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700A -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700A
KR20220092700A KR1020200183256A KR20200183256A KR20220092700A KR 20220092700 A KR20220092700 A KR 20220092700A KR 1020200183256 A KR1020200183256 A KR 1020200183256A KR 20200183256 A KR20200183256 A KR 20200183256A KR 20220092700 A KR20220092700 A KR 2022009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refrigerant
closing device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선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20018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2700A/ko
Publication of KR2022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7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lyophilisation;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5/00Preservation of eggs or egg products
    • A23B5/02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산물 제습건조기에서 건조실을 빠져나온 건조공기가 항상 순환덕트를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에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실; 건조공기가 상기 건조실을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덕트; 상기 건조공기가 상기 송풍덕트를 따라 순환하도록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덕트 내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경유하며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로부터 빠져나온 건조공기의 열을 상기 증발기에서 흡수하고, 이때 건조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증발기 표면에 응축시켜 제습하며,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을 응축기를 통하여 건조공기에 전달하여 재가열하는 냉동싸이클; 상기 송풍덕트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거나 모두 다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증발기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제습건조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송풍덕트에서 증발기와 응축기의 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습건조기의 건조실 내에는 온도와 상대습도를 계측하는 센서, 건조실 외부에는 냉동시스템의 냉매 고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이들 센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가열, 냉각, 제습 및 냉각제습+재가열 중에서 어떠한 작동모드가 필요한지를 연산하고 판단하여 냉동싸이클과 증발기 및 응축기의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송풍팬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반이 구비된다.

