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96A -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 Google Patents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96A
KR20220087896A KR1020200178367A KR20200178367A KR20220087896A KR 20220087896 A KR20220087896 A KR 20220087896A KR 1020200178367 A KR1020200178367 A KR 1020200178367A KR 20200178367 A KR20200178367 A KR 20200178367A KR 20220087896 A KR20220087896 A KR 2022008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dust
block
dust collec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6932B1 (en
Inventor
김정호
김의찬
이준용
고영준
임현민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93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복수 회에 걸쳐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or for adsorb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from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It includes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tube and a liq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and a vegetation part which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so that vegetation grows, and the vegetation part can allow air to pass through. It is provid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passe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s purified multiple time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lease clean air. It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dust collection.

Description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본 발명은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복수 회에 걸쳐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or for adsorb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from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It includes a dust collecting part having a dust collecting tube and a liq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and a vegetation part which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so that vegetation grows, and the vegetation part can allow air to pass through. It is provid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passe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s purified multiple time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lease clean air. It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dust collection.

공업호라동에 의한 배기가스, 자동차의 운행에 의한 오염물질, 미세먼지 등은 사람이 호흡을 통해 들이마시게 되는 경우 건강상 문제를 야기하고 불쾌감을 조성하는 유해물질이다.Exhaust gas from industrial hora-dong, pollutants from automobile operation, and fine dust are harmful substances that cause health problems and create discomfort when inhaled through breathing.

공장의 경우 배기가스 등 유해물질이 굴뚝을 통해 배출되고, 지하에 조성되는 집합시설, 지하도 등의 경우 지하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모아서 팬으로 대기중에 방출시킨다. 특히 서울시 등에서 추진하는 도로 지하화 사업의 경우 지하로부터 지면까지 유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조성하고 이를 배출하게 되므로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In the case of factories, harmful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es are discharged through chimneys, and in the case of underground assembly facilities and underpasses, pollutants generated underground are collected and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with a fa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ad undergrounding projects promoted by Seoul, etc., a passage is created for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from the underground to the ground, and this will adversely aff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공기 중 유기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은 집진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집진효율이 좋지 못하고 미관상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공기중 이물질 제거가 미흡하고 집진에 사용되는 물 등을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넘어, 이러한 집진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주변 공간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reduce foreign substances such as organic matter, sulfur oxides, and fine dust in the air, the dust collector as shown in FIG. 1 is used, bu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not good and it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appearance. Beyond the problem that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insufficient and the water used for dust collection cannot be reused, if such a dust collector is provided, it is recognized as a disgusting facility and thus the surrounding space cannot be utilized.

