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960A -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960A
KR20220086960A KR1020200177237A KR20200177237A KR20220086960A KR 20220086960 A KR20220086960 A KR 20220086960A KR 1020200177237 A KR1020200177237 A KR 1020200177237A KR 20200177237 A KR20200177237 A KR 20200177237A KR 20220086960 A KR20220086960 A KR 2022008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load
door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693B1 (en
Inventor
김재원
김형철
김길동
오용국
류준형
박철민
조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93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에서, 상기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은 각각의 차량에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구비된 철도차량에 대한 공기청정기를 운영하는 시스템이며, 하중신호 획득부,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 연산부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에 대하여,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각 차량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산된 동작 대수를 바탕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In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and the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air purifier oper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s is a system for operating an air purifier for railway vehicles in which each vehicl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nd a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 including a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a calcul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acquires loa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each vehicle.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acquires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each vehicle.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for each vehicle based on the applied load information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The output unit outputs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operations.

Description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and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철도차량에서, 승객의 과밀도와 외부 공기 유입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공기청정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air purifi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for railway vehicles, simultaneously considering passenger overdensity and external air inflow. It relates to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apable of performing optimal air purifier operation, and an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종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공기청정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6852호에서와 같이, 필터 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필터 방식의 공기청정기의 경우, 공기를 강제 순환하여 필터를 통과시키며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승객의 불편함이 야기되며, 필터의 교환이나 팬(FAN)의 동작으로 인한 전력소모가 높은 단점이 있다.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76852, an air purifier applied to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generally purifies air by a filter method. In the case of such a filter-type air purifier, the air is purged by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through the filter, causing inconvenience to passengers due to air flow, and It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power consumption.

한편, 최근에는, 종래 필터 방식의 공기청정기를 대신하여 소위, 'plasma cluster'현상을 이용한 공기청정기가 제품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탈취 및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팬을 생략할 수 있어 다수 공기청정기의 ON/OFF 구동을 통해 공기청정 성능 강도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recently,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ilter type air purifier, an air purifier using the so-called 'plasma cluster' phenomenon has been commercializ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leaning performance intensity adjustment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ON/OFF driving of multiple air purifiers.

다만, 현재까지 이러한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적용된 철도차량은 개발되고 있지 않고 있어,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를 철도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운영의 최적화를 위한 기술 역시 개발이 미진한 상황이다. However, until now, railway vehicles to which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is applied have not been developed, and the technology for optimizing the operation when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is applied to railway vehicles is still incomple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685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7685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철도차량에서, 승객의 과밀도와 외부 공기 유입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공기청정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an optimal air purifier in consideration of passenger overdensity and external air inflow in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for railway vehicles. It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hat can perfor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은 각각의 차량에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구비된 철도차량에 대한 공기청정기를 운영하는 시스템이며, 하중신호 획득부,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 연산부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에 대하여,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각 차량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산된 동작 대수를 바탕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perating an air purifier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n each vehicle, a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It includes a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a calcul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acquires loa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each vehicle.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acquires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each vehicle.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for each vehicle based on the applied load information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The output unit outputs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operat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공기 스프링의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상기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the passenger riding in the vehicle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of each vehicle.

일 실시예에서,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전위압력 검출부, 각 차량의 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후위압력 검출부, 상기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각 차량별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로 환산하는 환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includes a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on the front bogie of each vehicle, a rear pressur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of each vehicle, the air It may include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of the spring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nto a loa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assenger on board each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출입문들 중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수, 개방된 출입문들의 위치, 및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pen doors among the doors of each vehicle, the positions of the open doors, and the opening times of the opened doo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응하중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alculating unit may calculate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by giving a first weight to the response load information and a second weight to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되는 응하중 정보는 응하중 신호의 환산값이며,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되는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는 출입문의 개방시간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load response information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assigned may be a converted value of a response load signal,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to which the second weight is assigned may be an opening time of the do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들은, 각 차량의 양 측에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며, 각 차량에 설치되는 출입문들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ir purifiers are installed in the same number on both sides of each vehicle,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doors installed in each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들 각각은, 플라즈마 클러스터(plasma cluster) 방식의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air purifiers may be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개방된 출입문들이 위치한 반대측의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utput unit may first output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opened doors are located, based on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릴레이 접점을 동작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utput unit may output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relay contacts of the air purifie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공기청정기들이 팬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팬의 강도단계를 동작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intensity level of the fan as an operation signal when the air purifiers include a fan.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은 각각의 차량에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구비된 철도차량의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으로,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에 대하여,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각 차량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동작 대수를 바탕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operating an air purifier for railroa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for railroad vehicles in which a plurality of air cleaners are provided in each vehicle, and Acquiring load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load, acquiring information on opening/closing of doors for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each vehicle,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and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for each vehicle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and outputting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operat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차량의 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각 차량의 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각 차량별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btaining of the load information includes: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in the front bogie of each vehicle;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in the rear bogie of each vehicle; It may include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into an electric signal,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nto a loa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assenger in each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응하중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s, a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response load information and a second weight is given to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to calculate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필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아닌,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철도차량에 대하여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최적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operating system of the air purifiers even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rather than a conventional filter type air purifier.