Description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Dehumidifying drye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마늘, 양파, 과실, 김, 멸치, 생선, 육류 등의 농수축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는 건조실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로 냉각하면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제습냉풍을 다시 응축기로 재가열하여서 제습온풍을 건조실에 송풍함으로써 농수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습건조기는 건조실에서 발생된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지 않고 재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열풍건조에 비해 건조공기의 온도를 낮추어서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건조물의 건조 품위가 열풍건조에 비해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제습건조기는 건조실을 빠져나온 고온다습한 건조공기가 순환덕트를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건조공기를 가열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증발기에서 건조공기를 냉각시켰다가 다시 응축기로 가열하게 되고, 건조공기를 냉각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증발기로 냉각시킨 후에 다시 응축기로 재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제습건조기는 온도를 조절하는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비하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습건조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조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제습건조기에서 건조실을 빠져나온 고온다습한 건조공기가 순환덕트를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에서는 온도를 설정하여 제어하면 상대습도와는 관계없이 온도가 목표값에 도달하면 냉동시스템이 정지하고, 상대습도를 설정하여 제어하면 온도와는 관계없이 상대습도가 목표값에 도달하면 냉동시스템이 정지하므로, 온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제습건조기는 건조가 진행되면서 실내온도가 상승되어 장시간 고온에서 운전하면서 냉동시스템의 냉매 고압이 상승된다. 이때 냉매 고압이 안전범위를 넘어서면 냉동시스템이 정지되고, 심하게 반복되면 압축기가 사용불능 상태가 되는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억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건조기의 외부에 응축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압축기 과열시에 응축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 압축기에 액인젝션을 설치하여 압축기 과열을 억제하는 방법,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바이패스시켜 과열을 억제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채택은 냉동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제작비도 상승되며, 냉공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산물 제습건조기에서 건조실을 빠져나온 건조공기가 항상 순환덕트를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에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실; 건조공기가 상기 건조실을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덕트; 상기 건조공기가 상기 송풍덕트를 따라 순환하도록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덕트 내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경유하며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로부터 빠져나온 건조공기의 열을 상기 증발기에서 흡수하고, 이때 건조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증발기 표면에 응축시켜 제습하며,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을 응축기를 통하여 건조공기에 전달하여 재가열하는 냉동싸이클; 상기 송풍덕트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거나 모두 다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공기흐름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송풍덕트에서 증발기 입구의 공기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장치, 응축기 입구의 공기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장치와 제1 내지 제2 개폐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습건조기의 건조실 내에는 온도와 상대습도를 계측하는 센서, 건조실 외부에는 냉동시스템의 냉매 고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이들 센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가열, 냉각, 제습 및 냉각제습+재가열 중에서 어떠한 작동모드가 필요한지를 연산하고 판단하여 냉동싸이클과 증발기 및 응축기의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송풍팬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반이 구비된다.
일반적인 제습건조기에서 건조실을 빠져나온 고온다습한 건조공기가 순환덕트를 따라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제습건조기에서는 순환덕트 내에 설치된 증발기와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건조실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져 피건조물의 건조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수 있으며, 건조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압축기 과열에 대한 안전장치로서 별도의 복잡한 냉동싸이클을 구성하지 않고서도 과열해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동싸이클이 적용된 제습건조기의 개략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습’ 모드에서의 공기흐름 개폐장치 상태도 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습+재가열)’ 모드에서의 공기흐름 개폐장치 상태도 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모드에서의 공기흐름 개폐장치 상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습’ 모드에서 응축기 과열시 공기흐름 개폐장치 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냉각제습+재가열)’모드에서 응축기 과열시 공기흐름 개폐장치
상태도 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건조기 제어흐름도 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산물 제습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제습건조기는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건조실(15)과, 건조공기가 건조실(15)을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송풍덕트(1)와, 송풍덕트(1)를 따라 순환공기를 불어주는 송풍팬(4)과, 송풍덕트(1)를 따라 순환하는 건조공기가 통과하도록 송풍덕트(1)에 직렬로 설치된 증발기(3)와 응축기(2)를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포함한다.
냉동싸이클은 냉매가 압축기(9)와 응축기(2)와 증발기(3)를 경유하여 순환하도록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배관(8)과, 증발기(3) 앞단의 냉매배관(8)에 설치되는 팽창밸브(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동싸이클은 건조실(15)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3)로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제습냉풍을 다시 응축기(2)로 재가열하여서 건조실(15)에 송풍함으로써 농수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농수산물을 건조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도1에서와 같이, 송풍덕트(1)로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3)와 응축기(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하거나, 증발기(3)와 응축기(2)를 모두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와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습건조기의 건조실(15) 내에는 온도와 상대습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12)와 상대습도센서(13), 건조실(15) 외부에는 냉동싸이클의 냉매 고압을 측정하는 고압센서(14)가 구비되고, 이들 센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가열, 냉각, 제습 및 냉각제습+재가열 중에서 어떠한 작동모드가 필요한지를 연산하고 판단하여 냉동싸이클과 증발기(3)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와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 및 송풍팬(4)을 제어하는 원격제어반(11)이 구비된다.
도1의 제습건조기 개략도와 도7의 제습건조기 제어흐름도로부터 본 발명의 제습건조기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원격제어반(11)에서는 건조실(15)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12)와 상대습도센서(13) 및 건조실(15) 외부의 냉동싸이클에 설치된 고압센서(14)로부터 받은 신호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 및 상대습도를 비교하여 건조기 작동모드를 ‘냉각제습’, ‘냉각제습+재가열’, ‘가열’, 중에서 한 가지가 선정된다. ‘냉각제습’모드가 선정되면 송풍덕트(1)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를 닫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를 열어준다. 도2는 ‘냉각제습’ 모드에서의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의 상태도이다. 이어서, 냉매 고압센서(14)의 신호로부터 압축기(9)가 과열상태로 판단되면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를 열어주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를 닫아주어 과열을 해소시킨다. 도5는 ‘냉각제습’ 모드에서 압축기(9) 과열시의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의 상태도이다.
건조기 작동모드가 ‘냉각제습+재가열’모드로 선정되면 송풍덕트(1)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를 닫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도 닫아준다. 도3는 ‘냉각제습+재가열’ 모드에서의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의 상태도이다.
이어서, 냉매 고압센서(14)의 신호로부터 압축기(9)가 과열상태로 판단되면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를 열어주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를 닫아주어 과열을 해소시킨다. 도6은 ‘냉각제습+제가열’ 모드에서 압축기(9) 과열시의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의 상태도이다.
건조기 작동모드가 ‘가열’모드로 선정되면 송풍덕트(1)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를 열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를 닫아 준다. 도4는 ‘가열’ 모드에서의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6) 및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5)의 상태도이다.
1 : 송풍덕트
2 : 응축기
3 : 증발기
4 : 송풍팬
5 :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
6 :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
7. 팽창밸브
8. 냉매배관
9. 압축기
10. 수액기
11. 원격제어반
12. 온도센서
13. 상대습도 센서
14. 냉매 고압센서
15. 건조실

Claims (6)

