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77A -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77A
KR20220087777A KR1020200178150A KR20200178150A KR20220087777A KR 20220087777 A KR20220087777 A KR 20220087777A KR 1020200178150 A KR1020200178150 A KR 1020200178150A KR 20200178150 A KR20200178150 A KR 20200178150A KR 20220087777 A KR20220087777 A KR 2022008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valuation
revenue
terminal device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현
Original Assignee
오엠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엠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엠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777A/ko
Publication of KR2022008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하나 또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자 단말장치에서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CONTENTS SEQUENTIALLY}
본 발명은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자(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콘텐츠를 단계별로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시청자(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전통적인 TV, 신문, 잡지와 같은 오프라인 콘텐츠는 대부분 인터넷 중심의 온라인 콘텐츠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콘텐츠는 제작자(크리에이터)와 시청자 모두에게 용이한 접근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는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크리에이터(Creator)라는 새로운 형태의 1인 미디어 커머스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시청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크리에이터가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시청자가 자발적으로 후원을 하는 방식에 한정되었다.
이러한 수익 창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의 조회수, 시청시간 등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는 광고 수익을 크리에이터에게 배분하는 방식이 주목 받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유튜브는 이와 같은 광고 수익을 통해 콘텐츠 플랫폼을 활성화와 크리에이터(Creator)의 수익 보장에 기여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단지 수익성만을 위해 자극적이고 목적자체가 의심스러운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들이 아무런 제재 없이 공유되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제작자인 크리에이터(Creator)에게 일정한 수익성을 보장하면서도, 콘텐츠의 주제와 목적성을, 사전에 일정한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하여, 검증된 콘텐츠만을 효율적으로 분류하여 시청자(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0836호(공개일자: 2020. 09. 28)
따라서,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 단계별(평가, 분류, 수익배분, 제작관리)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결과 승인된 콘텐츠의 장르와 평가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콘텐츠를 클러스터링 방식으로 분류하여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기구독 방식의 시청자가 콘텐츠를 시청한 결과에 따라(예를 들면, 분당 시청료) 수익을 산출하여 정산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에게도 일정한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검출하여, 해당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하나 또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자 단말장치에서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단계;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하나 또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분류단계; 및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자 단말장치에서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지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라, 단계별(평가, 분류, 수익배분, 제작관리)로 관리가 가능하여, 고품질의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결과 승인된 콘텐츠의 장르와 평가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콘텐츠를 클러스터링 방식으로 분류하여, 시청자 취향에 맞도록 자동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구독 방식의 시청자가 콘텐츠를 시청한 결과에 따라(예를 들면, 분당 시청료) 수익을 산출하여 정산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에게도 일정한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검출하여, 해당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되는 비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각 구성들 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는 과정을 콘텐츠 관리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첨부된 구성도(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인접하거나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열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있어서,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란, 콘텐츠의 장르와 해당 콘텐츠의 단계별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를 유사도에 따라 분류하여 그룹화 하는 과정을 지칭할 수 있다. 즉, 클러스터링은 유사한 장르에 따라 유사한 특성(키워드)을 가지는 콘텐츠들을 함께 묶어,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클러스터(그룹)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링 과정을 통해 그룹화된 콘텐츠들은 시청자가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어느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그룹(ex 액션, 코미디 등) 각각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그룹은 유사하지 않은 장르를 나타내며 액션 그룹-로맨스 그룹, 코미디 그룹-드라마 그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시청자들 각각이 선호하는 장르가 있지만, 상이한 장르에 대해서도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콘텐츠 관리시스템(200), 제작자 단말장치(300), 시청자 단말장치(400) 및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이동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기반의 월드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상기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400)에 의해,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여,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배분하는 수익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검출하여,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제작자 단말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요청되는 콘텐츠 제작지원 정보(메시지)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특정 콘텐츠 제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고, 제작자 단말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 제작의 참가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장치(300)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으로 업로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작자 단말장치(300)는 크리에이터(Creator) 또는 제작사의 단말장치일 수 있는데,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인 콘텐츠를 촬영하고 