특히,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의 경우, 팬을 적용하지 않고, 다수의 공기청정기의 ON/OFF 제어만으로 실내 공기청정 성능에 대한 강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차량의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개수를 도출함으로써, 최적의 공기청정기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the intensity of the indoor air cleaning performance can be adjusted only by ON/OFF control of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without applying a fan. By deriv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purifie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이 경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개수를 결정함에 있어, 해당 차량의 승객의 부하 및 해당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 정보를 활용하므로, 공기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determining the operation number of the air purifiers, since the load of the passenge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re utilized,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air cleaning by indirectly grasping the air condition.

특히, 승객의 부하를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출입문 개폐 정보에는 출입문의 개폐 개수, 개폐되는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므로,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 출입문의 개폐에 따른 환기 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등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공기 청정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the passenger's load is obtained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and th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doors opened and closed, the positions of the doors that are opened and closed, and inform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times of the door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timal air cleaning function by considering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passengers, ventilation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r inflow of outside air.

또한, 승객의 부하 정보와, 출입문의 개폐 정보에 있어,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실제 차량 내부의 공기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효과적으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공기 청정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passenger load information and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t and control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resulting in an optimal air clean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한편, 각 차량에서의 동작이 필요한 공기청정기의 개수가 도출된 경우, 출력 신호가 릴레이 접점을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 접점이 닫힌(closed) 공기청정기만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제 연산된 결과의 올림에 해당되는 수의 공기청정기가 동작할 수 있어, 제어의 용이성 및 최적의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air purifiers required for operation in each vehicle is derived, the output signal causes the relay contact to operate, so that only the air purifier with the relay contact closed operates, thus raising the actual calculated result. The corresponding number of air purifiers can operate, so that controllability and optimum air purification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이 적용된 철도차량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릴레이 접점 출력수 및 팬 동작강도 단계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동작 대수를 예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roa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ailway vehicle to which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is applied.
3A and 3B are graphs illustr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lay contact outputs and the fan operation intensity step as a signal output from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이 적용된 철도차량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릴레이 접점 출력수 및 팬 동작강도 단계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동작 대수를 예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roa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ailway vehicle to which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is applied. 3A and 3B are graphs illustr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lay contact outputs and the fan operation intensity stage as a signal output from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operating method using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of FIG. 1 .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10, 이하, 운영시스템이라 함)은 하중신호 획득부(100),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200), 연산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100)는 전위압력 검출부(110), 후위압력 검출부(120), 신호변환부(130) 및 환산부(14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10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ing system) includes a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100, a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200, a calculation unit ( 300 ) and an output unit 400 . In addition,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100 includes a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110 , a back pressure detection unit 120 , a signal conversion unit 130 , and a conversion unit 14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공기청정기는, 이른바 플라즈마 클러스터(plasma cluster) 방식의 공기청정기인 것으로, 플라즈마 클러스터 이온의 수소이온 및 산소이온이 공기 중의 바이러스 등의 물질의 표면에 결합하여 수산기(OH Radical)가 되며, 이러한 수산기의 강한 산화력으로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작용을 수행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air purifier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is a so-called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and hydrogen ions and oxygen ions of plasma cluster ions are bonded to the surface of substances such as viruses in the air. It becomes a hydroxyl group (OH Radical), and it is driven in such a way that it removes contaminants by sterilizing viruses, etc. with the strong oxidizing power of the hydroxyl group.

이러한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별도의 필터나 팬이 적용하지 않을 수 있어, 공기 청정기의 성능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동작하는 공기 청정기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적용된다. In this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a separate filter or fan may not be appli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strength of the air purifier, instead of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the number of operating air purifiers is increased. method is applied.

