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027A -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027A
KR20220088027A KR1020200178643A KR20200178643A KR20220088027A KR 20220088027 A KR20220088027 A KR 20220088027A KR 1020200178643 A KR1020200178643 A KR 1020200178643A KR 20200178643 A KR20200178643 A KR 20200178643A KR 20220088027 A KR20220088027 A KR 2022008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ght source
guide
steriliz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1431B1 (en
Inventor
이정훈
김환
박서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20017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3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를 유입하여 살균 및 정화를 수행한 뒤 토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3 바디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에서 제2 바디를 향하는 기류의 이동방향을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켜 상기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를 게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scharging outside air after performing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nd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ublis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first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A third body through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a second body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third body and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second body provid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body, the suction port It includes a guide part that forms a flow path of the air flow flowing in and toward the outlet, and a light source part that is provid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body and irradiates a light source to the air flow formed along the guide part,
The guide part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to vary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flow from the first body to the second body at least once to change the introduced external air of the second body. A device for sterilizing and purify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therein.

Description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외기를 유입하여 살균 및 정화를 수행한 뒤 토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scharging after performing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by introducing outside air.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 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polluted air, purifies it,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Fo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dust or bacteria in the ai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에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내부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 장치,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ha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ir. In addition, a blower for circulating air, a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공기청정기는 송풍 장치가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기류를 통해 상기 흡입구로 외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소재의 필터를 거치며 걸러지고, 오염물질들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Looking at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purifi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ir purifier sucks outside air into the suction port through an air flow generated while the blower is driven, and pollutant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are stored inside the air purifier.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s of various materials provided and the pollutants are filtered ou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공기살균장치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써 이해된다.An air sterilizer is understood as a device for sterilizing bacteria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y sucking in the outdoor air, and then discharging it.

일반적으로 공기살균장치에는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는 점에 있어서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공기청정기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으로 오존, 이온, 자외선, 광촉매 등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살균한다.In general, an air sterilizer can be distinguished from an air purifier that filters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hrough a filter in that it sterilizes bacteria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he air purifier generally sterilizes the air suck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ozone, ions, ultraviolet rays, photocatalysts, and the like.

근래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자 각종 필터를 이용한 필터방식이나 이온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식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등의 공기정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upply clean air, an air purifier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an air purifier such as purifying air through a filter method using various filters or a plasma method using ion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고, 반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살균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필터링 효과는 증가하고, 공기의 흐름이 느릴수록 필터링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air, since the sterilization of the air must be continued for an effective time, the flow of the air must be made slowly. Conversely, in order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e filtering effect increases as the air flow increases, and the filtering effect decreases as the air flow decreases.

따라서, 근래 제시되는 공기청정 장치의 경우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의 일부를 제거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일정 부분 살균할 수는 있으나, 공기 중에 함유된 세균을 완전히 살균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an air cleaning device proposed recently, it is possible to remove some of the pollutants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sterilize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o a certain extent, but there is a limit to completely sterilizing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here is a situation.

또한 자외선 살균장치는 피소독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소독물에 묻어 있는 세균을 살균 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근래까지 이러한 자외선 살균장치의 주류는 위생기구나 의료기구와 같이 특정 형체가 있는 피소독물을 살균하기 위한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가 보다 널리 알려지게 되면서 최근 자외선 살균장치 중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살균 시키는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V sterilizer refers to a device that sterilizes the bacteria on the object to be disinfect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object to be disinfected. Most of them were for sterilization, and a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ultraviolet rays became more widely known, recently, among ultraviolet sterilizers, devices that sterilize indoor air using ultraviolet rays have appeared.

