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987A -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987A
KR20220087987A KR1020200178581A KR20200178581A KR20220087987A KR 20220087987 A KR20220087987 A KR 20220087987A KR 1020200178581 A KR1020200178581 A KR 1020200178581A KR 20200178581 A KR20200178581 A KR 20200178581A KR 20220087987 A KR20220087987 A KR 20220087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maxillary sinus
implant
hol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895B1 (ko
Inventor
이진
이진훈
Original Assignee
(주)메디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메카 filed Critical (주)메디메카
Priority to KR102020017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895B1/ko
Priority to US17/161,760 priority patent/US20220192799A1/en
Publication of KR2022008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는,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부에 어댑터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천공된 상악골의 임플란트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어 급수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부재와 나사형태로 체력되어 분리를 방지하는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IMPLANT SURGICAL INSTRUMENT FOR SINUS LIFT TECHNIQUE USING HYDRAULIC}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수압을 이용하여 거상을 시술하는 경우 급수부재와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드 시술시구가 나사체결되어 서로간의 분리가 방지됨으로써 공급되는 물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수압이 유지되어 상악동 내막의 손상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상악동 내막에 물을 공급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과에서는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임플란트 술식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 중 상당수는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힘든 구강 구조를 갖고 있어 시술에 곤란함을 겪게 되며, 일부 의사들은 이러한 환자를 기피하게 된다 특히, 상악동이 위치한 구치부에서의 잔존골이 부족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곤란한 경우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악동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형성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 이식을 하고 여기에 임플란트를 매 식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며, 이는 수직접근법과 측방접근법 두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수직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부위에 잔존골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을 때(잔존골의 두께 4mm 이상)의 방법으로, 상악동내막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스테오톰(끌과 망치) 이라는 기구로 상악골을 여러 횟수 두드려 직 경 2~3mm의 구멍을 낸 다음 구멍을 통해 이식골을 조금씩 넣는 방식이며, 이는 시술부위가 좁아 시술 후 환자에게서 부종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시술과정에서 상악동내막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과정을 엑스레이로 확인하면서 아주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시술과정에서의 타격으로 인해 환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으로, 측방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부위의 잔존골이 매우 부족할 때(잔존골의 두께 4mm 이하)의 방법으로, 상악동의 측면에 구멍(윈도우)을 형성하여 상악동내막을 거상시킨 후 이를 통해 골 이식을 하는 방식이며, 이는 시술중에 상악동내막을 직접 보면서 들어올릴 수 있어서 상악동내막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을 뿐 아니라 혹 손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후처리가 가능하고, 한꺼번에 원하는 양의 골이식재를 빨리 넣을 수가 있어서 신속한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수술 자체가 어렵고 커다란 판막을 형성해야 하기에 수술후 심한 부종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술식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임플란트용 드릴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이 진행되었다. 임플란트용 드릴에 의한 술식은 환자의 거부감이 적고, 쉽고 빠른 시간에 상악골 천공이 가능한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드릴날 회전에 의해 상악골 천공이 완료되는 순간 드릴날 선단이 상악동내막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 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악동내막이 드릴날 선단에 의해 찢기거나 말려드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912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압을 사용하여 상악동 내막을 안전하게 밀어낼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는,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부에 어댑터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천공된 상악골의 임플란트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어 급수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부재와 나사형태로 체결되어 분리를 방지하는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주홈은, 만곡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외주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의 픽스쳐 직경이 4.0 또는 4.5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4.0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3.1mm이고, 상기 픽스쳐 직경이 5.0 또는 5.5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4.9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3.9mm이고, 상기 픽스쳐 직경이 6.0 또는 7.0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5.6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4.8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결합홈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이용하여 거상을 시술하는 경우, 상악동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의해 상악동 내막을 거상하여 내막의 손상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상악동 거상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악골과 회전결합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에 의해 상악동 내부에 공급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여 상악동 내부의 수압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주입되는 곳의 관통홀보다 상악동에 위치하는 관통홀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물이 상악동에 빠르게 이동하여 원하는 부분만 신속하게 거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마다 규정된 토크량을 정밀하게 가할 수 있는 토크렌치에 어댑터를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출조절부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의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출조절부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는 몸체부(100), 체결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 체결부(200) 및 연결부(3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내부에 관통홀(40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관통홀(400)을 구비하고, 외측은 평탄부(120)와 호환부품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120)는 원통형상으로 외측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호환부품 결합부(140)는 평탄부(1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면에 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호환부품 결합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42)와 결합부(142)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42)를 2개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결합부(142)는 나사와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라쳇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호환부품 결합부(140)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사각형상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체결부(2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천공된 상악골(2)의 임플란트홀(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0)는 몸체부(100)의 평탄부(12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00)의 나사선이 임플란트홀(3)에 나사결함됨으로써,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에 삽입 및 추출할 수 있다.
