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215A -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215A
KR20220088215A KR1020200179033A KR20200179033A KR20220088215A KR 20220088215 A KR20220088215 A KR 20220088215A KR 1020200179033 A KR1020200179033 A KR 1020200179033A KR 20200179033 A KR20200179033 A KR 20200179033A KR 20220088215 A KR20220088215 A KR 2022008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ng
circuit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강문석
남정권
이규태
정현수
장진윤
윤희라
유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17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215A/ko
Priority to US17/552,245 priority patent/US11586323B2/en
Priority to CN202111541903.7A priority patent/CN114647332A/zh
Publication of KR2022008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 상기 터치전극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는 센싱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가 전달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터치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치제어회로에서 제어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은 터치전극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구동신호의 극성을 다르게 제어하여 터치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Touch Sensing Circuit and its touch sensing method}
본 실시예는 터치전극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센싱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극성 혼합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 센싱이 가능한 터치센싱회로, 이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표시장치의 터치센싱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에 근접하거나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외부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기술을 터치센싱기술이라고 한다. 터치패널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널과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표시패널의 영상을 보면서 터치패널로 사용자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조작신호 발생방법은 그 이전의 다른 사용자조작신호 입력방식-예를 들어, 마우스 입력방식이나 키보드 입력방식-에 비해 놀라운 사용자 직관성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장점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들에 터치센싱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센싱회로는 터치패널에 배치되는 구동전극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센싱전극에 형성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하여 터치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구동전극과 센싱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을 만들어내는데,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는 상기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근접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싱에서는 오브젝트와 터치패널의 접지(ground) 상태가 터치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브젝트는 패널에 터치되었을 때, 터치전극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킨다. 터치센싱회로는 터치전극의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터치패널의 접지가 약한 경우, 터치전극과 오브젝트 사이의 정전용량이 작게 형성되고, 오브젝트가 터치전극에 근접하더라도 센서전극의 정전용량 변화가 작아지게 된다. 터치패널의 접지가 약하게 형성되는 상태를 로우그라운드매스(LGM: Low Ground Mass)상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LGM 상태에서의 터치감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LGM 상태에서의 터치감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측면에서, 인접하는 터치전극의 구동 전압의 극성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다른 전극으로 공급한 구동신호가 반응신호에 노이즈로 유입되는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현상을 완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 상기 터치전극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라인을 통해 센싱하는 센싱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가 전달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터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제어회로에서 제어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은 상기 터치전극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센싱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전극은 복수의 Tx 전극과 복수의 Rx 전극이 교차하여 배치되고, 상기 Tx 전극은 상기 구동회로에서 전달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x 전극은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근접으로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센싱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구동회로는 제1 구동신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되는 터치전극으로 전달하고, 제1 구동신호와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2 구동신호를 상기 터치전극의 그룹과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일 방향으로 홀수번째에 배치되는 센싱라인 또는 상기 일 방향으로 짝수번째에 배치되는 센싱라인의 구동전압의 극성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센싱회로는, 상기 터치전극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센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터치제어회로가 생성하는 싱글 모드 또는 차동 모드에 관한 센싱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사이의 연결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센싱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센싱회로로 전달되는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여 상기 센싱신호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서로 다른 시간에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터치전극으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는 리드아웃회로; 및 상기 리드아웃회로의 상기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터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전극의 구동신호의 극성을 다르게 제어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터치전극으로부터 수신하는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는, 터치센싱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센싱신호를 별개의 센싱라인으로부터 전달받는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하나 이상의 공통 센싱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센싱라인을 통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센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에 따라 공통 센싱라인을 형성하도록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에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공통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제1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제1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제2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제2 구동전압과 반대 극성의 제2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전압과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교차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싱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센싱방법에서 상기 제1 터치전극 및 상기 제2 터치전극에서 전달되는 센싱신호의 극성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방법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센싱신호를 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그룹의 센싱신호를 동시에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LGM 상태에서의 터치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극성 혼합 구동 방식에 의하여 LGM 상태에서 다른 전극으로 공급한 구동신호가 반응신호에 노이즈로 유입되는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터치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LGM 상태에서 다른 전극으로 공급한 구동신호가 반응신호에 노이즈로 유입되는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성 혼합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가 제1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가 제2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의 구동회로가 터치전극을 구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패널(110), 데이터구동회로(120), 게이트구동회로(130), 터치센싱회로(140), 제어회로(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0)에는 데이터구동회로(120)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이 형성되고, 게이트구동회로(130)와 연결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10)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과 복수의 게이트라인(GL)의 교차 지점에 대응되는 다수의 화소(P: Pixel)가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각 화소(P)에는 제1 전극(예를 들어, 소스전극 또는 드레인전극)이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게이트라인(GL)과 연결되며, 제2 전극(예를 들어, 드레인전극 또는 소스전극)이 표시전극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10)에는, 복수의 터치전극(TE)이 서로 이격되어 더 형성될 수 있다. 터치전극(TE)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하나의 화소(P)가 위치할 수도 있고 다수의 화소(P)가 위치할 수도 있다.