실내공기 살균용 자외선 살균장치는 공기 중의 세균에 의한 인체 감염 방지를 목적으로 마련된 것으로써, 일반 가정은 물론 수술실이나 무균실 등 여러 장소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공기가 유입 및 토출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에 연결되는 안정기와 외부 실내공기가 챔버내로 유입되어 내부를 통과하면서 챔버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챔버에 연결 설치되는 송풍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Ultraviolet sterilizer for indoor air sterilization i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fection of the human body by bacteria in the air, and is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operating rooms and clean rooms as well as general homes. It is intended to include an ultraviolet lamp to be used, a ballast connected to the ultraviolet lamp, 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chamber so that external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상기 송풍부와 자외선 램프 및 안정기는 챔버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송풍부와 안정기는 각각 별도의 브래킷에 의해 챔버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blower, the ultraviolet lamp and the ballast are accommodated in the chamber, and the blower and the ballast are generally respectively fixed to different positions inside the chamber by separate bracket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외선 살균장치는 송풍부의 구동 시 실내 공기는 챔버의 흡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흡입되어 자외선램프 주변을 지나가면서 살균처리된 후, 챔버의 토출구를 통해 챔버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In the UV steriliz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wer is drive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inlet of the chamber, sterilized while passing around the UV lamp,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through the outlet of the cha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챔버내에서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챔버내 공기체류시간이 매우 짧아 충분한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외선 램프에 근접하여 이동하는 공기에 대해서는 살균처리를 어느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챔버의 내부 벽면에 근접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이동되는 공기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외선 조사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생물학적 세균이 완전하게 살균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전체 살균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mber in which the ultraviolet lamp is installed, the air residence time in the chamber is very short, so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sterilization effect cannot be expected. In particular, although sterilization treatment can be expected to some extent for the air moving close to the UV lamp, a sufficient amount of UV irradiation is not made for the air moving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and away from the UV lamp. This phenomenon cannot be completely sterilized, and thus the overall steril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외기를 흡입하여 정화 및 살균을 수행한 뒤 토출하는 일체형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that sucks in outside air, performs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and then discharges it.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로구조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flow path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i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an inlet.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3 바디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 third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discharged, an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third body. A second body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dy, the guide part which is provided to form a flow path of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dy. It is provided, and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the airflow formed along the guide uni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에서 제2 바디를 향하는 기류의 이동방향을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켜 상기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2 바디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guide par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to vary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flow from the first body to the second body at least once or more so that the introduced external air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dence time is increased.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may pas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and be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pas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and on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can be provided.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ntroduced external ai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and a filter stack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uide members may be provided along a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상기 필터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하는 촉매가 도포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촉매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ay include a filter member to which a catalyst reacting to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applied, and an application layer formed by the catalys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광원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guide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ward the discharge port while rotating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to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층으로 적층된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여 공기의 체류시간을 최대화하고, 하나의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공기의 유로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유로내의 공기를 살균처리 하므로 공기살균효율이 높아진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ence time of air is maximized by allowing air to move through the air passages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one ultraviolet lamp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ir passages to allow air in the passageways. The air steriliz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ecause of the sterilization treatment.

또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방사형태의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더 높은 회전력을 가진 모터를 채택하여 공청 면적을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air resistance can be minimized a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guided by the radial guide part, and as the residence time of air is increased, a motor with a higher rotational force is adopted to widen the air listening area.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2 바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광원부가 결합된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in which a guide unit and a light source unit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2 바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in FIG. 1 .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는 제1 바디(10), 제2 바디(20), 제3 바디(30) 및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10 , a second body 20 , a third body 30 , and a manipulation unit 40 .

상기 제1 바디(10)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0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h)는 상기 제1 바디(10)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바디(10)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body 10 may have a suction port 10h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Of course, the suction port 10h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or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상기 제1 바디(1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h)는 상기 사각기둥이 형성하는 4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rism with curved corners. The suction port 10h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urfaces formed by the square pillar.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제1 케이스(1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케이스(101)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팬 모듈, 필터 등이 수용될 수 있다.A first case 10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0 . The first case 101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fan module, a filter, etc.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of the first case 101 .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팬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module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forms a rotating shaft and generates driving force, a fan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rotates based on the rotating shaft to form a flow of air,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fan and sucks It may include a shroud provided between th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gu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바디(20)가 상기 제1 바디(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3 바디의 상부에 토출구(40)가 형성되므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바디(10)의 흡입구(10h)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바디(2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body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outlet 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the shroud is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h may be guided toward the second body 20 .

상기 팬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일예로써 사류형 팬이 채택될 수 있다.The fan may include a hub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a plurality of blades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hub. As an example of the fan, a four-flow fan may be employed.

