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376A -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376A
KR20220088376A KR1020220014889A KR20220014889A KR20220088376A KR 20220088376 A KR20220088376 A KR 20220088376A KR 1020220014889 A KR1020220014889 A KR 1020220014889A KR 20220014889 A KR20220014889 A KR 20220014889A KR 20220088376 A KR20220088376 A KR 2022008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ind speed
evaluation method
safety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376A/ko
Publication of KR2022008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01Full-field flow measurement, e.g. determining flow velocity and direction in a whole region at the same time, flow vis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가속도계를 통해 측정한 건축물의 변위를 바탕으로 한 내진 성능 판정 및 풍향/풍속계를 통해 측정한 풍속을 바탕으로 한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안정성 또는 이에 더하여 사용성을 평가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은 적어도 건축물의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최상층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상대 변위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판정하는 (a) 단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풍향/풍속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내진 성능 및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ng safety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가속도계를 통해 측정한 건축물의 변위를 바탕으로 한 내진 성능 판정 및 풍향/풍속계를 통해 측정한 풍속을 바탕으로 한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안정성 내지는 이에 더하여 비구조체 사용성을 평가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980~1990년대에 대량으로 지어진 건축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노후 건축물(30년 이상 경과)은 전체 건축물의 37.8%(2019년 기준)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이 중에서 서울시의 노후 건축물이 167,019동으로 전체 주택의 37.2% 차지하고 있다(2017년 기준).
이를 감안하여 서울시 도시재생본부는 "정비구역 내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 대책"에서 준공연도, 층수, 건축 재료뿐 아니라 인접한 대형 공사장까지 고려(인접 대형 공사장이 노후 건축물 붕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여 대책을 준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런 여러 요인을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본 출원인은 건축물의 골조 유형 및 층수 정보를 입력받아 당해 건축물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a) 단계; 지진 발생 시 건축물의 최상층 및 최하층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한 계측 값으로부터 최상층 및 최하층의 절대 변위를 산출한 후 상기 절대 변위로부터 양자 사이의 상대 변위를 산출하는 (b) 단계; 상기 골조 유형 및 층수 정보에 상응하여 HAZUS-MH에서 제시한 건축물의 골조 유형별 취약도 곡선 파라미터에 의해 건축물의 복수의 손상 상태에 관한 취약도 곡선을 생성하는 (c) 단계; 상기 취약도 곡선상에 상기 상대 변위를 적용하여 건축물의 각각의 손상 상태에 따른 손상 확률을 산출하는 (d) 단계 및 건축물의 각각의 손상 상태에 상응하는 손상 계수 및 상기 손상 확률을 이용하여 당해 건축물의 전체 손상 계수를 산출한 후에 상기 전체 손상 계수를 적용하여 건축물의 성능 수준을 평가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물 성능 평가 방법을 하기 선행기술 1로 특허 등록받았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인접 공사장의 굴착 또는 발파 작업에 의한 영향이나 근래 들어 빈번해진 초대형 태풍 등에 의한 영향을 무시한 채로 단지 가속도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대 변위에 의해 건축물의 지진 안전성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 낮을 뿐 아니라 예를 들어 창문이나 배수관과 같은 비구조체에 대한 사용성 평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서 평가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 10-1880548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건축물의 성능 평가 방법)
선행기술문헌 2 : 10-0447028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조물 계측 및 감시 시스템)
선행기술문헌 3 : 10-0512123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스마트 무선계측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선행기술문헌 4 : 10-1592565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건설 구조물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선행기술문헌 5 : 10-2014-0064661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가속도계를 통해 측정한 건축물의 변위를 바탕으로 한 내진 성능 판정 및 풍향/풍속계를 통해 측정한 풍속을 바탕으로 한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안정성 또는 이에 더하여 비구조체 사용성을 평가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은 적어도 건축물의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최상층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상대 변위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판정하는 (a) 단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풍향/풍속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내진 성능 및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a) 단계는 건축물의 최하층, 최상층의 중앙 및 단변 중앙 부위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판정한다.
건축물의 최상층의 장변 중앙 및 단변 중앙에 각각 설치된 경사계의 측정값에 의해 건축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내진 성능,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 및 상기 기울기를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한다.
상기 내진 성능,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 및 상기 기울기 항목 중에서 가장 불리한 결과에 의해 건축물의 안전성을 판정한다.
