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975A -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 Google Patents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975A
KR20220089975A KR1020200180689A KR20200180689A KR20220089975A KR 20220089975 A KR20220089975 A KR 20220089975A KR 1020200180689 A KR1020200180689 A KR 1020200180689A KR 20200180689 A KR20200180689 A KR 20200180689A KR 20220089975 A KR20220089975 A KR 2022008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vestock
case
kenn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재청
Original Assignee
하재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청 filed Critical 하재청
Priority to KR102020018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975A/en
Publication of KR2022008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9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축 사육장과 상기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탑 형태로 설치되는 케이스(20) 사이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외부에 흡기 덕트(30),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 송풍팬(40), 적어도 하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 복수의 분기 덕트(60), 제 1 및 제 2 필터(71)(72), 조작부(80), 디스플레이부(90) 및 제어부(100)로 구성하여, 가축 사육장(10)의 외부에서 송풍팬(40) 및 흡기 덕트(30)를 통해 가축 사육장(10) 내 오염된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시키고 다시 가축 사육장(10) 내로 공급시키는 과정에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서 조사되는 약 100 ~ 280㎚ 파장대의 자외선에 의해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 내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자외선을 통해 박멸시킨 다음 다수의 분기 덕트(60)를 통해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살균된 공기를 고르게 순환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축 사육장 내에서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각종 가축을 포함하여 사육 종사자 등이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기감염된 가축이나 사람들에 의해 다른 가축 및 사람들이 2차 전염 및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살균 시스템 자체가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외선에 의한 인체 또는 가축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kennel. In particular, the intake duct 30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20, including between the livestock kennel and the case 20 installed in a tower form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Outside air inlet duct (160). Blowing fan 40, at least on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an operation unit 80, a display unit ( 90) and the control unit 100, by continuously forcibly sucking the contaminated internal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through the blowing fan 40 and the intake duct 30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10, and inhaling the case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circulating by ultraviolet rays in a wavelength band of about 100 to 280 nm irradiated from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5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inside of 20 and supply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various bacteria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are eradicated through ultraviolet rays, and then the sterilized air can be evenly circulated and re-supplied in proximity to various livestock through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infection of breeding workers, including various livestock, due to various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kennel, as well as other livestock by pre-infected livestock or people. And it can prevent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of people in advance, and in particular, because the sterilization system itself is installe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or livestock by ultraviolet rays in advance, thereby ensuring safety. can

Description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본 발명은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닭, 오리, 소, 돼지 등과 같은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별도로 탑형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가축 사육장 내 오염된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상부로부터 강제로 흡입하여 약 100 ~ 280㎚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시켜 주는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내설되어 있는 사각 함체형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시키며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 내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자외선을 통해 박멸시킨 다음 다수의 분기 덕트를 통해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살균된 공기를 고르게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각종 가축을 포함하여 사육 종사자 등이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기감염된 가축이나 사람들에 의해 다른 가축 및 사람들이 2차 전염 및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살균된 공기가 분배되는 측에 냉,난방기능을 부가시켜 여름철에는 가축에 재공급시켜 주는 살균된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 공급하고, 겨울철에는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공급하는 방식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들을 쾌적한 환경내에서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도록 발명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kennel, and more particularly, a part of the air outside the kennel in a state in which it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tower structure outside the livestock yard for breed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hickens, ducks, cattle, and pigs. Of course, the inside of a rectangular enclosure-type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are built-in, which continuously inhales contaminated internal air from the top and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 a wavelength range of about 100 to 280 nm. Through ultraviolet rays, the sterilized air is evenly distributed in proximity to various livestock through a number of branch ducts after eradicating various ger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in the livestock farm as well as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farm through UV rays. By making it possible to re-supp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infection of breeding workers, including various livestock, due to various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as well as being able to prevent infection by pre-infected livestock or people. Secondary infection and infection of other livestock and peop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are added to the side to which the sterilized air is distributed. In the winter, by heating and supplying to the desire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duct cooling and heating at a low cost and to steriliz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which was invented to safely breed livestock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t's about the system.

세계보건기구(WHO)는 바이러스에 의한 범유행병이 되기까지의 여섯 단계의 과정으로 인간의 첫 감염과 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 이동과 관련하여 구분한다.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stinguishes between the first human infection and the viral transfer of influenza as a six-step process leading to a viral pandemic.

이는 바이러스가 동물로부터 사람으로 감염된 사례가 많기 때문이며, 동물 감염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확산을 통해 새로운 바이러스의 감염이 전 세계적 유행으로 종료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virus is transmitted from animals to humans, and the infection of the new virus ends as a global epidemic through the direct spread of the animal-infecting virus to humans.

국내 전염병확산과 관련한 대처를 위해 정부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의 '국가전염병재난단계'를 두고 있다.In order to cope wi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the government has set the 'National Epidemic Disaster Disaster Stage' with 4 stages of 'Attention-Caution-Vigilance-Severe'.

해외에서 신종 바이러스 관련 전염병 발생 또는 국내 원인불명 감염환자 발생시 '관심' 단계를 발동해 징후 감시 활동이 전개된다.In the event of an outbreak of a new virus-related infectious disease abroad or a patient with an unknown cause in Korea, the 'interest' stage is activated to monitor signs.

해외 신종 전염병의 국내 유입이나 신종 전염병 발생시 '주의'로 격상되며 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를 통해 감시, 치료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을 가동하고 있다.In the event of an influx of a new infectious disease from abroad or an outbreak of a new infectious disease, it has been upgraded to 'caution'.

전염병의 타 지역 확산인 경우 '경계' 단계가 되며, 대책본부 강화 및 범정부적 협조체계를 운영해 24시간 비상방역체제 유지하고 있다.In the case of an epidemic spreading to other regions, it becomes a 'warning' stage, and a 24-hour emergency quarantine system is maintained by strengthening the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d operating a pan-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의료관련 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염관리는 의료기관이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로 강조되고 있다.As interest in medical-related infections increases, infection control is being emphasized as an essential role played by medical institutions.

한편, 조류인플루엔자는 닭, 오리, 칠면조 및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에서부터 치사육이 100%인 고병원성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국내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 OIE(국제수역사무국)에서 리스트 A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원인체인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수 공통바이러스로,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 약병원성, 비병원성으로 구분하며, 혈청형(HA 단백질 15종류, NA 단백질 9종류)에 따라 135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vian influenza is an acute viral disease that infects chickens, ducks, turkeys and wild birds. It is classified as List A by the Office of International Fisheries Service (OIE). The avian influenza virus, the causative agent, is a common viral virus, and it is classified into highly pathogenic, weakly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according to pathogenicity, and can be classified into 135 types according to serotype (15 types of HA protein, 9 types of NA protein).

최근 사람에게 전파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는 H5N1, H9N2 등이 있으며,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비말, 공기, 물 등에 의하여 전파되나, 주요 전파요인은 사람의 손, 발, 사료차, 기구, 장비 등에 분변이 묻어 간접적으로 전파된다.Avian influenza viruses that have recently been transmitted to humans include H5N1 and H9N2. Avian influenza viruses are spread by droplets, air, and water, but the main transmission factor is feces on human hands, feet, feed trucks, tools, and equipment. buried and spread indirectly.

세계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한 가금류의 폐사와 살처분에 소요되는 비용과 예방을 위한 인건비 그리고 방역으로 인한 환경오염 피해까지 특별한 대책안이 없이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다.Around the world, poultry deaths due to avian influenza virus infection, the cost of culling, labor costs for preven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due to quarantine are occurring repeatedly every year without special measures.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량 도살 및 매립 처분하며, 발생국가에서는 양계산물을 수출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양계농장을 비롯하여 가금류를 사육하는 농가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엄청난손실이 야기된다.When avian influenza occurs, most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slaughter and landfill, and as poultry products cannot be exported to the affected countries, it causes enormous losses to poultry farms, including poultry farms, as well as to the nation.

상기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의 경우,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은 진행 중에 있으며, 농림축산부 및 정부 연구기관에서 향후 사용여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 중에 있고, 현재는 축사 및 주변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고, 가금류 및 사료 운반차량과 사람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등의 예방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Looking at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s on avian influenza, in the case of Korea, the development of avian influenza vaccine is in progress,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are reviewing the safety of future use. In the current situation, prevention such as limiting the movement of poultry and feed transport vehicles and people is being implemented.

국외의 경우, 미국 및 일부 선진국들은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을 완료하였지만, 사용 여부에 대한 안전성은 검토 중에 있으며, 중국, 베트남 등은 AI백신을 사용하고 있고, 축사 및 주변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여 예방하고 있는 실정이다.Overseas, the U.S. and some advanced countries have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avian influenza vaccine, but the safety of its use is under review. there is a situation.

상기와 같이 방역 및 이동제한을 실시할 경우, 막대한 인력 투입이 필요하며, 그럼에도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완전 박멸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When quarantine and movement restrictions are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manpower is requir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ete eradication of the avian influenza virus is impossible.

또한,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을 사용할 경우,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인체에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vian influenza vaccine is used, it is economically expens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infect the human body.

더욱이, 백신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를 촉진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조류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Moreover, in terms of promoting new virus mutation by using a vaccine, there is an urgent need to find a new way to prevent avian influenza.

