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441A -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 Google Patents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441A
KR20220089441A KR1020200180066A KR20200180066A KR20220089441A KR 20220089441 A KR20220089441 A KR 20220089441A KR 1020200180066 A KR1020200180066 A KR 1020200180066A KR 20200180066 A KR20200180066 A KR 20200180066A KR 20220089441 A KR20220089441 A KR 2022008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nfirmed
data
signal recep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5106B1 (en
Inventor
전용주
황선배
문규환
이민우
이금비
Original Assignee
디토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토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토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06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구해지는 확진자 체류 위치와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확진자 이동 경로를 구하고, 상기 체류 위치와 상기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을 확진자별로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arrier data,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mobile carrier data in which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a confirmed case terminal is sequentially arranged - a confirmed case terminal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art time and reception end ti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confirmed patient in the base station; removing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operato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obtaining a confirmed patient movement route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of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based on the mobile operator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generating a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stay and the movement route for each confirmed patient, and detecting an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by comparing the buffer area cre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cludes

Description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arrier data.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COVID-19 관련하여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 국내 역학조사는 확진자 수의 급격한 증가, 역학조사관 인력 부족 및 확진자들의 거짓 진술 등으로 인해 이동 동선 파악에 혼선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relation to COVID-19, which has recently become a global issue,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s being conducted to identify the movement of confirmed patients. In the initial domestic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confusion and time-consuming problems occurred in identifying movement route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 shortage of personnel for epidemiological investigators, and false statements from confirmed cases.

또한 이동통신사 데이터, CCTV 데이터, 신용카드 사용내역, QR코드 등 위치와 관련 빅데이터를 확보하더라도 확진자 개인 정보 활용을 위한 절차상의 소요 시간이 발생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여 신속한 역학조사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location-related big data such as mobile operator data, CCTV data, credit card usage history, and QR code are secure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to utilize personal information of a confirmed patient occurs and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This absence made it difficult to conduct a rapi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은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구해지는 확진자 체류 위치와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확진자 이동 경로를 구하고, 상기 체류 위치와 상기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을 확진자별로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from a mobile operator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reception start time and reception end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ignal -; removing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operato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obtaining a confirmed patient movement route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of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based on the mobile operator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generating a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stay and the movement route for each confirmed patient, and detecting an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by comparing the buffer area cre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cludes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및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으로의 제2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다.The first movement spe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third base station and a second movement spe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hird base station.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상치 데이터로 판별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of the second base station used to obtain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It can be identified as outlier data.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speed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first base station. can

상기 제2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제3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The second movement speed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hird base statio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thir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second base station. can

상기 확진자 체류 위치와 상기 확진자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버퍼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s stay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confirmed patient may be created as a buffer area.

상기 2명 이상의 확진자의 버퍼 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의 중심과 체류 시간이 교차되는 시작 시간을 확진자 교차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The starting time at which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buffer areas of th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and the residence time intersect may be extracted as cross-confirmed informa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은,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는 데이터 수신부 -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상기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확진자별로 확진자의 체류 위치과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그리고 상기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교차 영역 검출부를 포함한다.The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a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Including the reception start time and reception end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confirmed patient - ; A data pre-processing unit that removes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carri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mobile carrier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It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the data, and an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buffer area gener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to detect an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치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정제된 이동 통신사 데이터를 이동 동선 데이터로 간주하여 대면 조사를 통해 획득한 확진자의 이동 동선 데이터의 진실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면 조사 외 이동 동선 분석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영역으로 가공 처리된 데이터에 확진자 감염 네트워크 표출 기능을 제공하여 역학조사관의 신속한 확진자 감염 경로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carrier data refined through the outlier data processing process can be regarded as movement data and used to determine the truth of the movement data of a confirmed patient obtained through face-to-fac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ovement lines other than face-to-face investig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In addition, it can help epidemiological investigators quickly identify the infection path of a confirmed person by providing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infected person's infection network to the data processed into the buffer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사 데이터 이상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진자별 체류 위치 및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버퍼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팟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processing data of outlier data from mobil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reating a buffer area based 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for each confirm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hotspo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 저장부(120), 데이터 전처리부(130), 데이터 가공부(140), 교차 영역 검출부(150) 및 시각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10 , a data storage unit 120 , a data preprocessing unit 130 , a data processing unit 140 , an intersection area detecting unit 150 , and a visualization unit 160 . ) may be included.

