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207A -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207A
KR20220088207A KR1020200179017A KR20200179017A KR20220088207A KR 20220088207 A KR20220088207 A KR 20220088207A KR 1020200179017 A KR1020200179017 A KR 1020200179017A KR 20200179017 A KR20200179017 A KR 20200179017A KR 20220088207 A KR20220088207 A KR 2022008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data
server
content
virtual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232B1 (ko
Inventor
유수빈
조정화
손애선
유수민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Priority to KR102020017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블록체인에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플랫폼서버가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계약서버가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소비자장치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서버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며,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플랫폼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가상머신이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정산일이 도래하면, 상기 가상머신이 계약서버로부터 매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출 데이터와 상기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 내역을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결과, 상기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가상머신이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erforming settlement according to contract based on smart contract and Apparatus for same}
본 발명은 정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특정 단위의 블록에 기록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는 블록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 또는 블록이 체인처럼 연결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 체인처럼 연결된 데이터는 중앙 시스템 없이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원장 형태로 운영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1701호 2018년 02월 02일 공개 (명칭: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블록체인에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플랫폼서버가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계약서버가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소비자장치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서버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며,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플랫폼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가상머신이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정산일이 도래하면, 상기 가상머신이 계약서버로부터 매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출 데이터와 상기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 내역을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결과, 상기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가상머신이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머신이 정산 주기 내에서 무작위의 주기로, 무작위의 횟수로, 상기 계약서버, 상기 플랫폼서버 및 상기 소비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무작위의 대상으로부터 시청기록로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매출에서 상기 플랫폼서버 측 사업자와 상기 공급자장치 측 컨텐츠 공급자 각각에 분배되는 수익과, 상기 계약서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정산 서비스를 이용한 수수료 및 상기 소비자장치가 제공한 검증 데이터에 대한 급부로 제공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후,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전, 상기 플랫폼서버가 공급자장치로부터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공급자장치의 주소를 인자로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의 계약내용제공함수를 호출하는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잭션에 대응한 작업증명이 완료되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가상머신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머신이 상기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로 변환한 후, 상기 공급자장치의 주소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공급자장치로부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락 메시지를 트랙잭션으로 전송하고, 트랜잭션에 대응한 작업증명이 완료되면, 계약 데이터와 동일한 계정으로 공급자장치의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블록체인에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와,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플랫폼서버와,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계약서버와,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소비자장치와,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산일이 도래하면, 상기 가상머신이 계약서버로부터 매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출 데이터와 상기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 내역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 상기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가상머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계약서로부터 계약 내용만 추출한 계약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실행시켜 계약의 체결을 자동화하고, 매출이 발생하는 경우,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매출에 따른 정산이 이익 당사자의 간섭 없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산에 따른 수익 분배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표준계약서 변환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를 기초로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표준계약서 변환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표준계약서 변환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표준계약서 변환을 위한 시스템(이하, '계약시스템'으로 축약함)은 계약서버(10),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의 복수의 노드(20, 30) 및 플랫폼서버(4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를 포함한다.