한편, 종래 축사환기 시스템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9371호(발명의 명칭 : 축사용 자동환기시스템)(이하 선행기술)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ventional livestock ventilation system, a number of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s have been made in addition to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19371 (title of inventio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livest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선행기술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 정도를 검지하는 가스센서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와; 축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축사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환기부와;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가열부와;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축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와; 축사 내부의 습도를 높여주기 위한 가습부와; 상기한 가스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환기부, 공기가열부, 배기부 및 가습부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s a gas sensor installed inside the livestock to detec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livestock house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side the barn to detect the humidity of the air; a ventilation unit for introducing fresh air from outside the barn into the inside of the barn; an air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arn;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inside the barn to the outside of the barn; a humidifier for increasing the humidity inside the barn; and a controller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gas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the ventilation unit, the air heating unit, the exhaust unit, and the humidifying unit.

상기 선행발명은 환기를 통한 축사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축산농가가 대형화, 단지화가 되어 많은 가축을 정형화된 축사내부에서 밀집 사육하고 있어 어느 하나의 축산농가가 조류독감, 구제역, 광우병 등 전염병에 전염된 경우 상기 축사에서 방출되는 공기는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로 방출되어 인근 축사에까지 전염병균들이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urifying the air in a livestock barn through ventilation, and as livestock farms in Korea have become large and complex, many livestock are densely reared inside a standardized barn, so that any one livestock farmer has avian flu, foot-and-mouth disease. , when infected with infectious diseases such as mad cow disease, the air emitted from the barn is released in a severely contaminated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fectious bacteria are spread to nearby barns.

또한, 상기 선행발명이외에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 겸용 축사환기시스템의 경우에도 항균필터 등을 이용하여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불편이 따랐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ivestock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cleaning and air purification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prior invention, the inconvenience of periodically replacing the filter by using an antibacterial filter or the like followed.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0937호(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 겸용 축사환기시스템)(이하 등록 선행기술)가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prior art,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0937 (Title of the invention: air cleaning combined livestock ventilation system) (hereinafter, registered prior art).

등록 선행기술은 축사 외부의 공기를 축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부; 축사 내부의 공기를 축사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기부; 축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 축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부의 빛을 흡수하고,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반응을 일으켜 축사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공기 오염도에 따라 공기 오염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조명부에서 밝은 빛을 방출시키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조명부에서 약한 빛을 방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gistered prior art includes a ventilation unit for introducing air outside the barn into the inside of the barn;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arn to the outside of the barn;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inside the livestock; a ligh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arn to generate light; a purification unit located inside the barn to absorb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and cause a photocatalytic reaction using plasmon to purify the air in the bar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emit bright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when the air pollution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o emit weak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when i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등록 선행기술은 광화학반응을 유발하기 위한 광촉매 물질인 TiO2, ZnO, CdS, ZrO2, V2O3, WO3 등과 페로브 스카이트형 복합금속 산화물(SrTiO3) 등을 통해 축사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 다루는 UV-C 램프 또는 LED와 대비하여 고가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포함되지 않아 별도의 온도 유지 장치가 필요하며, 온도 유지 장치에 유입되는 공기 또한 정화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registered prior art is a technology for purifying the air in a livestock house through a photocatalyst material such as TiO2, ZnO, CdS, ZrO2, V2O3, WO3, and a perovskite-type composite metal oxide (SrTiO3) for inducing a photochemical re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UV-C lamps or LEDs handled, it is expens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is required because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s not included,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must also be purified. .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20-0099322호(2020년 08월 24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9322 (Aug. 24, 2020)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19371호(2008년 03월 28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19371 (March 28, 2008)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60937호(2013년 04월 29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60937 (April 29, 2013)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554178호(2015년 09월 14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4178 (September 14, 2015)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닭, 오리, 소, 돼지 등과 같은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별도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내설되어 있는 사각 함체형 케이스를 탑형 구조물 형태로 설치하여, 송풍팬이 구비된 흡기 덕트를 통해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 내 오염된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상부로부터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시켜 다시 가축 사육장 내로 공급시키는 과정에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약 100 ~ 280㎚ 파장대의 자외선에 의해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 내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자외선을 통해 박멸시킨 다음 다수의 분기 덕트를 통해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살균된 공기를 고르게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각종 가축을 포함하여 사육 종사자 등이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기감염된 가축이나 사람들에 의해 다른 가축 및 사람들이 2차 전염 및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살균 시스템 자체가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외선에 의한 인체 또는 가축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are built-in separately outside of a livestock kennel for breed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hickens, ducks, cows, pigs, etc. By installing a rectangular enclosure-type case in the form of a tower structure, it continuously forcibly sucks in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as well as the contaminated internal air in the kennel from the top through an intake duct equipped with a blower fan to clean the inside of the case. In the process of passing it through and feed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kennel,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rradiates a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yard as well as a part of the air in the circulating livestock yard by the UV-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100 to 280 nm. After eradicating various ger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in the air through ultraviolet rays, the sterilized air can be re-supplied evenly to various livestock through a number of branch ducts, so that various infect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infection of breeding workers, including various livestock, due to viruses, etc., as well as prevent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of other livestock and people by pre-infected livestock or people in advance, In particular, because the sterilization system itself is installed outside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or livestock by ultraviolet rays in advance,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that can also secure safety.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된 공기가 분배되어 배출되는 분기 덕트의 일부에 냉,난방기능을 부가시켜 여름철에는 가축에 재공급시켜 주는 살균된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 냉기로 공급해 주고, 겨울철에는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온기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가축 사육장 내 냉,난방을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들을 쾌적한 환경내에서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the sterilized air re-supplied to livestock in summer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y it as cold air by adding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to a part of the branch duct through which sterilized air is distributed and discharged. By heating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ying it with warmth,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st-effectively conduct cooling and heating in a livestock kennel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but also to safely breed livestock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의 블로워 팬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할 때, 송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는 블로워 팬들에 의해 케이스 내부를 곧바로 통과하지 않고 회전하며 통과하게 되어 오염된 공기와 자외선 사이의 접촉시간을 최대한 지연(즉,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줄 수 있어, 그 만큼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에 대한 살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각종 감염균(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에 대한 UV-C 자외선 박멸 효율 및 효과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로 인한 가축 및 사육자 등의 감염은 물론 기감염자 및 가축에 의한 2차 전염 및 감염을 크게 예방할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blower fa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inside the case so that the polluted air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by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When passing through the inside, it rotates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without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s, which ar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blowing pressure, thus delay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polluted air and UV rays as much as possible (that is, increasing the contact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of the livestock farm by that much,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increase the UV-C UV eradication efficiency and effect on various infectious bacteria (viruses and bacteria,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sterilizing contaminated air in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that can greatly prevent infection of livestock and breeders due to various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as well as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by pre-infected people and livestock.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흡기 덕트와 복수의 분기덕트에 각각 공기 흡입량 및 배출량 조절수단을 구비시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가축 사육장 전체에서 송풍팬과의 거리에 무관하게 고르게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통과하며 살균이 이루어진 청정 공기를 가축 사육장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 효과는 물론 청정 공기를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ir intake and discharge control means in each of the intake duct and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so that the entire livestock breeding area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is uniformly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from the blower fan. By inhaling the polluted air and supplying it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 clean air that passes through the case and has been sterilized can be re-supplied evenly throughout the livestock yard, so that not only the sterilization effect on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but also the clean ai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for livestock farms that can provide more efficiently and even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의 공기 유입 및 배출구 측에 필터를 더 설치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먼지를 포함하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보다 깨끗한 공기를 가축 사육장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 사육장의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stall a filter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in the case to contain a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tha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s well as fine particles of du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of the kennel. As a result,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an be filtered and treated separately, so that cleaner ai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ivestock farm, and a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can be provided in the livestock farm that can keep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pleasant.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면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케이스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자외선과 공기의 접촉시간이 증대되며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박멸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stall a reflect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at reflects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of ultraviolet rays and air and circula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farm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eradicating various bacteria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included in the polluted air of the livestock farm as well as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far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및 필터의 교체 후 사용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수하여 정해진 최대사용 수명시간에 다다른 경우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시기에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및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UV-C 자외선을 이용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관리에 따른 효율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count the usage time after replacing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filter and display it in a way such as light, text, or sound when the set maximum service life time is reached, or By enabling automatic transmission to remote manager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and filters can be replaced at the correct time, great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terilization of polluted air in livestock farms using UV-C ultraviolet ray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for livestock farms that can not only do this, but also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management.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grasp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technical field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은, 정면에 도어가 구비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되, 상면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저면 내 모서리부에는 각각 다리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지붕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가축 사육장 외측의 대지상에 탑 형태로 설치되는 케이스와; 저면에 복수의 공기 흡입공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의 상방부에 길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흡기 덕트와;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팬에 의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때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가 자동 홉입되게 하는 외부공기 유입 덕트와; 상기 흡기 덕트의 외측 단부와 케이스의 공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와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를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은 물론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가 구비된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된 분기 덕트들을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 내로 불어주어 가축 사육장 내 공기가 자동 순환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스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점,소등 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의 내,외부 공기에 정해진 파장을 갖는 UV-C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저면에 복수의 공기 배출공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의 중간부분에서 가축들의 배치간격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외측 단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공기를 송풍팬의 송풍압력에 대응하여 가축 사육장의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고르게 재공급시켜 주는 복수의 분기 덕트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에 근접된 위치에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속에 포함된 있는 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는 물론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청정 공기속에 잔류하는 미세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각각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시스템의 구동을 필요한 키 또는 스위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 및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부의 키 또는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풍팬을 포함한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 제어는 물론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rectangular enclosure shape with a door on the front, an air in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 a case in which each of the legs is provid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bottom and the roof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tower on the grou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an intake duct hav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ottom surface and are long installed in an upper portion of a livestock kennel; An external air inlet duct that automatically sucks in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house 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house is forcibly sucked in by a blower fan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duct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house and flows into the case; ; It has a form install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intake duct and the air inlet of the case and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forcibly sucks in some of the air polluted in the livestock kennel and the outside air of the kennel and introduces it into the case. Of course, a blowing fan for automatically circulating the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by blow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farm through branch duct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e equipped with a UV-C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n the stat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the light turns on and off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by irradiating UV-C ultraviolet rays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that is forcibly introduced by the blowing fan, various bacteria in the air And at least on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to remove the virus;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middle part of the livestock kennel, they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vestock, and the outer end is coupled to the air outl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ranch ducts having a sha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and uniformly resupplying the sterilized air in response to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in close proximity to the various livestock of the livestock kennel; It has a form that is replace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in the case, and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flowing into the case, as well as dust and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of the kennel and First and second filters tha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as well as viruses and filter out fine dus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remaining in the sterilized clean air, respectively; a manipulation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to input a key or switch signal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and displaying variou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lowing fan and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case, in response to a key or switch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s well as driving control of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ncluding the blower fa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와;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서 분기 덕트들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 내부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난방 또는 냉방기능을 수행하여 가축 사육장으로 재공급되는 청정 공기의 온도가 관리자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난방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or case in real time in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or cas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livestock kennel or the cas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has reached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in a state in which it has a cooling function and a heating function and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branch ducts are wrapped around the branch ducts at the bottom of the case, he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lterna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function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lean air re-supplied to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is maintained at the desired temperature by the manager.

