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160A - 전계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160A
KR20220090160A KR1020200181103A KR20200181103A KR20220090160A KR 20220090160 A KR20220090160 A KR 20220090160A KR 1020200181103 A KR1020200181103 A KR 1020200181103A KR 20200181103 A KR20200181103 A KR 20200181103A KR 20220090160 A KR20220090160 A KR 2022009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disposed
displa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고정훈
최태훈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160A/ko
Publication of KR2022009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6Filters comprising particles embedded in a solid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01L27/322
    • H01L27/323
    • H01L27/3232
    • H01L27/3246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이 출원은 표시 품질을 향상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표시층, 봉지층, 사반파장 지연 필름, 수평 배향 염료층, 수직 배향 염료층 및 커버 기판을 포함한다. 표시층은, 기판 위에 배치된다. 봉지층은, 표시층을 덮는다. 사반파장 지연 필름은, 봉지층 위에 배치된다. 수평 배향 염료층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 위에 배치된다. 수직 배향 염료층은, 수평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다. 커버 기판은, 수직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이 출원은 표시 품질을 향상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출원은 외부에서 표시 패널로 입사한 빛이 반사되는 것을 극소화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소자(Luminescent Display)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발전하고 있다. 이 같이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는 각각의 고유 특성에 맞춰 컴퓨터, 휴대폰, 은행의 입출금장치(ATM) 및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영상 데이터 표시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발광 표시장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시야각 및 색 구현도와 같은 광학적 성능이 우수하여, 점차 그 응용 분야가 넓어지며, 영상 표시장치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빛이 금속성 배선 혹은 애노드 전극이나 캐소드 전극에서 반사되어 자발광에 의한 표시광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악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편광 소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편광 소자는 자발광 표시광의 광량도 저하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휘도를 내기 위한 고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사용 전력을 높이며, 소자의 수명을 단축 시키는 문제도 야기한다. 또한, 편광 소자를 적용하는 경우, 시야각 범위에서 반사광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 출원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광의 반사를 최대한 억제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출원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에 구비된 다양한 전극, 배선 및 터치 전극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발생하는 무지개 난반사 광을 억제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시야각 범위에서 외부 광의 반사는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자발광 표시광의 휘도는 유지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표시층, 봉지층, 사반파장 지연 필름, 수평 배향 염료층, 수직 배향 염료층 및 커버 기판을 포함한다. 표시층은, 기판 위에 배치된다. 봉지층은, 표시층을 덮는다. 사반파장 지연 필름은, 봉지층 위에 배치된다. 수평 배향 염료층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 위에 배치된다. 수직 배향 염료층은, 수평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다. 커버 기판은, 수직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다.
일례로, 기판은, 제1 축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구비한다. 수평 배향 염료층은, 제1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광 흡수축을 갖는다. 수직 배향 염료층은, 기판의 표면에 수직하는 제3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광 흡수축을 갖는다.
일례로, 수평 배향 염료층은,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들을 구비한다.
일례로, 수직 배향 염료층은, 수직 배향된 흑색 이색성 염료 입자를 구비한다.
일례로, 수직 배향된 흑색 이색성 염료는, 적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1 이색성 염료, 녹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2 이색성 염료, 그리고 청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3 이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일례로, 표시층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구동 소자층, 구동 소자층을 덮는 평탄화 막, 평탄화 막 위에 배치되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에서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애노드 전극 위에 배치된 발광층, 그리고 뱅크 및 발광층 위에 배치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일례로, 뱅크는, 블랙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봉지층과 사반파장 지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칼라 필터층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봉지층과 사반파장 지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터치 전극층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봉지층은, 제1 무기막, 제1 무기막 위에 배치된 유기막, 유기막 위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은,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및 산질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일례로, 유기막은, 자외선 차단 물질과 광산란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 출원에 의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편광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광의 반사를 최대한 억제하여, 양질의 표시 품질을 제공한다. 또한, 표시 패널에 구비된 배선 및 전극들에 의해 외부광이 난반사되어 발생하는 무지개 현상을 억제하여 양질의 표시 품질을 제공한다. 더욱이, 자발광 표시광은 광량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높은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야 방향에서는 협 시야각을 갖지만, 주로 사용하는 시야 방향에서는 광 시야각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한 화소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 출원에 의한 화소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를 따라 도시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취선 I-I'으로 자른,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를 극소화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외부 광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반사광의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표시광의 광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표시광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시야각이 조절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c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이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이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여기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출원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이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 출원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이 출원에 의한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X축은 스캔 배선과 나란한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데이터 배선과 나란한 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표시 장치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출원에 의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10), 게이트(혹은 스캔) 구동부(210), 데이터 패드부(310), 소스 구동 집적회로(410), 연성필름(430), 회로 보드(450), 및 타이밍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절연 물질, 또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가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인 경우, 기판(11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기판(110)의 중앙부를 포함한 대부분 영역에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영역(DA)에는 스캔 배선들(혹은 게이트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및 화소들이 형성된다. 화소들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서브 화소들은 각각 스캔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DA)의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도록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구동부(210)와 데이터 패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스캔 배선들에 스캔(혹은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베이스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의 일측 바깥쪽의 비표시 영역(NDA)에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GIP 방식은 게이트 구동부(210)가 기판(110)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일컫는다.