이에 따라, 더욱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집진에 사용되는 자원을 재순환시킬 수 있고, 나아가 미관이 좋아 주변 공간의 활용도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fine dust reduction system capable of discharging cleaner air and recirculating resources used for dust collection, and furthermore, good aesthetics and utilization of surrounding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복수 회에 걸쳐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or for adsorb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from the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It includes a vegetation part provided so that vegetation grows and a liquid supply part supplying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wherein the vegetation part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passe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at allows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to be purified multiple time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lease clean ai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기에 흡착된 이물질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공급부는 상기 집진튜브 하측에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에 공급하는 분사블록을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집진에 사용된 액체를 재사용가능한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jet nozzle for spraying a liquid onto th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liquid supply unit collects a storage tank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tank. It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at reuses the liquid used for dust collection, including the spray block supplied to the veget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분사블록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공급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된 식생은 공급된 액체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여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정화하여 식물의 양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pray block supplies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the vegetation planted on the vegetation part decomposes foreign substances in the supplied liquid to purify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at can be used as nutrients for plant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분사블록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중앙 측으로 액체가 분사되어 주변의 식생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in which the spray block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art protrudes upward, and the liquid is sprayed toward the center and uniformly supplied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공급부는 저장탱크로부터 분사블록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분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분사블록의 하측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분해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quid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spray tube extending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and the spray tube sprays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from leaking out.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at is not decomp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부는 적어도 일부가 집진부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식생프레임,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흙이 식재된 토양블록 및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을 포함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토양과 식물을 통해 다시 정화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vegetation fram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surrounds the dust collecting part, extending up and down, a soil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soil, and a vegetation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plants. It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at can purify the primarily purified air through soil and plant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토양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에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소켓, 상기 식생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이 막힌 제2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에는 토양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제2소켓에는 식생블록이 고정되어 식물의 냉해를 방지하면서 공기정화가 가능한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egetation frame includes a first socket that extend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il block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its surface, and a second socket that extend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getation block and has a blocked surface. In addition, a soil block is fixed to the first socket and a vegetation block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to prevent cold damage to plants and to purify air while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removal system to provide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블록과 식생블록이 바둑판식 배열을 이루면서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어 균일한 공기정화가 가능한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socket and the second socket are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so that the soil block and the vegetation block are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while forming a tiled arrangement so that uniform air purification is possible.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식생프레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소켓과 제2소켓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안정성이 증대된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egetation frame further includes a post extending outwardly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ckets arranged in the vegetation frame to remove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with increased stability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adsorb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from the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It includes a vegetation part that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on tube and is provided so that vegetation grows, and a liquid supply part that supplies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wherein the vegetation part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getatio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기에 흡착된 이물질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공급부는 상기 집진튜브 하측에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에 공급하는 분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pray nozzle for spraying a liquid onto th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liquid supply unit includes a storage tank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stor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ay block for supplying th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tank to the vege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분사블록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공급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된 식생은 공급된 액체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block supplies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the vegetation planted on the vegetation part decomposes foreign substances in the supplied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분사블록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중앙 측으로 액체가 분사되어 주변의 식생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block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and the liquid is sprayed toward the center to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공급부는 저장탱크로부터 분사블록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분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분사블록의 하측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spray tube extending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and the spray tube sprays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do it wi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생부는 적어도 일부가 집진부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식생프레임,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흙이 식재된 토양블록 및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vegetation part is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extending up and down while surrounding the dust collecting part, the soil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soil, and the vegetation frame, and the pl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nted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토양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에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소켓, 상기 식생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이 막힌 제2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에는 토양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제2소켓에는 식생블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frame extend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il block, a first socke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urface, and extend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surface The clogged second socket is included, wherein a soil block is fixed to the first socket and a vegetation block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블록과 식생블록이 바둑판식 배열을 이루면서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cket and the second socket are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so that the soil block and the vegetation block are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while forming a tiled arrangemen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식생프레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소켓과 제2소켓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frame further comprises a post extending outwardly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sockets and second sockets arranged in the vegetation fram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복수 회에 걸쳐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tube having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adsorb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electric discharge from the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surrounding the vegetation It includes a vegetation part provided to grow and a liq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wherein the vegetation part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passe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outdoor greening system that can purify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several times and discharge clean air to the outside and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wet dust collection.

본 발명은,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기에 흡착된 이물질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공급부는 상기 집진튜브 하측에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에 공급하는 분사블록을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집진에 사용된 액체를 재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pray nozzle for spraying a liquid to th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dust collector, and the liquid supply unit is a storage tank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th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vegetation unit. The liquid used for dust collection can be reused, including the spray block supplied to the

본 발명은, 상기 분사블록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공급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된 식생은 공급된 액체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여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한 물을 정화하여 식물의 양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block supplies the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vegetation part decomposes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supplied liquid to purify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oviding an outdoor greening that can be used as a nutrient and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wet dust collection.

본 발명은, 상기 분사블록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중앙 측으로 액체가 분사되어 주변의 식생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block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and the liquid is sprayed toward the center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본 발명은, 액체공급부는 저장탱크로부터 분사블록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분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분사블록의 하측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분해되는 효과를 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spray tube extending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and the spray tube sprays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do not leak to the outside. gives the effect of being

본 발명은, 식생부는 적어도 일부가 집진부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식생프레임,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흙이 식재된 토양블록 및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을 포함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토양과 식물을 통해 다시 정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part includes a vegetation frame extending up and down while at least a portion surrounds the dust collecting part, a soil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soil, and a vegetation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plants. The air purified by this method can be purified again through the soil and plants.