상기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건축물의 비 구조체에 대한 사용성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한다.
상기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건축물의 평면 비정형성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르면, 가속도계뿐 아니라 경사계 및 풍향/풍속계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산출된 내진 성능, 기울기 및 재현주기별 설계 풍속에 의해 건축물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판정한 후 그 결과를 표출하기 때문에 결과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건축물의 비구조체에 대한 사용성까지를 평가하여 표출하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른 각 계측기의 설치 위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서 비틀림 각을 고려한 단부 변위 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서 지진으로 확인된 건축물의 비정형성 판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지표면 조도구분 A에서 산출된 건축물의 높이별 및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나타낸 도표.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정성 평가 방법에 따른 각 계측기(센서)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르면, 건축물(BD)의 적소, 예를 들어 최상층 및 최하층에 1개, 바람직하게는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정중앙 및 단변 중앙 부위에 각각 1개 및 최하층의 중앙 부위에 1개 설치되는 가속도계(100a),(100b),(100c),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적소, 예를 들어 중앙에 설치되는 1개의 풍향/풍속계(110) 및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적소, 예를 들어 장변 및 단변의 중앙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경사계(120a),(1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최상층의 정중앙 및 최하층에 설치되는 가속도계(100a),(100c)는 2축(x축 및 y축) 이상의 가속도계(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변 중앙에 설치되는 가속도계(100b)는 1축(y축) 이상의 가속도계(센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풍향/풍속계(110)와 경사계(120a),(120b)는, 각각 A/D 컨버터가 내장된 디지털 경사계 및 디지털 풍향/풍속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시스템은, 건축물(BD)의 적소, 예를 들어 최상층 및 최하층에 1개, 바람직하게는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정중앙 및 단변 중앙 부위에 각각 1개(장변 방향) 및 최하층의 중앙에 1개 설치되는 가속도계(100),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적소, 예를 들어 중앙에 설치되는 풍향/풍속계(110) 및 건축물(BD)의 최상층의 적소, 예를 들어 장변 및 단변의 중앙에 각각 설치되는 경사계(120), 안전성 평가 또는 사용성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40), 외부의 중앙 관제 서버(200)와 통신하여 안전성 평가 또는 사용성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200), 경보 발령 기준 이상의 평가 결과가 발생할 때 이를 관계자, 예를 들어 건축주나 관리인 또는 구청이나 소방서 등 사전에 구축된 비상 연락망을 통해 문자 등으로 경보하는 경보부(160) 및 가속도계(100), 풍향/풍속계(110) 및 경사계(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당해 건축물의 안전성 또는 사용성을 평가하는 중앙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도 2의 시스템은 각 계측기(100),(110),(120)만 건축물(BD)에 설치되고, 각 계측기(100),(110),(120)의 측정값은 적절한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IoT(Internet Of Things) 통신망을 통해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되며,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안전성 또는 사용성을 평가한 후에 임계치를 벗어난 결과가 발생한 경우에만 이를 관계자에게 경보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인바, 이 경우에는 당해 건축물(BD)에는 표시부(140) 및 경보부(160) 또는 이에 더하여 중앙 처리부(130)가 구비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도 2의 중앙 처리부(130) 또는 중앙 관제 서버(200)를 주체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0에서는 당해 건축물의 기본 정보, 예를 들어 골조 유형(지진력 저항 시스템), 준공연도, 건축물의 높이, 층수, 연면적, 건축물의 각 방향별 길이와 각 꼭지점의 상대 좌표, 설계 풍속 계산을 위한 지표면 조도구분, 풍속 재현주기 산정을 위한 매개 변수인 a 및 b, 손상 정도에 따른 최상층 변위 임계치와 최상층 계측기의 설치 위치 간 길이(L')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는 경사계(110)를 통해 측정된 기울기를 주기적, 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수집한다. 