데이터 패드부(310)는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한다. 데이터 패드부(310)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연성 필름(430)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의 일측 바깥 쪽의 비표시 영역(NDA)에 부착될 수 있다.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는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는 소스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배선들에 공급한다.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가 칩으로 제작되는 경우,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연성 필름(430)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 필름(430)에는 데이터 패드부(310)와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를 연결하는 배선들, 데이터 패드부(310)와 회로 보드(450)를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필름(43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드부(310)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데이터 패드부(310)와 연성 필름(430)의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450)는 연성 필름(430)들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보드(450)는 구동 칩들로 구현된 다수의 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보드(450)에는 타이밍 제어부(510)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 보드(450)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510)는 회로 보드(450)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는다. 타이밍 제어부(510)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부(510)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구동부(210)에 공급하고, 소스 제어신호를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들에 공급한다. 제품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510)는 소스 구동 집적 회로(410)와 한 개의 구동 칩으로 형성되어 기판(110)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한 화소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 출원에 의한 화소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를 따라 도시한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한 종류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표시장치의 한 화소(P)는 스캔 배선(SL), 데이터 배선(DL) 및 구동 전류 배선(VDD)에 의해 정의된다. 발광 표시장치의 한 화소 내부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발광 다이오드(OLE) 그리고 보조 용량(Cst)을 포함한다. 구동 전류 배선(VDD)은 발광 다이오드(OLE)를 구동하기 위한 고 전위 전압이 인가된다.
기판(SUB) 위에는 표시층(EL)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층(EL)은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을 구비한 구동 소자층, 그리고 구동 소자층 위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OLE)를 포함한다.
기판(SUB) 위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는 스캔 배선(SL)과 데이터 배선(DL)이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SG), 스위칭 소스 전극(SS)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을 포함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SG)은 스캔 배선(SL)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SS)은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되며,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연결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구동 시킬 화소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를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구동 게이트 전극(DG), 구동 소스 전극(DS) 및 구동 드레인 전극(DD)을 포함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DG)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의 스위칭 드레인 전극(SD)에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DS)은 구동 전류 배선(VDD)에 연결되며, 구동 드레인 전극(DD)은 발광 다이오드(OLE)의 애노드 전극(ANO)에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게이트 전극(DG) 일부와 발광 다이오드(OLE)의 애노드 전극(ANO) 일부가 중첩한 부분에 보조 용량(Cst)이 배치된다.
도 4에서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 전극(SG, DG)이 기판(SUB) 위에 먼저 형성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게이트 전극(SG, DG)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적층되며, 게이트 절연막(GI) 위에 반도체 층(SA, DA)가 형성된다. 또한, 반도체 층(SA, DA)의 양측변에는 각각 소스 전극(SS, DS)과 드레인 전극(SD, DD)가 형성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위에는 평탄화 막(PL)이 도포되어 있다. 평탄화 막(PL)은 박막 트랜지스터(ST, DT)가 형성된 기판(SUB)의 상부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표면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탄화 막(PL)은 유기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평탄화 막(PL)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무기막과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구동 전류 배선(VDD)과 발광 다이오드(OLE)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구동 전류 배선(VDD)으로부터 발광 다이오드(OLE)로 흐르는 전류량를 조정한다.