패널(110)은 표시패널(display panel)과 터치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은 일부 구성요소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터치전극(TE)은 표시패널의 일 구성(예를 들어,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일 수 있고 동시에 터치패널의 일 구성(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전극)일 수 있다.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의 일부 구성요소가 서로 공유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패널(110)을 일체형 패널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의 일부 구성요소가 서로 공유되는 형태로서 인셀(In-Cell) 타입의 패널이 알려져 있지만 이는 전술한 패널(110)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널이 이러한 인셀(In-Cell)타입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이미지를 패널(110)의 각 화소(P)에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구동회로(130)는 각 화소(P)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턴온 혹은 턴오프시키기 위해 게이트라인(GL)으로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의 한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2개로 나누어져 패널(11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센싱라인(SL)과 연결된 복수의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터치센싱회로(140)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지만, 구현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른 별도의 드라이버집적회로의 내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데이터구동회로(120) 또는 게이트구동회로(130)의 내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센싱회로(140)가 복수의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은,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하는 별도의 드라이버집적회로가 복수의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회로(120) 또는 게이트구동회로(130)가 복수의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도 볼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센싱회로(140)는 구현 및 설계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그 수행 기능만 동일 또는 유사하다면, 다른 구성 그 자체일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 하나의 터치센싱회로(140)가 표시장치(100)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장치(100)는 둘 이상의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센싱회로(140)가 구동신호를 복수의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인가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터치전극(TE) 각각에 연결되는 센싱라인(SL)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터치전극(TE) 각각에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라인(SL)이 제1 방향(예: 세로방향) 또는 제2 방향(예: 가로방향)으로 패널(11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0)는 터치전극(TE)을 통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의 근접 혹은 터치를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식 터치방식은, 일 예로, 상호정전용량터치 방식과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정전식 터치방식의 한 종류인 상호정전용량터치 방식은, 일 터치전극(Tx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Tx전극과 상호 커플링된 다른 일 터치전극(Rx전극)을 센싱한다. 이러한 상호정전용량터치 방식에서는, 손가락, 펜 등의 물체의 근접 혹은 터치에 따라 Rx전극에서 센싱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상호정전용량터치 방식은 이러한 Rx전극에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유무,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
정전식 터치방식의 다른 한 종류인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은, 일 터치전극(TE)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다시 해당 일 터치전극(TE)을 센싱한다. 이러한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에서는, 손가락, 펜 등의 물체의 근접 혹은 터치에 따라 해당 일 터치전극(TE)에서 센싱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은 이러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유무,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 이러한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은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전극(TE)과 센싱하는 터치전극(TE)이 동일하기 때문에, Tx전극과 Rx전극의 구분이 없다.