이에, 철도차량의 차량 내부 공간의 오염도가 증가하게 되면, 해당 차량내부에서 동작하는 공기청정기들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며, 오염도가 감소하면 동작하는 공기청정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차량 내부의 공기청정기를 운영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of the railway vehicle increases, the number of air purifiers operating inside the vehicle must be increased, and when the pollution level decreases, the number of operating air purifiers is reduced. will operate

이와 같이, 동작되는 개수가 제어하며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에서 하나의 차량(1량, 20)의 내부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control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perform the air cleaning function,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40,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them may be arranged to have regular intervals therein.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차량으로 이루어진 한 편성 중 하나의 차량(20)의 우측(21) 및 좌측(22)에 복수의 출입문들(30)이 각각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출입문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첫 번째 출입문의 전단 및 마지막 출입문의 후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a plurality of doors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ight side 21 and the left side 22 of one vehicle 20 in a group consisting of two vehicles, It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door, and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door and at the rear end of the last door.

그리하여, 예를 들어, 3개의 출입문들(30)이 우측(21) 또는 좌측(22)에 형성되어, 하나의 차량(20)에 총 6개의 출입문들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40)는 우측(21)에 4개, 좌측(22)에 4개로 총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when three doors 30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21 or the left side 22 , so that a total of six doors are formed in one vehicle 20 , the air purifier 40 is A total of 8 may be provided, 4 on the right side 21 and 4 on the left side 22 .

물론, 도 2에 예시된 상기 출입문들의 개수 및 이에 따른 공기청정기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공기청정기가 하나의 출입문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Of course, the number of the doors illustrated in FIG. 2 and the number of air purifiers according thereto may be variously changed, but at least one air purifier needs to be disposed adjacent to one door.

이하에서는, 이러한 동작되는 공기청정기의 개수를 적절히 제어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railway vehicles including a method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number of such operated air purifi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운영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이하, 운영방법이라 함)을 동시에 설명한다.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perat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purifier for railway vehicles using the s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ing method) will be simultane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 .

우선, 상기 운영방법에서는,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100)의 전위압력 검출부(110)에서 각 차량의 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한다(단계 S10).First, in the operating method, the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110 of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100 detects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located on the potential balance of each vehicle (step S10).

철도차량의 경우, 하나의 차량(20)의 전방에는, 하나의 전위 대차가 구비되며, 상기 차량(20)의 후방에도, 하나의 후위 대차가 구비되어, 총 2개의 대차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차들에 위치한 공기스프링들로부터 4개의 압력신호를 검출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railroad car, one front-end bogie is provided in front of one vehicle 20 , and one rear-end bogie is also provid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20 , so that a total of two bogies are installed. In addition, four pressure signals are detected from the air springs located on the bogies.

그리고, 상기 공기 스프링의 경우, 해당 차량(20)의 무게, 즉 해당 차량(20)에 탑승하는 승객들의 무게에 따라 압력이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스프링들에 인가되는 압력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들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nd, in the case of the air spring, the pressure vari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20 , that is, the weight of passengers riding in the vehicle 20 . Accordingly, by detecting the pressure signal applied to the air springs,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passengers in the corresponding vehicle.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위압력 검출부(110)에서, 전위 대차의 공기스프링들로부터 두 개의 압력 신호를 검출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110 detects two pressure signals from the air springs of the potential balance.

또한, 상기 후위압력 검출부(120)에서는, 후위 대차의 공기스프링들로부터 두 개의 압력 신호를 검출한다(단계 S10). In addition, the rear pressure detection unit 120 detects two pressure signals from the air springs of the rear bogie (step S10).

그리하여, 하나의 차량(20)에서, 총 4개의 압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단계 S10), 이렇게 검출된 압력신호는 상기 신호변환부(130)로 제공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개수의 공기 스프링들 외에 하나의 차량에 추가로 공기스프링들이 설치된다면, 상기 압력신호가 검출되는 공기 스프링들의 개수는 증가하게 되며, 모든 공기 스프링들로부터 압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us, in one vehicle 20 , a total of four pressure signals can be detected (step S10 ), and the detected pressure signals are provid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130 . Of course, if air springs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one vehicle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air spring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air springs from which the pressure signal is detected increases, and pressure signals can be obtained from all air springs. .