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송풍팬의 송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자외선 사이의 접촉시간을 지연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 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blower fan that automatically rotates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ir flow inside the case and delays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and ultraviolet rays is further installed characterized by one.

또한,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흡기 덕트와 복수의 분기 덕트에 공기의 흡입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과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을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ake duct and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take amount control means and air dischar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take amount and discharge amount of air are further installed,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은 흡기 덕트의 저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공의 지름을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동일 지름을 갖게 형성하되,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송풍팬의 흡입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흡입공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흡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makes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to be gradually larger or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blowing fan is increased, but the further away from the blowing fan, the closer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hol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sucked from all air intake hol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exerted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blower fan by forming at a distance.

또, 상기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은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분기 덕트 내에 각각 각도 조절을 임으로 실시할 수 있는 형태로 댐퍼들을 설치하되,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분기 덕트 내을 막아주는 면적이 점차적으로 더 넓어지도록 댐퍼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의 송풍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배출공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means installs dampers in a form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in the branch duct in which the air discharge hole is formed, but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outlet of the case increases, the area blocking the inside of the branch duct is gradually wi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all the air outlet hol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at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er fan exerts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damper to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공기가 통과하는 케이스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s further installed a reflector for intensively reflecting the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through the air.

또,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헤파필터로만 구성하거나 또는 공기속에 포함된 큰 입자의 먼지를 제거시켜 주는 1차 프리필터와, 상기 1차 프리필터를 통과한 유해 미생물 및 방사성 먼지를 제거해 주는 2차 헤파필터 및, 상기 2차 헤파필터를 통과한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시켜 주는 3차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로 구성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consist of only a HEPA filter or a primary pre-filter that removes large particles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removes harmful microorganisms and radioactive dust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imary pre-fil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ary HEPA filter and a tertiary photocatalytic zeolite filter that removes viruses and bacteria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ary HEPA filter.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송풍팬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동조작 스위치 및 정해진 시간 작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either or both of a manual operation switch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and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an automatic operation timer switch capable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characterized by doing it.

또, 상기 조작부에는 송풍팬의 구동속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팬 구동속도 조절기와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출력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an driving speed controller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ing fan and a UV-C ultraviolet output controller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또한, 상기 조작부는 리모컨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부에는 상기 리모컨의 키 및 스위치신호를 적외선으로 입력받는 IR 수신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as a remote control, and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R receiver for receiving the key and switch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by infrared rays is further installed.

또,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점등될 때마다 제어부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 누적시간을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에 누적되는 현재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누적점등 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 수명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교체할 때마다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점등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ever a UV-C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s turned on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a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that continuously counts and automatically stores the accumulated time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of the current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ccumulated in the UV-C ultraviolet lighting time accumulation unit has exceeded the maximum service life time inputted by itself, and a predetermined output When a signal is generated, a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or displays it with light, text, or sound; but, in the operation unit, each time a UV-C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s replaced, a UV-C UV light time accumul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UV-C ultraviolet light time reset key that can reset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는 제 1 및 제 2 필터의 교체후 경과시간을 제어부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에 누적되는 현재 필터의 사용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필터 사용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includ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ors for continuously counting and automatically storing elapsed times after re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filter usage time accumu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s exceeds the maximum usage time input by itself, and when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is generated, it is turned on or off. A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or displays by text or sound may be further installed, but the operation unit may reset the accumulated filter usage time in the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 whenever the filter is replac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sage time reset key is further installed.

또,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사용중인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교체할 시기가 되었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제 1 및 제 2 필터의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작동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 또는 단말기로 자동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it is time to replace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currently in use, or the first and second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filter,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r computer or terminal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닭, 오리, 소, 돼지 등과 같은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별도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내설되어 있는 사각 함체형 케이스를 탑형 구조물 형태로 설치하여, 송풍팬이 구비된 흡기 덕트를 통해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 내 오염된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상부로부터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시켜 다시 가축 사육장 내로 공급시키는 과정에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약 100 ~ 280㎚ 파장대의 자외선에 의해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 내 공기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자외선을 통해 박멸시킨 다음 다수의 분기 덕트를 통해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살균된 공기를 고르게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각종 가축을 포함하여 사육 종사자 등이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기감염된 가축이나 사람들에 의해 다른 가축 및 사람들이 2차 전염 및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살균 시스템 자체가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외선에 의한 인체 또는 가축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are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for breed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hickens, ducks, cattle, and pigs. The built-in rectangular enclosure-type cas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tower structure, and through the intake duct equipped with a blower fan,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as well as the contaminated internal air in the kennel is continuously forcibly suck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s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feed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yard, the circulating air in the livestock yard as well as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yard is circulated by ultraviolet rays of about 100 to 280 nm wavelength irradiated from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After eradicating various ger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ultraviolet rays, the sterilized air can be re-supplied evenly to various livestock through a number of branch ducts. It can prevent in advance the infection of breeding workers, including various livestock, due to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as well as prevent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of other livestock and people by pre-infected livestock or people. In particular, since the sterilization system itself is installed outside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or livestock by ultraviolet rays in advance, thereby ensuring safety.

둘째 본 발명에서는, 살균된 공기가 분배되어 배출되는 분기 덕트의 일부에 냉,난방기능을 부가시켜 여름철에는 가축에 재공급시켜 주는 살균된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 냉기로 공급해 주고, 겨울철에는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온기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가축 사육장 내 냉,난방을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들을 쾌적한 환경내에서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are added to a part of the branch duct through which sterilized air is distribut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sterilized air re-supplied to livestock in summer is cooled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ied as cold air, and in winter, the desired By heating it to a temperature and supplying it with warmth,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st-effectively perform cooling and heating in a livestock kennel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but also to safely breed livestock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셋째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의 블로워 팬을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가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할 때, 송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는 블로워 팬들에 의해 케이스 내부를 곧바로 통과하지 않고 회전하며 케이스 내부를 통과되고 있는 공기와 자외선 사이의 접촉시간을 최대한 지연(즉,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에 대한 살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각종 감염균(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에 대한 UV-C 자외선 박멸 효율 및 효과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로 인한 가축 및 사육자 등의 감염은 물론 기감염자 및 가축에 의한 2차 전염 및 감염을 크게 예방할 수 있다.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lower fa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inside the case, the contaminated air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wher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by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In this case, the blower fan rotates automatically by blowing pressure without passing directly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of the livestock farm by that much, so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UV-C UV eradication efficiency and effect on various infectious bacteria (viruses and bacteria, etc.) It is possible to greatly prevent infection of livestock and breeders caused by various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of livestock farms as well as part of the air, as well as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by pre-infected people and livestock.