표시장치(100)는, 전술한 2가지의 정전식터치방식(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체정전용량터치 방식이 채용된 것으로 가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한편, 표시장치(100)는 표시구간과 터치구간을 구분하여 터치전극(TE)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장치(100)의 터치센싱회로(140)는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구간에서는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표시구간과 터치구간을 구분하지 않고 터치전극(TE)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장치(100)의 터치센싱회로(140)는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구간에서 터치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회로(150)는 데이터구동회로(120), 게이트구동회로(130) 및 터치센싱회로(14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회로(15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회로(120)가 각 화소(P)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전송하거나, 게이트구동회로(130)로 게이트제어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전송하거나, 터치센싱회로(140)로 센싱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회로(150)는 타이밍컨트롤러(T-Con: Timing Controller)이거나, 타이밍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기능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널(110)은 제1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TXE), 제2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RX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 각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상호정전용량(Mutual-Capacitive) 방식으로 작동하거나, 자기정전용량(Self-Capacitive)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자기정전용량(Self-Capacitive) 방식에서는 제1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TXE), 제2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RXE)은 동일한 터치 전극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구동신호(STX)를 터치전극(TXE)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신호(STX)는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의 신호일 수 있고, 전압 형태의 구동신호(STX)는 구동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신호는 제1 기간과 제2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구동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가 상호정전용량(Mutual-Capacitive)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TXE)과 제2 방향의 복수의 터치전극(RXE)은 정전용량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에 따라 터치전극(TXE)으로 공급되는 AC파형의 신호가 터치전극(RXE)으로 전달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구동신호(STX)에 대한 반응신호(SRX)를 터치전극(RXE)으로부터 수신하고 반응신호(SRX)를 복조하여 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반응신호(SRX)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필요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면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싱회로(140)는 자기정전용량 모드로 작동한 이후에 상호정전용량 모드로 변경하여 작동할 수 있고, 그 역으로 변경하여 작동할 수 있다.
자기정전용량 모드에서, 구동회로(미도시)는 Tx전극(TXE)으로 구동신호(TXS)를 공급하고 Tx전극(TXE)으로부터 반응신호(RXS)를 수신하여 반응신호(RXS)에 대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미도시)는 Rx전극(RXE)으로 구동신호(TXS)를 공급하고 Rx전극(RXE)으로부터 반응신호(RXS)를 수신하여 반응신호(RXS)에 대한 디지털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x전극 및 Rx전극 각각으로 수신한 터치 센싱신호를 기초로 터치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이 로우그라운드매스(LGM: Low Ground Mass) 상태에 있는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손으로 잡지 않고 있는 경우), 다른 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가 반응신호에 노이즈의 형태로 유입되어 터치감도를 낮출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센싱회로(140)는 리드아웃회로(310), 터치전원회로(320), 터치제어회로(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10)은 일정한 진폭을 가지는 구동신호(STX)-예를 들어, 구동 전압-를 터치전극으로 공급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10)에 포함된 구동회로(311)는 터치제어회로(330)로부터 변경된 진폭을 가지는 구동신호(STX)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리드아웃회로(310)에 포함된 센싱회로(312)는 구동신호(STX)에 대한 반응신호(SRX)를 터치전극으로부터 수신하여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회로(312)는 반응신호(SRX)를 복조하여 터치센싱데이터-예를 들어, 터치 센싱값-를 생성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310)의 구동신호(STX) 및 반응신호(SRX)는 구형파 신호일 수 있고, 사인파 신호일 수 있다.
터치전원회로(320)는 패널(110)의 구동에 필요한 기준전압 신호와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각종 전원 신호를 생성하여 리드아웃회로(310), 터치제어회로(33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터치전원회로(320)은 터치파워집적회로(TPIC: Touch Power Integrated Circuit)로 정의될 수 있다.
터치제어회로(330)는 리드아웃회로(310)와 터치전원회로(3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신호(CS)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제어회로(330)가 제어신호(CS: Controlling Signal)를 리드아웃회로(310)과 터치전원회로(320)으로 전달하면, 구동회로(311) 및 센싱회로(312)는 제어신호(CS)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터치제어회로(330)은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아웃회로(310)의 센싱회로(312)는 수신한 센싱신호(SRX)를 처리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450) 및 디지털 신호처리 회로(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450)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 Analog Front-End)로 정의될 수 있고, 디지털 신호처리 회로(460)는 디지털 프론트 엔드(DFE: Digital Front-End)로 정의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450)은 버퍼(451), 필터(452), 증폭기(453),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nalog-Digital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451)는 센싱신호(SRX)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신호를 전류(Current) 형태로 전달받아 이를 그대로 필터로 전달하거나, 센싱신호를 정전용량(Capacitance) 형태로 전달받아 전류 형태로 변환하여 필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싱신호를 전류 형태로 전달받아 이를 전압 형태로 변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버퍼(451)는 단일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단일 버퍼를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차동 입력 버퍼(differential input buffer)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452)는 센싱신호들의 주파수들 중 노이즈에 기인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52)는 차단 주파수를 경계로 통과대역(Band Pass) 및 저지대역(Stop Pass)를 가지는 통과대역필터(Band Pass Filter)일 수 있다. 또한, 필터(452)는 하나 이상의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또는 하나 이상의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들의 조합으로 필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센싱신호(SRX)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고, 노이즈에 기인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452)에 의해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터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증폭기(453)는 필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아날로그 증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454)는 아날로그 증폭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Data_D)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450)의 버퍼(451), 필터(452), 증폭기(453),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454)의 순서 및 배치는 도 5에 기재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LGM 상태에서 다른 전극으로 공급한 구동신호가 반응신호에 노이즈로 유입되는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드아웃회로(310)의 구동회로(미도시)는 두 개의 채널(CH1, CH2)을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센서전극(RXE1, RXE2)으로 동시에 구동신호(TXS1, TXS2)를 공급할 수 있다.