제1 바디(10)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바디(10)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하부를 형성하며, 제1 바디(10)의 바닥면은 지면과 맞닿아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0 forms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 . The first body 10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 ,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support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 .

제2 바디(20)는 상기 제1 바디(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는 상기 제1 바디(10)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외관 중 중앙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 The second body 20 may form a central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

상기 제2 바디(20)는 상기 제1 바디(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바디(2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body 10 . That is, the second body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rism with curved corners.

상기 제2 바디(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가이드부(21)와 광원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20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the guide part 21 and the light source part 23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of the second body 20 .

가이드부(21)는 제2 바디(20)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흡입구(10h)로 유입되어 토출구(30h)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1)는 제2 바디(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guide part 21 is provid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dy 20 , and may form a flow path for an air flow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10h and toward the discharge port 30h. That is, the guide part 21 may form a flow path for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 .

광원부(23)는 제2 바디(20)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에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부(23)는 제2 바디(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에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3 is provid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body 20 , and may irradiate the light source to the airflow formed along the guide unit 21 . That is,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irradiate the light source to the flow path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 .

상기 가이드부(21)와 광원부(23)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The guide part 21 and the light source part 23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제3 바디(30)는 상기 제2 바디(2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30)는 상기 제2 바디(20)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외관 중 상측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body 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 The third body 30 may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

상기 제3 바디(30)는 상기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바디(3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ody 30 may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That is, the third body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rism with curved corners.

상기 제3 바디(30)에는 제1 바디(10)의 흡입구(10h)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30h)가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body 30 may have a discharge port 30h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h of the first body 10 from the inner spac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to the outside. .

상기 토출구(30h)는 상기 제3 바디(30)의 상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0h)는 상기 제3 바디의 상면 중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광원부(23)가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 중앙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토출구(30h)가 상기 제3 바디(30)의 상면 중 중앙부분에 형성될 경우 상기 광원부(23)에서 조사된 광원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토출구(30h)는 제3 바디(30)의 상면 중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port 30h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 The discharge ports 30h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body. This is because the light source unit 23 is locat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 If the outlet 30h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the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outlet 30h is the third body ( 30)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술한 토출구(30h)의 구조 내지 배치에 의해,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가이드부(21)에 의해 안내되는 기류는 제2 바디(20)의 중앙부분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이다.And by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port 30h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This is because the airflow guided by the guide unit 21 is rotated and increa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상기 토출구(30h)는 제3 바디(30)의 상면 중 상기 광원부(23)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s 30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light source unit 23 is located.

상기 제3 바디(30)의 내부에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와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and various components physically or electrically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third body 30 .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광원부가 결합된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in which the guide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are coupled in FIG. 2 .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1)는 제2 바디(20)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제1 바디(10)에서 제2 바디(20)를 향하는 기류의 이동방향을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켜 흡입구(10h)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guide part 21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20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irflow from the first body 10 to the second body 20 at least once or more. By chang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0h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body 20 .

가이드부(21)는 제1 가이드모듈(21a)과 제2 가이드모듈(21b) 및 제2 필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모듈(21a)과 제2 가이드모듈(21b)은 동일한 구성으로써 가이드부(21)를 형성하기 위해 적층되는 일부 구간들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1 가이드모듈(21a)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guide unit 21 may include a first guide module 21a , a second guide module 21b , and a second filter 214 . The first guide module 21a and the second guide module 21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may mean some sections stacked to form the guide part 21 .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first guide module (21a).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는 유입된 외기를 제2 바디(20)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unit 21 may inclu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ntroduced external ai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20, and a filter stack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member. have.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개가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필터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상대적인 높이차이를 갖는 제1 가이드부재(211)와 제2 가이드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필터(212)가 제1 가이드부재(211)와 제2 가이드부재(2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guide members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211 and a second guide member 213 having a relative height difference, and the first filter 212 includes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 may be provided in between.

본 실시예의 제1 가이드부재(211), 제1 필터(212) 및 제2 가이드부재(213)는 제2 바디(20)의 내부에서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 제1 필터(212) 및 제2 가이드부재(213)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간격 내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211 , the first filter 212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of this embodimen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inside the second body 20 . can be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ed by the first guide member 211 , the first filter 212 ,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may be formed.