발광 다이오드(OLE)는 애노드 전극(ANO),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OLE)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의해 조절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다시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OLE)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의해 조절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량이 정해지는 방식으로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OLE)의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드레인 전극(DD)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CAT)은 저 전위 전압이 공급되는 저전원 배선(VSS)에 접속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OLE)는 저 전위 전압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의해 조절된 고 전위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들(ST, DT)을 덮는 평탄화 막(PL) 위에는 애노드 전극(ANO)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 전극(ANO)은 평탄화 막(PL)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구동 드레인 전극(DD)에 연결되어 있다. 애노드 전극(ANO) 위에는 뱅크(BN)가 형성되어 있다. 뱅크(BN)는 애노드 전극(ANO)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중앙부 대부분을 노출하여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뱅크(BN)와 노출된 애노드 전극(ANO)의 표면 위에는 발광층(OL)이 적층되어 있다. 발광층(OL)은 백색광을 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기판(SUB)의 표시 영역(DA) 전체에 걸쳐 연결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발광층(OL)은 뱅크(BN)에 의해 정의된 발광 영역의 애노드 전극(ANO)과 접촉하도록 분리되어 적층될 수도 있다.
발광층(OL)의 상부에는 캐소드 전극(CAT)이 적층되어 있다. 뱅크(BN)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 전극(ANO), 애노드 전극(ANO)과 접촉하는 발광층(OL) 그리고 캐소드 전극(CAT)이 발광 다이오드(OLE)를 형성한다.
발광 다이오드(OLE)가 형성된 기판(SUB)의 상부 표면에는 봉지층(EN)이 더 적층되어 있다. 봉지층(EN)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OLE)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봉지층(EN)은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및 제2 무기막(PAS2)가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무기막(PAS1) 및 제2 무기막(PAS2)는 가스 및 수분의 침투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산화 실리콘(SiOx),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질화 실리콘(SiON)과 같은 무기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유기막(PCL)은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한 입자들을 덮어서 표시 소자들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하부 기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하부 기판은, 기판(SUB)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ST, DT)와 같은 구동 소자와 발광 다이오드(OLE)와 같은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을 의미한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로, 20인치 미만의 소형 표시장치의 경우, 하부 기판 위에 봉지층을 적층하고, 커버 기판을 부착하여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20인치 이상의 대형 표시장치의 경우, 칼라 필터를 구비한 상부 기판을 형성한 후, 하부 기판과 합착하여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또는, 봉지층 위에는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전극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외광 반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 출원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절취선 I-I'으로 자른,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SUB), 표시층(EL), 봉지층(EN), 칼라 필터층(CF), 터치 전극층(TL), 외광 반사 방지층(500) 및 커버 기판(CP)을 구비한다. 기판(SUB) 위에는 다수 개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표시층(EL)은 다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되며, 각 화소에는 구동 소자와 발광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봉지층(EN)은 표시층(EL)을 완전히 덮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봉지층(EN)은, 도 4와 같이, 제1 무기막(PAS1), 유기막(PCL) 및 제2 무기막(PA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PAS1) 및 제2 무기막(PAS2)은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혹은 산질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PCL)은 유기 물질로 형성하되, 자외선 차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막(PCL)은 광 산란 혹은 광 분산성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은, 표시층(EL)에 형성되는 뱅크(BN)를 흑색 유기 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흑색 유기 물질로 배선 부분을 덮도록 뱅크(BN)를 형성하여,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나, 자외선으로 뱅크(BN)의 광 차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봉지층(EN)의 유기막(PCL)에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산란 입자는 외부광을 산란 시킴으로써, 반사율을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산란 입자를 표시층(EL)을 덮는 봉지층(EL)에 배치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산란시켜, 반사되는 외광의 광량을 줄일 수 있다.