터치패널(110)이 접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LGM 상태인 경우 오브젝트, 접지, 그리고, 터치패널(110) 사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센서전극(RXE2)으로 공급되는 제2 구동신호(TXS2)는 두 개의 센서전극(RXE1, RXE2)과 오브젝트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통해 제1 센서전극(RXE1)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제2 구동신호(RXS2)에 의해 제1 센서전극(RXE1)에 형성되는 신호를 리트랜스미션 신호(RES)라고 할 때, 제1 센서전극(RXE1)에는 제1 구동신호(TXS1)에 의한 반응신호(RXS)와 리트랜스미션 신호(RES)가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
제1 채널(CH1)의 측면에서, 리트랜스미션신호(RES)는 노이즈로 인식되고 이로 인해 터치감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리트랜스미션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터치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는 인접한 두 개의 센서전극을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압신호를 가지도록 구동할 수 있다.
도 6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600)는 제1 터치전극 라인(SE1), 제2 터치전극 라인(SE2), 제3 터치전극 라인(SE3), 제4 터치전극 라인(SE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의 구동회로(미도시)의 증폭기(Amplifier)는 각 터치전극 라인으로 구동 전압을 전달하고, 센싱회로(미도시)는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접근에 따른 각 터치전극 라인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치센싱기술은 터치전극의 모든 라인에서 전달되는 전압 구동은 동일한 극성(Polarity)을 가지는 전압으로 구동하게 된다.
LGM 상태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구동전압이 각 터치전극에 전달되는 경우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가 전달되는 리트랜스미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제2 터치전극 라인(SE2)에서 터치 센싱을 수행할 때, 제1 터치전극라인(SE1), 제3 터치전극 라인(SE3), 제4 터치전극 라인(SE4)과 오브젝트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제2 터치전극 라인(SE2)로 전달되어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터치전극에 의해 유입되는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는 노이즈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은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현상은 LGM(Low Ground Mass) 상태에서 면터치(Palm Touch)를 하거나 복수의 터치전극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 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터치 감도를 열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터치 센싱라인에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에 네거티브(negative) 터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터치 감도가 저하되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성 혼합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리트랜스미션 현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700)는 제1 터치전극 라인(SE1), 제2 터치전극 라인(SE2), 제3 터치전극 라인(SE3), 제4 터치전극 라인(SE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전극 라인(SE1) 및 제3 터치전극 라인(SE3)에는 제1 극성의 터치 구동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제2 터치전극 라인(SE2) 및 제4 터치전극 라인(SE4)에는 제2 극성의 터치 구동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제1 극성의 터치 구동신호의 극성과 제2 극성의 터치 구동신호의 극성은 서로 반대일 수 있고, 위상차가 180도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 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극성으로 달리 정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 터치전극 라인(SE1)의 극성이 P(Postitive) 또는 (+)인 경우, 제2 터치전극 라인(SE2)의 극성은 N(Negative) 또는 (-)인 경우일 수 있고, 이는 동일한 진폭과 주기를 가지는 신호의 극성만이 반전된 것일 수 있다.
표시장치(700)의 각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구동전압의 극성(Polarity) 또는 위상(Phase)은 센싱라인, 픽셀 또는 서브픽셀별로 제어될 수 있다.