제1 가이드부재(211)와 제2 가이드부재(213)는 서로 독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가이드부재(211)와 제2 가이드부재(213)는 하나의 연속적인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may be provided in one continuous configu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는 가이드부재가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방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형상의 중심에는 광원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1)는 광원부(23)를 중심으로 나선형의 회오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1)에 의해 형성되는 각 층은 상술한 제1 가이드부재(211), 제2 가이드부재(213)에 대응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part 21 may be provided in a radial shape with the guide member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radial shape formed by the guide unit 21 . That is, the guide part 21 may be provided in a spiral tornado shape around the light source part 23 , and each layer formed by the guide part 21 may include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first guide member 211 described above. 2 may correspond to the guide member 213 .

제1 필터(212)는 제1 필터부재(2121)와 제1 도포층(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일면은 광원부(23)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하는 촉매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타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와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타면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212 may include a first filter member 2121 and a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 A catalyst that reacts to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guide member 2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described abov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moves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일면에 도포되는 촉매는 광촉매의 일종으로써, 제1 도포층(21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포층(2123)은 광원부(23)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할 수 있다.The catalyst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is a kind of photocatalyst, and may form the first coating layer 2123 . The first coating layer 2123 may respond to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

상기 광원부(23)는 상기 제1 도포층(2123)이 일반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포층(2123)이 가시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자외선 LED, 고휘도 램프, 고휘도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composed of an ultraviolet lamp or an ultraviolet LED when the first coating layer 2123 is a general photocatalyst, and when the first coating layer 2123 is a visible photocatalyst, an ultraviolet lamp, an ultraviolet LED, It may be composed of a high-brightness lamp, a high-brightness LED,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재(2121)는 상기 제1 도포층(2123)에 광이 조사되어 화학반응에 따라 형성된 물질의 확산 용이성을 위해 우레탄폼과 같은 메쉬 구조의 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화학반응에 따라 형성된 물질의 예로써,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중성 OH)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may be formed of a support having a mesh structure such as urethane foam for easy diffusion of a material formed according to a chemical reaction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 As an example of a substance form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emical reaction, there is a hydroxyl radical (neutral OH).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광원부(23)에서 조사되는 광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재질의 일 예로써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이 있다.Meanwhile, the guide memb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not only guide the movement of air but also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 As an exampl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there is a polyethylene material.

상기 제2 가이드모듈(21b)에 포함되는 제3 가이드부재(215), 제3 필터(216), 제4 가이드부재(217)와 상기 제3 필터(216)에 포함되는 제3 필터부재(2161), 제3 도포층(2163)과 상기 제2 필터(214)에 포함되는 제2 필터부재(2141), 제2 도포층(2143)은 상술한 제1 가이드모듈(21a)을 형성하는 구성과 동일하다.The third guide member 215 , the third filter 216 , the fourth guide member 217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module 21b , and the third filter member 2161 included in the third filter 216 . ), the third application layer 2163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2141 and the second application layer 2143 included in the second filter 214 form the above-described first guide module 21a and same.

한편 광원부(23)는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23)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3)는 제2 바디(20)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 The light source unit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ight source unit 2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20 .

따라서, 상기 광원부(23)는 가이드부(21)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부(21)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광원부(23)의 외주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상기 광원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source unit 23 passe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21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21 , and the guide unit 21 is the light source unit 23 . It may be provided in a spiral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23 in a radial form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공기살균장치는 각각 구비되고 있으며, 가사 공기청정기와 살균장치가 조합된 장치에서도, 공기청정기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에서 먼지를 제거하며, 공기살균은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문에 공기청정능력 확보를 위해 공기가 빠른 기류를 형성하는 경우 살균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and an air sterilizer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even in a device in which a household air purifier and a sterilizer are combined, the air purifier removes dust in several circulation processes, and air sterilization is effective in sterilizing air for a period of time should be done For this reason, when the air forms a fast airflow to secure the air cleaning ability, the sterilization ability is greatly reduced.