데이터 수신부(110)는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이동통신사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를 수신한 시작 시간 및 수신을 종료한 시간 정보(이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이라 함)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사 데이터는 실시예에 따라서 확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for the confirmed patien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reception of the terminal signal from the mobile operator's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firmed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and end time'). In addition, the mobile carrier data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confirmed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데이터 저장부(120)는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획득된 확진자에 대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120 stores mobile carrier data for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110 .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치 데이터는 2명 이상의 확진자가 교차하는 핫스팟(Hotspot) 영역(즉 확진자 교차 정보)을 검출하는데 있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이상치 데이터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동 통신사 데이터가 확진자의 이동통신 기기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의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전파를 수신할 기지국은 기지국 전파 세기에 의해 선정되기 때문에 불특정한 원인으로 인해 순간 전파 세기가 다른 기지국이 강해지는 경우, 다른 기지국의 전파를 이동통신 기기가 수신하면서 이러한 이상치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대다수의 이상치 데이터는 위와 같은 현상에 의해 발생되며, 일부 이상치 데이터는 행정 구역이 다른 기지국 위치가 표시되기도 하는데 해당 데이터 역시 속도 기반 필터링을 통해 이상치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The data preprocessor 130 may remove outlier data from mobile carri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Here, the outlier data means data that causes an error in detecting a hotspot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cases intersect (that is, cross-confirmed information). The reason that outlier data is generated in the mobile carrier data is that the mobile carrier data is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hat receiv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ignal of the confirmed patient. Since the base station to receive radio wave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radio wave strength, if a base station with a different instantaneous radio wave strength becomes stronger due to an unspecified cause, such outlier data may occur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radio waves from other base stations. can Most of the outlier data is generated by the above phenomenon, and for some outlier data, the location of a base station with a different administrative area is display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사 데이터 이상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processing data of outlier data from mobil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4개의 기지국(station 1, station 2, station 3, station 4)을 나타내었으며, 경로(① ~ ⑥)는 순차적으로 정렬된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에 기초한 확진자 이동 경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station 1)과 기지국(station 3)의 거리는 200M, 기지국(station 2)과 기지국(station 3)의 거리는 200M, 그리고 기지국(station 3)과 기지국(station 4)의 거리는 150M인 것으로 예시하였다.In FIG. 2, four base stations (station 1, station 2, station 3, and station 4) are shown, and the paths (① to ⑥) illustrate the movement path of a confirmed patient based on sequentially arranged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station 1) and the base station (station 3) is 200M,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station 2) and the base station (station 3) is 200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station 3) and the base station (station 4) is 150M. .

표 1은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각 기지국에서 특정 확진자의 이동통신 기기에 대한 신호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예이다. Table 1 shows an example of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including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of a confirmed patient, and each base station in FIG. 2 includes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a specific confirmed patient.

연번serial number 기지국base station (수신시작시간 ~ 수신종료시간)(reception start time ~ reception end time) 1One Station 1Station 1 (1:00:00 ~ 1:12:15)(1:00:00 ~ 1:12:15) 22 Station 3Station 3 (1:12:15 ~ 1:12:15)(1:12:15 ~ 1:12:15) 33 Station 2Station 2 (1:12:15 ~ 1:12:15)(1:12:15 ~ 1:12:15) 44 Station 3Station 3 (1:12:15 ~ 1:16:30)(1:12:15 ~ 1:16:30) 55 Station 4Station 4 (1:16:30 ~ 1:16:30)(1:16:30 ~ 1:16:30) 66 Station 3Station 3 (1:16:30 ~ 1:16:30)(1:16:30 ~ 1:16:30) 77 Station 4Station 4 (1:16:30 ~ )(1:16:30 ~ )

그런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획득된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상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바로 이동 경로로 확정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for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from the mobile carrier data contains outlier data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inaccurate to directly determine the transfer route.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속도 기반 필터링을 통해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다.The data preprocessor 130 may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ing to remove outlier data through rate-based filtering.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및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기초로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의 제1 이동 속도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의 제2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1 이동 속도 및 제2 이동 속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상치 데이터로 판별할 수 있다.The data preprocessing unit 130 mo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third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rst moving speed of , and a second moving spe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hird base station.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data pre-processing unit 130 is a terminal of a confirmed patient of the second base station used to obtain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outlier data.