넷째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흡기 덕트와 복수의 분기덕트에 각각 공기 흡입량 및 배출량 조절수단을 구비시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가축 사육장 전체에서 송풍팬과의 거리에 무관하게 고르게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통과하며 살균이 이루어진 청정 공기를 가축 사육장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 효과는 물론 청정 공기를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air intake and discharge control means are provided in the intake duct and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respectively, so that the air polluted evenly in the entire livestock kennel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blowing fan By inhaling and supplying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 sterilized clean air passing through the case can be re-supplied evenly throughout the livestock yard, so that it not only has a sterilizing effect on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but also makes the clean air more efficient. However, it can be provided equally.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내의 공기 유입 및 배출구 측에 필터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먼지를 포함하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공기를 가축 사육장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 사육장의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filter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in the case, a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introduced into the case as well as the dust of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various bacteria and By filtering the virus so that it can be treated separately, cleaner ai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ivestock kennel, and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ivestock kennel can be maintained pleasantly.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면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케이스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자외선과 공기의 접촉시간이 증대되며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박멸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o intensively reflect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so that the contact time between ultraviolet rays and air is increased and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is circulating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eradicating various bacteria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of

일곱째 본 발명에서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및 필터의 교체 후 사용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수하여 정해진 최대사용 수명시간에 다다른 경우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기에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및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UV-C 자외선을 이용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관리에 따른 효율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Seventh,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filter are replaced, the usage time is continuously counted and, when the set maximum service life time is reached, it is displayed by means of lights, texts, sounds, etc., or the administrator of a remote lo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n addi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ystem management.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an expert or researcher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중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케이스 주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케이스 내부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케이스 주변의 정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 중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의 구비된 흡기 덕트의 일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의 구비된 흡기 덕트의 일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의 전기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breeding facilit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case on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case on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b)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provided of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provided of the air discharge control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electrical block diagram of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자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terminal,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케이스 주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케이스 내부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 케이스 주변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kenne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around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ase is shown, and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case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의 (a)(b)는 본 발명 중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의 구비된 흡기 덕트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중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의 구비된 흡기 덕트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의 전기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5(a)(b)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provided by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ake duct provided by the air discharge adjust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entire electrical block diagram of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은,According to this,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정면에 도어(21)가 구비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되, 상면에는 공기 유입구(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23)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저면 내 모서리부에는 각각 다리(24)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지붕(25)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가축 사육장(10) 외측의 대지상에 탑 형태로 설치되는 케이스(20)와;It has a rectangular enclosure shape with a door 21 on the front side, an air inlet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air outlets 2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legs 24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 is provided, the upper surface has a roof 25 is formed, and the case 2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tower on the grou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10;

저면에 복수의 공기 흡입공(31)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10)의 상방부에 길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흡기 덕트(30)와;an intake duct 30 hav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31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ed long in an upper portion of the livestock kennel 10;

가축 사육장(10)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30)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팬(40)에 의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될 때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가 자동 홉입되게 하는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와;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is forcibly sucked by the blower fan 4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duct 30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kennel 10 and flows into the case 20,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kennel an external air inlet duct 160 that allows a part of the air to be automatically sucked in;

상기 흡기 덕트(30)의 외측 단부와 케이스(20)의 공기 유입구(22)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10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가축 사육장(10) 내 오염공기와 가축 사육장(10) 외부의 공기 일부를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20) 내부로 유입시킴은 물론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가 구비된 케이스(20)의 공기 배출구(23)와 연결된 분기 덕트(60)들을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10) 내로 불어주어 가축 사육장 내 공기가 자동 순환되게 하는 송풍팬(40)과;It has a form install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intake duct 30 and the air inlet 22 of the case 20,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polluted air and livestock in the livestock kennel 10 A branch connected to the air outlet 23 of the case 20 equipped with a UV-C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s well as forcibly sucking in some of th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kennel 10 and introducing it into the case 20 a blower fan 40 that automatically circulates air in the livestock yard by blow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kennel 10 through the ducts 60;

상기 케이스(20)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점,소등 되며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강제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 내,외부의 공기에 정해진 파장대의 UV-C 자외선을 조사하여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과;In the stat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20, the light is turned on and off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UV-C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band is applied to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that is forcibly introduced by the blower fan 40. At least on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remove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20;

저면에 복수의 공기 배출공(61)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10)의 중간부분에서 가축들의 배치간격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외측 단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3)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공기를 송풍팬(40)의 송풍압력에 대응하여 가축 사육장(10)의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고르게 재공급시켜 주는 복수의 분기 덕트(60)와;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6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middle part of the livestock kennel 1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vestock, and the outer end is the case 20, respectively. It has a form coupled to the air outlet 23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se 20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20 and sterilizes the air in response to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Various livestock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for evenly re-supplying close to the;

상기 케이스(20) 내에서 공기 유입구(22)와 공기 배출구(23)에 근접된 위치에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10) 외부의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10)의 오염된 공기속에 포함된 있는 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는 물론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청정 공기속에 잔류하는 미세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각각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71)(72)와;In the case 20, the air inlet 22 and the air outlet 23 have a form that is replace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and a part of the air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10 flowing into the case 20 is Of course, it filters the dus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10, as well as the fine dus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tha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20 and remain in the sterilized clean air.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시스템의 구동을 필요한 키 또는 스위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0)와;a manipulation unit 8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20 to input a key or switch signal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40) 및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작동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90)와;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20 to display variou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lower fan 40 and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90) and;

상기 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부(80)의 키 또는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풍팬(40)을 포함한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구동 제어는 물론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case 20, in response to a key or switch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80, the driving control of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ncluding the blower fan 40 as well as the display unit 90 The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10)와;In addition,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110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kennel or case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100 in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livestock kennel 10 or case 20;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20)의 저부에서 분기 덕트(60)들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10)를 통해 검출되는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 내부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난방 또는 냉방기능을 수행하여 가축 사육장으로 재공급되는 청정 공기의 온도가 관리자가 원하는 난방 또는 냉방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난방기(12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mperature inside the livestock kennel 10 or the case 20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10 in a state in which it has a cooling function and a heating function and is install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branch ducts 60 at the bottom of the case 20 is When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is reached, the heating or cooling func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lean air re-supplied to the livestock farm maintains the 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desired by the manager.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stalled.

또,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송풍팬(40)의 송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자외선 사이의 접촉시간을 지연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 팬(13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ase 20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n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0 and the ultraviolet rays is delay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lower fan 130 is further installed.

또한,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흡기 덕트(30)와 복수의 분기 덕트(60)에 공기의 흡입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32)과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62)을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ake duct 30 and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intake amount control means 32 and an air discharge amount control means 62 that can control the intake amount and discharge amount of air,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이때, 상기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32)은,At this time,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32,

흡기 덕트(30)의 저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공(31)의 지름(Φ)을 송풍팬(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동일 지름을 갖게 형성하되, 송풍팬(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송풍팬(40)의 흡입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흡입공(31)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흡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meter (Φ) of the air intake hole 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30 is gradually larger as it goes away from the blowing fan 40, or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but the blowing fan 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sucked from all the air suction holes 31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at the suction pressure of the blower fan 40 exerts by forming gradually closer distance from each other.

또, 상기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62)은,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means 62,

공기 배출공(61)이 형성된 분기 덕트(60) 내에 각각 각도 조절을 임으로 실시할 수 있는 형태로 댐퍼(621)들을 설치하되, 케이스(20)의 공기 배출구(23)로부터 멀어질수록 분기 덕트(60) 내을 막아주는 면적이 점차적으로 더 넓어지도록 댐퍼(621)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40)의 송풍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배출공(61)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mpers 621 are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in the branch duct 60 in which the air outlet hole 61 is formed, but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outlet 23 of the case 20 is increased, the branch duct ( 60) The angle of the damper 621 is adjusted so that the area blocking the inside becomes wider so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all the air outlet holes 61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at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er fan 40 exerts. characterized by one.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내면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공기가 통과하는 케이스(20)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14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further installed with a reflector 140 that intensively reflects the UV ray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20 through which air passes. characterized.

또,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71)(72)는 헤파필터로만 구성하거나 또는 공기속에 포함된 큰 입자의 먼지를 제거시켜 주는 1차 프리필터와, 상기 1차 프리필터를 통과한 유해 미생물 및 방사성 먼지를 제거해 주는 2차 헤파필터 및, 상기 2차 헤파필터를 통과한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시켜 주는 3차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로 구성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consist only of a HEPA filter or a primary pre-filter that removes large particles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harmful microorganism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imary pre-filter. and a secondary HEPA filter that removes radioactive dust, and a tertiary photocatalytic zeolite filter that removes viruses and bacteria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condary HEPA filter.

또한, 상기 조작부(80)에는 송풍팬(40)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동조작 스위치(81) 및 정해진 시간 작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8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anual operation switch 81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40 and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nd a predetermined time operation time can be input to the operation unit 8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or both of the automatic operation timer switches (82) are provided.

또, 상기 조작부(80)에는 송풍팬(40)의 구동속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팬 구동속도 조절기(83)와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출력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84)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80 includes a fan driving speed controller 83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fan 40 and UV-C lamp or UV-C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V output controller 84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조작부(80)는 리모컨(80a)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100)의 입력부에는 상기 리모컨(80a)의 키 및 스위치신호를 적외선으로 입력받는 IR 수신부(10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80 is formed of a remote control unit 80a, and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R receiver 101 that receives the key and switch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unit 80a by infrared rays. do it with

또,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이 점등될 때마다 제어부(100)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 누적시간을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와;In addition, whenever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turned on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the accumulated time is continuously counted using the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0 and automatically stored. a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102;

상기 제어부(100)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에 누적되는 현재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누적점등 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 수명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103);를 더 설치하되,As a result of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100,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of the current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ccumulated in the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102 is the maximum usage life time that is inputted by itself. A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103 that notifies or displays it with light, text, or sou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exceeded and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is generated;

상기 조작부(80)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을 교체할 때마다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점등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8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unit 80 has a UV-C ultraviolet light time reset key that can reset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in the UV-C ultraviolet light time accumulator whenever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replaced. (85)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는 제 1 및 제 2 필터(71)(72)의 교체후 경과시간을 제어부(100)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와;In addition,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are continuously counted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0 to automatically store the elapsed time.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s 104 and 105;

상기 제어부(100)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에 누적되는 현재 필터의 사용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106)(107);를 더 설치하되,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100,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filter usage time accumu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ors 104 and 105 exceeds the maximum usage time input by itself,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s 106 and 107 for notifying or displaying the output signal of

상기 조작부(80)에는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필터 사용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86)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usage time reset key 86 capable of resetting the accumulated filter usage time in the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80 whenever the filter is replaced.