상술한 이유로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 살균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청정 능력을 줄여주더라도 공기가 천천히 흘러가게 하거나, 살균력이 매우 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For the above reasons, in order to sterilize the air in the air purifier, even if the air purifying ability is reduced, the air must flow slowly or a method having a very strong sterilization power must be used.

그러나 본 실시예의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광원부(23)가 제2 바디(20)의 내부 공간 중심에 위치되고, 가이드부(21)가 상기 광원부(23)의 외주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상기 광원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2 바디(20) 내부에 공기가 체류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팬 모터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살균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23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guide unit 21 is radi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ource unit 23 to the light source unit ( 23), as it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the air stays inside the second body 20,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terilization 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fan motor.

또한, 상술한 가이드부(21)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필터부재 및 도포층에 의해 광원부(23)에서 조사된 광원이 광촉매에 용이하게 전달되어 공기의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photocatalyst by the guide member, the filter member, and the coating layer forming the guide unit 21, thereby improving the sterilization power of the air.

한편,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유로구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된 외기가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광촉매에 광이 조사되어 화학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율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low path structure publish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the inhaled outdoor air stays inside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and at the same time, as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to cause a chemical rea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ffusion rate of the generated by-products.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로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제2 바디(20)의 내부 하측에서 제2 바디(20)의 내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이동하고 광원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introduced by the guide part moves from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20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20, and move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t moves radially and moves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23 .

이 경우 제1 가이드부재(211)의 일면과 제1 필터(212)의 일면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의 일면과 상기 제1 필터(212) 사이 이격된 공간으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2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so that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first filter 2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low path may be formed into the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상기 제1 필터(212)는 제1 필터부재(2121)와 제1 도포층(2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의 일면과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일면 사이에서 상술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212 may include a first filter member 2121 and a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may be formed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타면에는 광촉매가 도포되는 제1 도포층(2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포층(2123)에서 광원부(23)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한 화학반응이 발생한다.In addition, a first coating layer 2123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 and a chemical reaction caused by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23 in the first coating layer 2123 . This happens.

상기 광촉매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발생하는 화학반응의 부산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예로써,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중성 OH)이 있으며, 이러한 화학물질이 확산되어 공기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As a by-product of a chemical reaction that occurs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re is a hydroxyl radical (neutral OH), and these chemicals are diffused to steriliz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air. can be done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층(2123)과 제2 가이드부재(213)는 이격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됨으로, 상기 제1 도포층(2123)과 제2 가이드부재(213)의 사이에서 형성된 유로에는 화학물질의 확산이 용이하다. 다만,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일면과 제1 가이드부재(211)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확산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so that between the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and the second guide member 213 . The diffusion of chemicals is easy in the flow path formed in the However, a diffusion rate may be reduced in a flow path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11 .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 필터부재(2121)는 다공성의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121)가 다공성의 메쉬구조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타면에 도포된 제1 도포층(2123)에서 발생된 화학물질은 상기 제1 필터부재(2121)의 일면과 상기 제1 가이드부재(211)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로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porous mesh structure. As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is formed of a porous mesh structure, the chemica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first application layer 2123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2121 ) can be easily diffused into a flow path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11 and the first guide member 211 .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구조에 따라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내부에서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공기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유로에 광촉매와 광원의 화학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이 이루어져 공기의 살균력을 높일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guide p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air in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thereby increas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air, and photocatalysts are applied to all flow paths formed by the guide part. The diffusion of by-products generated by the chemical reaction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can increase the sterilization power of the ai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는 제어부(60), 입력부(41), 표시부(43), 광원부(23), 필터(1011), 먼지센서(71), 필터센서(72), 공기질 측정센서(73), 가스센서(74), 풍속센서(75), 통신부(76), 송풍모터(77)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60, an input unit 41, a display unit 43, a light source unit 23, a filter 1011, a dust sensor 71, a filter sensor 72, and air quality. It may include a measurement sensor 73 , a gas sensor 74 , a wind speed sensor 75 , a communication unit 76 , a blower motor 77 , and the like.