예컨대 이전 기지국(Station i-1)과 기준 기지국(Station i) 사이의 이동 속도(Speed(i-1, i))와 기준 기지국(Station i)과 다음 기지국(Station i+1) 사이의 이동 속도(Speed(i-1, i))를 기준 기지국(Station i)을 순차적으로 변경해가면서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ement speed between the previous base station (Station i-1) and the reference base station (Station i) (Speed (i-1, i) ) and the movement speed between the reference base station (Station i) and the next base station (Station i+1) (Speed (i-1, i) ) can be obtained by sequentially changing the reference base station (Station i).

기지국 사이의 이동 속도(Speed(i-1, i))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The moving speed between base stations (Speed (i-1, i) )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Speed(i-1, i) = Di-1,i/(Ti,s - Ti-1,s)Speed (i-1, i) = D i-1,i /(T i,s - T i-1,s )

여기서 Ti,s는 기준 기지국(Station i)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이다. Ti-1,s은 이전 기지국(Station i-1)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이다. Di-1,i은 기준 기지국(Station i)과 이전 기지국(Station i-1) 사이의 거리이다.Here, T i,s is the start time of reception of the terminal signal from the confirmed patient in the reference base station (Station i). T i-1,s is the start time of reception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confirmed patient in the previous base station (Station i-1). D i-1,i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base station (Station i) and the previous base station (Station i-1).

수학식 1을 기준으로 도 2에서 각 경로에 대응하는 기지국 간 이동 속도를 구해보면, 경로 ②(Station 3 --> Station 2), 경로 ③(Station 2 --> Station 3), 경로 ④(Station 3 --> Station 4), 경로 ⑤(Station 4 --> Station 3)에 해당하는 기지국 이동 속도는 모두 무한대로 나온다.Based on Equation 1, if the moving speed between the base stations corresponding to each path is obtained in FIG. 2, the path ②(Station 3 --> Station 2), the path ③(Station 2 --> Station 3), the path ④(Station) 3 --> Station 4) and route ⑤ (Station 4 --> Station 3), the base station movement speed is infinite.

즉 경로 ②와 경로 ③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 표 1의 연번 3에 해당하는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이상치 데이터(Outlier1)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 ④와 경로 ⑤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 표 1의 연번 5의 데이터도 이상치 데이터(Outlier2)로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corresponding to serial number 3 in Table 1 used to calculate the movement speed of the paths ② and ③ can be detected as outlier data (Outlier1). In addition, the data of serial number 5 in Table 1 used to calculate the moving speeds of the paths ④ and ⑤ can also be detected as outlier data (Outlier2).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이상치 데이터로 검출된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제거할 수 있다. 가령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 1에서 연번 3과 연번 5를 제거할 수 있다.The data preprocessor 130 may remove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detected as the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operator data.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2, serial number 3 and serial number 5 can be removed from Table 1.

그리고 이상치 데이터 제거 후 동일한 기지국에 대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outlier data is removed, temporally continuous data for the same base station may be combined into one data.

연번serial number 기지국base station (수신시작시간 ~ 수신종료시간)(reception start time ~ reception end time) 1One Station 1Station 1 (1:00:00 ~ 1:12:15)(1:00:00 ~ 1:12:15) 22 Station 3Station 3 (1:12:15 ~ 1:12:15)(1:12:15 ~ 1:12:15) 44 Station 3Station 3 (1:12:15 ~ 1:16:30)(1:12:15 ~ 1:16:30) 66 Station 3Station 3 (1:16:30 ~ 1:16:30)(1:16:30 ~ 1:16:30) 77 Station 4Station 4 (1:16:30 ~ )(1:16:30 ~ )

표 2에서 연번 2, 4, 6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동일한 기지국(Station 3)에 대해 시간적으로 연속하므로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할 수 있다. In Table 2, data corresponding to serial numbers 2, 4, and 6 are temporal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same base station (Station 3), and thus can be combined into one data.