편집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에 업로드 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디지털 기기라면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작자 단말장치(300)에는 상기와 같은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정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전용 웹(미도시됨) 또는 앱(App) 프로그램이 콘텐츠 관리시스템(200)과 연동되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장치(400)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단계별 과정을 거쳐 승인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그 시청 결과(예를 들면, 시청시간, 시청횟수 등)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는, 공지된 모든 이동통신단말장치,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고정형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단말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ID(Mobile Internet Device),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에는 입력장치(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것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통신망(100),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와 통신하는 기본적인 운영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서버(500)는 웹 콘텐츠 검색 엔진(미도시됨)을 포함하여,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승인되어 분류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시청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과 서버(5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과 서버(500)를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은 콘텐츠 평가부(210), 콘텐츠 분류부(220), 수익 관리부(230), 운영 관리부(240), 제작 관리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평가부(210), 콘텐츠 분류부(220), 수익 관리부(230), 운영 관리부(240), 제작 관리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제작자 단말장치(300), 시청자 단말장치(400) 및/또는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부(2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평가(검수) 수단인 "업로드 기준표"의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승인을 받아야만, 해당 콘텐츠를 일반 시청자(유저)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계별 평가 항목은 촬영정보 항목, 오디오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편집정보 항목, 출연자정보 항목, 시나리오 및 목적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지향정보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각 평가항목에 따라 단계별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든 콘텐츠를 상기와 같은 동일한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심사하며, 각 항목의 적합성을 체크하여 그에 따라 자동으로“승인” 또는 "반려"의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승인"된 콘텐츠만이 플랫폼을 통해 제공(스트리밍)될 수 있으며,"반려" 결과값을 받은 콘텐츠는 시청자(유저)에게 제공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든 콘텐츠를 상기와 같은 동일한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심사하며, 각 항목의 적합성을 수치화하여 평가 점수가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로, 상술된 바와 동일하게 “승인” 또는 "반려"의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각 평가 항목이 5점 만점에 최소 2점 이상이며, 그 모든 평가 항목의 평균값이 3점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이를 만족하면 “승인”, 이를 만족하지 못하면 "반려"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단계별 평가한 결과, 일부 항목에서 미흡하거나 평가 점수가 기준치의 하위범위에 속하는 콘텐츠에 대하여서는 "조건부 승인"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후 설명되는 콘텐츠 분류부(220)에서 챌린저 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의 장르에 따라 각 평가 항목별로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촬영 및 오디오 항목에 다른 항목보다 가중치를 제공할 수 있고, 드라마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나리오 및 목적 항목에 다른 항목보다 가중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판타지 장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연출 및 편집 항목에 다른 항목보다 가중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각 장르의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중치가 부과되는 항목 등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류부(220)는, 상기 콘텐츠 평가부(210)에 수행된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분류부(220)는 승인된 콘텐츠의 장르의 유사도에 따라 분류하는 1차 클러스터링 과정을 통해 다수의 중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평가부(210)에서 수행된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2차 클러스터링 과정을 통해 다수의 소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자동 분류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유사도는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위해 콘텐츠 및 콘텐츠 평가 항목에서 추출된 데이터 중 상호 연관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중 기설정 수치 이상의 데이터들이 서로 상호 연관성을 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는 동일 클러스터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도 측정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기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류부(220)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조건부 승인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챌린저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일정기간 동안의 시청결과를 기초로 재평가하여 상기 승인된 콘텐츠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조건부 승인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일정기간 동안 제공하고, 그 결과(시청시간 등)에 따라, 재평가를 진행하여 상위 순위의 콘텐츠 일부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장르의 유사도 및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 하여 정식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류부(2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분류된 콘텐츠의 시청 결과(예를 들면, 상위 100개)에 따라 일정기간(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추천 콘텐츠로 재분류하여 제공하는 브랙터스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 관리부(230)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400)에 의해, 상기 콘텐츠 분류부(220)에서 분류된 콘텐츠의 시청 결과(예를 들면, 시청시간, 시청횟수 등)에 따라 수익(예를 들면, 분당 시청료)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수익을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시청자(유저)들은 정기 구독으로 일정비용을 정기적(매월)으로 결제는 정기결제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정기구독 방식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관리시스템(200)과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각각 정산되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작자(Creator)는 제작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각 콘텐츠 종류마다 시청료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후, 매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을 통해 일정기간(한달) 동안 시청되어 발생한 수익에 대하여 정산을 요청 할 수 있다. 