시적인 홀더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예시적인 홀더의 다른 단면 개략도이다.
도 7c는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예시적인 가이드의 개략도이다.
도 10a는 예시적인 슬리브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0b는 예시적인 종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다른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예시적인 가이드의 개략도이다.
도 13a는 예시적인 슬리브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3b는 예시적인 종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개략도는 일정한 비율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면은 본 개시에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양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이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의 범위 안에 속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위치에 슬리브(120)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a는 제1 위치에서 슬리브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2b는 제2 위치에서 슬리브(120)를 갖는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a, 및 도 2b의 예시적인 흡입기 물품(150)의 단면 개략도이다.
흡입기 시스템(100)은 흡입기 물품(150) 및 별도의 홀더(110)를 포함한다. 흡입기 물품(150)은 흡입기 물품(150) 내에 배치된 캡슐(160)을 활성화하거나 관통하기 위해 홀더(110) 내에 수용된다. 흡입기 물품(150)은 소비자가 사용하는 동안 홀더(110) 내에 유지될 수 있다. 홀더(110) 및 흡입기 물품(150)은 수용된 흡입기 물품(150)을 통해 소용돌이 흡입 기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기 시스템(100)은 흡입기 물품(150) 및 홀더(110)를 포함한다. 흡입기 물품(150)은 마우스피스 단부(154)에서 원위 단부(156)까지 흡입기 길이방향 축(LA)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151)를 포함한다. 캡슐(160)은 흡입기 물품 본체(151) 내에 배치된다. 홀더(110)는 슬리브 공동(122) 내에 수용된 흡입기 물품(150)을 유지하는 이동 가능한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흡입기 물품(150)용 홀더(110)는 흡입기 물품(150)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공동(112)을 포함하는 하우징(111)을 포함하고, 슬리브(120)는 하우징 공동(112) 내에 흡입기 물품(15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120)는 개방 근위 단부(126)로부터 대향 원위 단부(124)로 연장된다. 슬리브(120)는 슬리브 공동(122)을 정의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라 하우징 공동(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예에서, 홀더(110)는 하우징 내부 표면(109)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관통 요소(101)를 포함한다. 관통 요소(101)는 슬리브(120)의 제2 대향 단부(124)를 통해 그리고 하우징(11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리브 공동(122)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홀더(110)는 슬리브(120)를 관통 요소(101)로부터 멀리 또는 제1 위치에서 홀더(110)의 개방 단부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102)를 포함한다.
흡입기 물품(150)은 마우스피스 단부(154)에서 원위 단부(156)까지 흡입기 길이방향 축(LA)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151)를 포함한다. 캡슐 공동(155)은 몸체(151) 내에 배치되고 필터 요소(157)에 의해 하류로 접경되고 중앙 통로(152)를 정의하는 관형 요소(153)에 의해 상류로 접경된다. 중앙 통로(152)는 몸체의 원위 단부(156)로부터 캡슐 공동(155)을 향해 연장되는 공기 유입구 애퍼처를 형성한다. 캡슐(160)은 캡슐 공동(155) 내에 배치된다. 중앙 통로(152)는 캡슐(1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하우징(110)은 약 40 mm 내지 약 60 mm 범위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120)는 약 15 mm 내지 약 30 mm 범위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요소(102)는 약 15 mm 내지 약 30 mm 범위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1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약 15 mm 내지 약 30 mm 범위의 전체 길이방향 거리를 이동하거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스프링(102)은 약 15 mm 내지 약 30 mm 범위의 전체 길이방향 거리를 압축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관통 요소(101)는 캡슐 공동(155) 내에서 연장되지 않아서 캡슐(160)은 슬리브(12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 공동(122) 내에 위치되는 경우 관통되지 않는다. 제2 위치에서, 관통 요소(101)는 캡슐 공동(155) 내에서 연장되어 캡슐(160)은 슬리브(12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 공동(122) 내에 위치되는 경우 관통된다. 제1 위치는 "이완된 위치"로서 지칭될 수 있고, 제2 위치는 "압축된 위치"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흡입기 물품(150)은 약 45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갖고, 홀더(110)는 약 50 mm 내지 약 55 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다. 홀더(110)(및 제1 또는 이완된 위치에 있는 슬리브(120) 및 스프링 요소(102)) 내에 수용되면, 흡입기 물품(150)은 홀더(110) 내에 수용된 그의 길이방향 길이의 약 50% 및 홀더(110)로부터 연장되는 그의 길이방향 길이의 약 50%를 갖는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소비자는 흡입기 물품(150)을 관통 요소 상으로 가압하여, 스프링 요소(102)를 압축하고 슬리브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캡슐(160)을 천공하여 캡슐(1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압축된 위치에서, 흡입기 물품(150) 길이방향 길이의 약 20% 미만이 홀더(110)로부터 연장되거나 흡입기 물품(150) 길이방향 길이의 약 1 mm 내지 약 5 mm가 홀더(110)로부터 연장된다. 이완된 위치와 압축된 위치 사이의 선형 또는 길이방향 거리는 약 15 mm 내지 약 25 mm, 또는 약 20 mm일 수 있다.