상기 입력부(41)와 표시부(43)는 조작부(40)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에 형성된 입력부(41)를 통해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제어를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3)를 통해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작동상태, 공기청정 또는 공기살균 대상지역의 공기질정보, 온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 unit 41 and the display unit 43 may be formed in the manipulation unit 40 . A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rough the input unit 41 formed in the operation unit 4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through the display unit 43 , air quality information of an air purification or air sterilization target area,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like.

광원부(23)의 구조 내지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사용자는 입력부(41)를 통해 상기 광원부(23)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 지속시간 등을 입력하여 상기 광원부(2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23 a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23 by inputting the intensity, duration, etc.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 through the input unit 41 . have.

필터(1011)는 제1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011)에 축적된 오염물질은 상기 먼지센서(71) 또는 필터센서(72)를 통해 측정되어 표시부(43)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1011)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1011)의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filter 10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0 .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filter 1011 may be measured through the dust sensor 71 or the filter sensor 72 to transmit the state of the filter 1011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43, and the filter 1011 ), information such as whether replacement is necessary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공기질 측정센서(73)와 가스센서(74)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의 일종으로써, 예를 들어,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나,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물질이나,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의 실내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sensor 73 and the gas sensor 74 are a kind of pollution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and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space,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nitrogen dioxide, ozone, carcinogenic substances.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HCHO), toluene, benzene, and acetone, pollutants such as nitrogen dioxide generated from asbestos, carbon dioxide (CO2), dust, cigarette smoke, odors and microorganisms in various household products It can detect sexual substances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0-157, salmonella), volatile organic pollutants, and other indoor pollutants such as odor, noise, and radiation.

그리고 감지된 실내 공기의 오염도 정보는 상기 표시부(4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ed indoor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43 .

송풍모터(77)는 상술한 상기 제1 케이스(101)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팬 모듈을 이루는 일 구성일 수 있으며, 풍속센서(75)는 상기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를 이동하는 기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The blower motor 77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constitutes a fan module accommodat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ase 101 described above, and the wind speed sensor 75 controls the insi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moving airflow.

한편, 통신부(76)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달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6 , or may receiv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rough another wearable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작동이 시작되면, 공기질 측정센서(73)와 가스센서(74) 등을 통해 실내 공기 오염도를 측정(S10)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is started,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is measured through the air quality measuring sensor 73 and the gas sensor 74 (S10).

그리고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 오염도 정보를 통해 실내 대기성분 중 기 설정된 특징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S20)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eset characteristic element among indoor air components based on the measured indoor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S20).

상기 단계(S20)에서 특징요소란, 살균이 필요한 대상물질로써, 상술한 광원부(23)와 광촉매에 의해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여, 살균이 필요한 물질을 의미한다.In the step (S20), the characteristic element refers to a material requiring sterilization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 by the above-described light source unit 23 and a photocatalyst as a target material requiring sterilization.

상기 단계(S20)에서 특징요소가 없을 경우, 송풍팬을 구동하여 집진(S40)을 수행하며 이 경우 광원부(23)는 작동되지 않고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필터(1011)를 거치며 정화되어 토출될 수 있다.If there is no feature element in the step (S20), the blowing fan is driven to perform dust collection (S40).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unit 23 is not operated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is filtered. It may be purified and discharged through (1011).

한편, 상기 단계(S20)에서 특징요소가 있을 경우, 제어부(60)는 광원부(23)를 작동(S301)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characteristic element in the step (S20),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light source unit 23 (S301).

그리고 상기 단계(S10) 또는 단계(S20)에서 공기질 측정센서(73)와 가스센서(74)를 통해 측정된 특징요소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S302)한다. 상기 단계(S302)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70~100% 로 설정될 수 있다.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measured by the air quality sensor 73 and the gas sensor 74 in the step S10 or S20 is within a preset range (S302). The preset range in step S302 may be set to 70-100%.

상기 단계(S302)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송풍모터(77)의 회전수를 설정(S303)한다. 이 경우 설정되는 회전수는 제1 팬 회전수로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in step S302, the control unit 60 se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motor 77 (S303). In this case, the set rotation speed may be defined as the first fan rotation speed.