인접한 터치 센싱라인의 구동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구동하는 경우,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 센싱라인들의 극성이 반대인 경우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는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가 제1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장치(800)의 패널(110)은 제1 터치 센싱라인(SE1), 제2 터치 센싱라인(SE2), 제3 터치 센싱라인(SE3), 제4 터치 센싱라인(SE4), 제5 터치 센싱라인(SE5), 제6 터치 센싱라인(SE6), 제7 터치 센싱라인(SE7), 제8 터치 센싱라인(SE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은 패널(110)의 각 터치 센싱라인(SE1, SE2, SE3, SE4, SE5, SE6, SE7, SE8)로 전달되는 구동 전압의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극성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리드아웃회로의 구동회로(미도시)로부터 각 터치 센싱라인으로 전달되는 구동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거나, 각 터치 센싱라인으로부터 리드아웃회로의 센싱회로(미도시)로 전달되는 센싱전압의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각 터치 센싱라인은 별개의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미도시)와 연결되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터치제어회로(미도시)에서 별개로 저장되어 연산될 수 있다.
각 터치 센싱라인별로 구별되어 별개로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싱글(single) 센싱모드에 의한 터치 센싱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가 제2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장치(900)의 패널(110)은 제1 터치 센싱라인(SE1), 제2 터치 센싱라인(SE2), 제3 터치 센싱라인(SE3), 제4 터치 센싱라인(SE4), 제5 터치 센싱라인(SE5), 제6 터치 센싱라인(SE6), 제7 터치 센싱라인(SE7), 제8 터치 센싱라인(SE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일 터치 센싱라인들(SE1, SE3, SE5, SE7)을 제1 그룹으로 정의하여 동일한 극성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 다른 일 터치 센싱라인들(SE2, SE4, SE6, SE8)을 제2 그룹으로 정의하여 동일한 극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패널(110)의 그룹은 하나 이상으로 정의될 수 있고, 터치 전극의 영역별로 달리 정의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구동 전압의 극성은 P 극성으로 정의되는 제1 극성의 전압일 수 있고, 제2 그룹의 구동 전압의 극성은 N 극성으로 정의되는 제2 극성의 전압일 수 있다.
그룹별로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미도시)에 전달되기 전에 공통의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그룹의 공통의 노이즈에 대한 특성을 판단할 수 있고, 각 그룹의 온도변화 또는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각 그룹이 인접한 터치 센싱라인들이 교차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LGM 상태에서 면 터치(Palm Touch)를 하는 경우에도 반대 극성의 구동 전압들에 의해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가 서로 상쇄될 수 있으므로, 네거티브(negative) 터치도 감소시킬 수 있어 개선된 터치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각 터치 센싱라인이 그룹별로 구별되어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은 차동(differential) 센싱모드에 의한 터치 센싱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회로의 구동회로가 터치전극을 구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0)의 터치패널(110)은 복수의 채널(CH1~CH(3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110)에는 복수의 센서전극(SE1~SE(3n))이 배치될 수 있다(n은 1 이상의 자연수).
터치센싱회로(140)의 각각의 채널(CH1~CH(3n))은 각각의 센서전극(SE1~SE(3n))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채널(CH1~CH(3n))은 센서전극(SE1~SE(3n))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구동신호를 공급한 전극에서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인접한 두 개의 센서전극(SE1~SE(3n))을 서로 다른 시간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에 따라, 각각의 센서전극(SE1~SE(3n))은 인접한 센서전극과 동시에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복수의 센서전극(SE1~SE(3n))을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을 서로 다른 시간에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룹은 배치 순번에서 N으로 나누어서 나머지가 같은 순번의 센서전극(SE1~SE(3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싱회로(140)는 제1시간(T1)에 제1그룹의 센서전극(SE1, SE(n+1), SE(2n+1))을 구동하고, 제2시간(T2)에 제2그룹의 센서전극(SE2, SE(n+2), SE(2n+2))을 구동하고, 제N시간(Tn)에 제N그룹의 센서전극(SE(n), SE(2n), SE(3n))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센싱회로(140)는 각각의 채널(CH1~CH(3n))에서 구동신호를 공급하지 않는 채널을 절약모드로 구동하거나, 해당 채널로 구동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터치센싱회로(140)는 각각의 채널의 구동 간격을 디스플레이 구동기간과 터치 구동기간으로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터치 구동기간 내의 분할된 시구간로 정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각 그룹의 수 및 각 그룹을 구동하는 간격은 터치 구동전압의 극성 및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 신호의 감소량을 고려하여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모드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방법(1100)은 터치 센싱라인의 센싱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101), 제1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S1103), 제2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S1105),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라인의 센싱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101)는 전술한 도 8 및 도 9의 센싱모드로서 싱글(single) 모드 또는 차동(differential)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싱글(single) 모드 또는 차동(differential) 모드는 하나의 회로에서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터치 센싱라인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싱글(single) 모드에서는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ADE) 각각에 의해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좌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공통의 전압 극성을 가지는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센싱라인이 연결되어 제어되는 차동(differential) 모드는 필요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판단하거나 