단계 S120에서는 가속도계(100)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를 주기적,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수집한 후 해당 임계치 초과시 임계치 초과 전후의 소정 시간 구간에서 추출된 가속도 시간이력곡선을 바탕으로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 발생 위치 등을 산출한다. 단계 S130 및 단계 S140에서는 풍향/풍속계(120)를 통해 측정된 풍향/풍속을 주기적,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풍속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산출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단계 S110은 주로 당해 건축물(BD)에 인접한 공사장의 영향이나 폭우에 의한 지반 침하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주어지는데, 건축물의 붕괴가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구조적 취약성에도 영향을 받으나 인접 대형 공사장의 굴착 공사나 발파 공사 등의 외부 충격이나 인위적 재해의 영향도 크게 받기 때문이다. 실제로 건축물 붕괴 사고는 용산 상가 주택처럼 노후화에 따른 사례가 있는 반면, 상도 유치원과 같이 준공된 지 4년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주변 신축 공사의 영향으로 붕괴된 사례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은 선행기술 1과 같이 건축물의 최하층 및 최상층 중앙에 각각 1개씩 설치된 가속도계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변위를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 손상도 계수를 계산한 후에 내진 성능을 판정할 수도 있으나, 건축물의 최하층의 중앙에 1개 및 최상층의 장변 방향에 2개 설치된 가속도계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최상층의 상대 변위를 산정하고, 이어서 비틀림 각을 고려하여 단부의 변위를 산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체 손상도계수를 산출한 결과에 따라 내진 성능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서 비틀림 각을 고려한 단부 변위 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A점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 건축물의 각 꼭지점의 상대 좌표, 즉 A(XA,YA), B(XB,YB), C(XC,YC) 및 D(XD,YD)와 그 가로 길이(L) 및 세로 길이(B)를 기본 정보로 입력해 둔 상태에서 건축물의 중앙의 변위와 장변 방향 중앙의 변위를 각각 산정한 다음 비틀림 각을 고려하여 단부의 변위를 산정하는데, 비틀림 각(θ)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위 수학식 1에서 L'는 두 가속도계의 거리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렇게 구해진 비틀림 각(θ)을 아래의 수학식 2에 대입하여 당해 건축물의 A점의 변위를 구하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B점, C점 및 D점의 변위를 구한 상태에서 이를 대입하여 단부의 변위를 산정한다.
Figure pat00002
다음으로, 이렇게 산정된 단부의 변위를 바탕으로 내진 성능을 판정, 예를 들어 상기 단부의 변위를, 예를 들어 선행기술 1의 상대 변위로 대입하여 전체 손상 계수를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전체 손상 계수를 적용하여 당해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정상 상태인 거주 가능, 주의를 요하는 상태인 인명 보호, 경계를 요하는 상태인 붕괴 방지 및 심각한 위험 상태인 붕괴 위험의 4단계로 평가한다
손상이 없는 상태인 기능 수행(Operational; OP), 경미한 손상 상태인 즉시 거주(Immediate Occupancy; IO), 중요한 손상 상태인 인명 안전(Life Safety; LS) 및 심각한 손상으로 붕괴 가능성이 큰 상태인 붕괴 방지(Collapse Prevention; CP)의 4단계로 평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서 지진으로 확인된 건축물의 비정형성 판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해 건축물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비틀렸을 때 그 최소 변위(δmin)와 최대 변위(δmax) 의거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건축물의 평면 비정형성을 판정한다.
Figure pat00003
한편, "지표면 조도 구분"(terrain category)이라 함은 지표면 위의 지물의 상황을 지표면 조도라는 관점에서 구분하는 것으로서, 트인 평지, 교외, 시가지, 대도시 중심과 같이 구분한다. 여기에서, 지표면 조도(ground surface roughness)는 풍속의 높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면의 거칠기로서, 초목이나 건축물 따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표면이 거칠고 매끄러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건축물 설계시, 바람에 의한 설계 하중을 계산하기 위해 설계 풍속을 산출하는데,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제시하는 설계 풍속(vz)은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위 수학식 3에서 V0는 지역별 기본 풍속이고, Kzr은 풍속고도 분포계수이며, Kzt는 지형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지형계수이고, Iw는 구조물의 중요도계수이다. 풍속고도 분포계수(Kzr)는 건축물이 위치한 지점의 지표면 조도와 그에 따른 대기 경계층 시작높이(Zb), 기준경도풍 높이(Zg) 및 풍속고도 분포지수(α)를 고려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산정된다.