계약서버(10), 블록체인 네트워크(BCN)의 복수의 노드(20, 30) 및 플랫폼서버(4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는 상호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는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계약서버(10)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엔티티이며,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계약서버(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약을 실행시키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복수의 노드(20, 30)는 클라이언트 노드(20) 및 일반 노드(30)를 포함한다. 노드(20, 30) 각각은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복수의 노드(20, 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노드(20, 30)는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고, 컴퓨팅 연산을 통해 가상머신(VM)을 실행시키며, 데이터를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플랫폼서버(40)는 각 종 컨텐츠 기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UCC(User-created content) 서비스, OTT(Over-the-top media) 서비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 양자 모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그 중 공급자장치(50)는 컨텐츠 공급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고, 소비자장치(60)는 컨텐츠를 시청, 즉, 소비하는 컨텐츠 소비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물론, 한 명의 사용자가 컨텐츠 공급자와 소비자 양자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지만,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분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는 모두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노드(20, 3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노드(20, 3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는 퍼스널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패블릿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서버(40)의 사업자는 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약서를 보관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조작에 따라 플랫폼서버(4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계약서버(10)에 접속한다. 계약서버(10)는 S110 단계에서 초안 작성 페이지를 플랫폼서버(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서버(40)는 계약서 작성 페이지를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계약서 작성 페이지는 표준 계약서 양식에 입력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양식을 제공하며, 특히, 필수 요소는 정산 시, 수익 배분의 비율 등을 반드시 포함하며, 테이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업자는 입력 양식을 통해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에 대한 요소값을 입력할 수 있다. 사업자는 입력에 따라 플랫폼서버(40)는 요소값을 전송한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120 단계에서 플랫폼서버(40)로부터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에 대한 요소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소값을 해당하는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를 포함하는 요소에 맞춰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요소값은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약서버(10)는 S130 단계에서 수신된 요소값을 기초로 표준 계약서 형식으로 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약서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계약서버(10)는 S140 단계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가상머신(예컨대, Ethereum Virtual Machine, EVM)에서 실행 가능한 바이트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바이트코드)는 계약 데이터에 대한 저장 및 갱신,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계약서 발급 및 계약 내용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계약서버(10)는 S150 단계에서 바이너리 인터페이스(예컨대,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 코드)를 획득한 후, S160 단계에서 바이너리 인터페이스(ABI)를 이용하여 가상머신에서 실행 가능한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포함하는 실행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한다.
이어서, 계약서버(10)는 S170 단계에서 실행 컨트랙트 객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노드(CN)로 전송한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노드(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20, 30)는 S180 단계에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 즉, 작업 증명을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배포한다. 즉, 클라이언트 노드(CN)에 제공된 트랜잭션에 포함된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포함하는 실행 컨트랙트 객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작업 증명과정은 다음과 같다. 채굴자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트랜잭션들을 모아 블록에 포함시키고, 해당 블록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해 이전 블록의 해시값과 머클 루트, 논스를 함께 해시함수를 이용해 암호화한다. 채굴자 노드는 암호화 결과로 도출된 해시값이 목표 값보다 작아질 때까지 논스 값을 변화시킨다. 목표값보다 작은 논스 값을 발견하면 n 번째 블록에 논스를 저장하여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노드들에게 전파함으로써 트랜잭션이 포함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이러한 블록 생성 시, 컨트랙트 주소가 생성된다. 컨트랙트 주소는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 중 채굴자 노드는 블록 생성 시 생성된 컨트랙트 주소를 계약서버(10)에 제공한다. 즉, 계약서버(10)는 S190 단계에서 컨트랙트 주소를 수신한다.
컨트랙트 주소를 수신한 계약서버(10)는 S200 단계에서 계약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한다. 즉, 계약서버(10)는 앞서(S130 단계) 생성된 계약서에서 개인 정보 등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내용을 제외하고, 계약 자체의 내용만을 나타내는 계약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계약 내용이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시청했을 때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수익 분배 비율이라고 가정하면, 수익자 A 및 B의 분배 비율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계약서버(10)는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컨트랙트 주소의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데이터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한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210 단계에서 데이터 컨트랙트 객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노드(CN)로 전송한다.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노드(CN)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는 S220 단계에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 즉, 작업 증명을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배포한다. 즉, 클라이언트 노드(CN)에 제공된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 컨트랙트 객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이러한 작업증명 과정은 앞서(S180 단계) 설명된 바와 같다. 이는 블록체인에 데이터 컨트랙트 객체의 계약 데이터가 저장됨을 의미한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가상머신은 실행 컨트랙트 객체의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바이트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계약서버(10)는 S310 단계에서 플랫폼서버(4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 등의 계약 당사자로부터 계약 데이터를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320 단계에서 컨트랙트 주소와 바이너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계약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과, 블록 안의 트랜잭션을 찾아 계약 데이터를 로드한다.