또,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108)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100)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사용중인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이 교체할 시기가 되었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제 1 및 제 2 필터(71)(72)가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작동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108)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 또는 단말기(150)로 자동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8 is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control unit 100,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currently in use is replaced.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hen it is time to do it or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currently in use,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manager computer or via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8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5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n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20)와 흡기 덕트(30),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 송풍팬(40), 적어도 하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 복수의 분기 덕트(60), 제 1 및 제 2 필터(71)(72), 조작부(80), 디스플레이부(90) 및 제어부(100)로 구성하여, 가축 사육장(10)의 외부에서 송풍팬(40) 및 흡기 덕트(30)를 통해 가축 사육장(10) 내 오염된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시키고 다시 가축 사육장(10) 내로 공급시키는 과정에서 복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서 조사되는 약 100 ~ 280㎚ 파장대의 자외선에 의해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 내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자외선을 통해 박멸시킨 다음 다수의 분기 덕트(60)를 통해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살균된 공기를 고르게 순환 재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First,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s shown in FIGS. 1 to 7 , a case 20 and an intake duct 30 , an outside air inlet duct 160 , a blower fan 40 , At least on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 first and second filters 71 , 72 , an operation unit 80 , a display unit 90 , and a control unit 100 . ), continuously forcibly inhaling the contaminated internal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10 through the blowing fan 40 and the intake duct 30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10 to remove the inside of the case 20.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livestock farm circulating by ultraviolet rays in a wavelength range of about 100 to 280 nm irradiated from a plurality of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50 in the process of passing it through and supply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farm 10 And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is to eradicate various germs such as bacteria through ultraviolet rays and then supply the sterilized air to the various livestock through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to evenly circulate and re-supply the sterilized air.

이때, 상기 케이스(20)는 본 발명 시스템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UV-C 자외선 누출에 인한 인체의 피해는 물론 제품 자체의 경화 및 수명 단축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갖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속이 빈 사각 함체 구조로 성형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case 20 corresponds to the main body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due to UV-C ultraviolet leakage, as well as hardening and shortening of the product itself, in advance, metal with stainless steel or aluminum, etc. It has a shape molded into a hollow rectangular housing structure using a plate material.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20)는 정면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들을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필터(71)(72), 제어부(100) 등의 점검 및 교체 등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도어(21)가 구비된 형상을 가짐은 물론, 상면에는 후술하는 흡기 덕트(30)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후술하는 분기 덕트(60)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저면 내 모서리부에는 케이스(20) 자체를 가축 사육장(10)의 외부 대지에 탑 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다리(24)들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빗물이나 눈 등이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햇빛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붕(25)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ase 20 includes UV-C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50 installed therei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the control unit 100, etc.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replacement, etc., it has a shape provided with a door 21, and an air inlet 22 connected to an intake duc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branch duct 6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ottom surface. )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23 are formed, and legs 24 for installing the case 20 itself in the form of a tower on the external site of the livestock kennel 10 are provid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A roof 2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rain or snow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case 20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sunlight.

또, 상기 흡기 덕트(30)는 아연도 강판 등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시킨 형태를 갖고, 저면에는 복수의 공기 흡입공(31)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상태에서 가축 사육장(10)의 상방부에 길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송풍팬(40)의 작동시 각각의 공기 흡입공(31)들을 통해 가축 사육장(10) 내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케이스(20) 내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take duct 30 has a shape formed in a square or cylindrical shape using a galvanized steel sheet, etc., and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31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vestock kennel 10 . A function of sucking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kennel 10 through the respective air intake holes 31 and delivering it into the case 20 when the blowing fan 40, which is installed long in the upper part, is ope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rry ou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상기 흡기 덕트(30)를 형성할 때, 각각의 공기 흡입공(31)들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32)을 더 구비시켜 주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ake duct 30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is formed, an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32 capable of adjusting the intake amount of air introduced through each air intake hole 31 is further provided. made it

이때, 상기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32)으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흡기 덕트(30)의 저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공(31)의 지름(Φ)을 송풍팬(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의 (b)와 같이 동일 지름을 갖게 형성하되, 송풍팬(4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두고 형성해 주었다.At this time, various methods can be proposed as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32.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hole 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30 ( Φ) is formed to be gradually larger as it goes away from the blowing fan 40, or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in FIG. has formed

따라서, 상기 송풍팬(40)의 흡입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지름 또는 형성 개수가 다른 모든 공기 흡입공(31)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20) 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송풍팬(40)의 작동시 흡기 덕트(30)에서 각각의 공기 흡입공(31)들을 통해 가축 사육장(10) 내 공기를 고른 량으로 흡입하여 자외선 살균 처리할 수 있어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 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distance to which the suction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exerts, the same amount of air can be sucked from all the air suction holes 31 having different diameters or different numbers of formation and delivered to the case 20 side. In the operation of (40), the air in the livestock kennel 10 is sucked in an even amount through the respective air intake holes 31 in the intake duct 30 and UV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sterilizing the contaminated air of the livestock kennel. The effect can be greatly increased.

또, 상기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는 가축 사육장(10)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30)와 연통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송풍팬(40)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 덕트(30)를 통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될 때, 가축 사육장(10)의 외부 공기 일부가 벤츄리 효과에 의해 자동 홉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outside air inlet duct 160 has a form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duct 30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and the intake duct 30 corresponds to the driving of a blower fan 40 to be described later. ), 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is forcibly sucked and introduced into the case 20, it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a part of the external air of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10 to be automatically sucked in by the venturi effect.

이와 같이 상기 흡기 덕트(30)와 연통되게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를 더 구비시켜 송풍팬(40)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흡기 덕트(30)를 통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될 때, 가축 사육장(10)의 외부 공기 일부가 자동 홉입되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에 희석되게 하면, 가축 사육장 내 공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먼지는 고약한 냄새로 작용하는 암모니아가스 및 이산화탄소(CO2) 등의 농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In this way, by further providing an external air inlet duct 160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duct 30, the polluted air in the livestock kennel is forcibly sucked through the intake duct 30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blower fan 40. When introduced into the case 20,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10 is automatically sucked in and diluted with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yard, so that various kinds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in the livestock kennel 10 acts as a bad smell ammonia Concentrations such as gas and carbon dioxide (CO 2 )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가축 사육장 내 재공급시켜 주는 공기의 질을 외부 공기의 투입량에 대응하여 보다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인 냄새의 정도와 이산화탄소의 량 등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keep the quality of the air re-supplied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fresher in response to the input amount of external air, an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egree of odor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이때, 상기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는 가축 사육장(10)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30) 중 송풍팬(40)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 중 어느 위치에 설치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the outside air inlet duct 16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input part or the output part of the blower fan 40 among the intake ducts 30 outside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

한편, 상기 송풍팬(40)은 가축 사육장(10)의 외부로 연장 설치된 상기 흡기 덕트(30)의 외측 단부와 케이스(20)의 공기 유입구(22)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10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가축 사육장(10)의 외부 공기 일부와 가축 사육장(10) 내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20) 내부로 유입시킴은 물론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가 구비된 케이스(20)의 공기 배출구(23)와 연결된 분기 덕트(60)들을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10) 내로 불어주어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를 포함하는 가축 사육장 내 공기가 자동 순환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fan 40 has a form install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intake duct 30 installe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and the air inlet 22 of the case 20, the control unit 100 It operates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f By blowing back into the livestock kennel 10 through the branch ducts 60 connected to the air outlet 23 of the case 20 provided with the 50, the air in the livestock yard including a part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is automatically circulated. function to make it happen.

이때, 상기 송풍팬(40)의 크기나 출력은 본 발명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하는 가축 사육장(10)의 실내 공간 면적에 대응하여 정해짐은 물론 그의 회전속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조작부(80)를 통해 설정된 회전속도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size or output of the blowing fan 40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pace area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to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as well as its rotational speed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 as described later by the operator (80) has the set rotation speed.

또, 상기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은 상기 케이스(20) 내벽에 적어도 하나(실제로는 다수개)가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점,소등 되며,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강제로 순환되는 가축 사육장(10)의 공기에 정해진 파장대(예를 들어 100 ~ 280㎚의 파장대)의 UV-C 자외선을 조사하여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has at least one (actually a pluralit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20, and corresponds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is turned off, and UV-C ultraviolet rays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band (for example, a wavelength band of 100 to 280 nm) are irradiated to the air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 which is forcibly circulated by the blower fan 40 , and the inside of the case 20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moving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it.

이때, 상기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설치 갯수는 본 발명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하는 가축 사육장(10)의 실내 공간 면적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케이스(20)의 내부 면적 및 송풍팬(40)의 출력 등에 의해 결정됨은 물론 조명 출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조작부(80)를 통해 설정된 UV-C 자외선 출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the internal area of the case 20 and the blowing fan ( 40), of course, the lighting output may be determined by the UV-C UV output se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8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자외선의 종류를 살펴보면, 파장에 따라 UV-A(장파; 320~400nm), UV-B(중파; 280~320nm), UV-C(단파)로 나눠지는데, 여기서 살균에 관여하는 파장은 UV-C로 짧은 파장이고, UV-C 파장의 범위는 약100 ~ 280㎚로 실제 254㎚정도의 파장을 조사시켜 줄 때, 살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Here, looking at the types of ultraviolet rays, they are divided into UV-A (long wave; 320~400nm), UV-B (medium wave; 280~320nm), and UV-C (short wave) depending on the wavelength, where the wavelength involved in sterilization is It is a short wavelength as UV-C, and the range of UV-C wavelength is about 100 to 280 nm.