온도 변화를 판단하는 회로적 구성을 터치센싱회로(1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S1103)에서는 인접한 터치 전극의 상태를 고려하여 제1 구동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S1105)에서는 제1 구동전압의 위상 또는을 극성을 고려하여 제2 구동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인접한 터치전극 또는 센싱라인 사이의 리트랜스미션(retransmission)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전압의 극성(polarity)와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2 구동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제어회로(미도시)가 제1 구동전압 및 제2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거나 극성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7)에서는 결정된 제1 구동전압 및 제2 구동전압을 터치전극으로 전달하고,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근접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센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구동전압이 전달되는 터치전극 또는 터치 센싱라인, 제2 구동전압이 전달되는 터치전극 또는 터치 센싱라인은 필요에 따라 달리 정의될 수 있지만, 교차로 교번되는 터치전극 또는 터치 센싱라인이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치 전극별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바둑판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터치 전극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터치 센셍라인별로 교차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극성의 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터치 센싱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위 방법에 의해 전달된 제1 구동전압 및 제2 구동전압은 각각의 터치전극 또는 터치 센싱라인에 의해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근접에 관한 정전용량 변화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가 반영된 신호를 리드아웃회로의 센싱회로(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1200)는 터치 센싱라인별 구동전압의 극성을 결정하는 단계(S1201), 센싱라인별 구동전압의 극성을 혼합하여 구동하는 단계(S1203), 동일 극성의 신호별로 차동 센싱하는 단계(S1205), 그룹별 공통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2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라인별 구동전압의 극성을 결정하는 단계(S1201)는 도 6 내지 도 11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터치 센싱라인별로 구동전압의 극성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센싱라인에 포함되는 각각의 터치전극별로 구동전압의 극성을 달리 결정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의 터치 센싱라인에 포함되는 모든 터치전극의 구동전압 극성을 동일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센싱라인별 구동전압의 극성을 혼합하여 구동하는 단계(S1203)는 도 6 내지 11에 전술한 방법으로 인접한 센싱라인의 구동전압의 극성을 혼합하여 구동할 수 있다.
LGM 상태에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전압을 전달하여 노이즈 방지를 위한 최적의 혼합 구동 배치, 순서,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센싱라인별로 구동전압의 극성을 판단하고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혼합 구동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라인의 극성이 P(positive) 극성이고, 제2 센싱라인의 극성이 N(negative) 극성인 경우에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제1 센싱라인의 극성을 N(negative) 극성이고, 제2 센싱라인의 극성을 P(positive) 극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동일 극성의 신호별로 차동 센싱하는 단계(S1205)는 전술한 도 9의 차동(differential) 센싱을 통해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터치를 센싱하는 센싱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각 그룹별로 공통 노이즈에 대한 특성을 판단하고 공통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동(differential)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별 공통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207)는 공통으로 연결된 센싱라인의 신호에 기초하여 그룹별로 공통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공통의 센싱라인에 기준이 되는 전압을 제공하고, 해당 전압을 기초로 공통의 노이즈를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5)

  1.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
    상기 터치전극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라인을 통해 센싱하는 센싱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가 전달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터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제어회로에서 제어하는 상기 구동신호의 극성은 상기 터치전극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센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전극은 복수의 Tx 전극과 복수의 Rx 전극이 교차하여 배치되고,
    상기 Tx 전극은 상기 구동회로에서 전달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x 전극은 오브젝트의 터치 또는 근접으로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센싱회로로 전달하는, 터치센싱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제1 구동신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되는 터치전극으로 전달하고, 제1 구동신호와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제2 구동신호를 상기 터치전극의 그룹과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전달하는, 터치센싱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일 방향으로 홀수번째에 배치되는 센싱라인 또는 상기 일 방향으로 짝수번째에 배치되는 센싱라인의 구동전압의 극성을 다르게 제어하는, 터치센싱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회로는,
    상기 터치전극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대한 센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터치제어회로가 생성하는 싱글 모드 또는 차동 모드에 관한 센싱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사이의 연결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센싱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싱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센싱회로로 전달되는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여 상기 센싱신호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판단하는, 터치센싱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서로 다른 시간에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터치센싱회로.