다음으로, 계약서버(10)는 S330 단계에서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변경하는 경우, 계약처리부(140)는 자바 어노테이션(Java Annotations)을 설정하고, "XmlAccessorType"을 이용해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때, 계약처리부(140)는 계약 데이터의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를 포함하는 각 요소 별로 "rootElement" 명령어를 설정하여 루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계약 데이터를 JSON 형식으로 변경하는 경우, 계약서버(10)는 Jaxson2 라이브러리를 참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계약 데이터를 "HTTPMessageConvertor"를 통해 JSON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계약서버(10)는 S340 단계에서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으로 변환된 계약 데이터를 플랫폼서버(40) 및 공급자장치(50) 등의 계약 당사자의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계약 당사자들은 전송 받은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를 기초로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를 기초로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도 4의 실시예는 도 2의 S110 단계 내지 S220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랫폼서버(40)는 계약서버(10)를 통해 표준계약서를 생성하고, 계약서버(10)는 계약 관리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배포하고, 표준계약서에서 계약 데이터를 추출한 후, 트랜잭션을 통해 계약 데이터를 블록체인네트워크(BCN)로 전송하여 계약 데이터가 블록체인네트워크(BCN)에 저장되고, 블록체인네트워크(BCN)의 가상머신(EVM)이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실행한다.
한편, 플랫폼서버(40)에 콘텐츠를 공급하기를 원하는 컨텐츠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공급자장치(50)는 S410 단계에서 계약 내용의 열람을 요청하는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플랫폼서버(40)로 전송한다.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는 공급자장치(50)의 주소를 포함한다. 그러면, 플랫폼서버(40)는 S420 단계에서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계약서버(10)로 전달하고, 계약서버(10)는 S430 단계에서 공급자장치(50)의 주소를 인자로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바이트코드)의 계약내용제공함수를 호출하는 트랜잭션을 전송한다. 이때, 트랜잭션은 컨트랙트 주소를 매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약내용제공함수는 기본적으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로 변환한 후, 트랜잭션에서 지정한 목적 주소, 즉, 공급자장치(50)의 주소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이 전달되고, 복수의 노드(20, 30)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노드(20, 30) 중 어느 하나의 노드(20, 30)에서 가상머신이 실행되고, 실행된 가상머신이 계약내용제공함수를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해당 노드(20, 30)의 가상머신은 S440 단계에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로 변환한 후, 트랜잭션에서 지정한 목적 주소, 즉, 공급자장치(50)의 주소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공급자장치(50)는 계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약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공급자는 해당 계약 데이터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계약에 동의하는 경우, 공급자장치(50)를 통해 S450 단계에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460 단계에서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공급자장치(50)의 주소를 포함하는 수락 메시지를 트랙잭션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이 전달되고, 복수의 노드(20, 30)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이 완료되면, 블록체인 내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계약 데이터에 매핑되어 공급자장치(50)의 주소가 저장된다. 이는 계약 상 컨텐츠 공급자의 지위가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플랫폼서버(40)에 콘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하는 컨텐츠 소비자 역시 S470 단계 내지 S520 단계를 통해 소비자장치(60)를 통해 계약 내용을 요청하고, 열람하고, 수락할 수 있다. 이러한 S470 단계 내지 S520 단계는 계약의 당사자가 콘텐츠 공급자가 아닌 콘텐츠 소비자인 점이 차이가 있을 뿐이며, S410 단계 내지 S460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수락 메시지가 트랜잭션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BCN)로 전달되면, 복수의 노드(20, 30)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이 완료되고, 블록체인 내에서 계약 데이터와 동일한 계정으로 매핑되어 소비자장치(60)의 주소가 저장된다. 이는 계약 상 컨텐츠 소비자의 지위가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약이 완료된 후, 컨텐츠 공급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자장치(50)는 S570 단계에서 플랫폼서버(40)에 컨텐츠를 업로드 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플랫폼서버(40)는 S580 단계에서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계약서버(10)로 전송한다. 컨텐츠 식별정보는 예컨대, 컨텐츠 식별자,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 해당 컨텐츠가 시청된 기록을 나타내는 시청기록로그에 대한 접근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590 단계에서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CN)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이 전달된 후, 복수의 노드(20, 30)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노드(20, 30) 중 어느 하나의 노드(20, 30)에서 가상머신이 실행되고, 실행된 가상머신은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정산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이때, 가상머신은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계약 데이터를 특정하여 동일한 계정으로 관리한다.
한편, 컨텐츠가 업로드되면, 컨텐츠 소비자의 조작에 의해 소비자장치(60)는 S600 단계에서 플랫폼서버(40)에 접속하여 스트리밍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를 시청할 때마다, 소비자장치(60)는 S610 단계에서 컨텐츠를 시청한 기록인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한다. 시청기록로그는 예컨대, 컨텐츠 식별자, 컨텐츠 주소, 시청 시간, 날짜 등을 포함한다.