또한, 상기 복수의 분기 덕트(60)는 상기한 흡기 덕트(30)와 마찬가지로 아연도 강판 등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시킨 형태를 갖고, 저면에 복수의 공기 배출공(61)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흡기 덕트(30)의 설치 위치보나는 낮은 가축 사육장(10)의 중간부분에서 가축들의 배치간격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외측 단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20)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23)에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have a shape formed in a square or cylindrical shape using a galvanized steel sheet or the like, similarly to the intake duct 30 described abov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61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bottom surface. In a form formed with a , the intake duct 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middle part of the livestock kennel 10 lower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outer e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livestock, respectively, of the case 20 It has a form coupled to a plurality of air outlets 2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분기 덕트(60)들은 송풍팬(40)의 송풍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청정 공기를 케이스(20)의 저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3)들을 통해 분기 입력받아 가축 사육장(10)에서 사육중인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고르게 재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se branch ducts 60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20 in response to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and pass sterilized clean air through the air outlets 23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se 20 . It receives a branch input and performs a function of uniformly resupplying the various livestock being raised in the livestock breeding facility 10 .

이때, 상기 흡기 덕트(30) 및 분기 덕트(60)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함석판 등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알루미늄으로 성형한 후렉시블한 자바라 덕트 호스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take duct 30 and the branch duct 60 are generally molded and installed in a square or cylindrical shape using a widely known tin plate, but if necessary, a flexible bellows duct molded from aluminum It can also be used by installing a hose, etc.

또,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분기 덕트(60)를 형성할 때, 각각의 공기 배출공(6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62)을 더 구비시켜 주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 plurality of branch ducts 60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an air discharge control means 62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each air discharge hole 61 is further added. provided it

이때, 상기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32)으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이, 공기 배출공(61)이 형성된 분기 덕트(60) 내에 각각 각도 조절을 임으로 실시할 수 있는 형태로 댐퍼(621)들을 설치하되, 케이스(20)의 공기 배출구(23)로부터 멀어질수록 분기 덕트(60) 내을 막아주는 면적이 점차적으로 더 넓어지도록 댐퍼(621)의 각도를 조절하여 주었다.At this time, various methods can be provided as the air intake amount adjusting means 32.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ngle adjustment can be arbitrarily performed in the branch duct 60 in which the air discharge hole 61 is formed. The dampers 621 are installed in the form, but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outlet 23 of the case 20 increases, the angle of the damper 621 is adjusted so that the area blocking the inside of the branch duct 60 gradually becomes wider.

따라서, 상기 송풍팬(40)의 송풍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공기 배출공(61)에서 동일한 량의 청정 공기가 배출되어 가축들에게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기 덕트(60)들을 통해 청정 공기의 전달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same amount of clean air can be discharged from all the air outlet holes 61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at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er fan 40 exerts, and can be equally delivered to the livestock, so that the branching The delivery of clean air through the ducts 60 can be provided more efficiently and evenly.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71)(72)는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스(20) 내에서 공기 유입구(22)와 공기 배출구(23)에 근접된 위치에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흡기 덕트(30)에 구비된 송풍팬(40)의 작동에 대응하여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를 통한 가축 사육장(10)의 외부 공기 일부는 물론 가축 사육장(10) 내의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20)의 내부로 강제 유입될 때, 제 1 필터(71)에서는 유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있는 비교적 굵을 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1차적으로 대부분 필터링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23)에 연결된 분기 덕트(60)를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10)으로 분배되기 전에 제 2 필터(72)에서는 청정 공기속에 잔류하는 미세먼지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2차적으로 필터링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are installed interchangeably at positions close to the air inlet 22 and the air outlet 23 in the case 20 .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40 provided in the intake duct 30,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through the external air inlet duct 160 as well as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10 is removed. When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case 20, the first filter 71 primarily filters most of the relatively coarse dus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incoming air, and the In the second filter 72 before the sterilized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20 is distributed back to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through the branch duct 60 connected to the air outlet 23, the fine particles remaining in the clean ai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condary filtering of dust and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따라서, 깨끗한 공기를 가축 사육장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 사육장의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clean air to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and to maintain a pleasant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71)(72)로는 헤파필터만 설치해 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그 기능에 한계가 있으므 상면부에 큰 입자의 먼지를 제거시켜 주는 1차 프리필터를 설치하고 그 저면에 유해 미생물 및 방사성 먼지를 제거해 주는 헤파필터를 2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상기 2차 헤파필터의 저면에 1, 2차 필터를 통과한 바이러스 및 세균 마져 제거시켜 주는 3차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를 더 구비시켜 줄 수도 있다.At this time, only a HEPA filter may be installed as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but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 to the function, so a primary pre-filter that removes large particles of dus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 HEPA filter that removes harmful microorganisms and radioactive dust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ary HEPA filter, and furthermore, a tertiary photocatalyst that removes viruses and bacteria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filters on the bottom of the secondary HEPA filter A zeolite filter may be further provided.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71)(72)의 외부에는 상기 송풍팬(40)의 송풍 압력에 의해 필터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관이나 관리 및 교체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 생략한 보호망 등을 더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to prevent damage to the filter itself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and to make storage, management and replacement convenient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protective net, etc., not shown.

또, 상기 조작부(80)는 기본적으로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 설치되어 관리자가 시스템의 구동을 필요한 키 또는 스위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80 is bas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20 to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an administrator to input a key or switch signal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90)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1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40) 및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 등의 작동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9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20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the blower fan 40 and UV-C lamp or light-emitting diode module 50, etc. It performs the function of displaying variou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또, 상기 제어부(100)는 도시 생략한 마이컴과 타이머 및 저장장치 등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제어 프로세서 등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2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부(80)의 키 또는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풍팬(40)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 및 디스플레이부(90) 등을 포함한 본 발명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microcomputer (not shown), a timer, 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control processor, etc.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lowing fan 40 and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nd the display unit 90 is performed.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proces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a software routine,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상기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10)를 설치하여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20) 저부의 분기 덕트(60)들을 감싸는 형태로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냉,난방기(120)를 더 설치하고, 제어부(100)로 하여금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온도에 대응하여 냉,난방기(120)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시켰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110 is installed inside the livestock kennel 10 or case 20 to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kennel or case 20 in real time. In order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as wrapping the branch ducts 60 at the bottom of the case 20, a cooling/heating machine 120 having a cooling function and a heat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is further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100 In respons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or the case 20, a function to properly control the air conditioner and heater 120 was add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본 발명 시스템이 작동중일 때, 상기 온도센서(110)들을 통해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자체 내에 기 입력된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와 상호 비교하여 만약 온도센서(110)를 통해 검출되는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 내부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냉,난방기(120)를 난방 또는 냉방기능 중 어느 한 기능으로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케이스(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UV-C 자외선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후 각각의 분기 덕트(60)를 통해 가축 사육장으로 고르게 재공급되는 청정 공기의 온도가 냉,난방기(120)의 현재 작동모드에 대응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로 저하 또는 상승된 형태를 갖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kennel or case 20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s 110 and at the same time sets it by the administrator or enters a preset within itself.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or case 20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10 reaches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by comparing it with the set 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120 as either a heating or cooling function, sterilization is made by UV-C ultraviolet rays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ase 20 and then evenly re-supplied to the livestock kennel through each branch duct 60 . In response to the current operating mode of the cooling/heating machine 120, the temperature of the clean air is decreased or increased to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desired by the manager.

즉, 가축 사육장(10)의 내부에 고가의 냉,난방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자동 제어를 받는 냉,난방기(120)에서 무더운 여름철에는 분기 덕트(60)들를 통과하고 있는 살균된 공기의 온도를 냉방설정온도 범위로 냉각시켜 공급해 주게 되고, 매우 추운 겨울철에는 난방설정온도 범위로 가열시켜 공급해 주게 되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가축 사육장(10) 내 전체에 대한 냉,난방을 적은 비용을 들여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절에 무관하게 가축들을 쾌적한 환경내에서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다.That is, in the hot summer in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120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an expensive cooling and heating unit inside the livestock kennel 10, the branch ducts 60 pass through The temperature of the sterilized air is cooled to the cooling set temperature range and supplied, and in the very cold winter, it is heated and supplied to the heating set temperature range. Not only can it be carried out efficiently at a cost, but also livestock can be safely reared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season.

물론, 봄철이나 가을철에는 온도센서(110)를 통해 검출되는 가축 사육장(10) 또는 케이스(20)의 내부온도가 난방 설정온도보다 낮거나 또는 냉방 설정온도보다 높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케이스(20) 저부의 분기 덕트(60)들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냉,난방기(120)의 구동을 차단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다.Of course, in spring or autum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10 or the case 20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10 is lower than the heating set temperature or higher than the cooling set temperature, so the control unit 100 has the case ( 20) Sinc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heater 120 installed in the form of enclosing the branch ducts 60 at the bottom is blocke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etc.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 팬(130)을 더 설치하여 주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lower fan 130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case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따라서, 상기 송풍팬(40)의 송풍압에 의해 가축 사육장 내,외부 공기가 흡기 덕트(30)를 통해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UV-C 자외선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후 분기 덕트(60)들을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으로 다시 재송부되는 순환 과정에서, 상기 블로워 팬(130)들이 송풍팬(40)의 송풍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와 혼합된 형태의 가축 사육장 내 오염된 공기를 케이스(20)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서 조사되는 UV-C 자외선 사이에서의 접촉시간이 그만큼 지연되게 된다.Therefore,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20 through the intake duct 30, and then sterilized by UV-C ultraviolet rays, and then the branch duct ( In the circulation process of being re-sent back to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through 60), the blower fans 130 ar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40 and the external air of the livestock breeding ground introduced into the case 2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0 and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re irradiat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0 because the polluted air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in a mixed form is rotated inside the case 20. The contact time between UV-C and UV rays is delayed by that much.