데이터 가공부(140)는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구해지는 확진자 체류 위치와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확진자 이동 경로를 확진자별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가공부(140)는 확진자별로 구해지는 체류 위치와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40 may obtain the movement route of the confirmed patient for each confirmed pati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of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may create a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a stay location and a movement path obtain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체류 위치는 이동통신사 데이터에 확진자 단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 경우 확진자 단말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 반경을 벗어나지 않으면 해당 반경의 중심 위치를 체류 위치로 정한다. 한편 확진자 단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 위치를 확진자 체류 위치로 간주한다.The location of stay is obtained by using the mobile operator's data,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s terminal is included. In this cas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confirmed patient does not deviate from a certain radiu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entral location of the radius is determined as the staying loc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confirmed patient is not included, the base station location is regarded as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s stay.

체류 시간 정보는 체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신호 수신 종료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기지국 위치 기반으로 확진자 위치를 정할 때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의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수신 종료 시간으로 체류 시간이 정해질 수 있다.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as a signal reception start time and a signal reception end time corresponding to the residence position. That is,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confirmed patient based on the base station location, the residence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signal reception start time and reception end time of the terminal of the confirmed patient in the base sta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진자별 체류 위치 및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버퍼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reating a buffer area based 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for each confirm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좌측은 대상자 A, 대상자 B, 대상자 C 각각의 체류 위치를 나타낸 지도이고, 우측은 대상자 A, 대상자 B, 대상자 C 각각의 체류 위치에서 체류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In FIG. 3, the left side is a map showing the staying positions of subjects A, B, and C, respectively, and the right side shows the residence times at each of the staying positions of subjects A, B, and C. In FIG.

도 4는 대상자 A, 대상자 B, 대상자 C 각각의 체류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예컨대 일정 반경(가령 20M, 50M 등)을 가지는 원)으로 버퍼 영역을 생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대상자 A, 대상자 B, 대상자 C 각각의 선행 체류 위치와 후행 체류 위치를 연결하는 선분으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선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를 가지는 영역(예컨대 일정 폭을 가지는 사각형, 예컨대 폭 50, 100M 등의 사각형)을 버퍼 영역으로 생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an example of creating a buffer area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eg, a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eg, 20M, 50M, etc.)) around the staying position of each of subjects A, B, and C. . Then, a movement path is generated with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preceding staying position and the following staying position of subject A, subject B, and subject C, respectively, and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line segment (eg, a rectangle having a certain width, for example, a width of 50 , 100M, etc.) is shown as an example of creating a buffer area.

교차 영역 검출부(150)는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핫스팟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The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area (hotspot area) in which two or more confirmed person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by comparing the buffer area gener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스팟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hotspo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핫스팟 영역은 아래 3가지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hotspot region may be detected by the following three methods.

1) 제1 확진자와 제2 확진자 각각의 체류 위치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이 공간적으로 교차하면서 체류 시간도 겹치는 경우1) When the buffer areas corresponding to the stay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rmed cases intersect spatially and the residence times also overlap

2) 제1 확진자의 체류 위치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과 제2 확진자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이 공간적으로 교차하면서 체류 시간도 겹치는 경우2) When the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staying position of the first confirmed patient and the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confirmed patient intersect spatially and the residence time also overlaps

3) 제1 확진자와 제2 확진자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이 공간적으로 교차하면서 체류 시간도 겹치는 경우3) When the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confirmed patient and the second confirmed patient intersects spatially and the residence time also overlaps

물론 실시예에 따라 위 3가지 경우 중에서 1번 경우만 또는 1번과 2번 경우에만 핫스팟으로 검출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detection as a hotspot only in case 1 or cases 1 and 2 among the above three cases.

교차 영역 검출부(150)는 2명 이상의 확진자의 버퍼 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의 중심과 체류 시간이 교차되는 시작 시간을 확진자 교차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The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150 may extract the starting time at which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buffer areas of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and the residence time intersect as the cross-confirmed information.

시각화부(160)는 버퍼 영역으로 가공 처리된 데이터에 핫스팟 지역을 시각화하여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부(160)는 특정 핫스팟 지역이 선택되면 해당 지역을 교차한 확진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접촉자 수, 접촉 시간, 최초 접촉 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시각화부(160)는 핫스팟 기준에 따라 표출할 데이터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이는 확진자 및 그 접촉자들이 이동 중에 만나는 것과 서로 머무는 상황에서 접촉한 경우의 위험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The visualization unit 160 may visualize and display the hotspot area in the data processed as the buffer area. In addition, when a specific hotspot area is selected, the visualization unit 16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confirmed person who has crossed the area, and may provide data on the number of contacts, contact time, initial contact ti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unit 160 may vary the data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tspot standard, because the risk of a confirmed patient and his/her contacts meeting during movement and in contact while staying with each other is differ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데이터 수신부(110)는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610).Referring to FIGS. 1 and 6 , first,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 S610 ).