도 4a는 예시적인 슬리브(120) 및 종동 부재(170)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슬리브(120) 및 종동 부재(17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흡입기 물품(150)의 삽입 전의 슬리브(120)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 4b 및 도 4c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부분 등각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의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1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120)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종동 부재(170)와 접촉하며 그것에 의해 종동 부재(170)를 가이드(180) 내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위치에서 슬리브(120)를 도시한다.
종동 부재(170)는 제1 단부(172)로부터 제2 단부(174)로 연장된다. 종동 부재(170)는 제1 단부(172)에서 슬리브(120)에 결합된다. 제2 단부(174)는 자유 단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종동 부재(170)는 슬리브(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동 부재(170)는 예를 들어, 힌지 주위에서 슬리브(120)에 연결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4a는 종동 부재(170)가 슬리브 공동(122)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립 위치에서 종동 부재(170)를 도시한다. 종동 부재(170)는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 공동(122) 내에 수용되지 않았을 때 종동 부재(170)가 중립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중립 위치를 가정하는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종동 부재(170)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180)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예에서, 가이드(180)는 하우징(111)의 내부 표면(113) 내의 채널 또는 홈이다.
종동 부재(170)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122) 내에 수용될 때 흡입기 물품(15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된다. 흡입기 물품(150)은 종동 부재(170)를 중립 위치 밖으로 그리고 하우징(111)의 내부 표면(113) 상의 가이드(180)와 접촉하도록 이동시키거나 편향시킬 수 있다. 종동 부재(170)는 종동 부재(170)가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고 하우징(111)의 내부 표면(113) 상의 가이드(180)와 접촉하도록 가요성이고 탄성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1, 도 2, 도 4b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의 예시적인 홀더(110)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슬리브(120)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전에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슬리브(1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c는 슬리브(12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d는 슬리브(12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e는 슬리브(120)가 제1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f는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120)로부터 제거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190)의 개략도이다.
도 6a에서, 흡입기 물품(150)은 슬리브(120) 내에 수용되고, 종동 부재(170)는 가이드(1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고 초기 측방향 배향(182)에 상주한다. 가이드(180)는 종동 부재(170)가 가이드(1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도 6b에서, 가이드(180)는 슬리브(1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170)(구체적으로 제2 단부(174))를 이동시킨다. 슬리브(1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180)는 종동 부재(170)를 초기 측방향 배향(182)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c에서, 슬리브(120)는 제2 위치에 있고, 가이드(180)는 종동 부재(170)가 초기 측방향 배향(182)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된다. 가이드(180)는 종동 부재(170)가 초기 측방향 배향(182)으로 복귀할 때에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가청음은 캡슐이 활성화되었음을 소비자에게 나타낸다.