그러므로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포함한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에 대한 살균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각종 감염균(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에 대한 UV-C 자외선 박멸 효율 및 효과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가축 사육장의 내,외부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감염성 세균 및 바이러스로 인한 가축 및 사육자 등의 감염은 물론 기감염자 및 가축에 의한 2차 전염 및 감염에 대한 예방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in the livestock farm, including som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farm, and thus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UV-C UV eradication efficiency and effect on various infectious bacteria (viruses and bacteria, etc.)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ventive effect against infection of livestock and breeders due to various infectious bacteria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farm, as well as secondary transmission and infection by pre-infected people and livestock. .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면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반사판(140)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서 조사되는 UV-C 자외선을 공기가 통과하는 케이스(20)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줄 수 있으므로 UV-C 자외선과 공기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순환중인 가축 사육장의 오염된 공기를 포함하여 외부공기 유입 덕트(160)를 통해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서 일부 유입되는 공기 유입속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박멸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stalling a reflector 1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UV-C UV rays irradiated from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are absorbed into the air. Since it can give concentrated reflection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20 through which UV-C ultraviolet rays and air contact time can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time of the air with the outside air including the contaminated air of the circulating livestock farm through the inlet duct 160 .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eradicating various bacteria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included in the inflow of air partial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farm.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80)에 수동조작 스위치(81) 및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8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송풍팬(40)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작동을 수동조작 스위치(81)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82)를 통해 및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시간동안만 작동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40 and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 50) may be manually controlled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switch 81, or may be operat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hrough the automatic operation timer switch 82.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80)에 도 7과 같이, 팬 구동속도 조절기(83)와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84)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송풍팬(10)의 구동속도를 가축 사육장(10)의 면적 및 공기의 오염정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팬 구동속도 조절기(83)를 통해 임의의 속도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출력도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84)를 통해 임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unit 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n driving speed controller 83 and a UV-C UV output controller 84 to in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fan 10 in the livestock breeding house (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10)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the user can adjust the speed at an arbitrary speed through the fan driving speed controller 83 as well as the output of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of the UV-C It can be adjusted to an arbitrary value through the UV output controller 84 .

한편, 상기 조작부(80)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80a)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리모컨(80a)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의 입력부에 상기 리모컨(80a)의 적외선 키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R 수신부(101)를 더 설치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80 may be manufactured by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80a.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80a, an infrared key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80a is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100. An IR receiver 101 that can receive the .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30)의 입,출력부에 모듈 점등시간 누적부(33)와 모듈 교체시기 알림부(34)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30)로 하여금 UV-C 발광다이오드 모듈(40)이 점등될 때마다 제어부(30)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 누적시간을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lighting time accumulation unit 33 and a module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34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30 , and the control unit 30 causes the UV-C light emitting diodes to be installed. Whenever the module 40 is turned on, the accumulated time is continuously counted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30 and automatically stor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와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103)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100)로 하여금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이 점등될 때마다 자체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 누적시간을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102 and the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103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100 causes the UV- Whenever the 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turned on, the accumulated time is continuously counted using a timer provided in itself and automatically stor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통상시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로부터 누적점등시간을 계속 입력받아 만약, 상기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에 누적되는 현재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들의 누적점등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 수명시간(예를 들어 10,000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103)에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 등을 통해 현재까지 사용한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이 수명을 다했음 알리거나 표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continues to receive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from the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102 in normal times, and if the current UV-C accumulated in the UV-C ultraviolet light time accumulation unit 102 is When the cumulative lighting time of the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50 exceeds the maximum service life time (for example, 10,000 hours) that is input by itself, a driving signal is output to the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103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used so far is notified or displayed through light, text, or soun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80)에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85)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을 교체할 때마다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의 교체자가 상기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85)를 통해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102)된 점등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어 새로 교체된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에 대한 교체시기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is replaced by installing a UV-C UV illumination time reset key 85 on the operation unit 80 , the UV-C lamp or The replac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can reset the lighting time of the UV-C ultraviolet lighting time accumulation unit 102 through the UV-C ultraviolet lighting time reset key 85, so that the newly replaced UV-C The replacement timing for the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can also be continuously manag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와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106)(107)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필터(71)(72)의 교체후 경과시간을 제어부(100)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s 104 and 105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s 106 and 107 are provid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ors 104 and 105 set the elapsed time after re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by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0. It was continuously counted and saved automatically.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통상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로부터 현재 설치된 필터들의 누적 사용시간을 계속 입력받아 만약,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에 누적되는 현재 설치중인 제 1 및 제 2 필터(71)(72)의 누적 사용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시간(예를 들어 제 1 필터(71)는 많은 먼지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점을 감안하여 5~10일, 제 2 필터(72)는 잔여 먼지를 필터링 하는 점을 감안하여 10~20일;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축 사육장의 실내공간 내 환경의 오염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106)(107)에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 등을 통해 현재까지 사용한 제 1 또는 제 2 필터가 사용수명을 다했음 알리거나 표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normally receives the accumulated use time of the currently installed filt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e time accumulation units 104 and 105, and if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e time The accumulated use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currently installed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on unit 104, 105 is the maximum use time (for example, the first filter 71) 5 to 10 days in consideration of primary filtering of a lot of dust, 10 to 20 day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econd filter 72 filters residual dust; If it exceeds the pollution level of the environment, etc.), the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s 106 and 107 output a driving signal to output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used so far through light, text, or sound. Announcing or indicating that the 1st or 2nd filter has reached the end of its useful lif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80)에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86)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 1 또는 제 2 필터(71)(72)를 교체할 때마다 상기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86)를 통해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104)(105)에 누적된 제 1 또는 제 2 필터에 대한 사용시간을 각각 리셋트시켜 줄 수 있어 새로 교체한 필터에 대한 교체시기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sage time reset key ( 86), it is possible to reset the usage time for the first or second filter accumu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s 104 and 105, respectively, so that the replacement timing for the newly replaced filter is also provided. can be continuously managed.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의 입,출력부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108)을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100)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판단한 결과, 현재 사용중인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이 교체할 시기가 되었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제 1 및 제 2 필터(71)(72)가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작동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108)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 또는 단말기(150)로 자동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8 is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100 ,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100 by itself, the currently used UV-C lamp or light emissio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diode module 50 or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currently in use, has come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8 It was made to be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remote manager computer or terminal 150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살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0)을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필터(71)(72)들을 그 수명에 대응하여 정확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어 UV-C 자외선을 이용한 가축 사육장 내 공기의 살균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71 and 72, including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50 used in the air steri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at the correct time corresponding to their lifesp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air in the livestock kennel using UV-C ultraviolet rays, and also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으로는 220V의 상용 교류전압을 공급하고, 제어부(100)에 도시 생략한 정전압 정류부 등을 더 구비시켜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태양광 전지나, 수소전지, 또는 풍력발전기 등을 이용하여 발전되는 전압을 공급시켜 구동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supplying a commercial AC voltage of 220V, and further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rectifier, etc.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00, but if necessary, a solar cell or It may be driven by supplying a voltage generated using a hydrogen battery or a wind power generato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ha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10 : 가축 사육장
20 : 케이스 21 : 도어
22 : 공기 유입구 23 : 공기 배출구
24 : 다리 25 : 지붕
30 : 흡기 덕트
31 : 공기 흡입공 32 :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
40 : 송풍팬
50 :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60 : 분기 덕트 61 : 공기 배출공
62 :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 621 : 댐퍼
71, 72 : 제 1 및 제 2 필터
80 : 조작부 80a : 리모컨
81 : 수동조작 스위치 82 :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
83 : 팬 구동속도 조절기 84 :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
85 :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 86 :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
90 : 디스플레이부
100 : 제어부
101 : IR 수신부 102 :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
103 :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
104, 105 :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
106, 107 :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
108 :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
110 : 온도센서
120 : 냉,난방기
130 : 블로워 팬
140 : 반사판
150 : 컴퓨터 또는 단말기
160 : 외부공기 유입 덕트
10 : cattle ranch
20: case 21: door
22: air inlet 23: air outlet
24: bridge 25: roof
30: intake duct
31: air intake hole 32: air intake amount control means
40: blow fan
50: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60: branch duct 61: air outlet hole
62: air discharge control means 621: damper
71, 72: first and second filters
80: control unit 80a: remote control
81: manual operation switch 82: automatic operation timer switch
83: fan drive speed controller 84: UV-C UV output controller
85: UV-C UV light time reset key 86: filter usage time reset key
90: display unit
100: control unit
101: IR receiver 102: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103: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104, 105: 1st and 2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part
106, 107: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108: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 temperature sensor
120: air conditioner, heater
130: blower fan
140: reflector
150: computer or terminal
160: outside air inlet duct

Claims (13)