이후 데이터 전처리부(130)는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S620). 단계(S620)에서 이상치 데이터는 확진자 단말의 기지국 간 이동 속도를 구하고, 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이동 속도가 구해지는데 사용된 기지국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상치 데이터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치 데이터 제거 후 동일한 기지국에 대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ata preprocessor 130 may remove the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carri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 S620 ). In step S620, the outlier data obtains the movement speed between the base stations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and based on this, the base station confirmer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used to obtain the movement speed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may be removed as outlier data. In addition, after the outlier data is removed, temporally continuous data for the same base station may be combined into one data.

다음으로 데이터 가공부(140)는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구해지는 확진자 체류 위치와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확진자 이동 경로를 확진자별로 구할 수 있다(S630). Next,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may obtain the movement route of the confirmed patient for each confirmed pati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of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 S630 ).

이후 데이터 가공부(140)는 확진자별로 구해지는 체류 위치와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S640).Thereafter,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may create a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staying position and the movement path obtain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S640).

마지막으로 교차 영역 검출부(150)는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핫스팟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S650). 단계(S650)에서 교차 영역 검출부(150)는 2명 이상의 확진자의 버퍼 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의 중심과 체류 시간이 교차되는 시작 시간을 확진자 교차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Finally, the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area (hotspot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erson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by comparing the buffer area gener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S650). In step S650 , the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150 may extract the starting time at which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buffer areas of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and the residence time intersect as cross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apparatu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Claims (11)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구해지는 확진자 체류 위치와 체류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확진자 이동 경로를 구하고, 상기 체류 위치와 상기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을 확진자별로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receiving data from a mobile operator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removing outli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rom the mobile carrier data;
Obtaining the movement route of the confirmed pati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stay of the confirmed patient obtained based on the mobile carrier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and creating a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stay and the movement path for each confirmed person step, and
detecting an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in time and space by comparing the buffer area gener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including
제 1 항에서,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및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으로의 제2 이동 속도를 구하고,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상치 데이터로 판별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In claim 1,
The first movement spe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third base station and obtaining a second movement spe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hird base st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of the second base station used to obtain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that identifies outlier data.
제 2 항에서,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하고,
상기 제2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제3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In claim 2,
The first moving spee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second moving speed is,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for ob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hird base station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base station's signal reception start time for the confirmed patient and the second base station's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
제 1 항에서,
상기 확진자 체류 위치와 상기 확진자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버퍼 영역으로 생성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In claim 1,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in which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person's stay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confirmed person is created as a buffer area.
제 1 항에서,
상기 2명 이상의 확진자의 버퍼 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의 중심과 체류 시간이 교차되는 시작 시간을 확진자 교차 정보로 추출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In claim 1,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that extracts the starting time at which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buffer areas of th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and the residence time intersect as cross-confirmed information.
컴퓨터에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ny one of the methods of any one of claims 1 to 5 is recorded on a computer.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가 순차적으로 정렬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제공받는 데이터 수신부 -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는 기지국에서 확진자 단말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이동통신사 데이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이상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상기 이상치 데이터가 제거된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기초로 확진자별로 확진자의 체류 위치과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그리고
상기 확진자별로 생성된 버퍼 영역과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2명 이상의 확진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교차 영역 검출부
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a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which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is sequentially arranged;
A data pre-processing unit that removes outlier data from the mobile operato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 data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buffer area and resid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the confirmed patient for each confirmed patient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data from which the outlier data has been removed; and
An intersection area det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buffer area generated for each confirmed patient with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to detect an area wher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temporally and spatially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제 7 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처리부는,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 및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으로의 제2 이동 속도를 구하고,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 및 상기 제2 이동 속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정보를 이상치 데이터로 판별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In claim 7,
The data preprocessor,
The first movement spe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terminal of the third base station and obtaining a second movement spe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hird base st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atient of the second base station used to obtain the first moving speed and the second moving speed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that identifies outlier data.
제 8 항에서,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하고,
상기 제2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제3 기지국의 거리를 상기 제3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확진자 단말 신호 수신 시작 시간의 차로 나눈 값으로 구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In claim 8,
The first moving spee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second moving speed is,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hird base statio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base station's signal reception start time and the second base station's terminal signal reception start time .
제 7 항에서,
상기 확진자 체류 위치와 상기 확진자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버퍼 영역으로 생성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방법.
In claim 7,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in which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person's stay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confirmed person is created as a buffer area.
제 7 항에서,
상기 2명 이상의 확진자의 버퍼 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의 중심과 체류 시간이 교차되는 시작 시간을 확진자 교차 정보로 추출하는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In claim 7,
A big data-base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that extracts the starting time at which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buffer areas of the two or more confirmed patients intersect and the residence time intersect as cross-confirmed information.
KR1020200180066A 2020-12-21 2020-12-21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KR102505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66A KR102505106B1 (en) 2020-12-21 2020-12-21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66A KR102505106B1 (en) 2020-12-21 2020-12-21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41A true KR20220089441A (en) 2022-06-28
KR102505106B1 KR102505106B1 (en) 2023-03-02