도 6d에서, 가이드(180)는 슬리브(1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종동 부재(170)를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한다. 가이드(180)는 슬리브(1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170)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6e에서, 종동 부재는 제1 위치로 복귀하였고, 이제 유지 섹션(192)에 유지된다. 유지 섹션(192)은 종동 부재(170)가 유지 섹션(192)에 도달할 때 슬리브(120)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192) 내에 종동 부재(170)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된다. 유지 섹션(192)은 종동 부재(170)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접경 표면(19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경 표면(194)은 종동 부재(170)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후 슬리브(1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초기 측방향 배향(182)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f에서, 흡입기 물품(150)은 슬리브(120)로부터 제거되고, 종동 부재(170)는 가이드와 접촉하지 않게 이동되고, 따라서 슬리브(120)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종동 부재(170)는 초기 측방향 배향(182)으로 복귀하여 흡입기 물품(150)과 같은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는 것은 도 6a에 도시된 배열에 록아웃 메커니즘(190)을 배치하고 공정은 추가 흡입기 물품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가이드(180)는 채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80)는 하우징(111)의 내부 표면(113) 상에 형성된다. 이 예에서, 종동 부재(170)의 제2 단부(174)는 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한다. 종동 부재(170)의 제2 단부(174)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120) 내에 수용될 때 가이드(180)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제2 단부(174)는 제2 단부(174)가 가이드(180)와 접촉하는 동안 슬리브(12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가이드(180)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도 7a는 흡입기 물품(150)이 삽입되지 않은 예시적인 홀더(2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b는 흡입기 물품(150)이 삽입되지 않은 도 7a의 예시적인 홀더(2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c는 흡입기 물품(150)이 삽입되고 종동 부재(270)를 가이드(280)와 접촉하도록 밀어 넣은 상태에서 도 7a 및 도 7b의 예시적인 홀더(21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흡입기 시스템(200)의 단면 개략도이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로부터 제2 단부(274)로 연장된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에서 슬리브(220)에 결합되고 제2 또는 자유 단부(274)로 연장된다. 이 예에서, 종동 부재(270)는 슬리브(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종동 부재(270)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 공동(222)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종동 부재(270)는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 공동(222) 내에 수용되지 않았을 때 종동 부재(270)가 중립 위치에 있도록 중립 위치에서 편향된다. 종동 부재(270)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280)에 체결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80)는 하우징(211)의 내부 표면(213) 내의 돌출부이다.
홀더(210)는 슬리브(220) 및 종동 부재(27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홀더(210)는 홀더(210)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슬롯(292)을 더 포함한다. 슬리브(220)는 슬리브(22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정렬 핀(291)을 더 포함한다. 정렬 핀(291)은 세장형 슬롯(292)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세장형 슬롯 및 대응하는 정렬 핀(291)의 이러한 제공은 유리하게는 하우징 공동(212) 내의 슬리브(22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정렬 핀(291)은 하우징 공동(212)에서 슬리브(220)의 회전을 방지한다.
종동 부재(270)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 공동(222) 내에 수용될 때 흡입기 물품(15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된다. 흡입기 물품(150)은 종동 부재(270)를 중립 위치로부터 가이드(280)와의 접촉으로 이동시킨다. 종동 부재(270)는 종동 부재(270)가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고 가이드(280)와 접촉하도록 가요성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a 내지 도 7c의 예시적인 홀더(210)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a는 슬리브(220)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전에 제1 위치에 있을 때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b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c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 직전의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d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e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f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290)의 개략도이다.
도 8a에서, 흡입기 물품(150)은 슬리브(220) 내에 수용되고, 종동 부재(270)는 가이드(2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고 초기 측방향 배향(282)에 상주한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에서 슬리브(220)에 고정되고, 자유 또는 제2 단부(274)로 연장된다. 가이드(280)는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2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8b에서, 가이드(280)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가이드(280)의 제1 경로 또는 에지를 따라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이동시킨다.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2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8c에서, 슬리브(220)는 제2 위치 직전의 위치로 이동되고,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는 가이드(280)에 의해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d에서, 슬리브(220)는 제2 위치에 있고, 가이드(2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된다. 가이드(2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청음은 가이드(280)를 지나거나 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에 의해 생성된다. 가청음은 캡슐이 활성화되었음을 소비자에게 나타낸다.