체결부(200)는 외주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0)는 하향경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00)의 상부면의 직경은 체결부(200)의 하부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의 픽스쳐 직경이 4.0 또는 4.5인 경우, 체결부(200)의 상부면의 직경(d1)은 4.0mm이고, 가운데면의 직경(d2)는 3.5mm이며, 하부면의 직경(d3)은 3.1mm일 수 있다.
또한,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의 픽스쳐 직경이 5.0 또는 5.5인 경우 상부면의 직경(d1)은 4.9mm이고, 가운데면의 직경(d2)는 4.4mm이며, 하부면의 직경(d3)은 3.9mm일 수 있다.
그리고,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의 픽스쳐 직경이 6.0 또는 7.0인 경우 상부면의 직경(d1)은 5.6mm이고, 가운데면의 직경(d2)는 5.3mm이며, 하부면의 직경(d3)은 4.8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체결부(200)가 천공된 상악골(2)의 임플란트홀(3)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악골(2)에 공급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악골(2)에 공급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악동(1) 내부의 수압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몸체부(100)의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3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연결부(300)는 몸체부(100)의 호환부품 결합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00)의 걸림턱(320)을 2개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부(300)는 1개 이상의 걸림턱(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부(300)는 급수부재(4)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재(4)는 연결부(300)의 걸림턱(320)에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연결관(40)과, 주사기(42)내에 충전된 물을 주사기(42)의 밀대(44)를 가압하여 연결관(40)을 통해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로 급수하여, 급수의 수압에 의해 상악동 내막을 거상하여 내막의 손상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상악동 거상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관통홀(400)은 몸체부(100) 및 체결부(200)에 위치하는 제1 관통홀(420)과, 몸체부(100) 및 연결부(300)에 위치하는 제2 관통홀(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440)은 급수부재(4)와 나사형태로 체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관통홀(440)과 급수부재(4)의 연결관(40)이 나사형태로 체결됨으로써, 분리를 방지하여 물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관통홀(420) 및 제2 관통홀(44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관통홀(420)의 직경은 제2 관통홀(4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제1 관통홀(420)의 직경은 체결부(200)의 직경보다 작고, 제2 관통홀(440)의 직경은 연결부(3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악동에 위치하는 체결부(200)의 제1 관통홀(420)의 직경보다 물이 주입되는 연결부(300)에 위치하는 제2 관통홀(440)의 직경이 큰 구조의 관통홀(400)은 직경차이에 의해 물이 상악동에 빠르게 이동하여 원하는 부분만 신속하게 거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20)는 몸체부(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어댑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어댑터(400)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도 3 및 도 4에서는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댑터(400)는 회전가능하게 몸체부(100)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몸체부(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홀(420)과,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주홈(440)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홀(420)은 결합부(142)의 외측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420)은 호환부품 결합부(140)의 결합부(142)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주홈(440)은 만곡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의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5(a)는 상악동에 물을 주입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상악동에 물이 주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시술하는 방법은, 상악동(1) 내의 골막(미도시)에 닿지 않을 정도의 상악동(1)의 골막 아래 상악골(2)까지 임플란트의 직경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임플란트홀(3)에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를 삽입한 후(도 5(a)참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에 급수부재(4)를 연결하여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상악동(11) 저부에 골막을 들어 올릴 수 있다(도 5(b)참조). 즉, 주사기(42)의 밀대(44)를 가압하여 주사기(42) 내에 충전된 물이 연결관(40), 연결부(300), 몸체부(100) 및 체결부(200)의 경로를 관통하여 상악동(11) 저부에 골막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더욱이,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400)의 직경차이에 의해 물이 상악동에 빠르게 이동하여 원하는 부분만 신속하게 거상시킬 수 있다. 즉, 상악동에 위치하는 체결부(200)의 제1 관통홀(420)의 직경보다 물이 주입되는 연결부(300)에 위치하는 제2 관통홀(44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주사기(42)의 밀대(44)를 가압하여 주사기(42) 내에 충전된 물이 연결관(40), 연결부(300), 몸체부(100) 및 체결부(200)의 경로를 관통하여 내막의 손상없이 손쉽고 간편하게 상악동(11) 저부에 골막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100 : 몸체부 200 : 체결부
300 : 연결부 400 : 관통홀

Claims (6)

  1.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부에 어댑터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천공된 상악골의 임플란트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어 급수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부재와 나사형태로 체결되어 분리를 방지하는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홈은,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외주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의 픽스쳐 직경이 4.0 또는 4.5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4.0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3.1mm이고,