이 후, 상기 신호변환부(130)에서는, 상기 공기스프링들로부터 검출된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S20). Thereafter, the signal conversion unit 130 converts the pressure signal detected from the air springs into an electric signal (step S20).

즉, 상기 공기스프링들로부터 검출된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지털화하여 후술되는 신호 환산 또는 신호 연산의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That is, by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detected from the air springs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digitization improves the speed and accuracy of signal conversion or signal ope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 후, 상기 환산부(140)는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각 차량별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로 환산한다(단계 S30).Thereafter, th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nto a load signal according to the load of each passenger in each vehicle (step S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스프링들로부터 획득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4개의 신호들에 대하여, 상기 환산부(140)가 평균값을 도출하여, 상기 하나의 차량에서의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our signals obtained from the air springs and converted into electrical signals, the conversion unit 140 derives an average value, and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the single vehicle signal can be generated.

물론, 상기 공기 스프링으로 획득되는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개수가 4개가 아닌 경우에도, 동일하게 상기 환산부(140)는 평균값을 도출하여 하나의 차량에서의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f course, even when the number of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obtained by the air spring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not four, the conversion unit 140 derives an average value and responds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one vehicle. signal can be generated.

이러한 상기 환산부(140)의 응하중 신호의 생성에 있어서는, 해당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차량에서의 부하 정보를 기본 정보로 하여, 상기 승객의 탑승에 따라 증가하는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generation of the load response signal of the conversion unit 140, load information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oarding is calculated using load information in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no passenger is in the vehicle as basic information. Taking this into accou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oad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assenger on board.

이상과 같이,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100)를 통해,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가 획득된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100, information on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each vehicle is acquired.

한편,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100)를 통해 응하중 정보가 획득되는 것과는 별개로,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200)에서는,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30)에 대하여, 소위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40).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obtaining the load information through the load signal obtaining unit 100 ,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obtaining unit 200 for a plurality of doors 30 provided in each vehicle, the so-called door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is obtained (step S40).

이 경우,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는, 각 차량에 구비된 출입문들(30) 중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개방된 출입문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개방된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doors open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mong the doors 30 provided in each vehicle, information on the positions of the open doors, and the open doors. Information on each opening time may be included.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플랫폼의 일 측으로 진입하므로, 플랫폼의 위치에 따라 개방되는 출입문들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출입문들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general, since the railroad vehicle enters one side of the platform, the positions of the open door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se doors.

또한, 일반적으로는 플랫폼 측으로 위치하는 출입문들은 모두 개방되지만, 고장이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부 출입문들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방되는 출입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도 센싱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general, all the doors located toward the platform are opened, but in the case of a breakdown or a special situation, some doors may not be opened.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uch open doors should also be sensed.

이러한, 개방되는 출입문들의 방향 및 개수에 대한 정보는, 결국, 각 차량 내의 공기 순환 방향이나 환기의 정도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한 정보에 해당된다. Th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and number of open doors is, after all, very important information because it affects the direction of air circulation in each vehicle or the degree of ventilation.

나아가, 일반적으로 해당 차량에 승하차 하는 승객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해당 차량의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방 시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 시간은 해당 차량에의 승하차 승객의 수와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도 획득되어야 한다. Furthermore, in general, as the number of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increases, the opening time of the open doors of the vehicle also increas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pening time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and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must also be obtained.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차량의 응하중 정보와 해당 차량의 출입문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청정기의 동작 대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s applied based on the load respons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information on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즉, 상기 출입문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들 중에서, 특히 출입문들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공기청정기의 동작 대수를 연산한다. That is,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 is calculat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opening times of the doors, amo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즉, 상기 연산부(300)에서는,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100)에서 획득된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200)에서 획득된 출입문 개폐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들(40) 중에서 동작되어야 하는 공기청정기들의 대수를 연산하되(단계 S50), 특히, 상기 출입문 개폐정보 중, 출입문들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연산을 수행한다. That is, in the calculating unit 300, the air cleaners installed in the vehicle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load signal obtaining unit 100 and th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obtaining unit 200 The number of air purifiers to be operated in (40) is calculated (step S50), and in particular,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pening time of the doors among th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환산된 응하중 신호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시간 신호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동작 대수를 연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lculator 300 may calculate the final number of operations by giving a first weight to the converted load signal and a second weight to the door opening time signal.