  1.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실;
    건조공기가 상기 건조실을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덕트;
    상기 건조공기가 상기 송풍덕트를 따라 순환하도록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덕트 내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경유하며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로부터 빠져나온 건조공기의 열을 상기 증발기에서 흡수하고, 이때 건조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증발기 표면에 응축시켜 제습하며,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을 응축기를 통하여 건조공기에 전달하여 재가열하는 냉동싸이클; 상기 송풍덕트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거나 모두 다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 및 응축기 공기흐름 개폐장치 ;
    건조실 내에 구비된 온도센서와 상대습도 센서;
    건조실 외부에는 냉동싸이클 냉매배관 상에 설치되어 냉매 압력을 측정하는 냉매 고압센서;
    상기의 온도, 상대습도 센서로 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가열, 냉각, 제습 및 냉각제습+재가열 중에서 어떠한 작동모드가 필요한지를 연산하고 판단하여 냉동싸이클과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응축기의 공기흐름 개폐장치 및 송풍팬를 제어하고, 상기의 냉매 고압센서로 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압축기 과열여부를 판단하여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응축기의 공기흐름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반;
    을 포함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건조기는,
    건조실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대습도센서 및 건조실 외부의 냉동싸이클에 설치된 고압센서로부터 받은 신호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 및 상대습도를 비교하여 건조기 작동모드를 ‘냉각제습’, ‘냉각제습+재가열’, ‘가열’ 중에서 한 가지 모드를 선정하며;
    ‘냉각제습’모드가 선정되면 송풍덕트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닫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열어주어 건조실 내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조절하며;
    ‘냉각제습’ 모드에서 냉매 고압센서의 신호에 의해 압축기가 과열상태로 판단되면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열어주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닫아주어 과열을 해소시키며;
    건조기 작동모드가 ‘냉각제습+재가열’모드로 선정되면 송풍덕트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닫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도 닫으며;
    냉매 고압센서의 신호로부터 압축기가 과열상태로 판단되면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열어주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닫아주어 과열을 해소시키며;
    건조기 작동모드가 ‘가열’모드로 선정되면 송풍덕트에 설치된 증발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열고, 응축기 공기유로 개폐장치를 닫아 주는;
    기능을 하는 원격제어반;
    을 포함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는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싸이클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와 수액기 및 팽창변과 증발기를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유로 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
    상기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증발기에서 빠져나온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로 전달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빠져나온 냉매를 한 곳에 모으고 필요한 만큼의 액냉매가 증발기로 보내지게 하는 수액기;
    상기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수액기에서 나온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로 전달하는 팽창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구비한 제습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응축기 공기흐름 개폐장치는 상기 송풍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구비한 제습건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응축기 공기흐름 개폐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구비한 제습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증발기 공기흐름 개폐장치와 응축기 공기흐름 개폐장치는,
    상기 공기유로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구비한 제습건조기.
KR1020200183256A 2020-12-24 2020-12-24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92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56A KR20220092700A (ko) 2020-12-24 2020-12-24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56A KR20220092700A (ko) 2020-12-24 2020-12-24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700A true KR20220092700A (ko) 2022-07-04

Family

ID=8239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56A KR20220092700A (ko) 2020-12-24 2020-12-24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27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2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cy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JP3321945B2 (ja) 衣類乾燥機
KR100304458B1 (ko) 건조겸 냉장창고
KR100737006B1 (ko) 의류 건조 장치
EP2460928B1 (en)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dryer and heat pump dryer
CN105972764A (zh) 杀菌方法及杀菌装置、空调器
WO2004090431A1 (ja) 乾燥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10597332B (zh) 烤房干湿球温度控制方法及烤房干湿球温度控制系统
KR10145246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US20130340278A1 (en)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dryer and heat pump dryer
WO2012072625A2 (en)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dryer and heat pump dryer
JP6200241B2 (ja) 乾燥装置
CN103850110A (zh) 一种热泵干衣机控制方法及热泵干衣机
KR20180060433A (ko) 식품 건조기
KR20110029579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 제어방법
CN110093759B (zh) 用于干燥洗涤物的器具和用于运行该器具的热泵的方法
KR20220092700A (ko) 농수축산물 제습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1636711B1 (ko) 건조기
KR101874688B1 (ko) 농수산물용 건조장치
KR102343077B1 (ko) 증발압력 보상과 과열보상이 가능한 건조 장치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181537B1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 제어방법
JP2000346429A (ja) バスルームにおける除湿乾燥システム
KR101977032B1 (ko)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