정면에 도어가 구비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공기 유입구와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며, 저면 내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 다리를 통해 가축 사육장 외측의 대지상에 탑 형태로 설치되는 케이스와;
복수의 공기 흡입공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의 상방부에 길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흡기 덕트와;
가축 사육장의 외부에서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팬에 의해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가 강제로 흡입되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때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가 자동 홉입되게 하는 외부공기 유입 덕트와;
상기 흡기 덕트의 외측 단부와 케이스의 공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가축 사육장의 외부 공기 일부와 가축 사육장 내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은 물론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된 분기 덕트들을 통해 다시 가축 사육장 내로 불어주어 가축 사육장 내 공기가 자동 순환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스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유입되는 가축 사육장 내,외부 공기에 UV-C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복수의 공기 배출공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형성된 형태에서 가축 사육장의 중간부분에서 가축들의 배치간격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외측 단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며 살균된 공기를 송풍팬의 송풍압력에 대응하여 가축 사육장의 각종 가축들에 근접하여 고르게 재공급시켜 주는 복수의 분기 덕트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에 근접된 위치에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필터와;
시스템의 구동을 필요한 키 또는 스위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 및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부의 키 또는 스위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풍팬을 포함한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 제어는 물론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a case having a door on the front, an air inlet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tower on the grou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through legs provided in the corners of the bottom, respectively;
an intake duct hav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are long installed above the livestock kennel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xternal air inlet duct that automatically sucks in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house w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livestock house is forcibly sucked in by a blower fan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duct from the outside of the livestock house and flows into the case; ;
It has a form install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intake duct and the air inlet of the case and forcibly sucks in some of the outside air of the livestock kennel and the contaminated air in the kennel and introduces it into the case, as well as branch duct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e. a blower fan that automatically circulates air in the livestock farm by blowing it back into the livestock farm through the air;
At least on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for removing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in the air by irradiating UV-C ultraviolet rays to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kennel that is forcibly introduced by the blowing fan whil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class;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y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terval of livestock in the middle part of the livestock kennel, and the outer end is coupled to the air outle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s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ranch ducts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and evenly re-supplying the sterilized air in response to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in close proximity to the various livestock of the livestock kennel;
first and second filters having a shape installed so as to be replaceable at positions adjacent to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in the case;
a manipulation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to input a key or switch signal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to display variou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lowing fan and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Contaminated air of a livestock breeding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response to a key or switch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cas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s well as driving control of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ncluding the blower fan; steriliz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서 분기 덕트들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가축 사육장 또는 케이스 내부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난방 또는 냉방기능을 수행하여 가축 사육장으로 재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관리자가 원하는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난방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kennel or case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livestock kennel or the cas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branch ducts are wrapped around the bottom of the case reaches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the heating or cooling func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bree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s a cooling/heating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re-supplied to the livestock farm maintains the heating or cooling set temperature desired by the mana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외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송풍팬의 송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 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of a livestock breeding hous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lower fan that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blowing pressure of the blowing fan in a state in which it is abdu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inside the case is further installed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와 복수의 분기 덕트에 송풍팬의 흡기력 및 송풍력이 미치를 거리 차에 대응하여 공기의 흡입량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과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을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ntake duct and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an air intake amount control means and an air discharge control means that can adjust the intake amount and discharge amount of air in response to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intake force and the blowing force of the blower fan are further installed, respectively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livestock farms with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량 조절수단은,
흡기 덕트의 저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공의 지름을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로 더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동일 지름을 갖게 형성하되,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송풍팬의 흡입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흡입공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흡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ir intake amount control means,
The diameter of the air intake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ake duct is gradually larger or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it gets away from the blower fan, but is formed at a gradually closer distance as it gets further away from the blower fan.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ke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sucked in from all air intake hol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suction pressu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량 조절수단은,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분기 덕트 내에 각각 각도 조절을 임으로 실시할 수 있는 형태로 댐퍼들을 설치하되,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분기 덕트 내을 막아주는 면적이 점차적으로 더 넓어지도록 댐퍼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의 송풍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무관하게 모든 공기 배출공에서 동일한 량의 공기가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ir discharge control means,
The dampers are installed in the branch duct where the air outlet hole is formed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rbitrarily, but the angle of the damper is adjusted so that the area blocking the inside of the branch duct gradually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outlet of the case is increased.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farm,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all air outlets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e fan blows press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공기가 통과하는 케이스의 중앙부로 집중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a livestock breeding house, characterized in that a reflector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o reflect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V-C lamp or th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through which air pas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송풍팬과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동조작 스위치 및 정해진 시간 작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자동 작동 타이머 스위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eration unit,
A manual operation switch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and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an automatic operation timer switch capable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time operation time,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or both are provided.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송풍팬의 구동속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팬 구동속도 조절기와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출력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UV-C 자외선 출력 조절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eration unit,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of a livestock breeding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n driving speed controller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ing fan and a UV-C ultraviolet output controller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output of a UV-C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리모컨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부에는 상기 리모컨의 키 및 스위치신호를 적외선으로 입력받는 IR 수신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the operation unit as a remote control,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a livestock breeding 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further installs an IR receiver that receives the key and switch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through infrared ray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점등될 때마다 제어부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 누적시간을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에 누적되는 현재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누적점등 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 수명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조명 교체시기 알림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교체할 때마다 UV-C 자외선 조명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점등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UV-C 자외선 조명시간 리셋 키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V-C ultraviolet illumination time accumulation unit for automatically storing the accumulated time by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whenever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s turned on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of the current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ccumulated in the UV-C ultraviolet lighting time accumulation unit has exceeded the maximum service life time inputted by itself, and a predetermined output When a signal is generated, a lighting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or displays it with light, text, or sound;
A UV-C ultraviolet light time reset key that can reset the accumulated lighting time in the UV-C ultraviolet light time accumulato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whenever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s replaced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livestock farms wi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는 제 1 및 제 2 필터의 교체후 경과시간을 제어부 내에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계속 계수하여 자동 저장하는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에 누적되는 현재 필터의 사용시간이 자체 내 기 입력되어 있는 최대사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불빛이나 문자 또는 소리로 알리거나 표시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 교체시기 알림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필터 사용시간 누적부에 누적된 필터 사용시간을 리셋트시켜 줄 수 있는 필터 사용시간 리셋 키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ors for continuously counting and automatically storing the elapsed time after re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using a tim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filter usage time accumu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s exceeds the maximum usage time input by itself, and when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is generated, it is turned on or off. A first and second filter replacement time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or displays by text or sound is further installed,
The polluted air sterilization system of a livestock bree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sage time reset key capable of resetting the accumulated filter usage time in the filter usage time accumulation unit whenever the filter is replaced.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부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사용중인 UV-C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교체할 시기가 되었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제 1 및 제 2 필터의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작동상태 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 또는 단말기로 자동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의 오염공기 살균 시스템.
1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or 12,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of the control unit,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it is time to replace the UV-C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module currently in use, or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currently in use A system for sterilizing polluted air in a livestock bree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hen it is time for replacement,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r computer or terminal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1020200180689A 2020-12-22 2020-12-22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KR202200899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9A KR20220089975A (en) 2020-12-22 2020-12-22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9A KR20220089975A (en) 2020-12-22 2020-12-22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975A true KR20220089975A (en) 2022-06-29

Family

ID=8227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89A KR20220089975A (en) 2020-12-22 2020-12-22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97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71B1 (en) 2007-01-10 2008-04-07 이건원 An automatic changing air system for barn
KR101260937B1 (en) 2011-03-16 2013-05-06 한국광기술원 System for ventilating barn and cleaning air
KR101554178B1 (en) 2015-05-18 2015-09-18 장원일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nd heating of air
KR20200099322A (en) 2019-02-14 2020-08-24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Air supply system for sterilization and thermostatic for Livestock bree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71B1 (en) 2007-01-10 2008-04-07 이건원 An automatic changing air system for barn
KR101260937B1 (en) 2011-03-16 2013-05-06 한국광기술원 System for ventilating barn and cleaning air
KR101554178B1 (en) 2015-05-18 2015-09-18 장원일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nd heating of air
KR20200099322A (en) 2019-02-14 2020-08-24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Air supply system for sterilization and thermostatic for Livestock bree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049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US8388731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KR101186045B1 (en) Human body disinfection device for entrance to Domestic Animals Shed
KR101554178B1 (en)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nd heating of air
KR101147406B1 (en) Fan coil air cleaning apparatus
CN111567413A (en) Pigsty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KR101386136B1 (en) Air handling system for livestock shed
CN112791575A (en) Odo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KR101960953B1 (en) Poultry domestication system
KR20220089975A (en) Contaminated air sterilization system in livestock farms
CN104296271A (en) Active purification type residence fresh air device
JP3773942B2 (en) Activated gas generator for animal and plant breeding facilities
KR100996896B1 (en) Sterilization ventilating devece
JP2012239469A (en) Collapsible shed for preventing animal bacterial disease
CN215352895U (en) Odo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KR102569610B1 (en) Apparatus for removal stink and sterilzation for livestock house using photocatalyst and ultraviolet rays and System for removal stink and sterilzation for livestock house using thereof
KR20220090000A (en) Indoor air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LED module and ceiling fan
KR102558395B1 (en) Apparatus for reduction stink and sterilzation having function of illuminating a harmful insect and System for reducing stink and sterilzation using thereof
KR20220016545A (en) barn air management system
CN208936391U (en) Air processor
CN112640793A (en)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of pig house
KR20170068275A (en)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ing
CN110657545A (en) Ultraviolet LED-based sterilization fresh air system and application
CN215892695U (en) Central air conditioning disinfection purifier
KR200212454Y1 (en) Sanitary management system for pigs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