즉, 1V=0.5로 정의한 상태에서 환산된 응하중 신호가 2V라고 가정하고, 제1 가중치를 1로 설정하고, 출입문 개방시간 신호를 20초로 가정하고, 제2 가중치를 0.2로 설정하면, 상기 연산부(300)에서 연산되는 최종 동작 대수의 값은 하기 식 (1)로 연산될 수 있다. That is, if it is assumed that the converted load signal is 2V in the state defined as 1V=0.5, the first weight is set to 1, the door opening time signal is assumed to be 20 seconds, and the second weight is set to 0.2, the calculation unit The value of the final operation log calculated in (300)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식 (1)
Figure pat00001
Equation (1)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차량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들 중 5개의 공기청정기가 동작되어야 한다는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Thus, finally, a calculation that five air purifiers among the air purifiers installed in one vehicle should be operated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연산부(300)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정보 중, 출입문들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출입문 개폐정보 중, 상기 출입문들의 개방 신간에 대한 정보 외에도,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수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unit 300,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pening times of the doors, but amo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new publications of the doors, open By assign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completed doors,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inal air purifiers.

이 경우, 상기 인가되는 가중치는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기청정기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기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lied weight may be preset through a separate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상기 연산부(300)에서 해당 차량에서의 최종 동작되어야 하는 공기청정기들의 개수에 대한 값이 연산되면, 상기 출력부(400)에서는 선택된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lue for the number of air purifiers to be finally operated in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unit 300, the output unit 400 outputs operation signals of the selected air purifiers (step S60).

상기 출력부(400)에서는, 상기 동작되어야 하는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에 대한 연산 결과를 바탕으로, 개방된 출입문들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들을 우선 동작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n operation signal to preferentially operate the air purifier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open doors based on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s to be operated.

즉, 도 2에서, 우측(21)의 출입문들이 개방된 경우라면, 상기 연산부(300)에서 4개의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400)에서는 좌측(22)에 위치한 4개의 공기청정기들이 우선 동작되도록 상기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at is, in FIG. 2 , if the doors on the right side 21 are opened, when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four air purifiers are output from the operation unit 300 , the output unit 400 outputs 4 located on the left side 22 . The operation signal may be output so that the air purifiers of the dogs are operated first.

이를 통해,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외부와의 환기가 수행된 영역보다는,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로 외부와의 환기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들을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 청정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the air purifiers located in the area where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is not performed smoothly with the door closed, rather than the area where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is operated to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inside the vehicle. Th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나아가, 상기 출력부(400)에서 출력하는 동작 신호는, 릴레이 접점을 동작하도록 하는 릴레이 접점 동작신호일 수 있다. 그리하여, 릴레이 접점이 클로즈(close)된 공기청정기들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op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400 may be a relay contact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relay contact. Thus, it is possible to operate only the air purifiers in which the relay contact is closed.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산부(300)에서 연산된 결과 동작대수가 1 미만인 경우라도, 상기 출력부(400)에서는 1대의 공기청정기가 동작하도록 릴레이 접점을 출력하고, 상기 연산부(300)에서 연산된 결과 동작 대수가 1 초과 2 미만인 경우라도, 상기 출력부(400)에서는 2대의 공기청정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릴레이 접점을 출력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A , even when the result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300 is less than 1, the output unit 400 outputs a relay contact so that one air purifier operates, and the operation unit ( 300), even when the number of operations is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2, the output unit 400 may output a relay contact so that the two air purifiers can operat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팬을 적용하지 않고 온/오프 동작만으로 공기청정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 공기청정기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팬이 적용되며, 팬의 동작 강도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동작 세기가 결정되는 형태의 공기청정기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s that can adjust the air cleaning intensity only by on/off operation without applying a fan has been described, but a fan is applied,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s Even when an air purifier of a type in which the operating intensity is determined is applied, the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i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다만, 상기 연산부(300)에서 연산되는 연산값은 공기청정기의 동작 대수가 아닌, 팬의 동작 강도값이며,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400)에서 출력되는 정보도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위한 출력신호가 아닌, 팬의 동작 강도에 대한 출력신호일 수 있다. However, the calculated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300 is not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 but the operation intensity value of the fan. Otherwise, it may be an output signal for the operation strength of the fan.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400)에서 상기 팬의 동작 강도에 대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1 미만의 연산값에 대하여는 1의 강도로 팬이 동작하도록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1 초과 2 미만의 연산값에 대하여는 2의 강도로 팬이 동작하도록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 even when the output unit 400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the operating intensity of the fan, the output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fan operates with an intensity of 1 for an operation value less than 1 The output signal can be output so that the fan operates with an intensity of 2 for an operation value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2.