상기 단계(S302)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본 실시예에서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범위이므로, 상기 단계(S302)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할 경우 상기 단계(S303)에서 작동되는 제1 팬 회전수는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preset range in step S302 is a range se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llution degree is the highes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step S302, when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the The first fan rotation speed operated in step S303 may be set to a relatively small rotation speed.

왜냐하면, 상술한 경우에는, 공기의 오염도가 높아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므로 팬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여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제2 바디(20) 내부에 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을 늘려 공기의 살균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Because, in the above case, the air sterilization ability needs to be improved due to the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relatively small to slow the speed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 because there i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ir steriliza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time that the air stays inside the second body 20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

상기 단계(S303) 이후, 송풍팬을 구동하여 집진을 수행(S40)하며, 이 때 팬 모듈은 상기 단계(S303)에서 설정된 제1 팬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303), the blowing fan is driven to perform dust collection (S40), and in this case, the fan module may be rotated at the first fan rotation speed set in the step (S303).

상기 단계(S302)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범위와 중복되지 않는 다른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S304)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4)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30~70% 로 설정될 수 있다.If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range in step S30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 falls within another set range that does not overlap the range (S304). The preset range in step S304 may be set to 30 to 70%.

상기 단계(S304)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송풍모터(77)의 회전수를 설정(S305)한다. 이 경우 설정되는 회전수는 제2 팬 회전수로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in step S304, the control unit 60 se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motor 77 (S305). In this case, the set rotation speed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fan rotation speed.

상기 단계(S304)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본 실시예에서 오염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중간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범위이므로, 상기 단계(S304)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할 경우 상기 단계(S305)에서 작동되는 제2 팬 회전수는 상기 제1 팬 회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preset range in step S304 is a range set to determine wheth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corresponds to a relatively intermediate region in this embodiment,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n step S304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In this case, the second fan rotation speed operated in step S305 may be set to a relatively higher rotation speed than the first fan rotation speed.

왜냐하면, 상술한 경우에는, 공기의 오염도가 상기 단계(S302,S303)에서보다 높지 않아 공기의 살균능력과 공기의 청정능력을 적절히 조화시켜야 하므로, 팬의 회전수를 상기 단계(S302,S303)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를 상기 단계(S302,S303)에서보다 빠르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제2 바디(20) 내부에 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을 어느정도 확보함과 동시에, 공기의 살균효율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Because, in the above case, since the air pollution level is not higher than in the steps S302 and S303, the sterilization ability of the air and the cleaning ability of the air must be properly harmonized.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t the speed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to be higher than that in the steps S302 and S303 by setting it relatively highe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the air to stay inside the second body 20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and to ensur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air.

상기 단계(S305) 이후, 송풍팬을 구동하여 집진을 수행(S40)하며, 이 때 팬 모듈은 상기 단계(S305)에서 설정된 제2 팬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305), the blowing fan is driven to perform dust collection (S40), and in this case, the fan module may be rotated at the second fan rotation speed set in the step (S305).

상기 단계(S304)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범위와 중복되지 않는 다른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S306)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6)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0~30% 로 설정될 수 있다.If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range in step S304,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 falls within another set range that does not overlap the range (S306). The preset range in step S306 may be set to 0 to 30%.

상기 단계(S306)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송풍모터(77)의 회전수를 설정(S307)한다. 이 경우 설정되는 회전수는 제3 팬 회전수로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in step S306, the control unit 60 set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motor 77 (S307). In this case, the set rotation speed may be defined as the third fan rotation speed.

상기 단계(S306)에서 기 설정된 범위는 본 실시예에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범위이므로, 상기 단계(S306)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내에 해당할 경우 상기 단계(S307)에서 작동되는 제3 팬 회전수는 상기 제1 팬 회전수 및 제2 팬 회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preset range in step S306 is a range se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llution degree is low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ep S306, if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alls within the preset range, the step The third fan rotation speed operated in step S307 may be set to a relatively high rotation speed compared to the first fan rotation speed and the second fan rotation speed.

왜냐하면, 상술한 경우에는, 공기의 오염도가 가장 낮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높지 않아 공기의 살균능력보단 공기의 청정능력을 강화 시켜야 하므로, 팬의 회전수를 상기 단계(S303,S305)에서 보다 더 높게 설정하여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를 상기 단계(S303,S305)에서보다 빠르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Because, in the above case, sinc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the lowest, it is not high, so the purifying ability of the air should be strengthened rather than the sterilization ability of the air.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t the speed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 faster than in the steps S303 and S305.