본 발명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토양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에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소켓, 상기 식생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이 막힌 제2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에는 토양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제2소켓에는 식생블록이 고정되어 식물의 냉해를 방지하면서 공기정화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frame includes a first socket extending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il block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urface, and a second socket extending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getation block and having a blocked surface, A soil block is fixed to the first socket and a vegetation block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so that it is possible to purify air while preventing cold damage to plants.

본 발명은,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블록과 식생블록이 바둑판식 배열을 이루면서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어 균일한 공기정화가 가능한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cket and the second socket are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so that the soil block and the vegetation block are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while forming a tiled arrangement, resulting in an effect of uniform air pur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식생프레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소켓과 제2소켓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안정성이 증대된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frame further includes a post extending outwardly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ckets arranged on the vegetation frame to provide an outdoor greening with increased stability and a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wet dust collection. gives the effect

도 1은 종래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의 분해사시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0)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프레임(51)을 확대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ust collecto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dust removal system 1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egetation frame 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 기재된 "연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가 동력이나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뜻하고 연결되는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be further included, Terms such as "~ unit" and "~ module" described herei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erms such as “connec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at each component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or force, and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f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components to be connect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은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복수 회에 걸쳐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깨끗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제거에 사용되는 물 등의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1)은 집진부(10), 액체공급부(30) 및 식생부(50)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dust removal system 1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icroscopic view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removal system (1). 2 and 3, in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 using the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s purified multiple time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lease clean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resources such as water used to remove fine dust can be reuse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 using the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10 , a liquid supply unit 30 , and a vegetation unit 50 .

상기 집진부(10)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흡착하는 부분으로, 집진부(1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는 미세먼지 외에도 황산화물, 유기물 등의 이물질이 섞여있다. 집진부(10)는 방전에 의해 공기 중 입자를 극성을 띄도록 하여 집진기(15) 내에서 흡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집진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는 집진튜브(11), 유입구(13), 집진기(15) 및 분사노즐(17)을 포함한다.The dust collecting part 10 is a part that adsorbs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in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ulfur oxides and organic substances are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part 10 in addition to the fine dust. The dust collecting unit 10 may adsorb the particles in the air to have a polarity in the dust collector 15 by discharge, and preferably may collect the dust through corona discharge. The dust collecting unit 10 includes a dust collecting tube 11 , an inlet 13 , a dust collector 15 , and a spray nozzle 17 .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집진튜브(11)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중공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집진튜브(11)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집진튜브(11) 내에서 상승유동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집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tube 11 may have a hollow and vertically extend so that air flows therein. The dust collecting tube 11 is preferably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upwar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상기 유입구(13)는 집진튜브(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집진튜브(11) 내로 유입시킨다. 유입구(13)는 집진튜브(11)의 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복수개 구비되어 여러 시설 또는 지역으로부터 포집된 오염된 공기를 집진튜브(11)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3) 도 4의 (a)와 같이 관 형상으로 집진튜브(11)의 측면과 연결되어 오염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나, 도 4의 (b)와 같이 매니폴드와 같이 형성되어 여러 루트로 오염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The inlet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to introduce contaminated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The inlet 13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and a plurality of inlets can be provided to guide contaminated air collected from various facilities or areas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The inlet 13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in a tubular shape as shown in FIG. may supply contaminated air.

상기 집진기(15)는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구비된다. 집진기(15)는 집진튜브(11) 내에 구비되는데, 집진튜브(11)의 중심 측에 구비되는 방전극(151)과 집진튜브(11)의 내벽 측에 구비되는 흡착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극(151)과 흡착판(153)은 서로 반대 전극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기(15)는 고전압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공기중의 불순물이 음으로 대전된 방전극(151)을 통과할 때 음이온을 띄도록 한다. 음이온을 띈 입자 주변에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응집하게 되고, 이물질이 응집된 음이온을 양으로 대전된 흡착판(153)에 흡착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15 is provided to adsorb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The dust collector 15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and may include a discharge electrode 151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and a suction plate 153 provid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 The discharge electrode 151 and the suction plate 153 are preferably provided to have opposite electrodes. The dust collector 15 generates negative ions when impurities in the air pass through the negatively charged discharge electrode 151 through a high-voltage corona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re aggregated around the negative ion particles,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be removed by adsorbing the negative ions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aggregated to the positively charged suction plate 153 .