Family

ID=8226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66A KR102505106B1 (en) 2020-12-21 2020-12-21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10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4416A (en) * 2022-10-27 2022-11-25 山东方格医疗器械有限公司 Medicine dispensing vehicle data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5662650A (en) * 2022-09-02 2023-01-31 深圳市名通科技股份有限公司 Tight-lock user fish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ccurate positio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89A (en) * 2013-02-23 2014-09-1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device
KR20190024549A (en)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infectious disease diffusion prevention
KR102159722B1 (en) * 2020-02-21 2020-09-24 (주) 티나쓰리디 Method for warning risk of virus infec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method and apparatus o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using confirmer information of infectious virus
KR102192786B1 (en) * 2020-05-20 2020-12-18 주식회사 클럽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ystem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Automatic Calculation of Infection Probability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89A (en) * 2013-02-23 2014-09-1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device
KR20190024549A (en)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infectious disease diffusion prevention
KR102159722B1 (en) * 2020-02-21 2020-09-24 (주) 티나쓰리디 Method for warning risk of virus infec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method and apparatus o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using confirmer information of infectious virus
KR102192786B1 (en) * 2020-05-20 2020-12-18 주식회사 클럽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ystem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Automatic Calculation of Infection Probability and Its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2650A (en) * 2022-09-02 2023-01-31 深圳市名通科技股份有限公司 Tight-lock user fish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ccurate positioning
CN115662650B (en) * 2022-09-02 2024-04-26 深圳市名通科技股份有限公司 Close-contact user salvag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ccurate positioning
CN115394416A (en) * 2022-10-27 2022-11-25 山东方格医疗器械有限公司 Medicine dispensing vehicle data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06B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9441A (en) Big Data based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Network Data
US10747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achine-readable codes for testing a communication network
EP3137921A1 (en) 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
WO2018155897A1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reality service
WO2019029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indoor target 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US11195419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ngerous spot calculation program, dangerous spot calculation method, and dangerous spot calculation apparatus
CN106470478B (en) Positioning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8876857A (en) Localiza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US20160323159A1 (en) Determining Semantic Place Names from Location Reports
CN106546236B (en) Based on architecture structure drawing from the offshore platform personnel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of host computer
CN111666821A (en) Personnel gathering detec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2016011680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oute map or map zoom control performed
US20100141432A1 (en) Correcting and/or improv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object location history, topology, and/or other information
KR20220130567A (en) Methods, apparatuses, devices, and storage medium for detecting correlated objects included in an image
CN110766717B (en) Follow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based on image recognition
US20230061220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JP6754574B2 (en) Moving objec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area to be measured
CN104540222B (en) Indoor terminal localization method based on virtual sampled point
CN115900713A (en) Auxiliary voice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132309B (en) Positioning method, positioning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210255270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correction method
AU2021240276A1 (en) Methods, apparatuses, devices and storage media for switching states of card games
CN114332818A (en)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380965B (en) Face recognition method and multi-camera
CN114237250B (en) Navigation suggestion rout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in target area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