이때 제작자(Creator)는 보다 효율적으로 자신의 정산 가능금액을 확인하기 위해 날짜별, 영상별 수익금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동일 시청기간이라도 각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의 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시청료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코미디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의 수가 100개이고 드라마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의 수가 5개일 때, 동일 시청 결과라도 수익 관리부(230)는 드라마 장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보다 많은 수익을 산출하여 배분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함으로써, 업로드되는 콘텐츠가 특정 장르에만 국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익 관리부(230)는,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검출하여,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된 기준범위는, 상기 콘텐츠 시청기록의 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기준으로, 상기 기준범위를 넘을 경우 비정상적인 콘텐츠 시청기록으로 판단하여 어뷰징 처리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어뷰징 처리단계는,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와 해당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시청자 단말장치의 아이디를 정지 또는 취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한 수익신청 가능기간 내에서 수익 지급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수익 지급 신청자인 제작자 단말장치(300)가 제작한 콘텐츠(프로그램) 별 및/또는 아이디별 시청 관련 정보(날짜, 가입일, 시청 반복 횟수, 프로그램 개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어뷰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먼저 항목별 판단방식에 따라, 매크로 판정(비정상적인 반복재생 클릭시간 확인, 일례 'asdf'아이디가 1.5초씩 반복재생 클릭 확인시), 반복시청 판정(비정상적인 반복 재생 횟수 확인), 일자별 콘텐츠 시청시간 증감율 판정(일자별 콘텐츠 시청시간의 증감율을 통해 비정상적인 증가율을 보인 콘텐츠 확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뷰징으로 판정된 경우, 자동으로 해당 콘텐츠의 제작자 단말장치(300)와 해당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시청자 단말장치(400)의 아이디를 정지한 후, 일정기간 동안(예를 들면, 3일간) 이의 신청 절차를 거쳐, 이의 신청 결과 어뷰징으로 확정될 경우, 수익 취소(몰수)와 아이디 삭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관리부(240)는 제작자 단말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요청되는 콘텐츠 제작지원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평가부의 단계별 평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작지원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의 제작 여부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관리부(250)는, 특정 콘텐츠 제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 제작의 참가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의 히스토리 정보(참가 신청 정보, 기존 제작한 콘텐츠 정보, 경력 정보 등)에 따라 제작참여 여부를 평가하고,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 제작관련 별도의 평가(개별 면담 평가 등)를 진행하여,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60)는, 승인된 콘텐츠 정보, 유사도에 따라 분류된 콘텐츠 정보, 평가 항목 정보, 평가 결과 정보, 시청결과 정보, 수익 정산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다.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60)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60)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하거나 서버(5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26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26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이 제작자 단말장치(300), 시청자 단말장치(400) 및 서버(5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0)는, 콘텐츠 평가부(210), 콘텐츠 분류부(220), 수익 관리부(230), 운영 관리부(240), 제작 관리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8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콘텐츠 관리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콘텐츠 평가부(210), 콘텐츠 분류부(220), 수익 관리부(230), 운영 관리부(240), 제작 관리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계별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며 관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단계별 콘텐츠 관리하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 제작자 단말장치(300), 시청자 단말장치(400) 간에 단계별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 처리과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각 구성들 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는 과정을 콘텐츠 관리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작자 단말장치(300)는 해당 크리에이터(Creator)가 제작한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으로 업로드하기 위하여 업로드 신청을 요청할 수 있다(S1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콘텐츠 업로드 신청을 수령하는 단계를 처리할 수 있다(S100).
이이서, 업로드 신청된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에서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여, 각 항목의 적합성을 체크하여 그에 따른 평가결과를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알려줄 수 있다(S2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콘텐츠 항목 평가단계(S200) 및 평가결과 전송단계(S300)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평가결과 “승인” 결과값이 도출된 콘텐츠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에 정식으로 업로드 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승인된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콘텐츠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콘텐츠 업로드 단계 및 분류단계(S400)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시청자 단말장치(400)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의 플랫폼을 통해 자신에게 맞도록 분류된 콘텐츠 제공(스트리밍)받아 시청할 수 있다(S4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시청자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시청단계(S500)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시청자 단말장치(400)에서 시청된 콘텐츠의 시청결과에 따른 수익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데, 시청자가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구독비용을 해당 콘텐츠의 시청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S5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콘텐츠의 분당 시청료 등을 반영하여 수익산출 단계(S600)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제작자 단말장치(30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콘텐츠 수익에 대하여 매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수익지급을 일정기간 내에 요청(신청)하면,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수익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300)로 수익을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60).