  8. 터치전극으로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터치전극으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는 리드아웃회로; 및
    상기 리드아웃회로의 상기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터치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인접한 두 개의 터치전극의 구동신호의 극성을 다르게 제어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터치전극으로부터 수신하는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는, 터치센싱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센싱신호를 별개의 센싱라인으로부터 전달받는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센싱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하나 이상의 공통 센싱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센싱라인을 통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터치센싱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신호의 극성에 따라 공통 센싱라인을 형성하도록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를 제어하는, 터치센싱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회로는 상기 공통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센싱신호의 공통 노이즈를 계산하는, 터치센싱회로.
  13. 제1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제1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제2 터치전극으로 전달되는 제2 구동전압과 반대 극성의 제2 구동전압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전압과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인접한 터치전극으로 교차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싱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 및 상기 제2 터치전극에서 전달되는 센싱신호의 극성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센싱신호를 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그룹의 센싱신호를 동시에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싱방법.
KR1020200179033A 2020-12-18 2020-12-18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KR20220088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33A KR20220088215A (ko) 2020-12-18 2020-12-18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US17/552,245 US11586323B2 (en) 2020-12-18 2021-12-15 Touch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CN202111541903.7A CN114647332A (zh) 2020-12-18 2021-12-16 触摸电路和触摸感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33A KR20220088215A (ko) 2020-12-18 2020-12-18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15A true KR20220088215A (ko) 2022-06-27

Family

ID=8199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033A KR20220088215A (ko) 2020-12-18 2020-12-18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6323B2 (ko)
KR (1) KR20220088215A (ko)
CN (1) CN1146473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5459B1 (en) * 2021-09-24 2023-06-1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touch and display supplies in multiple power domai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1670B2 (ja) * 2009-11-25 2014-02-12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信号処理回路
US11320946B2 (en) * 2011-04-19 2022-05-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panel scanning with reduced number of sensing circuits
US9030426B2 (en) * 2012-05-21 2015-05-12 Innolux Corporation Method of minimizing charges accumulated at common electrode of display panel
CN105867707B (zh) 2012-08-23 2018-12-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互感式电容性触摸屏
US20170262124A1 (en) * 2014-09-16 2017-09-14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device
US10678367B1 (en) * 2015-09-11 2020-06-09 Apple Inc. Compressive touch sensing
US10269278B2 (en) * 2016-09-23 2019-04-23 Apple Inc. Edge column differential sensing systems and methods
JP6921978B2 (ja) 2017-11-01 2021-08-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回路
KR102553409B1 (ko) 2018-06-14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터치센싱회로 및 구동방법
KR20190142202A (ko) 2018-06-15 2019-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KR102490043B1 (ko) 2018-08-24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7473A1 (en) 2022-06-23
CN114647332A (zh) 2022-06-21
US11586323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192B2 (en) Touch controller architecture
TWI590133B (zh) 驅動觸控感測器之設備及方法
KR101318447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더블 샘플링 방법
US10496205B2 (en) Touch sens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891747B2 (en) Multi-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touch identification therein
EP3136208B1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driving circuit thereof
KR102038883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3019434A (zh) 触摸屏幕驱动器及其驱动方法
CN104090698B (zh) 差分式互电容测量电路及方法
CN105302366A (zh) 触摸面板及包括该触摸面板的图像显示装置
KR101503106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30033562A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50000586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73827A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
KR102242863B1 (ko) 터치패널이 구비된 표시장치
KR101726633B1 (ko)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220088215A (ko) 터치센싱회로 및 터치센싱방법
KR20130028360A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182979B1 (ko) 센싱 시스템
US11797128B2 (en) Touch sensing circuit including adjustable filter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KR102117670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398253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67078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시스템 및 그 터치 레포트 레이트 향상 방법
US11294524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KR20150097407A (ko) 터치입력 감지장치 중 비감지영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 제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