상기 분사노즐(17)은 집진튜브(11) 내측으로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을 분사하며, 집진기(15)의 상측에 구비되어 흡착판(153)에 흡착된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씻어내릴 수 있다. 분사노즐(17)은 후술하는 저장탱크(31)로부터 액체상의 물을 공급받되, 분사노즐(17)에서 물 분사 전 필터를 거쳐 비교적 깨끗한 물을 흡착판(153)으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17)은 외부와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흡착판(153)으로 분사할 수도 있다.The spray nozzle 17 sprays a liquid, preferably water,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or 15 to wash away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dsorbed on the suction plate 153 . The jet nozzle 17 may receive liquid water from a storage tank 31 to be described later, and relatively clean water may be jetted to the suction plate 153 through a filter before water jetting from the jet nozzle 17 . The spray nozzle 17 may receive water through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spray it to the suction plate 153 .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액체공급부(30)는 집진기(15)를 씻어낸 액체를 저장하고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후술하는 식생부(5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17)을 통해 분사된 물은 집진기(15)의 흡착판(153)에 흡착된 미세먼지 등 이물질과 함께 집진튜브(11)의 아래로 흘러내리는데, 액체공급부(30)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저장한 후 식생부에 공급하여 식생에 수분을 공급하면서, 이물질이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공급부(30)는 저장탱크(31), 분사관(33) 및 분사블록(35)을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liquid supply unit 30 may be provided to store the liquid washed away with the dust collector 15 and supply the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17 flows down the dust collecting tube 11 together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dsorbed on the suction plate 153 of the dust collector 15, and the liquid supply unit 30 contains foreign substances. After storing water, it is possible to supply moisture to the vegetation by supplying it to the vegetation, while allowing foreign substances to be decomposed. The liquid supply unit 30 includes a storage tank 31 , an injection pipe 33 , and an injection block 35 .

상기 저장탱크(31)는 상기 집진튜브(11)의 하측에서 집진튜브(11)와 유체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탱크(31)는 분사노즐(17)에서 분사되어 집진튜브(11)를 따라 이물질과 함께 흘러내린 물을 저장한다. 저장탱크(31)는 저장된 물을 분사관(33) 또는 분사노즐(17)로 압송할 수 있도록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31 may be provid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tube 11 from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The storage tank 31 stores water that i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7 and flows down along with the foreign substances along the dust collection tube 11 . The storage tank 31 may additionally include a pump driven by power to pump the stored water to the injection pipe 33 or the injection nozzle 17 .

상기 분사관(33)은 저장탱크(31)로부터 물을 이송하여 후술하는 식생부(50)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저장탱크(31)는 집진부(10)의 하측에 구비되고, 식생부(50)는 집진부(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데 분사블록(35)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관(33)은 분사블록(35)을 기준으로 분사블록(35)의 중앙 측에서 분사블록(35)의 하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33)은 분사블록(35)을 통과하면서 연장되며, 분사블록(35)의 상측면에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injection pipe 33 is provided so as to supply liquid to the vegetation part 50 to be described later by transferring water from the storage tank 31 . The storage tank 31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 , and the vegetation unit 5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dust collecting unit 10 , but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35 . The spray pipe 33 may be provided to spray water from the central side of the spray block 35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pray block 35 with respect to the spray block 35 . The spray pipe 33 extends while passing through the spray block 35 , and may be provided to spray w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spray block 35 .