도 8e에서, 가이드(280)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한다. 가이드(280)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8f에서, 종동 부재는 제1 위치로 복귀하였고, 이제 유지 섹션(292)에 유지된다. 유지 섹션(292)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유지 섹션(292)에 도달할 때 슬리브(220)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292) 내에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된다. 유지 섹션(292)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접경 표면(29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경 표면(294)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후 슬리브(2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220)로부터 제거된 후,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는 가이드와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고, 따라서 슬리브(220)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종동 부재(270)는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여 흡입기 물품(150)과 같은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는 것은 도 8a에 도시된 배열에 록아웃 메커니즘(290)을 배치하고 공정은 추가 흡입기 물품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가이드(280)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280)는 홀더(21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거나, 가이드(280)는 홀더(21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요소이다. 이 예에서,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체결 특징부는 뾰족한 난형 형상을 정의한다. 이러한 형상은 유지 섹션(292)에 유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가이드(280)의 표면 상에서 팁 체결 특징부가 포획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220) 내에 수용될 때 가이드(280)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제2 단부(274)는 제2 단부(274)가 가이드(280)와 접촉하는 동안 슬리브(22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가이드(280)의 주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도 9a는 "에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가이드(280)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분의 개략도이다. 제1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280)와 먼저 접촉할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280)의 제1 부분이다. 제2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280)의 제1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280)의 부분이다. 제3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280)의 제2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280)의 부분이다. 제4 부분은 유지 섹션과 접촉하기 전에,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280)의 제3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280)의 일부이다.
도 9a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1)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1)을 도시한다. 인장 속도 각도(A1)는 가이드(280)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1)는 제1 부분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도 9b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2)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2)를 포함하는 도 9a의 예시적인 가이드(280)의 개략도이다. 인장 속도 각도(A2)는 가이드(280)의 제3 부분과 제4 부분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2)는 제3 부분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도 9c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3)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3)를 포함하는 도 9a 및 도 9b의 예시적인 가이드(280)의 개략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3)는 제4 부분과 유지 섹션 표면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3)는 유지 섹션 표면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활성화 각도(A1)는 약 10도 내지 약 3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각도(A1)는 약 20도이다. 활성화 거리(D1)는 약 0.5 mm 내지 약 2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거리(D1)는 약 1.2 mm이다.
복귀 각도(A2)는 약 10도 내지 약 3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복귀 각도(A2)는 적어도 약 18도이다. 복귀 거리(D2)는 약 1 mm 내지 약 3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복귀 거리(D2)는 약 1.8 mm이다.
유지 각도(A3)는 약 0도 내지 약 9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각도(A3)는 약 53도이다. 유지 거리(D3)는 약 0.2 mm 내지 약 1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거리(D3)는 약 0.45 mm이다.
도 10a는 예시적인 슬리브(22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의 사시도이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와 제2 단부(274) 사이에서 연장된다. 종동 부재(270)는 슬리브 축(276)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단부(272)는 슬리브(220)에 결합되거나, 슬리브(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팁 체결 특징부(27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체결 특징부(277)는 뾰족한 난형 형상을 갖는다. 뾰족한 난형 형상은 주요 길이방향 축(278)을 갖는다. 팁 체결 특징부(277)의 에지로부터 슬리브 축(276)으로의 체결 특징부 거리(D4)는 약 0.5 mm 내지 약 2 mm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특징부 거리(D4)는 약 1 mm일 수 있다. 체결 특징부 각도(A4)는 체결 특징부(277)의 길이가 종동 부재(270)의 길이에 수직인 축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각도이며, 약 30도 내지 약 75도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특징부 각도(A4)는 약 56도일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7a 내지 도 7c의 예시적인 홀더(210)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a는 슬리브(220)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전에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도 7c 참조). 도 11b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c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 직전의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d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e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될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f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의 예시적인 록아웃 메커니즘(390)의 개략도이다.
도 11a에서, 흡입기 물품(150)(도 7c 참조)는 슬리브(220) 내에 수용되고, 종동 부재(270)는 가이드(3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고 초기 측방향 배향(282)에 상주한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에서 슬리브(220)에 고정되고, 자유 또는 제2 단부(274)로 연장된다. 가이드(380)는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380)와 접촉하도록 이동되었다는 가청 표시를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1b에서, 가이드(380)는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가이드(380)의 제1 경로 또는 에지를 따라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이동시키거나 편향시킨다. 슬리브(22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3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1c에서, 슬리브(220)는 제2 위치 직전의 위치로 이동되고,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는 가이드(380)에 의해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d에서, 슬리브(220)는 제2 위치에 있고, 가이드(3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된다. 가이드(380)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청음은 가이드(380)를 지나거나 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종동 부재 제2 단부(274)에 의해 생성된다. 가청음은 캡슐이 활성화되었음을 소비자에게 나타낸다.