Figure pat00005
위의 표 2에서 Z는 건축물의 지표면으로부터의 수직 높이를 나타낸다. 한편, 대기경계층 시작높이(Zb), 기준경도풍 높이(Zg) 및 풍속고도 분포지수(α)는 지표면 조도에 따라 아래의 표 3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pat00006
예를 들어, 건물 높이가 16m일 때 지표면 조도구분에 따른 풍속고도 분포계수(Kzr)는 아래의 표 4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7
한편,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표면 조도는 구조물이 위치한 지점의 주변지역 지표면 상태에 따라 아래의 표 5와 같이 분류된다.
Figure pat00008
지형계수(Kzt)는 산, 언덕 및 경사지 등 지형의 영향을 고려한 계수로서, 평지와 같이 바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는 1.0으로 설정되고. 산. 언덕 및 경사지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할증될 수 있다.
기본 풍속(V0)은 설계 풍속을 구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하는 지역별 풍속으로서, 지표면의 상태가 지표면 조도 C이고 평탄한 지형의 지상 높이 10m에서 10분간 평균 풍속의 재현기간 100년에 해당하는 풍속인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3초 평균풍속 으로 변환(V0/0.67 또는 V0*1.5)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풍속(V0)은 건축물이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달리 산정되는데, 건축물이 등 풍속선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등 풍속선 사이의 값을 보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요도계수(Iw)는 건축물의 사용연수에 따른 안전율을 나타내는 계수로서, 구조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아래의 표 6과 같이 산정된다.
Figure pat00009
한편, 건축물은 100년 재현 주기의 설계 풍속에 의해 설계되는데, 각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은 해당 건축물이 속한 지역의 최대 풍속 등을 대입하여 공지의 계산식(미기재)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바, 도 6은 지표면 조도구분 A에서 산출된 건축물의 높이별 및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나타낸 도표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 S170에서는 당해 건축물의 기울기, 내진 성능 및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안전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출하는데, 아래의 표 7은 각 관리항목에 대한 관리기준을 예시적으로 보인 표이다.
Figure pat00010
표 7에서는 각 안전성 관리항목에 대한 관리기준을 "정상", "주의", "경계" 및 "심각"의 4단계로 구분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거주가능", "인명보호", "붕괴방지" 및 "붕괴위험"의 4단계로 구분된 내진 성능을 이에 대응시키고 있다.
한편, 건축물의 장변 및 단변의 기울기 중에서 큰 측정값을 기준으로 "1/750(0.076°) 이내", 1/500(0.115°) 이내", "1/250(0.229°) 이내" 및 1/250(0.229°) 초과"를 각각 "정상", "주의", "경계" 및 "심각"의 관리기준에 대응시켜 기울기 관리항목과 관련된 안전성 결과를 표출한다.
다음으로, 풍향/풍속계에 의한 최상층 풍속이 재현주기 "3년 풍속 이내", "10년 풍속 이내", "50년 풍속 이내" 및 "50년 풍속 초과"를 각각 "정상", "주의", "경계" 및 "심각"의 관리기준에 대응시켜 풍향/풍속 관리항목과 관련된 안전성 결과를 표출한다. 이 경우에 3가지 관리항목 중에서 가장 불리한 결과를 갖고 당해 건축물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르면, 가속도계에 의해 측정된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상층의 절대 변위 발생 위치 등에 의해 건축물의 주요 건축 요소에 대한 사용성을 판정(단계 S150)한 후에 그 결과를 표출(단계 S180)하는데, 아래의 표 8은 이러한 사용성 평가 관리기준을 예시적으로 보인 표이다.