상기 분사블록(35)은 저장탱크(31)로부터 이송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50)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블록(35)은 식생부(50)의 상측에서 식생부(50)에 인접하거나 식생부(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채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사블록(35)은 식생부(50)의 상측에서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상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물질에는 식생부(50)에 식재된 식생이 분해할 수 있는 유기물이 포함되어있으므로, 저장탱크(31)에 저장된 물이 재사용되거나 정화되어 나갈 수 있다. 상기 분사블록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분사블록(35)은 대략 돔 형상을 가지면서 중앙 측에서 분사되는 물을 흘려내리도록 구비되어 식생부(50)에 물과 이물질을 공급한다. 분사블록(35)은 하측면이 함입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분사블록(35)은 내부에 분사관(33)이 관통하여 상측면을 통해 물을 흘려보낼 수 있다.The spray block 35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tank 31 to the vegetation unit 50 . The spray block 35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vegetation part 50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50 or spaced apart from the vegetation part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ray block 35 may supply liquid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50 . Since the foreign material contains organic matter that can be decomposed by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vegetation unit 50 ,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31 may be reused or purified. The injection block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2 and 3, the spray block 35 is provided to flow down the water sprayed from the center while having a substantially dome shape to supply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part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ay block 35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does not flow out while the lower surface is depressed to form a curved surfa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block 35 may flow water through the upper side through the injection pipe 33 therein.

상기 식생부(50)는 상기 집진튜브(11)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50)는 실외녹화를 하면서 집진튜브(11)를 빠져나온 공기를 추가적으로 정화하고, 집진부(10)에서 사용된 물 내의 이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식생부(50)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집진튜브(11)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5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식생부(50)는 식생프레임(51), 토양블록(53) 및 식생블록(55)을 포함한다.The vegetation part 50 may be provided so that vegetation grows whil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11 . The vegetation unit 50 may additionally purify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ng tube 11 while performing outdoor greening, and decompos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us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0 . Since the vegetation part 50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11 may pas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5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vegetation unit 50 includes a vegetation frame 51 , a soil block 53 and a vegetation block 55 .

상기 식생프레임(51)은 적어도 일부가 집진부(10)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식생프레임(51)은 후술하는 토양블록(53) 및 식생블록(55)을 거치하여 집진부(10) 주위로 식생이 조성되도록 하며, 집진튜브(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집진튜브(11)를 감싸는 원통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식생프레임(51)은 제1소켓(511), 제2소켓(513) 및 포스트(515)를 포함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vegetation frame 51 is provided so as to extend vertically while surround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0 . The vegetation frame 51 supports the soil block 53 and vegetation block 55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vegetation is formed around the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dust collecting tube ( It is preferabl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11). The vegetation frame 51 includes a first socket 511 , a second socket 513 and a post 51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프레임(51)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소켓(511)은 외측에서 토양블록(53)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소켓(511)은 소정넓이로 연장된 판의 형성을 가지면서, 복수의 통공(511a)이 형성되어 통공(511a)을 통해 공기가 연통할 수 있다. 제1소켓(511)은 토양블록(53)의 넓이와 상응하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egetation frame 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socket 511 is provided to mount and fix the soil block 53 from the outside. The first socket 511 has a plat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1a are formed so that air can communic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511a. The first socket 511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oil block 53 .

상기 제2소켓(513)은 외측에서 식생블록(55)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2소켓(513)은 소정넓이로 연장된 판의 형성을 가지면서, 복수의 통공(511a)이 형성된 제1소켓(511)과는 달리 표면이 막히도록 구비되어 공기가 연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소켓(513)은 식생블록(55)의 넓이와 상응하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socket 513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by mounting the vegetation block 55 from the outside. The second socket 513 has a plat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unlike the first socket 511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1a are formed, the surface is blocked so that air does not communicate. . The second socket 513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getation block 55 .

상기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은 사각형의 바람직하게는 평면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소켓(513)과 제1소켓(511)은 같은 넓이를 가지면서 교대로 배치되어 식생부(50) 내측의 공기가 균일하게 제1소켓(511)의 통공(511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은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은 일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을 연속해서 이을 때 도 3과 같이 원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may extend while having a rectangular, preferably flat shape. The second socket 513 and the first socket 511 have the same width and are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getation part 50 is uniform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511a of the first socket 511. It can be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on one side, and when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are continuously connected, a cylindrical shape is obtained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to have.