도 11e에서, 가이드(380)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2 측방향으로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이동시키거나 편향시킨다. 제2 측방향은 제1 측방향에 대향한다. 가이드(380)는 슬리브(220)가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경로를 따라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11f에서, 종동 부재는 제1 위치로 복귀하였고, 이제 유지 섹션(292)에 유지된다. 유지 섹션(292)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유지 섹션(292)에 도달할 때 슬리브(220)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유지 섹션(292) 내에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된다. 유지 섹션(292)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의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배열된 접경 표면(29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경 표면(294)은 종동 부재 제2 단부(274)가 흡입기 물품(150)의 활성화 후 슬리브(2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흡입기 물품(150)이 슬리브(220)로부터 제거된 후, 종동 부재 제2 단부(274)는 가이드와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고, 따라서 슬리브(220)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종동 부재(270)는 초기 측방향 배향(282)으로 복귀하여 흡입기 물품(150)과 같은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는 것은 도 11a에 도시된 배열에 록아웃 메커니즘(390)을 배치하고 공정은 추가 흡입기 물품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가이드(380)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380)는 홀더(21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거나, 가이드(380)는 홀더(21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요소이다. 이 예에서,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팁 체결 특징부(37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체결 특징부(377)는 사변형 형상을 정의한다. 이러한 형상은 유지 섹션(292)에 유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가이드(280)의 표면 상에 팁 체결 특징부가 포획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흡입기 물품이 슬리브(220) 내에 수용될 때 가이드(380)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제2 단부(274)는 제2 단부(274)가 가이드(380)와 접촉하는 동안 슬리브(22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가이드(380)의 주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도 12a는 "에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가이드(380)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분의 개략도이다. 제1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380)와 먼저 접촉할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380)의 제1 부분이다. 제2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380)의 제1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380)의 부분이다. 제3 부분은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380)의 제2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380)의 부분이다. 제4 부분은 유지 섹션과 접촉하기 전에, 종동 부재(270)가 가이드(380)의 제3 부분과 접촉한 채로 있을 때 종동 부재(270)가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380)의 부분이다.
도 12a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1)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1)를 도시한다. 인장 속도 각도(A1)는 가이드(380)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1)는 제1 부분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도 12b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2)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2)를 포함하는 도 12a의 예시적인 가이드(380)의 개략도이다. 인장 속도 각도(A2)는 가이드(380)의 제3 부분과 제4 부분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2)는 제3 부분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도 12c는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3) 및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3)를 포함하는 도 12a 및 도 12b의 예시적인 가이드(380)의 개략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각도(A3)는 제4 부분과 유지 섹션 표면 사이의 각도이다. 종동 부재 인장 속도 거리(D3)는 유지 섹션 표면을 따라 종동 부재(270)에 의해 주행되는 측방향 거리이다.
활성화 각도(A1)는 약 10도 내지 약 3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각도(A1)는 약 15도이다. 활성화 거리(D1)는 약 0.5 mm 내지 약 2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거리(D1)는 약 1.2 mm이다.
복귀 각도(A2)는 약 10도 내지 약 3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복귀 각도(A2)는 약 15도이다. 복귀 거리(D2)는 약 1 mm 내지 약 3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복귀 거리(D2)는 약 1.7 mm이다.
유지 각도(A3)는 약 10도 내지 약 90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각도(A3)는 약 65 내지 70도이다. 유지 거리(D3)는 약 0.2 mm 내지 약 1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거리(D3)는 약 0.45 mm이다.
도 13a는 예시적인 슬리브(22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의 사시도이다.
종동 부재(270)는 제1 단부(272)와 제2 단부(274) 사이에서 연장된다. 종동 부재(270)는 슬리브 축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단부(272)는 슬리브(220)에 결합되거나, 슬리브(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동 부재(270)의 제2 단부(274)는 팁 체결 특징부(37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체결 특징부(377)는 사변형 형상을 갖는다. 사변형 형상은 주요 길이방향 축(278)을 갖는다. 체결 특징부 각도(A4)는 체결 특징부(277)의 길이가 종동 부재(270)의 길이에 수직인 축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각도이며, 약 0도 내지 약 45도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특징부 각도(A4)는 약 10 내지 15도일 수 있다.

