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826A -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826A
KR20220088826A KR1020200179136A KR20200179136A KR20220088826A KR 20220088826 A KR20220088826 A KR 20220088826A KR 1020200179136 A KR1020200179136 A KR 1020200179136A KR 20200179136 A KR20200179136 A KR 20200179136A KR 20220088826 A KR20220088826 A KR 2022008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t
circulation hole
water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780B1 (ko
Inventor
김청균
Original Assignee
김청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균 filed Critical 김청균
Priority to KR102020017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otan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받침대의 최하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순환구멍과 연통된 배관의 일단에는 탱크의 물을 흡상하기 위한 모터펌프를 연결하고,
화분받침대에는 화분을 암수나사 또는 소켓 및 반원형관에 의해 조립되어 바퀴달린 화분받침대가 이동해도 화분이 전도될 위험성이 없고,
또한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 및 보조기둥, 스트레이너, 물재킷 내장형 화분과 구멍내장형 성형흙으로 연결되는 순환구멍을 따라 식물에 모터펌프로 물을 공급하고, 또한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탱크까지 자동으로 환류되는 구조이고,
또한, 구멍내장형 성형흙에 매립된 센서에 의해 계측된 온습도 및 빛 정보를 컨트롤러의 표시창에 나타내고, 동시에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펌프와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식물을 배양하기 위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AUTOMATIC WATER SUPPLY POT STAND AND SMART CULT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실내에 있는 화분받침대의 내부와 물재킷 내장형 화분에 채워지는 흙에 연통이 가능한 순환구멍을 형성하여 화초나 채소와 같은 식물이 잘 배양되도록 물이나 영양수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받침대의 최하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순환구멍과 연통된 배관의 일단에는 탱크의 물을 흡상하기 위한 모터펌프를 연결하고,
화분받침대에는 화분을 암수나사 또는 소켓 및 반원형관에 의해 조립되어 바퀴달린 화분받침대가 이동해도 화분이 전도될 위험성이 없고, 또한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 및 보조기둥, 스트레이너, 물재킷 내장형 화분과 구멍내장형 성형흙으로 연결되는 순환구멍을 따라 식물에 모터펌프로 물을 공급하고, 또한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탱크까지 자동으로 환류되는 구조이고,
또한, 구멍내장형 성형흙에 매립된 센서에 의해 계측된 온습도 및 빛 정보를 컨트롤러의 표시창에 나타내고, 동시에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펌프와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식물을 배양하기 위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사무실에 진열된 화분받침대는 기둥과 평판을 사용한 선반 형태의 트러스 구조물에 상하좌우로 다수개의 화분을 올려놓는 정치식이 대부분이므로 화분에 물이나 영양수액을 물뿌리개나 분무기로 공급하면 화분 밖으로도 뿌려져 바닥면이 젖는 문제와, 물받이로 화분을 받쳐도 넘치거나 부패되는 문제, 특히 물을 적기에 적량을 공급하기가 어려우며,
물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화분받침대에 있는 화분을 옮길 때는 큰 힘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화분을 떨어뜨릴 위험성이 있으며,
바퀴 달린 소규모의 화분받침대라도 이동과정에 고정되지 않은 화분이 전도될 위험성 높고, 화분이 많이 배열된 경우는 배양 관리비용이 높아지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합성 작용이 필요한 식물에 햇빛을 공급하지 못하면 식물의 성장발육이 늦어지고, 실내에는 햇빛을 쪼여줄 공간이 부족해 화분을 이동하려면 관리비용 증가와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화분과 화분받침대는 다수개의 화분을 단순히 올려놓는 선반형태의 정치식이기 때문에 화분에 물이나 영양수액을 물뿌리개나 분무기로 공급할 때 바닥면이 젖거나 물받이가 있어도 흘러넘치는 문제는 화분과 흙, 물을 뿌려주는 공급노즐, ㄱ형상 주름관 및 반원형관, 화분받침대 및 기둥의 내부를 모두 연통시킬 수 있도록 순환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모터펌프에 의한 자동공급과 중력에 의한 자연적으로 배수하는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으로 해결하고,
또한,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인력으로 옳기는 어려움과 전도사고의 위험성, 화초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일조량 부족과, 물의 공급주기와 적량공급의 부정확성 때문에 발생하는 발육부진 문제는 온습도 및 광량을 센서로 계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이나 영양수액은 모터펌프로, 그리고 인공햇빛은 조명장치로 식물을 자동 배양하기 위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바퀴 달린 소규모의 화분받침대라도 이동과정에 고정되지 않은 화분이 전도되는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한 암수나사 또는 소켓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분에 물 공급주기와 적량공급의 어려움, 특히 인력으로 화분을 옳기는 과정에 발생하는 전도사고의 위험성과, 물뿌리개 사용에 따라 바닥면이 젖어 오염되는 문제는 화분받침대의 내부와 물재킷 내장형 화분 및 채워야 하는 흙에 순환구멍을 모두 형성하여 서로 연통함으로써 모터펌프로 흡상한 물이나 영양수액을 화초나 채소에 강제로 공급할 수 있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저장 탱크까지 자동으로 환류하는 구조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안전성과 편의성, 효율성을 확보하고,