상기 포스트(515)는 식생프레임(51)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도록 구비된다. 제1소켓(511)과 제2소켓(513)이 사각형의 바람직하게는 평면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포스트(515)는 십(十)자 형상을 띄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스트(515)는 제1소켓(511)에 고정되는 토양블록(53) 및 제2소켓(513)에 고정되는 식생블록(55)을 가이드하고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ost 515 is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sockets 511 and second sockets 513 arranged in the vegetation frame 51 . Since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extend while having a rectangular, preferably flat shape, the post 515 has a ten-shaped shape and may extend outwardly. The post 515 may guide the soil block 53 fixed to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vegetation block 55 fixed to the second socket 513 and increase fixing force.

상기 토양블록(53)은 흙이 식재되어 상기 식생프레임(51)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토양블록(53)은 복수의 구멍(53a)을 가진 채로 내부에 흙을 수용하면서 제1소켓(511)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토양블록(53)의 구멍(53a)과 제1소켓(511)의 통공(511a)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51)의 내측에 구비되는 집진튜브(11)의 일단으로부터 배출된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토양블록(53)을 통해 나가면서 토양에 의해 다시 정화될 수 있다.The soil block 53 is provided so that soil is planted and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51 . The soil block 53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first socket 511 while accommodating the soil therein with a plurality of holes 53a. Air may flow through the hole 53a of the soil block 53 and the through hole 511a of the first socket 511 . Accordingly, the primarily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one end of the dust collection tube 11 provided inside the vegetation frame 51 may be purified again by the soil while going out through the soil block 53 .

상기 식생블록(55)은 식물이 식재되어 식생프레임(5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생블록(55)에 식재된 식생 또는 식물은 식생프레임(51)의 외측으로 자라나면서, 식물 자체에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고, 분사블록(35)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 속의 이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식생블록(55)이 고정된 제2소켓(513)은 막혀있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식생블록(55)을 통해 유출입하지 않으므로 식물의 냉해가 방지된다. 상기 토양블록(53)과 식생블록(55)은 각각 바둑판식 배열된 제1소켓(511) 및 제2소켓(513)에 고정되어 바둑판식 배열을 이루면서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vegetation block 55 may be provided so that plants are planted and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51 . As the vegetation or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block 55 grow outside the vegetation frame 51, it is possible to filter fine dust in the air from the plant itself, and receive water from the spray block 35 to recei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an be decomposed. The second socket 513 to which the vegetation block 55 is fixed is formed to be blocked so that air does not flow in and out through the vegetation block 55, so that cold damage of plants is prevented. Preferably, the soil block 53 and the vegetation block 55 are fixed to the first socket 511 and the second socket 513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respectively, to form a tiled arrangement and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1: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10: 집진부 11: 집진튜브
13: 유입부 15: 집진기
17: 분사노즐
30: 액체공급부 31: 저장탱크
33: 분사관 35: 분사블록
50: 식생부 51: 식생프레임
511: 제1소켓 513: 제2소켓
515: 포스트 53: 토양블록
55: 식생블록
1: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10: dust collecting part 11: dust collecting tube
13: inlet 15: dust collector
17: spray nozzle
30: liquid supply 31: storage tank
33: injection pipe 35: injection block
50: vegetation part 51: vegetation frame
511: first socket 513: second socket
515: post 53: soil block
55: vegetation block

Claims (9)