칼라 필터층(CF)은 봉지층(EN) 위에서 각 화소들에 대응하는 고유의 색상을 갖는 칼라 필터들이 배치될되어 있다. 터치 전극층(TL)은 표시 장치의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소자이다. 칼라 필터층(CF)과 터치 전극층(TL)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광 반사 방지층(500)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 수평 배향 염료층(200) 및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구비한다.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은 이를 통과하는 빛의 파장을 ð/4 지연하는 광학 필름일 수 있다. 선편광이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을 통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환되며, 원편광이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을 통과하면,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 위에 적층되어 있다.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2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색성 염료 입자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길이가 긴 분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색성 염료는, 특정한 방향에 대한 광 흡수가 다른 방향에 대한 광 흡수보다 높은 분자이다. 예를 들어, 이색성 염료 분자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흡수하고, 단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색성 염료 분자를 양(positive) 이색성 염료라고 한다. 또한, 이색성 염료 분자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투과하고, 단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색성 염료 분자를 음(negative) 이색성 염료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양 이색성 염료로 설명한다.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X축(혹은 0도 방향)에 장축이 대응하고, Y축(혹은 90도 방향)에 단축이 대응하도록 배열된 이색성 염료 분자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X축에 장축이 대응하고, Y축에 단축이 대응하도록 배열된 액정층과 방향성이 없는 염료 분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 배향 염료층(300)은, 수평 배향 염료층(200) 위에 적층되어 있다. 수직 배향 염료층(300)은, 수직 배향된 흑색 이색성 염료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배향은, 기판(SUB)이 배치된 XY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수직 배향 염료층(300)은 Z축 방향으로 장축이 대응하고, 단축은 XY 평면상에 놓이도록 배친 흑색 이색성 염료 입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색성 염료는 장축 방향에서 적색 파장, 녹색 파장 및 청색 파장을 모두 흡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이색성 염료는 그 흡수축에서 흡수하는 빛의 파장대가 협소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직 배향 염료층(300)은 적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1 이색성 염료, 녹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2 이색성 염료 및 청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3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기판(CP)은 외광 반사 방지층(500)의 상부 표면 위에 적층되어 있다. 커버 기판(CP)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그 아래에 배치된 표시층(EL)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버 기판(CP)은 표시층(EL)에서 제공하는 자발광 표시광을 광학적 왜곡 없이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커버 기판(CP)은 강성이 높은 투명한 유리 혹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 출원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외부광의 반사를 극소화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도 7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를 극소화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층을 투과하는 외부 광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층을 투과하는 반사광의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수직 배향 염료층(300)의 상부에서 외부 광(10)이 입사된다. 외부 광(10)은 모든 방향의 선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즉, 외부 광(10)은 X축에 평행한 0도 방향 선편광 성분과 Y축에 평행한 90도 방향 선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0도에서 90도 사이의 모든 방향의 선 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선 편광 성분인 0도 방향과 90도 방향만 도시하였다.
입사하는 외부 광(10)은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통과하면, 편광 성분에는 변화 없이 광량만 줄어든 투과 광(20)이 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0도에서 90도 사이의 모든 선편광 성분을 갖는 외부 광(10)은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단축 방향으로 통과한다.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은 Z축을 따라 흡수축(Absorbing Axis)이 배열된다. 따라서, 외부 광(10)은 거의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이 투과된다. 도 8a에서는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투과한 투과 광(20)은 광량이 다소 줄어들 수 있다. 도 8a에서는 광량이 줄어든 것을 나타내기 위해 외부 광(10)의 크기보다 작은 화살표로 투과 광(20)을 나타내었다.
투과 광(20)은 수평 배향 염료층(200)을 투과하여, 제1 선편광(30)으로 변환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X축(0도 방향)을 따라 흡수축(Absorbing Axis)가 배열된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201)를 구비한다. 따라서, 투과 광(20)에서 X축(0도 방향)의 선 편광 성분들을 모두 흡수되고, Y축(90도 방향)의 선 편광 성분만 투과하여 제1 선편광(30)이 된다.
제1 선편광(30)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을 통과하면서, 우원 편광(40)으로 바뀔 수 있다. 우원 편광(40)은 표시층(EL)에서 반사된다. 이 때 우원 편광(40)은 좌원 편광(50)으로 그 편광 방향이 바뀐다. 좌원 편광(50)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을 통과하면서, X축(0도 방향)으로 선 편광 성분이 바뀐 제2 선편광(60)이 된다.
제2 선편광(60)은 수평 배향 염료층(200)을 투과하지 못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선편광(60)은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201)의 광 흡수축(Absorbing Axis)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선편광(60)은 수평 배향 염료층(200)에서 모두 흡수된다. 그 결과, 외부 광(10)은 도 7의 광 경로에 따른 메카니즘에 의해 그 반사광이 모두 제거된다.
이하, 도 10 내지 11a 및 11b를 참조하여, 이 출원에 의한 표시층에서 출광된 표시광의 출광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도 10은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표시광의 광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외광 반사 방지층을 투과하는 표시광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표시층(EL)에 배치된 자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에서 표시광(11)이 출광된다. 표시광(11)은 모든 방향의 선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즉, 표시광(11)은 X축에 평행한 0도 방향 선편광 성분과 Y축에 평행한 90도 방향 선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0도 방향에서 90도 방향 사이의 모든 선편광 성분을 가질 수 있다.