이때, 상기 설정된 기준범위 벗어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뷰징 단계를 수행하여, 비정상적인 콘텐츠 시청기록(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등)을 검출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300) 및 시청자 단말장치(400)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수익지급 신청을 접수하고, 제작자 단말장치(300)가 제작한 콘텐츠 별 및/또는 아이디별로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을 확인하는 수익 지급신청 및 어뷰징 처리단계(S7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어뷰징 처리단계를 통과한 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콘텐츠에 대하여, 산출된 정산 비용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수익금을 제작자 단말장치(300)으로 지급할 수 있다(S70). 이때, 콘텐츠 관리 시스템(200)은 어뷰징 처리로 필터링된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콘텐츠를 제외한, 정상적인 콘텐츠에 대하여 정산된 수익을 지급하는 수익지급 단계(S800)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구독 방식의 시청자가 콘텐츠를 시청한 결과에 따라(예를 들면, 분당 시청료) 수익을 산출하여 정산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에게도 일정한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을 검출하여, 해당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 지급을 취소(몰수)하고, 해당 콘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의 활동을 금지(예를 들면, 아이디 정지/취소)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되는 비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콘텐츠 관리 시스템
210: 콘텐츠 평가부
220: 콘텐츠 분류부
230: 수익 관리부
240: 운영 관리부
250: 제작 관리부
260: 데이터베이스
270: 통신부
280: 제어부
300: 제작자 단말장치
400: 시청자 단말장치
500: 서버

Claims (14)

  1.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부;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하나 또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자 단말장치에서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은
    촬영정보 항목, 오디오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편집정보 항목, 출연자정보 항목, 시나리오 및 목적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지향정보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각 평가항목에 따라 단계별로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평가 항목이 단계별 순차적으로 모두 적합 평가를 받거나, 상기 평가 항목별 점수가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류부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조건부 승인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챌린저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일정기간 동안의 시청결과를 기초로 재평가하여 상기 승인된 콘텐츠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류부는,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시청 결과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추천 콘텐츠로 재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준범위는,
    상기 콘텐츠 시청기록의 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기준으로, 상기 기준범위를 넘을 경우 비정상적인 콘텐츠 시청기록으로 판단하여 어뷰징 처리하며,
    상기 어뷰징 처리는,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의 수익 지급을 취소하고, 해당 콘텐츠의 제작자 단말장치와 해당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시청자 단말장치의 아이디를 정지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요청되는 콘텐츠 제작지원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평가부의 단계별 평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작지원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의 제작 여부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운영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콘텐츠 제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작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 제작의 참가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의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제작참여 여부를 평가하고,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 제작관련 별도의 평가를 진행하여,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수익배분 지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제작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제작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계별 평가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단계;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승인된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장르와 상기 평가 항목에 포함된 키워드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콘텐츠를 하나 또는 다수의 시청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분류단계; 및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자 단말장치에서의 시청 결과에 따라 수익을 산출하고, 수익 지급이 신청된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 시청기록이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인 콘텐츠의 해당 제작자 단말장치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지급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은
    촬영정보 항목, 오디오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편집정보 항목, 출연자정보 항목, 시나리오 및 목적정보 항목, 연출정보 항목, 지향정보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각 평가항목에 따라 단계별로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평가 항목이 단계별 순차적으로 모두 적합 평가를 받거나, 상기 평가 항목별 점수가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조건부 승인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챌린저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일정기간 동안의 시청결과를 기초로 재평가하여 상기 승인된 콘텐츠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단계는,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시청 결과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추천 콘텐츠로 재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지급단계는,
    상기 콘텐츠 시청기록의 재생 클릭 반복시간, 시청 반복 횟수, 누적 시청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넘을 경우 비정상적인 콘텐츠 시청기록으로 판단하는 어뷰징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뷰징 처리단계는, 해당 콘텐츠 제작자 단말장치의 수익 지급을 취소하고, 해당 콘텐츠의 제작자 단말장치와 해당 콘텐츠의 비정상적인 시청기록의 시청자 단말장치의 아이디를 정지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0178150A 2020-12-18 2020-12-18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87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50A KR20220087777A (ko) 2020-12-18 2020-12-18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50A KR20220087777A (ko) 2020-12-18 2020-12-18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77A true KR20220087777A (ko) 2022-06-27

Family

ID=8224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50A KR20220087777A (ko) 2020-12-18 2020-12-18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617B1 (ko) * 2022-08-02 2023-07-06 정희재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617B1 (ko) * 2022-08-02 2023-07-06 정희재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1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access parameters
Kehoe et al.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distribution value chain model of independent feature films in the UK
CN108476334B (zh) 广告投放的跨屏优化
US2016007105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and distributing video content using crowd sourcing and crowd curation
US20120158461A1 (en) Content management and advertisement management
US200901448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for secure file transmission
US20090094039A1 (en) Collaborative production of rich media content
JP2013522762A (ja) スケジュールされたウェブベースイベントの対話型カレンダー
KR20100061851A (ko) 분산형 라이브 멀티미디어 머니타이제이션 메커니즘 및 네트워크
US2016018908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participants in an ecosystem to one another and to others based on their reputation and performance
US20150127405A1 (en) State-of mind, situational awareness engine apparatus and method
Nakamura et al. Valuing'Free'Media in GDP: An Experimental Approach
KR20220140598A (ko) 사용자 공급 기준들에 기초한 추천들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50140689A (ko) 소비자 별명 및 식별자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zczepanik et al. Introduction: Theorizing Digital Peripheries
Khouja et al. Application of complex adaptive systems to pricing of reproducible information goods
US20160328453A1 (en) Veracity scale for journalists
Bhatt The Attention Deficit
US20080313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lection and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KR20220087777A (ko) 단계별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avage The effect of video on demand services on the cinema Industry
WO2015106297A2 (en) Convergent product development finance and distribution system
Hermansson One dollar news: User needs and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news content
Costa Piracy Comeback with the New Decade
KR20220170274A (ko) 엔터테인먼트 일자리 지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