그리하여, 해당 차량에서 요구되는 공기청정의 양보다 많은 양의 공기 청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차량의 공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us, by operating the air purifier so that an amount of air cleaning greater than the amount of air cleaning required for the vehicl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air condi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필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아닌,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철도차량에 대하여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최적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operating system of the air purifiers even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rather than a conventional filter type air purifier.

특히, 플라즈마 클러스터 방식의 공기청정기의 경우, 팬을 생략할 수 있어 다수 공기청정기의 ON/OFF 구동 제어만으로 실내 공기청정 성능에 대한 강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차량의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개수를 도출함으로써, 최적의 공기청정기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since the fan can be omitted, the intensity of the indoor air cleaning performance can be adjusted only by controlling the ON/OFF driving of multiple air purifiers. By deriv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purifie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이 경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개수를 결정함에 있어, 해당 차량의 승객의 부하 및 해당 차량의 출입문의 개폐 정보를 활용하므로, 공기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s, the load of the passenge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re utilized, so that the optimal air cleaning can be performed by indirectly grasping the air condition.

특히, 승객의 부하를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출입문 개폐 정보에는 출입문의 개폐 개수, 개폐되는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므로,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인원, 출입문의 개폐에 따른 환기 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등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공기 청정의 수행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the passenger's load is obtained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and th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doors opened and closed, the positions of the doors that are opened and closed, and inform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times of the doors.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air cleaning by considering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passengers, ventilation due to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r inflow of outside air.

또한, 승객의 부하 정보와, 출입문의 개폐 정보에 있어,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실제 차량 내부의 공기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효과적으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공기 청정의 수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passenger load information and th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t and control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erform

한편, 각 차량에서의 동작이 필요한 공기청정기의 개수가 도출된 경우, 출력 신호가 릴레이 접점을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릴레이 접점이 닫힌(closed) 공기청정기만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제 연산된 결과의 올림에 해당되는 수의 공기청정기가 동작할 수 있어, 제어의 용이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킨 공기 청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air purifiers required for operation in each vehicle is derived, the output signal causes the relay contact to operate, so that only the air purifier with the relay contact closed operates, thus raising the actual calculated result. The number of air purifiers corresponding to the above can be operated, making it possible to purify the air with improved controllability and comfor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100 : 하중신호 획득부 110 : 전위압력 검출부
120 : 후위압력 검출부 130 : 신호 변환부
140 : 환산부 200 :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
300 : 연산부 400 : 출력부
10: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100: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110: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120: back pressure detection unit 130: signal conversion unit
140: conversion unit 200: door open/close signal acquisition unit
300: arithmetic unit 400: output unit

Claims (14)

각각의 차량에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구비된 철도차량에서,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하중신호 획득부;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에 대하여,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하는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
상기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각 차량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동작 대수를 바탕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In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n each vehicle,
a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in each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each vehicle,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for each vehicle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and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oper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공기 스프링의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상기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road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acquires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assenger riding in the vehicle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of each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전위압력 검출부;
각 차량의 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후위압력 검출부;
상기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각 차량별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로 환산하는 환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ad signal acquisition unit,
a potential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on a potential balance of each vehicle;
a rear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on the rear bogie of each vehicle;
a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nto a loa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each passenger on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신호 획득부는,
각 차량의 출입문들 중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수, 개방된 출입문들의 위치, 및 개방된 출입문들의 개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ing/closing signal acquisition unit,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road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pen doors among the doors of each vehicle, the positions of the open doors, and the opening times of the open do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응하중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culating unit,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o the load information and a second weight to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되는 응하중 정보는 응하중 신호의 환산값이며,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되는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는 출입문의 개방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formation on the load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assigned is a converted value of the load sign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to which the second weight is given is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들은,
각 차량의 양 측에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며, 각 차량에 설치되는 출입문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ers,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numb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each vehicl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s installed in each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들 각각은,
플라즈마 클러스터(plasma cluster) 방식의 공기청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ch of the air purifiers,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asma cluster type air purifi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개방된 출입문들이 위치한 반대측의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먼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put unit,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opened doors are located are first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릴레이 접점을 동작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An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relay contacts of the air purifi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공기청정기들이 팬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팬의 강도단계를 동작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When the air purifiers include a fan, the air purifier opera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intensity level of the fan as an operation signal.
각각의 차량에 복수의 공기청정기들이 구비된 철도차량의 공기청정기 운영방법에서,
각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출입문들에 대하여,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응하중 정보 및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를 바탕으로, 각 차량별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동작 대수를 바탕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air purifier of a railroad ca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n each vehicle,
obtaining information on a load corresponding to a load of a passenger riding in each vehicle;
obtaining information on opening/closing of doors for a plurality of doors provided in each vehicle;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for each vehicle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and
and outputting operation signals of the air purifiers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opera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하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차량의 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각 차량의 후위 대차에 위치한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공기스프링의 압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각 차량별 탑승 승객의 부하에 따른 응하중 신호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load information comprises: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on a potential balance of each vehicle;
detecting a pressure signal of an air spring located in the rear bogie of each vehicle;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of the air spring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nto a loa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a passenger on each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응하중 정보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출입문들의 개폐 정보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들의 동작 대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운영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purifier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o the applied load information and a second weight to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s, calculat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ir purifiers.