표시광(11)은 사반파장 지연 필름(100)을 통과하여 투과광(22)이 된다. 이 때, 모든 방향의 선편광 성분이 그대로 유지된다. 약간의 광량 감소가 있을 수 있으나,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투과하는 경우와 달리,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광량 그대로 투과될 수 있다.
표시 투과광(22)은 수평 배향 염료층(200)을 통과하여 제1 표시 선편광(33)이 된다. 도 11a를 더 참조하면, 수평 배향 염료층(200)에 포함된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201)는 광 흡수축(Absorbing Axis)이 X축(O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선편광(33)은 X축(O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여기서, 수직 배향 염료층(300)은 완전히 편광 소자와는 다르기 때문에, 일부 Y축(90도 방향)의 선편광 성분이 투과될 수 있다. 도 11a에서는 일부 Y축(90도 방향)의 선편광 성분을 작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제1 표시 선편광(33) 대부분은 X축(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있다.
제1 표시 선편광(33)은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통과하여, 출사광(44)이 된다. 도 11b를 더 참조하면, 수직 배향 염료층(300)에 포함된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는 광 흡수축(Absorbing Axis)이 Z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선편광(33)은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단축 방향으로 입사한다. 그 결과, 제1 표시 선편광(33)은 그대로 투과되어 출사광(44)이 된다. 이 때,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에 의해 일부 광량이 흡수되어 광량이 약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선편광(33)에 포함된 소량의 Y축(90도 방향)의 선편광 성분도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를 투과한다.
이하, 도 12 및 도 13a 내지 13b를 참조하여,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특정 방향에서 시야각이 조절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도 12는 이 출원의 일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시야각이 조절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c는 도 12에서 ⓒ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표시 패널에서 출광된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선편광(33)이 수직 배향 염료층(300)을 통과하여 출사광(44)으로 외부로 제공된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평 배향 염료층(200) 위에 배치된 수직 배향 염료층(300)의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 하나만을 도시하였다. 출사광(44)은 상부 방향으로 진행한다. 특히,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X축 방향으로 배치된 광 흡수축(Absorbing Axis)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표시 선편광(33)은 Y축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있다.
출사광(44) 출광되는 방향에서 정면 방향과 시야각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면 방향은 표시 장치에서 자발광 빛이 출광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시야각 방향은, 정면 방향에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Z축과 +X축 사이의 기울어진 방향은 좌측 시야각 방향으로, +Z축과 -X축 사이의 기울어진 방향은 우측 시야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Z축과 +Y축 사이의 기울어진 방향은 상부 시야각 방향으로, +Z축과 -Y축 사이의 기울어진 방향은 하부 시야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정면 방향을 'ⓐ'로 도시하였고, 우측 시야각 방향을 '+ⓑ'로, 좌측 시야각 방향을 '-ⓑ'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부 시야각 방향을 '+ⓒ'로, 하부 시야각 방향을 '-ⓒ'로 도시하였다. 이 출원에 의하면, 우측 시야각 방향 및 좌측 시야각 방향에서는 광 시야각을 갖는다. 반면에, 상부 시야각 방향 및 하부 시야각 방향에서는 협 시야각을 갖는다. 이에 대한 메카니즘을 이하 도 13a 내지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정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표시 선편광(33)은 편광축이 Y축 방향(0도 방향)이다. 제1 표시 선편광(33)은 수직 배향 염료층(300)의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단축 방향으로 투과된다. 즉,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광 흡수축(Absorbing Axis)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과하므로, 그대로 출사광(44)이 된다. 이 때, 약간의 광량 손실은 있을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우측 시야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표시 선편광(33)은 편광축이 Y축 방향(0도 방향)이다. 제1 표시 선편광(33)이 우측 시야각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단축 방향과 교차한다. 즉,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광 흡수축(Absorbing Axis)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과하므로, 그대로 출사광(44)이 된다.
이 때, 약간의 광량 손실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우측 시야각 방향(+ⓑ)에서는, 시야각도에 상관 없이, 광 손실 없이 출사광(44)이 제공된다. 좌측 시야각 방향(-ⓑ)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표시 선편광(33)이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을 투과하여 출사광(44)이 된다. 그 결과,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X축 상의 시야각 방향(혹은, 수평 시야각 방향)에서는 광 시야각을 갖는다.