또한, 인공으로 구멍을 성형한 흙에 삽입된 센서에 의해 온습도 및 빛의 광량 정보를 표시창에 나타내고, 동시에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전달된 정보로 관리자는 모터펌프와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또한, 화분받침대를 이동할 때 발생되는 화분의 전도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해 암수나사 또는 소켓방식으로 화분을 화분받침대에 고정한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은 화분을 힘들게 옮기지 않고, 물뿌리개나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화분받침내의 내부에 형성된 순환구멍, 물재킷 또는 공급노즐을 설치한 화분, 배양흙이나 자연흙에 구멍을 성형한 인공흙, 흙에 공급된 물의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 흙에 포켓 내장형 구체를 삽입한 화분에 물이나 영양수액을 모터펌프로 적기에 적량을 원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을 효율적으로 배양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바퀴 달린 화분받침대에 배열된 화분은 떨어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화분받침대와 화분에 암수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하거나, 또는 화분에 설치되는 소켓 및 반원형관에 의해 화분의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이동성과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주기 및 공급량은 온도센서와 토양수분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고, 실내에는 햇빛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명장치로 빛을 쪼여주고 조도센서로 관리하는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의해 화초관리의 전문성이 부족해도 많은 화분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및 화분받침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분받침대(100)는 다수개의 화분(10)을 상하좌우로 배열하기 위한 상하방향의 평판(11)과, 이 평판(11)의 상면에 자연흙(12)이 채워진 화분(10)을 올리기 위해 다수개의 수직방향 기둥(13)과 경사방향의 보조기둥(14)으로 선반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분(10)의 바닥면 중심축을 뚫어 형성된 배수구멍(15)을 통해 방출된 물을 담아두는 물받이(16)로 받친 정치식의 화분 및 화분받침대(100)가 대부분이지만, 화분받침대(100)의 하단부에 바퀴(17)를 설치하면 물을 공급하거나 햇빛을 쪼이기는 용이하지만, 이동할 때는 화분(10)을 평판(11)에 고정하지 않아 전도의 위험성이 높아 보통은 소규모에서만 사용하는 이동식의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는 다수개의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을 상하좌우로 배열하기 위해 상하방향의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배양흙이나 자연흙으로 형성된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채운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하중은 수직방향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23)과 경사진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의해 연통되는 트러스 형상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구멍(26)을 수직방향으로 뚫고, 또한 측벽에는 수직방향의 상단부가 막히도록 형성된 중공 원통형상 물재킷(27)의 내측벽면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6')을 통과한 물이나 영양수액은 화분내부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구멍(26")과 수평방향의 구멍(26"')을 따라 성형된 격자형상의 구멍내장형 성형흙(22)에 심은 화초나 채소와 같은 식물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바닥 하면에 형성된 공간에는 스트레이너(28)를 조립하여 상기 구멍(26)을 통해 물과 함께 배수되는 흙가루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물을 재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하단부 외경면에 형성된 오링홈(29)에 삽입된 오링(30)과, 상기 오링홈(29)의 하방향 연장선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상면 일단을 파서 형성된 실린더(31) 형상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기 때문에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퀴(17)를 사용하여 이동할 때 전도 위험성이 차단되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상단부에 삽입된 온도센서(32)와 토양수분센서(33)는 온습도, 그리고 조도센서(34)는 광량을 각각 계측하여 최상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전면에 위치한 컨트롤러(35)의 표시창(36)에 나타내고, 또한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37)과 컴퓨터(38)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펌프(39)와 조명장치(40)를 작동시켜 물이나 영양수액과 빛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배양하는 구조이고,
최하단부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하단부 배관(41)의 중간부에 상기 모터펌프(39)를 설치하여 탱크(42)에 저장된 물이나 영양수액을 끌어올려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23)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 스트레이너(28), 물재킷 내장형 화분(20) 및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순환구멍(25) 및 구멍(26,26',26",26"')을 따라 식물에 강제로 공급하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상기 탱크(42)까지 환류되는 이동식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예시한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는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을 상하좌우로 배열하기 위한 상하의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배양흙이나 자연흙으로 형성된 구멍내장형 성형흙(22')에 의해 채워진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하중은 다수개의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과 수직방향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 중심축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의해 대칭되게 연통된 A형상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 바닥면의 중심축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공급노즐(46)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26)을 뚫고, 또한 화분내부에는 수직방향의 구멍(26")과 수평방향의 구멍(26"')을 따라 형성된 격자구조의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을 타고 화초나 채소와 같은 식물에 물이나 영양수액이 공급되는 구조이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에는 물이 장기간 체류할 수 있는 다수개의 포켓 내장형 구체(47)를 분산시켜 식물에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구조이고,