    상기 픽스쳐 직경이 5.0 또는 5.5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4.9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3.9mm이고,
    상기 픽스쳐 직경이 6.0 또는 7.0인 경우 상기 외주면의 상부면의 직경은 5.6mm이고, 상기 외주면의 하부면의 직경은 4.8mm인,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결합홈의 직경보다 큰,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20200178581A 2020-12-18 2020-12-18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252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81A KR102528895B1 (ko) 2020-12-18 2020-12-18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US17/161,760 US20220192799A1 (en) 2020-12-18 2021-01-29 Implant surgical instrument for sinus lift technique using hydraulic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81A KR102528895B1 (ko) 2020-12-18 2020-12-18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87A true KR20220087987A (ko) 2022-06-27
KR102528895B1 KR102528895B1 (ko) 2023-05-04

Family

ID=8202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81A KR102528895B1 (ko) 2020-12-18 2020-12-18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92799A1 (ko)
KR (1) KR1025288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0397B2 (en) * 2004-10-15 2009-03-31 Hochman Mark 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KR101019121B1 (ko) 2008-08-28 2011-03-09 우재현 상악동 내 수압에 의한 골막거상기
KR101232920B1 (ko) * 2011-10-19 2013-02-13 김성윤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US20160074140A1 (en) * 2014-09-16 2016-03-17 Froncare Dental sinus lift device for implant rehabilitation
US20190008615A1 (en) * 2015-12-29 2019-01-10 Ben Zion Karmon Devices and Methods for Elevating the Schneiderian Membra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1199B2 (en) * 2004-10-15 2010-08-10 Ace Surgical Supply Co, Inc. Bone cutting osteotome tool and method for preparing a surgical sinus-lift osteotomy
US7934929B2 (en) * 2008-09-29 2011-05-03 Maxillent Ltd. Sinus lift implant
US8029284B2 (en) * 2008-09-29 2011-10-04 Maxillent Ltd.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lateral ridge augmentation
CA2749266C (en) * 2009-01-13 2017-05-09 Innovative Implant Technology, Llc Maxillary bone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882507B2 (en) * 2012-07-21 2014-11-11 Paul Hertz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with improved maxillary stabi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0397B2 (en) * 2004-10-15 2009-03-31 Hochman Mark 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KR101019121B1 (ko) 2008-08-28 2011-03-09 우재현 상악동 내 수압에 의한 골막거상기
KR101232920B1 (ko) * 2011-10-19 2013-02-13 김성윤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US20160074140A1 (en) * 2014-09-16 2016-03-17 Froncare Dental sinus lift device for implant rehabilitation
US20190008615A1 (en) * 2015-12-29 2019-01-10 Ben Zion Karmon Devices and Methods for Elevating the Schneiderian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895B1 (ko) 2023-05-04
US20220192799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43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CN102869313B (zh)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US20060084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US8083747B2 (en) Maxillary sinus bone graft method using the sinus lift drill (SLD) and hydraulic effect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US8882507B2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with improved maxillary stability
GB2523828A (en) Dental implant
US11464605B2 (en) Dental implant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KR101330741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US20110008746A1 (en)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US20160074140A1 (en) Dental sinus lift device for implant rehabilitation
KR20220087987A (ko) 수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KR20160001352A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CN108403235B (zh) 一种口腔种植体及口腔种植体组件
KR20100107622A (ko)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TWI594733B (zh) 用於擴大病患的牙槽脊之植入擴大物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JP4067852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KR20110033214A (ko) 임플란트의 나사형 구멍에 연결되는 나사형 요소
US20190021823A1 (en) Drill-less dental implant and uses thereof
US20230141066A1 (en) Dental implant to be placed in the posterior upper jaw
KR20100030821A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KR20090005722A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장치
KR20090101769A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