Claims (14)

  1. 흡입기 물품용 홀더로서,
    하우징 공동 내에 위치된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흡입기 물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 가능한, 슬리브;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슬리브 내에 수용된 상기 흡입기 물품을 관통하도록 배열된 관통 요소; 및
    가이드, 상기 슬리브와 결합된 종동 부재, 및 유지 섹션을 포함하는 록아웃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유지 섹션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유지 섹션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했을 때 상기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따라서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흡입기 물품이 상기 슬리브 공동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가이드와 인터페이스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도록 배열되는,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흡입기 물품이 상기 슬리브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흡입기 물품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흡입기 물품은 상기 종동 부재를 상기 중립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는,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중립 위치 내의 슬리브 공동 내에서 연장되는,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흡입기 물품이 상기 슬리브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가요성인,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흡입기 물품이 상기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가이드 또는 상기 유지 섹션과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도록 상기 중립 위치를 향해 편향되는, 홀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슬리브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종동 부재를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초기 측방향 배향을 향해 편향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하도록 형상화되는,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 및 상기 가이드는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초기 측방향 배향으로 복귀할 때 가청음을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홀더.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종동 부재를 상기 가이드에 의해 제2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홀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섹션은 상기 종동 부재가 상기 유지 섹션에 도달할 때 상기 슬리브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상기 유지 섹션 내에 상기 종동 부재를 유지하도록 형상화되는, 홀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부재는 상기 슬리브와 결합된 세장형 부재인,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홀더.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채널을 포함하는, 홀더.
KR1020227012590A 2019-11-08 2020-11-02 이중 활성화 방지 KR202200931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8176 2019-11-08
EP19208176.8 2019-11-08
PCT/IB2020/060270 WO2021090143A1 (en) 2019-11-08 2020-11-02 Double activation prev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107A true KR20220093107A (ko) 2022-07-05

Family

ID=6850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590A KR20220093107A (ko) 2019-11-08 2020-11-02 이중 활성화 방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47406A1 (ko)
EP (1) EP4054683B1 (ko)
JP (1) JP2023501143A (ko)
KR (1) KR20220093107A (ko)
CN (1) CN114599416B (ko)
IL (1) IL292606A (ko)
WO (1) WO20210901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8459B (it) * 1989-02-23 1991-06-19 Phidea S R L Inalatore con svuotamento regolare e completo della capsula.
AU2012269770B2 (en) * 2011-06-17 2015-04-16 Shl Medical Ag Injection device
PL2902058T3 (pl) * 2011-08-31 2020-11-02 Shl Medical Ag Urządzenie wstrzykujące
ES2589260T5 (es) * 2011-11-21 2022-07-15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ractor para un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EP3294391A1 (en) * 2015-05-12 2018-03-21 Cipla Europe NV Inhaler device
CN108697850B (zh) * 2015-11-27 2021-06-11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药剂输送装置
CN108495679B (zh) * 2015-11-27 2021-05-25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药物注射装置
CA3022449A1 (en) * 2016-07-07 2018-01-11 Philip Morris Products S.A. Nicotine inhal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99416B (zh) 2023-12-22
EP4054683C0 (en) 2024-01-03
CN114599416A (zh) 2022-06-07
EP4054683A1 (en) 2022-09-14
WO2021090143A1 (en) 2021-05-14
IL292606A (en) 2022-07-01
JP2023501143A (ja) 2023-01-18
US20220347406A1 (en) 2022-11-03
EP4054683B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34720B1 (en) Holder for inhaler article
EP4048105B1 (en) Inhaler article with open distal end, and inhaler system
US20220387737A1 (en) Inhaler article with folded distal end
EP4048354B1 (en) Inhaler article with tangential airflow end element
KR20220093107A (ko) 이중 활성화 방지
US20240122239A1 (en) Holder with double activation prevention
EP4048355B1 (en) Holder for inhaler article
RU2798557C2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изделия в виде ингалятор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