한편, 플랫폼서버(40) 역시 컨텐츠 시청이 이루질 때마다, S620 단계에서 시청기록로그를 생성한다. 플랫폼서버(40)의 시청기록로그는 소비자장치(60)의 시청기록로그에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소비자장치(6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플랫폼서버(40)는 시청기록로그를 생성할 때마다, S630 단계에서 시청기록로그를 계약서버(10)로 전달한다. 그러면, 계약서버(10)는 S640 단계에서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한다.
한편, 블록체인네트워크(BCN)의 가상머신은 정산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 정산 주기 내에서 무작위의 주기로, 무작위의 횟수로, 계약서버(10), 플랫폼서버(40) 및 소비자장치(60) 중 적어도 하나의 무작위의 대상으로부터 검증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검증 데이터는 계약서버(10), 플랫폼서버(40) 및 소비자장치(60) 각각이 저장하고 있는 시청기록로그이다.
이러한 시청기록로그는 3개가 모두 일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해당 시청기록로그를 모두 저장하면 가장 정확하겠지만, 저장 공간 및 부하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산 주기 내에서 무작위의 주기로, 무작위의 횟수로, 계약서버(10), 플랫폼서버(40) 및 소비자장치(60) 중 적어도 하나의 무작위의 대상으로부터 시청기록로그 중 일부인 검증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와 같이,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 정산일이 도래하면, 플랫폼서버(40)는 S660 단계에서 해당 공급자장치(50)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해 매출 데이터를 전송한다. 매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시청기록로그를 포함하며, 시청기록로그에 대응하여 발생된 매출을 나타낸다.
매출 데이터를 수신한 계약서버(10)는 S670 단계에서 매출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BCN)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이 전달되고, 복수의 노드(20, 30) 사이에서 작업증명 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노드(20, 30) 중 어느 하나의 노드(20, 30)의 가상머신이 S680 단계에서 매출 내역을 검증한다. 즉, 가상머신은 매출 데이터와, 미리 수집된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의 오류, 누락 등을 검증한다.
상기 검증 결과,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가상머신은 S690 단계에서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매출 데이터의 매출에서 플랫폼서버(40) 측 사업자와 공급자장치(50) 측 컨텐츠 공급자 각각에 분배되는 수익과, 계약서버(10)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정산 서비스를 이용한 수수료 및 소비자장치(60)가 제공한 검증 데이터에 대한 급부로 제공되는 비용을 포함한 정산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가상머신은 S700 단계에서 그 정산 결과를 계약서버(10), 플랫폼서버(40), 공급자장치(50) 및 소비자장치(6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약서를 기초로 하는 계약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정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산에 따른 수익 분배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 예컨대, 계약서버(10), 노드(20, 30) 및 플랫폼서버(40), 공급자장치(50) 혹은 소비자장치(60)가 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계약서버
20: 클라이언트 노드
30: 일반 노드
40: 플랫폼서버
50: 공급자장치
60: 소비자장치

Claims (5)

  1.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블록체인에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플랫폼서버가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계약서버가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소비자장치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서버가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며,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플랫폼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가상머신이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정산일이 도래하면, 상기 가상머신이 계약서버로부터 매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출 데이터와 상기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 내역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 상기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가상머신이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머신이 정산 주기 내에서 무작위의 주기로, 무작위의 횟수로,
    상기 계약서버, 상기 플랫폼서버 및 상기 소비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무작위의 대상으로부터 시청기록로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데이터를 기초로
    매출에서
    상기 플랫폼서버 측 사업자와 상기 공급자장치 측 컨텐츠 공급자 각각에 분배되는 수익과,
    상기 계약서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정산 서비스를 이용한 수수료 및
    상기 소비자장치가 제공한 검증 데이터에 대한 급부로 제공되는 비용
    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후,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전,
    상기 플랫폼서버가 공급자장치로부터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계약 내용 요청 메시지를 계약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공급자장치의 주소를 인자로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의 계약내용제공함수를 호출하는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에 대응한 작업증명이 완료되면,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가상머신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가상머신이 상기 계약 데이터를 XML 형식 혹은 JSON 형식로 변환한 후, 상기 공급자장치의 주소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계약서버가 상기 공급자장치로부터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락 메시지를 트랙잭션으로 전송하고, 트랜잭션에 대응한 작업증명이 완료되면, 계약 데이터와 동일한 계정으로 공급자장치의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블록체인에 계약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