또한, 상기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하단부 중심축을 뚫어 형성된 배수구멍(15')에는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상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성형한 소켓(48)의 외경면에 형성된 오링홈(29')에 삽입된 오링(30')에 의해 지지·밀봉되기 때문에 A형상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하단부에 설치한 바퀴(17)를 사용하여 이동할 때의 전도 위험성은 차단되고,
또한, 중간부 및 최상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연통되도록 전면에 등간격으로 체결된 ㄱ형상 주름관(49)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노즐구멍(50)을 구비한 반원형관(51)을 연결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상단부에 삽입된 온도센서(32)와 토양수분센서(33), 그리고 조도센서(34)에 의해 계측된 온습도 및 광량 정보는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전면에 설치한 컨트롤러(35)의 표시창(36)에 표시되고, 이들 데이터가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37)과 컴퓨터(38)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펌프(39)와 조명장치(40')를 각각 작동시켜 물이나 영양수액과 빛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배양하는 구조이고,
상기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최하단부 양쪽에 대칭되게 배열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순환구멍(25')은 배관(41')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배관(41')의 중간부에는 모터펌프(39)와 T형상 배관(52)을 쭉 연결하고, 상기 T형상 배관(52)의 하방향 끝단에 연결된 탈부착 가능한 탱크(42')에 저장된 물이나 영양수액은 상기 모터펌프(39)에 의해 흡상되어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 ㄱ형상 주름관(49)에 연결된 반원형관(51)과,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공급노즐(46)과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구멍(26,26",26"')을 따라 식물에 강제로 공급되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상기 탱크(42')까지 환류되는 이동식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예시한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으로, 도 3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는 배관(41')의 중간부에 모터펌프(39)와 하방향으로 T형상 배관(52)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T형상 배관(52)의 끝단에는 탈부착 가능한 탱크(42')에 저장된 물이나 영양수액을 모터펌프(39)로 흡상하여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 ㄱ형상 주름관(49)에 연결된 반원형관(51)과,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공급노즐(46)과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구멍(26,26",26"')을 따라 식물에 강제로 공급하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상기 탱크(42')까지 환류하는 구조이지만, 도 4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에서는 최상단부에 위치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된 순환구멍(25')의 상측방향에 연결된 엘보 형상의 배관 우측방향으로 모터구동볼밸브(54)와, 좌측 유출구에 수동식의 볼밸브(53)를 설치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탱크(42")를 쭉 연결하고, 상기 탱크(42")에 저장된 물이나 영양수액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 ㄱ형상 주름관(49)에 연결된 반원형관(51)과,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공급노즐(46)과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구멍(26,26",26"')을 따라 순차적으로 모든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에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배수되어 하단부에 위치한 배관(41')의 중간부에 연결된 T형상 배관(52)의 좌측 끝단에는 우측 유출구에 수동식의 볼밸브(53)가 설치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의 탱크(42"')로 모아져 다 채워지면, 상기 탱크(42"')를 탈거하여 최상단부에 위치한 탱크(42")와 교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구조가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상단부에 삽입된 온도센서(32)와 토양수분센서(33)는 온습도, 그리고 조도센서(34)에 의해 계측된 광량 정보는 최상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전면에 위치한 컨트롤러(35)의 표시창(36)에 나타내고, 동시에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37)과 컴퓨터(38)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구동볼밸브(54)와 조명장치(40')의 온 오프 선택기능을 작동시켜 물과 빛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하는 구조와 순환방식이 서로 다르고, 그 외의 구성부품과 작동은 동일한 이동식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 : 화분 11 : 평판
12 : 자연흙 13 : 기둥
14 : 보조기둥 15,15' : 배수구멍
16 : 물받이 17 : 바퀴
20 : 물재킷 내장형 화분 21,21',21",21"':순환구멍 내장형 평판