도 13c를 참조하면, 상부 시야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표시 선편광(33)은 편광축이 Y축 방향(0도 방향)이다. 제1 표시 선편광(33)이 상부 시야각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장축 방향과 교차한다. 즉,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광 흡수축(Absorbing Axis) 방향으로 투과하므로, 제1 표시 선편광(33)은 흡수되어 출사광(44)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 때, 시야각의 각도에 따라 흡수되는 광량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이 클 수록, 즉, +Z 방향에서 멀어질 수록,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의 광 흡수축에 의해 흡수되는 광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상부 시야각 방향(+ⓒ)에서 +Z 방향에서 일정 시야각까지는 출사광(44)이 제공되지만, 그 이상의 시야각에서는 출사광(44)이 제공되지 않는다.
하부 시야각 방향(-ⓒ)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표시 선편광(33)이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301)에 의해, 일정 시야각까지만 출사광(44)을 제공한다. 그 결과, 이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Y축 상의 시야각 방향(혹은, 수직 시야각 방향)에서는 협 시야각을 갖는다.
X축 방향에서 긴 변을 갖고 Y축 방향에서 짧은 변을 갖는 장방형 구조인, 즉 랜드스케이프(Landscape) 구조인, 표시 장치의 경우, X축 방향으로는 광 시야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Y축 방향으로는 협 시야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X축 방향으로 배치된 광 흡수축(Absorbing Axi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X축 방향에서 짧은 변을 갖고 Y축 방향에서 긴 변을 갖는 장방형 구조인, 즉 포트레이트(Portriates) 구조인, 표시 장치의 경우, X축 방향으로는 협 시야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Y축 방향으로는 광 시야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수평 배향 염료층(200)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광 흡수축(Absorbing Axi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이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이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이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이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이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이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A: 표시 영역 NDA: 비 표시 영역
OLE: 발광 다이오드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ANO: 애노드 전극 OL: 발광층
CAT: 캐소드 전극 EN: 봉지층
PL: 평탄화 막 BN: 뱅크
100: 사반파장 지연 필름 200: 수평 배향 염료층
300: 수직 배향 염료층 500: 외광 반사 방지층
201: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 301: 수직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된 표시층;
    상기 표시층을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배치된 사반파장 지연 필름;
    상기 사반파장 지연 필름 위에 배치된 수평 배향 염료층;
    상기 수평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 수직 배향 염료층; 그리고
    상기 수직 배향 염료층 위에 배치된 커버 기판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1 축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배향 염료층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광 흡수축을 갖고,
    상기 수직 배향 염료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하는 제3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광 흡수축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향 염료층은,
    수평 배향된 이색성 염료 입자들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향 염료층은,
    수직 배향된 흑색 이색성 염료 입자를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향된 흑색 이색성 염료는,
    적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1 이색성 염료;
    녹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2 이색성 염료; 그리고
    청색 파장의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제3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구동 소자층;
    상기 구동 소자층을 덮는 평탄화 막;
    상기 평탄화 막 위에 배치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상기 애노드 전극 위에 배치된 발광층;
    상기 뱅크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는, 블랙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사반파장 지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칼라 필터층을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사반파장 지연 필름 사이에 배치된 터치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위에 배치된 유기막;
    상기 유기막 위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은,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및 산질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자외선 차단 물질과 광 산란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200181103A 2020-12-22 2020-12-22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20090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03A KR20220090160A (ko) 2020-12-22 2020-12-22 전계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03A KR20220090160A (ko) 2020-12-22 2020-12-22 전계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60A true KR20220090160A (ko) 2022-06-29

Family

ID=8227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03A KR20220090160A (ko) 2020-12-22 2020-12-22 전계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1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785B2 (en) Display device
US1077051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olor filters
KR20200036127A (ko) 표시 장치
KR20170079993A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30150939A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CN113903774A (zh) 透明显示装置
KR102579672B1 (ko) 투명 표시 장치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63245B2 (en) Display apparatus
KR20220090160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7470166B2 (ja) 電界発光表示装置
US20220209205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20220293636A1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48979B1 (ko) 표시 장치
KR20210079071A (ko) 표시장치
KR2017007915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01208A (ko)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갖는 상부 발광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20078266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10081595A (ko) 투명표시장치
CN116390589A (zh) 显示装置
KR20230099281A (ko) 상부 발광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20096854A (ko) 표시 장치
KR20220080923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20080924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10079898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