    업로드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컨텐츠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플랫폼서버;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계약서버;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 마다, 시청기록로그를 저장하는 소비자장치; 및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검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산일이 도래하면, 상기 가상머신이 계약서버로부터 매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출 데이터와 상기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출 내역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 상기 매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계약 데이터에 따라 정산을 수행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가상머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0200179017A 2020-12-18 2020-12-18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7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17A KR102572232B1 (ko) 2020-12-18 2020-12-18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17A KR102572232B1 (ko) 2020-12-18 2020-12-18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07A true KR20220088207A (ko) 2022-06-27
KR102572232B1 KR102572232B1 (ko) 2023-08-28

Family

ID=8224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017A KR102572232B1 (ko) 2020-12-18 2020-12-18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47B1 (ko) * 2022-08-09 2023-02-16 주식회사 스웹트파운데이션코리아 하드웨어보안모듈을 이용한 암호키 및 스마트컨트랙트 이행 관리시스템
KR102663677B1 (ko) * 2023-03-23 2024-05-14 제시아플랫폼 주식회사 블록체인 간에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701A (ko) 2016-07-25 2018-02-02 최봉호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
KR20190004310A (ko) * 2016-04-29 2019-01-11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분산 해시 테이블 및 개인대개인 분산 대장을 사용한 계약의 성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7681A (ko) * 2018-12-20 2020-07-01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콘텐츠 파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1647A (ko) * 2019-01-23 2020-07-31 넷마블 주식회사 아이템 거래 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310A (ko) * 2016-04-29 2019-01-11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분산 해시 테이블 및 개인대개인 분산 대장을 사용한 계약의 성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1701A (ko) 2016-07-25 2018-02-02 최봉호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
KR20200077681A (ko) * 2018-12-20 2020-07-01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콘텐츠 파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1647A (ko) * 2019-01-23 2020-07-31 넷마블 주식회사 아이템 거래 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47B1 (ko) * 2022-08-09 2023-02-16 주식회사 스웹트파운데이션코리아 하드웨어보안모듈을 이용한 암호키 및 스마트컨트랙트 이행 관리시스템
KR102663677B1 (ko) * 2023-03-23 2024-05-14 제시아플랫폼 주식회사 블록체인 간에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32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6288B (zh) 收款設備、收款方法及裝置
CN102573112B (zh) 电信网络能力开放方法、系统及联盟支撑平台
US8073932B2 (en) Business logic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US8315920B2 (en) Method for automating onboarding of user generated ringback tones to sales distribution channel
KR102572232B1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계약서에 따른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990183A (zh) 保护用户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JP722685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5528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ubsidized access to network content by way of a secure connection
CN110602252B (zh) 一种区块链增强的开放物联网接入架构
US20120030478A1 (en) Dynamic Storage Enabler For Service Delivery HUB On A Mobility Network
KR10214557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2137102B (zh) 一种支持多类信息发布方式的业务支撑平台实现方法
KR100706347B1 (ko)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의 이용 및 개발을위한 통합 지원 장치
CN113014556B (zh) 银企通讯系统、通讯方法以及电子终端
KR20090046006A (ko) 광고비 단가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3139695B (zh) 面向客户端的电信能力调用方法和网络设备
KR101042110B1 (ko) 이에스비를 이용하는 오픈 소스 중계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시스템과 방법,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CN115150829A (zh) 一种网络访问权限管理方法及装置
WO2021063030A1 (zh) 一种区块链增强的开放物联网接入架构
KR20220118143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16208131A (ja) 提携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159550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중립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N102594832A (zh) 一种业务交付平台开展业务的方法及装置
US20170244771A1 (en) Agent-based passive streaming
KR102652226B1 (ko) 계시별 요금제를 기초로 비용 절약을 위한 전력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