22,22' : 구멍내장형 성형흙 23 :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
24,24' :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 25,25' : 순환구멍
26,26',26",26"' : 구멍 27 : 물재킷
28 : 스트레이너 29,29' : 오링홈
30,30',30" : 오링 31 : 실린더
32 : 온도센서 33 : 토양수분센서
34 : 조도센서 35 : 컨트롤러
36 : 표시창 37 : 스마트폰
38 : 컴퓨터 39 : 모터펌프
40,40' : 조명장치 41,41' : 배관
42,42',42",42"' : 탱크 43 : 캡
44 :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 45 :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
46 : 공급노즐 47 : 포켓 내장형 구체
48 : 소켓 49 : ㄱ형상 주름관
50 : 노즐구멍 51 : 반원형관
52 : T형상 배관 53 : 볼밸브
54 : 모터구동볼밸브 100 : 화분받침대
200,200',200" :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Claims (3)

  1. 상하의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수직방향의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23) 및 경사진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은 내부 중심부를 따라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의해 연통되도록 조립된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선반형상은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하중지지 및 물 공급과 배수를 담당하고,
    상기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바닥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뚫은 다수개의 구멍(26)과, 측벽에는 상단부가 막히도록 형성된 중공 원통형상 물재킷(27)의 내측벽면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6')을 통과한 물이나 영양수액은 수직방향 구멍(26")과 수평방향 구멍(26"')을 내장한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격자형 구멍을 타고 식물에 공급되고,
    상기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바닥 하면에 형성된 공간에는 스트레이너(28)를 조립하고, 또한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하단부 외경면에 형성된 오링홈(29)에는 오링(30)을 삽입하고, 상기 오링홈(29)의 하방향 연장선에 형성된 수나사는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상면 일단을 판 실린더(31) 형상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하여 누수와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이동에 따른 물재킷 내장형 화분(20)의 전도를 방지하고,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상단부에 삽입된 온도센서(32), 토양수분센서(33), 조도센서(34)에 의해 계측된 각종 정보는 최상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전면에 위치한 컨트롤러(35)의 표시창(36)에 나타내고, 또한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37)과 컴퓨터(38)에 전달된 정보에 의거 관리자는 모터펌프(39)와 조명장치(40)를 작동시켜 물과 빛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최하단부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관(41)의 중간부에 설치된 모터펌프(39)는 탱크(42)에 저장된 물을 흡상하여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기둥(23)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 스트레이너(28), 물재킷 내장형 화분(20) 및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순환구멍(25) 및 구멍(26,26',26",26"')을 따라 물을 공급하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상기 탱크(42)까지 환류되는 이동식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2.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채워진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은 상하의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수직방향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의해 양쪽으로 대칭되게 연통되는 A형상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에 의해 하중지지 및 물 공급과 배수를 담당하고,
    상기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에는 바닥면의 중심축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공급노즐(46)의 원주방향으로 뚫은 다수개의 구멍(26)에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의 구멍(26")과 수평방향의 구멍(26"')을 격자형으로 구비한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을 채워 넣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에는 포켓 내장형 구체(47)를 배열시켜 물이 장기간 체류하면서 식물에 흡수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하단부 중심축을 뚫어 형성된 배수구멍(15')에는 상기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상면 좌우방향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성형한 소켓(48)의 외경면에 형성된 오링홈(29')에 오링(30')을 삽입·고정하여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가 이동할 때 화분의 전도와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의 내부 중심부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연통되도록 전면에 등간격으로 체결한 ㄱ형상 주름관(49)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노즐구멍(50)을 구비한 반원형관(51)을 연결하고,