공기가 유동하는 집진튜브와 상기 집진튜브 내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이물질을 흡착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집진부, 상기 집진튜브와 이격된 채로 집진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식생이 자라도록 구비된 식생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튜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식생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A dust collector having a dust collecting tub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dust collector that absorb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discharge from the air flowing in the dust collecting tube, wrapped around at leas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tub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so that vegetation grows It includes a liq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vegetation unit and the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vegetation unit,
The vegetation part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tube passes through the vegetation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기에 흡착된 이물질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공급부는 상기 집진튜브 하측에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된 액체를 상기 식생부에 공급하는 분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or further comprises a spray nozzle for spraying a liquid to the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the dust collector,
The liquid supply unit includes a storage tank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ion tube and a spray block for supplying th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veget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블록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액체를 공급하며, 상기 식생부에 식재된 식생은 공급된 액체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The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of claim 2, wherein the spray block supplies a liquid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an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vegetation part decomposes foreign substances in the supplied liquid. Fine dust removal system u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블록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중앙 측으로 액체가 분사되어 주변의 식생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ray block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and the liquid is sprayed toward the center and uniformly supplied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액체공급부는 저장탱크로부터 분사블록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분사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분사블록의 하측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Claim 5] The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of claim 4, wherein the liquid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spray tube extending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and the spray tube sprays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spray block.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생부는 적어도 일부가 집진부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는 식생프레임,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흙이 식재된 토양블록 및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며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Claim 6] The 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vegetation part is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extending up and down while at least a part surrounds the dust collecting part, the soil block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and planted with soil, and the vegetation frame. Fine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planted vegetation bl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토양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에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소켓, 상기 식생블록과 상응하는 넓이로 연장되며 표면이 막힌 제2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에는 토양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제2소켓에는 식생블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egetation frame includes a first socket extending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oil block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urface, and a second socket extending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vegetation block and having a blocked surface. and
A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oil block is fixed to the first socket and a vegetation block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과 제2소켓은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블록과 식생블록이 바둑판식 배열을 이루면서 상기 식생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ocket and the second socket are arranged in a tiled arrangement so that the soil block and the vegetation block are fixed to the vegetation frame while forming a tiled arrangement. Fine dust remova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프레임은 상기 식생프레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소켓과 제2소켓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Claim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getation frame further comprises a post extending outwardly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ckets arranged on the vegetation frame. system.
KR1020200178367A 2020-12-18 2020-12-18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KR102446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67A KR102446932B1 (en) 2020-12-18 2020-12-18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67A KR102446932B1 (en) 2020-12-18 2020-12-18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96A true KR20220087896A (en) 2022-06-27
KR102446932B1 KR102446932B1 (en) 2022-09-23

Family

ID=8224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367A KR102446932B1 (en) 2020-12-18 2020-12-18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9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494A (en) * 2013-06-13 2014-12-23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Air cleaner using plants
KR102118795B1 (en) * 2018-08-27 2020-06-04 (주)엔노피아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165557B1 (en) * 2020-05-20 2020-10-14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494A (en) * 2013-06-13 2014-12-23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Air cleaner using plants
KR102118795B1 (en) * 2018-08-27 2020-06-04 (주)엔노피아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165557B1 (en) * 2020-05-20 2020-10-14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932B1 (en)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23666U (en) Dry spray booth
CN210786823U (en) Based on desulphurization unit for flue gas purification of thermal power plant
KR102292339B1 (en) air purifier with eco-friendly triple filter with moss filter
KR101482964B1 (en) Cleansing or reco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ighly concentrated water-soluble odor and toxic substances Included in the exhaust gas
CN202621302U (en) High-voltage static air purifying device
KR102446932B1 (en) Dust Removal System Using Outdoor Greening and Wet Dust Collection
CN213610527U (en) Subside absorption formula house construction dust collector
KR20200110840A (en) Building wall mounted type Air purifier
CN213509971U (en) Dustproof guardrail is used in gardens construction
CN212039790U (en) Movable combined deodorization system
CN210385482U (en) Water sprays clarification plant with light oxygen purification performance
CN215654545U (en) Peculiar smell clarification plant is used in printing ink production
CN214513584U (en) Environment-friendly exhaust treatment device
CN213375944U (en) Effluent water sump exhaust treatment device
CN209968101U (en) Boiler tail gas purification system
CN210543877U (en) Comprehensive treatment device for dust-containing waste gas
CN209991510U (en) Oil smoke purifier with polytetrafluoroethylene material dust collecting electrode bag
CN211575351U (en) Remove heat exchange type new trend clarifier of formaldehyde
CN109751647B (en) Automatic wash electrostatic precipitator unit's lampblack absorber
CN207462876U (en) Water curtain machine and sewage disposal device
CN111544997A (en) Environment-friendly dust collector for atmosphere control
KR20080004180U (en) Nozzle for cleaning bag filter of dust collector
CN109351112A (en) A kind of purification device of industrial discharge gas
KR20200061561A (en) A chimney dust reduction device
CN215403567U (en) Sewage treatment device for air purification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