KR1020200177237A 2020-12-17 2020-12-17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34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7A KR102534693B1 (en) 2020-12-17 2020-12-17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7A KR102534693B1 (en) 2020-12-17 2020-12-17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60A true KR20220086960A (en) 2022-06-24
KR102534693B1 KR102534693B1 (en) 2023-05-22

Family

ID=8221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37A KR102534693B1 (en) 2020-12-17 2020-12-17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9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402A (en) * 1992-12-09 1994-06-24 Toshiba Corp Controlling equipment for air-conditioning operation in railway vehicle
JP2001088699A (en) * 1999-09-24 2001-04-03 Calsonic Kansei Corp Air conditioner for rolling stock
JP2011168159A (en) * 2010-02-18 2011-09-01 Sharp Corp Ion gen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it
JP2014040151A (en) * 2012-08-21 201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2014205405A (en) * 2013-04-12 2014-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KR20150062397A (en) * 2013-11-29 2015-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automatical controlling cooling and heating using load compensating signal
KR102076852B1 (en) 2019-11-11 2020-02-12 주식회사 지에스티 Air purity device for train-vehic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402A (en) * 1992-12-09 1994-06-24 Toshiba Corp Controlling equipment for air-conditioning operation in railway vehicle
JP2001088699A (en) * 1999-09-24 2001-04-03 Calsonic Kansei Corp Air conditioner for rolling stock
JP2011168159A (en) * 2010-02-18 2011-09-01 Sharp Corp Ion generator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it
JP2014040151A (en) * 2012-08-21 201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2014205405A (en) * 2013-04-12 2014-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KR20150062397A (en) * 2013-11-29 2015-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automatical controlling cooling and heating using load compensating signal
KR102076852B1 (en) 2019-11-11 2020-02-12 주식회사 지에스티 Air purity device for train-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693B1 (en) 202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637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vehicle internal air
CN110722962B (en) Vehicle air purif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JP2009119928A (en) Vehicular ventilator
JP2007269102A (en) Vehicular wind throb reduction device
EP3699007A1 (en) Vehicle sunroof system, vehicle having sam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220086960A (en) Air cleaner oper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DE60041416D1 (en) MONITORING PROCESS AND SYSTEM FOR COMFORT IN A TILT TRAIN
JP2007331738A (en) Cooling/heating system for convertible
JP2009040246A (en) Vehicular ventilator
KR100710672B1 (en) Car air cleaner
KR20220090996A (en) Carbon Dioxide Removal Device for Vehicle Indoor and its Control Method
KR2008008532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pressure for bus
JP2009040189A (en) Cooling system of electric automobile
JP395198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5471745B2 (en) In-vehicle device
KR100774428B1 (en) Method for switching air intake mode of vehicle automatically
JP2007196760A (en) Air cleaning system for vehicle
CN114905916A (en) Vehicle and method for preventing infection
KR20130023896A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of railroad carriages
JPH08253143A (en) Vibration control device of railway rolling stock
JP2000135918A (en) Intake door control device
KR102643492B1 (en)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system for vehicle
CN108367653B (en) Ventilation device with variable recirculation and ventilation method
KR20130141117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3912252B2 (en) Park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