    상기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최하단부 양쪽에 대칭되게 배열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순환구멍(25')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관(41')의 중간부에는 모터펌프(39)와 T형상 배관(52)을 탱크(42')까지 쭉 연결하여 모터펌프(39)에 의해 흡상된 물은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 ㄱ형상 주름관(49)에 연결된 반원형관(51)과, 공급노즐(46)과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구멍(26,26",26"')을 따라 식물에 공급되고, 동시에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거꾸로 탱크(42')까지 환류되는 이동식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3.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200")의 최상단부에 위치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된 순환구멍(25')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결된 엘보 형상의 배관 우측방향에는 모터구동볼밸브(54)와 좌측 유출구에 수동식의 볼밸브(53), 그리고 탈부착이 가능한 탱크(42")를 쭉 연달아 설치하고, 상기 탱크(42")에 저장된 물은 낙차에 의해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21")과 순환구멍 내장형 경사기둥(45) 및 순환구멍 내장형 보조기둥(24')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순환구멍(25'), ㄱ형상 주름관(49)에 연결된 반원형관(51)과,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의 공급노즐(46)과 구멍내장형 성형흙(22')으로 연결되는 구멍(26,26",26"')을 따라 순차적으로 모든 공급노즐 내장형 화분(44)에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배수되어 하단부에 위치한 배관(41')의 중간부에 연결된 T형상 배관(52)의 좌측 끝단에는 우측 유출구에 수동식의 볼밸브(53)가 설치된 구조의 탱크(42"')로 모아져 다 채워지면, 상기 탱크(42"')를 탈거하여 최상단부에 위치한 탱크(42")와 교환하여 배수된 물을 재사용하는 구조이고,
    또한, 상기 구멍내장형 성형흙(22')의 상단부에 삽입된 온도센서(32)와 토양수분센서(33)는 온습도, 그리고 조도센서(34)에 의해 계측된 광량은 최상단부에 설치된 순환구멍 내장형 평판(21"')의 전면에 위치한 컨트롤러(35)의 표시창(36)에 나타내고, 동시에 중계기를 거쳐 스마트폰(37)과 컴퓨터(38)에 전달되면 관리자는 모터구동볼밸브(54)와 조명장치(40')의 온 오프 선택기능에 의해 물과 빛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식 A형상 구조의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KR1020200179136A 2020-12-20 2020-12-20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KR10252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36A KR102526780B1 (ko) 2020-12-20 2020-12-20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36A KR102526780B1 (ko) 2020-12-20 2020-12-20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826A true KR20220088826A (ko) 2022-06-28
KR102526780B1 KR102526780B1 (ko) 2023-04-26

Family

ID=8226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36A KR102526780B1 (ko) 2020-12-20 2020-12-20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7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24B2 (ja) * 1984-02-07 1994-02-23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カムシヤフトの製造方法
JPH0621327Y2 (ja) * 1988-10-20 1994-06-08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植物の観賞栽培装置
KR200242458Y1 (ko) * 2001-05-21 2001-10-15 이춘걸 조립식 화분
KR101635362B1 (ko) * 2014-06-11 2016-07-01 조태인 조립식 다단 식물재배기
KR102073575B1 (ko) * 2019-06-24 2020-02-07 신정옥 스마트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24B2 (ja) * 1984-02-07 1994-02-23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カムシヤフトの製造方法
JPH0621327Y2 (ja) * 1988-10-20 1994-06-08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植物の観賞栽培装置
KR200242458Y1 (ko) * 2001-05-21 2001-10-15 이춘걸 조립식 화분
KR101635362B1 (ko) * 2014-06-11 2016-07-01 조태인 조립식 다단 식물재배기
KR102073575B1 (ko) * 2019-06-24 2020-02-07 신정옥 스마트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780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59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10492377B2 (en)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KR101125247B1 (ko) 다층 구조를 가진 수경재배장치
CN203505235U (zh) 一种阳台种植装置和组件
CN203181707U (zh) 水耕植物的潮汐灌溉装置
KR101227836B1 (ko)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EP2885963A1 (en) Vertical garden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CN206078242U (zh) 一种办公室用生态立体绿化墙
KR101499320B1 (ko) 펌프가 불필요한 수직식 수경재배기
RU120329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вертика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ях
CN202535845U (zh) 一种自动循环水培装置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JP2006042775A (j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RU148569U1 (ru) Фитомоду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озелен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CN205682107U (zh) 一种室内自控无土栽培架
KR102526780B1 (ko) 물 자동공급 화분받침대 및 스마트 배양관리 시스템
CN201846646U (zh) 立式种植装置
KR102034639B1 (ko) 식물재배용 단위 유니트를 이용한 조적식 식물재배장치
KR101477721B1 (ko) 실내 식물재배장치
CN203748382U (zh) 一种新型无土植物栽培装置
RU173971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ли накло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