상기 단계(S307) 이후, 송풍팬을 구동하여 집진을 수행(S40)하며, 이 때 팬 모듈은 상기 단계(S307)에서 설정된 제3 팬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307), the blowing fan is driven to perform dust collection (S40), and in this case, the fan module may be rotated at the third fan rotation speed set in the step (S307).

한편, 상기 단계(S306)에서 특징요소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다시 공기 오염도 측정(S10)을 수행하여 상술한 내용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range in the step S306, the above-mentioned content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by performing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S10) agai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10: 제1 바디
20: 제2 바디
21: 가이드부
23: 광원부
30: 제3 바디
40: 조작부
1: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10: first body
20: second body
21: guide unit
23: light source unit
30: third body
40: control panel

Claims (8)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3 바디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내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에서 제2 바디를 향하는 기류의 이동방향을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켜 상기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a first body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 third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discharged;
a second body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third body and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guide part provid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dy and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to form a flow path for the air flow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A light source unit provid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dy and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the airflow formed along the guide unit;
The guide part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to vary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flow from the first body to the second body at least once to change the introduced external air of the second body.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source unit,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ight source unit passe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and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ntroduced external ai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and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lter stack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guide member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하는 촉매가 도포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촉매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may include a filter member to which a catalyst reacting to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applied; and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an application layer formed by the cataly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광원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unit extends radially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rotat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to guide the air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oward the discharge port.
KR1020200178643A 2020-12-18 2020-12-18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531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43A KR102531431B1 (en) 2020-12-18 2020-12-18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43A KR102531431B1 (en) 2020-12-18 2020-12-18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27A true KR20220088027A (en) 2022-06-27
KR102531431B1 KR102531431B1 (en) 2023-05-12

Family

ID=8224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43A KR102531431B1 (en) 2020-12-18 2020-12-18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3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271A (en) * 2009-10-06 2011-04-13 신보미 Air sterilizer
KR20190024498A (en) * 2017-08-30 2019-03-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ir Cleaning Module
KR20190067552A (en) * 2017-12-07 2019-06-17 서원호 Purification system combined with pretreatment device and photocatalyst or non-photocatalytic re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271A (en) * 2009-10-06 2011-04-13 신보미 Air sterilizer
KR20190024498A (en) * 2017-08-30 2019-03-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ir Cleaning Module
KR20190067552A (en) * 2017-12-07 2019-06-17 서원호 Purification system combined with pretreatment device and photocatalyst or non-photocatalytic rea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431B1 (en)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463Y1 (en) Flow path structure of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376809B1 (en) Air cleaning system for vehicle
KR101338130B1 (en) Light having Interior air sterilizing function, and interior air sterilizing and lighting method
US9408937B2 (en) Photo-catalyzing fluid mobilizing system and method
KR20190024390A (en) Air purifier using ceramic filter and photocatalyst
KR101189477B1 (en) 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of sterilization with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UVLED
KR102219356B1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102148432B1 (en) The sterilizer filter and sterilizing apparatus
KR101055358B1 (en) Air sterilizing apparatus
KR20110135526A (en) Ceiling air cleaning device
KR20170090209A (en) Air sterilizing unit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20220048338A (e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with photocatalyst plate modules arranged in zigzag form
KR101081858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air
KR20210065023A (en) Integrated type air purifying module with germicidal, ionizing, and phtocatalytic function
KR102531431B1 (e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JP2018143636A (en) Reaction tub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20230114761A (en) UV air sterilizer
KR20220096596A (en) 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0372919Y1 (en) Air-cleaner with ultraviolet-sterilizer lamp for water closet
KR20220035721A (en) An air sterilizer using a photo plasma technology
KR20220022038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567563B1 (en) the air cleaner with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for in the room
KR10258210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0353057Y1 (en) Sterilization deodorization sterilizer for air conditioners and air conditioners
KR102557551B1 (e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device using positive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