Figure pat00011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최상층의 최대 변위가 건축물의 "높이(H)/500 이내"이면, 거주에 불편을 감지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하고, "높이(H)/500 초과"이면 거주에 불편을 감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며, "높이(H)/300 초과"이 면 배수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여, 예를 들어 "건축물의 우측 단변과 평행(인접)한 배관" 등의 방식으로 그 방향이나 위치를 표출하고, "높이(H)/200 초과"이면, 문, 창문, 파티션 및 마감재 등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여 그 방향이나 위치를 표출한다. 이에 더하여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최상층의 최소 변위(δmin) 및 최대 변위(δmax)에 의거하여 판정된 건축물의 평면 비정형성을 표출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 계측기의 측정 주기는 적절하게 변경, 예를 들어 풍향/풍속 및 기울기 측정 주기는 계절이나 날씨 또는 인접 장소에서의 공사 유무에 따라 그때그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가속도계, 110: 풍향/풍속계,
120, 120a, 120b: 풍향/풍속계, 130: 중앙 처리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160: 경보부, 200: 중앙 관제 서버

Claims (6)

  1. 적어도 건축물의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최상층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상대 변위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판정하는 (a) 단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풍향/풍속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내진 성능 및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건축물의 최하층, 최상층의 중앙 및 단변 중앙 부위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수집한 후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건축물의 최상층의 장변 중앙 및 단변 중앙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계의 측정값에 의해 건축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내진 성능,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 및 상기 기울기를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진 성능, 상기 재현 주기별 설계 풍속 및 상기 기울기 항목 중에서 가장 불리한 결과에 의해 건축물의 안전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건축물의 비 구조체에 대한 사용성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의 상대 변위, 비틀림 각 및 최대 변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건축물의 평면 비정형성을 3단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KR1020220014889A 2020-12-17 2022-02-04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KR20220088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889A KR20220088376A (ko) 2020-12-17 2022-02-04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80 2020-12-17
KR1020220014889A KR20220088376A (ko) 2020-12-17 2022-02-04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80 Division 2020-12-17 2020-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376A true KR20220088376A (ko) 2022-06-27

Family

ID=8224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889A KR20220088376A (ko) 2020-12-17 2022-02-04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31B1 (ko) * 2023-05-17 2023-1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ms 가속도 계측기를 활용한 재난 안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28B1 (ko) 2002-05-21 2004-09-07 오정택 휴대용통역집
KR100512123B1 (ko) 2003-05-27 2005-09-05 허광희 스마트 무선계측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64661A (ko) 2012-11-20 2014-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92565B1 (ko) 2008-11-20 2016-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건설 구조물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880548B1 (ko) 2017-12-22 2018-08-17 최정환 건축물의 성능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28B1 (ko) 2002-05-21 2004-09-07 오정택 휴대용통역집
KR100512123B1 (ko) 2003-05-27 2005-09-05 허광희 스마트 무선계측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92565B1 (ko) 2008-11-20 2016-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건설 구조물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40064661A (ko) 2012-11-20 2014-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880548B1 (ko) 2017-12-22 2018-08-17 최정환 건축물의 성능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31B1 (ko) * 2023-05-17 2023-1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ms 가속도 계측기를 활용한 재난 안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kar et al. Displacement-based fragility functions for low-and mid-rise ordinary concrete buildings
Li et al. Monitoring of typhoon effects on a super‐tall building in Hong Kong
CN111105600B (zh) 基于降雨条件下路堑边坡稳定性动态监测预警系统及方法
CN112435443A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地质灾害监测预警系统
CN108332696B (zh) 滑坡监测方法选择方法
CN114333245A (zh) 一种基于滑坡立体监测的多参数模型动态预警方法
CN107273579B (zh) 一种内支撑建筑基坑安全性的综合评价方法
Arnalds et al. Avalanche hazard zoning in Iceland based on individual risk
CN115495956B (zh) 一种深大岩质基坑卸荷变形的安全评价方法
KR20220088376A (ko) 건축물 안전성 평가 방법
CN112686522A (zh) 一种Newmark修正模型地震滑坡危险性评估方法
CN114707222A (zh) 一种顾及渗流的尾矿库坝体稳定性实时在线分析与预测方法
JP2004183340A (ja) 切土のり面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切土のり面崩壊危険度判定システムと土中水分状況計測方法
Kappos et al. Analytical estimation of economic loss for buildings in the area struck by the 1999 Athens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statistical repair costs
CN110264671B (zh) 一种基于多传感器信息融合在山体滑坡中的预测方法
Krawinkler et al. Development of damage fragility functions for URM chimneys and parapets
CN111877417A (zh) 降雨参数弱化型基坑边坡失稳临界含水率的测定方法
CN110766235A (zh) 一种山体坍塌预测方法和预测系统
CN111625916A (zh) 井壁稳定性值计算方法及系统
CN115273410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突发性滑坡监测预警系统
CN112241601B (zh) 一种盾构隧道地震可恢复性分析方法
Murià-Vila et al. Influence of soil structure interaction and subsoil consolidation in the seismic response of a building
CN117807687B (zh) 一种桥梁下部结构性能评估方法及系统
KR102284421B1 (ko) 구조물의 긴급 동적 안정성 판단 시스템
KR102206502B1 (ko) 구조물의 긴급 동적위험도 평가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